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654B1 -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 - Google Patents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654B1
KR102241654B1 KR1020190139200A KR20190139200A KR102241654B1 KR 102241654 B1 KR102241654 B1 KR 102241654B1 KR 1020190139200 A KR1020190139200 A KR 1020190139200A KR 20190139200 A KR20190139200 A KR 20190139200A KR 102241654 B1 KR102241654 B1 KR 102241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agnetic
gap
mounting space
mem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현식
고재생
Original Assignee
파인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인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인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5/00Suspended filing appliances
    • B42F15/0011Suspended filing appliances for sheets, stacks of temporarily b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5/00Suspended filing appliances
    • B42F15/007Support structures for suspended 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10Means for suspending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지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자성체가 각각 장착 공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대향 배치되도록 하고, 각각 장착 공간에 갇힌 상태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배치 구성함으로써, 면적이 큰 메모지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하고, 면적이 큰 여러 장의 메모지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하며, 간극을 통해 메모지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메모지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한 쌍의 자성체 사이에 홀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메모지 홀더에 있어서, 수평 블록; 상기 수평 블록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되, 상호 이격 배치되어 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블록; 상기 각각의 수직 블록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배치되되, 상기 간극을 통해 대향되어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한 쌍의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Memo paper holder using magnetic body}
본 발명은 메모지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자성체가 각각 장착 공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대향 배치되도록 하고, 각각 장착 공간에 갇힌 상태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배치 구성함으로써, 면적이 큰 메모지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하고, 면적이 큰 여러 장의 메모지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하며, 간극을 통해 메모지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메모지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한 쌍의 자성체 사이에 홀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지를 홀딩하는 메모지 홀더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자성체를 이용하여 냉장고 외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차량이나 책상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스프링 타입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전자의 경우, 자성체를 붙일 수 없는 차량이나 콘크리트벽 등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하였으며, 후자의 경우, 설치 후 돌출부가 형성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5216호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장소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고, 부착 후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한 메모지 홀더를 제공하여 메모지를 극히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홀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지 홀더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다양한 장소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뿐, 구조가 복잡하고, A4 용지와 같은 큰 용지를 홀딩하기 어렵고, 특히 용지의 지지하는 접촉면이 작아서 큰 용지를 홀딩하기가 더욱더 어려우며, 복수 장의 메모지를 연속해서 홀딩하기 어렵고 홀딩 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5216호(공고일자 : 2002년 02월 21일, 고안의 명칭 : 메모지 홀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한 쌍의 자성체가 각각 장착 공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대향 배치되도록 하고, 각각 장착 공간에 갇힌 상태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배치 구성함으로써, 면적이 큰 메모지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하고, 면적이 큰 여러 장의 메모지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하며, 간극을 통해 메모지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메모지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한 쌍의 자성체 사이에 홀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메모지 홀더에 있어서, 수평 블록; 상기 수평 블록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되, 상호 이격 배치되어 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블록; 상기 각각의 수직 블록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배치되되, 상기 간극을 통해 대향되어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한 쌍의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수직 블록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는 장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 공간은 상기 간극과 통하도록 하고 상기 자성체의 일부가 상기 간극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 공간은 상기 자성체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자성체의 직경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에 의하면, 한 쌍의 자성체가 각각 장착 공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대향 배치되도록 하고, 각각 장착 공간에 갇힌 상태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배치 구성하기 때문에, 면적이 큰 메모지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하고, 면적이 큰 여러 장의 메모지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하며, 간극을 통해 메모지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메모지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한 쌍의 자성체 사이에 홀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의 사용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동작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100)는 수평 블록(10), 상기 수평 블록(10)의 하부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 