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940A - 딥러닝 기반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딥러닝 기반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940A
KR20200017940A KR1020180093512A KR20180093512A KR20200017940A KR 20200017940 A KR20200017940 A KR 20200017940A KR 1020180093512 A KR1020180093512 A KR 1020180093512A KR 20180093512 A KR20180093512 A KR 20180093512A KR 20200017940 A KR20200017940 A KR 20200017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server
user termina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큐브
Priority to KR1020180093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7940A/ko
Publication of KR2020001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은,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앱프로그램, 회원 및 회원의 보호자 정보, 회원이 필요로 하는 물품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주고, 딥러닝 기반으로 안부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재난 발생 시에 재난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웨어러블 장비,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부모님의 안부를 확인 가능하다.

Description

딥러닝 기반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Deep running based silver bell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딥러닝 기반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어러블 장비,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부모님의 안부를 확인 가능하고, 고령층과 중장년층이 용이하게 중요한 문자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딥러닝 기반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핸드폰, 스마트 폰 등 다양한 기기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폰은 현재 널리 보급되는 추세이며 많은 사용자들이 이를 이용하여 전화, 이메일, 무선인터넷 등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
최근의 스마트 폰 등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마치 자신의 개인용 PC와 같이 핸드폰을 구성할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이러한 핸드폰 개념의 진화에 따라 거래시장에는 스마트 폰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정부는 갑작스런 태풍, 홍수, 호우, 해일, 침수, 폭설, 지진 등과 같은 대규모 자연재해나 인위적인 재난으로 인해 대형 재난/재해가 발생할 경우 주민들에게 상황을 정확하고 신속히 알리는 한편, 주민들을 안전하게 대피하거나 미리 주민들이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국을 각 행정구역별로 구분하고 각 지역의 자치단체장의 책임 하에 재난/재해대비를 위한 비상재난/재해메시지전송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그런데 중장년 층 또는 노년층의 경우, 재난문자가 온 것을 보고도 눈이 어둡거나 휴대폰 동작 제어에 익숙하지 않아 무슨 문자인지, 무슨 내용인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종래에는 문자 메시지의 경우, 글자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메시지 수신 신호음도 단순해 재난 문자 수신을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웨어러블 장비,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부모님의 안부를 확인 가능한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재난문자가 올바로 전달되도록 하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노인 분들의 건강 확인, 생사여부 확인, 부족한 필수품 체크, 필요한 서비스 설문 등 생활에 밀접하고 중요한 내용들을 관리 할 수 있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앱프로그램, 회원 및 회원의 보호자 정보, 회원이 필요로 하는 물품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주고, 딥러닝 기반으로 안부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재난 발생 시에 재난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딥러닝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노인 분들의 생사여부 확인 정보, 건강 확인 정보,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 또는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담당 복지사 단말기 또는 복지관 또는 보호자 단말기에 알람 메시지를 송신하고,
일정 회수 이상 응답이 없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담당 복지사 단말기, 소방서 또는 경찰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3회 이상 응답이 없는 경우, 안부확인 문자와 딥러닝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로 음성 응답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호요청, 신음, 기침을 포함한 음성이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을 분석 및 저장하고,
분석된 음성이 구호요청 메시지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담당 복지사 단말기, 소방서, 병원 또는 경찰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평상시의 목소리와 수신된 음성을 비교하여 건강 및 안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활동하는 시간대에 재난이 일정시간 지속되는 경우 안부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긴급재난알림 메시지, 정책 알림 메시지 또는 캠페인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지역별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회원의 신상정보, 아이디 및 비밀번호, 회원의 보호자 정보, 회원의 담당 복지사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DB;
앱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앱 정보 DB;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물품 구매 사이트 정보 DB;
경찰서, 소방서, 병원 또는 복지관의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관공서 연락처 정보 DB를 포함한다.
