KR101861191B1 -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 - Google Patents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191B1
KR101861191B1 KR1020160026428A KR20160026428A KR101861191B1 KR 101861191 B1 KR101861191 B1 KR 101861191B1 KR 1020160026428 A KR1020160026428 A KR 1020160026428A KR 20160026428 A KR20160026428 A KR 20160026428A KR 101861191 B1 KR101861191 B1 KR 101861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server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236A (ko
Inventor
강환규
송인의
Original Assignee
(주)씨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넥스 filed Critical (주)씨넥스
Publication of KR20160108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가 요구되는 어린이 혹은 노약자, 환자에 관한 영상을 원격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되 주변인의 초상권까지 보호할 수 있는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이용되는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에 관한 것으로, 피관찰소 식별정보와, 피관찰소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IP 카메라 식별정보를 접속된 정보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등록하기 위한 피관찰소 정보 등록부와, 피관찰소에 배포된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식별정보들과 피관찰자 보호인 정보를 정보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등록하기 위한 피관찰소별 태그식별정보 등록부와, 피관찰소별로 등록된 태그식별정보와 동일한 태그식별정보가 피관찰자의 보호자 정보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함께 전송된 보호자 정보와 피관찰자 정보를 태그식별정보에 매핑 등록하기 위한 보호자 관련정보 등록부와, 등록된 보호자 정보 단말기로부터 피관찰자 영상보기 요청 수신시 보고자 하는 피관찰자가 등록된 피관찰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피관찰소에 등록된 피관찰자 보호인들의 정보 단말기로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가 포함된 푸쉬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영상보기 요청부와, 상기 검색된 피관찰소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IP 카메라 접속정보 리스트를 영상보기 요청한 보호자 정보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카메라 접속정보 제공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VIDEO DELIVERY SYSTEM AND ATTACHING TAG}
본 발명은 원격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가 요구되는 어린이 혹은 노약자, 환자에 관한 영상을 원격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되 주변인의 초상권까지 보호할 수 있는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이용되는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에 관한 것이다.
맞벌이가 늘면서 가족 구성원인 유아 및 어린이들, 청소년들은 유치원, 놀이방, 보육원 등의 보육 기관이나 교육 기관에 맡겨져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와 같이 많은 시간을 자녀와 떨어져 지내고 있는 요즘의 부모들은 자신의 자녀가 기관에서 올바르고 정상적인 대접을 받으면서 타 어린이들과 정상적으로 생활하고 있는지 항상 궁금해 한다.
이러한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서 원격지에서 각종 보육 혹은 교육 기관 내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원격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교육 기관에서 학생의 출석을 자동 알림하는 출석 자동 알림 시스템들이 개발되어 보급되기에 이르렀다. 원격지에서 특정 시설 내의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원격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보육 기관뿐만 아니라 환자, 고령층, 요양시설 등에도 폭 넓게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원격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특정 장소의 영상을 촬영하여 통신망을 통해 영상 보기 요청한 보호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촬영장소에 함께 있던 주변인들의 초상권 내지는 사생활까지 부득이하게 타인에게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자신의 자녀 혹은 보고 싶어하는 대상(이를 피관찰자라 명명하기로 한다)만을 선별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된다면, 기존 시스템에서 제기되고 있는 개인의 초상권 내지는 사생활 노출을 정상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3933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 해결 및 기술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발명으로서, 특히 피관찰자에 관한 영상을 원격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지원하되, 그 피관찰자 주변인의 초상권 보호 및 사생활 노출을 막을 수 있는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이용되는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를 제공함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관찰자가 촬영된 영상에서 피관찰자 객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신호처리 과정 없이도 정상적으로 피관찰자 위치만을 검출, 추적하여 영상 보기 요청한 보호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이용되는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은,
피관찰소 식별정보와, 피관찰소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IP 카메라 식별정보를 접속된 정보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등록하기 위한 피관찰소 정보 등록부와;
피관찰소에 배포된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식별정보들과 피관찰자 보호인 정보를 정보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등록하기 위한 피관찰소별 태그식별정보 등록부와;
피관찰소별로 등록된 태그식별정보와 동일한 태그식별정보가 피관찰자의 보호자 정보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함께 전송된 보호자 정보와 피관찰자 정보를 태그식별정보에 매핑 등록하기 위한 보호자 관련정보 등록부와;
