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746B1 -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746B1
KR102244746B1 KR1020160035689A KR20160035689A KR102244746B1 KR 102244746 B1 KR102244746 B1 KR 102244746B1 KR 1020160035689 A KR1020160035689 A KR 1020160035689A KR 20160035689 A KR20160035689 A KR 20160035689A KR 102244746 B1 KR102244746 B1 KR 102244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ember
fixing
fixing aid
protrusion
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224A (ko
Inventor
겐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7Outer coverings for walls with ventil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elements, e.g. at the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04B2001/405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과제]시공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주기둥(22) 및 샛기둥(24)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배치된 외벽 부재(30)의 좌우 접합부(J)를 간접적으로 주기둥(22) 및 샛기둥(24)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보조구(1)에 돌출편부(6)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편부(6)는 고정 보조구(1)를 주기둥(22) 및 샛기둥(24)에 부착하여 고정할 때에, 외벽 부재(30)의 하실부(32)의 상단면(32a)에 당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 보조구(1)를 하실부(32)의 상단면(32a)에 가배치한 상태에서 주기둥(22) 및 샛기둥(24)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및 그 시공 방법{AUXILIARY SECURING SUPPORT AND METHOD INSTA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의 구조 골조에 외벽 부재를 부착할 때에 사용하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기둥(column)이나 샛기둥(stud)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인접하는 외벽 부재의 접합부가 위치하는 경우에, 접합 부분에서 외벽 부재를 계지(係止)하기 위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를 건물의 구조 골조의 기둥이나 샛기둥에 고정하기 위한 기다란 고정 보조구가 기재되어 있다. 이 고정구와 고정 보조구에 의하여 기둥이나 샛기둥의 사이에 외벽 부재의 접합부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접합 부분에서 외벽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고정 보조구에 비해 길이 방향의 길이가 짧은 고정구가 외벽 부재로부터의 입력(예를 들어, 풍압(風壓))을 받는 구성이므로, 고정 보조구에 대한 부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이로써 고정 보조구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일본 특허공보 제3867719호
건물의 구조 골조의 기둥이나 샛기둥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외벽 부재의 접합부가 위치하는 경우에, 접합 부분에서 외벽 부재를 구조 골조에 고정할 경우, 우선, 하측에 배치한 외벽 부재의 상단부에서, 상기 접합부를 넘어서 고정 보조구를 외벽 부재의 뒷면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한 후에, 고정 보조구를 가까이에 위치하는 기둥이나 샛기둥에 나사나 못 등으로 고정한다.
이어서, 외벽 부재의 접합부의 상단부에 고정구를 계지시키고, 상기 상태에서 고정구를 고정 보조구에 나사나 못 등으로 고정한다. 이로써, 기둥이나 샛기둥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접합부가 위치하는 외벽 부재가 접합 부분에서도 간접적으로 근방의 기둥이나 샛기둥에 고정된다.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에서는, 고정 보조구가 기다랗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둥이나 샛기둥에 대하여 고정 보조구를 수평으로 부착하기가 곤란하다. 게다가, 기둥이나 샛기둥과 외벽 부재와의 사이에는 통기성이나 빗물의 배출성을 고려해서 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 보조구가 상기 틈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면서 고정 보조구를 기둥이나 샛기둥에 부착할 필요가 있어, 고정 보조구의 시공성에 더욱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공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종재(縱材)를 갖는 건물의 구조 골조에 외벽 부재를, 고정구를 통하여 상기 종재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이다. 고정 보조구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를 고정할 수 있는 평면부를 갖고, 상기 종재에 고정할 수 있는 본체부와, 상기 외벽 부재의 상기 상변부(upper side portion)에 당접하도록, 상기 평면부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기 외벽 부재의 외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시공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형태의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인접하는 외벽 부재의 접합부가 건물의 구조 골조에서의 종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외벽 부재의 접합부를, 고정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상기 종재에 부착 가능한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이다. 고정 보조구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를 고정할 수 있는 평면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종재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 본체부와, 상기 외벽 부재가 상기 종재에 고정될 때에, 연직 방향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외벽 부재의 상변부에 당접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종재」란 전형적으로는 주기둥이나 샛기둥이 해당되지만, 주기둥이나 샛기둥에 부착하여 고정된 띠장(furring strip)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종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란 주기둥 사이나, 주기둥과 샛기둥 사이, 또는 샛기둥 사이가 해당된다.
