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628B1 - 강화합성목재데크 - Google Patents

강화합성목재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628B1
KR102532628B1 KR1020220163646A KR20220163646A KR102532628B1 KR 102532628 B1 KR102532628 B1 KR 102532628B1 KR 1020220163646 A KR1020220163646 A KR 1020220163646A KR 20220163646 A KR20220163646 A KR 20220163646A KR 102532628 B1 KR102532628 B1 KR 102532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ynthetic wood
side plate
slip
protectiv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남
Original Assignee
경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동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5Layered panels only of wood
    • E04F15/046Plywoo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합성목재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프레임에 합성목재를 압출성형하여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크고 야간에도 가시성이 있는 강화합성목재데크에 관한 발명으로서,
일측 측면판과 타측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측면판; 상기 일측 측면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의 상부측에서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판; 상기 일측 측면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일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와, 상기 타측 측면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로 이루어져, 압출되는 상부 합성목재의 측면 가이드를 형성하면서 상부 합성목재를 보호하는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 상기 측면판의 양측 하단에서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중공에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연결하여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는 금속 프레임과, 상기 상부판과 상기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홈을 통해 압출되는 상부 합성목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합성목재데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화합성목재데크{THE REINFORECD COMPOSITE WOOD DECK}
본 발명은 강화합성목재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프레임에 합성목재를 압출성형하여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크고 야간에도 가시성이 있는 강화합성목재데크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건강을 위해 그리고 땀을 흘리는 운동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하기 위해 자주 근교에 있는 산을 찾아 등산을 하거나, 산책로 또는 둘레길 을 트래킹하는 사람들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증가하는 등산객이나 트래킹 하는 사람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등산 또는 트래킹 중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등산로나 산책로 또는 둘레길에 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된 장방형의 데크재를 교량형태나 계단식으로 깔고, 데크재 양측에 안전난간대를 설치하여, 등산객들이 안전하게 등산 및 하산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알루미늄 또는 금속과 결합한 데크에 대한 기술을 살펴보면, 특허 제1359568호는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목재용 데크를 생산하면서 중공과 이 중공의 상측으로 결합공간을 형성하여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압출 성형하여 상기 중공과 결합공간에서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데크의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특허 제1396179호는 복합 빔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일부 또는 전부가 하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를 갖는 천연 또는 합성 목재 재질의 데크; 및 전체적으로 상기 데크의 강도 보다 큰 강도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데크의 개방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데크를 보강 및 지지하는 보강재를 포함한다. 데크측 개방부는 내측의 상단면이 평탄한 면을 갖고 내측의 양 측면이 수직한 면을 가지되 이의 적어도 일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다란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데크측 삽입홈에 대응되는 상기 보강재 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다란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합성목재의 비용을 줄이면서 장기간 습도 및/도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3909호는 안전성이 강화된 금속재와 합성수지 일체형 복합 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재와 합성수지를 일체로 결합시켜 데크를 제작함으로써 금속 데크와 합성목재 데크 각각이 갖는 단점을 극복하고, 금속재로 인한 뛰어난 강도를 유지하면서 외부에 결합된 합성수지에 무늬목 처리 등 다양한 처리를 하여 심미감 및 미끄럼방지와 같은 기능성도 갖게 되는 안전성이 강화된 금속재와 합성수지 일체형 복합 데크를 제공하고 있다.
특허 제1790130호는 편리한 시공성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데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합성목재 또는 목재 데크를 체결하는 결합수단을 이용한 데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재질로 지면 또는 하부 보조 지지수단의 상부에 결착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 일측면에서 내방으로 "ㄱ"자 형태를 이루는 제1굴곡 및 상기 제1굴곡과 대응되는 형태로 마주하는 하부판 일측면에 위치한 제2굴곡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과 상기 결합수단의 개방된 일측면으로 삽입되는 합성목재 또는 천연목재의 소재로 최상부에 위치하고, 미끄럼 방지 홈이 복수개 구비된 데크상판부, 결합수단의 제1굴곡과 결합되는 삽입부 및 제2굴곡과 결합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데크가 체결되는 구조체로 데크를 각 측면에서 잡아주고, 일정방향으로 삽입과 추출하여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목재 또는 천연목재 소재로 이루어진 데크의 내구성과 시공 및 교체의 편리성을 가지고, 데크와 결합수단의 형상을 간편한 구조를 이루어 생산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데크와 알루미늄 소재의 결합수단으로만 이루어진 시스템으로 최초 시공비용과 유지관리 비용이 감소됨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의 기술들은 합성목재로 이루어진 데크가 금속프레임을 둘러싸거나 금속프레임에 삽입되어 장착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과, 제조후에도 합성목재의 데크가 금속과 탈리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59568호(2014.01.29.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396179호(2014.05.12.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429195호(2014.08.05. 등록)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3909호(2015.06.10.