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722B1 -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 - Google Patents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722B1
KR101847722B1 KR1020160104740A KR20160104740A KR101847722B1 KR 101847722 B1 KR101847722 B1 KR 101847722B1 KR 1020160104740 A KR1020160104740 A KR 1020160104740A KR 20160104740 A KR20160104740 A KR 20160104740A KR 101847722 B1 KR101847722 B1 KR 101847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eet
calendar
window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450A (ko
Inventor
권기석
이희정
Original Assignee
권기석
이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석, 이희정 filed Critical 권기석
Priority to KR1020160104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7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2Picture members for connection to a conventional wall hook or nai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8Picture frames where the picture is inserted through a slit in one of the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를 게시한다. 상기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는 양면에 날짜가 표시되어 있는 달력낱장들; 전면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면, 배면 윈도우를 포함하는 배면, 그리고 전면 및 배면에 수직하는 측면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 및 배면의 사이에는 상기 달력낱장들 또는 상기 달력낱장과는 별도로 부가되는 하나 이상의 전면게시용 낱장을 거치할 수 있는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달력낱장들 또는 상기 달력낱장과는 별도로 부가되는 하나 이상의 배면게시용 낱장을 거치할 수 있는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측면들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소통하며, 상기 전면 윈도우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 상기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가 형성된 측면에서 상기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와 이웃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과 소통하고, 상기 배면 윈도우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배면게시용 낱장 삽입구; 및 상기 프레임의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FRAME FOR BOTH WALL TYPE AND AND DESK TYPE}
본 발명은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슬릿을 형성하여 메모지, 달력, 사진 등의 기록물을 추가로 거치 할 수 있는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탁상용 달력 또는 벽걸이용 달력은 1년을 기준으로 월(月), 일(日), 요일, 절기, 공휴일 등의 사항을 날짜에 따라 적은 것으로, 월, 일, 요일 별 목적에 따른 다양한 정보가 기록되어 사용자가 내용을 한 눈에 식별하기 용이하고, 통상적으로 1달씩의 날짜를 기록한 달력낱장 상부에 고정 링을 구비하고 1년에 해당하는 12개의 달력낱장을 한번에 엮여 한 장씩 넘길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탁상에 비치하거나 벽면에 걸어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달력에 의하면, 달력낱장 상부에는 고정 스프링이 구비되어 달력낱장 외의 것, 예를 들면, 사진, 명함, 지하철 노선도 등을 게시하기 어렵고 별도의 메모지, 예를 들면, 포스트잇을 붙이게 되는 경우, 달력낱장에 표시된 요일 등의 내용을 가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길이방향의 슬릿을 형성하고, 형성된 슬릿에 메모지 또는 사진 또는 달력과 같은 부가용지를 거치함으로써, 추가적인 게시물을 별도로 거치할 수 있는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는, 양면에 날짜가 표시되어 있는 달력낱장들; 전면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면, 배면 윈도우를 포함하는 배면, 그리고 전면 및 배면에 수직하는 측면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 및 배면의 사이에는 상기 달력낱장들 또는 상기 달력낱장과는 별도로 부가되는 하나 이상의 전면게시용 낱장을 거치할 수 있는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달력낱장들 또는 상기 달력낱장과는 별도로 부가되는 하나 이상의 배면게시용 낱장을 거치할 수 있는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측면들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소통하며, 상기 전면 윈도우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 상기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가 형성된 측면에서 상기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와 이웃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과 소통하고, 상기 배면 윈도우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배면게시용 낱장 삽입구; 및 상기 프레임의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릿이 형성된 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이 마주하는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다양한 형상을 갖되, 상기 프레임이 지면에 놓이거나 벽에 걸었을 때 적어도 두 개의 측면은 지면과 수평 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에 메모지, 예를 들면 사진 또는 명함과 같은 부가용지를 거치함으로써, 원하는 게시물을 쉽게 거치할 수 있고, 쉽게 떨어지는 포스트잇과 달리 게시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으며, 타인에게 알리고자 하는 정보를 쉽게 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단면도로써, 달력낱장, 전면게시용 낱장 및 배면게시용 낱장이 지지되는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단면도로써, 달력낱장, 전면게시용 낱장 및 배면게시용 낱장이 지지되는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달력의 프레임 내부에 달력낱장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달력낱장을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달력의 프레임 외부에 전면게시용 낱장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어떠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단면도로써, 달력낱장, 전면게시용 낱장 및 배면게시용 낱장이 지지되는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단면도로써, 달력낱장, 전면게시용 낱장 및 배면게시용 낱장이 지지되는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달력의 프레임 내부에 달력낱장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달력낱장을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는 프레임(100),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1), 배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2), 슬릿(105) 및 벽걸이용 걸이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달력낱장(200)들, 하나 이상의 전면게시용 낱장(401), 하나 이상의 배면게시용 낱장(402)을 수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갖는 형태로 구비된다. 