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601B1 -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601B1
KR102096601B1 KR1020190133116A KR20190133116A KR102096601B1 KR 102096601 B1 KR102096601 B1 KR 102096601B1 KR 1020190133116 A KR1020190133116 A KR 1020190133116A KR 20190133116 A KR20190133116 A KR 20190133116A KR 102096601 B1 KR102096601 B1 KR 102096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groove
slip
shock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은섭
이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주)원더테크
이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주)원더테크, 이혜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Priority to KR1020190133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표면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표면이 미끄럽지 않도록 이루어져 보행자가 보행 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할 수 있으며, 습도 및 온도 등에 의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Non-slip and shock-resistant deck}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표면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표면이 미끄럽지 않도록 이루어져 보행자가 보행 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할 수 있으며, 습도 및 온도 등에 의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deck)는 목재, 합성수지 등을 통해 빔형상으로 제작하여 인도, 등산로, 교량, 계단, 테라스 등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데크는 외부에 설치됨에 따라 날씨 및 환경에 영향을 받아 바닥면이 습기, 물기 등에 의해 보행 시 미끄러져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강도가 약한 경우 장기간 사용시 또는 자연재해 등에 의해 파손 및 손상되어 보행이 어렵거나 보행 중인 보행자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보행 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없어 보행자에게 충격이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로 "미끄럼방지판부가 설치된 데크용 압출성형 합성목재"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주재료로 대나무분말이 포함되어 대나무분말의 특성상 수축 및 팽창이 작아서 변형이 작으므로 수명이 오래가서 내구성이 향상되고 수분흡수력이 작으므로 변형이 최소로 되어 뒤틀림이 없으며 섬유질이므로 질기고 강해서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미끄럼방지판부가 설치된 데크용 압출성형 합성목재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목재의 종류 중 하나인 대나무분말을 사용함에 따라 무게가 무거워 시공성이 나쁘고 고가이기 때문에 시공비가 비싸며,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될시 목재가 부패 또는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보행자가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없으며, 교량, 다리 등에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미끄럼방지판부가 고정홈에 설치되어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 미끄럼방지판부가 고정홈에서 이탈 또는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6696호(2012.10.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이 강하며, 열처리 및 충진을 통해 일체로 이루어져, 보행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 및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처리를 통해 접착되어 외부환경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장기간 사용시에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한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환경에서 장기간 사용해도 보행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면에 형성된 조립홈과, 상부면이 함몰되고 상부로 돌출된 접착돌기가 형성된 결합홈과,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격벽을 통해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된 중공홈을 가지는 데크; 상기 결합홈에 열처리를 통해 혼합제를 도포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 상기 중공홈에 충진되어 충격은 완충하는 충격방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크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철, 철 합금, 카본, 카본합금을 개별 또는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돌기는, 상기 결합홈의 함몰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도록 상부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데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결합홈(12)에 다수의 혼합제를 도포한 후 상기 데크를 50℃~60℃의 온도로 18~30초 가열하는 가열건조한 열처리가 이루어지며,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결합홈의 표면에 모래분사, 브러쉬연마, 사포를 사용하여 표면조도 10㎛~30㎛로 가공하는 표면가공층과, 상기 표면가공층이 이루어진 상기 결합홈에 수용성수지 20㎛~60㎛두께로 도포하는 제1도료도포층과, 상기 제1도료도포층이 이루어진 상기 결합홈에 100㎛~1000㎛크기의 불규칙적인 모형을 갖는 산화알루미늄, 규소, 실리콘카바이드, 입방정 질화붕소 중 어느 하나를 900㎛~1200㎛의 두께를 가지도록 1회 이상 도포하는 입자도포층과, 상기 입자도포층이 이루어진 상기 결합홈에 무기안료와 에폭시수지 또는 MMA수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0.1~0.25:1 비율로 조합하여 10㎛~50㎛ 도포하는 제2도료도포층과, 상기 제2도료도포층이 이루어진 상기 결합홈에 에폭시수지 또는 우레탄수지를 상기 결합홈의 두께만큼 도포하여 표면을 마감하는 표면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크의 상기 격벽의 중앙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충격방지부가 용이하게 충진되며,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개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홈에 양측단이 삽입되어 상기 데크의 양측면을 고정하는 연결클립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에 따르면, 알루미늄, 철 카본 등의 제조를 사출성형하여 강성이 강하며, 열처리 및 충진을 통해 일체로 이루어져, 보행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 및 보행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끄럼방지부를 이루는 혼합제가 순차적인 층을 통해 도포 및 열처리가 이루어져, 데크의 변형시 미끄럼방지부가 데크에서 이탈하지 않으며, 외부환경에서 장기간 사용시에도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격완화부는 데크의 내부에 충진되어 데크에 의해 보호되며, 보행 및 외부환경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은 완충하여 보행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클립을 통해 데크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용이하게 설치하여, 빗물 및 이물질 배출이 용이하여 미끄럼방지부의 손상 및 마모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끄럼방지부에 다양한 색상을 통해 문자, 형상 등을 도포하여 보행 시 주위사항 및 이정표를 도시하여 보행자의 안전 및 보행방향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접착돌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부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의 개방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접착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부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격벽의 개방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표면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표면이 미끄럽지 않도록 이루어져 보행자가 보행 시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할 수 있으며, 습도 및 온도 등에 의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보행자가 보행하는 상부면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데크(10), 미끄럼방지부(20) 및 충격방지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크는 양측면에 형성된 조립홈(11)과, 상부면이 함몰되고 상부로 돌출된 접착돌기(13)가 형성된 결합홈(12)과,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격벽(15)을 통해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된 중공홈(14)을 형성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0)는 상기 결합홈(12)에 열처리를 통해 혼합제를 도포하여 미끄럼을 방지한다.
