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733B1 -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733B1
KR102378733B1 KR1020200147205A KR20200147205A KR102378733B1 KR 102378733 B1 KR102378733 B1 KR 102378733B1 KR 1020200147205 A KR1020200147205 A KR 1020200147205A KR 20200147205 A KR20200147205 A KR 20200147205A KR 102378733 B1 KR102378733 B1 KR 10237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guardian
situation sharing
real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예은
Original Assignee
정예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예은 filed Critical 정예은
Priority to KR1020200147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호대상자 및 보호자에 관한 인적정보, 상기 보호대상자 및 상기 보호자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보호자가 상기 관리자에 대해 평가한 만족도 평가점수 및 상황공유정보를 저장하는 상황공유 관리서버; 상기 보호자가 휴대하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 상기 관리자가 휴대하며,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확인하였을 때, 상황공유정보의 팝업동작을 수행하는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황공유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REALTIME SITUATION}
본 발명은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이용자인 어린아이 보호자가 서비스 제공자인 돌봄 교사로부터 실시간으로 상황공유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유아교육 기관을 통해 제공하는 실시간 화상 전달 시스템은 유치원 등 유아교육 시설에 다니는 자녀를 둔 부모들이 자녀들의 생활모습을 인터넷을 통해 수시로 직장이나 가정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유아교육 기관에서는 교육, 상담 등 시설 운영에 필요한 여러 정보들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카메라, 스위칭보드, 카메라 서버, 실시간 화상 전달 서버, 인터넷 및 사용자 단말기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유아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호스팅 서비스로서 컴퓨터 한 대에 여러 대의 카메라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모들은 직장이나 가정에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자녀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게 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간 화상 전송 시스템은, 태권도 학원, 사이버 아파트, 매장, 실시간 이벤트 행사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그 구현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실시간 화상 전송 시스템은 크게 카메라 서버, 영상 서버 및 웹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는데, 카메라 서버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시점에 맞춰 카메라를 스위칭하면서 화상을 캡쳐하여 각각의 카메라 별로 정지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카메라로부터 캡처한 개별 정지화상을 영상 서버로 전송한다.
영상 서버는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카메라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카메라에 대한 정지화상을 생성하도록 하며, 카메라 서버가 생성한 정지화상을 해당 아이디(ID)별(해당 유아교육기관, 해당 반)로 저장한다.
웹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실시간 화상 전송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신의 보고자 하는 곳의 실시간 영상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는 만족스럽지만, 해당 장소에서 발생하는 다각적인 정보를 얻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자신이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전달하기에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유아교육기관과 연계된 실시간 화상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직장이나 집에서 유아들이 활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고, 이러한 실시간 화상 전달 시스템을 매개로 사용자와 유치원 교사간에 메일을 주고 받을 수는 있지만, 실시간 정보의 전달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교사의 관심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서 아이가 아주 위험한 행위를 하고 있을 수 있어 교사에게 다급히 이를 알리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실시간 화상 전송 시스템과 무관하게 전화기를 붙들고 전화를 걸어야 하며, 교사는 학부모들이 실시간 화상 전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녀들을 관찰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이에 더 나아가 자녀들에 대해 부모와 서로 의견 나누기를 시도할 수 있고, 교사의 교육 방식에 대해 부모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학부모는 직접 해당 유치원에 방문하거나 둘 중 하나가 전화를 걸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 비쥬얼은 가능하여 실시간 화상 정보는 얻을 수 있지만, 실시간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것이 화상 하나일 때, 사용자는 어떤 정보를 전달하고 싶어도 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기가 어려워 답답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16077호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보호자들이 자신의 어린아이를 관리자에게 맡긴 후에도 안심할 수 있으며 관리자들은 어린아이를 보다 더 잘 돌보도록 노력하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의 만족도 평가등급을 참조하여 보호자들이 보다 평가등급이 높은 관리자를 선택하여 자신의 어린아이를 돌보도록 할 수 있는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공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보호대상자 및 보호자에 관한 인적정보, 상기 보호대상자 및 상기 보호자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보호자가 상기 관리자에 대해 평가한 만족도 평가점수 및 상황공유정보를 저장하는 상황공유 관리서버; 상기 보호자가 휴대하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 상기 관리자가 휴대하며,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확인하였을 때, 상기 상황공유정보의 팝업동작을 수행하는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로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한 상기 상황공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호자로부터 만족도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는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을 산출하며,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에 설정시간 이내에 상황공유정보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에 상황공유정보 미 발생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는 상기 보호자가 상기 관리자에 대해 최저의 만족도 평가점수로 평가한 것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상황공유정보에는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로 촬영한 위치에 관한 정보와 촬영한 시간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황공유정보에는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된 상황설명 메시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황공유정보에는 기저장된 상황정보, 활동단계, 기분상태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가 송신하는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의 발생회수는 설정시간 이내에 설정회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로 상황공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상황공유 방법에 따르면,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황공유정보의 팝업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로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한 상황공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호자로부터 만족도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로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로 