즉, 프레임(100)은 전면 윈도우(101a)를 갖는 전면(101), 배면 윈도우(102a)를 갖는 배면(102) 및 전면(101)과 배면(102)에 수직한 측면들(103)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전면(101), 배면(102) 및 측면들(103)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을 갖되, 프레임(100)이 지면에 놓이거나 벽에 걸었을 때 측면들(103) 중 적어도 두 개의 면은 지면과 수평 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101) 및 배면(102) 형상이 직사각형상을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전면 및 배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의 내부공간은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전면(101) 및 배면(102)의 사이에는 달력낱장(200)들 또는 달력낱장(200)과는 별도로 부가되는 하나 이상의 전면게시용 낱장(401)을 거치할 수 있는 제1 수용공간(110a) 및 달력낱장(200)들 또는 달력낱장(200)과는 별도로 부가되는 하나 이상의 배면게시용 낱장(402)을 거치할 수 있는 제2 수용공간(120a)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용공간(110a) 및 제2 수용공간(120a)은 서로 소통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게시용 낱장(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402)은 사진, 알림 사항을 기록한 용지, 명함 등일 수 있다.
프레임(100)의 내부공간을 제1 수용공간(110a) 및 제2 수용공간(120a)으로 구획하는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일 예로, 전면 윈도우(101a)를 갖는 사각 프레임 형태의 제1 프레임부재(110) 및 배면 윈도우(102a)를 갖는 사각 프레임 형태의 제2 프레임부재(120) 각각의 측면부(111, 121)의 단부를 맞대어 접합하면 제1 프레임부재(110)의 내부공간은 제1 수용공간(110a)이 되고, 제2 프레임부재(120)의 내부공간은 제2 수용공간(120a)이 될 수 있다.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1)는 프레임(100)의 제1 수용공간(110a)과 소통하도록 프레임(100)의 측면(103)들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00)의 전면(101)의 사각 형상 중 종방향에 평행한 어느 하나의 측면(103)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1)는 전면 윈도우(101a)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1)를 통해 프레임(100)의 외부로부터 달력낱장(200), 전면게시용 낱장(401)을 제1 수용공간(110a)으로 삽입할 수 있다.
배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2)는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1)가 형성된 측면(103)에서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1)와 이웃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배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2)는 프레임(100)의 제2 수용공간(120a)과 소통하며, 배면 윈도우(102a)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배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2)를 통해 프레임(100)의 외부로부터 달력낱장(200), 배면게시용 낱장(402)을 제2 수용공간(120a)으로 삽입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00)은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2)를 통해 달력낱장(200), 전면게시용 낱장(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402)을 삽입하면 삽입된 달력낱장(200), 전면게시용 낱장(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402)이 제1 수용공간(110a) 및 제2 수용공간(120a) 내에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100)의 측면(103)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홈 또는 돌기 형태의 복수의 지지부(111b, 121b)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측면(103)들 중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2)에 마주하는 측면(103)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돌기 형태의 지지부(111b, 121b)가 측면(103)의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측면(103)들 중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 삽입구(402)가 형성된 측면(103)에 수직하는 두 측면(103)에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돌기 형태의 지지부(111b, 121b)가 측면(103)의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1b, 121b)에 의해 제1 수용공간(110a) 및 제2 수용공간(120a)으로 삽입된 달력낱장(200), 전면게시용 낱장(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402) 각각의 가장자리가 지지부(111b, 121b)에 의해 지지되어 제1 수용공간(110a) 및 제2 수용공간(120a) 내에 달력낱장(200), 전면게시용 낱장(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402)이 거치될 수 있다.
슬릿(105)은 프레임(100)의 측면(103)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103)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들(103)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릿(105)은 프레임(100)의 제1 수용공간(110a) 및 제2 수용공간(120a)이 구획되는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슬릿(105)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재(110) 및 제2 프레임부재(120)가 접합되어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경우, 제1 프레임부재(110)의 측면부(111)를 따라 제1 단턱(111a)을 형성하고 제2 프레임부재(120)의 측면부(121)를 따라 제2 단턱(121a)을 형성하여, 제1 프레임부재(110) 및 제2 프레임부재(120)가 접합되면 각각의 제1 단턱(111a) 및 제2 단턱(121a)이 조합되어 슬릿(10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릿(105)에는 달력낱장(200), 전면게시용 낱장(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402) 중 선택되는 하나를 거치할 수 있다.
