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332B1 -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332B1
KR102241332B1 KR1020200008422A KR20200008422A KR102241332B1 KR 102241332 B1 KR102241332 B1 KR 102241332B1 KR 1020200008422 A KR1020200008422 A KR 1020200008422A KR 20200008422 A KR20200008422 A KR 20200008422A KR 102241332 B1 KR102241332 B1 KR 102241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longitudinal
driving
slider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기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기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기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008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08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by applying additional compounds or means favouring the 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proced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B23K7/10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 B23K7/102Auxiliary devices, e.g. for guiding or supporting the torch for controlling the spa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pieces and the gas tor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작재 자동가스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작재의 이송된 위치에 제한받지 않게 이동이 자유로워 신속하게 오작재를 절단할 수 있는 오작재 자동가스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는 작업자가 작업대에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절단용 토치를 다수의 작업대의 이격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 오작재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오작재의 절단부위로 절단용 토치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Auto cutting device using gas for defective product}
본 발명은 오작재 자동가스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작재의 이송된 위치에 제한받지 않게 이동이 자유로워 신속하게 오작재를 절단할 수 있는 오작재 자동가스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요가가 요구하는 두께를 갖는 강판을 생산할 때에는 연주기에서 생산된 슬라브를 압연기에 설치된 압연롤사이로 통과시키고 있다.
이러한 압연 과정중 강판의 판 파단 또는 설비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불량제품(이하 '오작재'라 한다)이 발생하고 있다.
압연공정 중 오작재가 발생되면 연속적인 압연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그 오작재를 제거하고 있으며, 오작재 처리시간의 지연으로 인하여 후속 압연재의 온도 저하에 의한 압연불량 및 압연스케줄을 변경하게 되는바, 이는 생산성의 저하로 인한납기지연이 발생하게 되므로 오작재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1132호에는 압연기용 오작재 배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오작재 배출장치는 일정범위 내에서만 이동가능하여 대형의 대형의 오작재 절단 시 오작재 이동시간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1132호 : 압연기용 오작재 배출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범위가 확장되어 다양한 위치에서 오작재를 자동으로 절단함으로써 절단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히가 위한 본 발명의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는 오작재를 지지하도록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작업대에 인접한 위치에서 다수의 상기 작업대들의 이격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와;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안착되어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종방향 이동슬라이더와, 상기 종방향 이동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상기 종방향 이동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종방향이동유닛과; 상기 종방향 이동유닛에서 상기 작업대에 지지된 상기 오작재의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교차되게 상기 작업대 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와; 상기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안착되어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횡방향 이동슬라이더와, 상기 횡방향 이동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상기 횡방향이동슬라이더를 상기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횡방향이동유닛과; 상기 횡방향 이동유닛의 일측부에 상하로 승강 및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오작재를 절단하는 절단용 토치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의 구동 및 상기 절단용 토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는 수직하게 연장된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의 상단에 양측이 돌출되게 수평하게 연장된 제1수평부를 구비하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상단 중심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1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롤러회전지지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롤러지지프레임;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 이동슬라이더는 상기 롤러회전지지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1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되며 상호 나란한 제1 및 제2구동롤러지지판과, 상기 구동롤러에 대해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롤러회전지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구동롤러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동롤러와, 상기 피동롤러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되며 상호 나란한 제1 및 제2피동롤러지지판과, 상기 종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 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하면 전단에 상기 제1 및 제2구동롤러지지판과 후단에 상기 제1 및 제2피동롤러지지판이 각각 장착된 제1수평연장판과, 상기 제1수평연장판의 양측에 상기 제1 및 제2구동롤러지지판과 상기 제1 및 제2피동롤러지지판보다 하방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종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 한 쌍의 제1수직연장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방향 이동슬라이더는 한 쌍의 제1수직연장판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의 상기 제1수평부의 하면 양측에 각각 접촉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종방향이동보조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롤러지지판 또는 상기 제1 및 제2피동롤러지지판의 하단에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접촉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복수의 