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6077A -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077A
KR20030016077A KR1020010049990A KR20010049990A KR20030016077A KR 20030016077 A KR20030016077 A KR 20030016077A KR 1020010049990 A KR1020010049990 A KR 1020010049990A KR 20010049990 A KR20010049990 A KR 20010049990A KR 20030016077 A KR20030016077 A KR 20030016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al
time information
cha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백
Original Assignee
(주)인터정보
(주)이너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정보, (주)이너베이 filed Critical (주)인터정보
Priority to KR102001004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6077A/ko
Publication of KR20030016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077A/ko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서비스 이용자가 희망하는 곳의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실시간 화상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이용자와 해당 위치의 사용자간에 실시간 메시지 전달이 가능한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메시지, 영상 정보 및 관련 정보 등의 중개 역할을 수행하고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 등을 관리하는 영상 서버; 상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영상 서버로 전달하는 영상 획득 수단; 상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 서버의 요청에 따라 영상 데이터 관련 정보, 웹과의 연동 정보 등과 같은 부가 정보 제공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 정보 서버; 및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영상 서버와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영상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서비스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the method which provide information delivery service with real-time}
본 발명은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 화상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단순히 화상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실시간 화상 전달 시스템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교육 기관을 통해 제공하는 실시간 화살 전달 시스템은, 유치원 등 유아교육 시설에 다니는 자녀를 둔 부모들이 자녀들의 생활모습을 인터넷을 통해 수시로 직장이나 가정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유아교육 기관에서는 교육, 상담 등 시설 운영에 필요한 여러 정보들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카메라, 스위칭보드, 카메라 서버, 실시간 화상 전달 서버, 인터넷 및 사용자 단말기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유아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호스팅 서비스로서 컴퓨터 한대에 여러 대의 카메라를 연결 가능하고, 부모들은 직장이나 가정에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자녀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게 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간 화상 전송 시스템은, 태권도 학원, 사이버 아파트, 매장, 실시간 이벤트 행사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그 구현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실시간 화상 전송 시스템은 크게 카메라 서버, 영상 서버 및 웹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는데, 카메라 서버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시점에 맞춰 카메라를 스위칭하면서 화상을 캡쳐하여 각각의 카메라 별로 정지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카메라로부터 캡처한 개별 정지화상을 영상 서버로 전송한다.
영상 서버는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카메라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카메라에 대한 정지화상을 생성하도록 하며, 카메라 서버가 생성한 정지화상을 해당 아이디(ID)별(해당 유아교육기관, 해당 반)로 저장한다.
웹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실시간 화상 전송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신의 보고자 하는 곳의 실시간 영상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는 만족스럽지만, 해당 장소에서 발생하는 다각적인 정보를 얻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자신이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전달하기에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유아교육기관과 연계된 실시간 화상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직장이나 집에서 유아들이 활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고, 이러한 실시간 화상 전달 시스템을 매개로 사용자와 유치원 교사간에 메일을 주고 받을 수는 있지만, 실시간적인 정보의 전달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교사의 관심이 미치지 못하는 곳에서 아이가 아주 위험한 행위를 하고 있을 수 있어 교사에게 다급히 이를 알리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실시간 화상 전송 시스템과 무관하게 전화기를 붙들고 전화를 걸어야 하며, 교사는 학부모들이 실시간 화상 전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녀들을 관찰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이에 더 나아가 자녀들에 대해 부모와 서로 의견 나누기를 시도할 수 있고, 또, 교사의 교육 방식에 대해 부모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학부모는 직접 해당 유치원에 방문하거나 둘 중 하나가 전화를 걸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 비쥬얼은 가능하여 실시간 화상 정보는 얻을 수 있지만, 실시간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것이 화상 하나일 때, 사용자는 어떤 정보를 전달하고 싶어도 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기가 어려워 답답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비스 이용자가 희망하는 곳의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실시간 화상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이용자와 해당 위치의 사용자간에 실시간 메시지 전달이 가능한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에 의해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시도.