벽걸이용 걸이부재(300)는 프레임(100)을 벽면에 걸어놓기 위한 구성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배면(102) 상부의 중심부에 한 개가 구비되거나, 벽에 걸린 프레임(100)의 수평유지가 용이하고 하중의 분배를 통해 벽에 걸린 상태의 견고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프레임(100)의 배면(102) 상부의 양쪽 끝단에 각각 한 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벽걸이용 걸이부재(30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개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접착 타입, 벽면에 못을 박아 고정하는 고정 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의 사용상태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달력의 프레임 외부에 전면게시용 낱장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를 사용하고자 할 때 프레임(100)의 제1 수용공간(110a) 및 제2 수용공간(120a)에 달력낱장(200), 전면게시용 낱장(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402)을 삽입하여 게시할 수 있고, 프레임(100)의 측면(103)에 형성된 슬릿(105)에 달력낱장(200), 전면게시용 낱장(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4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달력낱장(200)을 제1 수용공간(110a) 및 제2 수용공간(120a)에 삽입하여 게시하는 경우, 각각 1년에 해당하는 12개의 낱장으로 묶인 제1 달력낱장묶음(201) 및 제2 달력낱장묶음(202)을 마련하고, 제1 달력낱장묶음(201) 및 제2 달력낱장묶음(202)을 제1 수용공간(110a) 및 제2 수용공간(120a)에 각각 삽입하여 게시할 수 있다. 제1 수용공간(110a)으로 삽입된 제1 달력낱장묶음(201)은 전면 윈도우(101a)를 통해 노출되고, 제2 수용공간(120a)으로 삽입된 제2 달력낱장묶음(202)은 배면 윈도우(102a)를 통해 노출된다.
또한, 전면게시용 낱장(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402)을 제1 수용공간(110a) 및 제2 수용공간(120a)에 삽입하여 게시하고자 하는 경우, 전면게시용 낱장(401)은 제1 수용공간(110a)에 삽입된 제1 달력낱장묶음(201)의 앞에 위치하도록 삽입하여 게시하고, 배면게시용 낱장(402)은 제2 달력낱장묶음(202)의 앞에 위치하도록 삽입하여 게시할 수 있다. 제1 수용공간(110a)에 삽입된 전면게시용 낱장(401)은 전면 윈도우(101a)를 통해 노출되고, 제2 수용공간(120a)에 삽입된 배면게시용 낱장(402)은 배면 윈도우(102a)를 통해 노출된다.
프레임(100)은 벽에 걸어 사용 할 수도 있고, 탁상 위에 놓고 사용할 수 있다.
탁상 위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 전면 윈도우(101a) 및 배면 윈도우(102a)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게시되는 달력낱장(200) 또는 전면게시용 낱장(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402)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도록 놓일 수 있고, 전면 윈도우(101a) 및 배면 윈도우(102a) 중 나머지 하나를 통해 게시되는 달력낱장(200) 또는 전면게시용 낱장(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402) 중 나머지 하나는 사용자의 위치의 반대편 위치에서 보여지도록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면 윈도우(102a)는 사용자를 향하고, 전면 윈도우(101a)는 사용자의 반대편을 향하도록 놓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 4와 같이 프레임(100) 내에 수납된 달력낱장(200)들 중 하나를 인출해서 슬릿(105)을 통해 프레임(100)의 외부에 거치하거나, 도 5와 같이 전면게시용 낱장(401)을 슬릿(105)을 통해 프레임(100)의 외부에 거치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프레임(100)의 직사각형 형상의 장축방향이 지면 또는 테이블의 상면에 수직하게 놓이도록 한 후 전면게시용 낱장(401)을 슬릿(105)에 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는 업무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은행에서 사용하는 경우 명함이나, 부재중 또는 날짜 별 알림 사항을 기록한 형태의 전면게시용 낱장(401)을 슬릿(105)을 통해 프레임(100) 외부에 거치하여 알리고자 하는 정보를 고객에게 전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달력낱장(200)을 프레임(100) 외부로 인출하여 달력낱장(200) 상에 인쇄된 날짜, 요일에 해당하는 업무일정을 메모 한 후 프레임(100) 내부로 삽입 하거나 슬릿(105)에 거치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레임(100) 배면(102)에 구비되어 있는 벽걸이용 걸이부재(300)를 사용하여 벽면 또는 도어에 고정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무실의 벽면에 걸어 사용하는 경우, 다수의 사람들이 달력낱장(200)에 인쇄된 날짜를 확인할 수 있고, 전면게시용 낱장(401) 및 배면게시용 낱장(402) 중 적어도 하나를 다수에게 알리고자 하는 정보, 예를 들면, 사내 공지사항, 회사와 관련된 이슈, 공연정보, 이달의 프로모션 등의 알림 사항이 기록된 용지 형태로 구성하여 게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상술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프레임 101 : 전면
101a : 전면 윈도우 102 : 배면
102a : 배면 윈도우 103 : 측면
104a :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 104b : 배면게시용 낱장 삽입구
105 : 슬릿 200 : 달력낱장
300 : 벽걸이용 걸이부재 401 : 전면게시용 낱장
402 : 배면게시용 낱장

Claims (3)