등록된 보호자 정보 단말기로부터 피관찰자 영상보기 요청 수신시 보고자 하는 피관찰자가 등록된 피관찰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피관찰소에 등록된 피관찰자 보호인들의 정보 단말기로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가 포함된 푸쉬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영상보기 요청부와;
상기 검색된 피관찰소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IP 카메라 접속정보 리스트를 영상보기 요청한 보호자 정보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카메라 접속정보 제공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자신의 태그식별정보가 상기 피관찰자 보호인 정보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송신되는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와 동일할 경우 적외선 발광부를 점멸시키는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를 더 포함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보호자 정보 단말기의 메모리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IP 카메라 접속정보 리스트에서 보호자가 선택한 IP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되,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 주변 영상은 마스킹 처리하여 표시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보호자가 선택한 IP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에서 적외선 LED 지점을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로 식별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는,
피관찰소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 혹은 보호인용 어플리케이션 모듈 혹은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설치된 정보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자신의 태그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적외선 발광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태그식별정보와 동일할 경우 상기 적외선 발광부를 점멸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피관찰소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피관찰소 식별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피관찰소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피관찰자의 영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지원하되, 피관찰자 주변 영상을 마스킹 처리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피관찰자 주변인의 초상권 보호 및 사생활 노출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피관찰자가 촬영된 영상에서 피관찰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복잡한 신호처리 과정 없이도 단순히 적외선 발광지점을 피관찰자의 위치로 식별할 수 있어 시스템 구성 및 설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 및 그 주변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의 블럭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의 등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보 등록 흐름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영상 제공 흐름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과 같은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하기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중 피관찰자란 유치원 등에서 관찰이 요구되는 유아, 어린이는 물론, 요양 시설의 환자, 노약자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보호자란 상기 피관찰자의 부모, 가족 등과 같이 피관찰자에 대한 영상 보기 권한을 부여받은 자로 정의하기로 한다. 피관찰소란 원격지에서 영상 보기 신청을 받아 특정 장소의 영상을 원격으로 제공하는 즉, 유치원, 요양 시설, 병원 등을 지칭하는 것이며, 피관찰소 관리자란 유치원 원장 혹은 요양 시설의 총 책임자를, 보호인은 피관찰소에서 근무하며 직접 피관찰자를 보호할 의무가 있는 유치원 교사, 간호인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아울러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는 피관찰자가 신체 일부에 부착 가능한 태그, 뺏지 등을 일컫는 것으로 정의하며, 정보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기는 물론, 테블릿 PC, 데스크 탑 PC와 같이 통신 기능이 부여된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유치원을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 및 그 주변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망을 통해 보호자 정보 단말기(200), 피관찰소 관리자 정보 단말기(300), 보호인 정보 단말기(400), 업체 정보 단말기(500)와 연결 가능하다. 업체 정보 단말기(500)는 피관찰소인 유치원 등에 IP 카메라(CAM)(700)를 설치해 주고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를 전달해 주는 업무를 담당하는 자의 정보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보호자 정보 단말기(200)의 메모리에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다운로드 설치되어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에 기록된 태그식별정보, 피관찰소 식별코드(유치원 코드)를 액세스하고, 보호자에 의해 입력된 보호자 정보는 물론 피관찰자 정보를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에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상기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IP 카메라 접속정보 리스트를 표시해 주며, 리스트에서 보호자가 선택한 IP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되,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 주변 영상은 마스킹(모자이크) 처리하여 표시한다. 피관찰자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은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에서 적외선이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촬영 영상에서 적외선 발광지점이 곧 피관찰자의 위치가 된다. 따라서 보호자가 선택한 IP 카메라(7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에서 적외선 발광지점을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로 식별할 수 있고, 그 적외선 발광지점 주변 영상을 마스킹 처리할 수 있으며, 적외선 발광지점에 별도의 마크를 표시하여 영상 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 영상을 특징지어 표시할 수도 있다.