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1790130(2017.10.1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금속프레임에 합성목재가 함께 압출성형되도록 하여 합성목재데크의 강도를 강화함과 아울러 금속프레임에 야광 또는 축광물질이 투입되어 야간에도 가시성이 있는 강화합성목재데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 측면판과 타측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측면판; 상기 일측 측면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의 상부측에서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판; 상기 일측 측면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일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와, 상기 타측 측면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로 이루어져, 압출되는 상부 합성목재의 측면 가이드를 형성하면서 상부 합성목재를 보호하는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 상기 측면판의 양측 하단에서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중공에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연결하여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는 금속 프레임과, 상기 상부판과 상기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홈을 통해 압출되는 상부 합성목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합성목재데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 측면판과 타측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측면판; 상기 일측 측면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의 상부측에서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판; 상기 일측 측면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의 하부측에서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판; 상기 일측 측면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일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와, 상기 타측 측면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와, 상기 일측 측면판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하부판과 상기 일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일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와, 상기 타측 측면판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하부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타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로 이루어져, 압출되는 상부 합성목재 및 하부 합성목재의 측면 가이드를 형성하면서 상부 합성목재 및 하부 합성목재를 보호하는 합성목재 보호턱부;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연결하여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는 금속 프레임과, 상기 상부판과 상기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홈으로 압출되는 상부 합성목재와, 상기 하부판과 상기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홈으로 압출되는 하부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는 합성목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합성목재데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판에는, 압출되는 합성목재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길이방향의 하나 이상의 상부 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돌기는, 하부보다 상단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하부판에는, 압출되는 합성목재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단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하부 가이드돌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돌기는, 상부보다 하단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의 높이보다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는, 일측 측면판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일측 상판부와, 일측 상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일측 측면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일측 상부 경사면부로 이루어지고,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는, 타측 측면판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타측 상판부와, 타측 상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타측 측면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타측 상부 경사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일측 상판부에는 일측 논슬립부가 형성되고 타측 상판부에는 타측 논슬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논슬립부 및 타측 논슬립부는, 상기 상판부에 형성되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일측 상판부에는 일측 논슬립부가 형성되고 타측 상판부에는 타측 논슬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논슬립부 및 타측 논슬립부는, 상기 일측 및 타측 상판부에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논슬립 장착홈과, 테이프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일측 및 타측 논슬립 장착홈에 부착되는 논슬립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일측 상판부에는 일측 논슬립부가 형성되고 타측 상판부에는 타측 논슬립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논슬립부 및 타측 논슬립부는, 상기 일측 및 타측 상판부에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논슬립 장착홈과, 상기 일측 및 타측 논슬립 장착홈에 장착되는 일측 및 타측 논슬립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논슬립패드는, 미끄럼방지를 위해 길이방향으로 요곡이 형성되고, 야간 표시를 위한 야광 또는 축광물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일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는, 일측 측면판 하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일측 하판부와, 상기 일측 하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일측 측면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일측 하부 경사면부로 이루어지고, 타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는, 타측 측면판 하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타측 하판부와, 상기 타측 하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타측 측면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타측 하부 경사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일측 측면판에는 길이방향의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측면판에는 길이방향의 연결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돌기는 인접한 금속프레임의 연결홈에 일정길이로 삽입되고, 상기 연결홈에는 인접한 금속프레임의 연결돌기가 일정길이로 삽입되어, 상기 각 연결돌기에 피스가 체결되어 각 강화합성목재데크가 장선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일측 측면판 및 타측 측면판에는, 길이방향의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과 인접한 금속프레임에 형성된 연결홈에 클립이 삽입되며, 상기 클립에 피스가 체결되어 상기 강화합성목재데크가 장선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에서 금속프레임은, 아연, 마그네슘, 티타늄,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판과 하부판 및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에는, 중공의 양측 개방구를 밀폐하기 위한 캡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판에는, 압출되는 상기 합성목재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길이방향의 하나 이상의 상부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홈은, 홈의 