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472Y1 - 조립식 벽면용 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면용 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472Y1
KR200366472Y1 KR20-2004-0020806U KR20040020806U KR200366472Y1 KR 200366472 Y1 KR200366472 Y1 KR 200366472Y1 KR 20040020806 U KR20040020806 U KR 20040020806U KR 200366472 Y1 KR200366472 Y1 KR 200366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rofile
panel assembly
panels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청식
Original Assignee
비아이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아이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아이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0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4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4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2001/619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slabs being connected at an angle, e.g. forming a co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는 방수판 위로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측벽을 이루는 다수의 패널로 이루어진 건식공법으로 시공된다.
특히, 상기 패널조립체는 W자형상의 계단부(段)로 된 프로파일로서 다른 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는 벽면용 패널끼리 연결고정시키는데, 벽면용 패널과 W자형상의 프로파일을 나사구멍에 맞춰 나사체결시켜 다른 방향의 측벽면을 연결한다. 이 W자형상의 프로파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나사끼움홈과 나사구멍을 갖추고 있다. 일체로 된 벽면용 패널조립체는 다른 방향으로 입설될 벽면용 패널에 기 고정된 나사를 나사끼움홈에 잘 맞춰 끼우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중간브래킷 또는 프로파일을 수단으로 하여 다수의 패널을 이음연결시켜 상기 측벽을 형성시킨다.

Description

조립식 벽면용 패널 조립체 {Panel assembly for prefabricated walls}
본 고안은 조립식 벽면용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벽면을 이루는 패널들을 프로파일로 확장연결되어져 벽면을 형성하여 입설되고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각 모서리 마다 설치될 모서리프로파일과 이 프로파일과 벽면용 패널을 장착하는 나사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에 건식공법을 이용한 조립식 건물은 벽면을 이루는 패널과 패널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서 패널의 접지면을 따라 다수의 브래킷으로 고정된다. 전술된 브래킷의 갯수가 증가함에 따라 벽면을 이루는 패널 사이에서 확실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반면에, 이로 인해 많은 단점들이 도출되고 있다.
우선적으로, 패널과 패널을 연결하기 위해서 많은 갯수의 브래킷들이 사용될 수밖에 없다. 이 브래킷의 갯수가 증가함에 따라 조립원가에 상승을 야기하고 조립공정이 복잡하며 작업공수 또한 증가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식 건물의 모서리부분을 고정시키는 브래킷은 그 접합부 사이로 누수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 더욱 간단하면서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조립식 벽면용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건축물의 벽면을 건립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패널조립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2개의 벽면용 패널이 맞닿는 모서리부에 모서리프로파일을 구비하여 더욱 효과적이면서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모서리프로파일은 90°로 두 번 절곡되어 계단부를 갖춘 W자형상의 프로파일로 되어 2개의 패널 측면선단부에 고정장착된다. 상기 모서리프로파일은 벽면의 높이만큼 길이연장되어 있어서 2개의 벽면을 이루는 패널 사이를 확실하게 견착시켜 누수방지를 돕는다.
이 모서리프로파일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나사끼움홈과 나사구멍을 구비한다. 우선적으로, 일 패널의 측면선단부는 모서리프로파일의 나사구멍에 맞춰 나사체결시켜 패널과 모서리프로파일을 일체되게 한다. 그런 다음에, 일 패널의 측면선단부와 서로 직각방향으로 입설될 다른 패널의 측면선단부에는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사를 체결시켜 놓는 바, 바람직하기로 멈춤나사를 사용하여 나사머리가 패널과의 일정간격을 제공하여 추후 모서리프로파일과 일체로 된 패널에 연결될 때 모서리프로파일에 기 형성된 나사끼움홈에 안착된다.
또한, 시공자의 선택과 제공될 패널의 크기에 따라서 벽면을 형성할 패널의 구성방향을 설정하는데, 주로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패널을 입설하도록 되어 있다.