피관찰소 관리자는 자신의 정보 단말기(300)에 피관찰소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설치하여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등록한다. 즉, 피관찰소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피관찰소 식별정보(유치원 코드)를 전송받아 근거리 무선 연결된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로 전송하여 저장 유도하고, 피관찰소에 배포된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식별정보들과 피관찰자 보호인 정보, 피관찰소 정보, 관리자 자신의 정보를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에 제공하여 등록한다.
피관찰소의 보호인(즉, 보육교사)은 자신의 정보 단말기(400)에 보호인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설치한다. 보호인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에서 전송되는 푸쉬메시지(영상보기 요청 메시지이기도 함)에 포함된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를 가지는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가 통신 반경내에 위치하면 적외선 LED 점멸을 요청하는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를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로 전송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 1에서 미설명된 IP 카메라(700)는 피관찰소의 지정 장소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감시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 영상은 영상기록장치(DVR/NVR)(800)에 녹화됨은 물론 원격지에서 영상 보기 요청한 보호자 정보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이러한 IP 카메라(700)는 적외선을 식별하기 위해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커트 필터가 채용된 카메라일 수 있다.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는 피관찰자인 유치원생이 신체 일부에 부착할 수 있는 뺏지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태그(600)는 보호인 정보 단말기(4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구비하며, 자신의 태그식별정보와 동일한 태그식별정보가 보호인 정보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경우 영상 보기 요청으로 받아들여 적외선 발광부인 적외선 LED를 점멸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 중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은,
업체 정보 단말기(500) 혹은 상기 업체의 웹으로부터 피관찰소 식별정보(유치원명, 로고, 관리자 이메일, 휴대폰 번호 등)와, 피관찰소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IP 카메라 식별정보(IP 어드레스, 포트, 도메인, 비밀번호 중 하나 이상 등)를 전송받아 등록하기 위한 피관찰소 정보 등록부(102)와,
피관찰소에 배포된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식별정보들과 피관찰자 보호인 정보(교사의 전화번호, 이메일 등)를 피관찰소 관리자 정보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받아 등록하기 위한 피관찰소별 태그식별정보 등록부(104)와,
피관찰소별로 등록된 태그식별정보와 동일한 태그식별정보가 피관찰자의 보호자 정보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함께 전송된 보호자 정보(부모이름, 휴대폰 번호 등)정보와 피관찰자 정보(자녀이름, 반이름 등)를 태그식별정보에 매핑 등록하기 위한 보호자 관련정보 등록부(106)와,
등록된 보호자 정보 단말기(200)로부터 피관찰자 영상보기 요청 수신시 보고자 하는 피관찰자가 등록된 피관찰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피관찰소에 등록된 피관찰자 보호인들의 정보 단말기(400)로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가 포함된 푸쉬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영상보기 요청부(108)와,
상기 검색된 피관찰소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IP 카메라 접속정보 리스트를 영상보기 요청한 보호자 정보 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카메라 접속정보 제공부(110)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인정보 DB(114)가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에 구비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구성 외에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은 최초 로그인한 보호인 정보 단말기(400)의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보호인 자신이 담당 즉, 보호해야 할 피관찰자 정보와 그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해 주기 위한 보호대상 정보 제공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의 블럭 구성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는 피관찰소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 보호인용 어플리케이션 모듈,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각각 설치된 정보 단말기(200,300,4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610, 블루투스 모듈)와,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630), 자신의 태그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640), 적외선 발광부(적외선 LED, 650) 및 상기 통신부(610)를 통해 수신된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가 상기 메모리(640)에 저장된 태그식별정보와 동일할 경우 상기 적외선 발광부(650)를 점멸 제어하는 제어부(62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제어부(620)는 피관찰소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피관찰소 식별정보(유치원 코드)를 전송받아 상기 메모리(640)에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피관찰소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된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의 등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보 등록 흐름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영상 제공 흐름도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의 피관찰소 정보 등록부(102)는 피관찰소 식별정보(유치원명)와, 피관찰소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IP 카메라 식별정보를 접속된 업체 정보 단말기(500)로부터 전송받아 메인정보 DB(114)에 등록한다. 아울러 피관찰소 정보 등록부(102)는 피관찰소 식별정보와 함께 피관찰소의 관리자 정보(관리자의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등)도 함께 전송받아 등록(S10단계)한다.
