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568B1 -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568B1
KR101359568B1 KR1020130168369A KR20130168369A KR101359568B1 KR 101359568 B1 KR101359568 B1 KR 101359568B1 KR 1020130168369 A KR1020130168369 A KR 1020130168369A KR 20130168369 A KR20130168369 A KR 20130168369A KR 101359568 B1 KR101359568 B1 KR 101359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reinforcement
deck
coupling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호
Original Assignee
황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호 filed Critical 황선호
Priority to KR1020130168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metallic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목재용 데크를 생산하면서 중공과 이 중공의 상측으로 결합공간을 형성하여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압출 성형하여 상기 중공과 결합공간에서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데크의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쪽으로 연결 조립홈(12)을 형성하며 상측면(70)에 요철형태의 미끄럼방지 돌기(13)를 형성하는 본체(11)의 내부에 보강기둥(17)으로 다수 개의 중공(16)을 형성하는 데크(10)에 있어서,
상기 중공(16)과 보강기둥(17)의 상측으로 양쪽에 결합홈(19)을 형성하는 결합공간(18)을 설치하는 데크(10)와;
상기 데크(10)와 일체형으로 결합하며 결합홈(19)에 조립하는 결합날개(22)가 양쪽에 형성되는 보강판(21)의 하측으로 중공(16)의 내벽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벽(23)의 하측 선단에서 상기 중공(16)의 바닥면을 따라 안쪽으로 돌출되는 보강 돌출부(24)가 형성된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Aluminum rigidity reinforcing band integrally combination to a hollow deck}
본 발명은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목재용 데크를 생산하면서 중공과 이 중공의 상측으로 결합공간을 형성하여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압출 성형하여 상기 중공과 결합공간에서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데크의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로, 산책로, 보행로 또는 단독주택의 마당 등에 보행을 위한 건축자재를 시공한다, 이러한 건축자재로는 돌, 나무, 콘크리트, 벽돌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건축자재는 대량생산이 어렵고, 돌이나 나무인 경우에는 대량생산을 위한 자재의 확보가 어렵다는 단점과, 외관 형상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규격화를 위해서는 별도의 치수가공을 필요로 한다.
우리가 흔히 데크용재 등으로 사용하는 방부목은 소나무 수종인 햄록이나 햄퍼가 주로 원목 소재로 사용하는 것으로 미송 종류에 해당하는 목재의 소재이다.
방부목은 일반 목재가 방부액 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방부목으로 생산되는바, 크롬화 등 비산염 처리공정을 거친 방부목은 CCA(Cromated Copper Arsenate)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방부목에 사용되는 방부액은 부패하지 않도록 하는 약품으로 미생물의 서식을 방지하고, 목재를 파먹고 사는 곤충이 접촉하면 사멸되도록 하는 목적이므로 맹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외부로 물질이 스며나와 인체와 토양 및 화초 등을 오염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상기 방부목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은 크롬, 비소, 구리 등이 함유되어 자연과 인체에 해로운 독극물이 방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물질에 대한 법적 규제는 점점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방부목을 대체하기 위해 기존의 목분을 이용한 WPC(Wood Plastic Composite)를 인조 목재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 역시 표면경도, 나사 결합 이탈성, 온도변화에 따른 변성 등의 단점이 노출되어 물리적, 화학적 물성의 보강과 더불어 친환경적인 제품을 만들기 위해 일반적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도는 폴리염화비닐(PVC) 수지에 목분을 혼합한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왔다.