입구보다 바닥면이 더 넓은 형태를 가지도록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하부판에는, 압출되는 합성목재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길이방향의 하나 이상의 하부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홈은, 홈의 입구보다 바닥면이 더 넓은 형태를 가지도록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는, 금속프레임에 합성목재가 평판형태로 압출성형되기 때문에, 열변형에 의한 변형이 적고 데크의 변형에 의한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는, 압출성형되는 합성목재의 양이 적기 때문에 하중이 가벼워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는, 합성목재의 양이 적게 들어가기 때문에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는, 금속프레임과 합성목재가 결합되기 때문에 데크의 강도가 큰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는, 금속프레임에 논슬립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는, 금속프레임의 논슬립부가 야광 또는 축광물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야간에 보행자에게 데크의 방향을 표시해줄 수 있어 보행자의 안전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프레임에 합성목재가 결합된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실시예의 금속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프레임에 합성목재가 결합된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제2실시예의 금속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1실시예를 장선에 장착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1실시예를 장선에 장착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2실시예를 클립을 이용하여 장선에 장착한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클립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1실시예에서 논슬립부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논슬립 시트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1실시예에서 논슬립부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논슬립부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
도 15는 도 13의 논슬립부의 제2실시예에서 논슬립패드의 사시도.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에 장착되는 마감용 캡의 사시도.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에 마감용 캡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에서 금속 프레임에 합성목재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한 가이드홈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프레임에 합성목재가 결합된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실시예의 금속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프레임에 합성목재가 결합된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2실시예의 금속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1실시예를 장선에 장착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1실시예를 장선에 장착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2실시예를 클립을 이용하여 장선에 장착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1실시예에서 논슬립부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논슬립 시트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1실시예에서 논슬립부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논슬립부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논슬립부의 제2실시예에서 논슬립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에 장착되는 마감용 캡의 사시도이고,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에 마감용 캡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에서 금속 프레임에 합성목재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한 가이드홈의 실시예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1)의 제1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1)는, 금속프레임(10)과, 금속프레임(10)에 압출되는 합성목재(2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금속프레임(10)은, 프레임의 양측을 형성하는 측면판(15)과 측면판(15)의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판(11)과 하부판(14)과, 상부판(11)의 상부에 형성되어 합성목재(20)가 압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로 이루어진다. 측면판은 일측 측면판(15a)과 타측 측면판(15b)로 이루어지고, 일측 측면판(15a)에는 연결돌기(152)가 형성되며, 타측 측면판(15b)에는 연결홈(151)이 형성된다. 상부판(11)은 일측 측면판(15a)과 타측 측면판(15b)의 상부측에서 일측 측면판(15a)과 타측 측면판(15b)를 서로 연결한다. 하부판(14)은 일측 측면판(15a)의 하단과 타측 측면판(15b)의 하단을 서로 연결한다. 상부판(11)과 하부판(14) 및 측면판(15)에 의해 내부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판(11)과 하부판(14)을 상하로 연결하는 보강판(17)이 더 형성되어 강도를 보강한다.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는, 일측 측면판(15a)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부판(11)과 일측 측면판(15a)가 만나는 부분까지 사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a)와 타측 측면판(15b)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부판(11)과 타측 측면판(15b)이만나는 부분까지 사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b)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목재(20)는, 상부판(11)과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a)와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b)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홈(111)을 통해 압출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11)에는 압출되는 합성목재(20)의 위치 고정을 위한 가이드돌기(12)가 다수개 형성되는데, 가이드돌기(12)는 상단(121)이 하부보다 폭이 더 크게 형성된다. 그 이유는 압출성형되는 합성목재(20)의 결합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단(121)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됨으로써 합성목재(20)는 상부판(11)에 고정되도록 성형되어 쉽게 변형되거나 금속프레임(10)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가이드돌기(12)는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합성목재(20)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의 경사면부(133)와 가이드돌기(12)에 의해 합성목재(20)는 상부판(1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는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a)와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b)로 이루어진다.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a)는 일측 측면판(15a)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어 논슬립면을 형성하는 일측 상판부(131a)와, 일측 상판부(131a)의 내측 단부에서 연결되어 압출되는 합성목재(20)의 양단을 가이드하면서 위치고정을 위해 일측 측면판(15a)과 상부판(11)이 만나는 부분까지 연장 형성되는 일측 상부 경사면부(133a)로 이루어진다. 일측 상판부(131a)는 논슬립면을 형성하기 위해, 일측 미끄럼 방지홈(132a)을 형성하거나, 후술할 도 12와 같이 미끄럼 방지 테이프 또는 고경도의 입자의 미끄럼 방지부재(132a')를 부착하여 미끄럼 방지기능을 줄 수 있다.
