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170A -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170A
KR20140011170A KR1020120078072A KR20120078072A KR20140011170A KR 20140011170 A KR20140011170 A KR 20140011170A KR 1020120078072 A KR1020120078072 A KR 1020120078072A KR 20120078072 A KR20120078072 A KR 20120078072A KR 20140011170 A KR20140011170 A KR 20140011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rfid tag
emergenc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희순
Original Assignee
인타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타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타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1170A/ko
Publication of KR2014001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은, 환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RFID 태그와; 상기 환자의 RFID 태그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환자의 개인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요청하는 휴대형 RFID 리더기와;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요청된 환자의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환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소방방재청 서버; 및 상기 소방방재청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접수된 서비스 대상 환자의 RFID 태그를 발급하는 관공서 발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회 안전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RFID 태그를 발급하여 구급 활동시 환자 인식을 용이하게 하고 신속한 환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Rescue system of emergency patient and the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회 안전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RFID 태그를 발급하여 구급 활동시 환자 인식을 용이하게 하고 신속한 환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저출산과 고령화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이며, 고령화에 따른 독거노인 및 장애우를 보살펴 줄 수 있는 인력 또한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독거노인이나 장애우 또는 독신자들은 갑작스런 위기상황 및 응급상황 발생시 스스로 구원을 요청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있고, 이렇게 응급처치가 실현되지 못함에 따라 위급한 상황으로 전개되며,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최근 소형, 휴대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환자의 몸에 직접 휴대할 수 있는 생체 신호 측정 센서의 출현과 초고속 통신망 인프라의 정비 그리고 고성능 무선 통신 기기의 발전과 맞물려 언제 어디에서든 자신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개인화된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U-헬스케어(Ubiquitous Healthcare) 시대의 도래를 예고하고 있다.
U-헬스케어가 완비된 이상적인 환경에서는 사용자들은 무자각 상태에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실시간 하에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가장 적절한 시점에 가장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자신의 건강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이러한 이상적인 U-헬스케어 환경은 향후 도래할 노령화 사회, 그리고 Well-Being을 추구하는 사회에서는 절실히 요청되는 환경이기도 하다.
이러한 U-헬스케어에 적용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기반 서비스는 태그(Tag)에 정보를 담기보다는 RFID 코드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기반으로 원하는 정보를 얻고 있으며,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는 물리적, 경제적 문제와 통신장애로 인한 오작동과 이에 따른 RFID 태그 정보와 DB 서버 개인정보 연계 상 보안의 취약점,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회 안전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RFID 태그를 발급하여 구급 활동시 환자 인식을 용이하게 하고 신속한 환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은, 환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RFID 태그와; 상기 환자의 RFID 태그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환자의 개인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요청하는 휴대형 RFID 리더기와;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요청된 환자의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환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소방방재청 서버; 및 상기 소방방재청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접수된 서비스 대상 환자의 RFID 태그를 발급하는 관공서 발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 및 관공서 발급 시스템은 국가정보통신망의 네크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의 정보를 공유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는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의 RFID 태그의 발급 신청을 입력받는 웹 서버와; 상기 RFID 태그 발급 환자 관리, 통계정보조회, 장비관리 및 담당자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관리자 서버; 및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의 안심콜 회원정보, RFID 발급정보, 접속이력 정보 및 통계 정보를 저장하는 DB 서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는 119 구급대, 112 경찰차, 병원의 응급차량에 배치되어 상기 RFID 태그 소지 응급환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는 확인된 환자 정보를 출력물로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RFID 태그는 실리콘 재질의 팔찌 타입에 내장되고, 실리콘 팔찌는 게르마늄이 함유되어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건강보조기능을 갖으며 상기 환자에게 착용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RFID 태그는 866 ㎒ - 954 ㎒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은, 소방방재청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서비스 대상 환자의 서비스 신청을 신청자를 통해 접수받는 단계와;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와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된 관공서 발급 시스템에서 상기 접수된 서비스 대상 환자 정보 및 신청자 정보를 확인하고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RFID 태그 발급을 승인하는 단계와; 상기 발급된 RFID 태그를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응급상황발생시 