그리고 데크는 보행을 위한 인도 및 통행로 용으로 설치하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본체의 상측으로 반원형 또는 요철형태의 미끄럼방지 돌기를 형성하게 되고, 고 하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경에 다수 개의 중공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데크의 내경에 형성하는 다수 개의 중공으로 인하여 재료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후 변형이 심한 데크의 특성상 하중에 잘 견디지 못하는 단점과, 후 변형으로 인하여 설치 후 외관이 좋지 못한 단점 및 강성의 저하로 인하여 사용처가 한정되는 등 다양한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18267호(2006. 06. 01.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1079306호(2011. 10. 27. 등록) 문헌 3. 발명특허 제10-0917375호(2009. 09. 08. 등록) 문헌 4. 발명특허 제0439391호(2008. 04. 01.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데크의 압출 성형시에 중공의 상측으로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간을 형성하여 데크와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각각 압출 성형하여 이들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설치 후에 알루미늄 감성 보강대를 통한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쪽으로 연결 조립홈을 형성하며 상측면에 요철형태의 미끄럼방지 돌기를 형성하는 본체의 내부에 보강기둥으로 다수 개의 중공을 형성하는 데크에 있어서,
상기 중공과 보강기둥의 상측으로 양쪽에 결합홈을 형성하는 결합공간을 설치하는 데크와;
상기 데크와 일체형으로 결합하며 결합홈에 조립하는 결합날개가 양쪽에 형성되는 보강판의 하측으로 중공의 내벽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벽의 하측 선단에서 상기 중공의 바닥면을 따라 안쪽으로 돌출되는 보강 돌출부가 형성된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데크의 압출 성형시에 내부에 성형하는 다수 개의 중공 상측으로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결합할 수 있는 결합공간을 형성하여 데크와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각각 압출 성형하여 이들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상기 결합공간과 중공의 내경을 따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설치 후에 알루미늄 감성 보강대를 통한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안전하게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데크와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에 대한 분리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데크와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데크와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에 대한 분리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데크와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수지에 목분을 혼합한 복합재료로 제조하며, 본체(11)의 상측면(75)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 돌기(13)를 양쪽 선단의 안쪽에서 모든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고 바닥면(60)에는 무모양 이거나 일정한 간격에 요철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면(70)과 바닥면(60)의 사이 측면에는 중앙에 연결 조립홈(12)을 형성되고, 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중공(16)이 형성되는 데크(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크(10)는 금형에서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며, 상측면(70)의 미끄럼방지 돌기(13)의 한 부분 또는 양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논슬립 설치홈(14)을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논슬립(15)을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11)의 중공(16) 사이에는 보강기둥(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16)의 상측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결합공간(18)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간(18)의 양쪽 선단에는 결합홈(19)이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공간(18)에는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20)가 독립되게 압출 성형되어 결합에 의해 강성을 보강하는 것으로, 결합공간(18)과 일치하는 보강판(21)의 양쪽에는 결합날개(22)를 형성하여 결합홈(19)에 일치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중공(16)의 내벽을 따라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벽(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벽(23)의 하측 선단에는 중공(16)의 바닥을 따라서 안쪽으로 보강 돌출부(24)가 더 돌출되어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11)의 중공(16) 사이에는 보강기둥(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16)의 상측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결합공간(18)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간(18)의 양쪽 선단에는 결합홈(19)이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공간(18)에는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30)가 독립되게 압출 성형되어 결합에 의해 강성을 보강하는 것으로, 결합공간(18)과 일치하는 보강판(21)의 양쪽에는 결합날개(22)를 형성하여 결합홈(19)에 일치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중공(16)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보강 빔(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 빔(31)의 하측 선단에는 중공(16)의 바닥 양쪽으로 받침대(32)가 더 돌출되어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11)의 중공(16) 사이에는 보강기둥(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16)의 상측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결합공간(18)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간(18)의 하측으로 형성하는 보강기둥(17)은 보강돌기(41)가 삽입되도록 보강공간(42)을 형성하되; 상기 보강공간(42)은 "┗┛"형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공간(13)에는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40)가 독립되게 압출 성형되어 결합에 의해 강성을 보강하는 것으로, 결합공간(18)과 일치하는 보강판(21)의 양측면은 결합홈(19)에 일치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중공(16)의 보강기둥(17)의 상측에는 "┗┛"형으로 형성한 보강공간(42)에 "┗┛"형으로 돌출되는 보강돌기(41)가 결합되어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11)의 중공(16) 사이에는 보강기둥(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16)의 상측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결합공간(18)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간(18)의 양쪽 선단에는 결합홈(19)이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공간(18)에는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50)가 독립되게 압출 성형되어 결합에 의해 강성을 보강하는 것으로, 결합공간(18)과 일치하는 보강판(21)의 양쪽에는 결합날개(22)를 형성하여 결합홈(19)에 일치하도록 형성하여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11)의 중공(16) 사이에는 보강기둥(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16)의 상측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결합공간(18)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간(18)의 양쪽 선단에는 결합홈(19)이 더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공간(18)에는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80)가 독립되게 압출 성형되어 결합에 의해 강성을 보강하는 것으로, 결합공간(18)과 일치하는 보강판(21)의 양쪽에는 결합날개(22)를 형성하여 결합홈(19)에 일치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중공(16)의 내벽을 따라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벽(83)이 중공(16)에 닿도록 더 돌출되어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원료 배합기 PP, PE, CA, MA 및 MB의 5가지 원료를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되도록 하고, 목재를 분쇄하여 소정의 입도를 갖도록 제조한 목분과 첨가제를 혼합하여 데크(10)를 압출하기 위한 원료를 준비한다.