설정시간 이내에 상황공유정보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로 상황공유정보 미 발생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에서 상기 보호자가 상기 관리자에 대해 최저의 만족도 평가점수로 평가한 것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에서,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들이 자신의 어린아이를 관리자에게 맡긴 후에도 안심할 수 있으며 관리자들은 어린아이를 보다 더 잘 돌보도록 노력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보호자와 관리자가 단편적인 화상 정보 이외에 텍스트 및 이미지, 영상, 이미지 및 영상의 세부 정보, 위치 정보 등을 통한 구체적인 상황 정보(수업 진행 및 활동 정보, 아이 정서 정보 등)를 쉽고 간편하게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어 소통여건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건에 따라 CCTV가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도 CCTV의 역할을 대신하여 보호자가 아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가 더욱 안심하고 관리자에게 보육 및 교육 서비스를 맡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황 정보 공유를 바탕으로 관리자(보육 및 교육자)에 대한 만족도를 실시간으로 평가하고, 이것이 최종 만족도와 함께 전체 만족도에 반영되도록 하여, 보다 다각적이고 즉각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의 만족도 평가등급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상황공유정보 공유를 바탕으로 보다 실질적이고 다각적이며 연속성을 가진 평가를 산출하여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보호자들이 보다 평가등급이 높은 관리자를 선택하여 자신의 어린아이를 돌보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에 대한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과 만족도 평가등급을 나타낸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을 운용하는 과정의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을 운용하는 과정의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상황공유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1000)은 상황공유 관리서버(100),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200) 및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공유 관리서버(100),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200) 및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라 함은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종래의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어, 상황공유 관리서버(100),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200) 및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는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종래의 다양한 네트워크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
보호자와 관리자는 실시간 상황공유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다.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 또는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는 실시간 상황공유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실시간 상황공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애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웹사이트 등에서 자체적으로 구현되거나 단말기를 활용한 메신져 프로그램 내에서 구동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황공유 관리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대상자 및 보호자에 관한 인적정보, 보호대상자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에 대한 인적정보 및 보호대상자를 보호하는 보호자가 관리자에 대해 평가한 만족도 평가점수와, 관리자와 보호자 간의 주고받은 상황공유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보호대상자는 어린 아이가 해당되며, 보호자는 어린 아이의 부모나 가족이 해당된다. 그리고, 관리자는 보호대상자의 신변을 관리하고 있는 돌봄 교사 해당된다. 인적정보는 이름, 나이, 주소, 휴대용 단말기 번호 등과 같이 특정 개인의 모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돌봄교사는 보호대상자의 보육을 위한 보육교사(베이비시터)와 특화분야의 교육 등과 같은 활동을 위한 특화분야활동교사(플레이튜터)로 구분될 수 있다.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200)는 보호자가 휴대하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 (300)에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상황공유정보를 수신한다. 상황공유 요청신호는 푸쉬 알림, 애플리케이션 내 메신저, 기타 관련 페이지를 통해 송신될 수 있으며, 상황공유를 요청할 수 있는 신호라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는 관리자가 휴대하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 (200)로부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한 후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확인하였을 때, 상황공유정보의 팝업동작을 수행한다. 관리자가 메신저 내의 상황공유 요청메시지를 클릭하면, 카메라 선택 후에 촬영하거나 앨범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공유정보는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로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황공유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는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로 촬영한 위치에 관한 정보와 촬영한 시간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나아가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에 입력된 상황설명 메시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촬영한 위치는 위도와 경도로 표시되거나 지도로 표시될 수도 있다. 지도로 표시되는 경우 손가락으로 드래그하여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황설명 메시지는 관리자가 상황을 직접 기재하는 메시지 정보 뿐만 아니라, 기저장된 상황공유정보나 활동단계, 보호대상자의 기분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GPS를 활용하여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순한 관리자의 메시지가 아니라 정해진 플랫폼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상황설명 메시지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200)는 보호자로부터 만족도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상황공유 관리서버(100)에 송신하고, 상황공유 관리서버(100)는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은 만족도 평가점수의 총합을 평가회수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상세히, 만족도 평가점수 산출의 경우, 보호자가 일정 기간 내 입력하지 않은 만족도는 설정된 기본값으로 자동 계산되도록 하여 보호자의 미입력에 따른 패널티를 관리자가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최종 만족도 평가점수는, 기정해진 분야별 만족도 점수의 평균값과 이 외 영역(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활용도점수 등)에서 보호자가 직접 만족도점수의 평균값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만족도 평가점수는 1 - 5 점으로 표시되어 매우불만족에서 매우만족단계까지 표시될 수 있고, 이를 5개의 도형이 채워지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황공유 관리서버(100)는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에 따른 복수의 등급을 설정하고, 해당 관리자에 대한 만족도 평가등급을 구분하여 저장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2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200)가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에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 후,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가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 (200)에 설정시간 이내에 상황공유정보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황공유 관리서버(100)에 상황공유정보 미 발생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황공유 관리서버(100)는 보호자가 해당 관리자에 대해 최저의 만족도 평가점수로 평가한 것으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평가점수가 0~100점일 때 최저의 만족도 평가점수는 0점일 수 있다.