피관찰소 식별정보를 등록한 피관찰소 정보 등록부(102)는 피관찰소 식별정보 등록에 따라 각 피관찰소별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PMS(Push Messaging System)토큰, 로고, 유치원명과 함께 최초 접속한 관리자 정보 단말기(300)로 전송(S20단계)해 준다.
이후 관리자 정보 단말기(300)의 시스템(100) 접속시에는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관리자의 전화번호, 피관찰소별 식별코드를 전송하여 자동 로그인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설치한 관리자는 자신의 정보 단말기(300)를 통해 업체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의 태그식별정보와 피관찰자 보호인 정보를 등록(S30단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연 설명하면 관리자는 자신의 정보 단말기(300)를 통해 태그 등록화면으로 이동한 후 다수의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각 태그(600)의 태그식별정보를 리드한다. 각 태그(600)에서는 주기적으로 태그식별정보가 포함된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데이터가 관리자 정보 단말기(300)로 로딩됨으로써, 주변에 위치하는 모든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의 태그식별정보가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다. 리스트에서 태그식별정보를 선택하면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선택된 태그(600)와 연결되며, 관리자용 정보 단말기(300)에 저장된 피관찰소 식별코드가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관리자는 업체로부터 제공받은 모든 태그(600)의 메모리(640)에 피관찰소 식별코드를 저장할 수 있고, 제공받은 모든 태그(600)의 태그식별정보를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정보 단말기(300)를 통해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보호인의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보호인이 맡은 보호 대상자들의 정보를 제공하여 등록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보호인은 보호인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설치하여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에 최초 로그인하여 폰 등록을 하면, 관리자가 등록한 보호인 정보와 비교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보호인이 로그인하면,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의 보호대상 정보 제공부(112)는 해당 보호인이 담당해야 할 보호대상 정보를 보호인 정보 단말기(400)로 전송(S40단계) 해 준다. 보호대상 정보에는 보호 대상인 피관찰자 정보와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가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피관찰소별 보호인과 각 피관찰소에 제공된 태그(600)의 식별정보가 등록되면, 이와 함께 피관찰자의 보호자도 필요한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 이에 보호자는 자신의 정보 단말기(200)에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우선 설치한 후 실행시킨다.
피관찰자가 가지고 온 태그(6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파되는 애드버타이징 데이터에 의해 보호자 정보 단말기(200)와 태그(600)는 연결 가능하며 태그식별정보는 물론 피관찰소 식별코드의 획득이 가능하다. 획득된 피관찰소 식별코드는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송되어 정상적으로 피관찰소에 배포된 태그(600)인가를 인증받는다. 정상적일 경우 인증 성공 메시지를 보호자 정보 단말기(200)로 제공해 준다.
태그 인증 완료 후 보호자는 보호자 정보 및 피관찰자 정보(보호자 관련정보에 해당함) 등을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에 제공함으로써, 보호자 관련정보 등록부(106)는 메인정보 DB(114)에 제공된 정보를 등록(S50단계)한다.
이로써,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의 메인정보 DB(114)에는 각 피관찰소별로 관리자, 보호인, 보호자, 피관찰자 정보 각 피관찰자가 부착하는 태그(600)의 태그식별정보가 등록되며, 각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에는 태그식별정보와 피관찰소 식별코드가 저장된다. 필요에 따라 각 태그(600)에는 피관찰자의 정보와 보호자 정보가 추가 저장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자가 원격지에서 특정 피관찰자의 영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 등록 완료되면, 이후 보호자는 도 5에서와 같이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에 로그인하여 영상 보기를 요청(S60단계)할 수 있다. 이때 피관찰자들은 신체 일부에 부착용 태그(600)를 부착하고 있다는 것으로 전제로 한다.
로그인한 보호자 정보 단말기(200)로부터 영상 보기 요청이 있으면 영상보기 요청부(108)는 로그인한 보호자 정보를 활용하여 영상 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 및 피관찰자가 등록된 피관찰소를 검색(S70단계)하고, 검색된 피관찰소에 등록된 피관찰자 보호인들의 정보 단말기(400)로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가 포함된 푸쉬메시지를 전송(S80단계)한다.
