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041B1 -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 - Google Patents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041B1
KR102248041B1 KR1020200012330A KR20200012330A KR102248041B1 KR 102248041 B1 KR102248041 B1 KR 102248041B1 KR 1020200012330 A KR1020200012330 A KR 1020200012330A KR 20200012330 A KR20200012330 A KR 20200012330A KR 102248041 B1 KR102248041 B1 KR 102248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flow path
working fluid
switching valve
path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빈
Original Assignee
정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빈 filed Critical 정수빈
Priority to KR102020001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 F16K11/1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which only slides, or only turns, or only swings in one plane
    • F16K11/163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which only slides, or only turns, or only swings in one plane only tu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는, 하나의 폐루프 라인 내에 유동되는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인포트와, 상기 인포트와 연통되거나 또는 액추에이터로부터 출수되는 상기 작동유체가 배출되는 제1 및 제2 포트와, 하부구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포트와 연통되는 아웃포트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싱; 상기 폐루프의 상기 작동유체의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선택적 회동에 따라 상기 인포트와 상기 제1 포트 또는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연통시켜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액추에이터로 공급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서 배출되는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제1 포트 또는 제2 포트 중 다른 하나로 입력받아 상기 아웃포트로 배출하는 로터리부; 및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는, 유로전환밸브가 장시간 고온 및 고압의 상태의 작동유체에 노출되더라도 로터리부 외면 상에 부가되는 접촉방지용 코팅층을 통해 로터리부의 표면이 마모되거나 또는 미세 크랙으로 인한 깨짐 현상이 줄어들며 로터리부와 하부케이싱 간의 접촉이나 마찰이 최소화되어 유로전환밸브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FLOW PATH VALVE FOR REDUCING BRITTLENESS ISSUE IN HIGH PRESSURE}
본 발명은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할 수 있는 프레스, 컴프레서 등에 사용되는 폐루프 형의 고압 작동유체의 유로 전환 시 발생되는 밸브 내 깨짐 현상이 최소화할 수 있는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장치는 유압, 공압 및 진공압등을 이용하여 실린더의 피스톤을 동작시키는 장치로서, 흔히 중장비나 안티 브레이크 시스템, 클러치 및 조향장치 등에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기계류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중장비인 포크레인, 로더 지게차 등의 경우에는 작은 힘으로 큰 동력을 얻기 위해 하나의 폐루프 라인 내에 작동유체의 극심한 온도 변화에 작동 밸브류가 노출되고, 고압의 상황에서 원활하게 작동되고 고압에서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밸브류가 장시간 고온 및 고압의 상태의 작동유체에 노출되게 되면 밸브류 표면이 마모되거나 또는 미세 크랙으로 인한 깨짐 현상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폐루프 내의 작동유체의 방향 전환을 위한 방향 전환부가 부가되는 밸브류의 경우에는 더욱이 상대회동 운동 등이 동반되어 밸브류 내의 각 부재간의 접촉이나 마찰 등으로 인해 소재의 취성 현상이 가속화되어 밸브류의 내구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유로전환밸브가 장시간 고온 및 고압의 상태의 작동유체에 노출되더라도 로터리부 외면 상에 부가되는 접촉방지용 코팅층을 통해 로터리부의 표면이 마모되거나 또는 미세 크랙으로 인한 깨짐 현상이 줄어들며 로터리부와 하부케이싱 간의 접촉이나 마찰이 최소화되어 유로전환밸브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는, 하나의 폐루프 라인 내에 유동되는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인포트와, 상기 인포트와 연통되거나 또는 액추에이터로부터 출수되는 상기 작동유체가 배출되는 제1 및 제2 포트와, 하부구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포트와 연통되는 아웃포트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싱; 상기 폐루프의 상기 작동유체의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선택적 회동에 따라 상기 인포트와 상기 제1 포트 또는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연통시켜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액추에이터로 공급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서 배출되는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제1 포트 또는 제2 포트 중 다른 하나로 입력받아 상기 아웃포트로 배출하는 로터리부; 및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부는 