또한,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200)가 송신하는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의 발생회수는 설정시간 이내에 설정회수 이하이다. 예를 들어,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의 발생회수는 1시간 동안 5회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200)가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에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경우에도,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에서 상황공유정보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관리자가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의 조작을 통해 상황공유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관리자가 보호대상자로부터 만족도 평가를 받을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을 통해 보호자들이 자신의 어린아이를 관리자에게 맡긴 후에도 안심할 수 있으며 관리자들은 어린아이를 보다 더 잘 돌보도록 노력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에 대한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과 만족도 평가등급을 나타낸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자와 관리자에 대응되는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 및 만족도 평가등급을 알 수 있다.
관리자는 A, B, C, D, E가 있고, 서버에는 0~100점의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90~100점은 1등급이고, 80~89점은 2등급이고, 70~79점은 3등급이고, 60~69점은 4등급이고, 60점 미만은 5등급으로 설정되어 있다.
A는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이 85점으로 만족도 평가등급은 2등급이다.
B는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이 70점으로 만족도 평가등급은 3등급이다.
C는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이 65점으로 만족도 평가등급은 4등급이다.
D는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이 90점으로 만족도 평가등급은 1등급이다.
E는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이 75점으로 만족도 평가등급은 3등급이다.
이와 같은 관리자의 만족도 평가점수(또는 만족도 평가등급)을 통해 보호자는 신뢰성 높은 관리자를 판단하고 선택함으로써, 좀 더 안심하고 보호대상자의 관리를 관리자에게 맡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을 운용하는 과정의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을 운용하는 과정의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와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 사이에 채팅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와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의 맨 아래에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공유버튼(a), 채팅 입력창(b), 실시간 상황공유정보 요청(보호자) 및 전송(관리자)(c), 메시지 보내기(d)의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와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의 맨 위 오른쪽에는 메뉴버튼(e)이 표시되어 있다.
공유버튼(a)을 통해 이미지 및 영상을 선택하여 공유하거나 직접 단말기를 통해 촬영하거나 지도상의 위치 정보 전달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통화연결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채팅 입력창(b)에는 채팅을 위해 글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간 상황공유정보 요청(보호자)및 전송(관리자)(c)을 눌러 보호자는 관리자에게 상황공유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관리자는 요청받지 않은 상황공유정보를 보내기 위한 팝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도 도 3과 같이 실시간 상황공유정보 요청(c)과 동일한 모양이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보호자에게 요청받지 않은 실시간 상황공유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능인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 경우에 관리자는 해당 상황공유정보에 대한 만족도 평가점수를 보호자가 입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호의에 따른 상황공유정보가 평가대상에 오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메뉴버튼(e)을 누르면 대화 상대(프로필 목록, 대화 상대 추가 등), 앨범(주고 받은 사진, 영상), 캘린더 (관리자와 보호자가 서로 공유한 일정 및 확정된 보육 및 교육 활동 일정을 적용), 상황 공유 목록, 기타(알림 끄기/켜기, 채팅방 나가기 등)의 메뉴가 있다.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는 실시간 상황공유정보를 요청한 것이 표시되어 있고,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는 실시간 상황공유정보 요청에 대해 응답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관리자가 응답하기를 누르면 카메라/앨범이 팝업되고, 선택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나 때로는 실시간으로 촬영한 이미지 또는 영상이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에 송신되면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와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 모두 실시간 상황공유정보 응답내용이 표시된다. 이때, 즐겁게 활동 중이며 아이의 상태가 매우 좋다는 등의 구체적인 상황 정보가 이미지(또는 동영상)와 함께 송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상황공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간 상황공유 방법은 S100 내지 S700을 포함할 수 있다. S100 내지 S700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1000)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에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이후,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에서,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한다(S100).
S100 이후,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에서, 상황공유정보의 팝업동작을 수행한다(S200).
S200 이후,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300)로부터 상황공유정보를 수신한다(S300).
S300 이후,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보호자로부터 만족도 평가점수를 입력받아(S400) 상황공유 관리서버(100)에 송신한다(S500).