또한, 상부 합성목재 압출홈(111)은 상부판(11)과 상부판(11)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에 의해 형성되는 홈이다. 상부 합성목재 압출홈(111)에는 합성목재(20)가 압출 성형되어 고정된다. 합성목재 압출홈(111)의 양측은 일측 상부 경사면부(133a)와 타측 상부 경사면부(133b)가 형성되기 때문에 성형된 합성목재(20)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측면판(15)의 양측 하단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부판(14)은 일정거리 상부판(11)과 이격형성되어 상부판(11)과 하부판(14) 사이에 중공(16)을 형성한다. 중공(16)에는, 상부판(11)과 하부판(14)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판(17)이 형성되고, 보강판(17)에 의해 형상에 따른 질량관성모멘트가 증가하여 금속프레임(10)의 강도는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일측 측면판(15a)에는 인접하여 연결되는 다른 금속 프레임(10)의 연결홈(151)에 삽입되는 연결돌기(152)가 형성되고, 타측 측면판(15b)에는 인접하여 연결되는 다른 금속 프레임(10)의 연결돌기(152)가 삽입되는 연결홈(151)이 형성된다. 연결돌기(152)는 인접하는 다른 측면판(15)의 연결홈(151)에 삽입되고, 연결돌기(15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40)로 장선(30) 등의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돌기(152)가 고정되기 때문에 강화합성목재데크(1)는 장선(30) 등에 고정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1')의 제2실시예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측면판(15)에 형성되는 연결홈(151)만으로 구성되는 점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금속프레임(10')은 측면판(15) 양측에 연결홈(151)만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일측 측면판(15a)에 형성되는 일측 연결홈(151a)와 타측 측면판(15b)에 형성되는 타측 연결홈(151b)으로 이루어진다. 연결홈(151)은 서로 연결되는 인접한 강화합성목재데크(1')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7은 연결홈(151)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개의 강화합성목재데크(1')의 연결홈(151)에는 클립(50)이 삽입되고, 클립(50)은 피스(40)를 통해 장선(30) 등의 구조물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인접한 강화합성목재데크(1')는 장선(30) 등의 구조물에 고정된다.
도 5는 장선(30)에 다수의 제1실시예의 강화합성목재데크(1)가 장착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서 연결홈(151)과 연결돌기(152)를 통해 강화합성목재데크(1)가 고정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로 연결홈(151)에 삽입된 연결돌기(152)에 피스(40)를 장선(30) 등의 구조물에 박아서 고정한다. 연결돌기(152)에 의해 각 강화합성목재데크(1)는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으며, 이격거리를 통해 빗물 등이 빠져나가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측면판(15)에 형성되는 연결홈(151)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한 제2실시예의 강화합성목재데크(1')를 고정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인접한 두 개의 강화합성목재데크(1')에는 측면판(15)에 연결홈(151)이 형성되고, 연결홈(151)에는 클립(50)이 삽입되며, 클립(50)은 피스(40)를 통해서 장선(30)에 고정된다. 클립(50)의 구조를 살펴보면, 클립(50)은 연결평판(51)과, 연결평판(51)의 중앙에 형성되는 피스 체결홀(52)과, 강화합성목재데크(1') 사이가 일정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측과 타측에 상하로 마련됨과 아울러 연결평판(51)의 배면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연결평판(51)의 강도를 보강하는 가이드(53)와, 일측과 타측에 상하로 마련되는 가이드(53)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는 가이드의 탄력을 주기 위한 플렉서블 홈부(54)와, 피스 체결홀(52)의 저면측에 형성되는 언더컷(55)로 구성된다. 따라서, 클립(50)은 강화합성목재데크(1') 사이에 삽입되고, 클립(50)에 형성된 피스 체결홀(52)을 통해 장선(30)에 고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1")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가 제1실시예(1)와 동일하나, 합성목재(20)가 상부판(11a) 및 하부판(11b)에 모두 대칭으로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합성목재데크(1")의 제3실시예는 금속프레임(10")과 합성목재(20 : 20a, 20b)로 구성된다. 금속프레임(10")은, 양측에 형성되는 일측 측면판(15a)과 타측 측면판(15b)으로 이루어지는 측면판(15)과, 상하로 형성되어 일측 측면판(15a)과 타측 측면판(15b)을 상부 및 하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상부판(11a)과 하부판(11b)과, 일측 측면판(15a)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일측 측면판(15a)과 상부판(11a)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a)와, 타측 측면판(15b)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타측 측면판(15b)과 상부판(11a)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b)와, 일측 측면판(15a) 하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일측 측면판(15a)와 하부판(11b)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일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c)와, 타측 측면판(15b)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타측 측면판(15b)과 하부판(11b)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타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d)로 이루어지는 합성목재 보호턱부(13)와, 상부판(11a)과 하부판(11b)에 의해 형성된 중공(16)에서 상부판(11a)과 하부판(11b)을 서로 연결하여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17)으로 구성된다. 상부 합성목재(20a)는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a)와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b) 및 상부판(11a)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합성목재 압출홈(111a)을 통해 압출된다. 또한, 하부 합성목재(20b)는 일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c)와 타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d) 및 하부판(11b)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합성목재 압출홈(111b)을 통해 압출된다.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a)는 일측 상부 논슬립부(132a)가 형성되는 일측 상판부(131a)와, 일측 상판부(131a)에 형성되는 일측 상부 논슬립부(132a)와, 상부 합성목재 압출홈(111a) 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일측 상부 경사면부(133a)로 구성된다.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b)는 타측 상부 논슬립부(132b)가 형성되는 타측 상판부(131b)와, 타측 상판부(131b)에 형성되는 타측 상부 논슬립부(132b)와, 상부 합성목재 압출홈(111a) 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타측 상부 경사면부(133b)로 구성된다. 또한, 일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c)는 일측 하부 논슬립부(132c)가 형성되는 일측 하판부(131b)와, 일측 하판부(131b)에 형성되는 일측 하부 논슬립부(132c)와, 하부 합성목재 압출홈(111b) 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일측 하부 경사면부(133c)로 구성된다. 타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13d)는 타측 하부 논슬립부(132d)가 형성되는 타측 하판부(131b)와, 타측 하판부(131d)에 형성되는 타측 하부 논슬립부(132d)와, 하부 합성목재 압출홈(111b) 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는 타측 하부 경사면부(133d)로 구성된다. 상판부(131a, 131b)와 하판부(131c, 131d)는 논슬립부(132a, 132b, 132c, 132d)가 형성되는데, 논슬립부의 형태는 미끄럼 방지홈이나, 미끄럼 방지 테이프(미도시) 또는 고경도의 입자가 부착된 미끄럼 방지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돌기(12a, 12b)는 상부 합성목재(20a)와 하부 합성목재(20b)의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단(121a) 또는 하단(121b)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 압출되는 합성목재(20a, 20b)의 결합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강화합성목재데크(1")를 고정하는 방법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1"')의 제4실시예이다. 도면에서 제3실시예(1")와 연결돌기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15)에는 연결홈(151)으로만 구성된다. 나머지의 구성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의 강화합성목재데크(1"')의 고정방법은 도 7과 도 8에 나타난 방법과 동일하다.