본 형태에 의하면, 고정 보조구를 종재에 고정할 때에, 돌출부를 외벽 부재의 상변부에 당접한 상태, 즉 고정 보조구를 외벽 부재의 상변부에 가배치한 상태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고정 보조구를 용이하게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기성이나 빗물의 배출성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종재(기둥이나 샛기둥, 띠장)와 외벽 부재 사이의 틈으로의 고정 보조구의 낙하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고정 보조구의 시공성이 향상된다.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돌출부를 복수 갖고 있다.
본 제 2 형태에 의하면, 고정 보조구를 외벽 부재의 상변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고정 보조구의 수평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제 3 형태에 의하면, 돌출부는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부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제 3 형태에 의하면, 고정 보조구를 외벽 부재의 상변부에 안정적으로 가배치할 수 있는 구성을 최소한의 돌출부로 실현할 수 있다.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제 4 형태에 의하면, 돌출부는 본체부의 하단부의 일부를 잘라서 구부려 올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4 형태에 의하면, 돌출부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제 5 형태에 의하면, 본체부는 종재에 당접하는 제 1 평판부와, 평면부를 갖는 동시에 제 1 평판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평판부와, 제 1 및 제 2 평판부를 단차 형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있다. 또한, 접속부는 제 2 평판부를 제 1 평판부에 대하여 돌출부의 돌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는 제 2 평판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5 형태에 의하면, 고정 보조구가 단차 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외벽 부재와 종재 사이에 틈을 갖는 상태에서 외벽 부재를 종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써, 통기성 및 빗물의 배출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제 6 형태에 의하면, 돌출부는 외벽 부재의 상변부에 계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6 형태에 의하면, 외벽 부재의 상변부에 가배치한 고정 보조구가 앞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고정 보조구를 보다 안정적으로 외벽 부재의 상변부에 가배치할 수 있고, 시공성이 보다 향상된다.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제 7 형태에 의하면, 상기 상변부는 상기 외벽 부재가 부착되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구성하는 수평면부와, 상기 수평면부에 대하여 경사진 면을 구성하는 경사면부를 갖고 있다. 또한, 돌출부는 수평면부에 당접하는 당접부와, 경사면부를 계지 가능한 계지부를 갖고 있다. 그리고, 당접부와 계지부로 구성되는 협각(夾角)이 수평면부와 경사면부로 구성되는 협각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7 형태에 의하면, 외벽 부재가 앞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하면서도 계지부와 외벽 부재의 계합(係合) 불량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제 8 형태에 의하면, 계지부는 당접부의 일부를 연직 방향 하측으로 구부림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 8 형태에 의하면, 계지부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시공 방법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건물의 구조 골조에서의 종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는 외벽 부재의 접합부를, 고정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종재에 고정하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시공 방법이 구성된다. 상기 시공 방법에서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를 준비하고, 외벽 부재를 종재에 부착할 때에 연직 방향 상측에 배치되는 외벽 부재의 상변부에 돌출부를 당접시켜서 고정 보조구를 가배치하고, 본체부가 외벽 부재의 접합부를 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고정 보조구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고,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 보조구를 종재에 고정한다.
본 형태의 고정 보조구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어느 하나의 형태의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를 사용하는 구성이므로, 고정 보조구를 종재에 고정할 때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 보조구(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 보조구(1)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 보조구(1)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 보조구(1)를 사용하여 외벽 부재(30)를 고정한 모습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 보조구(1)를 사용하여 외벽 부재(30)를 고정한 모습을 도 4의 화살표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고정 금구(64)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변형예의 고정 보조구(100)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8은 제 1 변형예의 고정 보조구(100)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제 2 변형예의 고정 보조구(200)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예]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 보조구」로서의 고정 보조구(1)는 예를 들어 약 0.8mm 내지 약 1.2mm의 두께를 갖는 기다란 강판, 예를 들어, 내식성 처리 강판 등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고정 보조구(1)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로폭)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주기둥(22) 및 샛기둥(24) 간의 거리(M)(예를 들어, 약 500mm)보다도 긴 치수(L)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 보조구(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주기둥(22) 및 샛기둥(24)에 상당하는 당접 평판부(2)와, 상기 당접 평판부(2)에 대하여 단차부(1a)로 연속 형성된 주평판부(4)와, 주평판부(4)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돌출편부(6)를 구비하고 있다. 당접 평판부(2) 및 주평판부(4)는 「본체부」의 일례이고, 당접 평판부(2)는 「제 1 평판부」의 일례이고, 주평판부(4)는 「제 2 평판부」의 일례이다. 또한, 단차부(1a)는 「접속부」의 일례이고, 돌출편부(6)는 「돌출부」의 일례이다.
