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766B1 - 골재 모르타르 데크 - Google Patents

골재 모르타르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766B1
KR102243766B1 KR1020200168495A KR20200168495A KR102243766B1 KR 102243766 B1 KR102243766 B1 KR 102243766B1 KR 1020200168495 A KR1020200168495 A KR 1020200168495A KR 20200168495 A KR20200168495 A KR 20200168495A KR 102243766 B1 KR102243766 B1 KR 102243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ggregate
deck
aggregate mortar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주)세종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종윈텍 filed Critical (주)세종윈텍
Priority to KR1020200168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metallic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재 모르타르 데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의 상면에 프라이머와 메쉬망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프라이머층과 메쉬층을 형성하고, 상기 메쉬층 상면에 골재와 에폭시를 혼합하여 골재몰탈층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골재 모르타르 데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재 모르타르 데크{AGGREGATE MORTAR DECK}
본 발명은 골재 모르타르 데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의 상면에 프라이머와 메쉬망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프라이머층과 메쉬층을 형성하고, 상기 메쉬층 상면에 골재와 에폭시를 혼합하여 골재몰탈층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골재 모르타르 데크에 관한 것이다.
탐방로나 산책로 혹은 양식장 등의 바닥에 사람이 걸을 수 있도록 구성된 데크가 있다.
이러한 데크는 종래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어 왔으나, 금속 등의 재질은 사용에 따른 부식과 녹이 발생되어 외관의 심미성을 해치고, 아울러 녹 성분이 주변 토양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따라서, 부식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인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재질은 재질 특성상 미끄럼을 방지할 수 없어서 논슬립 전용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외관에 논슬립을 위한 돌기 구성을 형성하도록 구현하고 있다.
한편, 상술된 데크는 임의로 사람이 걸을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한 것이므로, 주변환경에 외관적으로 어울리는 디자인이 필요하게 되었고, 근래에는 흙을 밟음으로써 건강을 도모하는 사람들이 생겨남에 따라, 흙이나 돌맹이로 디자인되는 데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74835호에는 경량화 흙 데크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휨 강도 및 충격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게 하는 경량화 흙 데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경량화 흙 데크는, 베이스 부재; 베이스 부재에 형성되는 흙반죽층; 베이스 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된 흙반죽층의 표면에 도포되는 수지층; 및 수지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논슬립층;을 포함한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2781호에는 우레탄 완충형 데크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우레탄 완충판(60)이 적용된 데크(deck)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베이어(10)에 우레탄 수지를 분출하여 우레탄판(19)을 연속 성형한 후, 이를 분쇄하여 우레탄칩(31)을 형성하고, 우레탄칩(31)과 규사(32)를 혼합한 배합골재(35)를 바인더와 혼합하여 완충판(60)을 제작하며, 데크의 상판(71) 저면에 형성된 결합요부(75)에 완충판(60)을 결합한 후, 장선(72) 상부에 다수의 상판(71)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데크용 완충판(60)을 구성하는 우레탄 골재의 입경을 미세하고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우레탄 완충판(60)의 평탄성, 탄력성 및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완성된 데크의 성능 및 내구성 역시 제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8349호에는 지하층 외벽 시공의 벽체 거푸집용 데크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지하층 외벽 시공시 콘크리트 외면과 주근 사이의 피복 거리를 확보하면서도 상부에서 콘크리트 타설 시 굵은 골재의 자갈 통과가 용이한 스페이서를 적용한 벽체 거푸집용 데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512275호에는 도로용 미끄럼방지 안전 데크 및 이의 시공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도로용 미끄럼방지 안전 데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노면에 설치된 데크로드 장선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블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 삽입홈에는, 이형철선이 가로 및 세로로 다수로 설치되고, 미끄럼방지용 수지 조성물이 주입된 후 경화되어 야광 논슬립 패널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도로의 경사구간 및 곡선구간에 주로 시공함으로써 미끄럼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야광기능에 의해 우천시나 야간에 자전거 이용자가 노면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74835호(2018.08.03.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2781호(2018.04.02.)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8349호(2017.10.25.) 