제2종방향이동보조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는 일측이 상기 종방향이동유닛의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연장프레임과, 상기 횡방향 연장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횡방향 연장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와, 상기 횡방향가이드레일본체의 상단 타측에 상기 횡방향가이드레일본체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일측면에 다수의 기어가 형성된 래크를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이동슬라이더는 수평하게 연장되며, 하면 일측에 상기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에 안착되어 상기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를 따라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부재가 장착되는 제2수평연장판과, 상기 제2수평연장판의 일단에 장착되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절단용 토치가 장착되는 제2수직연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제2구동축이 상기 제2수평연장판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제2수평연장판의 타측 상단에 장착되는 횡방향 이동 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축에 장착되며 상기 래크와 기어연결되어 상기 횡방향이동슬라이더를 상기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는 상기 횡방향 연장프레임의 폭 방향 일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횡방향연장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되 하부가 상기 횡방향 연장프레임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횡방향이동보조지지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이동슬라이더는 상기 제2수직연장판의 하부에 상기 횡방향이동보조지지판의 하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롤러장착판과, 상기 보조롤러장착판의 상단에 상기 횡방향이동보조지지판의 일측면에 접하며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횡방황이동보조롤러와, 상기 보조롤러장착판의 상단에 상기 횡방향이동보조지지판의 타측면에 접하며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횡방황이동보조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는 상기 횡방향 연장프레임의 폭 방향 타측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장착되며 상기 횡방향 연장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케이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블 지지트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이동슬라이더는 상기 횡방향 이동 구동모터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과, 일측이 상기 모터하우징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블 지지트레이와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절단용 토치에 가스 공급을 위한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베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는 작업자가 작업대에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절단용 토치를 다수의 작업대의 이격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 오작재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오작재의 절단부위로 절단용 토치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자동절단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스자동절단장치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가스자동절단장치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가스자동절단장치에 대한 일부 일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가스자동절단장치에 대한 일부 확대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가스자동절단장치에 대한 타측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가스자동절단장치에 대한 절단용 토치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자동절단장치에 대한 일부 확대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에 따른 가스자동절단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자동절단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자동절단장치(10)는 제철소에서 발생된 대형의 불량제품 즉, 오작재(1)를 자동으로 절단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자동절단장치(10)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11)와, 종방향이동유닛(20)과,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60)와, 횡방향이동유닛(90)과, 절단용 토치(160)와, 제어부(186)와, 조작부(180)을 구비한다.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11)는 오작재(1)를 지지하도록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작업대(5)에 인접한 위치에서 다수의 작업대(5)들의 이격방향으로 길이연장형성된다. 다수의 작업대(5)들에 인접한 일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작재(1) 이송을 위한 다수의 이송롤러(7)가 장착된다.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11)는 H 빔이 눕혀진 형상의 제1베이스부(12)와, 제1베이스부(12)의 상단 중신측에 장착되는 롤러지지프레임(16)을 구비한다.
제1베이스부(12)는 지면에 접하며 수평하게 연장되며 다수의 작업대(5)들이 이격된 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제2수평부(15)와, 제2수평부(15)의 상단 중심측에 수직하게 돌출되며 제2수평부(1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14)와, 제1수직부(14)의 상단에 양측이 돌출되게 수평하게 연장되어 제2수평부(15)와 나란하게 길이연장된 제1수평부(13)를 구비한다.
롤러지지프레임(16)은 제1수평부(13)의 상단 중심측에 장착되어 제1베이스부(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롤러회전지지홈(17)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종방향이동유닛(02)은 종방향이동슬라이더(21)와, 제1구동부(50)과, 작업자 지지프레임(39)을 구비한다.
종방향이동슬라이더(21)는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11)에 안착되어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서, 종방향 이동프레임(22)과, 구동롤러(31), 제1 및 제2구동롤러지지판(25,26)과, 피동롤러(33)와, 제1 및 제2피동롤러지지판(27,미도시)과, 종방향 이동보조롤러(34)와, 구속지지롤러(36)과, 후술되는 제1구동부(50)의 종방향 구동모터(51)가 장착되는 모터고정판(48)을 구비한다.
종방향 이동프레임(22)은 제1수평연장판(23)과, 제1수평연장판(23)의 폭 방향 양측에 하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한 쌍의 제1수직연장판(24)을 구비한다.
제1수평연장판(23)은 제1베이스부(12)의 제1수평부(13) 보다 넓은 폭으로 종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면 전단에 제1 및 제2구동롤러지지판(25,26)과, 후단에 제1 및 제2피동롤러지지판(27,미도시)이 각각 나란하게 장착된다.
한 쌍의 제1수직연장판은 제1수평연장판(23)의 폭 방향 양측에서 제1베이스부(12)의 제1수평부(13) 보다 하방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며 종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11)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다. 한 쌍의 제1수직연장판(24) 중, 도 3을 참고하면, 제1구동롤러지지판(25)과 마주하는 제1수직연장판(24)은 제1구동롤러지지판(25)에 종방향 구동모터(51) 장착을 위해 종방향 구동모터(51)가 관통연장되게 내부에 관통공(24a)이 형성된다.
