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482A -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482A
KR20170092482A KR1020170015840A KR20170015840A KR20170092482A KR 20170092482 A KR20170092482 A KR 20170092482A KR 1020170015840 A KR1020170015840 A KR 1020170015840A KR 20170015840 A KR20170015840 A KR 20170015840A KR 20170092482 A KR20170092482 A KR 20170092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regist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ppl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0240B1 (ko
Inventor
고혜선
이구창
Original Assignee
고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혜선 filed Critical 고혜선
Publication of KR2017009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06F17/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a) 제1 스마트폰을 이용해 등록증 신청 접수를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 관리서버로부터 제1 스마트폰에 의해 등록된 등록대상물의 등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스마트폰에 인증코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c) 제1 스마트폰에 표시된 인증코드정보를 제2 스마트폰을 통해 인식시킨 후 인식된 정보와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관리서버가 제1 스마트폰에 의해 등록된 등록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도록 요청하고 관리서버가 승인하는 단계; (d) 관리서버의 승인을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된 승인에 따라 관리자가 등록증을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등록기관에 등록하였음을 표시하는 실체를 가진 물리적 개체로 고유의 등록관리 번호가 문자나 바코드로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스티커, 자동차 넘버판,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자와 관리자가 인증코드정보를 통해 인증된 자전거를 현장에서 등록 관리자가 현장에서 즉시 발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ssuing registration certificate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등록증 발급 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물건 등의 효율적인 관리 운영, 도난, 분실 방지 등의 목적으로 인증, 보완 등 절차를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한 시스템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고 실상에서 이러한 보완 절차를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서 최근, 자전거 이용이 늘고 있고, 이에 비례하여 분실, 도난이나 방치도 늘고 있다. 현재 몇몇 지자체에서 자전거 도난을 줄이기 위해 자전거와 그 소유자를 관공서에 등록하는 등록제를 실시하고 있지만 등록 절차의 불편함 때문에 활성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존의 자전거 등록제는 국내 일부 지자체나 일본에서 시행하고 있는데 그 절차는 자전거 등록을 원하는 신청자가 자전거와 신분증을 가지고 관공서를 방문하여 소유자와 소유자의 자전거 정보를 기재하는 자전거등록 신청서를 작성한다.
이후에, 관리자(예컨대, 자전거업무 담당공무원)에게 제출하면, 담당 관리자는 신분증과 신청서의 신청자 정보를 확인하고, 등록요청 자전거의 차대번호를 포함한 자전거 정보를 확인한 후 이상이 없으면 해당 자전거의 정보와 매칭(matching)하여 부여되는 등록 관리번호가 기재된 등록증을 발급하고 자전거 정보와 소유자 정보를 전산 입력하는 절차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방식으로 업무를 처리하였다.
여기서 등록증은 등록기관에 등록하였음을 표시하는 실체를 가진 물품으로 고유의 등록관리 번호가 문자나 바코드로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스티커나 자동차 번호판은 물론 고유의 등록관리 번호, 등록대상물 정보, 소유자 정보 등이 기재되어 있는 문서를 말하는데 최근 전자등록증 등을 도입하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등록증의 대부분은 물리적 실체를 가진 물품이기 때문에 등록증 발급에는 대면이나 우편 등의 전달 방법이 필요하다.
종래 등록증은 고유의 등록관리 번호, 등록대상물 정보, 소유자 정보 등이 기재되어 있는 문서(증서)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등록증의 대부분은 실체를 가진 물리적 개체이기 때문에 등록증 발급에는 대면이나 우편 등의 전달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등록 업무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한 업무인데 담당 인력을 늘릴 수도 없어 신청자 거주지 근거리의 동사무소가 아니라 원거리의 구청이나 시청 등 한 곳에서만 등록업무를 해주었기 때문에 등록을 포기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늘 소지하고 다니는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등록 신청자의 본인 신원과 등록 대상물에 대한 정보 확인을 간편하게 하여 발급기관이나 발급관리자의 확대하고 등록증 발부업무를 경감시켜 주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개발된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 내지 3을 들 수 있다.