상기 충격방지부(30)는 상기 중공홈(14)에 충진되어 충격은 완충한다.
이와 같이 데크(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미끄럼방지부(20)를 통해 보행자가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에 충진된 상기 충격방지부(30)를 통해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은 완충한다.
이대, 상기 충격방지부(30)는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여 보행이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구성인 상기 데크(10), 상기 미끄럼방지부(20) 및 상기 충격방지부(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데크(10)는 상기 조립홈(11), 상기 결합홈(12) 및 상기 중공홈(14)을 가지며,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철, 철 합금, 카본, 카본합금을 개별 또는 혼합하여 사출을 통해 제작된다.
이렇게 제작된 상기 데크(10)는 규격 및 용도에 따라 길이에 맞춰 절단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홈(11)은 상기 데크의 양측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로 함몰된다.
이때, 상기 조립홈(11)에 양측단이 삽입되어 상기 데크(10)의 양측면을 고정하는 연결클립(40)이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연결클립(40)은 양측단이 상기 조립홈(1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데크(10)가 측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홈(11)과 상기 조립홈(11)을 연결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클립(40)은 상기 데크(10)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연결한 후 지면 또는 프레임 등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데크(10) 특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클립(40)의 양측단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41)가 결합되어 상기 조립홈에 삽입된 후 가압되어 상기 데크(1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날씨, 환경 등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에 맞춰 용이하게 상기 데크(10)를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41)는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써, 상기 조립홈에 억지끼움을 통해 고정된 후 신축성을 통해 가압하여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12)은 상부면이 함몰되어 상기 미끄럼방지부(20)가 도포되며, 도포되는 상기 미끄럼방지부(20)가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접착돌기(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착돌기(13)는 상기 데크(10)와 함께 사출성형되되, 상기 미끄럼방지부가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b)에 된 바와 같이 삼각형 단면형상,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각형 단면형상,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져 도포되는 상기 미끄럼방지부(20)가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접착돌기(13)는 도포된 상기 미끄럼방지부(20)가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 도포된 상기 미끄럼방지부를 안정적으로 접착 및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중공홈(14)은 상기 데크(1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격벽(15)에 의해 일정공간 구획되어 상기 충격방지부(30)가 충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데크(10)의 상부에서 보행시 가해지는 충격,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10)의 상기 격벽(15)의 중앙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충격방지부(30)가 용이하게 충진되며,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개방홈(16)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개방홈(16)은 상기 데크(1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데크의 상부면이 일정간격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충격방지부(30)로 충격을 전달하여 완충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방홈(16)에 의해 충진되는 상기 충격방지부(30)가 상기 중공홈(14)에 고르게 충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미끄럼방지부(2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20)는 상기 데크(10)의 상기 조립홈(11)에 혼합제를 열처리에 따라 도포하여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미끄럼방지부(20)를 도포하는 열처리는, 표면가공층(21), 제1도료도포층(22), 입자도포층(23), 제2도료도포층(24), 표면도포층(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가공층(21)은 상기 결합홈(12)의 표면에 모래분사, 브러쉬연마, 사포를 사용하여 표면조도 10㎛~30㎛로 가공한다.