상기 앱 프로그램은,
글자가 작아도 잘 보이고, 스마트 폰 사용을 할 수 있는 청년층 회원의 경우에 일반적인 글자크기로 메시지가 보여 지는 청년 앱 프로그램;
글자가 작으면 잘 안보이지만, 스마트 폰 사용할 수 있는 중, 장년층에게 글자를 크게 보이도록 하는 중장년층 앱 프로그램;
글자가 작으면 잘 안보이고, 스마트 폰 사용이 어려운 고령층에게 글자도 크면서, 음성으로 메시지 수신 안내를 하는 노년층 앱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회원 인증을 하는 회원 관리부;
회원의 선택 또는 회원의 연령에 따라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주는 앱 다운로드부;
긴급재난알림 메시지, 정책 알림 메시지 또는 캠페인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고, 경고 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 경찰서, 소방서, 병원 또는 복지관에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노인 분들의 생사여부 확인 정보, 건강 확인 정보,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 또는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담당 복지사 단말기 또는 복지관 또는 보호자 단말기에 알람 메시지를 송신하고, 일정 회수 이상 응답이 없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담당 복지사 단말기, 소방서 또는 경찰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생사여부 확인 정보, 건강 확인 정보,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 또는 필요한 서비스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센서의 출력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딥러닝 기반으로 분석하여 움직임이 소정 시간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를 상기 담당 복지사 단말기, 소방서 또는 경찰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게임 또는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어르신 건강하시죠?”라는 내용이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입력부를 터치 시 상기 담당 복지사, 복지관 및 보호자 단말기에 건강문자를 전송한 후 “행복하세요” 라고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복지사 단말기에 전달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복지사 단말기로부터 자신이 처리하겠다는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요청에 대한 처리를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복지사 단말기로부터 자신이 처리하겠다는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물품 구매 사이트에 해당 물품을 구매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실버벨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의 실버벨 서비스 방법으로서,
서버가 재난 알림 또는 건강확인을 위한 문자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터치 정보가 입력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터치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서버가 담당 복지사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에 건강을 확인하는 문자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가 딥러닝 기반으로 담당 복지사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에 터치 미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터치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회수가 3회 이상이면, 상기 서버가 딥러닝 기반으로 담당 복지사 단말기, 보호자 단말기 및 관공서에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 또는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 또는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담당 복지사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수락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복지사 단말기로부터 자신이 처리하겠다는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대한 처리를 완료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복지사 단말기로부터 자신이 처리하겠다는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물품 구매 사이트에 해당 물품을 구매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웨어러블 장비,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부모님의 안부를 확인 가능한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재난문자가 올바로 전달되도록 하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인 분들의 건강 확인, 생사여부 확인, 부족한 필수품 체크, 필요한 서비스 설문 등 생활에 밀접하고 중요한 내용들을 관리 할 수 있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버벨 서비스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에서 복지사 단말기의 화면 구성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의 화면 구성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버벨 서비스 방법에서 세부 서비스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300), 보호자 단말기(400) 및 담당 복지사 단말기(200) 및 관공서(500)와 네트워크망(600)을 통해 연결되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100)으로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앱프로그램, 회원 및 회원의 보호자 정보, 회원이 필요로 하는 물품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120);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20)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따라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주고, 딥러닝 기반으로 안부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재난 발생 시에 재난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송신하는 서버(11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110)는 딥러닝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노인 분들의 생사여부 확인 정보, 건강 확인 정보,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 또는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3회 이상 응답이 없는 경우, 안부확인 문자와 딥러닝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로 음성 응답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호요청, 신음, 기침을 포함한 음성이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을 분석 및 저장하고,
분석된 음성이 구호요청 메시지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담당 복지사 단말기, 소방서, 병원 또는 경찰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평상시의 목소리와 수신된 음성을 비교하여 건강 및 안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활동하는 시간대에 재난이 일정시간 지속되는 경우 안부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긴급재난알림 메시지, 정책 알림 메시지 또는 캠페인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지역별 알림 서비스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담당 복지사 단말기(200) 또는 복지관 또는 보호자 단말기(400)에 알람 메시지를 송신하고,
일정 회수 이상 응답이 없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담당 복지사 단말기(200), 소방서 또는 경찰서 등의 관공서(50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20)는,
상기 회원의 신상정보, 아이디 및 비밀번호, 회원의 보호자 정보, 회원의 담당 복지사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DB(121);
앱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앱 정보 DB(122);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물품 구매 사이트 정보 DB(123);
경찰서, 소방서 또는 복지관의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관공서 연락처 정보 DB(124)를 포함한다.