상기 하부케이싱 내경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공차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부 외면에는 불소계 고분자 재질이나 테프론계 소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접촉방지용 코팅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부는, 로터리몸체; 상기 로터리몸체의 외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쌍의 실링부; 상기 실링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입력유로와, 상기 제1 및 제2 입력유로와 연통되게 마련되는 출력유로; 및 상기 로터리몸체에 마련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방지용 코팅층은 한쌍의 상기 실링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 입력유로 또는 상기 제2 입력유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인포트에 연통되고, 상기 출력유로가 상기 제1 포트 또는 상기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며, 상기 제1 포트 또는 상기 제2 포트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배출유로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는 2개이며, 상기 배출유로는 중간 구역에 절곡되게 형성되며, 배출유로의 단부에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입력유로는 70도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제1 입력유로 또는 제2 입력유로 사이는 75도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는, 유로전환밸브가 장시간 고온 및 고압의 상태의 작동유체에 노출되더라도 로터리부 외면 상에 부가되는 접촉방지용 코팅층을 통해 로터리부의 표면이 마모되거나 또는 미세 크랙으로 인한 깨짐 현상이 줄어들며 로터리부와 하부케이싱 간의 접촉이나 마찰이 최소화되어 유로전환밸브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와 저장탱크 및 액추에이터의 하나의 폐루프라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하부케이싱의 측면도와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에서 로타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에서 상부커버의 상면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고압 유로전환밸브의 디폴트 위치에서 폐루프 내의 작동유체의 방향전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와 저장탱크 및 액추에이터의 하나의 폐루프라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의 상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하부케이싱의 측면도와 상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에서 로타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좌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에서 상부커버의 상면도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100)는 주로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하나의 폐루프 라인 내에 유동되는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0)에 연결되는 인포트(111)와, 상기 인포트(111)와 연통되거나 또는 액추에이터(20)로부터 출수되는 상기 작동유체가 배출되는 제1 및 제2 포트(112, 113)와, 하부구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포트(112, 113)와 연통되는 아웃포트(114)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싱(110); 상기 폐루프의 상기 작동유체의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싱(110)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선택적 회동에 따라 상기 인포트(111)와 상기 제1 포트(112) 또는 제2 포트(113) 중 어느 하나로 연통시켜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액추에이터(20)로 공급하고, 상기 액추에이터(20)에서 배출되는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제1 포트(112) 또는 제2 포트(113) 중 다른 하나로 입력받아 상기 아웃포트(114)로 배출하는 로터리부(130); 및 상기 하부케이싱(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폐루프 계가 마련될 수 있다. 폐루프 계에는 하나의 폐루프 라인 내에 유동되는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0)와, 내부에 유동되는 작동유체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20)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배관설비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배관설비 사이에 유로전환밸브(100)가 마련되어 액추에이터(20)의 구동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에서는 액추에이터(20)의 피스톤이 위에서 아래로 구동되는 유로흐름의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100)에는 도 2 및 도 3을 주로 참조하면, 하부케이싱(110)이 마련될 수 있다. 하부케이싱(110)은 저장탱크(10)에 연결되는 인포트(111)와, 상기 인포트(111)와 연통되거나 또는 액추에이터(20)로부터 출수되는 상기 작동유체가 배출되는 제1 및 제2 포트(112, 113)와, 하부구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포트(112, 113)와 연통되는 아웃포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b) 기준으로 볼때 하부케이싱(110)의 우측에는, 저장탱크(10)에서 인입되는 인포트(111)가 마련될 수 있다. 인포트(111)를 통해, 저장탱크(10) 내의 작동유체가 유로전환밸브(100)로 초기 인입될 수 있다.