특허공개 제10-2012-0031913호 “바코드와 스마트폰 어플을 이용한 관리대상의 등록과 찾아주는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은 등록된 자전거를 고유 식별할 수 있는 바코드를 스티커로 생성하여 자전거에 부착하도록 제공하고, 등록자의 스마트폰에 전송해주는 서비스로 상기 바코드를 통해 신고, 조회,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자전거등록 관리번호를 바코드로 전환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특허공개 제10-2015-0076294호 “서버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자전거를 구매한 고객이 결제시 사용한 카드 정보 및 상기 자전거의 고유 식별 번호 정보를 받아 결제 승인 요청시 해당 자전거에 대한 소유자 인증 번호를 생성하여 자전거를 구매한 고객의 휴대폰에 인증번호 정보를 전송해주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히 구매 자전거 식별 정보와 구매고객 정보를 매칭하여 자전거를 등록 관리해주는 방법이다. 쉽게 말하자면, 고유 식별번호를 가진 영수증을 이용하여 자전거의 소유자를 관리하는 방법이다.
일본 특허공개 2002-024482호 “공적 등록관리 시스템 및 공적 등록관리 방법”은 등록제도 대상물인 반려동물이나 자전거의 등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갖추고 제1관공서, 제2관공서가 각기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여 신청서 홈페이지에 소정의 사항을 입력하여 신청서를 수리하고 등록번호를 부여해 이를 통해 조회 관리하는 공적 등록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등록제도 대상물을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등록하게 하고 등록번호를 부여하고, 그 등록번호를 이용해 조회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서버에서 제공하는 등록된 자전거에 대한 등록관리 번호를 단순히 바코드로 변환하여 스티커로 출력하는 기술이거나 판매점에서 신규 자전거 구매 시 카드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자 신원 정보를 인증하여 등록해주는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범용성이 없는 기술이거나 판매점에서 등록번호가 기재되어 있는 양식의 등록증에 수기로 기재하여 발급하는 일본에서 전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등록 관리할 수 있다는 초보적 전산 기술로서 등록증 발급에 있어서 신청자 본인의 신원과 등록 대상물 정보 확인, 허위 등록 검출, 이중 발급 차단 등 관리자 업무를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등록증 신청 이전에 사전 제작 납품된 등록관리 번호가 표면에 표시되어 있는 등록증(스티커)들을 등록 신청자에게 발급하는 기술이 아니라는 점에서 발급에 필요한 시간적, 물리적 요소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사용자 관리 편의성을 위해 등록대상물의 등록, 인증, 등록증 발급의 절차를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시급하였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1913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6294호 일본공개특허공부 특개2002-02448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예컨대, 등록 신청자, 등록 관리자 등)와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즉,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자전거의 등록 및 이에 대한 등록증의 발급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관리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등록 및 등록증 발급 절차를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청자 본인의 신원과 등록 대상물 정보 확인, 허위 등록 검출, 이중 발급 방지 등 관리 업무를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은, (a) 제1 스마트폰을 이용해 등록증 신청 접수를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 관리서버로부터 제1 스마트폰에 의해 등록된 등록대상물의 등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스마트폰에 인증코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c) 제1 스마트폰에 표시된 인증코드정보를 제2 스마트폰을 통해 인식시킨 후 인식된 정보와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제1 스마트폰에 표시된 인증코드정보에 해당하는 등록증 신청정보를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받아 표시하는 단계; (d) 제2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여 관리서버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관리서버로부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된 승인에 따라 관리자가 등록증을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등록기관에 등록하였음을 표시하는 실체를 가진 물리적 개체로 고유의 등록관리 번호가 문자나 바코드로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스티커, 자동차 넘버판,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자와 관리자가 인증코드정보를 통해 인증된 자전거를 현장에서 등록 관리자가 현장에서 즉시 발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단계(c,d)에서는, 제2 스마트폰으로부터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인증코드정보와 관리번호 중 인증코드정보를 먼저 전송하여 인증코드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제2 스마트폰이 확인하고 이에 따라 다시 제2 스마트폰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등록증을 발급하거나 또는 인증코드정보 및 관리번호를 동시에 관리서버로부터 전송하여 일치하는 데이터를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받아 승인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2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응답 시 미리 관리자로 발급 승인된 관리자에 한하여 등록증의 발급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제2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별도의 자전거 등록증 출력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단계(d)에서 전송된 해당 신청자의 등록증이 라벨 또는 스티커 인쇄물 형태로 출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제2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단계(d)에서 전송된 등록증이 해당 신청자의 