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689A -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 - Google Patents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689A
KR20150116689A KR1020140041933A KR20140041933A KR20150116689A KR 20150116689 A KR20150116689 A KR 20150116689A KR 1020140041933 A KR1020140041933 A KR 1020140041933A KR 20140041933 A KR20140041933 A KR 20140041933A KR 20150116689 A KR20150116689 A KR 20150116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tissue
shell
echo
spir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riority to KR102014004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6689A/ko
Priority to PCT/KR2014/006910 priority patent/WO2015156450A1/ko
Publication of KR20150116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8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with vacuum aspiration, e.g. caused by retractable plunger or by connected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61B10/027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with sample notch, e.g. on the side of inner sty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25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ultras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단부에 경사면(101a)을 포함하는 삽입부(101)가 형성되는 관상 동체(1)와;상기 동체(1)의 주벽 일측에 동체(1)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조직채취홈(201)을 형성하여 조직채취홈(201)의 양측에 조직채취날부(202)를 형성한 조직채취부(2)와; 상기 동체(1)의 외주면에 나선형홈(301)을 형성하되, 동체 길이 방향 단면상에 형성되는 나선형홈(301)이 지그재그로 형성되게 한 에코부(3)로 구성함으로써 조직채취력과 강도가 향상되어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술 과정에서의 바늘의 구부러짐이나 절단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Needle for EUS-FNA}
본 발명은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세포 채취력을 향상시켜 시술 시간을 단축시키고, 바늘의 강도를 향상시켜 시술 과정에서 바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 이후 내시경, 초음파, 컴퓨터 단층 촬영(CT) 등의 획기적 발전은 소화기 질환의 진단에도 큰 발전을 가져왔다. 내시경 초음파는 내시경 검사와 초음파를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초음파를 작게 만들어 내시경 끝에 부착하여 직접 소화관에 삽입하게 되는데, 직접 몸속에 초음파를 투영함으로써 종전 초음파 검사와 CT 검사가 발견하지 못하는 곳까지 자세히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1990년대에 선형배열 내시경 초음파(Endoscopic Ultrasound, EUS)가 소개되면서 이를 이용하여 안전한 경로를 따라 실시간으로 정확한 조준 하에 바늘을 삽입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초음파, CT, MRI를 비롯한 각종 이미지 검사에서 각 질병의 특징적인 모양을 갖고 진단을 추측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기본적인 확진은 조직을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병리검사이다.
따라서 이미지나 임상 증상만으로도 특정 질병을 진단하는 것은 환자의 오랜 경험과, 각 질병에 따른 치료 가이드 라인에 준하여 진단을 내리는 것이기 때문에 오진의 가능성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의료진의 입장에서는 조금이라도 오진을 줄이기 위하여 질병의 진단과 확진을 위하여 다양한 검사를 실시하게 되는데, 그 중 최근에 많이 이용되는 진단 방법이 바로 초음파를 보면서 바늘을 이용해 조직이나 세포들을 뽑아내서 그 조직이나 세포들의 형태를 보고 진단을 내리는 것이 바로 세침 흡인생검(Fine-needle aspiration, FNA)이다.
세침 흡인생검은 초음파검사와 다양한 중증 질환의 진단에 일차적 검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세침 흡인생검은 검사의 금기 사항이나 부작용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선형 내시경 초음파를 이용하여 시술자가 천자침이 환부에 정확히 삽입되는 것을 직접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시술이 가능케 되는데,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의 실시 예를 간단히 설명하면,
(1) 먼저 내시경 초음파로 병변을 확인하고 도플러를 이용하여 바늘이 들어가는 경로 상에 혈관이 없는지 확인.
(2) 바늘이 들어갈 길이를 정하고 Safety Ring을 조절하여 천자를 시행.
(3) 천자가 완료되면 뒤로 당겼던 스타일렛(Stylet)을 다시 밀어넣음.
(4) 전용 주사기로 음압을 가함. 혹은 바늘 Handle을 움직이는 동안 Stylet을 조금씩 빼면서 조직을 채취.
(5) 전용 주사기를 제거한 뒤, 바늘을 시스(Sheath) 안에 넣은 다음, 내시경에서 분리.
(6) 스타일렛을 천천히 밀어 조직을 획득하게 되는데, 조직채취부가 형성된 바늘을 이용함으로써 환부 조직을 채취하게 된다.
그리하여 채취된 환부 조직이나 세포들의 형태를 보고 환부 질환에 대한 최종 진단을 내리게 된다.