응급 구조대의 휴대형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RFID 태그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환자의 개인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된 환자의 개인 정보를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로 확인하여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환자 보호자 연락 및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병원으로 이송된 환자의 병력을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에서 확인하여 맞춤형 응급처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 및 관공서 발급 시스템은 국가정보통신망의 네크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의 정보를 공유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접수받는 단계는 서비스 대상 환자 및 신청자 인증 절차를 통해 신청 접수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관공서 발급 시스템에서는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에 국가정보통신망으로 접속하여 가입신청 정보, 접속 이력 정보, 통계 정보 및 태그 발급 정보를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태그 발급 정보는 RFID 태그 신청자 관리, RFID 태그 발급, RFID 태그 정보 관리, RFID 태그 분실/습득 신고, RFID 태그 재발급/폐기, RFID 태그 발급 이력 조회 정보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통계 정보는 발급 대상자 현황 조회, 기간별 이용실적 조회, 관할 기관별 이용실적 조회, RFID 리더기별 이용실적 조회, 환자 유형별 이용실적 조회, 연령대별 이용실적 조회 및 발급 업무별 현황 조회 정보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소방관재청 서버에는 상기 관공서 발급 시스템의 기초 코드 관리, 지역 코드 관리, 태그 업무 담당자 및 RFID 태그 리더기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소방관재청 서버에는 관리자 로그인,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관리자, 프로그램별 권한 관리 및 프로그램 이력 조회 정보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특히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에서 상기 RFID 발급 대상자 개인 인적 사항 조회, 병력 조회 및 보호자 SMS 발송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회 안전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RFID 태그를 발급하여 구급 활동시 환자 인식을 용이하게 하고 신속한 환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 발급 및 서비스 대상 신청자의 개인 정보 등의 서비스 시스템을 국가정보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개인 정보 유출에 대한 취약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100)은, 환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RFID 태그(130)와, 상기 환자의 RFID 태그(130)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환자의 개인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요청하는 휴대형 RFID 리더기(140)와, 상기 RFID 리더기(140)로부터 요청된 환자의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환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소방방재청 서버(110) 및 상기 소방방재청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접수된 서비스 대상 환자의 RFID 태그를 발급하는 관공서 발급 시스템(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ID 태그(130)에는 환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인식거리 및 데이터 처리량과 속도 및 소요비용을 감안하여 866 ㎒ - 954 ㎒ 의 UHF(Ultra High Frequency) 주파수 대역의 수동형(Passive Type) 태그(Tag)를 적용하며, 자료를 저장할 태그 칩 내장 메모리는 전원이 없어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RFID 태그(130)는 카드형, 팔찌형, 목걸이형, 열쇠고리형 및 기타 악세사리형 등)를 발급하고 다양한 형태 중 대상자의 특성에 맞게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RFID 태그(130)를 실리콘 재질의 팔찌 타입에 내장하고, 실리콘 팔찌는 토르마린, 영구자석, 게르마늄 등이 함유되어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건강보조기능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140)는 119 구급대, 112 경찰차, 병원의 응급차량에 배치되어 상기 RFID 태그(130) 소지 응급환자의 RFID 발급 대상자 개인 인적 사항 조회, 병력 조회 및 보호자 SMS 발송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140)에서 상기 RFID 태그(130)의 환자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치매, 중풍, 고령의 만성질환자, 3대 중증질환자 및 사회 안전 취약계층을 대상의 개인정보(성명, 연령, 혈액형,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의 인적사항)와 과거질환(수술경력 등), 현재의 질환, 복용약물, 전염질환, 특이체질 및 장애 여부 등의 병력사항 및 주 진료 의료기관, 가족사항, 도우미 등의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140)는 확인된 환자 정보를 출력물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응급환자 병원 인계 시, 대상자 상세사항의 모바일 출력물을 동시에 전달함으로써 정확한 자료 제공 및 구급일지, 출동보고서에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140)는 휴대형이면서 기본기능 외에, SMS(short message service) 서비스 서버와 통신을 위한 CDMA 모뎀 칩이 내장되고, 모바일 프린터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위한 기능이 탑재된 것으로,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 - UHF 주파수 대역, 프로토콜 - ISO18000-6C, EPC Class1 GEN2, 주파수방식 - FHSS(Frequency-hopping spread spectrum), 인터페이스 - USB or 블루투스로 하며, SD(Secure Digital) 메모리(SDHC, SDXC 등) 카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110) 및 관공서 발급 시스템(120)은 국가정보통신망의 네크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의 정보를 공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RFID 태그(130) 보안과 프라이버시 보호 가이드라인 표준과 RFID 보안과 프라이버시 보호 원칙,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과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공기관에서 공익사업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수집하고 활용하며, 개인정보취급자(정보관리 보안담당자)를 선임하는 등의 정보보호 장치를 전제로 구축 완성됨을 바탕으로 한다.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110)는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의 RFID 태그(130)의 발급 신청을 입력받는 웹 서버(111)와, 상기 RFID 태그 발급 환자 관리, 통계정보조회, 장비관리 및 담당자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관리자 서버(112) 및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의 등록정보, RFID 발급정보, 접속이력 정보 및 통계 정보를 저장하는 DB 서버(113)를 포함한다.
