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139B1 -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 Google Patents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139B1
KR102243139B1 KR1020180092144A KR20180092144A KR102243139B1 KR 102243139 B1 KR102243139 B1 KR 102243139B1 KR 1020180092144 A KR1020180092144 A KR 1020180092144A KR 20180092144 A KR20180092144 A KR 20180092144A KR 102243139 B1 KR102243139 B1 KR 102243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collecting
tissue
main body
blad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036A (ko
Inventor
이윤석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1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61B2010/045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선단부 및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조직채취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직채취홈의 양측으로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하되, 상기 조직채취홈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기되는 형상을 이루는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한 조직채취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NEEDLE FOR ENDOSCOPY ULTRASONIC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본 발명은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침흡인검사 시 환부 조직 채취에 사용되는 바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초음파는 내시경 검사와 초음파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초음파를 작게 만들어 내시경 끝에 부착하여 직접 소화기관에 삽입하게 되는데, 직접 몸속에 초음파를 투영함으로써 종전 초음파 검사와 CT 검사가 발견하지 못하는 곳까지 자세히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초음파, CT, MRI를 비롯한 각종 이미지검사에서 각 질병의 특징적인 모양을 갖고 진단을 추측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기본적인 확진은 조직을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병리검사이다. 이미지나 임상 증상만으로도 특정 질병을 진단하는 것은 각 질병에 따른 치료 가이드 라인에 준하여 진단을 내리는 것이기 때문에 오진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최근에는 내시경초음파를 보면서 바늘을 이용해 조직이나 세포들을 채취하고, 그 조직이나 세포들의 형태를 보고 진단을 내리는 세침흡인검사(FNA: Fine-needle Aspiration)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내시경초음파를 이용하는 경우, 시술자가 세침이 환부에 정확히 삽입되는 것을 직접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다.
그러나, 세침흡인검사의 단점은 세침을 사용하기 때문에 획득하는 조직이나 세포의 양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2~3번의 세침흡인술을 반복하여 시행하는데, 이로 인해 시술자뿐만 아니라 피시술자의 피로와 불편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인체 조직에 삽입된 뒤,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 시 모두 조직을 긁어내어 채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향상된 조직채취력을 갖는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은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선단부 및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조직채취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직채취홈의 양측으로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하되, 상기 조직채취홈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기되는 형상을 이루는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한 조직채취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조직채취부는, 상기 조직채취홈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톱니형상의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직채취부는, 상기 조직채취홈의 양측에 상기 본체의 폭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절단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기되는 Y 자 형상을 이루며 서로 대향하는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직채취부는, 상기 조직채취홈의 일측에 수용홈을 갖는 대패날형상의 제1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직채취홈의 타측에 톱니형상의 제2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직채취부는, 상기 본체의 폭방향에 대해 일직선형태를 이루는 상기 제1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폭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절단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기되는 Y 자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직채취부는, 상기 조직채취홈의 일측에 상기 본체의 폭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절단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기되는 역 Y 자 형상을 이루며 대패날형상의 제1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직채취홈의 타측에 상기 본체의 폭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절단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기되는 Y 자 형상을 이루며 톱니형상의 제2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조직채취날부 및 상기 제2 조직채취날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직채취부는, 상기 조직채취홈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조직채취날부 중 상기 선단부와 가깝게 위치하여 조직에 투입된 상기 본체가 후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조직을 긁어서 채취하는 제1 조직채취날부 및 상기 선단부와 멀게 위치하여 상기 조직에 투입된 상기 본체가 전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조직을 긁어서 채취하는 제2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단부는, 단면이 원형상인 헤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로부터 절곡되는 뾰족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 조직에 삽입된 뒤,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 시 모두 조직을 긁어내어 채취할 수 있으므로, 조직 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시술자는 물론 피시술자의 피로와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이 내시경초음파 생검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방향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B 방향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중심지지부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이 내시경초음파 생검기구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이하, 바늘)(1)은 내시경초음파 생검기구(2)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늘(1)은 내시경초음파 생검기구(2)에 의해 조직에 투입될 수 있다. 시술자는 내시경초음파를 이용해 모니터를 확인하면서 바늘(1)을 조직에 정확히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늘(1)은 조직에 투입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 이동됨에 따라 조직을 긁어내어 채취할 수 있다. 시술자는 내시경초음파를 이용해 모니터를 확인하면서 내시경초음파 생검기구(2)를 손잡이로 하여 바늘(1)을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늘(1)은 조직에 삽입된 상태로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전방 이동할 때와 후방 이동할 때 모두 조직을 긁어내어 채취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세침흡인검사 시 조직 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는 물론 피시술자의 피로와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1)은 본체(10),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선단부(20) 및 조직을 긁어내는 조직채취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횡단면이 정원형인 길이가 긴 관상일 수 있다. 본체(10)는 내시경초음파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초음파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자성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일측에 예리한 형태의 선단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타측이 내시경초음파 생검기구(2)에 장착되기 적합한 형태로 가공되어, 내시경초음파 생검기구(2)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본체(10)는 내시경초음파 생검기구(2)의 조작에 따라 예리한 형태의 선단부(20)를 통해 인체 조직을 뚫고 들어갈 수 있으며, 조직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체(10)가 선단부(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전방 이동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후방 이동으로 정의한다.