당접 평판부(2)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구멍(2a, 2b)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a)은 간격(p)으로 등간격(예를 들어, 약 10mm 내지 약 15mm 간격)으로 3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당접 평판부(2)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멍(2b)은 당접 평판부(20)의 양 단부에 배치된 구멍(2a)에 끼이도록 간격(s)(예를 들어, 약 50mm 내지 약 150mm 간격)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간격(p)은 간격(s)보다도 작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3개의 구멍(2a) 중, 당접 평판부(2)의 길이 방향에서 가장 중앙 근처에 배치된 구멍(2a)에 인접하는 구멍(2b)과, 3개의 구멍(2a) 중의 중앙에 위치하는 구멍(2a)과의 간격은 구멍(2b)간의 간격과 같은 간격(s)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멍(2a)을 간격(p)으로 연속해서 3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지역에 따라 주기둥(22) 및 샛기둥(24) 간의 치수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1종류의 고정 보조구(1)만으로 양호하게 대응할 수 있다.
주평판부(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부(1a)와 접속되는 상단부(4a)와는 반대측의 하단부(4b)가 구부려짐으로써 구성된 절곡부(5)를 갖고 있다. 절곡부(5)는 돌출편부(6)의 돌출 방향(도 4의 좌방향)과는 반대 방향에 직각으로 구부려진 제 1 절곡부(5a)와, 상기 제 1 절곡부(5a)로부터 단차부(1a)를 향해서 더 직각으로 구부려진 제 2 절곡부(5b)를 갖고 있다. 절곡부(5)는 제 2 절곡부(5b)가 당접 평판부(2)와 같은 평면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돌출편부(6)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평판부(4)의 하단부(4b)측의 양단의 각부(角部)에 절개를 넣어 굴곡시키고, 잘라서 구부려 올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편부(6)의 돌출량(D)은 후술하는 고정 금구(64)의 단차높이(x)(도 5, 6 참조)보다도 크고, 후술하는 하실부(下實部;lower shiplap portion)(32)의 두께(t)와 고정 금구(64)의 단차 높이(x)를 서로 더한 값보다도 작은 값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5 참조). 즉, 돌출편부(6)의 선단(先端)은 외벽 부재(30)의 외표면에 노출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외벽 부재(30)의 미관을 해칠 일은 없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 보조구(1)를 사용한 외벽 부재(30)의 시공,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M)(예를 들어, 미터 모듈로서 간격 500mm)으로 배치된 주기둥(22)과 샛기둥(24) 사이에 배치되는 외벽 부재(30)의 좌우 접합부(J)의 고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벽 부재(30)의 길이 방향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외벽 부재(30)를 부착하는 수평 부착 공법에 의한 시공의 경우를 설명한다. 좌우 접합부(J)는 「접합부」의 일례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4의 지면 윗 방향을 「상방」 내지 「상측」으로 규정하고, 도 4의 지면 아래 방향을 「하방」 내지 「하측」으로 규정한다. 또한, 도 4의 지면 앞 방향을 「전방」 내지 「전면측」으로 규정하고, 도 4의 지면 뒷 방향을 「후방」 내지 「후면측」으로 규정한다.
우선, 주기둥(22) 및 샛기둥(24)의 전면측에 적절한 방법에 의해 외벽 부재(30)를 고정한다.
본 실시형태의 외벽 부재(30)는 4변의 각각에 있어서 판 두께가 대략 절반씩이 잘려나가, 인접하는 외벽 부재(30)의 단부끼리를 포개기 위한 중합부가 되는 소위 실부(實部; shiplap portion)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4변의 각각의 실부를 갖고 있으므로, 소위 사방 반턱 쪽매 이음 구조(shiplap structure)로 구성되어 있다. 즉, 외벽 부재(30)의 상변부에는 하실부(32)를 갖고, 하변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실부(上實部; upper shiplap portion)를 갖는다. 좌우의 변부에도 각각 도시하지 않은 상실부와 하실부를 갖는다. 이로써, 외벽 부재(30)의 상하 좌우의 접합부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고, 외관의 의장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의 하실부(32)는 도 5,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에 평면상의 상단면(32a)과, 외벽 부재(30)의 표면측에 경사면(32b)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 실부의 형상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단면만의 경우나, 실부의 상단의 평면 부분을 거의 갖지 않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형상 등 각종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잇다.