도 11과 도 12는 상판부(13' : 13a', 13b')의 제2실시예이다. 도 11에서는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1실시예(1)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상판부(13')는 강화합성목재데크의 제1실시예(1)와 제2실시예(1')와 제3실시예(1") 및 제4실시예(1"')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과 도 12는 상판부(13') 특히 논슬립부(132' : 132a', 132b')의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슬립부(132')는, 상판부(131')에 형성되는 장착홈(1321' ; 1321a', 1321b')과, 논슬립 판(1322' : 1322a', 1322b')으로 이루어진다. 논슬립판(1322')의 상부면에 경도가 큰 입자가 부착형성되는 테이프 형태 또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도 상판부(13" : 13a", 13b")의 제3실시예이다. 특히 논슬립부(132")에 대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13")에 형성되는 논슬립부(132" : 132a". 132b")는, 일측 논슬립부(132a")와 타측 논슬립부(132b")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일측 논슬립부(132a")는 일측 상판부(13a")에 형성되는 일측 논슬립 장착홈(1321a")과, 상기 일측 논슬립 장착홈(1321a")에 장착되는 일측 논슬립패드(1322a")로 이루어진다. 일측 논슬립패드(1322a")의 상단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해 길이방향으로 요곡(1323a")이 형성된다. 타측 논슬립부(132b")는 타측 상판부(13b")에 형성되는 타측 논슬립 장착홈(1321b")과, 상기 타측 논슬립 장착홈(1321b")에 장착되는 타측 논슬립패드(1322b")로 이루어진다. 동일하게 타측 논슬립패드(1322b")에는 미끄럼방지를 위해 길이방향으로 요곡(1323b")이 형성된다. 또한, 일측 및 타측 논슬립패드(1322")는 야간에 강화합성목재데크가 보행로가 표시될 수 있도록 야광 또는 축광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강화합성목재데크(1', 1", 1"')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단순한 설계변경사항에 불과하다.
도 16 내지 도 19는 제1실시예의 강화합성목재데크(1)와 제2실시예의 강화합성목재데크(1')에 금속프레임에 형성된 개방구에 캡(60, 60')이 장착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1실시예의 캡(60)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60)은 금속프레임(10)의 측면 형상에 따라 형성되며, 플레이트 형태의 캡 본체(61)과 금속프레임(10)의 중공(16)의 개방구에 삽입되는 삽입핀(62)으로 이루어진다. 삽입핀(62)은 다수의 핀으로 형성되거나 일정면적을 가진 다수의 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7은 제2실시예의 캡(60')을 도시하고 있다. 캡(60')은 금속프레임(10')의 측면 형상에 따라 형성되며, 플레이트 형태의 캡 본체(61')과 금속프레임(10')의 중공(16)의 개방구에 삽입되는 삽입핀(62')으로 이루어진다. 삽입핀(62')은 다수의 핀으로 형성되거나 일정면적을 가진 다수의 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8과 도 19는 캡(60, 60')이 삽입장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금속프레임(10, 10')의 측면의 중공을 밀폐하기 때문에, 다양한 폐기물들이 중공 내부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60, 60')은 금속프레임(10, 10')에 형성되는 C형의 피스체결구(18)에 피스(40)가 체결되어서 캡(60, 60')은 금속프레임(10, 10')에 고정된다. 캡(60, 60')은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금속프레임(10, 10', 10", 10"')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합성목재데크(1, 1")에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홈(12', 12a')과 하부 가이드홈(12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는, 상부판(11)에는 합성목재가 금속프레임(10)에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홈(12')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홈(12')은 압출되는 합성목재(20)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길이방향의 하나 이상의 상부 가이드홈(12')이 형성된다. 상부 가이드홈(12')은 홈의 입구(122')보다 바닥면(121')이 더 넓은 형태를 가지도록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압출되는 합성목재(20)는 사다리꼴 단면의 가이드홈(12')에 일부가 삽입되어 압출되기 때문에 합성목재(20)는 금속프레임(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0(b)는, 상부판(11a)에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홈(12a')과 하부판(11b)에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홈(12b')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홈(2a')과 하부 가이드홈(12b')은 홈의 입구(122a', 122b')보다 바닥면(121a', 121b')이 더 넓은 형태를 가지도록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압출되는 합성목재(20)는 사다리꼴 단면의 가이드홈(12a', 12b')에 일부가 삽입되어 압출되기 때문에 합성목재(20)는 금속프레임(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1', 1", 1"' : 강화합성목재데크
10, 10', 10", 10"' : 알루미늄 프레임
11, 11a : 상부판 111, 111a : 상부 합성목재 압출홈
111b : 하부 합성목재 압출홈
12, 12a : 상부 가이드돌기 12b : 하부 가이드돌기
12', 12a' : 상부 가이드홈 12b' : 하부 가이드홈
13 : 합성목재보호턱부
13a, 13b :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 13c, 13d :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
131, 131a, 131b : 상판부 132, 132a, 132b : 논슬립부
133, 133a, 133b : 경사면부
131', 131a', 131b' : 상판부 132', 132a', 132b' : 논슬립부
133', 133a', 133b' : 경사면부
131", 131a", 131b" : 상판부 132", 132a", 132b" : 논슬립부
133", 133a", 133b" : 경사면부
11b, 14 : 하부판
15 : 측면판 151 : 연결돌기
152 : 연결홈
16 : 중공 17 : 보강판
18 : C형 피스체결구
20, 20a, 20b : 합성목재 30 : 장선
40 : 피스
50 : 클립
60 : 캡

Claims (16)