선단부(20)는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선단부(20)는 본체(10)가 인체 조직을 용이하게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예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 방향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 방향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선단부(20)는 헤드부(21) 및 헤드부(21)로부터 절곡되는 뾰족부(23)를 포함하여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21)는 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뾰족부(23)는 헤드부(21)로부터 급경사를 이루며 절곡될 수 있다.
선단부(20)는 이러한 헤드부(21) 및 뾰족부(23)에 의해 뾰족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체 조직을 용이하게 뚫고 들어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선단부(20)는 인체 조직을 용이하게 뚫고 들어갈 수 있는 예리한 형상이라면, 일측이 경사지게 절단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조직채취부(30)는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조직채취부(30)는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조직채취홈(31) 및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형성되는 조직채취날부(33, 3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직채취홈(31)은 본체(10)의 주벽에 형성되며,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직채취홈(31)은 조직채취날부(33, 35)가 조직과 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조직채취날부(33, 35)에 의해 조직이 긁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중심지지부(38)는 본체(10)의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으로, 소정의 원주면을 가질 수 있다. 조직채취홈(31)은 본체(10)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지지부(38)까지 축 방향으로 파인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중심지지부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심지지부(3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체(1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두께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중심지지부(39)는 본체(10)의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지름선상 양측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조직채취날부(33, 35)는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대칭 형태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조직채취날부(33, 35)는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비대칭 형태를 이루며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조직채취날부(33, 35)는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직채취날부(33, 35)는 본체(10)의 폭방향에 대해 본체(10)의 주벽이 대각선상으로 절단되어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기되는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형성되는 조직채취날부(33, 35) 중 선단부(20)와 가깝게 위치하는 제1 조직채취날부(33)는 도 3과 같이 선단부(20)가 상방으로 배치되는 경우 역 Y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직채취날부(33)는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직채취날부(33)는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하방으로 대략 30도 이상 60도 이하, 일예로, 45도의 각도를 갖는 대각선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역 Y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형성되는 조직채취날부(33, 35) 중 선단부(20)와 멀게 위치하는 제2 조직채취날부(35)는 도 3과 같이 선단부(20)가 상방으로 배치되는 경우 Y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직채취날부(35)는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직채취날부(35)는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상방으로 대략 30도 이상 60도 이하, 일예로, 45도의 각도를 갖는 대각선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Y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Y 자 형상을 이루는 조직채취날부(33, 35)에 의해 조직채취홈(31)의 적어도 일부는 긁어진 조직을 보관하기 위한 채취 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조직채취날부(33, 35)는 조직을 긁어낼 수 있도록 예리한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조직채취날부(33, 35)는 대패날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조직채취부(30)는 인체 조직에 삽입된 본체(10)의 왕복이동에 따라 조직채취날부(33, 35)를 통해 조직을 긁어낼 수 있으며, 긁어낸 조직을 조직채취날부(33, 35)와 조직채취홈(3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G)에 채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조직채취날부(33)는 본체(10)가 후방 이동하는 경우, 조직을 긁어내어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직채취날부(35)는 본체(10)가 전방 이동하는 경우, 조직을 긁어내어 채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1)은 인체 조직에 삽입된 뒤,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 시 모두 조직을 긁어내어 채취할 수 있으므로, 조직 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시술자는 물론 피시술자의 피로와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1')은 도 2에 도시된 바늘(1)과 비교하면, 조직채취부(30')의 형태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직채취부(3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신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조직채취부(30')는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조직채취부(30')는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조직채취홈(31) 및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형성되는 조직채취날부(32, 3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직채취홈(31)은 본체(10)의 주벽에 형성되며,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직채취홈(31)은 조직채취날부(32, 35)가 조직과 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조직채취날부(32, 35)에 의해 조직이 긁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조직채취날부(32, 35)는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비대칭 형태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형성되는 조직채취날부(32, 35) 중 선단부(20)와 가깝게 위치하는 제1 조직채취날부(32)는 본체(10)의 폭방향에 대해 본체(10)의 주벽이 일직선상으로 절단되어, 본체(10)의 폭방향에 대해 일직선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직채취날부(32)는 긁어진 조직을 보관하기 위한 수용홈(S)을 가질 수 있다.