등록특허공보 제10-1512275호(2015.04.1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의 상면에 프라이머와 메쉬망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프라이머층과 메쉬층을 형성하고, 상기 메쉬층 상면에 골재와 에폭시를 혼합하여 골재몰탈층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골재 모르타르 데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모르타르 데크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10)과; 상기 프로파일(10)의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형성된 프라이머층(20)과; 상기 프라이머층(20) 상면에 메쉬망을 깔아 형성된 메쉬층(30)과; 상기 메쉬층(30) 상면에 골재와 에폭시를 혼합하여 형성된 골재몰탈층(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프로파일(10)은 그 상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프라이머층(20), 메쉬층(30) 및 골재몰탈층(40)을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된 돌출벽(12) 2개가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2개의 돌출벽(12) 사이에 상기 프라이머층(20), 메쉬층(30) 및 골재몰탈층(40)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10)은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중공(11)과, 상기 돌출벽(12) 사이의 상면에 상기 중공(11)으로 연통되는 일정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통공(13)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공(13)은,
상기 프로파일(10)의 돌출벽(12) 사이에 골재몰탈층(40)이 형성된 후에도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골재몰탈층(40)의 경화를 돕고, 데크 사용에 따른 충격 완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재몰탈층(40)은, 골재와 에폭시의 혼합물을 사용하되, 상기 골재는 콩자갈, 세라믹 링, 금강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모르타르 데크에 의하면, 골재의 외관을 가지는 골재 모르타르 데크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골재 모르타르로서 골재와 에폭시의 혼합물을 사용하되 상기 골재는 콩자갈을 사용함으로써, 데크에 대한 심미적인 변화는 물론 논슬립에 대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탄성 부여에 대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여에 있어서 완충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고 발이 편한 데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모르타르 데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골재 모르타르 데크를 A-B절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골재 모르타르 데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의 상면에 프라이머와 메쉬망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프라이머층과 메쉬층을 형성하고, 상기 메쉬층 상면에 골재와 에폭시를 혼합하여 골재몰탈층을 형성함으로써 완성된, 골재 모르타르 데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모르타르 데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모르타르 데크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골재 모르타르 데크를 A-B절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따른 골재 모르타르 데크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10)과; 상기 프로파일(10)의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형성된 프라이머층(20)과; 상기 프라이머층(20) 상면에 메쉬망을 깔아 형성된 메쉬층(30)과; 상기 메쉬층(30) 상면에 골재와 에폭시를 혼합하여 형성된 골재몰탈층(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로파일(10)은 그 상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프라이머층(20), 메쉬층(30) 및 골재몰탈층(40)을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된 돌출벽(12) 2개가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2개의 돌출벽(12) 사이에 상기 프라이머층(20), 메쉬층(30) 및 골재몰탈층(40)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10)은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중공(11)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중공(11)은 프로파일(10)의 하중을 감소시키면서 통풍이 가능하도록 기능하며, 그 형상을 첨부된 도면의 도 1 외에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10)은 돌출벽(12) 사이의 상면에 상기 중공(11)으로 연통되는 일정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통공(13)이 형성되도록 한다.
때문에, 상기 프로파일(10)의 돌출벽(12) 사이에 골재몰탈층(40)이 형성된 후에도 통풍 및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최초 본 발명에 따른 골재 모르타르 데크를 제조할 때 골재몰탈층(40)의 경화가 골고루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며, 사용 중에도 충격 완화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프라이머층(20)은 상기 골재몰탈층(40)의 골재와 에폭시의 혼합물이 프로파일(10)의 통공(13)을 따라, 프로파일(10)의 상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10)에 골재몰탈층(40)이 부착성 좋도록 원할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돕는다. 아울러, 골재몰탈층(40)이 프로파일(10)이나 메쉬층(30)을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프라이머층(20)은 골재몰탈층(40)의 골재 모르타르의 경화(건조, 양생)을 원할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즉, 프라이머층(20)의 프라이머는 상술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종래의 것이라면 무엇이든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층(30)은 골재몰탈층(40)이 형성된 후 상기 골재몰탈층(40)이 소정의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메쉬층(30)의 메쉬크기는 설계조건 당시 당업자의 전문지식과 골재 모르타르 데크의 크기 등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재몰탈층(40)은 골재와 에폭시의 배합물을 원료로 하는데, 이때 골재는 통상의 골재를 사용할 수 있다. 혹은 대표적으로 강이나 산, 바다 등에서 채취한 자연석인 콩자갈 또는 세라믹 링, 금강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콩자갈은 수입산으로 아메리칸락, 오세니아락, 씨락, 밀드락, 그래뉼락 등이 있으며, 미국, 캐나다, 동남아시아에서 수입된다. 이러한 콩자갈은 에폭시와 교반할 때 접착력과 압축강도가 매우 우수하고, 콩자갈 특유의 입자 때문에 논슬립 효과를 가지며, 오래동안 사용하여도 색변질이 발생되지 않는 자연석 바닥제이다.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상술된 프로파일(10)의 통공(13)에 탄성부여체([표 1]의 구성)를 각각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여체의 외경은 통공(13)의 내경에 대응되어 꽉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Figure 112020131557918-pat00001