세로방향으로 입설될 벽면용 패널간의 고정을 위해서, 2개의 패널 접지면 위로 상기 모서리프로파일과 마찬가지로 나사구멍과 나사끼움홈을 미리 형성시켜 모서리프로파일과 동일한 방식으로 패널을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패널을 위 아래로 안착시켜 벽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위아래로 놓여진 패널의 접지면을 따라 각 패널 선단부에 다수의 중간브래킷을 장착하여서 패널이 앞뒤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의 한 모서리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의 한 벽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사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사용될 멈춤나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조립체, 2 ----- 프로파일,
3 ----- 모서리프로파일, 4 ----- 중간브래킷,
5 ----- 하부브래킷, 6 ----- 방수판,
7 ----- 나사, 8 ----- 멈춤나사,
9,9' ----- 나사구멍, 10,10' ----- 나사끼움홈.
이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의 한 모서리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1)는 직각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는 2개의 벽면용 패널(11,12)이 모서리프로파일(3)을 수단으로 고정연결된다. 모서리프로파일(3)은 W자형상의 계단부를 형성하고 있는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90°로 두 번 절곡되어 2개의 패널(11,12) 측면선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프로파일(3)은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는 측벽을 연결하는데, 특히 직각방향으로 입설되지 않는 대신에 90°이상 또는 90°이하로 벌어져 있으면 그에 따라 중간 절곡부를 조정한다.
제1패널(11)의 일 측면선단부를 따라 나사(7)로 체결되어 고정장착된 모서리프로파일(3)은 그 양끝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나사구멍(9)과 나사끼움홈(10)을 구비한다. 도시되었듯이, 나사(7)가 모서리프로파일(3)에 형성된 나사구멍(9)을 관통하여서 제1패널(11)을 나사체결한다.
한 측벽을 형성할 제1패널(11)과 직각방향으로 건립되어 다른 측벽을 형성시킬 제2패널(12)의 측면선단부에는 소정의 간격, 바람직하기로 다수의 나사끼움홈(10)의 하부 사이의 이격거리만큼 거리를 두어 멈춤나사(8)를 미리 죄여 놓는다.
2개의 패널(11,12)이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성부재들을 구비한 후에는, 상기 모서리프로파일(3)을 장착한 제1패널(11)은 제2패널(12)을 직각방향으로 입설시키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술하자면, 방수판(6;도 2참조) 위로 기 조립되어 모서리프로파일(3)을 구비한 제1패널(11)을 안착시킨다. 그런 다음에, 제2패널(12)에 구비된 멈춤나사(8)는 모서리프로파일(3)의 나사끼움홈(10)에 잘 맞춰 끼운다. 나사끼움홈(10)에 멈춤나사(8)의 헤드부를 끼운 후에 아래방향으로 즉, 나사끼움홈(10)의 협소한 하부로 이동시켜 견고하게 제2패널(12)이 제1패널(11)과 고정연결된다. 이로 인해서, 제 1패널(11)과 제2패널(12) 사이의 접지면은 모서리프로파일(3)로 밀봉되어져 외부로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널조립체에 설치될 프로파일의 장착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패널조립체는 벽면용 패널의 구성방향에 따라 가로패널식과 세로패널식으로 구분되는데, 도 2 및 도 3은 세로패널식으로 구현될 패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조립체의 각 측벽들은 바람직하기로는 하나의 패널로한 측벽을 이루는 것이 조립시간이나 기타 누수와 같은 문제점을 최소로 할 수 있으나, 벽면의 크기에 따라서 패널을 제작 생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다. 이에 한 측벽을 이루기 위해서 다수의 패널이 일직선으로 이음연결되어야 한다. 즉, 제1패널(11)과 제3패널(13)이 하나의 측벽을 형성하고 제2패널(12)과 제4패널(14)이 서로 다른방향, 직각방향으로 입설될 다른 측벽을 형성한다. 추가로, 벽면의 크기가 커지면 그에 따라 패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패널과 패널사이에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파일(2)을 매개로 길이연장시킬 수 있다.
프로파일(2)은 일직선으로 연장될 패널(11,13;12,14) 사이의 접지면을 고정장착시키는 바, 그 세로길이방향을 따라서 전술된 모서리프로파일(3)과 유사하게 나사구멍(9)과 나사끼움홈(10)을 구비한다.