제1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2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응답하여 등록증의 발급 승인이 완료될 경우, 해당 신청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신청자 단말로 해당 등록증이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을 이용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시스템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스마트폰; 및 상기 제1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신청자에 의해 등록된 등록대상물 등록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인증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신청자별로 자전거 등록정보 및 인증코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스마트폰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를 제1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스마트폰의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와 함께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에 대한 인식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에 대응되는 등록정보를 제2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2 스마트폰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를 바탕으로 해당 신청자의 등록증을 제2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하고 발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등록증 발급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예컨대, 등록 신청자, 등록 관리자 등)가 소지하고 다니는 이동통신 단말기 즉, 스마트폰에 설치된 자전거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자전거의 등록 및 이에 대한 등록증의 발급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통해 개인의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소유자에 대한 인증에 따라 도난, 분실 등에 의해 제3자가 자전거를 취득하더라도 쉽게 회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등록 관리자가 사전에 제작된 등록증(스티커)을 소지하고 다니다가 학교나 자전거 도로 등 등록 대상이 많은 현장에서 스마트폰을 통해 발급 절차를 진행하며, 별도의 등록증(스티커) 출력장치 없이 쉽게 등록증(스티커) 발급을 할 수 있어 등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등록증 발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자전거를 운행하다가 또는 보관소 등에서 등록 관리자(경찰, 관공서 직원 등)를 만났을 경우 등록 사용자 스마트폰을 통해 등록한 정보가 있으면 관리자 스마트폰을 통해 인증 절차를 걸쳐 그 측지 등록증을 발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스마트폰과 관리자 스마트폰을 통한 인증 절차를 수행함에 따라 물건 또는 물품에 고유번호(식별번호)가 부여되는 경우에 이를 인증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포괄적인 물품 관리가 가능한 기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등록증 발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스마트폰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스마트폰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시스템은, 크게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 및 관리서버(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은 통신망(10)을 통해 관리서버(300)와 접속되어 있으며, 통신망(1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과 관리서버(300)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1 스마트폰(100)은 자신이 소유한 등록대상물의 등록 신청을 원하는 사용자(이하, '신청자'라 칭함)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예컨대, 앱 스토어(App Store) 또는 관리서버(300)를 통해 등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제1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신청자에 의해 자전거 등록정보가 입력 및 등록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해당 신청자에 의해 입력 및 등록된 등록정보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신청자에 의해 등록된 등록정보는 예컨대, 차대번호, 차대번호 이미지, 자전거 전체 이미지, 자전거 제조사, 자전거 브랜드 및 자전거 모델명 정보, 애완견 등록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관리서버(300)로 자신이 등록한 등록증 발급을 신청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등록증 발급 신청에 대한 인증코드정보를 제공받아 제1 스마트폰(1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증코드정보는 제1 스마트폰의 등록증 신청 접수에 매칭하여 서버에서 전송해주는 확인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등록정보, 신청접수번호 또는 등록정보를 보안을 위해 변환한 코드, 등록증 신청에 대해 서버에서 생성한 인증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 인증코드정보는 일반적인 문자로 표시할 수도 있지만, 예컨대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바코드(Bar Code), 이미지 코드(Image Code), 문자 코드(Character Code), 숫자 코드(Number Code)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키보드 입력에 따른 오류 발생과 입력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스마트폰 기기가 제공하는 인식수단을 이용하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스마트폰(200)은 등록증 발급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이하, '관리자'라 칭함)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예컨대, 앱 스토어(App Store) 또는 관리서버(300)를 통해 등록증 발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관리자는 예컨대, 주민센터 담당공무원, 파출소 담당자, 학교의 교사, 학급반장 등 누구나 관계없이 관리서버(300)에 관리자로 등록된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상관없다.
