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170B1 - 이동형 칼날 및 석션 포트를 이용하여 병변 조직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칼날 및 석션 포트를 이용하여 병변 조직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170B1
KR102359170B1 KR1020200040035A KR20200040035A KR102359170B1 KR 102359170 B1 KR102359170 B1 KR 102359170B1 KR 1020200040035 A KR1020200040035 A KR 1020200040035A KR 20200040035 A KR20200040035 A KR 20200040035A KR 102359170 B1 KR102359170 B1 KR 102359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ion
unit
suction
endoscopic device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170B9 (ko
KR20210124544A (ko
Inventor
한경희
이상헌
김낙환
오세준
김인범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170B1/ko
Publication of KR20210124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170B1/ko
Publication of KR10235917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17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61B1/31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for bones or joints, e.g. osteoscopes, arth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17/32075Pullback cutting; combined forward and pullback cutting, e.g. with cutters at both sides of the pla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17/320783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through side-hole, e.g. sliding or rotating cutter inside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 A61M1/005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28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with reciprocating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2017/320716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embolism by dislodg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7Auxiliary appliance with irrigation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하부 상에 손잡이부가 고정된 중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포집된 조직 병변의 체외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석션부; 상기 손잡이부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를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끝단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션셕부의 끝단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병변 절단부; 및 상기 석션부에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어져, 상기 석션부의 전방 부위에 대한 영상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탐지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탐지된 조직 병변에 대한 확정 후에,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이동부에 결합된 병변 절단부를 전후방으로 위치조절하여 상기 병변 절단부와 석션부 간에 배치된 조직 병변을 포집 및 절단한 상태에서, 상기 석션부를 통해 조직 병변을 체외로 이송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칼날 및 석션 포트를 이용하여 병변 조직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내시경 장치{Endoscopic device facilitating removal of lesion tissue using movable blades and suction ports}
본 발명은 손잡이를 통해 전후방 위치조절 가능한 이동형 칼날 및 상기 이동형 칼날과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 석션 포트를 이용한 병변 포집, 포집된 병변에 대한 절제, 석션 포트를 통한 체외 배출 및 석션 포트의 하방에 배치된 카메라를 통한 병변 조직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 검사는 신축성이 있는 관찰 튜브인 내시경을 이용하여 신체의 내부 구조를 검사하는 것으로서, 내시경 검사를 통해 의사가 튜브를 통해 기구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시경을구강으로 통과시켜 식도에 대한 진단을 하는 식도경 검사, 위에 대한 위내시경 검사, 소장의 일부를 검사하는 상부 위장관 내시경검사 등을 검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내시경은 소화관 중 어떤 부분을 검사할 것인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지는데, 내시경 상에는 광원 및 소형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어서 의사에 의한 소화관 내막 관찰을 용이하게 한다. 