제1 조직채취날부(32)는 조직을 긁어낼 수 있도록 대패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조직채취날부(32)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형성되는 조직채취날부(32, 35) 중 선단부(20)와 멀게 위치하는 제2 조직채취날부(35)는 본체(10)의 폭방향에 대해 본체(10)의 주벽이 대각선상으로 절단되어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기되는 Y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직채취날부(35)는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직채취날부(35)는 선단부(20)가 상방으로 배치되는 경우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상방으로 대략 30도 이상 60도 이하, 일예로, 45도의 각도를 갖는 대각선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Y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조직채취날부(35)에 의해 조직채취홈(31)의 적어도 일부는 긁어진 조직을 보관하기 위한 채취 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직채취날부(35)는 조직을 긁어낼 수 있도록 예리한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조직채취날부(35)는 대패날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조직채취부(30')는 인체 조직에 삽입된 본체(10)의 왕복이동에 따라 조직채취날부(32, 35)를 통해 조직을 긁어낼 수 있으며, 긁어낸 조직을 제1 조직채취날부(32)에 형성되는 수용홈(S) 또는 제2 조직채취날부(35)와 조직채취홈(3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G)에 채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1')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초음파 생검기구(2)에 장착될 수 있으며, 내시경초음파 생검기구(2)에 의해 조직에 투입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 이동됨에 따라 조직을 긁어내어 채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1'')은 도 2에 도시된 바늘(1)과 비교하면, 조직채취부(30'')의 형태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직채취부(3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것으로 대신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직채취부(30)는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조직채취부(30)는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조직채취홈(31) 및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형성되는 조직채취날부(34, 3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직채취홈(31)은 본체(10)의 주벽에 형성되며,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직채취홈(31)은 조직채취날부(34, 35)가 조직과 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조직채취날부(34, 35)에 의해 조직이 긁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조직채취날부(34, 35)는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비대칭 형태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조직채취날부(34, 35)는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직채취날부(34, 35)는 본체(10)의 폭방향에 대해 본체(10)의 주벽이 대각선상으로 절단되어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기되는 Y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형성되는 조직채취날부(34, 35) 중 선단부(20)와 가깝게 위치하는 제1 조직채취날부(34)는 선단부(20)가 상방으로 배치되는 경우 역 Y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직채취날부(34)는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직채취날부(34)는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하방으로 대략 30도 이상 60도 이하, 일예로, 45도의 각도를 갖는 대각선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역 Y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직채취홈(31)의 양측에 형성되는 조직채취날부(34, 35) 중 선단부(20)와 멀게 위치하는 제2 조직채취날부(35)는 선단부(20)가 상방으로 배치되는 경우 Y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직채취날부(35)는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직채취날부(35)는 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상방으로 대략 30도 이상 60도 이하, 일예로, 45도의 각도를 갖는 대각선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는 Y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조직채취날부(34)는 조직을 긁어낼 수 있도록 대패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직채취날부(35)는 제1 조직채취날부(34)와 달리 조직을 긁어낼 수 있도록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직채취날부(34, 35)에 의해 조직채취홈(31)의 적어도 일부는 긁어진 조직을 보관하기 위한 채취 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직채취부(30'')는 인체 조직에 삽입된 본체(10)의 왕복이동에 따라 조직채취날부(34, 35)를 통해 조직을 긁어낼 수 있으며, 긁어낸 조직을 조직채취날부(34, 35)와 조직채취홈(3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G)에 채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1'')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초음파 생검기구(2)에 장착될 수 있으며, 내시경초음파 생검기구(2)에 의해 조직에 투입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 이동됨에 따라 조직을 긁어내어 채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2: 내시경초음파 생검기구
10: 본체
20: 선단부
21: 헤드부
23: 뾰족부
30: 조직채취부
31: 조직채취홈
33: 제1 조직채취날부
35: 제2 조직채취날부
38: 중심지지부
G: 채취 공간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선단부; 및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조직채취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직채취홈의 양측으로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하되, 상기 조직채취홈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기되는 형상을 이루는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한 조직채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직채취부는,