또한,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관리자에 의해 신청자의 등록증을 발급하기 위한 등록증의 관리번호(이하, '관리번호'라 칭함)가 입력 및 등록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 및 등록된 관리번호와 함께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에 대한 인식정보데이터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관리서버(300)로 신청자의 등록증 발급 승인을 요청할 경우, 제2 스마트폰(200)에 미리 설치된 인증코드 인식모듈(미도시)과 연동하여 해당 신청자의 제1 스마트폰(100)의 화면에 표시된 인증코드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증코드정보에 대한 인식정보데이터와 함께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관리번호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코드정보에 대한 인식정보 데이터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인증코드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스마트폰의 증록증 신청 정보를 전송받아 확인한 후 제1 스마트폰의 사용자에게 발급할 등록증의 등록 관리번호를 입력하여 서버의 해당 등록 관리번호의 등록증을 발급 승인을 받는 두 단계의 절차를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증코드 인식모듈은 예컨대,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QR 코드 스캐너,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 등 고유 인증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듈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이 후에 제2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해당 신청자의 등록증 발급 신청에 대한 정보를 제2 스마트폰(2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등록증 발급 승인에 대한 해당 신청자의 등록증(예컨대, 이미지/문자 형태의 데이터 등)을 제공받아 제2 스마트폰(2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등록증 발급 승인에 대한 해당 신청자의 등록증을 제공받아 해당 신청자의 제1 스마트폰(100)으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전자 등록증을 신청자인 제1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스마트폰은 등록대상물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고, 입력, 선택된 등록대상물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제1 스마트폰에 의해 전송된 등록대상물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스마트폰의 등록증 신청 시 인증코드정보를 부여하여 제1 스마트폰에 전송하며, 제2 스마트폰은 제1 스마트폰으로 부여된 인증코드정보를 입력 또는 인식하여 서버로 전송함에 의해 서버로부터 등록증 신청 정보를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여 제1 스마트폰에 의해 등록된 등록대상물 정보를 확인한 후 등록증을 발급하도록 하는 것으로 제1 스마트폰에 전송된 인증코드정보를 제2 스마트폰으로 하여금 인식하여 판단할 수 있게 하여 쉽고 빠르면서도 정확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부(110)는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과 무선 통신시스템(예컨대, 관리서버(300)) 사이 또는 제1 스마트폰(100)과 제2 스마트폰(2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모듈(111), 이동통신모듈(112), 무선망 통신모듈(113), 근거리통신모듈(114) 및 위치정보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은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통신모듈(112)은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망 통신모듈(113)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고,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180)와 버스로 연결되어 제어부(18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무선망 통신모듈(113)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무선망 통신모듈(113)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망 통신모듈(113)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무선망 통신모듈(113)은 이동통신모듈(112)과 통합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모듈(114)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통신모듈(114)은 무선망 통신모듈(113)과 통합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V 입력부(120)는 오디오신호 또는 비디오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즉, 카메라(12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2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화면출력부(151)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제어부(180)와 버스로 연결되어 제어부(180)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제어부(180)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센싱부(140)는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의 개폐 상태,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의 방위,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제어부(180)에 전달되어, 제어부(180)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예컨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화면출력부(151), 음향출력부(152), 알람부(153) 및 햅틱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화면출력부(151)는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컨대,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이러한 화면출력부(15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제어부(180)와 버스로 연결되어 제어부(18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음향출력부(152)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향출력부(15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제어부(180)와 버스로 연결되어 제어부(180)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알람부(153)는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모듈(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저장부(160)는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제어부(18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저장부(160)는 기본적으로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의 운영체계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저장부(160)에 저장된다.