  1. 일측 측면판과 타측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측면판; 상기 일측 측면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의 상부측에서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판; 상기 일측 측면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일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와, 상기 타측 측면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로 이루어져, 압출되는 상부 합성목재의 측면 가이드를 형성하면서 상부 합성목재를 보호하는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 상기 측면판의 양측 하단에서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중공에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연결하여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는 금속 프레임과,
    상기 상부판과 상기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홈을 통해 압출되는 상부 합성목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에는, 압출되는 합성목재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길이방향의 하나 이상의 상부 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돌기는, 하부보다 상단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는, 상기 일측 측면판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일측 상판부와, 상기 일측 상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일측 측면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일측 상부 경사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는, 상기 타측 측면판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타측 상판부와, 상기 타측 상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타측 측면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타측 상부 경사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상판부에는 일측 논슬립부가 형성되고 타측 상판부에는 타측 논슬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논슬립부 및 타측 논슬립부는, 상기 일측 및 타측 상판부에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논슬립 장착홈과, 상기 일측 및 타측 논슬립 장착홈에 장착되는 일측 및 타측 논슬립패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논슬립패드는, 미끄럼방지를 위해 길이방향으로 요곡이 형성되고, 야간 표시를 위한 야광 또는 축광물질이 포함되고,
    상기 금속프레임은, 아연, 마그네슘, 티타늄,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합성목재데크.
  2. 일측 측면판과 타측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측면판; 상기 일측 측면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의 상부측에서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판; 상기 일측 측면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의 하부측에서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판; 상기 일측 측면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일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와, 상기 타측 측면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와, 상기 일측 측면판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하부판과 상기 일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일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와, 상기 타측 측면판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하부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타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로 이루어져, 압출되는 상부 합성목재 및 하부 합성목재의 측면 가이드를 형성하면서 상부 합성목재 및 하부 합성목재를 보호하는 합성목재 보호턱부;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연결하여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는 금속 프레임과,
    상기 상부판과 상기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홈으로 압출되는 상부 합성목재와, 상기 하부판과 상기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홈으로 압출되는 하부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는 합성목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에는, 압출되는 합성목재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길이방향의 하나 이상의 상부 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돌기는, 하부보다 상단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에는, 압출되는 합성목재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단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하부 가이드돌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돌기는, 상부보다 하단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의 높이보다는 낮게 형성되며,
    상기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는, 상기 일측 측면판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일측 상판부와, 상기 일측 상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일측 측면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일측 상부 경사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는, 상기 타측 측면판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타측 상판부와, 상기 타측 상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타측 측면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타측 상부 경사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 상판부에는 일측 논슬립부가 형성되고 타측 상판부에는 타측 논슬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논슬립부 및 타측 논슬립부는, 상기 일측 및 타측 상판부에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논슬립 장착홈과, 상기 일측 및 타측 논슬립 장착홈에 장착되는 일측 및 타측 논슬립패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논슬립패드는, 미끄럼방지를 위해 길이방향으로 요곡이 형성되고, 야간 표시를 위한 야광 또는 축광물질이 포함되고,
    상기 금속프레임은, 아연, 마그네슘, 티타늄,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합성목재데크.
