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238A -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238A
KR20140124238A KR20130041719A KR20130041719A KR20140124238A KR 20140124238 A KR20140124238 A KR 20140124238A KR 20130041719 A KR20130041719 A KR 20130041719A KR 20130041719 A KR20130041719 A KR 20130041719A KR 20140124238 A KR20140124238 A KR 20140124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nagement
commute
mobile terminal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4137B1 (ko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웹프라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웹프라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웹프라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13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4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출퇴근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이동 단말,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출퇴근 관리 시스템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읽고, 상기 태그 정보와 미리 저장된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와 상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태그 정보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여 출퇴근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출퇴근 관리 서버를 포함하므로, 출퇴근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Mobile Terminal, Commute management server and Commut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기술은 전자 태그(RFID : RADIO FREQUENCY ID.)기술로부터 발전한 것으로, NFC FORUM에 의하여 국제적인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NFC는 대략 13.56MHz 정도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방식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NFC는 결제뿐만 아니라 슈퍼마켓이나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 출입 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최근에는 타블렛, 스마트폰 등의 이동 단말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이동 단말은 근거리 통신(즉, NFC)을 이용하여 단말 간의 정보 교환, 결제, 티켓 예매, 검색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추세에 있으며, 근거리 통신 방식에 사용되는 NFC 안테나 모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태그를 인식하여 출퇴근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이동 단말,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이동 단말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읽어오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상기 태그 정보와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출퇴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이동 통신 모듈; 및 상기 출퇴근 관리 서버로부터 사유서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사유서 작성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사유서에 작성 화면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출퇴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의 출퇴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는 상기 관리 대상자의 출퇴근을 체크하기 위한 지역에 설치되며, 상기 지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하여 상기 태그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상기 사유서 작성 화면은 문자 입력 화면, 사진 입력 아이콘 및 위치 전송 아이콘을 포함하며, 사유서 작성 시 상기 사진 입력 아이콘을 통해 증빙 사진을 첨부하며, 상기 위치 전송 아이콘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퇴근 관리 서버는 이동 단말로부터 태그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태그 정보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태그 정보 관리 서버;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로부터 관리 대상자를 인식하는 관리 대상 정보 서버; 및 상기 태그 정보로부터 추출된 위치 정보와, 상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로부터 인식된 관리 대상자 정보에 따라 출퇴근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대상 정보 서버는 상기 관리 대상자를 인식하기 위한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 또는 관리 대상자의 사진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 또는 상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관리 대상자의 이동 단말로 사유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사유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유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출퇴근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읽고, 상기 태그 정보와 미리 저장된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와 상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태그 정보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여 출퇴근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출퇴근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퇴근 관리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태그 정보 또는 상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로 사유서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사유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사유서 작성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사유서 작성 화면은 증빙 사진을 첨부하고,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이동 단말에서 태그를 인식하여 출퇴근 관리를 수행하므로, 보다 간편하게 출퇴근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출퇴근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근태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퇴근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에서 스캔하는 태그가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에 사유서 요청 신호가 전송되었을 때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근태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근태 관리 시스템(1)은 태그(50), 이동 단말(100) 및 출퇴근 관리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50)는 사원의 출퇴근을 체크하기 위해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될 수 있다. 태그(50)는 설치된 장소를 식별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50)의 위치 정보를 통해 출퇴근 관리 서버(200)에는 층 별 지도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태그(50)는 예를 들어, 13.56MHz 주파수의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100)과 통신할 수 있다. 태그(50)는 각 층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근거리 통신(NFC : 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태그(50)로부터 태그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NFC 리더기가 구비된 USIM 카드, 마이크로 SD 카드, SD 카드 또는 스마트 카드 등이 삽입되거나, 내부에 NFC 리더기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USIM 카드에는 NFC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용 칩, 메모리 및 관련 회로가 내장될 수 있다. 이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로 일체를 근거리 통신 모듈이라고 호칭한다.
이동 단말(100)은 태그(50)에 포함되는 태그 정보와, 이동 단말(100)의 관리대상자 식별 정보를 출퇴근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출퇴근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태그 정보와 관리대상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출퇴근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태그 정보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해당 위치에서 특정 시간에 사용자가 출근 또는 퇴근 체크 하였다는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동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휴대폰,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100)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100)이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100)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100)과 이동 단말(100)이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통신망을 통해 출퇴근 관리 서버(200)에 태그 정보와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태그 정보는 후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에 의해 수집될 수 있고,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는 이동 단말(100)의 번호 또는 USIM 정보일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이다. 근거리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NFC)를 수행할 수 있도록 NFC 리더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는 외부에 마련된 태그(50)를 스캔하면, 태그(50)로부터 태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는 추출한 태그 정보를 제어부(180)에 전송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예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A/V 입력부(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21)와 마이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100)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생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이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에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함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지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 가입자 인증 모듈,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는 스마트 카드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이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이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 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100)에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6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의 적용을 위한 출퇴근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태그 정보가 수신되면, 출퇴근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출퇴근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시킨 후, 태그 정보와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를 출퇴근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는 이동 단말(100)의 번호 또는 USIM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출퇴근 관리 서버(200)로부터 사유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사유서 작성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유서 작성에 따른 신호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정보를 출퇴근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퇴근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출퇴근 관리 서버(200)는 태그 정보 관리 서버(210), 관리 대상 정보 서버(220),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230) 및 보안 서버(240)를 포함할 수 있다.