주기둥(22) 및 샛기둥(24)은 「종재」의 일례이다.
다음에, 주기둥(22) 및 샛기둥(24)에 고정된 상기 외벽 부재(30)의 상방에 있어서, 주기둥(22) 및 샛기둥(24) 사이에 걸쳐 고정 보조구(1)를 주기둥(22) 및 샛기둥(24)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고정 보조구(1)의 주기둥(22) 및 샛기둥(24)으로의 부착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접 평판부(2) 및 제 2 절곡부(5b)를 주기둥(22) 및 샛기둥(24)에 당접시킨 상태에서, 구멍(2a)을 통하여 못(80) 등을 박아 넣음으로서 행할 수 있다. 이때, 구멍(2a)이 간격(p)으로 연속해서 3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 보조구(1)의 길이 방향(수평 방향)의 위치 조정이 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 보조구(1)와 주기둥(22) 및 샛기둥(24) 사이에는 방수 시트(50)가 부착된다.
못(80)은 「체결 부재」의 일례이다.
여기에서, 고정 보조구(1)에는, 돌출편부(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편부(6)를 외벽 부재(30)의 상단부에 형성된 하실부(32)의 상단면(32a)에 당접시킨 상태, 즉, 고정 보조구(1)를 하실부(32)의 상단면(32a)에 가배치한 상태에서, 고정 보조구(1)의 주기둥(22) 및 샛기둥(24)으로의 부착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고정 보조구(1)를 주기둥(22) 및 샛기둥(24)에 대하여 정밀도 좋게 수평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하실부(32)의 상단면(32a)은 「외벽 부재의 상변부」 및 「수평면부」의 일례이다.
또한, 돌출편부(6)는 주평판부(4)의 하단부(4b)측의 양단 각부를 잘라서 구부려 올리는 것뿐이므로, 고정 보조구(1)를 주기둥(22) 및 샛기둥(24)으로 고정할 때에, 상기 고정 보조구(1)를 수평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하실부(32)의 상단면(32a)에 가배치하여 두기 위한 구성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주기둥(22) 및 샛기둥(24)과 외벽 부재(30) 사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성 및 빗물의 배출성 등을 고려하여 틈(CL)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보조구(1)의 주기둥(22) 및 샛기둥(24)으로 설치할 때에는, 고정 보조구(1)가 상기 틈(CL)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편부(6)에 의해 고정 보조구(1)의 틈(CL)으로의 낙하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고정 보조구(1)의 주기둥(22) 및 샛기둥(24)으로의 고정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외벽 부재(30) 중 주기둥(22) 및 샛기둥(24)으로 지지되는 부분에서의 하실부(32)에 고정 금구(62)를 계지시키고, 상기 상태에서 고정 금구(62)를 고정 보조구(1)의 주평판부(4)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으로 부착하여 고정한다.
한편, 외벽 부재(30) 중 주기둥(22)과 샛기둥(24) 사이에 배치되는 인접하는 외벽 부재(30)의 좌우 접합부(J)에서는 좌우의 외벽 부재(30)의 각각의 하실부(32)에 걸쳐서 고정 금구(64)를 계지시키고, 고정 금구(64)를 고정 보조구(1)의 주평판부(4)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으로 부착하여 고정한다. 고정 금구(62, 64)는 「고정구」의 일례이다.
여기에서, 고정 금구(6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 부재(30)의 상실부와 하실부(32)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부(64a)를 갖는다. 이 계지부(64a)의 상방(도 6의 윗 방향)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금구(64)를 고정 보조구(1)의 주평판부(4)에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나사 등을 삽입시키기 위한 부착 구멍(6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지부(64a)보다도 하방(도 6의 아래 방향)에는 계지부(64a)의 돌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돌출 벽부(64b)를 갖고 있다. 돌출 벽부(64b)는 평판부(64c)에 대하여 직각이 되도록 평판부(64c)에 늘어지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 벽부(64b)의 높이(h)(평판부(64c)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의 거리)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 부재(30)의 하실부(32)의 두께(t)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 금구(64)는 좌우 양 외벽 부재(30)의 양 하실부(32)를 계지할 때에, 돌출 벽부(64b)가 외벽 부재(30)의 좌우 접합부(J) 내에 배치된다. 즉, 고정 금구(64)는 돌출 벽부(64b)가 좌측 외벽 부재(30)의 우단부와 우측 외벽 부재(30)의 좌단부 사이에 끼인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고정 금구(64)를 설치함으로써, 외벽 부재(30)의 좌우 방향의 어긋남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금구(62)는 도 6에 도시한 고정 금구(64)로부터 평판부(64c)와 돌출 벽부(64b)를 제외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이다. 즉, 외벽 부재(30)의 상실부 및 하실부(32)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부(64a)와, 이 계지부의 상방에 고정 금구(62)를 고정 보조구(1)의 주평판부(4)에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나사 등을 삽입시키기 위한 부착 구멍을 갖고 있다.