S500 이후, 상황공유 관리서버(100)에서,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을 산출한다(S600).
S600 이후, 상황공유 관리서버(100)에서, 해당 관리자에 대한 만족도 평가등급을 구분하여 저장한다(S700). 여기서 만족도 평가등급은 등급의 구분뿐만 아니라 만족도 점수의 최종 평균값이 외부로 산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상황공유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상황공유 관리서버 200 :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
300 :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 1000 :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보호대상자 및 보호자에 관한 인적정보, 상기 보호대상자 및 상기 보호자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보호자가 상기 관리자에 대해 평가한 만족도 평가점수 및 상황공유정보를 저장하는 상황공유 관리서버;
    상기 보호자가 휴대하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
    상기 관리자가 휴대하며,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확인하였을 때, 상기 상황공유정보의 팝업동작을 수행하는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로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한 상기 상황공유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호자로부터 만족도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는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을 산출하며,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에 설정시간 이내에 상황공유정보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에 상황공유정보 미 발생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는 상기 보호자가 상기 관리자에 대해 최저의 만족도 평가점수로 평가한 것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공유정보에는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로 촬영한 위치에 관한 정보와 촬영한 시간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공유정보에는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 입력된 상황설명 메시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공유정보에는 기저장된 상황정보, 활동단계, 기분상태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가 송신하는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의 발생회수는 설정시간 이내에 설정회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로 상황공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10.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황공유정보의 팝업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로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한 상황공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호자로부터 만족도 평가점수를 입력받아 상황공유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로 실시간 상황공유 요청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로 설정시간 이내에 상황공유정보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보호자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로 상황공유정보 미 발생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에서 상기 보호자가 상기 관리자에 대해 최저의 만족도 평가점수로 평가한 것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공유 관리서버에서, 저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만족도 평가점수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상황공유 방법.


  11. 삭제
KR1020200147205A 2020-11-06 2020-11-06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237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205A KR102378733B1 (ko) 2020-11-06 2020-11-06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205A KR102378733B1 (ko) 2020-11-06 2020-11-06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733B1 true KR102378733B1 (ko) 2022-03-24

Family

ID=8093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205A KR102378733B1 (ko) 2020-11-06 2020-11-06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7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077A (ko) 2001-08-20 2003-02-26 (주)인터정보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77739A (ko) * 2013-12-30 2015-07-08 김형준 유치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861191B1 (ko) * 2015-03-04 2018-05-28 (주)씨넥스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
KR20200036152A (ko) * 2018-09-27 2020-04-07 주식회사 루키스 안부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077A (ko) 2001-08-20 2003-02-26 (주)인터정보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77739A (ko) * 2013-12-30 2015-07-08 김형준 유치원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861191B1 (ko) * 2015-03-04 2018-05-28 (주)씨넥스 피관찰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피관찰자 부착용 태그
KR20200036152A (ko) * 2018-09-27 2020-04-07 주식회사 루키스 안부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8204B2 (ja) 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711059B1 (ko)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이벤트 게스트 리스트의 맞춤형 제시
KR101774914B1 (ko) 다수의 사진 공급 스토리용 시스템 및 방법
TW200915789A (en) Social mobilized content sharing
US20210350482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esentation to remote participants
Plunkett To stop sharenting & other children's privacy harms, start playing: A blueprint for a new Protecting the Private Lives of Adolescents and Youth (PPLAY) act
US11190472B2 (en) Changing display probability of posted information according to relationship disconnection request
KR102378733B1 (ko)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201401729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sending audio, video, still pictures, and text from a specified location
US20170187720A1 (en) Sharing files based on recipient-location criteria
CN110234025A (zh) 用于显示设备的基于通知简档的现场交互事件指示
KR20140117170A (ko) 질의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Cowan et al. Engaging the periphery for visual communication on mobile phones
Lasnia et al. Crowdsourcing sensor tasks to a Socio-Geographic network
US20160005321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oviding virtual mock trials
KR101415214B1 (ko) 사진촬영 로봇의 원격 제어권 획득 및 이양방법
McCaffrey The Oklahoma City bombing: institutional practices by journalists covering the biggest story of their lives
JP7372671B2 (ja) メッセージ通知システム
US11483275B1 (en) Challenge interface and access controls for social network challenges
KR20200017940A (ko) 딥러닝 기반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625475B1 (ko) 메신저 프로필에서 보호자 연계를 통한 메신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보호자 보호방법
Miyazaki et al. Resilient Information Management for Information Sharing in Disaster-Affected Areas Lacking Internet Access
JP2003216633A (ja) 画像問合せコンテンツシステム
GB2598913A (en) Augmented reality messaging
Gatial et al. Engaging the Public in Forest Fire Awareness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