도 4a 내지 도 4e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카메라 22 : 부가 정보 서버
23 : 영상 서버 24 : 클라이언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실시간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메시지, 영상 정보 및 관련 정보 등의 중개 역할을 수행하고 실시간 정보전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 등을 관리하는 영상 서버; 상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영상 서버로 전달하는 영상 획득 수단; 상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 서버의 요청에 따라 영상 데이터 관련 정보, 웹과의 연동 정보 등과 같은 부가 정보 제공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 정보 서버; 및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영상 서버와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영상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영상 서버가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등록을 받는 제 1 단계; 상기 영상 서버가 등록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의 구동을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영상 서버가 메신저를 구동중인 상기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이용 요청을 받아 이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메시지 전달 요청이면 메시지 수신자를 파악하여 상기 수신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로 상기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채팅 연결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채팅 대상자를 파악하여 상기 대상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로 채팅 요청을 전달하여 상기 대상자의 승인 하에 채팅 연결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영상 수신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영상 정보의 송신 여부를 점검하고 송신 가능한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컨텐츠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획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파악하여 상기 컨텐츠의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실시간 정보 전달 시스템에,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등록을 받는 제 1 기능; 등록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 구동을 확인하는 제 2 기능; 메신저를 구동중인 상기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의 이용 요청을 받아 이를 확인하는 제 3 기능; 상기 제 3 기능의 확인 결과, 메시지 전달 요청이면 메시지 수신자를 파악하여 상기 수신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로 상기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4 기능; 상기 제 3 기능의 확인 결과, 채팅 연결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채팅 대상자를 파악하여 상기 대상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로 채팅 요청을 전달하여 상기 대상자의 승인 하에 채팅 연결을 수행하는 제 5 기능; 상기 제 3 기능의 확인 결과, 영상 수신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영상 정보의 송신 여부를 점검하여 송신 가능한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6 기능; 및 상기 제 3 기능의 확인 결과, 컨텐츠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획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파악하여 상기 컨텐츠의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7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무선 클라이언트(11), 유선 클라이언트(12), 게이트웨이(13), 인터넷(14) 및 서버(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넓게 보아 정보 전달 서비스라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 전달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환경을 도 1 을 통해 예시하고 있다.
무선 클라이언트(11)는 도 1 에 보여지는 것처럼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무선 모뎀 이용)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실시간 화상 전송 서비스,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휴대폰의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실시간 화상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기도 하다.
유선 클라이언트(11)는 도 1 에 도시된 것처럼 PC(Personal Computer)가 대표적이다. 즉, 유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PC 외에도 인터넷 셋톱박스, 노트북, 전용 단말기 등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 을 통해 제시하는 무선 클라이언트(11)와 유선 클라이언트(12)의 구별은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유선을 통하느냐, 무선을 통하느냐로 구분하는 것일뿐, 데이터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화상 정보, 메시지 등을 전달하는 서비스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면에서는 차이를 둘 수 없다.
게이트웨이(13)는 유선 통신망을 기준으로 구현된 인터넷(14)에 무선 클라이언트(11)가 연결되는 경우에,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이 서로 다른 규약을 사용하는 상황에서 이용된다. 예를 들어,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무선 통신망에서의 데이터 통신 규약으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인터넷(14)은 알려진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망을 나타낸 것이며, 서버(15)는 클라이언트(11, 12)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은 카메라(21), 정보 서버(22), 영상 서버(23) 및 클라이언트(24)를 포함한다.
카메라(21)는 유치원과 같이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상황을 알 수 있게 하는 일반적 카메라가 있을 수 있고, PC(Personal Computer) 주위에 설치되어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PC 카메라가 있을 수 있으며, 그 외에 여타 형식의 카메라가 있을 수도 있다.
정보 서버(22)는 부가 정보 서버라고도 할 수 있는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고, 웹과의 연동을 위한 연동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는 등의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에서 처리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정보의 제공 및 관리 역할을 담당한다.