상기 웹(WEB) 서버(111)는 소방방재청의 홈페이지에 전반적인 RFID 기반 응급환자인식 시스템(119 안심 팔찌 시스템)의 소개 및 이용안내, RFID 태그(Tag) 발급 신청, 태그 발급 대상자 로그인, 태그 분실신고, 게시판 등이 개재되어 있어 신청자 또는 사용자 등이 볼 수 있다.
상기 관리자(WAS) 서버(112)는 상기 웹 서버(111)의 로그인 및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자 페이지로 장비관리, 담당자 및 권한 관리, RFID 태그 발급, 태그 발급 대상자 관리, 통계정보조회, 게시판 관리, 기본 정보 관리 등의 관리자 권한으로 접근할 수 있다.
상기 로그인 및 시스템 관리는 관리자 GPKI 로그인,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관리자, 프로그램별 권한 관리 및 프로그램 이력 조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 발급은 RFID 태그 신청자 관리, RFID 태그 발급 업무, RFID 태그 정보 관리, RFID 태그 분실/습득 신고, RFID 태그 재발급/폐기, RFID 태그 발급 이력 조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정보 관리는 기초 코드 관리, 지역 코드 관리, 태그 업무 담당자, RFID 태그 리더기 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시판 관리는 정보 마당, FAQ 및 Q & A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계 정보는 발급 대상자 현황 조회, 기간별 이용실적 조회, 관할 기관별 이용실적 조회, RFID 리더기별 이용실적 조회, 환자 유형별 이용실적 조회, 연령대별 이용실적 조회 및 발급 업무별 현황 조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B 서버(113)는 시스템 가입자의 개인 정보, RFID 발급정보, 접속이력 정보 및 통계 정보 등 시스템 전반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관공서 발급 시스템(120)은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110)에 국가정보통신망으로 연동되도록 하여 정보를 공유하여 신청자에 대한 직접 발급 업무를 수행한다.
즉, 신청자들은 각 지역의 가까운 읍, 동사무소, 구청, 시청 등의 관공서에서 신청한 RFID 태그를 직접 수령하게 된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은, 먼저 소방방재청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서비스 대상 환자의 서비스 신청을 신청자를 통해 접수받는 단계가 수행된다(S301). 즉, 상기 소방방재청의 119 안심콜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회원 가입을 통한 로그인 후 서비스 신청을 접수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가입은 서비스 대상 환자 및 신청자 인증 절차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110)와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된 관공서 발급 시스템(120)에서 상기 접수된 서비스 대상 환자 정보 및 신청자 정보를 확인하고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RFID 태그 발급을 승인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30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110) 및 관공서 발급 시스템(120)은 국가정보통신망의 네크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방방재청에 홈페이지에 접수된 신청자 정보는 소방방재청 DB 서버(113)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관공서 발급 시스템(120)을 통해 해당 서비스 환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가입신청 정보, 접속 이력 정보, 통계 정보 및 태그 발급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그 발급 정보는 RFID 태그 신청자 관리, RFID 태그 발급, RFID 태그 정보 관리, RFID 태그 분실/습득 신고, RFID 태그 재발급/폐기, RFID 태그 발급 이력 조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계 정보는 발급 대상자 현황 조회, 기간별 이용실적 조회, 관할 기관별 이용실적 조회, RFID 리더기별 이용실적 조회, 환자 유형별 이용실적 조회, 연령대별 이용실적 조회 및 발급 업무별 현황 조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관재청 서버(110)에는 기본 정보 관리의 기초 코드 관리, 지역 코드 관리, 태그 업무 담당자 및 RFID 태그 리더기 관리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어 있으며, 로그인 및 시스템 관리 업무의 관리자 로그인,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관리자, 프로그램별 권한 관리 및 프로그램 이력 조회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발급된 RFID 태그(130)를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응급상황발생시 응급 구조대의 휴대형 RFID 리더기(140)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RFID 태그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환자의 개인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요청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303).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RFID 태그(130)를 소지한 치매 또는 고령의 행려자 등의 서비스 대상 환자의 응급상황이 발생되면 주변의 이웃이나 행인이 119 응급구조대 또는 112 경찰서에 신고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요청된 환자의 개인 정보를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140)로 확인하여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환자 보호자 연락 및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304). 