의사는 자극 부위, 궤양 부위, 염증 부위, 비정상적인 조직 성장 부위를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일부 내시경 상에는 그 말단부에 초음파 탐침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탐침을 통한 영상은 인체 내의 자세한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시경 도구들은 영상촬영 기기에 연결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튜브, 튜브 내부로 삽입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내시경용 집게, 절단기, 바늘 등과 같은 작업 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의 선단에는 삽입 연결된 작업 수단들과 카메라 및 광원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성에 따라서 사용자는 튜브를 인체 내부로 삽입하여 시술 대상인 환자의 대장, 위 또는 내부 다른 인체 부위를 관찰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내시경을 통해 인체 내의 조직 크기 및 성질을 파악하기 위하여서는 시술자가 내시경 도구의 겸자공으로 눈금이 형성된 자와 같은 측정 수단을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조직의 크기를 파악하고, 크기가 파악된 후에 측정 수단을 겸자공으로부터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한편, 내시경 검사 중 관절경 검사는 가느다란 내시경을 관절 안쪽으로 넣어 관절의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검사로서, X-선, 컴퓨터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과는 달리 직접 눈으로 관절 안을 관찰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활막 조직을 생검할 수 있다. 또한, 관절경 검사는 검사와 동시에 필요할 경우 손상된 관절 내의 구조물을 봉합하거나 제거하고 관절 안을 세척할 수 있어 검사 뿐만 아니라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신체 관절 중에서 관절경 검사를 하는 대표적인 관절은 견관절(어깨), 슬관절(무릎), 고관절(엉덩관절), 팔꿈치, 손목 및 발목 관절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관절경 검사 등을 시행하는 경우와 같이 기존에 내시경을 통해 인체 내부의 병변을 확인한 경우에 병변을 안정적으로 포집, 제거 및 인출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는 다소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내시경 시술에서 시술부위의 길이를 더 용이하게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센서부 및 측정부를 구비한 내시경 도구와 관련한 내용을 제시하는 종래의 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670162호(2016.10.28)를 참조할 수 있다. 내시경을 한 점막하층 절제 시술시, 조직 절제를 위한 나이프 기능과 절제부위의 출혈 지혈기능을 겸비한 점막하 절제용 내시경 처치구 내용을 제시하는 종래의 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96359호(2013.08.14)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공개특허 1996-0013329는 내시경 척추수술에 유용한 수술기구를 제시하는 한편, 공개특허 10-2019-0110216는 내시경을 활용한 척추 수술시 수술 기구의 공간 활용성을 높여 환자 맞춤형으로 정밀하고 신속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허문헌 1) KR10-1670162 B
(특허문헌 2) KR10-1296359 B
(특허문헌 3) KR10-1996-0013329 A
(특허문헌 4) KR10-2019-0110216 A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손잡이를 통해 전후방 위치조절 가능한 이동형 칼날 및 상기 이동형 칼날과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 석션 포트를 이용한 병변 포집, 포집된 병변에 대한 절제, 석션 포트를 통한 체외 배출 및 석션 포트의 하방에 배치된 카메라를 통한 병변 조직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하부 상에 손잡이부가 고정된 중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포집된 조직 병변의 체외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석션부; 상기 손잡이부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를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끝단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션셕부의 끝단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병변 절단부; 및 상기 석션부에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어져, 상기 석션부의 전방 부위에 대한 영상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탐지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탐지된 조직 병변에 대한 확정 후에,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이동부에 결합된 병변 절단부를 전후방으로 위치조절하여 상기 병변 절단부와 석션부 간에 배치된 조직 병변을 포집 및 절단한 상태에서, 상기 석션부를 통해 조직 병변을 체외로 이송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의 전방 끝단에 결합된 모니터링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윈도우의 내측 상에 상기 병변 절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병변 절단부는 내측 상에 절단날이 형성된 중공 형상의 구조채이다.
상기 병변 절단부의 절단날은 하부 상으로 갈수록 상기 모니터링 윈도우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석션부의 전단 상에는 포집되는 조직 병변을 고정하기 위한 타겟 고정날이 설치된다.