영상 서버(23)는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중개 역할 및 관리 역할을 수행한다.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에서는 기본적으로 실시간으로 화상 정보를 전달하며,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안내문, 알림문 등과 같은 게시 정보를 전달하고, 서비스 이용자와 해당 연결 관리자 등이 서로간에 인스턴트 메시지 등과 같이 실시간 메시지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서버(23)는 이러한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에 있어서 중개 및 관리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24)는 서비스 이용자가 자신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학부모가 자신의 자녀가 교육받는 모습을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고, 직장인이 다른 장소의 사용자들과 영상 회의를 할 수도 있고, 관련 작업장에서의 작업 모습을 볼 수도 있으며, 학생이 원격 강의를 들을 수도 있고,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를 통한 영상 채팅도 가능하다. 물론, 클라이언트(24)는 PC, 노트북 등의 통신 가능한 컴퓨터 기기가 될 수 있으며, 인터넷 셋톱박스, 전용 단말기 등이 될 수도 있고, 도 1 에서 설명한 것처럼 무선 기기가 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에 의해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시도이다.
사용자가 이용하는 클라이언트에 제시되는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의 인터페이스는 도 3 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화상 영역, 메시지 전달 및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채팅 영역, 관련 정보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웹 컨텐츠 영역,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에 사용자가 등록한 다른 서비스 이용자들의 이용 상태를 나타내는 친구 목록(Buddy User), 광고를 나타내는 배너 영역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인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는 고객 접점을 확대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인터넷을 통한 방식 뿐만 아니라 상기한 것처럼 휴대폰, PDA 등을 통해 고객과의 접점을 가질 수 있고,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를 통할 수도 있다. 또한, 고객의 현재성을 담보로 하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는 실시간 화상 전송 시스템과 관련 컨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커뮤니티에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채널인 인스턴트 메신저를 결합함으로 상호 작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유치원, 놀이방 등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화상 전송 시스템과 유아교육 관련 컨텐츠를 묶어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그 자체만으로도 높은 충성도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다 인스턴트 메신저를 추가로 결합시킴으로써 더욱 더 충성도 높고 질 좋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통해 기존에 화상 전송 시스템이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보다 추가적인 수익모델을 용이하게 창출할 수 있다(광고, 유료 컨텐츠, 티케팅 서비스, 유료 단문 전송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무선 화상 전송 서비스 등).
상기한 바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가지는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유료화 컨텐츠 제공에 따른 수익
- 자체 및 외부(제휴) 유료 컨텐츠 제공
- 유료 컨텐츠를 이용하려고 하는 화상 전송 시스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결 플랫폼
- 유료 컨텐츠 제공을 위한 시스템 : 메신저 빌링 시스템(Messenger Billing System)
- 화상 전송 시스템과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는 기존의 충성도 높은 고객 커뮤니티를 활용한 마케팅, 과금 대행(실시간 화상 전송 시스템 기반의 다양한 접촉면을 활용한 드라이브 투 웹(Drive to Web))
- 이는 사용자 측면에서 상기한 도 3 의 설명에서 보여지는 웹 컨텐츠 영역(Web Contents Area)을 통해 이루어진다.
* 화상 전송 시스템의 강점을 살린 화상 영역 제공에 따른 차별화된 광고수익(예를 들어, 유치원, 놀이방 등의 화상 정보를 학부모 등에 제공하는 영상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 유아 관련업체의 특성상 저렴한 비용의 타겟 광고 솔루션이 필요하였으며, 이를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 타겟의 명확화로 타겟 마케팅이 가능하다(유아교육기관, 교사, 학부모, 예비교사 등).
- 사용자의 사이트 방문에 의한 인지가 아닌 다가가는 마케팅 솔루션을 접목할 수 있다.