보호인 정보 단말기(400)에 설치된 보호인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푸쉬메시지에 포함된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를 가지는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가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면 영상 보기 요청을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에 응답(S90단계)해 주고, 적외선 LED 점멸을 요청하는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를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로 전송(S110단계)한다. 이로써,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600)의 제어부는 적외선 LED를 점멸 제어(S120단계)하게 된다.
한편,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의 카메라 접속정보 제공부(110)는 상기 영상보기 요청 응답에 응답하여 상기 검색된 피관찰소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IP 카메라 접속정보 리스트를 영상보기 요청한 보호자 정보 단말기(200)로 전송(S100단계)해 준다.
이로써 보호자는 IP 카메라를 선택(S130단계)함으로써, 보호자 정보 단말기(200)와 IP 카메라(700)는 통신 채널이 연결되고, 연결된 채널을 통해 피관찰자가 위치하는 곳의 영상이 전송된다.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적외선 발광지점 주변, 예를 들면 화면상에서 적외선 발광지점을 중심으로 소정 반경 밖의 영상은 모두 마스킹 처리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선택한 IP 카메라 영상에서 보호자 자신의 아이만을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아이 주변의 영상은 마스킹 처리되어 식별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고자 하는 대상 외의 주변 환경을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없어 피관찰자 주변에 위치하는 사람들의 초상권을 보호할 수 있고, 타인의 사생활 노출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에서 적외선 발광지점을 중심으로 소정 반경 밖의 영상이 마스킹 처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가 위치하는 곳의 IP 카메라 영상을 전송받아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하되,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 주변 영상을 마스킹 처리하여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가 위치하는 곳의 IP 카메라 영상을 전송받아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하되,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 주변 영상을 마스킹 처리하여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영상 제공부를 도 2에 도시한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100)에 더 포함하여 시스템 설계할 수도 있다. 물론, 피관찰자에 별도의 마크를 표시해 주는 방법도 구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피관찰소 식별정보와, 피관찰소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IP 카메라 식별정보를 접속된 정보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등록하기 위한 피관찰소 정보 등록부와;
    피관찰소에 배포된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식별정보들과 피관찰자 보호인 정보를 정보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등록하기 위한 피관찰소별 태그식별정보 등록부와;
    피관찰소별로 등록된 태그식별정보와 동일한 태그식별정보가 피관찰자의 보호자 정보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함께 전송된 보호자 정보와 피관찰자 정보를 태그식별정보에 매핑 등록하기 위한 보호자 관련정보 등록부와;
    등록된 보호자 정보 단말기로부터 피관찰자 영상보기 요청 수신시 보호자가 보고자 하는 피관찰자가 등록된 피관찰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피관찰소에 등록된 피관찰자 보호인들의 정보 단말기로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가 포함된 푸쉬메시지를 전송하여 피관찰자 보호인 주변에 위치하는 피관찰자중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가 착용한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의 적외선 발광부가 점멸되도록 하는 영상보기 요청부와;
    상기 검색된 피관찰소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IP 카메라 접속정보 리스트를 영상보기 요청한 보호자 정보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카메라 접속정보 제공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신의 태그식별정보가 상기 피관찰자 보호인 정보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송신되는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와 동일할 경우 적외선 발광부를 점멸시키는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정보 단말기의 메모리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IP 카메라 접속정보 리스트에서 보호자가 선택한 IP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표시하되,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 주변 영상은 마스킹 처리하여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보호자가 선택한 IP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에서 적외선 LED 지점을 영상보기 요청받은 피관찰자로 식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피관찰자 보호인 정보 단말기의 메모리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보호인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인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푸쉬메시지에 포함된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를 가지는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가 통신 반경내에 위치하면 적외선 LED 점멸을 요청하는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피관찰자 보호인 정보 단말기의 메모리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보호인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인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푸쉬메시지에 포함된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를 가지는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가 통신 반경내에 위치하면 적외선 LED 점멸을 요청하는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로그인한 상기 