이렇게 해서 주기둥(22)과 샛기둥(24) 사이에 위치하는 외벽 부재(30)의 좌우 접합부(J)가 고정 보조구(1)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주기둥(22) 및 샛기둥(24)에 고정되므로, 상기 좌우 접합부(J)에서의 인접하는 외벽 부재(30)의 안정적인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외벽 부재(30)를 직접 계지하는 것은 고정 보조구(1)보다도 짧게 구성된 고정 금구(62, 64)이기 때문에, 고정 보조구(1)가 직접 외벽 부재(30)를 계지하는 구성에 비하여 외벽 부재(30)의 부착 강성(剛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보조구(1)에 작용하는 외벽 부재(30)로부터의 입력(예를 들어, 풍압)에 대한 부하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으므로, 고정 보조구(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편부(6)가 하실부(32)의 상단면(32a)에만 당접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제 1 변형예의 고정 보조구(100)와 같이, 돌출편부(106)가 하실부(32)의 상단면(32a)에 당접되는 당접부(106a) 뿐만 아니라, 하실부(32)의 경사면(32b)을 계지 가능한 계지부(106b)를 갖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계지부(106b)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접부(106a)의 선단의 일부를 주평판부(104)의 하단부(104b)측을 향해서 절곡 가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당접부(106a)와 계지부(106b)로 구성되는 협각(α)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실부(32)의 상단면(32a)과 경사면(32b)으로 구성되는 협각(β)보다도 약간 큰 값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경사면(32b)은 「경사면부」의 일례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돌출편부(106)의 계지부(106b)를 하실부(32)에 계지시킨 상태에서, 고정 보조구(100)를 주기둥(22) 및 샛기둥(24)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하실부(32)의 상단면(32a)에 가배치하였을 때에, 고정 보조구(100)가 앞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고정 보조구(1)의 시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협각(α)이 협각(β)보다도 약간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외벽 부재(32)가 앞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하면서도 계지부(106b)와 하실부(32)의 계합 불량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및 제 1 변형예에서는 고정 보조구(1, 100)를 주기둥(22) 및 샛기둥(24)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고정 보조구(1, 100)를 띠장을 통하여 주기둥(22) 및 샛기둥(24)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 및 제 1 변형예에서는 고정 보조구(1, 100)를 주기둥(22) 및 샛기둥(24) 사이에 걸쳐서 부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고정 보조구(1, 100)를 주기둥(22) 및 샛기둥(24)의 어느 한쪽에만 부착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 및 제 1 변형예에서는 주평판부(4, 104)의 하단부(4b, 104b)측의 양단 각부를 잘라서 구부려 올림으로써 돌출편부(6, 106)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주평판부(4, 104)의 하단부(4b, 104b)측의 길이 방향 중앙 근처 부분을 잘라서 구부려 올림으로써 돌출편부(6, 106)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주평판부(4, 104)의 상단부(4a, 104a)를 잘라서 구부려 올림으로써 돌출편부(6, 106)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단부(4a)와 하단부(4b) 사이의 부분, 또는 상단부(104a)와 하단부(104b) 사이의 부분[주평판부(4, 104)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의 중앙부분]을 잘라서 구부려 올림으로써 돌출편부(6, 106)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 및 제 1 변형예에서는 돌출편부(6, 106)를 2개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돌출편부(6, 106)는 하나라도 좋고, 3개 이상 형성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 및 제 1 변형예에서는 제 2 절곡부(5b, 105b)를, 제 1 절곡부(5a, 105a)로부터 단차부(1a, 100a)를 향해서 직각으로 구부려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는데, 제 2 절곡부(5b, 105b)를 반대 방향, 즉, 제 1 절곡부(5a, 105a)로부터 하방[단차부(1a, 100a)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직각으로 구부려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는, 제 2 절곡부(5b, 105b)는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형태 및 제 1 변형예에서는 고정 보조구(1, 100)에 각각 단차부(1a, 100a)를 형성함으로써 단차 형상으로 구성했지만, 도 10에 도시한 제 2 변형예의 고정 보조구(200)와 같이, 단차부를 갖지 않는 평판 형상으로 구성해도 좋다. 즉, 고정 보조구(200)는 주기둥(22) 및 샛기둥(24)으로의 당접면 및 고정 금구(62, 64)가 당접하는 당접면이 하나의 평면인 판 형상의 평판부(202)와, 상기 평판부(202)의 하단부(202a)측의 양단 각부를 잘라서 구부려 올림으로써 형성된 돌출편부(206)로 구성된다. 