[표 1]에 따른 탄성부여체는 원통형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는 내부에 홀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되, 상단과 하단에 직경이 더 넓어지도록 구성된 상부날개 및 하부날개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 역시 내부에 홀이 형성된 원통형으로서, 그 내경은 하부몸체의 상부날개 및 하부날개가 포함되지 않은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의 외경은 하부몸체의 하부날개를 포함하는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의 홀 내벽 중 일측에는 내벽의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내벽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벽홈에는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날개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몸체가 상부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날개의 상면에서부터 상부몸체의 내벽홈의 상측 내면까지는 스프링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술된 구조를 가지는 탄성부여체가 통공(13) 각각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해 상부몸체가 하부몸체로부터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탄성부여체가 프라이머층(20)과 메쉬층(30)에 올려주려는 힘을 작용하게 되어, 골재몰탈층(40)을 밟는 사람들로 하여금 폭신폭신한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탄성감을 제공하고, 아울러 외력(外力)에 대한 완충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프로파일
11 : 중공
12 : 돌출벽
13 : 통공
20 : 프라이머층
30 : 메쉬층
40 : 골재몰탈층

Claims (6)

  1.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알루미늄 재질의 프로파일(10)과;
    상기 프로파일(10)의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형성된 프라이머층(20)과;
    상기 프라이머층(20) 상면에 메쉬망을 깔아 형성된 메쉬층(30)과;
    상기 메쉬층(30) 상면에 골재와 에폭시를 혼합하여 형성된 골재몰탈층(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골재 모르타르 데크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10)은,
    그 상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프라이머층(20), 메쉬층(30) 및 골재몰탈층(40)을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된 돌출벽(12) 2개가 마주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2개의 돌출벽(12) 사이에 상기 프라이머층(20), 메쉬층(30) 및 골재몰탈층(40)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되,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중공(11)과, 상기 돌출벽(12) 사이의 상면에 상기 중공(11)으로 연통되는 일정 간격을 가지는 다수의 통공(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공(13)은,
    상기 프로파일(10)의 돌출벽(12) 사이에 골재몰탈층(40)이 형성된 후에도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골재몰탈층(40)의 경화를 돕고, 탄성부여체를 포함하여 데크 사용에 따른 충격 완화 기능을 하며,
    상기 탄성부여체는,
    외경이 통공(13)의 내경에 대응되어 꽉 끼워져 고정되되, 원통형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몸체는 내부에 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되, 상단과 하단에 직경이 더 넓어지도록 구성된 상부날개 및 하부날개를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 역시 내부에 홀이 형성되되, 내경은 하부몸체의 상부날개 및 하부날개가 포함되지 않은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상부몸체의 외경은 하부몸체의 하부날개를 포함하는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상부몸체의 홀 내벽 중 일측에는 내벽의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내벽홈을 포함하여, 내벽홈에는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날개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날개의 상면에서부터 상부몸체의 내벽홈의 상측 내면까지는 스프링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탄성부여체가 통공(13) 각각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해 상부몸체가 하부몸체로부터 상승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여체가 프라이머층(20)과 메쉬층(30)에 올려주려는 힘을 작용하게 되어, 골재몰탈층(40)을 밟는 사람들로 하여금 폭신폭신한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탄성감을 제공하고, 외력(外力)에 대한 완충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모르타르 데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재몰탈층(40)은 골재와 에폭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모르타르 데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골재는 콩자갈, 세라믹 링, 금강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모르타르 데크.