상기 앱 프로그램은,
글자가 작아도 잘 보이고, 스마트 폰 사용을 할 수 있는 청년층 회원의 경우에 일반적인 글자크기로 메시지가 보여지는 청년 앱 프로그램;
글자가 작으면 잘 안보이지만, 스마트 폰 사용할 수 있는 중, 장년층에게 글자를 크게 보이도록 하는 중장년층 앱 프로그램;
글자가 작으면 잘 안보이고, 스마트 폰 사용이 어려운 고령층에게 글자도 크면서, 음성으로 메시지 수신 안내를 하는 노년층 앱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110)는,
회원 인증을 하는 회원 관리부(111);
회원의 선택 또는 회원의 연령에 따라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주는 앱 다운로드부(112);
긴급재난알림 메시지, 정책 알림 메시지 또는 캠페인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송신하고, 경고 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 경찰서, 소방서, 병원 또는 복지관에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113);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노인 분들의 생사여부 확인 정보, 건강 확인 정보,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 또는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114)를 포함한다.
회원 관리부(111)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회원의 신상정보, 아이디 및 비밀번호, 회원의 보호자 정보, 회원의 담당 복지사 정보를 수신하여 회원정보 DB(121)에 저장할 수도 있고, 오프라인으로 회원 가입을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부(114)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담당 복지사 단말기(200) 또는 복지관 또는 보호자 단말기(400)에 알람 메시지를 송신하고,
일정 회수 이상 응답이 없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담당 복지사 단말기(200), 소방서 또는 경찰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 또는 복지사 단말기(200)에 전달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 또는 복지사 단말기(200)로부터 자신이 처리하겠다는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요청에 대한 처리를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110)는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 또는 복지사 단말기(200)로부터 자신이 처리하겠다는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물품 구매 사이트에 해당 물품을 구매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인터넷이 가능한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입력부(320), GPS부(340), 저장부(360), 카메라부(370), 통신부(350), 제어부(330), 표시부(310), 스피커(380), 모션센서(39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일 수 있다.
표시부(310)는 문자 메시지, 게임 정보 및 게임 영상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부(320)는 터치패널, 키패드 등의 입력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메뉴선택을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GPS부(340)는 적어도 두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필요에 따라 GPS부(340)를 생략하고,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저장부(360)는 앱 프로그램과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카메라부(370)에서 촬영되는 촬영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나침판 프로그램과 같은 앱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사용자의 이동우치 등을 수집할 수도 있다.
카메라부(370)는 입력부(320)의 선택에 따라 외부의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부(370)는 조도 센서를 내장하고, 조도를 감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모션센서(390)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로 구성되며, 사용자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출력한다.
제어부(330)는 카메라부(370)에서 감지된 조도 또는 모션센서(390)의 출력을 수신하고, 이를 서버(110)로 송신한다. 그러면, 서버(110)는 이를 이용하여 복지사 단말기 에 도 5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의 조도 및 움직임의 변화 등을 표시해줄 수 있다.
제어부(330)는 녹음기능, AI 기능을 수행 가능하며, 모션센서(자이로, 가속도) 활용, 분석하여 움직임 여부를 신호등으로 표현(1시간간격)할 수 있고, 안부문자 3회 미확인시 신호등을 계속 적색으로 표현하고, AI 기능 작동하여 경고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부모님의 목소리를 인식하여 직접 또는 서버(110)를 통해 가족, 소방서 등에게 녹음파일을 전달할 수도 있다.
특히, 복지사는 도 4와 같이 다수의 보호 대상자인 사용자를 관리하며, 선택에 따라 도 5와 같은 화면을 보며 관리를 할 수 있다.
특히, 복지사는 사용자 단말기에 비추는 빛의 양과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고 건강여부를 체크할 수도 있고, 움직임이 전혀 없으면 위험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10)는 움직임이 없는 경우, 별도의 빨간 색상으로 도 4에서는 대상자에 위험을 표시하고, 도 5에서는 전체적인 부분에 빨간 색상을 배경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스피커(38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음성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통신부(350)를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310)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320)를 통해 생사여부 확인 정보, 건강 확인 정보,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 또는 필요한 서비스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11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입력부(320)의 선택에 따라 게임 또는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입력부(320)의 1차 터치 시 “어르신 건강하시죠?” 라고 음성메시지 스피커(380)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표시부(310)에 ‘그래’라고 표시하며,
상기 입력부(320)의 2차 터치시에 상기 담당 복지사 단말기(200), 복지관 및 보호자 단말기(400)에 건강문자를 전송한 후 “행복하세요” 라고 음성메시지를 스피커(380)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부(35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며, 와이파이 방식, 3G, 4G 등 다양한 무선 인터넷이나 다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330)는 상기 입력부(320)에 “어르신 건강하시죠?”라는 내용이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입력부(320)를 터치 시 상기 담당 복지사 단말기(200), 복지관 및 보호자 단말기(400)에 건강문자를 전송한 후 “행복하세요” 라고 음성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초고령층은 웨어러블 장비(301)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할 수도 있다. 이때 웨어러블 장비(301)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 될 수도 있고 단독으로 서버와 통신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단말기 및 비비고 게임 서비스 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버벨 서비스 방법의 구성도이다.