이러한 EUS FNA는 소화기계 암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췌장암과 낭종에 대한 국소적인 항암요법, 그리고 복강신경절 차단술 등 많은 활용법이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특히, 내시경 초음파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작은 크기의 췌장암까지도 진단할 수 있는데, 내시경 초음파의 췌장암 발견율은 약 96%(85-100%)로 다른 검사 방법들에 비해 우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가장 큰 장점은 고해상도 영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5mm 미만까지의 병변도 식별이 가능하다.
췌장암이 진단되었더라도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할 경우 항암치료 및 방사선치료를 위해 조직검사를 해야 하는데, 내시경 초음파를 이용한 세침 흡인생검로 병리적 진단이 가능하게 되었다.
담낭(쓸개) 질환은 많은 경우 통상적인 복부 초음파 검사로도 가능하지만, 간혹 복부 초음파 검사로 정밀 진단이 어렵거나 감별진단이 곤란한 경우가 있는데, 내시경 초음파는 고주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병변부를 세밀히 관찰할 수 있고, 병변의 형태나 주위 구조물들의 관찰로 훨씬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복부 초음파로 진단이 어려운 작은 담낭 담석, 담낭용종의 감별진단, 담낭암의 진단 및 병기 판정, 담낭벽 비후의 감별진단 등에 유용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7935호 등록특허공보 제10-1113752호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을 시술할 때에는 내시경 생검 기구에 바늘을 장착하여 바늘을 환부에 투입하여 환부의 조직을 채취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바늘은 일단부에 경사면(101a)을 포함하는 삽입부(101)가 형성되는 비자성 금속으로 형성된 길이가 긴 관상 동체(1)와; 상기 동체(1)의 일측에 형성되어 환부의 조직을 채취하는 조직채취부(2)와; 상기 동체(1) 타측에 형성되어 내시경 초음파를 반사하는 에코부(3)로 구성된다.
상기 바늘을 이용하여 환부 조직을 채취하는 경우에, 한 번에 조직을 채취하는 경우도 있지만, 한 번에 만족할 만한 조직을 채취할 수 없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는 바늘이 워낙 가늘어서 바늘에 형성된 조직채취부(2)를 이용해 환부의 조직을 긁어내더라도 채취되는 조직의 양이 워낙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 검사당 2~3회 정도의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뿐만 아니라, 시술 때마다 환부 조직을 채취하기 위하여 바늘을 왕복시키는 핸들부를 수십 차례 왕복시킴으로써 조직을 긁어내어 채취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바늘이 휘어지면 내시경 초음파 상에서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의 주행이 잘 확인이 되지 않아 환부 조직을 정확히 채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바늘을 내시경에 삽입하기 전 매번 확인하여 휘어진 바늘을 곧게 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시술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흡인 후 검체 획득을 위하여 다시 스타일렛을 바늘 안으로 밀어 넣을 때 스타일렛에 피가 묻을 경우 다음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 때 피가 응고되어 스타일렛이 바늘에서 잘 빠지지 않거나 밀어 넣을 수 없게 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함으로써 원활한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은 초음파 유도에 의해 환부에 삽입되는 위치를 모니터를 이용해 식별할 수 있는데 이는 초음파의 반향으로 이용하는 것으로써, 내시경 초음파의 반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의 외주면에는 에코(Echo)부라 불리는 초음파를 반사하는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에코부는 바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동심원 형상으로 된 환상홈을 형성하거나, 외주면에 물방울 모양의 홈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였으나,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의 직경은 대략 0.7mm 정도이고, 바늘 주벽의 두께는 대략 0.1mm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0.1mm 두께의 주벽에 동심원 형상의 환상홈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할 경우에 환상홈이 형성된 부분의 주벽 두께가 얇아지면서 환상홈 부분이 구부러지거나 단절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물방울 모양의 홈은 초음파의 반향이 원활하지 않아서 모니터상에 바늘의 위치가 잘 식별되지 않는 문제점으로 인해 환부에 정확히 바늘을 삽입하기 곤란하여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 생검이 원활하게 시술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일단부에 경사면(101a)을 포함하는 삽입부(101)가 형성되는 비자성 금속으로 형성된 길이가 긴 관상 동체(1)와; 상기 동체(1)의 일측에 형성되어 환부의 조직을 채취하는 조직채취부(2)와; 상기 동체(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내시경 초음파를 반사하는 에코부(3)로 구성되는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에 있어서,
상기 조직채취부(2)는 동체(1)의 주벽 일측에 동체(1)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조직채취홈(201)을 형성하여 조직채취홈(201)의 양측에 조직채취날부(202)를 형성하고; 상기 에코부(3)는 동체(1)의 외주면에 나선형홈(301)을 형성하되, 동체 길이 방향 단면상에 형성되는 나선형홈(301)이 지그재그로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조직채취력과 강도가 향상되는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직채취날부가 조직채취홈의 양측에 형성되어 바늘을 환부에 투입하거나, 환부에서 뺄 때, 동시에 환부 조직 채취가 가능함으로써 조직채취력이 향상되고, 그로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코부의 형성에 따른 주벽의 두께 축소를 최소화함으로써 바늘의 강도를 향상시켜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 시술 과정에서의 바늘의 구부러짐이나 단절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단부에 경사면(101a)을 포함하는 삽입부(101)가 형성되는 비자성 금속으로 형성된 길이가 긴 관상 동체(1)와; 상기 동체(1)의 일측에 형성되어 환부의 조직을 채취하는 조직채취부(2)와; 상기 동체(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내시경 초음파를 반사하는 에코부(3)로 구성된다.