하부케이싱(110)의 중앙에는 수용공(115)이 마련되며, 수용공(115)에는 로터리부(13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인포트(111)는 수용공(115)으로 연통되게 마련될 수 있다.
하부케이싱(110)에는 도 3의 (a)에 상부 구역, (b)의 좌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트(112)가 마련되고, 도 3의 (a)의 하부 구역, (b)의 좌측 하단에 제2 포트(11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포트(112, 113)는 수용공(115)에 연통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인포트(111)로 인입된 작동유체는 제1 인포트(112) 또는 제2 포트(113) 중 어느 하나(도 1, 도 2에서는 제1 포트(112))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액추에이터(20)로 공급될 수 있다.
하부케이싱(110)의 하부구역에는 아웃포트(114)가 마련될 수 있다. 아웃포트(114)는 수용공(115)의 저벽부에 연통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20)에서 배출되는 상기 작동유체는 상기 제1 포트(112) 또는 제2 포트(113) 중 다른 하나(도 1 및 도 2에서는 제2 포트(113))로 입력받아 상기 아웃포트(114)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아웃포트(114)는 도 3의 (a)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케이싱(110)의 측부로 나오게 마련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하부케이싱(110)의 저면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하부케이싱(110)의 수용공(115)에는 로터리부(13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부(130)는 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몸체(131); 상기 로터리몸체(131)의 외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쌍의 실링부(133); 상기 실링부(133) 사이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입력유로(135, 136)와, 상기 제1 및 제2 입력유로(135, 136)와 연통되게 마련되는 출력유로(137); 및 상기 로터리몸체(131)에 마련되는 배출유로(138)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몸체(131)는 대략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외면에 복수개의 실링부(13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부(130)는 상기 하부케이싱(110) 내경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공차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133)는 로터리몸체(13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단 구역과 하단 구역에 각각 2개씩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133)는 탄성 재질의 고분자 복합재를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고압에 견디는 재질이면 다른 재질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실링부(133)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실링부(133)가 로터리몸체(131)에 개재되면서 로터리몸체(131) 외경보다 실링부(133)의 최외곽 경계가 미세하게 증가될 수 있다.
로터리몸체(131)의 외면에는 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1 입력유로(135)와 제2 입력유로(136)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및 제2 입력유로(135, 136) 사이의 각도는 대략 70도 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출력유로(137)는 이러한 제1 및 제2 입력유로(135, 136)와 연통되게 마련될 수 있다. 출력유로(137)는 제1 입력유로(135)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145도 각도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유로(137)와, 제1 및 제2 입력유로(135, 136) 사이에는 복수개의 배출유로(138)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배출유로(138)는 2개이며, 상기 배출유로(138)는 중간 구역에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유로(138)의 하단 즉, 로터리몸체(131)의 하부면에는 배출공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유로(138)는 제1 입력유로(135)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75도 각도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며, 다른 하나의 배출유로(138)는 제2 입력유로(136)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75도 각도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로터리몸체(131)의 우측에는 스위칭로드(134)가 연결될 수 있으며, 스위칭로드(134)는 별도의 전환구동부와 연결되어 자동으로, 또는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로터리부(130)는 선택적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인포트(111)와 상기 제1 포트(112) 또는 제2 포트(113) 중 어느 하나로 