즉, 모래분사, 브러쉬연마 및 사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미끄럼방지부(20)가 도포되는 상기 결합홈(12)의 표면을 가공한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홈(12)의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 및 오염을 제거하고, 상기 데크(10) 재질에 따른 산화를 방지하며, 이후 도포되는 혼합제가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표면을 처리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표면도조는 10㎛~30㎛로 형성되어 제1도료도포층(22)에서 도포되는 수용성수지가 표면에 고르게 흡착되어 강력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표면조도가 10㎛ 이하일 경우, 후술되는 수용성수지가 용이하게 흡착되지 않고, 30㎛이상일 경우, 많은 양의 수용성수지가 도포되어 불필요한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1도료도포층(22)은 상기 표면가공층(21)이 이루어진 상기 결합홈(12)에 수용성수지 20㎛~60㎛두께로 도포한다.
여기서 수용성수지는 페놀수지, 아미노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판수지 및 MMA수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수용성수지가 표면이 가공된 상기 결합홈(12)에 도포되어 이후 도포되는 혼합제를 안정적으로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수용성수지가 20㎛이하로 도포되면 상기 결합홈(12)과 상기 입자도포층(23)을 안정적으로 접착되지 않아 변형이 일어나고, 열처리 후 상기 결합홈(12)과 상기 입자도포층(23)이 접착하는 접착력이 저하되며, 60㎛이상으로 도포되면 너무 많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입자도포층(23)이 평탄하지 않고 열처리 시 수용성수지의 두께 변화에 따라 균일하면서 평탄하게 유지가 힘들어진다.
상기 입자도포층(23)은 상기 제1도료도포층(22)이 이루어진 상기 결합홈(12)에 100㎛~1000㎛크기의 불규칙적인 모형을 갖는 산화알루미늄, 규소, 실리콘카바이드, 입방정 질화붕소 중 어느 하나를 900㎛~1200㎛의 두께를 가지도록 1회 이상 도포한다.
따라서 규격내의 크기를 가지는 불규칙적인 모형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함에 따라 장기간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미끄럼을 방지하고 보행시 발생하는 마찰 등에 의한 마모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입자가 100㎛ 이하일 경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고, 1000㎛이상일 경우 표면이 거칠어져 보행시 보행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입자의 두께가 900㎛ 이하일 경우 마모 및 변형에 취약하며, 1200㎛ 이상일 경우 상기 조립홈(12)의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 및 손상되고 보행자가 보행시 돌출된 부분에 의해 보행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으며, 도포량이 증가하여 제작비용이 증가하게된다.
상기 제2도료도포층(24)은 상기 입자도포층(23)이 이루어진 상기 결합홈(12)에 무기안료와 에폭시수지 또는 MMA수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0.1~0.25:1 비율로 조합하여 10㎛~50㎛ 도포한다.
따라서 적색, 회색, 녹색, 자색 및 흑색 등과 같이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무기안료와 에폭시수지 및 MMA수지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상부면에 용이하게 도포하여, 보행자의 눈에 식별이 용이한 색상을 가지며, 통행안내 및 통행시 주의할 문구 및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제2도료도포가 10㎛ 이하일 경우, 장기간 사용시 마찰 및 마모에 의해 훼손되어 원활한 정보전달이 어려우며, 50㎛ 이상일 경우, 불필요하게 너무 두꺼워 보행시 상기 제2도료도포층(24)에 의해 보행이 불편하며,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없고, 불필요한 제2도료를 더 도포하게 되어 제작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표면도포층(25)은 상기 제2도료도포층(24)이 이루어진 상기 결합홈(12)에 에폭시수지 또는 우레탄수지를 도포하여 표면을 마감한다.
즉, 상기 열처리를 통해 순차적으로 도포된 혼합제가 장기간 외부에 노출시 변형,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한다.
따라서 상기 미끄럼방지부(20)의 표면의 완성도를 높이며, 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에폭시수지 및 우레탄수지는 상기 입자도포층(23)에서 도포된 입자에 의해 미끄럼을 방지하되, 입자의 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께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순차적으로 도포된 상기 미끄럼방지부(20)는 상기 데크(10)를 50℃~60℃의 온도로 18~30초 가열하는 가열건조한 열처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열처리를 통해 순차적으로 도포된 혼합제를 가열건조를 통해 상기 데크(10)에 접착시킨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도포됨에 따라 상기 미끄럼방지부(20)는 상기 결합홈(12) 용이하게 접착된 상태에서 열처리를 통해 장기간 외부에 노출되어 변형 등의 외부환경적인 요소에 의해 상기 미끄럼방지부(20)가 이탈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충격방지부(30)는 상기 데크(10) 내부에 충진되어 충격은 완충할 수 있는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충격방지부(30)는 우레탄 폼을 상기 중공홈(14)에 충진되어 상기 데크(1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며, 마찰음을 줄여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부(20)와 비슷한 온도를 유지하여 온도차에 의한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우레탄 폼은 상기 격벽(15)의 상기 개방홈(16)을 통해 넓은 면적에 고르게 충진되며, 상기 격벽(15)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을 용이하게 지지하여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작 및 설치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데크(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사출되며, 상기 데크의 용도 및 규격에 맞춰 절단한다.