일단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서버(110)의 앱 다운로드부(112)에 접속하여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는다.
서버(110)의 앱 다운로드부(112)는 회원 가입시 취득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청년 앱 프로그램, 중장년층 앱 프로그램, 노년층 앱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해준다.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글자가 작아도 잘 보이고, 스마트 폰 사용을 할 수 있는 청년층 회원의 경우에 일반적인 글자크기로 메시지가 보여지는 청년 앱 프로그램; 글자가 작으면 잘 안보이지만, 스마트 폰 사용할 수 있는 중, 장년층에게 글자를 크게 보이도록 하는 중장년층 앱 프로그램; 글자가 작으면 잘 안보이고, 스마트 폰 사용이 어려운 고령층에게 글자도 크면서, 음성으로 메시지 수신 안내를 하는 노년층 앱 프로그램 중 하나를 다운로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상태에서, 서버(110)의 메시지 송신부(113)는 주기적으로 또는 재난 발생시에 서버(110)가 재난 알림 또는 건강확인을 위한 문자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발송한다(S300).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이통사 또는 다른 기관에서 재난 관련 문자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다. 노년층의 경우, 건강확인 메시지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300)의 전체화면으로 “어르신 건강하시죠?” 라고 보여 진다. 이때, 핸드폰 잠금장치가 되어 있어도 제어부(330)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표시부(310)에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입력부(320)인 터치화면을 터치한다.
화면 1차 터치 시에 제어부(330)는 “어르신 건강하시죠?” 라고 음성메시지를 스피커(380)를 통해 출력하고, 핸드폰 전체화면에 “그래” 로 바뀐 문자를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화면을 2차 터치하면, 담당복지사 단말기(200), 복지관, 또는 가족이나 이웃 등의 보호자 단말기(400)에 건강확인문자를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330)는 “행복하세요” 라고 노인 사용자에게 음성메시지를 스피커(380)를 통해 출력하고, 마무리를 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이러한 사용자의 화면터치에 대응하여 건강확인문자를 전송하는 기능을 서버(110)가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터치가 없을 시 제어부(330)는 담당복지사, 복지관, 가족에게 미확인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서버(110)의 서비스 제공부(114)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터치 정보가 입력되는지 체크한다(S310).
상기 터치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서버(110)의 서비스 제공부(114)가 담당 복지사 단말기(200) 또는 보호자 단말기(400)에 건강을 확인하는 문자를 송신한다(S320).
상기 터치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110)의 서비스 제공부(114)가 담당 복지사 단말기(200) 또는 보호자 단말기(400)에 터치 미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S330).
또한, 상기 터치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회수가 3회 이상이면(S340), 상기 서버(110)의 서비스 제공부(114)가 담당 복지사 단말기(200), 보호자 단말기(400) 및 관공서에 경고 메시지를 송신한다(S350).
그리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0)로 필요 물품을 선택하여 상기 서버(110)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110)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 또는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S360).
이때, 사용자는 필요물품 선택시에 다양한 생필품이 영상 형태로 표시되어 손쉽게 필요물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서버(110)의 서비스 제공부(114)가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 또는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 또는 담당 복지사 단말기(200)에 송신한다(S370).
그리고 나서, 상기 서버(110)의 서비스 제공부(114)가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 또는 담당 복지사 단말기(200)로부터 수락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380).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 또는 복지사 단말기(200)로부터 자신이 처리하겠다는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버(110)의 서비스 제공부(114)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요청에 대한 처리를 완료한다(S390).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 또는 복지사 단말기(200)로부터 자신이 처리하겠다는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110)의 서비스 제공부(114)가 상기 물품 구매 사이트에 해당 물품을 구매처리한다(S400). 이후, 구매사이트 운영자의 처리에 따라 택배 등을 통해 필요한 물품이 사용자에게 배달된다.