연통시켜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액추에이터(20)로 공급하고, 상기 액추에이터(20)에서 배출되는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제1 포트(112) 또는 제2 포트(113) 중 다른 하나로 입력받아 상기 아웃포트(114)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케이싱(110)의 상면에는 상부커버(1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부커버(150)는 하부케이싱(110)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게 마련되되 로터리부(130)를 임의 이탈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부커버(150)에는 결합공(151)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밸브류가 장시간 고온 및 고압의 상태의 작동유체에 노출되게 되면 로터리부(130)나 하부케이싱(110) 내부 표면이 마모되거나 또는 미세 크랙으로 인한 깨짐 현상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폐루프 내의 작동유체의 방향 전환을 위해 상대회동 운동 등이 동반되게 되면 내부 표면이 접촉이나 마찰 등으로 인해 소재의 취성 현상이 가속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방지용 코팅층이 마련될 수 있다. 접촉방지용 코팅층은 상기 로터리부(130) 외면에 마련되되 복수의 실링부(133) 사이의 로터리몸체(131)의 중앙 구역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방지용 코팅층은 고압을 견디기 용이한 불소계 고분자 재질이나 테프론계 소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유로전환밸브(100)가 장시간 고온 및 고압의 상태의 작동유체에 노출되더라도 로터리부(130) 외면 상에 부가되는 접촉방지용 코팅층을 통해 로터리부(130)의 표면이 마모되거나 또는 미세 크랙으로 인한 깨짐 현상이 줄어들며 로터리부(130)와 하부케이싱(110) 간의 접촉이나 마찰이 최소화되어 유로전환밸브(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고압 유로전환밸브의 디폴트 위치에서 폐루프 내의 작동유체의 방향전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100)의 유로전환 과정을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폐루프계의 순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유로전환밸브(10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로터리부(13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즉, 인포트(111)와 제1 입력유로(135)가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고, 이에 따라 출력유로(137)는 제1 포트(112)와 상호 연통된다. 이때, 상부 측에 마련된 배출유로(138)는 아무런 기능을 수행하지 아니하고, 하부측에 마련된 배출유로(138)는 액추에이터(20)에서 빠져나온 작동유체가 제2 포트(113)를 거쳐 배출유로(138) 및 배출홀(139)을 거치게 된다.
이후 작동유체는 하부케이싱(110)의 하부로 유동되어 아웃포트(114)로 빠져나간다. 빠져나간 작동유체는 배관을 거쳐 저장탱크(10)로 인입된다. 이 과정에서, 액추에이터(20)의 피스톤은 위에서 아래로 구동될 수 있다.
반면, 유로전환 과정을 설명하면, 이때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로터리부(130)가 대략 70도 정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회동 동작은 자동 또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인포트(111)에는 제2 입력유로(136)가 연통되고, 출력유로(137)는 제2 포트(113)와 상호 연통된다.
액추에이터(20)에서 출력된 작동유체는 제1 포트(112)로 인입되고 상부 측에 배치된 배출유로(138)를 활용하여 아웃포트(114)를 거쳐 저장탱크(10)로 들어간다. 즉, 도 1의 반대방향의 유로흐름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서 피스톤은 액추에이터(20)의 상부측(도 1의 화살표의 반대방향)으로 밀어올려질 수 있다.
이처럼, 유로전환밸브(100)의 단순한 로터리부(130)의 회동 동작에 의해 폐루프의 작동유체의 흐름방향이 전환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로터리부(130)의 유로전환 과정에서 로터리몸체(131)의 외면에 마련되는 접촉방지용 코팅층은 하부케이싱(110) 내벽과의 접촉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고압의 작동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전환밸브(100)가 장시간 고온 및 고압의 상태의 작동유체에 노출되더라도 로터리부(130) 외면 상에 부가되는 접촉방지용 코팅층을 통해 로터리부(130)의 표면이 마모되거나 또는 미세 크랙으로 인한 깨짐 현상이 줄어들며 로터리부(130)와 하부케이싱(110) 간의 접촉이나 마찰이 최소화되어 유로전환밸브(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저장탱크 20 : 액추에이터
100 : 유로전환밸브 110 : 하부케이싱
111 : 인포트 112, 113 : 제1 및 제2 포트
114 : 아웃포트 115 : 수용공
130 : 로터리부 131 : 로터리몸체
132 : 접촉방지용 코팅층 133 : 실링부
134 : 스위칭로드 135, 136 : 제1 및 제2 입력유로
137 : 출력유로 138 : 배출유로
139 : 배출홀 150 : 상부커버
151 : 결합공

Claims (8)

  1. 하나의 폐루프 라인 내에 유동되는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인포트와, 상기 인포트와 연통되거나 또는 액추에이터로부터 출수되는 상기 작동유체가 배출되는 제1 및 제2 포트와, 하부구역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포트와 연통되는 아웃포트를 포함하는 하부케이싱;