    상기 본체의 폭방향에 대해 일직선형태를 이루는 제1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폭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절단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기되는 Y 자 형상을 이루는 제2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하는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6.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선단부; 및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조직채취홈을 형성하고, 상기 조직채취홈의 양측으로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하되, 상기 조직채취홈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기되는 형상을 이루는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한 조직채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직채취부는,
    상기 조직채취홈의 일측에 상기 본체의 폭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절단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기되는 역 Y 자 형상을 이루며 대패날형상의 제1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직채취홈의 타측에 상기 본체의 폭방향에 대해 대각선으로 절단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지름선상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분기되는 Y 자 형상을 이루며 톱니형상의 제2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조직채취날부 및 상기 제2 조직채취날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하는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채취부는,
    상기 조직채취홈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조직채취날부 중 상기 선단부와 가깝게 위치하여 조직에 투입된 상기 본체가 후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조직을 긁어서 채취하는 제1 조직채취날부 및 상기 선단부와 멀게 위치하여 상기 조직에 투입된 상기 본체가 전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조직을 긁어서 채취하는 제2 조직채취날부를 형성하는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단면이 원형상인 헤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로부터 절곡되는 뾰족부를 형성하는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KR1020180092144A 2018-08-08 2018-08-08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KR102243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144A KR102243139B1 (ko) 2018-08-08 2018-08-08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144A KR102243139B1 (ko) 2018-08-08 2018-08-08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036A KR20200017036A (ko) 2020-02-18
KR102243139B1 true KR102243139B1 (ko) 2021-04-21

Family

ID=6963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144A KR102243139B1 (ko) 2018-08-08 2018-08-08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434B1 (ko) 2020-03-20 2021-10-22 주식회사 코스와이어 세침 바늘 및 내시경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6471A1 (en) 2001-08-09 2003-12-25 Fisher John S. Dual action aspiration biopsy needle
JP2004519279A (ja) 2000-11-06 2004-07-02 スルーズ サージカル システムズ、インク 生体組織検査装置
JP2007516048A (ja) 2003-12-23 2007-06-21 セノー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開口方向性及び改良チップを備えた生検装置
US20110071432A1 (en) * 2009-09-24 2011-03-24 Carrillo Jr Oscar R Fine Needle Aspiration Device with Distal Anchor
JP2012235878A (ja) 2011-05-11 2012-12-06 Terumo Corp 生検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4885A (en) * 1994-01-05 1995-03-07 Symbiosis Corporation Endoscopic biopsy forceps jaws and instrument incorporating same
KR20150116689A (ko) * 2014-04-08 2015-10-16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9279A (ja) 2000-11-06 2004-07-02 スルーズ サージカル システムズ、インク 生体組織検査装置
US20030236471A1 (en) 2001-08-09 2003-12-25 Fisher John S. Dual action aspiration biopsy needle
WO2004026142A1 (en) 2002-09-23 2004-04-01 Biopsy Sciences, Llc Dual action aspiration biopsy needle
JP2007516048A (ja) 2003-12-23 2007-06-21 セノー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開口方向性及び改良チップを備えた生検装置
US20110071432A1 (en) * 2009-09-24 2011-03-24 Carrillo Jr Oscar R Fine Needle Aspiration Device with Distal Anchor
JP2012235878A (ja) 2011-05-11 2012-12-06 Terumo Corp 生検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036A (ko)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9472B2 (ja) 生検用処置具
US201303385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transepithelial specimen
JP5908198B1 (ja) 針管
US20180228476A1 (en) Endoscopic tri-point biopsy needle
JP2001104315A (ja) 超音波ガイド下穿刺システム装置
KR20150116689A (ko)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
JP5452783B1 (ja) 内視鏡用処置具
KR102243139B1 (ko)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JP5226908B1 (ja) 生検処置具
JP5963977B1 (ja) 硬性鏡セット
JP7442003B2 (ja) 内視鏡用穿刺針
CA3056028A1 (en) Endoscopic biopsy needle tip and methods of use
JP2004290517A (ja) 生検針
KR102359170B1 (ko) 이동형 칼날 및 석션 포트를 이용하여 병변 조직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내시경 장치
JP6284464B2 (ja) 内視鏡用穿刺針
JP5572781B1 (ja) 超音波プローブシステム
KR101508138B1 (ko) 병변조직 채취기구
KR102316434B1 (ko) 세침 바늘 및 내시경 장치
US20220273274A1 (en) Biopsy needle and tissue collecting device
RU216265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диагност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кюретка для взятия проб
JPH0747027B2 (ja) 超音波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