한편,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입력부(320)를 조작하여 노래방 서비스 또는 게임등을 선택하며, 이에 따라 제어부(330)가 노래방 기능 또는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입력부(320)를 조작하여 긴급 출동 서비스 등을 선택하며, 이에 따라 제어부(330)가 가족 또는 이웃 등의 보호자 단말기(400) 또는 복지사 단말기(200)에 긴급 출동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의 GPS부(340)는 적어도 두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카메라부(370)는 조도 센서를 내장하고, 조도를 감지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30)는 카메라부(370)에서 감지된 조도를 수신하고, 이를 서버(110)로 송신한다. 그러면, 서버(110)는 이를 이용하여 복지사 단말기(200)에 도 5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의 조도 및 움직임의 변화 등을 표시해줄 수 있다.
복지사는 도 4와 같이 다수의 보호 대상자인 사용자를 관리하며, 선택에 따라 도 5와 같은 화면을 보며 관리를 할 수 있다.
특히, 복지사는 사용자 단말기에 비추는 빛의 양과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고 건강여부를 체크할 수도 있고, 움직임이 전혀 없으면 위험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10)는 움직임이 없는 경우, 별도의 빨간 색상으로 도 4에서는 대상자에 위험을 표시하고, 도 5에서는 전체적인 부분에 빨간 색상을 배경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복지사는 용이하게 다수의 대상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정에서(S350),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의 화면 구성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버벨 서비스 방법에서 세부 서비스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 화면에서 선택을 하여 제어부(330)는 모션센서(390)를 활용하고, 서버(110)의 분석에 의해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도 7과 같이 신호등으로 표현(1시간 간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초고령층은 웨어러블 장비(301)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할 수도 있다. 이때 웨어러블 장비(301)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 될 수도 있고 단독으로 서버(110)와 통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 장비(301)에는 모션 센서가 내장되어 잇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보호자의 신청에 따라 서버(110)에서 안부문자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하고, 사용자가 문자를 터치하고, 안부문자를 녹음한다.
그러면 제어부(330)가 녹음된 음성을 저장하고 서버(110)로 전송한다.
필요에 따라 서버(110)는 일기예보 등의 문자도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서버(110)는 보호자 단말기(400)로 안부확인 여부에 관하여 문자를 보내며, 특히 3회 이상인 경우 경고성의 빨간색으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부모님께 도움 요청 문자를 보내며, 사용자 단말기(300)의 제어부(330)는 AI를 작동시켜 음성으로 도움을 요청하라는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다음,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인 부모님이 위급한 상황에서 구호요청, 신음, 기침 등 목소리를 내시면 사용자 단말기(300)가 이를 녹음하여 서버(110)로 전송하고, 서버(110)는 부모님의 음성을 분석 및 저장하고, 본석된 내용을 담당기관, 가족 에게 자동 전송한다.
특히, 서버(110)는 평상시의 목소리와 다른 부모님의 구호요청 목소리가 인식되면, 소방서, 병원, 경찰서 등에 구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외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서버(110)는 정부가 재난/안전 메시지를 발송하면, 긴급재난알림 베시지, 정책알림 메시지 또는 캠페인 알림 메시지를 재송신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서버(110)는 부모님 거주 지역 분석하여 읍/면/동까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부모님의 직업 군(자영업, 직장, 농사 등) 을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부모님이 AI를 기반으로 필요한 정보를 음성으로 탐색 및 수집도 가능하고, 부모님의 맞춤형 비서로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웨어러블 장비,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부모님의 안부를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부모님과 자식들간의 소통이 증가하고, 부모님은 심리적 안점감이 높아지고 자식들은 효도심이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웨어러블 장비 없이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센서 및 추가 센서를 통한 부모님 안부 체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상시간에 맞춰 안부 메시지 발송 후 수신 여부를 가족 및 보호자에게 피드백 문자 발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몸이 아프거나 위독하셔서 도움 요청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음성인식기능(AI)을 추가 제공하고, 평상시 부모님의 목소리 녹음하여 평균 데이터 값을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모님 별 필요한 정보 체크하여 전송 및 AI기능으로 정보 검색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재난문자가 올바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인 분들의 건강 확인, 생사여부 확인, 부족한 필수품 체크, 필요한 서비스 설문 등 생활에 밀접하고 중요한 내용들을 관리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 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 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 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앱프로그램, 회원 및 회원의 보호자 정보, 회원이 필요로 하는 물품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에 따라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주고, 딥러닝 기반으로 안부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재난 발생 시에 재난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딥러닝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노인 분들의 생사여부 확인 정보, 건강 확인 정보,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 또는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3회 이상 응답이 없는 경우, 안부확인 문자와 딥러닝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로 음성 응답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호요청, 신음, 기침을 포함한 음성이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을 분석 및 저장하고,
    분석된 음성이 구호요청 메시지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담당 복지사 단말기, 소방서, 병원 또는 경찰서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평상시의 목소리와 수신된 음성을 비교하여 건강 및 안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회원의 신상정보, 아이디 및 비밀번호, 회원의 보호자 정보, 회원의 담당 복지사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DB;