- 영상 전송으로 인해 머무는 시간이 길고 시선집중이 높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 도 3 에서 제시한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의 배너 영역을 통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화상 영역의 정보와 관련된 배너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 원격 프린팅을 활용한 타케팅 비지니스
- 제휴업체의 강좌 및 세미나를 비롯한 유아관련 문화예술공연에 대한 온라인 티케팅 사업
- 문화예술공연, 강좌 및 세미나
- 서비스 제공자는 빌링 시스템을 제공하고, 마케팅을 대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정기 기획공연 개최, 통합 마일리지 카드에 의한 할인 서비스 등을 다른 서비스와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선, 영상 서버가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등록을 받는다(401).
그리고, 서버는 등록된 사용자에 의한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 구동을 통보받는다(402). 즉, 메신저를 구동시키고, 로그인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에 의해 서버는 사용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의 정상 구동을 인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영상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의 이용 요청을 받아(403), 사용자의 요청이 무엇인지를 분석한다(404). 즉, 사용자가 메신저의 어떤 메뉴를 선택했거나 명령어를 입력한 사실을 서버가 인지하여, 서버가 이를 파악하는 것이다.
서버가 사용자의 요청이 무엇인지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의 요청이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면, 서버는 메시지의 수신자를 확인하고(405),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확인한다(406). 이를 통해 서버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얻어진 메시지 수신자의 정보를 바탕으로 메시지 수신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가 구동중인지를 검사한다(407).
검사 결과, 메시지 수신자의 메신저가 구동중이지 않으면, 사용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로 수신자가 온라인 상태가 아니므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없음을 통보하고(408), 이에 대해 사용자의 확인을 받아(409), 수신자의 메신저로 메시지를 전달한다(410). 이렇게 전달되는 메시지는 수신자가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를 구동시켰을 때 전달되어 수신자가 이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영상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의 이용 요청을 받는 과정(403)부터 반복하여 수행한다.
영상 서버가 메시지 수신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가 구동중인지를 검사한 결과, 메시지 수신자의 메신저가 구동중이면, 수신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로 사용자가 발송한 메시지를 실시간 전달하고(411),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정보전달 서비스의 이용 요청을 받는 과정(403)부터 반복하여 수행한다.
영상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의 이용 요청을 받아, 사용자의 요청이 무엇인지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의 요청이 채팅이면,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채팅 대상자를 확인하고(412), 채팅 대상자에게 사용자의 채팅 요청을 통보한다(413). 여기서, 채팅은 메신저를 통해 사용자들이 행할 수 있는 1:1 채팅을 말한다. 물론, 1:1 채팅 외에도 다양한 형식의 채팅을 서버가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채팅 요청에 대해서는 따로이 수신자의 온라인 여부를 확인하지는 않았다. 이는 사용자가 친구 목록을 통해 채팅 대상자가 온라인 상태임을 확인하고 채팅을 요청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한 메시지 전달과 대비될 수 있는데, 메시지 전달에 있어서 메신저 사용자는 수신자가 오프라인 상태라 하더라도 메시지를 남기고, 추후 수신자가 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서로 바뀔 수도 있고, 하나의 방식으로 통일할 수도 있다.
영상 서버는 사용자의 채팅 요청을 대상자에게 전달하고, 대상자로부터 채팅에 대한 확인, 즉 승낙을 받는다(414). 그리고, 사용자와 대상자가 영상 채팅이 가능한지를 점검한다(415). 점검 결과, 영상 채팅이 가능하지 않으면, 일반 채팅을 사용자와 대상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채팅 서비스를 제공한다(419).
사용자와 대상자가 영상 채팅이 가능한지를 점검한 결과, 사용자와 대상자가 영상 채팅이 가능한 환경을 구비하고 있으면, 사용자와 대상자에게 영상 채팅을 문의하여 사용자와 대상자로부터 응답을 받는다(416). 그리고, 서버는 양 사용자가 영상 채팅을 희망하는지를 확인한다(417). 확인 결과, 양 사용자가 모두 영상 채팅서비스를 희망하면, 영상 서버는 양 사용자들이 영상 채팅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418).
양 사용자가 영상 채팅을 희망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영상 채팅을 원하지 않으면, 일반적인 채팅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일반 채팅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419).