  3. 일측 측면판과 타측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측면판; 상기 일측 측면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의 상부측에서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판; 상기 일측 측면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일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와, 상기 타측 측면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로 이루어져, 압출되는 상부 합성목재의 측면 가이드를 형성하면서 상부 합성목재를 보호하는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 상기 측면판의 양측 하단에서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중공에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연결하여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는 금속 프레임과,
    상기 상부판과 상기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홈을 통해 압출되는 상부 합성목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에는, 압출되는 상기 합성목재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길이방향의 하나 이상의 상부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홈은, 홈의 입구보다 바닥면이 더 넓은 형태를 가지도록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는, 상기 일측 측면판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일측 상판부와, 상기 일측 상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일측 측면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일측 상부 경사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는, 상기 타측 측면판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타측 상판부와, 상기 타측 상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타측 측면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타측 상부 경사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상판부에는 일측 논슬립부가 형성되고 타측 상판부에는 타측 논슬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논슬립부 및 타측 논슬립부는, 상기 일측 및 타측 상판부에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논슬립 장착홈과, 상기 일측 및 타측 논슬립 장착홈에 장착되는 일측 및 타측 논슬립패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논슬립패드는, 미끄럼방지를 위해 길이방향으로 요곡이 형성되고, 야간 표시를 위한 야광 또는 축광물질이 포함되고,
    상기 금속프레임은, 아연, 마그네슘, 티타늄,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합성목재데크.
  4. 일측 측면판과 타측 측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측면판; 상기 일측 측면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의 상부측에서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상부판; 상기 일측 측면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의 하부측에서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하부판; 상기 일측 측면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일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와, 상기 타측 측면판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상부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와, 상기 일측 측면판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하부판과 상기 일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일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와, 상기 타측 측면판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하부판과 상기 타측 측면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사선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타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로 이루어져, 압출되는 상부 합성목재 및 하부 합성목재의 측면 가이드를 형성하면서 상부 합성목재 및 하부 합성목재를 보호하는 합성목재 보호턱부;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연결하여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으로 구성되는 금속 프레임과,
    상기 상부판과 상기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홈으로 압출되는 상부 합성목재와, 상기 하부판과 상기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홈으로 압출되는 하부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는 합성목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에는, 압출되는 상기 합성목재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길이방향의 하나 이상의 상부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홈은, 홈의 입구보다 바닥면이 더 넓은 형태를 가지도록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에는, 압출되는 합성목재의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단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하부 가이드돌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돌기는, 상부보다 하단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의 높이보다는 낮게 형성되고,
    상기 일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는, 상기 일측 측면판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일측 상판부와, 상기 일측 상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일측 측면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일측 상부 경사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측 상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는, 상기 타측 측면판 상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타측 상판부와, 상기 타측 상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타측 측면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타측 상부 경사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상판부에는 일측 논슬립부가 형성되고 타측 상판부에는 타측 논슬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논슬립부 및 타측 논슬립부는, 상기 일측 및 타측 상판부에 형성되는 일측 및 타측 논슬립 장착홈과, 상기 일측 및 타측 논슬립 장착홈에 장착되는 일측 및 타측 논슬립패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논슬립패드는, 미끄럼방지를 위해 길이방향으로 요곡이 형성되고, 야간 표시를 위한 야광 또는 축광물질이 포함되고,
    상기 금속프레임은, 아연, 마그네슘, 티타늄,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합성목재데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는, 상기 일측 측면판 하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일측 하판부와, 상기 일측 하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일측 측면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일측 하부 경사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측 하부 합성목재 보호턱부는, 상기 타측 측면판 하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타측 하판부와, 상기 타측 하판부의 내측 단부에서 타측 측면판으로 연결 형성되는 타측 하부 경사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합성목재데크.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측면판에는 길이방향의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측면판에는 길이방향의 연결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돌기는 인접한 금속프레임의 연결홈에 일정길이로 삽입되고, 상기 연결홈에는 인접한 금속프레임의 연결돌기가 일정길이로 삽입되어, 상기 각 연결돌기에 피스가 체결되어 각 강화합성목재데크가 장선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합성목재데크.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측면판 및 상기 타측 측면판에는, 길이방향의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과 인접한 금속프레임에 형성된 연결홈에 클립이 삽입되며, 상기 클립에 피스가 체결되어 상기 강화합성목재데크가 장선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합성목재데크.