    상기 폐루프의 상기 작동유체의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선택적 회동에 따라 상기 인포트와 상기 제1 포트 또는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연통시켜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액추에이터로 공급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서 배출되는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제1 포트 또는 제2 포트 중 다른 하나로 입력받아 상기 아웃포트로 배출하는 로터리부; 및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부는,
    로터리몸체;
    상기 로터리몸체의 외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쌍의 실링부;
    상기 실링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입력유로와, 상기 제1 및 제2 입력유로와 연통되게 마련되는 출력유로; 및
    상기 로터리몸체에 마련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부는 상기 하부케이싱 내경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공차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부 외면에는 불소계 고분자 재질이나 테프론계 소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접촉방지용 코팅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방지용 코팅층은 한쌍의 상기 실링부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 입력유로 또는 상기 제2 입력유로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인포트에 연통되고,
    상기 출력유로가 상기 제1 포트 또는 상기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며,
    상기 제1 포트 또는 상기 제2 포트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배출유로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2개이며,
    상기 배출유로는 중간 구역에 절곡되게 형성되며,
    싱가 배출유로의 단부에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입력유로는 70도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유로와 상기 제1 입력유로 또는 제2 입력유로 사이는 75도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
KR1020200012330A 2020-02-03 2020-02-03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 KR102248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30A KR102248041B1 (ko) 2020-02-03 2020-02-03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30A KR102248041B1 (ko) 2020-02-03 2020-02-03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041B1 true KR102248041B1 (ko) 2021-05-04

Family

ID=7591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330A KR102248041B1 (ko) 2020-02-03 2020-02-03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0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8025A (ja) * 2001-02-06 2002-08-14 Soken Chem & Eng Co Ltd ポートシール部材、多方向切換バルブ及び流体の方向切換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8025A (ja) * 2001-02-06 2002-08-14 Soken Chem & Eng Co Ltd ポートシール部材、多方向切換バルブ及び流体の方向切換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2738A (en) Two-way valve of the seated type
JP6773418B2 (ja) 方向切換弁及び油圧システム
JP6773421B2 (ja) 方向切換弁及び油圧システム
CN107061404B (zh) 方向切换阀和液压系统
KR102248041B1 (ko) 취성 현상이 저감되는 고압 유로전환밸브
CN104421462A (zh) 一种旋转高低压切换阀
KR101831494B1 (ko) 방향 전환 밸브
EP1029186B1 (en) A valve arrangememt
US5494254A (en) Rotary shut off valve
KR100899776B1 (ko) 밸브 개폐용 유압식 조작기의 수동조절장치
JP6552829B2 (ja) 方向切換弁
CN110030219B (zh) 先导换向阀和包括所述先导换向阀的阀系统
US4480662A (en) Hydraulic system valve
WO2018173843A1 (ja) 多連方向切換弁
KR101990319B1 (ko) 정유압 변속장치용 복합 밸브
US20120160328A1 (en) Hydraulic swivel
KR101779194B1 (ko) 건설장비의 작동유 제어장치
JP2007321890A (ja) ロータリーサーボバルブ
JP7185513B2 (ja) 液圧駆動装置
JP3787063B2 (ja) 可変容量ポンプの吐出量制御装置
JP2019060373A (ja) 液圧モータ制御装置
CN214787962U (zh) 一种泵头和柱塞泵
JPS61116103A (ja) 2速合流回路
KR102489675B1 (ko) 유압 밸브 및 농업용 트랙터 프론트 로더의 유압 제어장치
JPH04258507A (ja) 負荷圧検出型の液圧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