블록(30)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블록(30)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 배치되어 상호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한 쌍의 자성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 블록(10)은 본 발명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100)가 책상, 차량, 벽, 거울 등 다양한 부착 대상체에 부착될 때,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100)는 기울어진 상태로 부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수평 블록(10) 역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 블록(1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수직 블록(30)이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수직 블록(30)은 상호 마주보도록 대향 배치되고, 상호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 간극(g)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수직 블록(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블록(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되, 상호 이격 배치되어 간극(g)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수직 블록(30)이 상기 수평 블록(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수직 블록(30) 사이에는 상기 간극(g)이 형성된다. 상기 간극(g)은 메모지, 종이 등 홀딩이 필요한 용지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투입시킬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거리를 가진다. 상기 간극(g)은 메모지 등의 용지의 두께에 따라 제조시에 결정될 수 있고, 홀딩할 메모지 등의 용지의 장수에 따라 제조시에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간극(g)은 상기 수평 블록(10)에 의해 상부가 막혀 있지만,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메모지 등의 용지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삽입되는 메모지는 상기 한 쌍의 자성체(50) 사이를 지나면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홀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자성체(50)는 상기 간극(g)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투입되는 메모지를 자신들 사이에 개재시켜 홀딩하기 위하여 상기 간극(g)에서 상호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자성체(50) 중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수직 블록(30) 중 하나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자성체(50)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한 쌍의 수직 블록(30) 중 다른 하나에 삽입 배치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자성체(50)는 상기 각각의 수직 블록(30)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배치되되, 상기 간극(g)을 통해 대향되어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된다. 하나의 자성체(50)는 하나의 수직 블록(30)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자성체(50)는 다른 하나의 수직 블록(30)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배치된다. 여기서 수직 블록(30)의 길이 방향은 도 2에서 지면을 뚫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자성체(5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부분이 대향되어 상호 자력에 의하여 부착된다. 상기 자성체(5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기둥 형상의 자성체(50)는 눕혀진 상태로 상기 수직 블록(30)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한 쌍의 자성체(50)의 상호 부착(접촉)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크기가 큰(면적이 큰) 메모지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자성체(50)는 상기 간극(g)을 통해 하측으로부터 투입되는 메모지를 견고하게 홀딩하기 위하여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각의 수직 블록(30)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자성체(50)를 수용하는 장착 공간(31)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 공간(31)은 상기 간극(g)과 통하도록 하고 상기 자성체(30)의 일부가 상기 간극(g)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33)를 구비한다.
상기 각각의 수직 블록(30)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삽입 배치되는 자성체(3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장착 공간(31)을 구비한다. 즉, 하나의 수직 블록(30)은 하나의 자성체(3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장착 공간(31)을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수직 블록(30)은 다른 하나의 자성체(3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장착 공간(31)을 구비한다.
상기 장착 공간(31)은 상기 자성체(30)를 수용하기 때문에, 상기 원기둥 형상의 자성체(30)에 대응하여 역시 원통 형상을 가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공간(31)은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눕혀져서 상기 수직 블록(30)에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장착 공간(31)에 삽입 장착되는 각각의 자성체(30)는 대향 배치되는 자성체(30)와 상기 간극(g)을 통해 부착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자성체(30)는 상기 각각의 장착 공간(31)에 삽입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간극(g)으로 일부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착 공간(31)은 상기 간극(g)과 통하도록 하고 수용되어 있는 자성체(30)의 일부가 상기 간극(g)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33)를 구비한다.
상기 하나의 수직 블록(30)에 형성되는 장착 공간(31)의 개구(33)와 상기 다른 하나의 수직 블록(30)에 형성되는 장착 공간(31)의 개구(33)는 상기 간극(g)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자성체(30)는 안정적으로 장착 공간(31)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간극(g)에서 상호 자력에 의하여 부착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자성체(30)를 외력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메모지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간극(g)을 통해 투입시켜 메모지 상단이 상기 간극(g)의 상측 부분까지(상기 수평 블록(10)에 인접 또는 접촉할 때까지) 이동하면, 상기 자성체(30)에 대한 외력을 제거한다. 그러면, 상기 한 쌍의 자성체(30)는 상기 메모지를 그들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자력에 의하여 상호 부착되고, 이를 통해 상기 메모지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메모지를 상기 한 쌍의 자성체(30) 사이에 용이하게 개재시키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자성체(30)는 상기 장착 공간(31)에서 충분히 유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장착 공간(31)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 공간(31)은 상기 자성체(3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ir)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33)는 상기 자성체(30)의 직경보다 더 작은 높이(h)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장착 공간의 직경(ir)은 상기 자성체(30)의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개구 높이(h)는 상기 자성체(30)의 직경보다 더 작다.