상기 영상 탐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 상에 이리게이션 채널 및 광케이블이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손잡이를 통해 전후방 위치조절 가능한 이동형 칼날 및 상기 이동형 칼날과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 석션 포트를 이용한 병변 포집, 포집된 병변에 대한 절제, 석션 포트를 통한 체외 배출 및 석션 포트의 하방에 배치된 카메라를 통한 병변 조직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모니터링 윈도우와 영상 탐지부를 통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통한 병변 탐지와 포집, 포집된 병변에 대해 병변 절단부와 석션부를 통한 절제와 체외 배출 및 시술 과정에 있어서의 안정적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종래의 기술은 수술용 포셉을 이용하여 분리된 조직을 꺼내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함으로 인하여 시간이 길어지는 반면에, 본 발명은 조직이 분리 포획되면서 동시에 석션관을 통하여 자동으로 배출되어 수술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인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내시경 장치는 최소침습용 척추 수술을 위한 관절경에 적용 가능한 의료기기로서 척추나 관절 수술 시간의 단축을 통해 같은 시간에 더 많은 환자를 진료 할 수 있는 기기로서 수술을 진행하는 의사와 환자에게는 큰 장점을 갖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칼날 및 석션 포트를 이용하여 병변 조직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내시경 장치의 전체적인 개념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병변 조직이 포집되는 부분을 확대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내시경 장치의 손잡이부를 조작하여 이동형 칼날을 전후방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내시경 장치는 최소침습용 척추 수술을 위한 관절경에 적용 가능한 의료기기로서 척추 관련 질환자, 특이성 요통 질환자/ 비특이성 요통 질환자를 대상으로 적용 가능하며, 특히 추간판성 통증(Discogenic pain), 척수신경근통(Radicular pain) 및 미세외상 통증(Microtrauma pain)을 갖는 환자에 적용되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칼날 및 석션 포트를 이용하여 병변 조직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내시경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하부 상에 손잡이부(20)가 고정된 중공 형상의 본체부(10), 본체부(10)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포집된 조직 병변의 체외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석션부(30), 손잡이부(20)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부(10)를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40), 이동부(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석셕부(30)의 끝단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병변 절단부(50), 이동부(40)의 전방 끝단에 결합된 모니터링 윈도우(60), 석션부(30)에 인접한 상태에서 본체부(10)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어져 상기 석션부의 전방 부위에 대한 영상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탐지부(70) 및 석션부(30)에 인접한 상태에서 본체부(10)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어져 상기 영상 탐지부(70)의 일측 상에 배치되는 광조사부(75) 및 석션부(30)에 인접한 상태에서 본체부(10)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어져 상기 영상 탐지부(70)의 타측 상에 배치되는 이리게이션부(8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20)는 본체부(10) 상에 요동 없이 고정되는 손잡이 고정부(210) 및 손잡이 고정부(210) 상에 손잡이 회동부(23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의 손잡이 회전부(220)를 포함한다.
손잡이 회전부(220)는 그 상단이 이동부(40)의 후단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상기 손잡이 회전부(22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짐으로써 이동부(40)의 본체부(10)를 따른 전후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손잡이 고정부(210)와 손잡이 회전부(220)는 각각 손가락 거치고리(212,222)가 하단에 형성된다. 사용자가 손가락 거치고리(222)에 대하여 전방 상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에, 손잡이 회전부(220)는 손잡이 회동부(23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손잡이 회전부(220)의 상단은 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됨에 따라서 이동부(40) 및 병변 절단부(50) 등은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석션부(30)는 포집 절단된 병변의 이동통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본체부(10)의 내부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석션부(30)의 전방은 본체부(10)의 전방 입구부 상에 일부 노출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석션부(30)의 후방은 본체부(10)의 후방에 노출되는 배출 노즐(310)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 노즐(310)은 점점 그 직경이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석션부(30)는 병변 절단부(50)와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인체 조직 상의 병변을 절단하는 기능을 한다. 석션부(30)와 병변 절단부(50) 사이에 병변을 포집하는 과정에서, 석션부(30)의 전단 가장자리 상에 형성된 날카로운 형상의 병변 고정날(32)이 사전에 포집된 병변을 고정한다. 