또한, 평판부(202)의 상단부(202b)측이고 길이 방향 양단 근처에는 구멍(202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202c)을 통하여 못 등을 박아넣음으로써, 고정 보조구(200)를 주기둥(22) 및 샛기둥(24)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보조구를 외벽 부재(30)의 4변에 실부를 갖는 사방반턱 쪽매 이음 구조(shiplap structure)로 구성된 외벽 부재(30)를 부착하는 경우에 적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벽 부재(30)의 상하 단부에만 실부를 갖고, 좌우 단부에는 실부를 갖지 않는 단순한 평면상의 측면을 갖는 외벽 부재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좌우의 측면은 단순히 충접(衝接)시켜서 부착된다. 이 경우, 고정 보조구(1)의 좌우 접합부(J)에 대응하는 위치에 줄눈바닥(joint bottom)을 구성하는 화장재(joiner)를 부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외벽 부재(30)의 좌우 접합부(J)로부터 줄눈바닥을 향해서 실링재를 충진함으로써 좌우 접합부(J)에 형성되는 틈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100, 200: 고정 보조구(고정 보조구)
1a, 101a: 단차(접속부)
2, 102: 당접 평판부(본체부, 제 1 평판부)
2a, 2b, 102a, 102b, 202c: 구멍
4, 104: 주평판부(본체부, 제 2 평판부)
4a, 104a, 202b: 상단부
4b, 104b, 202a: 하단부
5: 절곡부
5a: 제 1 절곡부
5b: 제 2 절곡부
6, 106, 206: 돌출편부(돌출부)
106a: 당접부(당접부)
106b: 계지부(계지부)
22: 주기둥(종재)
24: 샛기둥(종재)
30: 외벽 부재(외벽 부재)
32: 하실부
32a: 상단면(상변부, 수평면부)
32b: 경사면(경사면부)
50: 방수 시트
62, 64: 고정 금구(고정구)
64a: 계지부
64b: 돌출 벽부
64c: 평판부
80: 못(체결 부재)
J: 좌우 접합부(접합부)
h: 돌출 벽부(64b)의 높이
t: 하실부(32)의 두께
CL: 외벽 부재(30)와 주기둥(22) 및 샛기둥(24) 사이의 틈
p: 구멍(2a) 사이의 간격
s: 구멍(2b) 사이의 간격
L: 고정 보조구(1)의 길이 방향 치수
x: 고정 금구(64)의 단차 높이
α: 당접부(106a)와 계지부(106b)로 구성되는 협각
β: 하실부(32)의 상단면(32a)과 경사면(32b)으로 구성되는 협각

Claims (20)

  1. 복수의 종재(縱材)를 갖는 건물의 구조 골조에 외벽 부재를, 고정구를 통하여 상기 종재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로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를 고정할 수 있는 평면부를 갖고, 상기 종재에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외벽 부재의 상변부(upper side portion)에 당접하도록, 상기 평면부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기 외벽 부재의 외표면에 노출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종재에 당접하는 제 1 평판부와, 상기 평면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제 1 평판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평판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평판부를 단차 형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 2 평판부를 상기 제 1 평판부에 대하여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평판부에 형성되어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부재는 적어도 상변부와 하변부에 실부(shiplap portion)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벽 부재의 상기 상변부의 상기 실부의 상단부에 당접하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벽 부재의 상기 상변부에 형성된 상기 실부의 상기 상단부의 평면부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본체부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평면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복수 갖고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 단부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어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부를 잘라서 구부려 올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부재는 적어도 상변부와 하변부에 실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벽 부재의 상기 상변부의 상기 실부에 형성된 경사상의 경사면부에 감합(嵌合) 가능하게 경사져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부재는 적어도 상변부와 하변부에 실부를 갖고,
    상기 상변부의 상기 실부는 수평면부와, 상기 수평면부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부를 갖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평면부에 당접하는 당접부와, 상기 경사면부를 계지 가능한 계지부(係止部)를 갖고,
    상기 당접부와 상기 계지부로 구성되는 협각이 상기 수평면부와 상기 경사면부로 구성되는 협각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상기 당접부의 일부를 연직 방향 하측으로 구부림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10. 외벽 부재를, 복수의 종재를 갖는 건물의 구조 골조에, 고정구를 통하여 상기 종재에 부착하기 위한 상기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시공 방법으로서,
    제 1 항에 기재된 상기 고정 보조구를 준비하고,
    미리 배치된 상기 외벽 부재의 상변부에 상기 돌출부를 당접시켜서 상기 고정 보조구를 가배치하고,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가배치한 상기 고정 보조구의 상기 본체부를 상기 종재에 고정하고,
    상기 고정구를 상기 평면부에 고정하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시공 방법.