구동롤러(31)는 롤러회전지지홈(17)에 안착되며 제1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된다.
제1 및 제2구동롤러지지판(25,26)은 제1수평연장판(23)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상호 나란하며 마주하는 제1수직연장판(22)에 동일간격 이격된다.
제1 및 제2구동롤러지지판(25,26)은 구동롤러(31)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롤러지지프레임(16)이 사이에 위치되게 상호 이격되며 각 하부가 롤러지지프레임(16)의 폭 방향 양측의 위치까지 연장된다.
피동롤러(33)는 구동롤러(31)에 대해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11) 방향으로 이격되어 롤러회전지지홈(17)에 안착되어 구동롤러(31)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및 제2피동롤러지지판(27,미도시)은 피동롤러(33)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롤러지지프레임(16)이 사이에 위치되게 상호 이격되며 각 하부가 롤러지지프레임(16)의 폭 방향 양측의 위치까지 연장된다.
제1구동롤러지지판(25)은 제2구동롤러지지판(26) 보다 종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11) 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다. 제1구동롤러지지판(25)은 종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11) 방향의 일측에 구동롤러(31)의 회전을 지지하는 구동롤러회전축(32)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피동롤러(33)를 향하는 타측에 후술되는 제1구동부(50)의 종방향 구동모터(51)의 제1구동축(52)이 관통하는 제1구동축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모터고정판(48)은 일면이 제1구동롤러지지판(25)에 제1구동축관통공(미도시)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판상으로서 타면에 종방향 구동모터(51)가 장착된다.
제2구동롤러지지판(26)과, 제1 및 제2피동롤러지지판(25,26)은 동일 구조로 형성된 사각 판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종방향이동슬라이더(21)는 종방향이동보조롤러(34)는 제1 및 제2구동롤러지지판(25,26) 또는 제1 및 제2피동롤러지지판(27,미도시)의 하단에 롤러지지프레임(16)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접촉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종방향이동보조롤러(34)와, 한 쌍의 제1수직연장판(24)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11)의 제1수평부(15)의 하면 양측에 각각 접촉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 쌍의 구속지지롤러(36)를 구비한다.
제1구동롤러지지판(25)의 일측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종방향이동보조롤러(34) 장착을 위한 제1롤러결합바(46)가 장착된다.
제1롤러결합바(46)는 제1구동롤러지지판(25)의 일측 하단에 대해 돌출되게 장착되며, 제1구동롤러지지판(25)에 대해 돌출된 하단에 종방향이동보조롤러(34)가 장착된다.
제2구동롤러지지판(26)과, 제1 및 제2피동롤러지지판(25,26)의 각 하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제2롤러결합바(47)가 장착된다. 제2구동롤러지지판(26), 제1 또는 제2피동롤러지지판(25,26)에 대해 돌출된 각 제2롤러결합바(47)의 양측 하단에 각각 종방향 이동보조롤러(34)가 장착된다.
제1구동부(50)는 종방향 이동슬라이더(21)에 장착되어 종방향 이동슬라이더(21)를 종방향이동가이드레부(11)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종방향 구동모터(51)와, 종방향구동기어(53)와, 종방향 피동기어(54)를 구비한다.
종방향 구동모터(51)는 제1구동축(52)이 모터고정판(48)을 관통하여 제1구동축관통공(미도시)으로 관통되어 연장되게 모터고정판(48)의 타면에 고정장착된다.
종방향구동기어(53)는 제1구동축관통공(미도시)에 돌출된 제1구동축(52)에 장착되어 제1구동축(52)과 함께 회전된다. 종방향피동기어(54)는 내측으로 구동롤러회전축(32)이 관통장착되어 구동롤러(31)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종방향구동기어(53)와 치합되어 종방향구동기어(53)의 구동력을 구동롤러(31)에 전달한다.
작업자지지프레임(39)은 종방향 이동슬라이더(21)의 제1수평연장판(23)의 상단에 폭 방향 일측이 나란하게 고정 장착되며 타측이 작업대(5)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수평연장판(23)에 대해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는 작업자 지지판(40)과, 작업자 지지판(40)의 상단의 폭 방향 일측에 장착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60)의 일측이 고정지지되는 레일서포트프레임(44)과, 작업자 지지판(40)의 상단의 폭 방향 타측에 장착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단에 조작부(186)이 장착되는 제어부서포트프레임(45)을 구비한다.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60)는 종방향 이동유닛(20)에서 작업대(5)에 지지된 오작재(1)의 상방에 위치되게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11)에 교차되게 작업대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으로서, 횡방향 연장프레임(61)과, 횡방향 가이드레일 본체(64)와, 래크(67)와, 횡방향 이동보조지지판(70)을 구비한다.