그리고, 채팅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요청을 입력받는 과정(403)부터 반복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채팅 서비스를 이용중이거나 이용 후에 또 다른 명령을 입력하거나 선택하면 이를 서버가 확인하고, 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영상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 이용 요청을 받아, 사용자의 요청이 무엇인지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의 요청이 영상 수신이면, 사용자에게 영상 수신이 가능한 리스트를 안내한다(420).
영상 수신에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첫째로는, 상기한 것처럼 유치원이나 놀이방 등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자녀들의 활동 모습을 살필 수 있도록 하고, 그 외에도 건물이나 상황을 살펴볼 수 있다. 둘째로는, 영상 광고, 영상 홍보물을 확인하고,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그 외에도 여러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내용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제공된다.
영상 서버는, 영상 수신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421), 선택된 대상에서 얻어지는 영상 정보를 사용자의 메신저로 실시간 제공한다(422). 또한,영상 서버는 사용자가 수신하는 영상 정보와 관련한 광고 및 컨텐츠 안내를 사용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로 제공한다(423).
그리고, 영상 서버는 대기하고 있다가,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 이용 요청을 받는 과정(403)부터 반복 수행한다.
영상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이용 요청을 받아, 사용자의 요청이 무엇인지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의 요청이 웹 컨텐츠 확인이면, 웹 컨텐츠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웹 컨텐츠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424), 해당 웹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 구동을 처리한다(425). 그리고,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요청된 컨텐츠를 제공한다(426).
웹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한 웹 브라우저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에 있는 컨텐츠 영역 등을 통해 제공이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이용에 따라 컨텐츠 제공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
영상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웹 컨텐츠를 제공한 후에는, 다시 대기하고 있다가,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의 이용 요청을 받는 과정(403)부터 반복 수행한다.
영상 서버가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의 이용 요청을 받아, 사용자의 요청이 무엇인지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의 요청이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의 이용을 종료하는 것이면, 사용자에 대해 오프라인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의 컴퓨터와의 접속을 끊는다(427).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영상, 메시지 등을 전달하는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고객 접점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인터넷을 통한 방식 뿐만 아니라 상기한 것처럼 휴대폰, PDA 등을 통해 고객과의 접점을 가질 수 있고,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를 통할 수도 있으며, 고객의 현재성을 담보로 하여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화상 전송 시스템과 관련 컨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커뮤니티에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채널인 인스턴트 메신저를 결합함으로써 상호 작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통해 기존의 화상 전송 시스템이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보다 추가적인 수익모델을 용이하게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실시간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메시지, 영상 정보 및 관련 정보 등의 중개 역할을 수행하고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 등을 관리하는 영상 서버;
    상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영상 서버로 전달하는 영상 획득 수단;
    상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 서버의 요청에 따라 영상 데이터 관련 정보, 웹과의 연동 정보 등과 같은 부가 정보 제공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 정보 서버; 및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영상 서버와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영상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수단
    을 포함하는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 수단은,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장소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수단은,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화상 영역, 메시지 전달 및 채팅을 가능하게 하는 채팅 영역, 관련 정보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웹 컨텐츠 영역,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에 사용자가 등록한 친구들의 이용 상태를 나타내는 친구 목록 영역, 광고를 나타내는 배너 영역 등을 포함하는 메신저 인터페이스
    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영상 서버가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등록을 받는 제 1 단계;