즉, 석션부(30)의 전단 상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병변 고정날(32)을 통해 포집 대상인 병변을 먼저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상태에서 병변 절단부(50)를 통해 절삭된 조직은 바로 석션부(30)의 입구에 놓이게 되며, 이때 석션을 실행하면 절삭된 병변 조직이 흡입되어 석션 포트인 석션부(30)를 따라 후방으로 배출된다. 한편, 배출 노즐(310)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됨으로써 원활한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동부(40)는 병변 절단부(50)와 모니터링 윈도우(60)의 전후방을 따른 반복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본체부(10) 내에 배치된 슬라이드관(12)을 따라 전후방으로 구동한다. 이동부(40)는 병변 절단부(50)와 모니터링 윈도우(60)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전방 패널(410) 및 슬라이드관(12) 내에서 전후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전방 패널(410)의 내면과 손잡이 회전부(220)의 상단 상에 고정되는 슬라이드부(420)를 포함한다. 전방 패널(410)은 전체적으로 원형 플레이트 타입의 상에 내면 가장자리 상에 소정 두께를 갖는 가이드 링이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병변 절단부(50)는 중공 원통 형상을 갖는 구조체인 것으로서 석션부(30)의 전단과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포집된 병변을 절단하는 기능을 한다. 병변 절단부(50)의 내측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석션부(30) 측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를 갖는 것으로 절단날(52)을 배치한다. 즉, 상기 병변 절단부의 절단날은 하부 상으로 갈수록 모니터링 윈도우(60)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병변 절단부(50)와 석션부(30) 사이에 병변 조직이 위치한 상태에서, 절단날(52)을 통해 병변 조직의 하부 측에서부터 절단을 시작하게 한다. 원형의 칼날인 절단날(52)은 사선 형태를 가지며 가위의 형태처럼 칼날이 맞물려 작동하는 구조로써, 아래부터 위로 조직을 잘려나가게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석션부(30)와 병변 절단부(50) 사이에 병변을 포집하고, 손잡이부(20) 조작을 통해 손잡이 회전부(220)의 상단을 후방 이동하여 이동부(40) 및 병변 절단부(50)를 전체적으로 후방 이동하게 한다. 절삭된 조직은 바로 석션부(30)의 입구 상에 놓여 후방으로 원활히 배출된다.
한편, 병변 절단부(50)의 내면 상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 리브(54)를 형성한다. 석션부(30)의 내면 상에도 지지 리브(54)에 연장되도록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석션 지지리브(34)가 형성된다.
상기 영상 탐지부(70)를 통해 광각으로 실시간으로 탐지된 조직 병변에 대한 확정 후에, 손잡이부(20)를 통해 이동부(40)에 결합된 병변 절단부를 전후방으로 위치조절하여 병변 절단부와 석션부 간에 배치된 조직 병변을 포집 및 절단한 상태에서, 석션부(30)를 통해 조직 병변을 체외로 이송하게 한다.
고정 카메라인 영상 탐지부(70)를 통해 타겟(병변 조직)의 위치를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잘린 병변 조직의 모습을 근접 확인이 가능하며, 투명캡인 모니터링 윈도우(60)을 통하여 전방 부분을 볼 수 있게 한다.
영상 탐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 상에 배치된 이리게이션부(80) 및 광조사부(75)는 영상 탐지부(70)를 통한 병변 조직 위치 확보 및 절단 과정에서 선명한 영상을 위하여 광원의 공급 및 타겟부에 대한 세척을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니터링 윈도우와 영상 탐지부를 통한 인디케이터 기능을 통한 병변 탐지와 포집, 포집된 병변에 대해 병변 절단부와 석션부를 통한 절제와 체외 배출 및 시술 과정에 있어서의 안정적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부
20 : 손잡이부
30 : 석션부
40 : 이동부
50 : 병변 절단부
60 : 모니터링 윈도우
70 : 영상 탐지부
75 : 광조사부
80 : 이리게이션부

Claims (8)

  1. 하부 상에 손잡이부가 고정된 중공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과 동시에 포집된 조직 병변의 체외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석션부;
    상기 손잡이부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를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끝단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석션부의 끝단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병변 절단부; 및
    상기 석션부에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되어져, 상기 석션부의 전방 부위에 대한 영상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의 전방 끝단에 결합된 모니터링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윈도우의 내측 상에 상기 병변 절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병변 절단부는 내측 상에 절단날이 형성된 중공 형상의 구조체인,
    내시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탐지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탐지된 조직 병변에 대한 확정 후에,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이동부에 결합된 병변 절단부를 전후방으로 위치조절하여 상기 병변 절단부와 석션부 간에 배치된 조직 병변을 포집 및 절단한 상태에서, 상기 석션부를 통해 조직 병변을 체외로 이송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변 절단부의 절단날은 하부 상으로 갈수록 상기 모니터링 윈도우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내시경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부의 전단 상에는 포집되는 조직 병변을 고정하기 위한 타겟 고정날이 설치되는,
    내시경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탐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 상에 이리게이션 채널 및 광케이블이 배치되는,
    내시경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장치는 관절경으로 적용되는,
    내시경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장치는 척추 관절경으로 적용되는,
    내시경 장치.