태그 정보 관리 서버(210)는 건물에서 각 층별로 설치된 NFC 태그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태그 정보 관리 서버(210)는 각 층의 각 구역에 설치된 태그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태그 정보 관리 서버(210)는 각각의 태그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이동 단말(100)로부터 태그 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관리 대상 정보 서버(220)는 관리 대상자를 인식하기 위한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전화번호 또는 유심(USIM) 칩 정보 등) 및 관리 대상자의 사진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관리 대상자의 성명, 직위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관리 대상 정보 서버(220)는 관리 대상자를 추가할 수 있다. 관리 대상 정보 서버(22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관리대상자 식별 정보가 전송되면, 관리 대상자를 인식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230)는 태그 정보 관리 서버(210)로부터 전송된 태그 정보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를 전송받고, 관리 대상 정보 서버(220)를 통해 인식된 관리 대상자 정보에 따라 출퇴근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출퇴근 관리 정보는 출퇴근 위치 정보, 출퇴근 시간 정보, 출퇴근 관리 대상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230)는 미리 정해진 출퇴근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23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와 태그 정보가 전송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출퇴근 시간과 맞지 않는 경우 즉, 늦게 출근하거나 빠르게 퇴근하는 경우에는 관리 대상자에게 사유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230)는 관리 대상자에 의해 작성된 사유서 정보가 도달하면,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출퇴근 관리 정보(지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230)는 출근 시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출근하지 않는 경우 관리 대상자에게 사유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230)는 관리 대상자로부터 사유서 정보가 도달하면,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출퇴근 관리 정보(결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관리 대상자는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230)로부터 사유서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이동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증빙 사진들을 사유서에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보안 서버(240)는 관리 대상자가 이동 단말(100)을 통해 출퇴근 관리 정보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면, 정보를 이용하려는 관리 대상자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정보를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230)에 전송한다.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230)는 보안 서버(240)로부터 전송된 인증 정보에 따라 관리 대상자에게 출퇴근 관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출퇴근 관리 정보는 일별, 월별, 연별로 나누어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에 사유서 요청 신호가 전송되었을 때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230)는 관리 대상자가 결석하거나, 출근 시간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출근 체크가 되지 않는 경우 사유서 요청 신호를 관리 대상자의 이동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사유서 요청 신호가 도달하면, 해당 화면을 표시하여 관리 대상자에게 사유서 작성을 유도할 수 있다. 사유서 요청 신호에 따른 화면은 문자 입력 화면과 사진 입력 아이콘(310) 및 위치 전송 아이콘(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관리 대상자가 사유서를 작성하여 전송하면, 입력된 텍스트, 증빙 사진 및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를 출퇴근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상술한 텍스트 정보, 증빙 사진,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 외에 위치 정보를 출퇴근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 대상자로부터 전송되는 텍스트 정보, 증빙 사진,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 또는 위치 정보에 따라 관리 대상자의 근태를 확실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동 단말(100)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태그(50)를 스캔하여 읽어올 수 있다. 이동 단말(100)은 태그를 스캔하면, 출퇴근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400,410)
이동 단말(100)은 태그(50)를 스캔하여 활성화된 출퇴근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작동에 의해 태그 정보와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를 출퇴근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출퇴근 관리 서버(200)는 태그 정보를 통해 태그(50)가 스캔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를 통해 관리 대상자를 파악할 수 있다.(420)
출퇴근 관리 서버(200)는 태그 정보와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가 도달한 시간이 출근 시간 이후이거나 퇴근 시간 이전인 경우, 지각이거나 조퇴하는 시간인 경우에 사유서 요청 신호를 이동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430,440)
이동 단말(100)은 출퇴근 관리 서버(200)로부터 사유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출퇴근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해당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사유서 요청을 유도하는 화면은 상술한 것처럼, 문자 입력 화면과 사진 입력 아이콘(310) 및 위치 전송 아이콘(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퇴근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사유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정보를 포함하여 출퇴근 관리 정보(지각 또는 조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450,460)
한편, 출퇴근 관리 서버(200)는 470단계에서 출근 시간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태그(50) 스캔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이동 단말(100)에 사유서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470, 440)
이동 단말(100)은 출퇴근 관리 서버(200)로부터 사유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출퇴근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 후, 사유서 요청을 유도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450)
출퇴근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사유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정보를 포함하여 출퇴근 관리 정보(결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460)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11)

  1.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읽어오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태그 정보와 미리 저장된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출퇴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이동 통신 모듈; 및
    상기 출퇴근 관리 서버로부터 사유서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사유서 작성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사유서 작성 화면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출퇴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관리 대상자의 출퇴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상기 관리 대상자의 출퇴근을 체크하기 위한 지역에 설치되며, 상기 지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이동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해 상기 태그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를 읽어오는 이동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유서 작성 화면은 문자 입력 화면, 사진 입력 아이콘 및 위치 전송 아이콘을 포함하며, 사유서 작성 시 상기 사진 입력 아이콘을 통해 증빙 사진을 첨부하며, 상기 위치 전송 아이콘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인 이동 단말.