    상기 영상 서버가 등록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의 구동을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영상 서버가 메신저를 구동중인 상기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이용 요청을 받아 이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메시지 전달 요청이면 메시지 수신자를 파악하여 상기 수신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로 상기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채팅 연결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채팅 대상자를 파악하여 상기 대상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로 채팅 요청을 전달하여 상기 대상자의 승인 하에 채팅 연결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영상 수신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영상 정보의 송신 여부를 점검하고 송신 가능한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컨텐츠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획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파악하여 상기 컨텐츠의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영상 서버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확인한 결과, 메시지 전달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발송되는 메시지의 수신자와 상기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확인하는 제 8 단계;
    상기 영상 서버가 확인된 상기 메시지 수신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가 온라인 상태에 있는지를 점검하는 제 9 단계;
    상기 제 9 단계의 점검 결과, 상기 메시지 수신자의 메신저가 온라인 상태가 아니면, 상기 사용자에게 실시간 전달이 안됨을 통지하고 상기 수신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의 점검 결과, 상기 메시지 수신자의 메신저가 온라인 상태이면, 상기 수신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를 통해 상기 수신자에게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영상 서버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확인한 결과, 채팅 연결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채팅 대상자를 파악하여 상기 채팅 대상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를 통해 상기 채팅 대상자의 채팅 승인을 받는 제 8 단계;
    상기 영상 서버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채팅 대상자가 영상 채팅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제 9 단계;
    상기 제 9 단계의 점검 결과, 영상 채팅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비하고있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와 상기 채팅 대상자 간에 문자 채팅을 수행하도록 연결시켜 주는 제 10 단계;
    상기 제 9 단계의 점검 결과, 영상 채팅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비하고 있으면, 상기 사용자와 상기 채팅 대상자에게 영상 채팅 이용을 문의하여 영상 채팅을 희망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1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와 상기 채팅 대상자가 영상 채팅을 희망하면, 상기 사용자와 상기 채팅 대상자 간에 영상 채팅을 수행하도록 연결시켜 주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제 11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사용자와 상기 채팅 대상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가 영상 채팅을 희망하지 않으면,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 상기 채팅 대상자 간에 문자 채팅을 수행하도록 연결시켜 주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영상 서버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확인한 결과, 영상 수신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영상 수신이 가능한 리스트를 안내하는 제 8 단계;
    상기 영상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 선택된 대상에서 얻어지는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로 제공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영상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수신하는 영상 정보와 관련한 컨텐츠에 대한 안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로 전달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는,
    상기 영상 서버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확인한 결과, 컨텐츠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획득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광고 컨텐츠인지, 정보 컨텐츠인지를 확인하는 제 14 단계;
    상기 제 14 단계의 확인 결과, 광고 컨텐츠이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광고 컨텐츠의 전달 방식을 파악하여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15 단계; 및
    상기 제 14 단계의 확인 결과, 정보 컨텐츠이면 상기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의 구동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정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16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방법.
  9. 프로세서를 구비한 실시간 정보 전달 시스템에,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등록을 받는 제 1 기능;
    등록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 구동을 확인하는 제 2 기능;
    메신저를 구동중인 상기 사용자로부터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의 이용 요청을 받아 이를 확인하는 제 3 기능;
    상기 제 3 기능의 확인 결과, 메시지 전달 요청이면 메시지 수신자를 파악하여 상기 수신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로 상기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4 기능;
    상기 제 3 기능의 확인 결과, 채팅 연결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하는 채팅 대상자를 파악하여 상기 대상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로 채팅 요청을 전달하여 상기 대상자의 승인 하에 채팅 연결을 수행하는 제 5 기능;
    상기 제 3 기능의 확인 결과, 영상 수신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영상 정보의 송신 여부를 점검하여 송신 가능한 상기 영상 정보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실시간 정보 전달 메신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6 기능; 및
    상기 제 3 기능의 확인 결과, 컨텐츠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획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파악하여 상기 컨텐츠의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 7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49990A 2001-08-20 2001-08-20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16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990A KR20030016077A (ko) 2001-08-20 2001-08-20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990A KR20030016077A (ko) 2001-08-20 2001-08-20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077A true KR20030016077A (ko) 2003-02-26