상기 원료를 압출기에서 200∼300℃의 온도로 가열 용융 압출하여 금형의 형태에 따른 본체(11)의 양쪽으로 연결 조립홈(12)을 형성하고 상측면(70)에 미끄럼방지 돌기(13)를 일정한 간격에 형성하되; 상기 미끄럼방지 돌기(13)의 한쪽 또는 양쪽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논슬립 설치홈(14)이 형성되도록 압출하는 것이다.
상기 논슬립 설치홈(14)에 자동으로 논슬립(20)을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것이며, 데크(10)의 본체(11) 중앙으로 보강기둥(17)을 통하여 사각형의 중공(16)을 다수 개 형성하면서 중공(16)의 상측으로 결합공간(18)과 양쪽 선단에 결합홈(19)을 압출 성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20)는 알루미늄 재질을 용융시켜 압출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이며, 보강판(21)의 양쪽 선단으로 결합날개(22)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보강판(21)에 중공(16)의 벽면을 따라서 하측으로 결합하는 보강벽(23)을 돌출하되; 상기 보강벽(23)의 하측 선단에는 안쪽으로 중공(16)의 바닥면을 따라 돌출되는 보강 돌출부(24)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데크(10)와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20)를 독립되게 압출 성형하여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20)를 데크(10)에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20)의 보강판(21)은 결합공간(18)에 끼워져 결합하며, 양쪽의 결합날개(22)는 결합홈(19)에 결합되는 것이며, 하측으로 돌출된 보강벽(23)은 중공(16)의 양쪽 측면을 따라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보강벽(23)의 하측 선단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보강 돌출부(24)는 중공(16)의 바닥면을 따라 결합되어 있으므로 보강판(21)과 결합날개(22) 및 보강벽(23)은 하중에 대한 강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며, 동시에 중공(16) 내부에서는 보강판(21)과 보강벽(23) 및 보강 돌출부(24)가 전체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30)는 중공(16)의 중앙에서 하측 방향으로 보강 빔(31)이 돌출되고 상기 보강 빔(31)의 하측 선단에서 양쪽으로 받침대(32)가 돌출되어 중공(16)의 중앙 부분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되게 견딜 수 있으며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40)는 중공(16)의 사이에 있는 보강기둥(17)의 상측면 일부에 보강공간(42)이 형성되도록 데크(10)를 압출하여 보강판(21)과 결합날개(22)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보강공간(42)에 위치하는 보강돌기(41)가 "┗┛"형으로 형성되어 본체(11)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되게 견딜 수 있으며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50)는 중공(16)의 상측면에 가로방향으로 결합공간(18)을 형성하여 보강판(21)을 상기 결합공간(18)에 삽입하여 본체(11)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되게 견딜 수 있으며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80)는 중공(16)의 상측면에 가로방향으로 결합공간(18)을 형성하여 보강판(21)을 상기 결합공간(18)에 삽입하고, 중공(16)에서 보강기둥(17)의 양쪽으로 돌출되는 보강벽(83)이 보강벽(17)의 양쪽을 각각 지지하면서 본체(11)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되게 견딜 수 있으며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데크를 압출하면서 결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에 강성을 갖는 구조를 형성하여 데크에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결합하여 강성을 크게 향상시켜 본체와 중공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데크 11 : 본체
12 : 연결 조립홈 13 : 미끄럼방지 돌기
14 : 논슬립 설치홈 15 : 논슬립
16 : 중공 17 : 보강기둥
18 : 결합공간 19 : 결합홈
20, 30, 40, 50,860 :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
21 : 보강판 22 : 결합날개
23 : 보강벽 24 : 보강 돌출부
31 : 보강 빔 32 : 받침대
41 : 보강돌기 42 : 보강공간
83 : 보강벽

Claims (5)

  1. 양쪽으로 연결 조립홈(12)을 형성하며 상측면(70)에 요철형태의 미끄럼방지 돌기(13)를 형성하는 본체(11)의 내부에 보강기둥(17)으로 다수 개의 중공(16)을 형성하는 데크(10)에 있어서,
    상기 중공(16)과 보강기둥(17)의 상측으로 양쪽에 결합홈(19)을 형성하는 결합공간(18)을 설치하는 데크(10)와;
    상기 데크(10)와 일체형으로 결합하며 결합홈(19)에 조립하는 결합날개(22)가 양쪽에 형성되는 보강판(21)의 하측으로 중공(16)의 내벽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벽(23)의 하측 선단에서 상기 중공(16)의 바닥면을 따라 안쪽으로 돌출되는 보강 돌출부(24)가 형성된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20)는 결합홈(19)에 조립하는 결합날개(22)가 양쪽에 형성되며 결합공간(18)에 조립하는 보강판(21)의 하측으로 중공(16)의 중앙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 빔(31)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 빔(31)의 하측 선단에서 양쪽으로 받침대(32)가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 .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20)는 결합홈(19)에 조립하는 결합날개(22)가 양쪽에 형성되며 결합공간(18)에 조립하는 보강판(21)의 하측으로 보강기둥(17)에 "┗┛"형으로 보강공간(42)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판(21)의 하측으로 돌출되며 보강공간(42)에 위치하는 보강돌기(41)가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20)는 결합홈(19)에 조립하는 결합날개(22)가 양쪽에 형성되며 결합공간(18)에 조립하는 보강판(2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20)는 데크(10)와 일체형으로 결합하며 결합홈(19)에 조립하는 결합날개(22)가 양쪽에 형성되는 보강판(21)의 하측으로 중공(16)의 내벽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벽(83)이 중공(16)의 바닥면에 이르도록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