KR1020200040035A 2020-04-02 2020-04-02 이동형 칼날 및 석션 포트를 이용하여 병변 조직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내시경 장치 KR102359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035A KR102359170B1 (ko) 2020-04-02 2020-04-02 이동형 칼날 및 석션 포트를 이용하여 병변 조직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내시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035A KR102359170B1 (ko) 2020-04-02 2020-04-02 이동형 칼날 및 석션 포트를 이용하여 병변 조직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내시경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544A KR20210124544A (ko) 2021-10-15
KR102359170B1 true KR102359170B1 (ko) 2022-02-08
KR102359170B9 KR102359170B9 (ko) 2022-07-06

Family

ID=7815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035A KR102359170B1 (ko) 2020-04-02 2020-04-02 이동형 칼날 및 석션 포트를 이용하여 병변 조직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내시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1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8034A1 (en) 2003-02-13 2009-09-10 Sauer Jude S Instrument for surgically cutting tissue and method of use
US8006889B2 (en) 1998-06-19 2011-08-3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thod and device for full thickness resectioning of an organ
US20180085138A1 (en) * 2016-09-23 2018-03-29 Lumenis Ltd. System and method for morcellation of tissu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6334B2 (en) * 2010-02-04 2015-03-24 Nico Corporation Tissue removal device with tissue gr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6889B2 (en) 1998-06-19 2011-08-3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thod and device for full thickness resectioning of an organ
US20090228034A1 (en) 2003-02-13 2009-09-10 Sauer Jude S Instrument for surgically cutting tissue and method of use
US20180085138A1 (en) * 2016-09-23 2018-03-29 Lumenis Ltd. System and method for morcellation of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170B9 (ko) 2022-07-06
KR20210124544A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65678A1 (en) Dual movable blade biopsy tool with stylet
US7846107B2 (en) Endoscopic apparatus with integrated multiple biopsy device
US8753350B2 (en) Flexible vacuum grabber for holding lesions
JP2022526794A (ja) ツールを装着して直接視覚化するために肺の末梢領域にアクセスする装置
JP3943600B2 (ja) インビボでの組織の診断およびインビボでの組織への介入手順の実施
JP5618835B2 (ja) 細長い医療装置を内視鏡と関連して方向付けるためのアダプタを備えるアダプタシステム
JPH09503942A (ja) 組織切除術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2007063904A1 (ja) ガイド用細長医療部材、及び細長医療装置
JPH0340614B2 (ko)
JP2001515372A (ja) 自動化生検装置のための調節システム及び方法
EP3863498B1 (en) Digital endoscope
JP2008000579A (ja) 内視鏡処置システム、処置具、及びアダプタ
US20140100448A1 (en) Rotary sample-collection needle
US20160367311A1 (en) Instrumentation with Embedded Imaging Systems
US20210045721A1 (en) Surgical instrument and surgical system
JP6928080B2 (ja) 医療システム
US20040236247A1 (en) Endocervical Curette
JP5006591B2 (ja) 超音波内視鏡
KR102359170B1 (ko) 이동형 칼날 및 석션 포트를 이용하여 병변 조직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내시경 장치
JP4864603B2 (ja) 超音波内視鏡
JP2004290517A (ja) 生検針
JPH0759724A (ja) 手持内視鏡
JP2013192775A (ja) 鉗子、診断補助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JP2010512183A5 (ko)
KR101731894B1 (ko) 위장관 점막하종양 생검용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