Family

ID=2771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990A KR20030016077A (ko) 2001-08-20 2001-08-20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60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414B1 (ko) * 2006-02-28 2007-10-02 박천만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447180B1 (ko) * 2009-04-28 2014-10-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CN112767220A (zh) * 2021-02-04 2021-05-07 西安美格智联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应急管理交流方法、系统、存储介质、计算机设备
KR102378733B1 (ko) 2020-11-06 2022-03-24 정예은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52A (ko) * 1998-04-15 1998-07-06 박지성 실시간 교육현장 관찰시스템
KR20000030149A (ko) * 2000-01-20 2000-06-05 김기현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01274A (ko) * 1999-06-03 2001-01-05 박현규 인터넷 영상 관찰 시스템
KR20010057674A (ko) * 1999-12-23 2001-07-05 정용문 인터넷 인스턴트 메신저와 이동통신단말기간에 양방향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KR20010069817A (ko) * 2001-05-12 2001-07-25 임계자 오프라인상의 베이비 케어 센터와 연계한 온라인상의 영아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79026A (ko) * 2001-06-07 2001-08-22 정연백 웹사이트를 중간 매개체로 한 동영상 정보를 송수신하는방법
KR100316033B1 (ko) * 1999-12-07 2001-12-12 정재우 인터넷 메신져를 이용한 동영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52A (ko) * 1998-04-15 1998-07-06 박지성 실시간 교육현장 관찰시스템
KR20010001274A (ko) * 1999-06-03 2001-01-05 박현규 인터넷 영상 관찰 시스템
KR100316033B1 (ko) * 1999-12-07 2001-12-12 정재우 인터넷 메신져를 이용한 동영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010057674A (ko) * 1999-12-23 2001-07-05 정용문 인터넷 인스턴트 메신저와 이동통신단말기간에 양방향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KR20000030149A (ko) * 2000-01-20 2000-06-05 김기현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69817A (ko) * 2001-05-12 2001-07-25 임계자 오프라인상의 베이비 케어 센터와 연계한 온라인상의 영아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79026A (ko) * 2001-06-07 2001-08-22 정연백 웹사이트를 중간 매개체로 한 동영상 정보를 송수신하는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414B1 (ko) * 2006-02-28 2007-10-02 박천만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447180B1 (ko) * 2009-04-28 2014-10-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실시간 영상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102378733B1 (ko) 2020-11-06 2022-03-24 정예은 실시간 상황공유 시스템 및 방법
CN112767220A (zh) * 2021-02-04 2021-05-07 西安美格智联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应急管理交流方法、系统、存储介质、计算机设备
CN112767220B (zh) * 2021-02-04 2024-04-02 西安美格智联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应急管理交流方法、系统、存储介质、计算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o Chocoa Communicator–A New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wareness and Text Communications–
CN100512233C (zh) 在非即时通信环境中提供即时消息传送功能的方法和系统
AU20232004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mmunication
KR101252609B1 (ko) 통화를 수반하는 푸쉬형 정보통신 시스템
US20050076078A1 (en) Event based communication system
KR101536785B1 (ko) 멀티 로그인을 이용한 통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통합 커뮤니케이션 툴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US200302118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interactive presentations using wireless messaging
US20090327437A1 (en) Real time media-based social network notifications
JP2000092153A (ja) 通信方法及び通信ネットワ―ク
US200801264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pplemental Information In A Presence Client-Based Service Message
KR20090001748A (ko) 기업용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07058282A1 (ja) チャット処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20037137A (ko) 인터넷을 통한 자녀의 수업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16077A (ko) 실시간 정보 전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11609A (ko) 영상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영상서비스 제공방법
KR20010063408A (ko)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다른 사용자를 알리는 방법 및 그장치
JP5111301B2 (ja) Im連動型コメントシステム
KR20070045394A (ko) 봇을 이용한 메신저의 채팅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105068A (en) Interactive message communication method
JP2002007641A (ja) 資料の電子配布システム
KR20030072844A (ko) 이메일 기반의 채팅 참여 유도 방법
KR101749966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온라인기부 관리 및 홍보시스템
KR100603551B1 (ko) 로밍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Hasan et al. Mobile University Notification System: A Jabber-based Notification System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TWM393935U (en) Interactive-type mobile invention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