보호인용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보호해야 할 피관찰자 정보와 그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해 주기 위한 보호대상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피관찰소의 관리자 정보 단말기의 메모리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피관찰소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피관찰소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피관찰소 정보 등록부로부터 피관찰소 식별코드를 전송받아 근거리 무선 연결된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로 전송하여 저장 유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피관찰소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 보호인용 어플리케이션 모듈,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각각 설치된 정보 단말기들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자신의 태그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적외선 발광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피관찰자의 태그식별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태그식별정보와 동일할 경우 상기 적외선 발광부를 점멸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피관찰소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피관찰소 식별코드를 전송받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피관찰소에서 배포한 태그 인증을 받기 위해 상기 저장된 피관찰소 식별코드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는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
KR1020160026428A 2015-03-04 2016-03-04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 KR101861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30649 2015-03-04
KR1020150030649 2015-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236A KR20160108236A (ko) 2016-09-19
KR101861191B1 true KR101861191B1 (ko) 2018-05-28

Family

ID=5710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428A KR101861191B1 (ko) 2015-03-04 2016-03-04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733B1 (ko) * 2020-11-06 2022-03-24 정예은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613B1 (ko) * 2018-11-23 2020-08-21 전자부품연구원 저전력 적외선 비컨 및 고속카메라를 이용한 자재 위치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062A (ja) * 1999-04-22 2000-11-02 Duskin Co Ltd 発光素子付き非接触型無線idタグ
JP2005117566A (ja) * 2003-10-10 2005-04-28 Victor Co Of Japan Ltd 画像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6094329A (ja) * 2004-09-27 2006-04-06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無線タグを用いた映像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プログラム
JP2006101028A (ja) * 2004-09-28 2006-04-1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933A (ko) 2002-10-16 2004-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감시 및 관찰 현장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6062A (ja) * 1999-04-22 2000-11-02 Duskin Co Ltd 発光素子付き非接触型無線idタグ
JP2005117566A (ja) * 2003-10-10 2005-04-28 Victor Co Of Japan Ltd 画像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6094329A (ja) * 2004-09-27 2006-04-06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無線タグを用いた映像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プログラム
JP2006101028A (ja) * 2004-09-28 2006-04-1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監視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733B1 (ko) * 2020-11-06 2022-03-24 정예은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236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8692B2 (en) Privacy protection based on device presence
JP5876920B1 (ja) 徘徊防止システム
US82375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atient telephony
WO2008004578A1 (fr) Système, dispositif et procédé de surveillance
WO2016063554A1 (ja) 拡張現実システム
CN110114794A (zh) 事故指挥系统中的针对第一响应者的智能调试
KR101584983B1 (ko) 비콘 기반 미싱 객체 찾기 시스템, 미싱 객체 찾기 방법, 그 컴퓨터 프로그램 및 미싱 객체 찾기 서버
KR101552289B1 (ko) 돌봄 단말 시스템 장치
CN109587441B (zh) 视频监视系统中设备间直接访问视频数据流和数据的方法
KR101861191B1 (ko)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
KR101617342B1 (ko) 놀이시설장소 돌봄 장치 및 돌봄 방법
JP5883577B2 (ja) セキュリティ確保型リモート監視装置および方式
KR101863846B1 (ko) 이벤트 감지 및 현장 사진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10152910A1 (en) OVER-THE-EAR HEADPHONE DEVICE WITH A CIRCLE-OF-SIGHT (CoS) SIGNALING ELEMENT
KR101861732B1 (ko) 피관찰자 위치 추적 시스템
JP2008040738A (ja) 施設監視システム
JP3739736B2 (ja) 見学情報提供システム
US11626007B2 (en) Home occupancy information system
KR101539743B1 (ko) 마우스 리테이너를 이용한 신원 정보 확인 및 안전 확보 시스템
KR20120106326A (ko) 카메라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출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042467A (ja) 施設監視システム
KR101678902B1 (ko) 신원 정보 확인 및 안전 확보 시스템
KR10174094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유치원생 위치 안내 시스템
US202302455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ual Direction Individual Monitoring
KR100575892B1 (ko) 보호자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