우선적으로, 일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2개의 패널을 연결고정하여 측벽을 형성시키는 프로파일은 2개의 패널 중 어느 한쪽의 패널에 먼저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도 2에서는 제2패널(12)과 제3패널(13)에 나사(7)로 최초 고정되어 있다. 고정순서에 따라 기술하자면, 프로파일(2)은 나사(7)를 통해 기 형성된 나사구멍(9')을 관통하여 제3패널(13)에 나사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제1패널(11)은 한 선단부에 다수의 나사끼움홈(10')의 하부 이격간격에 맞춰서 멈춤나사(8)를 죄여놓는다. 도 1의 모서리프로파일의 고정방법과 동일하게 제1패널(11)에는 멈춤나사(8)를 구비하고 제3패널(13)은 프로파일(3)을 구비한 다음에, 제1패널(11)의 멈춤나사(8)가 프로파일(3)의 나사끼움홈(10')에 맞춰 끼워진 후에 아래방향, 즉 나사끼움홈(10')의 협소한 하부로 이동되어서 제1패널(11)과 제3패널(13)로 한 측벽을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제1패널(11)과 제3패널(13)로 형성된 측벽이 방수판(6) 상에서 확실하게 건립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2) 하부에는 추가로 하부브래킷(5)을 제공한다. 하부브래킷(5)은 방수판(6)의 선단부와 끼워 맞춰져 이동을 제한한다.
바람직하기로, 제1패널(11)의 일 측면선단부는 멈춤나사(8)를 구비하여서 제3패널(13)의 프로파일(2)과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하면서 다른측 선단부는 직각방향으로 입설된 다른 측벽과의 연결을 위해서 모서리프로파일(3)을 장착한다.
덧붙여서, 전술된 프로파일(2)의 형상은 소정의 폭을 갖춰 2개의 패널 위로 배치될 수 있는 바아형상으로 되는데, 특히 패널 상으로 외부마감재를 장착해야 할 경우 프로파일(2)은 "ㄷ"자 형상으로 되어 패널과 외부마감재 사이에 간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로서, 특히 가로패널식을 구현된 패널조립체(1)에 관한 것이다.
패널조립체(1)의 한 측벽은 첨부도면에서와 같이 2개의 패널(11,13;12,14)를 적층시킨다. 물론, 벽면의 높이에 따라서 패널의 갯수가 증가할 수 있다.
패널조립체(1)의 한 측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1패널(11)은 측면선단부에 나사(7)를 수단으로 하여 모서리프로파일(3)을 고정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3패널(13)의 측면선단부에 멈춤나사(8)를 나사끼움홈(10)에 맞춰 이격되게 배열한다.
그런 다음에, 모서리프로파일(3)을 장착한 제1패널(11)은 그 위로 제3패널(13)을 안착시킨다. 안착시킬 때에, 전술된 바와 같이, 제3패널(13)의 멈춤나사(8)를 모서리프로파일(3)의 나사끼움홈(10)에 끼워 거치시킨다. 확실하게 제1패널(11)에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제3패널(13)의 하부선단부에 하나 이상의 중간브래킷(4)을 구비하면서 제1패널(11)의 상부선단부에도 하나 이상의 중간브래킷(4)을 장착시킨다.
다른 방향으로 세워질 측벽을 입설시키기 위해서 모서리프로파일(3)에 제2패널(12)과 제4패널(14)은 전술된 방법을 통해 충분히 배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1)는 도 2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의 배열방향에 따라서 세로패널식과 가로패널식으로 구분되나 설치여건에 따라서 세로패널식과 가로패널식을 병행조합하여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5는 본 고안에 사용될 멈춤나사의 사시도이다. 바람직하기로, 프로파일(2)과 모서리프로파일(3)에 형성된 나사끼움홈(10)에 삽입될 멈춤나사(8)는 나사산부(83)와 헤드부(81) 사이에 프로파일의 두께보다 길거나 같으며 나사산부(83)보다 직경이 큰 길이부(82)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 길이부는 전술된 바와 같이 각 프로파일(2,3)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되어 있어서 프로파일의 나사끼움홈(10,10')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고안에 따른 패널조립체에 프로파일 또는 모서리프로파일의 나사끼움홈(10,10')으로 삽입될 나사는 멈춤나사(8) 이외에도 통상의 나사를 사용할 수 있는데, 미리 소정의 간격(나사끼움홈 간의 이격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하여 먼저 어느 정도 두께로 죄여 놓는다. 그런 후에, 나사끼움홈(10,10')에서 나사를 삽입하고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를 확실하게 다시 죄일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체는 전술된 멈춤나사(8)를 나사끼움홈(10,10')으로 삽입시켜 패널들을 고정배치시는 반면에, 조립조건에 따라서 혹은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의 선택에 위해서 나사구멍(9,9')에 나사(7)를 죄여 모서리프로파일 또는 프로파일 등에 배열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는 측벽면을 이루는 다수의 패널 사이를 프로파일로 연결고정토록 되어 있다.