즉, 119 응급구조대의 출동으로 상기 환자의 RFID 태그(130)를 읽어들여 개인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140)는 RFID 통신 초기화 API, RFID 태그 검출 및 정보 송출, RFID 대상자 선택, RFID 태그값 수동 입력 및 정보 송출, 개인 인적 사항 조회, 병력정보 조회, 기타정보 조회, SMS 보호자 발송, 대상자 정보 출력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140)에서 상기 RFID 태그(130)의 환자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소방방재청의 서버에 접속하여 치매, 중풍, 고령의 만성질환자, 3대 중증질환자 및 사회 안전 취약계층을 대상의 개인정보(성명, 연령, 혈액형,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의 인적사항)와 과거질환(수술경력 등), 현재의 질환, 복용약물, 전염질환, 특이체질 및 장애 여부 등의 병력사항 및 주 진료 의료기관, 가족사항, 도우미 등의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140)에서 확인된 환자 정보를 출력물로 출력하여 응급환자 병원 인계 시, 대상자 상세사항의 모바일 출력물을 동시에 전달함으로써 정확한 자료 제공 및 구급일지, 출동보고서에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140)에서 확인된 보호자(가족, 도우미 등)에게 즉시 SMS 발송을 하여 환자의 상황을 알리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의료기관으로 이송된 환자의 병력을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에서 확인하여 맞춤형 응급처치를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305).
즉, 상기 의료기관에서는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140)에서 직접 확인하거나 출력된 출력물을 전달받아 환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응급상황 발생 시, 출동한 119구급차, 112경찰차 또는 병원의 응급차량이 소지한 RFID 리더기로 RFID 태그를 소지한 응급환자의 상세정보를 즉시 확인하여, 해당자에 맞는 최적의 응급구호조치를 취하며 평소 주 진료 의료기관으로 후송하여 신원 미확인으로 인한 초기 진단 및 검사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도착 전 환자를 식별하여 대상자에 맞는 맞춤형 응급조치를 취하여 중증으로의 전환 방지와 의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구명 소생률을 제고하며 실종자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소방방재청 서버 111 --- 웹 서버
112 --- 관리자 서버 113 --- DB 서버
120 --- 관공서 발급 시스템 130 --- RFID 태그
140 --- 휴대형 RFID 리더기

Claims (16)

  1. 환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RFID 태그와;
    상기 환자의 RFID 태그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환자의 개인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요청하는 휴대형 RFID 리더기와;
    상기 RFID 리더기로부터 요청된 환자의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환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소방방재청 서버; 및
    상기 소방방재청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접수된 서비스 대상 환자의 RFID 태그를 발급하는 관공서 발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 및 관공서 발급 시스템은 국가정보통신망의 네크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는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의 RFID 태그의 발급 신청을 입력받는 웹 서버와;
    상기 RFID 태그 발급 환자 관리, 통계정보조회, 장비관리 및 담당자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관리자 서버; 및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의 등록 정보, RFID 발급정보, 접속이력 정보 및 통계 정보를 저장하는 DB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는 119 구급대, 112 경찰차, 병원의 응급차량에 배치되어 상기 RFID 태그 소지 응급환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는 확인된 환자 정보를 출력물로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실리콘 재질의 팔찌 타입에 내장되고, 실리콘 팔찌는 토르마린, 영구자석, 게르마늄이 함유되어 인체에 이로운 자장 및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건강보조기능을 갖으며 상기 환자에게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866 ㎒ - 954 ㎒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8. 소방방재청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서비스 대상 환자의 서비스 신청을 신청자를 통해 접수받는 단계와;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와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된 관공서 발급 시스템에서 상기 접수된 서비스 대상 환자 정보 및 신청자 정보를 확인하고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RFID 태그 발급을 승인하는 단계와;
    상기 발급된 RFID 태그를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응급상황발생시 응급 구조대의 휴대형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RFID 태그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환자의 개인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된 환자의 개인 정보를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로 확인하여 환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환자 보호자 연락 및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병원으로 이송된 환자의 병력을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에서 확인하여 맞춤형 응급처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 및 관공서 발급 시스템은 국가정보통신망의 네크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서비스 대상 환자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받는 단계는 서비스 대상 환자 및 신청자 인증 절차를 통해 신청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관공서 발급 시스템에서는 상기 소방방재청 서버에 국가정보통신망으로 접속하여 가입신청 정보, 접속 이력 정보, 통계 정보 및 태그 