  11. 인접하는 외벽 부재의 접합부가, 건물의 구조 골조에서의 종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외벽 부재의 접합부를, 고정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상기 종재에 부착 가능한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로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를 고정할 수 있는 평면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종재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 본체부와,
    상기 외벽 부재가 상기 종재에 고정될 때에, 연직 방향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외벽 부재의 상변부에 당접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종재에 당접하는 제 1 평판부와, 상기 평면부를 갖는 동시에 상기 제 1 평판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평판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평판부를 단차 형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 2 평판부를 상기 제 1 평판부에 대하여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2 평판부에 형성되어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복수 갖고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 단부에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어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종재에 고정될 때에 연직 방향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의 일부를 잘라서 구부려 올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벽 부재에 계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부는 상기 외벽 부재가 부착되었을 때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구성하는 수평면부와, 상기 수평면부에 대하여 경사진 면을 구성하는 경사면부를 갖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평면부에 당접하는 당접부와, 상기 경사면부를 계지 가능한 계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당접부와 상기 계지부로 구성되는 협각이 상기 수평면부와 상기 경사면부로 구성되는 협각보다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상기 당접부의 일부를 연직 방향 하측으로 구부림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18. 건물의 구조 골조에서의 종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배치된 외벽 부재의 접합부를, 고정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상기 종재에 고정하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시공 방법으로서,
    제 11 항에 기재된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를 준비하고,
    상기 외벽 부재를 상기 종재에 고정할 때에, 연직 방향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외벽 부재의 상변부에 상기 돌출부를 당접시켜서 상기 고정 보조구를 가배치하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외벽 부재의 접합부를 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 보조구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고,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 보조구를 상기 종재에 고정하는,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의 시공 방법.
  19. 삭제
  20. 삭제
KR1020160035689A 2015-03-31 2016-03-25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및 그 시공 방법 KR102244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1644A JP6548427B2 (ja) 2015-03-31 2015-03-31 外壁部材の留付補助具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JP-P-2015-071644 201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224A KR20160117224A (ko) 2016-10-10
KR102244746B1 true KR102244746B1 (ko) 2021-04-28

Family

ID=5699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689A KR102244746B1 (ko) 2015-03-31 2016-03-25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17738B2 (ko)
JP (1) JP6548427B2 (ko)
KR (1) KR102244746B1 (ko)
CN (1) CN106013690B (ko)
AU (1) AU2015246179B2 (ko)
CA (1) CA2909961C (ko)
RU (1) RU271004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1102B (zh) * 2016-03-16 2020-01-01 日商日吉華股份有限公司 壁材的安裝件及壁構造
JP1584602S (ko) * 2017-03-27 2017-08-28
GB2586832B (en) * 2019-09-05 2023-08-30 Ash & Lacy Holdings Ltd Façade structure
US11846105B2 (en) * 2019-10-14 2023-12-19 Russell Matson Siding panel installation
JP1679083S (ko) 2020-07-22 2021-02-15
CN114193220A (zh) * 2021-12-29 2022-03-18 中船澄西扬州船舶有限公司 一种球扁钢辅助开孔工装