  5. 이동 단말로부터 태그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태그 정보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태그 정보 관리 서버;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로부터 관리 대상자를 인식하는 관리 대상 정보 서버; 및
    상기 태그 정보로부터 추출된 위치 정보와, 상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로부터 인식된 관리 대상자 정보에 따라 출퇴근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를 포함하는 출퇴근 관리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정보 서버는 상기 관리 대상자를 인식하기 위한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 또는 관리 대상자의 사진을 저장하는 출퇴근 관리 서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 또는 상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면 상기 관리 대상자의 이동 단말로 사유서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출퇴근 관리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퇴근 관리 정보 생성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사유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유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출퇴근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출퇴근 관리 서버.
  9. 근거리 통신을 통해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읽고, 상기 태그 정보와 미리 저장된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 및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태그 정보와 상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태그 정보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로부터 상기 관리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여 출퇴근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출퇴근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출퇴근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퇴근 관리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태그 정보 또는 상기 관리 대상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로 사유서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출퇴근 관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사유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사유서 작성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사유서 작성 화면은 증빙 사진을 첨부하고,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출퇴근 관리 시스템.
KR1020130041719A 2013-04-16 2013-04-16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 KR101464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719A KR101464137B1 (ko) 2013-04-16 2013-04-16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719A KR101464137B1 (ko) 2013-04-16 2013-04-16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238A true KR20140124238A (ko) 2014-10-24
KR101464137B1 KR101464137B1 (ko) 2014-11-21

Family

ID=5199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719A KR101464137B1 (ko) 2013-04-16 2013-04-16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1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827A1 (ko) * 2014-09-26 2016-03-31 웹프라이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
KR101678472B1 (ko) * 2015-10-26 2016-11-23 주식회사 케이티 사설망 접속 관리 장치 및 이에 의한 사설망 접속 관리 방법, 이동통신 단말 및 이에 의한 사설망 접속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096A (ko) 2015-01-12 2016-08-29 김동관 근로 관리 시스템
KR20200089432A (ko) 2019-01-17 2020-07-27 엄상진 개인식별코드 정보를 활용한 출퇴근 관리시스템 및 출퇴근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2273A (ja) 2004-02-05 2005-08-18 Kunio Aso 勤怠管理システム及び勤怠管理方法、並びに勤怠管理サーバ及び携帯端末機
JP2007048127A (ja) * 2005-08-11 2007-02-22 Adc Technology Kk 出退管理システム、携帯通信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4949940B2 (ja) 2007-06-13 2012-06-13 アマノ株式会社 派遣業務用管理システム
JP2012073987A (ja) * 2010-09-28 2012-04-12 Discnics Inc 勤怠管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827A1 (ko) * 2014-09-26 2016-03-31 웹프라이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
KR101678472B1 (ko) * 2015-10-26 2016-11-23 주식회사 케이티 사설망 접속 관리 장치 및 이에 의한 사설망 접속 관리 방법, 이동통신 단말 및 이에 의한 사설망 접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137B1 (ko) 201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3703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22393B1 (ko) 모바일 단말의 자세 정보에 따라 구분된 인증값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시스템
US9391672B2 (e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KR101464137B1 (ko)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
US20180262501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close proximity identification of unmanned aerial systems
KR2016012463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9959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nd processing location information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210264755A1 (en) Doorbell system, location notification system, and intercom system
KR20150141321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US10397736B2 (en) Mobile terminal
KR20170019573A (ko) 스마트 파킹 시스템
US9412090B2 (e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KR20150021391A (ko) 교통카드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노선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8558893B1 (en) Head-up security display
US9946303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80106462A (ko) 위치기반 복지 포인트 가맹점에 대한 정보 제공과 복지 포인트 결제를 위한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20150163340A1 (en)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6047827A1 (ko) 이동 단말, 출퇴근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출퇴근 관리 시스템
CN105788072A (zh) 一种移动终端的刷卡方法及装置
KR20160053466A (ko) 지도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20160052280A (ko) 위치 정보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016111A (ko) 오디오 정보 수집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30051675A (ko) 전자 장치,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80119877A (ko) 전파 맵 생성 장치 및 방법
US20240022658A1 (en) Instigating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