상기 동체(1)는 비자성 금속으로 형성함으로써 내시경 초음파와 함께 사용할 때 초음파의 오동작을 방지하며, 동체(1)의 횡단면은 정원형이고, 선단부는 경사지게 절단된 경사면(101a)을 포함하는 예리한 형태로 삽입부(101)를 형성함으로써 인체 조직을 용이하게 뚫고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 동체(1)의 선단부 반대쪽은 내시경 생검 기구에 장착되는데, 내시경 생검 기구의 바늘 연결부 형상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미 의료계에서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사용 예가 있으므로 그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의 도시는 생략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조직채취부(2)는 동체(1)의 주벽 일측에 동체(1)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조직채취홈(201)을 형성하여 조직채취홈(201)의 양측에 갈퀴 모양 또는 대패날 모양의 조직채취날부(202)를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동체(1)의 선단부를 기준으로 앞쪽에 위치한 조직채취부(2)는 바늘을 환부 조직에 투입한 후, 바늘을 당겨낼 때, 환부 조직을 긁어서 채취하게 되고, 바늘의 선단부를 기준으로 뒤쪽에 위치한 조직채취부(2)는 바늘을 환부 조직에 투입한 후, 바늘을 밀어 넣을 대, 환부 조직을 긁어서 채취하게 된다.
상기 에코부(3)는 동체(1)의 외주면에 나선형홈(301)을 형성하되, 동체(1)의 단면상에 형성되는 나선형홈(301)이 동체(1)의 주벽에 지그재그로 형성함으로써 동체(1)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일직선상에는 하나의 나선형홈(301)만 위치하게 된다.
상기 동체(1)의 단면상 나선형홈(301)의 형상은 사각홈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나선형홈(301)의 세 변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초음파 반향을 위해서 형성되는 에코부(3)의 특성상, 초음파 반향에 가장 적합한 홈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으로 미리 밝혀둔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은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내시경 생검 기구에 장착한 후, 내시경 초음파를 이용해 모니터를 확인하면서 환자의 환부에 바늘을 정확히 투입하게 된다.
그리하여 내시경 초음파 모니터상에 바늘의 환부 투입이 확인되면, 바늘 핸들부(401)를 상하로 왕복함으로써 조직채취홈(201)의 양측에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형성된 갈퀴 모양 또는 대패날 모양의 조직채취부(2)가 바늘이 환부에서 들어갈 때와 나올 때 동시에 환부 조직을 긁어내어 채취하기 때문에 조직 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시술자는 물론 피시술자의 피로와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시경 초음파를 이용하여 인체 조직 내부로 투입된 바늘의 위치 식별이 가능케 하기 위하여 바늘의 동체(1)에 형성된 에코부(3)는 동체(1)의 외주면에 나선형홈(301)을 형성함으로써 나선형홈(301)의 성형, 가공이 용이하게 되며,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1)의 단면상에 형성되는 나선형홈(301)이 동체(1)의 주벽에 지그재그로 형성됨으로써 동체(1)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일직선상에는 하나의 나선형홈(301)만 위치하기 때문에 에코부(3)에 따른 동체(1)의 두께 감소를 최소화함으로써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을 시술하기 위하여 바늘을 왕복하는 과정에서 바늘의 구부러짐이나 절단을 방지함으로써 시술 과정에서 바늘의 불량이나 교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안전 의료사고를 배제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동체 101: 삽입부
101a: 경사면 2: 조직채취부
201: 조직채취홈 202: 조직채취날부
3: 에코부 301: 나선형홈
4: 채취기 401: 핸들부

Claims (1)

  1. 일단부에 경사면(101a)을 포함하는 삽입부(101)가 형성되는 비자성 금속으로 형성된 길이가 긴 관상 동체(1)와;
    상기 동체(1)의 일측에 형성되어 환부의 조직을 채취하는 조직채취부(2)와;
    상기 동체(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내시경 초음파를 반사하는 에코부(3)로 구성되는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에 있어서,
    상기 조직채취부(2)는 동체(1)의 주벽 일측에 동체(1)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조직채취홈(201)을 형성하여 조직채취홈(201)의 양측에 조직채취날부(202)를 형성하고,
    상기 에코부(3)는 동체(1)의 외주면에 나선형홈(301)을 형성하되, 동체 길이 방향 단면상에 형성되는 나선형홈(301)이 지그재그로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
KR1020140041933A 2014-04-08 2014-04-08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 KR20150116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933A KR20150116689A (ko) 2014-04-08 2014-04-08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