이후, 상기 데크(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12)에 열처리를 통해 상기 미끄럼방지부(20)를 도포하고 상기 중공홈(14)에 충격방지부를 충진한다.
이렇게 상기 데크(10)에 상기 미끄럼방지부(20)와 상기 충격방지부(30)가 도포 및 충진된 후 사용용도에 맞춰 교량, 등산로, 테라스 등에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데크(10)는 폭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며, 상기 연결클립(40)의 양측단이 양측에 배치된 상기 데크(10)의 상기 조립홈(11)에 삽입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클립(40)은 지면 또는 프레임 등에 결합시켜 다수개의 상기 데크를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데크(10)는 상기 연결클립(40)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됨에 따라 빗물 등의 배수가 용이하며, 가해지는 충격이 다른 상기 데크(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데크(10)를 보행자가 보행시 상기 미끄럼방지부(20)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충격방지부(30)에 의해 가해진 충격을 완충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미끄럼방지부(20)는 열처리를 통해 상기 데크(10)에 도포됨에 따라 외부에 장기간 노출된 상기 데크(10)의 변형이 발생하여 파손, 이탈 등을 방지하며, 상기 충격방지부(30)와 온도차를 조절하여 변형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10)는 상기 연결클립(40)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되어 빗물 등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20)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클립(40)에는 상기 탄성부재(41)가 형성되어 다수개의 상기 데크(10) 및 지면 등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10: 격벽 11: 조립홈 12: 결합홈
13: 접착돌기 14: 중공홈
15: 격벽 16: 개방홈
20: 미끄럼방지부 21: 표면가공층 22: 제1도료도포층
23: 입자도포층 24: 제2도료도포층
25: 표면도포층
30: 충격방지부
40: 연결클립 41: 탄성부재

Claims (6)

  1. 양측면에 형성된 조립홈(11)과, 상부면이 함몰되고 상부로 돌출된 접착돌기(13)가 형성된 결합홈(12)과,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격벽(15)을 통해 일정한 간격으로 구획된 중공홈(14)을 가지는 데크(10);
    상기 결합홈(12)에 열처리를 통해 혼합제를 도포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20);
    상기 중공홈(14)에 충진되어 충격은 완충하는 충격방지부(30);로 이루어지되,
    상기 미끄럼방지부(20)는 상기 결합홈(12)에 다수의 혼합제를 도포한 후 상기 데크(10)를 50℃~60℃의 온도로 18~30초 가열하는 가열건조한 열처리가 이루어지며,
    상기 미끄럼방지부(20)는,
    상기 결합홈(12)의 표면에 모래분사, 브러쉬연마, 사포를 사용하여 표면조도 10㎛~30㎛로 가공하는 표면가공층(21)과,
    상기 표면가공층(21)이 이루어진 상기 결합홈(12)에 수용성수지 20㎛~60㎛두께로 도포하는 제1도료도포층(22)과,
    상기 제1도료도포층(22)이 이루어진 상기 결합홈(12)에 100㎛~1000㎛크기의 불규칙적인 모형을 갖는 산화알루미늄, 규소, 실리콘카바이드, 입방정 질화붕소 중 어느 하나를 900㎛~1200㎛의 두께를 가지도록 1회 이상 도포하는 입자도포층(23)과,
    상기 입자도포층(23)이 이루어진 상기 결합홈(12)에 무기안료와 에폭시수지 또는 MMA수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0.1~0.25:1 비율로 조합하여 10㎛~50㎛ 도포하는 제2도료도포층(24)과,
    상기 제2도료도포층(24)이 이루어진 상기 결합홈(12)에 에폭시수지 또는 우레탄수지를 상기 결합홈의 두께만큼 도포하여 표면을 마감하는 표면도포층(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1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철, 철 합금, 카본, 카본합금을 개별 또는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돌기(13)는, 상기 결합홈(12)의 함몰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도록 상부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데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10)의 상기 격벽(15)의 중앙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충격방지부(30)가 용이하게 충진되며,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개방홈(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11)에 양측단이 삽입되어 상기 데크(10)의 양측면을 고정하는 연결클립(4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KR1020190133116A 2019-10-24 2019-10-24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KR102096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116A KR102096601B1 (ko) 2019-10-24 2019-10-24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116A KR102096601B1 (ko) 2019-10-24 2019-10-24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601B1 true KR102096601B1 (ko) 2020-05-22