벽면용 패널과 나사를 수단으로 하여 각 패널간의 연결을 프로파일로 시공할 수 있어서 작업공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각 패널사이의 연결접지면을 프로파일들로 밀봉되어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의 세로 또는 가로의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여 구성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고서 다양한 설계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Claims (5)

  1. 방수판(6) 위로 조립식 건물의 측벽을 구성하도록 측벽용 다수의 패널을 고정연결하는 조립식 패널조립체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나사구멍(9')과 나사끼움홈(10')을 갖춘 프로파일(2)과;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나사구멍(9)과 나사끼움홈(10)을 갖춘 모서리프로파일(3);를 구비하고, 편평한 패널 사이를 상기 프로파일(2)로 길이연장되도록 이음연결시켜 측벽을 형성하며, 패널로 된 측벽 또는 상기 프로파일(2)로 이음연결된 패널로 이루어져 각기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2개의 측벽들 사이, 구체적으로 조립체의 모서리부를 모서리프로파일(3)로 연결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프로파일(3)과 프로파일(2)은 나사구멍(9,9')을 통해 패널의 한 측면선단부에 나사체결 고정되고 다른쪽 패널 또는 측벽에 미리 멈춤나사(8)를 죄여 놓은 후에, 상기 모서리프로파일(3)과 프로파일(2)에 형성된 나사끼움홈(10)에 삽입고정시켜 하나 이상의 패널을 길이연장시키거나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각 측벽들을 고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패널의 접지면를 따라 다수의 중간브래킷(4)으로 패널을 연결고정시켜 측벽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프로파일(3)은 바람직하기로 W자형상으로 90°로 절곡된 계단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나사(8)는 헤드부(81)와 나사산부(82) 사이로 프로파일(2,3)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부(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면용 패널조립체.
KR20-2004-0020806U 2004-07-21 2004-07-21 조립식 벽면용 패널 조립체 KR2003664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806U KR200366472Y1 (ko) 2004-07-21 2004-07-21 조립식 벽면용 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806U KR200366472Y1 (ko) 2004-07-21 2004-07-21 조립식 벽면용 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472Y1 true KR200366472Y1 (ko) 2004-11-10

Family

ID=4944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806U KR200366472Y1 (ko) 2004-07-21 2004-07-21 조립식 벽면용 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4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71B1 (ko) * 2017-03-06 2017-12-07 (주)포스-테크 용접 실험실용 배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71B1 (ko) * 2017-03-06 2017-12-07 (주)포스-테크 용접 실험실용 배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1336B2 (en) Adjustable mounting bracket assembly for mounting an electrical box
CA2909961C (en) Auxiliary securing support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8381467B2 (en) Item of wall-like standing furniture
EP1042566A1 (en) Space divider system
KR200366472Y1 (ko) 조립식 벽면용 패널 조립체
KR101868944B1 (ko) 건물 외벽 마감용 마감패널 고정장치
JPH11293831A (ja) 構築物躯体壁面へのパネル取付け構造
JP2631083B2 (ja) 直付手摺支柱ブラケット
JP2018071327A (ja) 間仕切装置
JP2006233458A (ja) 押出成形セメント板の縦積み工法及びその構造
CN211472969U (zh) 一种隔墙系统
JP4659608B2 (ja) 壁面装置
KR102461864B1 (ko) 외장패널용 조정식 연결철물 및 이를 이용한 외장패널의 시공방법
US11459770B1 (en) Metal wall panel system
KR102126921B1 (ko) 외장판넬 설치용 브라켓장치
US7918052B2 (en) Drywall construction for supporting an installation element and method for fastening the installation element
JP3514232B2 (ja) 間仕切パネルシステム
JPH0579151A (ja) 板状建材の施工法
JPH04194145A (ja) 複合壁面の施工方法
JP2023174289A (ja) 仕切りユニット
KR200190778Y1 (ko) 조립식 간막이
JP3280329B2 (ja) 手摺支柱の取付具
KR20000074520A (ko)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KR20230046825A (ko) 건축물의 무용접 프레임구조체
JPH11141028A (ja) 間仕切り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