이러한 저장부(160)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s)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되며,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loading)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배터리(192)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부(16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60)는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90)는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Battery)(192)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은 각각 신청자 및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제1 스마트폰(100)은 신청자 단말이면서 관리자 단말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스마트폰(200)은 관리자 단말이면서 신청자 단말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300)는 통신망(10)을 통해 제1 및 제2 스마트폰(100 및 2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신청자에 의해 등록된 등록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해당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신청자별로 등록정보 및 인증코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제1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응답하여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를 제1 스마트폰(1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신청자에 의해 등록된 등록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신청자별로 등록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제1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신청자의 등록증 발급 신청시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인증코드정보를 제1 스마트폰(1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와 함께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에 대한 인식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해당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에 대응되는 등록정보를 해당 제2 스마트폰(2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를 바탕으로 해당 신청자의 등록증을 제2 스마트폰(2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응답 시 미리 관리자로 발급 승인된 관리자에 한하여 등록증의 발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신청자의 등록증 발급이 완료될 경우, 해당 관리자의 발급 승인이 해체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00)는 제2 스마트폰(200)의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응답하여 등록증의 발급 승인이 완료될 경우, 해당 신청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신청자 단말(미도시)로 해당 등록증이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청자 단말은 제1 스마트폰(100)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예컨대, 데스크탑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스마트 패드(Smart Pad), 스마트 노트(Smart Note),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관리서버(3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며,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은, 먼저, 제1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청자에 의해 입력 및 등록된 등록정보와 신청자정보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S100).
이때, 상기 단계 S100에서, 상기 신청자에 의해 등록된 등록정보는 예컨대, 자전거 차대번호, 자전거 차대번호 이미지, 자전거 전체 이미지, 자전거 제조사, 자전거 브랜드 및 자전거 모델명 정보, 애완견 등록정보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단계 S100에서 전송된 신청자의 등록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신청자의 등록을 위한 고유 인증코드를 생성한 후, 신청자별로 등록정보 및 인증코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S200).
이때, 상기 단계 S200에서, 관리서버(300)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는 예컨대, QR 코드, 바코드, 이미지 코드, 문자 코드, 숫자 코드 및 NF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계 S200에서, 관리서버(300)를 통해 제1 스마트폰(100)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신청자의 등록증 발급 요청 시 해당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를 제1 스마트폰에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관리서버(300)를 통해 제1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승인에 응답하여 상기 단계 S200에서 생성된 해당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를 해당 제1 스마트폰(1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S300)(도 4a 참조).
다음으로,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와 함께 상기 단계 S300에서 표시된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에 대한 인식정보데이터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S400)(도 4b 및 도 4c 참조).
이때, 상기 단계 S400에서,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관리서버(300)로 해당 신청자의 등록증 발급을 요청할 경우, 제2 스마트폰(200)에 미리 설치된 인증코드 인식모듈과 연동하여 해당 신청자의 제1 스마트폰(100)의 화면에 표시된 인증코드정보를 인식한 후, 상기 인증코드정보에 대한 인식정보데이터와 함께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는 해당 관리자가 임의로 숫자 및/또는 문자 등을 설정하여 입력 및 등록하거나, 미리 설정된 숫자 및/또는 문자 등을 입력 및 등록할 수 있다.
이후에, 관리서버(300)를 통해 상기 단계 S400에서 전송된 해당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에 대응되는 등록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제2 스마트폰(2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S500)(도 4d 참조).