상기 원통 형상의 장착 공간(31)의 직경(ir)이 상기 원기둥 형상의 자성체(30)의 직경보다 더 크기 때문에, 상기 자성체(30)는 상기 장착 공간(31)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고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지(p)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상기 간극(g)을 통해 투입시킨 후, 상기 메모지(p)의 상단을 상기 간극(g)의 상측까지 이동시킬 때, 상기 메모지(p)가 상기 한 쌍의 자성체(30)의 부착(접촉) 부분을 지나는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자성체(30)는 상기 메모지(p)의 두께로 인하여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세하게 수평 이동함과 동시에, 한쪽의 자성체(30)(도 2에서 좌측의 자성체)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다른 쪽의 자성체(30)(도 2에서 우측의 자성체)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메모지(p)를 상기 간극(g)을 통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과정만으로 용이하게 상기 메모지(p)가 상기 한 쌍의 자성체(30)에 의하여 홀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각의 장착 공간(31)에 수용되는 각 자성체(30)는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 공간(31)을 이탈하면 안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구(33)의 높이(h)를 상기 자성체(30)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각각의 자성체(30)는 상기 장착 공간(31)에서 유동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장착 공간(31) 내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메모지(p)의 홀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100)는 책상, 차량, 벽, 거울, 전자 제품 등 다양한 부착 대상체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100)는 상기 수평 블록(10)과 부착 대상체 사이에 부착 매체(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를 개재시켜 부착 대상체에 부착될 수도 있고, 상기 한 쌍의 수직 블록(30)들의 전면(도 2 및 도 3에서 보이는 면) 또는 후면(전면의 반대면) 또는 한 쌍의 수직 블록(30)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개구(33)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과 부착 대상체 사이에 부착 매체(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를 개재시켜 부착 대상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100)가 부착 대상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메모지(p)를 간극(g)을 통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켜서 상기 메모지(p)가 상기 한 쌍의 자성체(30)에 의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홀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자성체(30)는 수평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할 수도 있고, 한 쌍의 자성체(30)는 각각 시계 반대 방향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메모지(p)를 간편하고 쉽게 상기 한 쌍의 자성체(30)에 홀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g : 간극 h : 개구 높이
ir : 장착 공간 직경 p : 메모지
10 : 수평 블록 30 : 수직 블록
31 : 장착 공간 33 : 개구
50 : 자성체 100 :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

Claims (3)

  1. 메모지 홀더에 있어서,
    수평 블록; 상기 수평 블록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되, 상호 이격 배치되어 간극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블록; 상기 각각의 수직 블록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배치되되, 상기 간극을 통해 대향되어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한 쌍의 자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수직 블록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장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 공간은 상기 간극과 통하도록 하고 상기 자성체의 일부가 상기 간극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공간은 상기 자성체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자성체의 직경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블록 중, 하나의 수직 블록에 형성되는 장착 공간의 개구와 다른 하나의 수직 블록에 형성되는 장착 공간의 개구는 상기 간극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자성체는 각각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눕혀진 상태로 상기 수직 블록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
  2. 삭제
  3. 삭제
KR1020190139200A 2019-11-04 2019-11-04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 KR102241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200A KR102241654B1 (ko) 2019-11-04 2019-11-04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200A KR102241654B1 (ko) 2019-11-04 2019-11-04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654B1 true KR102241654B1 (ko) 2021-04-19

Family

ID=7571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200A KR102241654B1 (ko) 2019-11-04 2019-11-04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6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498Y1 (ko) * 1999-07-23 2000-03-15 이종택 고무자석의 자성을 이용한 자석 메모지 홀더
KR200265216Y1 (ko) 2001-11-06 2002-02-21 최치정 메모지 홀더
KR20040040867A (ko) * 2002-11-08 2004-05-13 박철 영구자석을 이용한 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498Y1 (ko) * 1999-07-23 2000-03-15 이종택 고무자석의 자성을 이용한 자석 메모지 홀더
KR200265216Y1 (ko) 2001-11-06 2002-02-21 최치정 메모지 홀더
KR20040040867A (ko) * 2002-11-08 2004-05-13 박철 영구자석을 이용한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0522A (en) Magazine rack
KR102241654B1 (ko) 자성체를 이용한 메모지 홀더
US20070006505A1 (en) Message board apparatus
JPH0432485Y2 (ko)
WO1998035593A1 (en) A SYSTEM AND A SUPPORT AND STORING DEVICE FOR CD's
KR200380413Y1 (ko) 문서 케이스
JP6732632B2 (ja) 物品載置什器
KR200466027Y1 (ko) 게시판
US1080317A (en) Display-sign holder.
KR200478710Y1 (ko) 메모지 홀더
JP3238134U (ja) アクリルスタンド
JP2017077704A (ja) ホワイトボード用イレーザ
CN217804076U (zh) 盒式支架的书写板套装
JP2008534319A (ja) 直立型メモ用紙ホルダ
KR20120139103A (ko) 명함 케이스
JP5301224B2 (ja) 天板支持構造及びこれを備える机
JP3204292U (ja) スチール棚用マルチポップホルダー
JP3196929U (ja) カードホルダ
KR101847722B1 (ko)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
JPH05112A (ja) 棚 板
CN205143819U (zh) 一种语文教学用多功能文具盒
JPH07308225A (ja) 壁体内収納机
CN111035131A (zh) 一种远程控制带提醒装置功能的文具盒
JP2533241Y2 (ja) 書見台
KR200219020Y1 (ko) 펜 꽂이 겸용 문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