KR1020200168495A 2020-12-04 2020-12-04 골재 모르타르 데크 KR102243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495A KR102243766B1 (ko) 2020-12-04 2020-12-04 골재 모르타르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495A KR102243766B1 (ko) 2020-12-04 2020-12-04 골재 모르타르 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766B1 true KR102243766B1 (ko) 2021-04-23

Family

ID=7573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495A KR102243766B1 (ko) 2020-12-04 2020-12-04 골재 모르타르 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343B1 (ko) * 2021-11-10 2022-08-16 주식회사 건우에코월드 축광석 데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31A (ja) * 1991-05-28 1995-01-06 Jose M Restrepo 水平コンクリートデッキの2段階構築に用いる型枠床材用スラブ
KR100939237B1 (ko) * 2009-06-12 2010-01-29 (주)동영이엔씨 투수성 노면 포장재와 이를 이용한 노면 포장방법
KR101512275B1 (ko) 2014-09-20 2015-04-17 최찬우 도로용 미끄럼방지 안전 데크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7106169A (ja) * 2015-12-07 2017-06-15 阪神高速技術株式会社 鋼床版及び鋼床版のコンクリート層の撤去方法
KR20170118349A (ko) 2016-04-15 2017-10-25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지하층 외벽 시공의 벽체 거푸집용 데크
KR20180032781A (ko) 2016-09-23 2018-04-02 손유성 우레탄 완충형 데크의 제조방법
KR101874835B1 (ko) 2018-02-26 2018-08-03 (주) 아리산업 경량화 흙 데크의 제조방법
KR102096601B1 (ko) * 2019-10-24 2020-05-22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31A (ja) * 1991-05-28 1995-01-06 Jose M Restrepo 水平コンクリートデッキの2段階構築に用いる型枠床材用スラブ
KR100939237B1 (ko) * 2009-06-12 2010-01-29 (주)동영이엔씨 투수성 노면 포장재와 이를 이용한 노면 포장방법
KR101512275B1 (ko) 2014-09-20 2015-04-17 최찬우 도로용 미끄럼방지 안전 데크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7106169A (ja) * 2015-12-07 2017-06-15 阪神高速技術株式会社 鋼床版及び鋼床版のコンクリート層の撤去方法
KR20170118349A (ko) 2016-04-15 2017-10-25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지하층 외벽 시공의 벽체 거푸집용 데크
KR20180032781A (ko) 2016-09-23 2018-04-02 손유성 우레탄 완충형 데크의 제조방법
KR101874835B1 (ko) 2018-02-26 2018-08-03 (주) 아리산업 경량화 흙 데크의 제조방법
KR102096601B1 (ko) * 2019-10-24 2020-05-22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343B1 (ko) * 2021-11-10 2022-08-16 주식회사 건우에코월드 축광석 데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9265B2 (en) Concrete slab panel forming, reinforcing, joint sealing and edge protecting framing system
KR102243766B1 (ko) 골재 모르타르 데크
US20100307091A1 (en) Plaster panel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2080365A (zh) 阶梯块及其施工方法
ITUD20080074A1 (it) Elemento in calcestruzzo precompresso, idoneo per realizzare sia superfici calpestabili esterne, sia il rivestimento di pareti, e relativo procedimento di produzione
KR100687282B1 (ko) 폐타이어 칩, 컬러 고무 칩을 이용한 모험 놀이동산시공방법 및 놀이동산 구조
KR101967225B1 (ko) 고무냄새 없는 어린이 놀이시설용 무독성 폴리우레아 바닥재 시공 방법
KR101266082B1 (ko) 전면이 색채를 이루는 패널 및 시공방법
KR101266136B1 (ko) 옹벽 축조용 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1037904B1 (ko) 보강토 옹벽 구축용 대리석 옹벽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1695634B1 (ko) 옹벽 구조물의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1134389B1 (ko) 친환경 인공암 제조방법
KR102495375B1 (ko) 습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CN214885156U (zh) 一种具有良好耐磨性能的抗静电聚氨酯地坪
CN214531724U (zh) 一种新型楼地面保温隔声结构
KR102213237B1 (ko) 단열층이 형성된 벽돌
CN202577095U (zh) 人行道砖
JP3138247B2 (ja) 透水性路面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359058B1 (ko) 세굴 방지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211815291U (zh) 路沿石
CN210031777U (zh) 应用于岩溶地区的承压桩及桩基
TWM609441U (zh) 預鑄環保連鎖護坡磚
US20240191439A1 (en) Permeable construction unit
JPH11193503A (ja) 複合弾性舗道材およびその施工法
KR101134390B1 (ko) 친환경 인공암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