이때, 상기 단계 S500에서, 관리서버(300)는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응답 시 미리 관리자로 발급 승인된 관리자에 한하여 등록증의 발급 서비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관리서버(300)를 통해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승인에 응답하여 해당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를 바탕으로 해당 신청자의 등록증을 제2 스마트폰(2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S600)(도 4c 참조).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 S600 이후에, 관리서버(300)를 통해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신청자의 등록증 발급을 완료할 경우, 해당 관리자의 발급 승인이 해체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계 S600 이후에,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별도의 등록증 출력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단계 S600에서 전송된 해당 신청자의 등록증이 라벨(label) 또는 스티커(sticker) 인쇄물 형태로 출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600 이후에,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단계 S600에서 전송된 등록증이 해당 신청자의 제1 스마트폰(100)으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600 이후에, 관리서버(300)를 통해 제2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응답하여 신청자의 등록증 발급 승인이 완료될 경우, 신청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신청자 단말로 등록증이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등록 관리자가 사전에 제작된 등록증(스티커)을 소지하고 다니다가 학교나 자전거 도로 등 등록 대상이 많은 현장에서 스마트폰을 통해 발급 절차를 진행하며, 별도의 등록증(스티커) 출력장치 없이 쉽게 등록증(스티커) 발급을 할 수 있어 등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등록증 발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자전거를 운행하다가 또는 보관소 등에서 등록 관리자(경찰, 관공서 직원 등)를 만났을 경우 등록 사용자 스마트폰을 통해 등록한 정보가 있으면 관리자 스마트폰을 통해 인증 절차를 걸쳐 그 측지 등록증을 발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자전거 등록증 발급의 신속성, 정확성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전거 분실, 도난 사고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등록증을 관리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증 절차를 통해 쉽고 빠르게 인증하고 발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애플리이션을 이용해 등록 관리가 필요한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이 인증 처리를 거쳐 보완 및 관리되어야 하는 대상이라면 어떠한 것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아지, 개, 고양이 등과 같이 등록대상인 경우에 해당된다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 및 발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제1 스마트폰,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저장부,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90 : 전원부,
200 : 제2 스마트폰 300 : 관리서버

Claims (7)

  1. (a) 제1 스마트폰을 이용해 등록증 신청 접수를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 관리서버로부터 제1 스마트폰에 의해 등록된 등록대상물의 등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스마트폰에 인증코드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c) 제1 스마트폰에 표시된 인증코드정보를 제2 스마트폰을 통해 인식시킨 후 인식된 정보와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제1 스마트폰에 표시된 인증코드정보에 해당하는 등록증 신청정보를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받아 표시하는 단계;
    (d) 제2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여 관리서버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관리서버로부터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된 승인에 따라 관리자가 등록증을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d)에서는, 제2 스마트폰으로부터 관리서버로 전송되는 인증코드정보와 관리번호 중 인증코드정보를 먼저 전송하여 인증코드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제2 스마트폰이 확인하고 이에 따라 다시 제2 스마트폰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등록증을 발급하거나 또는 인증코드정보 및 관리번호를 동시에 관리서버로부터 전송하여 일치하는 데이터를 제2 스마트폰으로 전송받아 승인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2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응답 시 미리 관리자로 발급 승인된 관리자에 한하여 등록증의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제2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별도의 자전거 등록증 출력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단계(d)에서 전송된 해당 신청자의 등록증이 라벨 또는 스티커 인쇄물 형태로 출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제2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단계(d)에서 전송된 등록증이 해당 신청자의 제1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등록증 발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 이후에,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제2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에 응답하여 등록증의 발급 승인이 완료될 경우, 해당 신청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신청자 단말로 해당 등록증이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전거 등록증 발급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을 이용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시스템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스마트폰; 및
    상기 제1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신청자에 의해 등록된 등록대상물 등록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인증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신청자별로 자전거 등록정보 및 인증코드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1 스마트폰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를 제1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스마트폰의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와 함께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에 대한 인식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바탕으로 신청자의 인증코드정보에 대응되는 등록정보를 제2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2 스마트폰의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관리번호를 바탕으로 해당 신청자의 등록증을 제2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하고 발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시스템.