  13. 삭제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및 상기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에는, 상기 중공의 양측 개방구를 밀폐하기 위한 캡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합성목재데크.
  15. 삭제
  16. 삭제
KR1020220163646A 2022-11-30 2022-11-30 강화합성목재데크 KR102532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646A KR102532628B1 (ko) 2022-11-30 2022-11-30 강화합성목재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3646A KR102532628B1 (ko) 2022-11-30 2022-11-30 강화합성목재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628B1 true KR102532628B1 (ko) 2023-05-15

Family

ID=86394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3646A KR102532628B1 (ko) 2022-11-30 2022-11-30 강화합성목재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628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89B1 (ko) * 2007-07-18 2008-10-27 이창엽 발광기능을 갖는 계단용 논스립
KR101119583B1 (ko) * 2009-11-09 2012-03-06 박영현 낙엽을 이용한 친환경 패널
KR101359568B1 (ko) 2013-12-31 2014-02-11 황선호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
KR101396179B1 (ko) 2014-02-10 2014-05-27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KR101429195B1 (ko) 2014-02-10 2014-08-12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KR20150063909A (ko) 2014-05-13 2015-06-10 (주)이건환경 안전성이 강화된 금속재와 합성수지 일체형 복합 데크
KR20150081819A (ko) * 2014-01-07 2015-07-15 유지혜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KR101790130B1 (ko) 2017-04-11 2017-10-25 유한회사스톤아트 편리한 시공성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데크 구조체
KR102096601B1 (ko) * 2019-10-24 2020-05-22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JP2020139285A (ja) * 2019-02-27 2020-09-03 セイキ総業株式会社 デッキ材
KR20220111879A (ko) * 2021-02-03 2022-08-10 한덕환 복합 단위 판자 및 그 복합 단위 판자를 이용한 덱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89B1 (ko) * 2007-07-18 2008-10-27 이창엽 발광기능을 갖는 계단용 논스립
KR101119583B1 (ko) * 2009-11-09 2012-03-06 박영현 낙엽을 이용한 친환경 패널
KR101359568B1 (ko) 2013-12-31 2014-02-11 황선호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
KR20150081819A (ko) * 2014-01-07 2015-07-15 유지혜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KR101396179B1 (ko) 2014-02-10 2014-05-27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KR101429195B1 (ko) 2014-02-10 2014-08-12 주식회사 케이폴리텍 복합 빔 데크
KR20150063909A (ko) 2014-05-13 2015-06-10 (주)이건환경 안전성이 강화된 금속재와 합성수지 일체형 복합 데크
KR101790130B1 (ko) 2017-04-11 2017-10-25 유한회사스톤아트 편리한 시공성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데크 구조체
JP2020139285A (ja) * 2019-02-27 2020-09-03 セイキ総業株式会社 デッキ材
KR102096601B1 (ko) * 2019-10-24 2020-05-22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미끄럼방지 및 충격완화가 가능한 데크
KR20220111879A (ko) * 2021-02-03 2022-08-10 한덕환 복합 단위 판자 및 그 복합 단위 판자를 이용한 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141B1 (ko) 변형방지 목재데크
CA1296146C (en) Bridge deck
US5845446A (en) Longitudinal facing, facing retainers, and facing structure having facing and facing retainers
KR101102937B1 (ko) 복합데크를 이용한 교량용 가설인도
US20120163910A1 (en) Rig Mat System Using Panels of composite Material
IL183640A (en) Assemblies for structural panels
KR102265305B1 (ko) 데크 마감용 몰딩
KR101816142B1 (ko) 아치형 합성 거더를 이용한 하로판형교 및 이의 시공방법
GB2368041A (en) Sandwich plate stepped risers
KR100987143B1 (ko)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KR102532628B1 (ko) 강화합성목재데크
KR101120544B1 (ko) 슬립 방지 기능 및 연결 구조가 개선된 데크 및 이를 이용한 확장 데크 구조물
CA2786390C (en) Molded snowshoe with compound deck
KR101352280B1 (ko) 목재데크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체결구조
US20050138889A1 (en) Curtain wall system with enhanced resistance to blast forces
KR102339705B1 (ko) 강도와 안전성을 높여주는 데크 클립 및 이를 사용한 목재데크 시스템
WO2010027123A2 (en) Frame for noise barrier enabling to adjust connection angle
US7850317B2 (en) Guardrail block and reflector system
WO1994018413A9 (en) Wind-resistant roof tile
JP5166228B2 (ja) 屋根構造
WO1994018413A1 (en) Wind-resistant roof tile
WO2007087221A1 (en) Frame for floor mat
CA3172469A1 (en) Deck board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845928B1 (ko) 계단식 데크 플레이트 체결 장치
US8297010B2 (en) Adjustable stair ris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