Family

ID=7091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116A KR102096601B1 (ko) 2019-10-24 2019-10-24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6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438B1 (ko) * 2020-10-23 2021-03-24 (주)세종윈텍 논슬립과 발열성을 개선하는 폴리우레아가 코팅된 알루미늄 데크
KR102243766B1 (ko) * 2020-12-04 2021-04-23 (주)세종윈텍 골재 모르타르 데크
KR102532628B1 (ko) * 2022-11-30 2023-05-15 경동산업 주식회사 강화합성목재데크
KR102572794B1 (ko) * 2023-04-19 2023-08-30 (주)세종윈텍 탄성층이 있는 박리방지용 알루미늄 데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320B1 (ko) * 2012-03-06 2012-11-01 주식회사 제현산업 인도교용 데크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인도교
KR101196696B1 (ko) 2012-05-04 2012-11-08 주식회사 국풍코리아 미끄럼방지판부가 설치된 데크용 압출성형 합성목재
KR101575124B1 (ko) * 2014-01-07 2015-12-07 유지혜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KR101991089B1 (ko) * 2019-01-24 2019-06-19 (주)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는 바닥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320B1 (ko) * 2012-03-06 2012-11-01 주식회사 제현산업 인도교용 데크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인도교
KR101196696B1 (ko) 2012-05-04 2012-11-08 주식회사 국풍코리아 미끄럼방지판부가 설치된 데크용 압출성형 합성목재
KR101575124B1 (ko) * 2014-01-07 2015-12-07 유지혜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KR101991089B1 (ko) * 2019-01-24 2019-06-19 (주)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는 바닥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438B1 (ko) * 2020-10-23 2021-03-24 (주)세종윈텍 논슬립과 발열성을 개선하는 폴리우레아가 코팅된 알루미늄 데크
KR102243766B1 (ko) * 2020-12-04 2021-04-23 (주)세종윈텍 골재 모르타르 데크
KR102532628B1 (ko) * 2022-11-30 2023-05-15 경동산업 주식회사 강화합성목재데크
KR102572794B1 (ko) * 2023-04-19 2023-08-30 (주)세종윈텍 탄성층이 있는 박리방지용 알루미늄 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601B1 (ko)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US8192829B2 (en) Cast photoluminescent devices and photoluminescent inserts for substrates
KR100752050B1 (ko) 도로의 미끄럼 방지재
KR20050072727A (ko) 섬유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1575124B1 (ko)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KR100846833B1 (ko) 계단용 논슬립 및 그에 결합되는 마구리 캡
KR101482588B1 (ko) 탄성ㆍ축광 특성을 갖는 탄성 포장재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시공 방법
US9062231B2 (en) Water-resistant anti-slip articles
CN104499666B (zh) 一种防滑条及设置防滑条的斜梯
KR20130003628U (ko) 기능성 데크
KR101007707B1 (ko) 재귀반사형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526623B1 (ko) 콘크리트 바닥 마감용 코너 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마감층 시공 방법
KR101145816B1 (ko) 요철을 갖는 재귀반사형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434179Y1 (ko) 마모 및 미끄럼 방지용 목재패널
CN203755155U (zh) 一种粘结式玻璃钢防滑路桥面板
KR20230060117A (ko) 시공이 용이하고 미끄럼방지 기능을 구비한 금속데크
KR200423161Y1 (ko) 계단용 논슬립
KR102093635B1 (ko) 미끄럼 방지 및 반사 시인성이 향상된 경계석 및 그 경계석의 시공방법
KR200408072Y1 (ko) 요철무늬를 갖는 내마모성 에폭시 바닥재
CN211848694U (zh) 一种停车场防滑坡道地坪
KR200433294Y1 (ko) 방진 및 방수를 위한 철골주차장의 바닥구조
KR101145812B1 (ko) 재귀반사형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JP4669944B2 (ja) 舗装構造及び舗装シート
KR102264511B1 (ko) 미끄럼방지 및 융설 첨가제가 포함된 혼합물을 이용한 경사부 모서리 시공방법
KR200299599Y1 (ko) 미끄럼방지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