KR1020170015840A 2016-02-03 2017-02-03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및 시스템 KR101960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241 2016-02-03
KR20160013241 2016-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482A true KR20170092482A (ko) 2017-08-11
KR101960240B1 KR101960240B1 (ko) 2019-03-20

Family

ID=5965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840A KR101960240B1 (ko) 2016-02-03 2017-02-03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160A1 (ko) * 2017-10-13 2019-04-18 주식회사 후스독 반려동물의 비문을 이용한 신원 등록 및 신원 확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4482A (ja) 2000-07-03 2002-01-25 Nec Corp 公的登録管理システム及び公的登録管理方法
JP2002366521A (ja) * 2002-03-08 2002-12-20 Patent One Kk バーコード発行方法、携帯端末装置及び認証方法
KR20080003657A (ko) * 2006-07-03 2008-01-08 (주)티 알 아이 인터내셔널 출입운영관리 시스템
KR20120031913A (ko) 2010-09-26 2012-04-04 (주)모바코리아 바코드와 스마트폰 어플을 이용한 관리대상의 등록과 찾아주는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20140011170A (ko) * 2012-07-18 2014-01-28 인타운 주식회사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50076294A (ko) 2013-12-26 2015-07-0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서버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4482A (ja) 2000-07-03 2002-01-25 Nec Corp 公的登録管理システム及び公的登録管理方法
JP2002366521A (ja) * 2002-03-08 2002-12-20 Patent One Kk バーコード発行方法、携帯端末装置及び認証方法
KR20080003657A (ko) * 2006-07-03 2008-01-08 (주)티 알 아이 인터내셔널 출입운영관리 시스템
KR20120031913A (ko) 2010-09-26 2012-04-04 (주)모바코리아 바코드와 스마트폰 어플을 이용한 관리대상의 등록과 찾아주는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20140011170A (ko) * 2012-07-18 2014-01-28 인타운 주식회사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50076294A (ko) 2013-12-26 2015-07-0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서버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4160A1 (ko) * 2017-10-13 2019-04-18 주식회사 후스독 반려동물의 비문을 이용한 신원 등록 및 신원 확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240B1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93080B (zh) 无源进入移动电话及其方法和系统
KR10183140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결제 방법
US201301252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ultiplicity of credentials
JP2014044724A (ja) 画面上のイメージを利用して、インタラクション情報を提供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JP6723420B2 (ja) 個人が設定した物品の位置を追跡する端末、その個人が設定した物品の位置を追跡する端末を用いた位置追跡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100737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action based on license plate number
EP3132434A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cloud computing system architecture systems and methods
JP2008535078A (ja) パスワードを用いるrfidタグの読み込み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EP35285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ultiplicity of credentials
WO2012174590A1 (en) Digital identification device for vehicles
CN105631254B (zh) 解锁方法及解锁装置
CN107230137A (zh) 商品信息获取方法及装置
KR20160082452A (ko) 차량 시스템 제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AU2014201153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otification system
KR10196024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등록증 발급 방법 및 시스템
JP5522875B1 (ja) 情報処理方法、携帯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5303120A (zh) 短信读取方法及装置
KR20140124238A (ko)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
CN109088736A (zh) 一种基于数字签名的数据通信方法、系统及装置
KR20210146215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거주 시설 공실 관리 시스템
CN109841082B (zh) 通知系统、通知装置及通知方法
JP2010198487A (ja) 決済システム
CN109962895B (zh) 一种更新汽车仪表界面的方法与系统、服务器及存储介质
US20220131859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N110660139A (zh) 一种乘车码复制使用的检测系统、方法、装置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