  1. 전면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면, 배면 윈도우를 포함하는 배면, 그리고 전면 및 배면에 수직하는 측면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 및 배면의 사이에는 달력낱장들 또는 상기 달력낱장과는 별도로 부가되는 하나 이상의 전면게시용 낱장을 거치할 수 있는 제1 수용공간 및 달력낱장들 또는 상기 달력낱장과는 별도로 부가되는 하나 이상의 배면게시용 낱장을 거치할 수 있는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측면들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소통하며, 상기 전면 윈도우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
    상기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가 형성된 측면에서 상기 전면게시용 낱장 삽입구와 이웃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과 소통하고, 상기 배면 윈도우의 높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배면게시용 낱장 삽입구; 및
    상기 프레임의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면 윈도우 및 상기 전면 윈도우 둘레의 측면부를 따라 형성된 제1 단턱을 포함하는 사각 프레임 형태의 제1 프레임부재 및 상기 배면 윈도우 및 상기 배면 윈도우 둘레의 측면부를 따라 형성된 제2 단턱을 포함하는 사각 프레임 형태의 제2 프레임부재가 서로 맞대어져서 접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프레임부재 및 제2 프레임부재가 맞대어져서 접합되면 상기 제1 단턱 및 제2 단턱의 조합을 통해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릿이 형성된 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제2 수용공간이 마주하는 경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다양한 형상을 갖되, 상기 프레임이 지면에 놓이거나 벽에 걸었을 때 상기 측면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측면은 지면과 수평 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
KR1020160104740A 2016-08-18 2016-08-18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 KR101847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740A KR101847722B1 (ko) 2016-08-18 2016-08-18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740A KR101847722B1 (ko) 2016-08-18 2016-08-18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450A KR20180020450A (ko) 2018-02-28
KR101847722B1 true KR101847722B1 (ko) 2018-04-11

Family

ID=6140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740A KR101847722B1 (ko) 2016-08-18 2016-08-18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7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613B2 (ja) 1990-07-24 2000-05-29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スパークプラグの中心電極製造方法
KR200280538Y1 (ko) 2002-02-15 2002-07-04 민은홍 액자
KR200434943Y1 (ko) * 2006-09-28 2006-12-28 조용국 액자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613B2 (ja) 1990-07-24 2000-05-29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スパークプラグの中心電極製造方法
KR200280538Y1 (ko) 2002-02-15 2002-07-04 민은홍 액자
KR200434943Y1 (ko) * 2006-09-28 2006-12-28 조용국 액자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450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1115B2 (en) Mounting systems
US5123191A (en) Wall and desk calendar display device
US20120318759A1 (en) Seasonal feature displayer
JPH06507582A (ja) リングバインダーを支持するための装置
KR101847722B1 (ko) 탁상 및 벽걸이 겸용 액자
US200600702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ing Greeting Cards
US4536979A (en) Record jacket frame permitting record removal
US7401428B2 (en) Information display with insertable typed or printed information strips
US20060016114A1 (en) Photo mat with alignment gri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00154267A1 (en) Picture frame message board
JP3160237U (ja) 表示物ホルダ
JP3151346U (ja) カレンダー
JP4975732B2 (ja) 直立型メモ用紙ホルダ
KR200494086Y1 (ko) 탁상용 달력 멀티확장형 스탠드
JP3035458U (ja) カレンダー保持具
US20050144827A1 (en) Card display unit
JP3202585U (ja) マルチポップホルダー
JP3180026U (ja) カレンダー
KR200225936Y1 (ko) 마우스패드
JP2002347377A (ja) ホルダー台紙
US7231732B1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and pocket calendars
RU45550U1 (ru) Носитель рекламной информации (варианты)
KR200341391Y1 (ko) 사진첩 겸용 캘린더
JP2008279740A (ja) メモスタンド
JP2023085602A (ja) 卓上兼壁掛けカレン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