PCT/KR2014/006910 WO2015156450A1 (ko) 2014-04-08 2014-07-29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933A KR20150116689A (ko) 2014-04-08 2014-04-08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689A true KR20150116689A (ko) 2015-10-16

Family

ID=5428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933A KR20150116689A (ko) 2014-04-08 2014-04-08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116689A (ko)
WO (1) WO201515645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036A (ko) * 2018-08-08 2020-02-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WO2020171493A1 (ko) * 2019-02-19 2020-08-27 서울대학교병원 이중 모서리 홈을 가진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WO2021187916A1 (ko) * 2020-03-20 2021-09-23 주식회사 코스와이어 세침 바늘 및 내시경 장치
KR20220005342A (ko) * 2020-07-06 2022-01-13 충남대학교병원 조직이탈 방지를 위한 흡인니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64068A (ko) 2020-11-11 2022-05-18 황시영 복층형 오피스텔의 다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4980B2 (en) * 2016-08-18 2021-07-20 Lenkbar, Llc Flexible tissue collection device
EP3338646A1 (en) 2016-12-21 2018-06-27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A biopsy device
EP3738519A1 (en) * 2019-05-13 2020-11-18 Smith & Nephew, Inc. Anchor delivery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1124A (en) * 1981-08-13 1983-08-30 Technicare Corporation Reflection enhancement of a biopsy needle
US6709408B2 (en) * 2001-08-09 2004-03-23 Biopsy Sciences, Llc Dual action aspiration biopsy needle
US9980707B2 (en) * 2011-04-04 2018-05-29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Endoscopic ultrasound-guided biopsy needle
KR101049672B1 (ko) * 2011-02-01 2011-07-14 박명진 초음파 유도하 중재적 시술용 바늘구조
CN103249365B (zh) * 2011-03-25 2015-06-24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活检用处理器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036A (ko) * 2018-08-08 2020-02-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WO2020171493A1 (ko) * 2019-02-19 2020-08-27 서울대학교병원 이중 모서리 홈을 가진 담즙배출 및 담도암 조직검사용 스텐트
WO2021187916A1 (ko) * 2020-03-20 2021-09-23 주식회사 코스와이어 세침 바늘 및 내시경 장치
KR20220005342A (ko) * 2020-07-06 2022-01-13 충남대학교병원 조직이탈 방지를 위한 흡인니들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64068A (ko) 2020-11-11 2022-05-18 황시영 복층형 오피스텔의 다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56450A1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6689A (ko) 초음파 유도 세침 흡인생검용 바늘
US20210007723A1 (en) Endoscopic tri-point biopsy needle
US9986981B2 (en) Endoscopic ultrasound-guided notched biopsy needle
US9782153B2 (en) Endoscopic biopsy needle with coil sheath
US8517955B2 (en) Tissue sampl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3148445B1 (en) Laser cut needle cannula with increased flexibility
JP5249472B2 (ja) 生検用処置具
AU2011238490B2 (en) Endoscopic ultrasound-guided biopsy needle
US9955956B2 (en) Needle tube
US9301736B2 (en) Fine needle biopsy with adaptor
EP3618727A1 (en) Endoscopic biopsy needle tip and methods of use
JP2023123806A (ja) 内視鏡用穿刺針
CN108697412A (zh) 用于改进的组织采样的系统和方法
KR20200017036A (ko) 내시경초음파 세침흡인검사용 바늘
JP7315707B2 (ja) 生検針及び組織採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