KR1020130168369A 2013-12-31 2013-12-31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 KR101359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369A KR101359568B1 (ko) 2013-12-31 2013-12-31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369A KR101359568B1 (ko) 2013-12-31 2013-12-31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568B1 true KR101359568B1 (ko) 2014-02-11

Family

ID=5027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369A KR101359568B1 (ko) 2013-12-31 2013-12-31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5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756A (ko) * 2018-04-11 2019-10-21 강한구 강성이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20200053252A (ko) * 2018-11-08 2020-05-18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20210157990A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태성콘텍 보도용 콘크리트 데크 및 데크 성형틀
KR102532628B1 (ko) 2022-11-30 2023-05-15 경동산업 주식회사 강화합성목재데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7892A (ja) 2006-04-05 2007-10-25 Nippon Steel Corp 角形鋼管を用いた覆工板
KR20110009087U (ko) * 2010-03-17 2011-09-23 (주)성림중공업 솔리드형 합성목재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7892A (ja) 2006-04-05 2007-10-25 Nippon Steel Corp 角形鋼管を用いた覆工板
KR20110009087U (ko) * 2010-03-17 2011-09-23 (주)성림중공업 솔리드형 합성목재 결합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756A (ko) * 2018-04-11 2019-10-21 강한구 강성이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2120947B1 (ko) * 2018-04-11 2020-06-10 강태윤 강성이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20200053252A (ko) * 2018-11-08 2020-05-18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102122981B1 (ko) * 2018-11-08 2020-06-16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20210157990A (ko) * 2020-06-23 2021-12-30 주식회사 태성콘텍 보도용 콘크리트 데크 및 데크 성형틀
KR102488956B1 (ko) * 2020-06-23 2023-01-16 주식회사 태성콘텍 보도용 콘크리트 데크 및 데크 성형틀
KR102532628B1 (ko) 2022-11-30 2023-05-15 경동산업 주식회사 강화합성목재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568B1 (ko) 알루미늄 강성 보강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는 중공형 데크
CA2311904C (en) Long lasting deck product
CN104086917A (zh) 一种木塑地板的生产方法
KR102304872B1 (ko) 기능성 알루미늄 데크시스템
US20170081862A1 (en) Production of two-layer composite deck tile by injection molding method
KR101570576B1 (ko) 건축 구조물
KR101056965B1 (ko) 중공파이프가 삽입된 압출 성형재
US6964125B2 (en) Flexible rubber curb
CN204282735U (zh) 一种承载能力强的塑料复合地板
KR102120947B1 (ko) 강성이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619142B1 (ko) 보행유도와 충격 방지용 브라켓을 설치하는 패각 함유 합성목재 데크와 그 제조방법
CN205840150U (zh) 一种塑木方柱
KR20120012621A (ko) 점자블록이 구비된 합성목재 또는 천연목재 로드데크
CN205063259U (zh) 一种用于塑木地板安装的快速接头
KR101094893B1 (ko) 원적외선 방사 인조 목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조 목재
CN205840244U (zh) 一种高强度透水塑木地板
CN209163275U (zh) 内支撑塑木型材
KR20140012401A (ko) 합성목재 패널 조립체
KR101094892B1 (ko) 원적외선 방사 인조 목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조 목재
KR102340982B1 (ko) 폐수지를 이용한 인조 조경석
CN208804451U (zh) 多孔扇形塑木型材
CN203808613U (zh) 一种塑木围栏扶手
CN212079860U (zh) 塑木四方接头
CN205637384U (zh) 一种防滑把手结构
CN204152149U (zh) 一种节能环保型木塑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