발급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발급 정보는 RFID 태그 신청자 관리, RFID 태그 발급, RFID 태그 정보 관리, RFID 태그 분실/습득 신고, RFID 태그 재발급/폐기, RFID 태그 발급 이력 조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는 발급 대상자 현황 조회, 기간별 이용실적 조회, 관할 기관별 이용실적 조회, RFID 리더기별 이용실적 조회, 환자 유형별 이용실적 조회, 연령대별 이용실적 조회 및 발급 업무별 현황 조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관재청 서버에는 상기 관공서 발급 시스템의 기초 코드 관리, 지역 코드 관리, 태그 업무 담당자 및 RFID 태그 리더기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관재청 서버에는 관리자 로그인,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관리자, 프로그램별 권한 관리 및 프로그램 이력 조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RFID 리더기에서 상기 RFID 발급 대상자 개인 인적 사항 조회, 병력 조회 및 보호자 SMS 발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KR1020120078072A 2012-07-18 2012-07-18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40011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072A KR20140011170A (ko) 2012-07-18 2012-07-18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072A KR20140011170A (ko) 2012-07-18 2012-07-18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170A true KR20140011170A (ko) 2014-01-28

Family

ID=5014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072A KR20140011170A (ko) 2012-07-18 2012-07-18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11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2482A (ko) * 2016-02-03 2017-08-11 고혜선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및 시스템
CN107423951A (zh) * 2017-07-19 2017-12-01 甜旅(上海)财务咨询有限公司 一种在线政务系统及其工作方法
KR20210051244A (ko) * 2019-10-30 2021-05-10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환자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환자정보 관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2482A (ko) * 2016-02-03 2017-08-11 고혜선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및 시스템
CN107423951A (zh) * 2017-07-19 2017-12-01 甜旅(上海)财务咨询有限公司 一种在线政务系统及其工作方法
KR20210051244A (ko) * 2019-10-30 2021-05-10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환자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환자정보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7127B2 (en) Trusted third-party computerized platform for AI-based health wallet
US200902248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iversal identity verification of biological humans
CN109273064A (zh) 一种基于生物标识的电子健康档案系统
US10855957B2 (en) Wireless augmented video system and method to detect and prevent insurance billing fraud and physical assault for remote mobile application
US20060218626A1 (en) Patient identific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JP6570691B1 (ja) 個人医療情報集約システム
CN104318178A (zh) 一种医疗信息安全系统
CN103565604A (zh) 一种基于jci的移动门诊输液系统
KR20140011170A (ko)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WO2011021314A1 (ja) 情報通信システム、緊急時利用機器、および携帯通信機器
KR102356778B1 (ko) 비접촉식 바이오메트릭스 인증 기술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및 전염병 관리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Rastegari et al. Pervasive computing in healthcare systems
CN211555476U (zh) 一种伤员信息系统
JP2006323468A (ja) 旅行中のヘルスケアサポートシステム
KR100821627B1 (ko) 무선주파수인식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응급 의료 정보시스템
KR200459058Y1 (ko) 환자정보 보호를 위한 환자관리 시스템
US20110257996A1 (en) Method for Electronic Delivery of Patient Health Records
US11848077B2 (en) First-ai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output device, first-ai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20232928A1 (en) Arrangement for identification of medical status
JP2014112342A (ja) 医療用緊急連絡システム
KR102494045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환자 관리 시스템
KR100972392B1 (ko) 동적 보안 서비스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3337861A (ja) 医療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047924B1 (ko) M2m 통신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방법,및 응급상황 대처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8388783A (zh) 基于互联网共享用工模型的电子身份系统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