    앱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앱 정보 DB;
    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물품 구매 사이트 정보 DB;
    경찰서, 소방서 또는 복지관의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는 관공서 연락처 정보 DB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회원 인증을 하는 회원 관리부;
    회원의 선택 또는 회원의 연령에 따라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주는 앱 다운로드부;
    긴급재난알림 메시지, 정책 알림 메시지 또는 캠페인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고, 경고 메시지를 보호자 단말기, 경찰서, 소방서, 병원 또는 복지관에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노인 분들의 생사여부 확인 정보, 건강 확인 정보,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 또는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6.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는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의 실버벨 서비스 방법으로서,
    서버가 재난 알림 또는 건강확인을 위한 문자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발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터치 정보가 입력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터치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서버가 담당 복지사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에 건강을 확인하는 문자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터치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가 딥러닝 기반으로 담당 복지사 단말기 또는 보호자 단말기에 터치 미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버벨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회수가 3회 이상이면, 상기 서버가 딥러닝 기반으로 담당 복지사 단말기, 보호자 단말기 및 관공서에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버벨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 또는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부족한 필수품 체크 정보 또는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담당 복지사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수락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복지사 단말기로부터 자신이 처리하겠다는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대한 처리를 완료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 단말기 또는 복지사 단말기로부터 자신이 처리하겠다는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물품 구매 사이트에 해당 물품을 구매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버벨 서비스 방법.
KR1020180093512A 2018-08-10 2018-08-10 딥러닝 기반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17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512A KR20200017940A (ko) 2018-08-10 2018-08-10 딥러닝 기반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512A KR20200017940A (ko) 2018-08-10 2018-08-10 딥러닝 기반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940A true KR20200017940A (ko) 2020-02-19

Family

ID=6967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512A KR20200017940A (ko) 2018-08-10 2018-08-10 딥러닝 기반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79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232A1 (ko) * 2020-07-09 2022-01-13 한국과학기술원 딥러닝 기반의 기침 인식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232A1 (ko) * 2020-07-09 2022-01-13 한국과학기술원 딥러닝 기반의 기침 인식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66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ctim identification
US20220201458A1 (en)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emergency data integration
Gill et al. IoT-enabled emergency information supply chain architecture for elderly people: The Australian context
US110374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ed individual violation instruction
CA31624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d supporting digital requests for emergency service
US20110227730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surveillance of persons and/or surroundings
US20220014895A1 (en) Spatiotemporal analysis for emergency response
US1042579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4685532A (zh) 人身安全和应急服务
CN108595275B (zh) 一种提示信息推送的方法及终端
US10743131B2 (en) Social media systems and methods and mobile devices therefor
US11743706B2 (en) Enhanced communication functions for emergency service providers
US11688261B2 (en) Body-worn alert system
Sykes et al. Context-aware mobile apps using iBeacons: towards smarter interactions
US20220279331A1 (en) Systems & methods for enhanced emergency data sharing
KR101706474B1 (ko) 스마트폰 이용행태 수집 가공 시스템
US20170230786A1 (en) Tracking a plurality of associated registered users to communicate with a selected associated registered user within the vicinity of a person in distress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US8983437B2 (en) System for actively notifying instant messages and locations in a certain area and method therefor
US101812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broadcasting and location detection
KR20200017940A (ko) 딥러닝 기반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39743B1 (ko) 마우스 리테이너를 이용한 신원 정보 확인 및 안전 확보 시스템
KR20190017449A (ko) 위치정보기반 보모 관리 방법
JP6534171B2 (ja) 呼出支援システム
KR20190118810A (ko) 단말기를 이용한 실버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2932A (ko) 실시간 클라우드 생활서비스 번역정보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