NO347475B1 (en) * 2022-03-25 2023-11-13 Glava As Façade insulating system
CN115653230B (zh) * 2022-12-12 2023-04-07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保温装饰一体板的卡托套件及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7719B2 (ja) * 2004-07-28 2007-01-10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並びに外壁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5040U (ko) * 1987-06-04 1988-12-15
JP2507029Y2 (ja) * 1990-06-25 1996-08-14 松下電工株式会社 外装材接続金具
JPH0742339A (ja) * 1993-08-03 1995-02-10 Mitsubishi Materials Corp 建築板材の施工構造
US6315489B1 (en) * 1998-11-30 2001-11-13 Nichiha Corporation Fastening member
JP3183281B2 (ja) * 1999-03-26 2001-07-09 ニチハ株式会社 縦張り用外壁板の施工金具,施工構造,及び施工方法
JP3736537B2 (ja) * 2003-03-10 2006-01-18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並びに外壁施工方法
JP4516534B2 (ja) * 2006-01-31 2010-08-04 クボタ松下電工外装株式会社 外装材の取付構造
KR100867273B1 (ko) * 2008-01-07 2008-11-10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압출성형 시멘트 패널 및 후발포 수성연질 단열재를 이용한건축물 벽체 시공방법
RU93426U1 (ru) * 2009-11-02 2010-04-27 Владимир Борисович Долинеев Комплект пластин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навесных вентилируемых фасадов
JP5756355B2 (ja) * 2011-06-28 2015-07-29 ニチハ株式会社 外壁板の横ずれ防止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
CN202925825U (zh) * 2012-08-24 2013-05-08 大和房屋工业株式会社 锁止外壁板
JP5714643B2 (ja) * 2013-04-30 2015-05-07 株式会社長谷川製作所 タイル状部材の固定レール
RU143007U1 (ru) * 2013-11-05 2014-07-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ЛМ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элементов
RU143202U8 (ru) * 2013-12-09 2016-10-27 Сергей Вячеславович Архангельский Система навесного вентилируемого фасада (нвф) для облицовки зданий, подсистема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ой плитки и облицовочная плитк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7719B2 (ja) * 2004-07-28 2007-01-10 ニチハ株式会社 留め付け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並びに外壁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48427B2 (ja) 2019-07-24
CN106013690A (zh) 2016-10-12
RU2015145453A3 (ko) 2019-05-24
AU2015246179B2 (en) 2020-01-23
CA2909961A1 (en) 2016-09-30
KR20160117224A (ko) 2016-10-10
US20160289976A1 (en) 2016-10-06
CN106013690B (zh) 2021-04-09
CA2909961C (en) 2019-09-17
JP2016191249A (ja) 2016-11-10
RU2710047C2 (ru) 2019-12-24
US9617738B2 (en) 2017-04-11
AU2015246179A1 (en) 2016-10-20
RU2015145453A (ru)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746B1 (ko) 외벽 부재의 고정 보조구 및 그 시공 방법
US6279286B1 (en) Fastening member for vertical board siding, vertical board siding using the fastening member, and vertical siding structure constructed using the fastening member
JP2941271B1 (ja) 外壁板の縦張り用留め付け金具、該金具を使用した縦張り外壁板の下端部留め付け方法及び留め付け構造
JP2023024657A (ja) 建物の壁構造、ブラケット及び板材の施工方法
KR20170142582A (ko)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2009030415A (ja) 鋼製床パネルを用いた床構造体
JP2018017008A (ja) 屋外構造物及び屋外構造物の構築方法
JP5457855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具及び取付構造
KR101914129B1 (ko) 건축 마감패널 시공용 조인트 브래킷 및 그 조인트 브래킷을 이용한 건축 마감패널 시공구조
JP2007009570A (ja) 出隅用壁材留具及び断熱壁
JP2014091949A (ja) パネル取付構造
KR200366472Y1 (ko) 조립식 벽면용 패널 조립체
JP6835512B2 (ja) 留め付け金具、外壁構造、及び建物
JP6420710B2 (ja) カーポート
JP6705665B2 (ja) 押さえ材
JP6700760B2 (ja) 外壁の出隅構造及び出隅用下地材
JP2017020210A (ja) 建物の外壁構造
JP3416093B2 (ja) 建築板の建物への留め付け方法、及び、そのための建築板と留め付け部材
JP4735496B2 (ja) 柱と梁の接合構造
JP6271347B2 (ja) 構造材に対する板材の取付金具
KR20230046825A (ko)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
JP2024051486A (ja) 構造体
JP2024051485A (ja) 構造体
JP5064948B2 (ja) 天井パネル組付け方法
KR20130113720A (ko) 경량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