횡방향연장프레임(61)은 사각 기둥형상으로서, 일측이 레일서포트프레임(44)의 상단에 장착되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횡방향 연장프레임(61)의 일측 상단에는 후술되는 케이블에 공급되는 산소 또는 연료가스 공급을 위한 분배기(189)가 장착될 수 있다.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64)는 횡방향 연장프레임(61)의 상단 폭 방향 일측에 돌출되게 장착되며 횡방향 연장프레임(6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64)는 횡단면 중심측 폭이 상단과 하단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래크(67)는 횡방연장프레임(61)의 상단 폭 방향 타측에 횡방향가이드레일본체(64)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일측면에 다수의 기어(68)가 형성된다.
횡방향 이동보조지지판(70)은 횡방향 연장프레임(61)의 폭 방향 일측면에 장착되며 횡방향 연장프레임(6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되 하부가 횡방향 연장프레임(61)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그리고,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60)는 횡방향 연장프레임(61)의 폭 방향 타측면에 장착되며 횡방향 연장프레임(61)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횡방향 연장프레임(61)의 길이방향으로 동일 간격 이격된 다수의 트레이 지지브라켓(73)과, 횡방향 연장프레임(61)의 폭 방향 타측에 인접하게 트레이지지브라켓(73)의 상단에 고정장착되며 횡방향 연장프레임(61)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케이블 수용공간(77)이 형성된 케이블 지지트레이(76)를 더 구비한다.
횡방향이동유닛(90)은 횡방향이동슬라이더(91)와, 제2구동부(120)와, 케이블베어(109)를 구비한다.
횡방향 이동슬라이더(91)는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60)에 안착되어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1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횡방향이동프레임(92)과, 슬라이더부재(96)와, 복수의 보조롤러장착판(98)과, 복수의 제1횡방향이동보조롤러(101)와, 복수의 제2횡방향이동보조롤러(103)와, 모터하우징(105)과, 케이블베어(107)와 복수의 제3횡방향이동보조롤러(109)를 구비한다.
횡방향이동프레임(92)은 수평하게 연장되며, 하면 일측에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64)에 안착되어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64)를 따라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부재(96)가 장착되는 제2수평연장판(93)과, 횡방향이동보조지지판(70) 측의 제2수평연장판(93)의 일단에 장착되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며 절단용 토치(160)가 장착되는 제2수직연장판(94)을 구비한다.
슬라이더부재(96)는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64)에 슬라이딩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방으로 인입되며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64)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슬라이딩결합홈(97)이 형성된다. 슬라이딩결합홈(97)은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64)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구속되도록 개방된 측의 폭이 인입된 상단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복수의 보조롤러장착판(98)은 횡방향 연장프레임(61)과 마주하는 제2수직연장판(94)의 일면 하부에서 횡방향이동보조지지판(70)의 하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64)의 길이방향의 제2수직연장판(94)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복수의 제1횡방향이동보조롤러(101)는 보조롤러장착판(98)의 상단에 각각 장착되는데 횡방향이동보조지지판(70)의 일측면에 접하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복수의 제2횡방황이동보조롤러(103)는 보조롤러장착판의 상단에 횡방향이동보조지지판의 타측면에 접하며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되 하나의 제1횡방향이동보조롤러(101)에 대해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게 각 횡방향이동보조지지판(70)에 한 쌍 씩 장착된다.
복수의 제3횡방향이동보조롤러(107)는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64)의 길이방향 제2수직연장판(94)의 양측의 위치에 한 쌍의 제2횡방황이동보조롤러(103)들 사이로 제2수직연장판(9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각 수평회전축(110)에 장착되어 횡방향이동보조지지판(70)의 하단을 접하면서 회전된다.
모터하우징(105)는 하단이 래크(67)에 인접한 측의 제2수평연장판(93)의 하면 타측에 지지되게 장착되며, 제2구동부(120)의 횡방향 구동모터(121)가 수용되며 하방이 개방된 내부공간(106)이 형성된다.
모터하우징(105)의 내부공간(106)은 제2수평연장판(93)에 의해 개방된 하단이 폐쇄되며, 제2수평연장판(93)에는 횡방향 구동모터(121)의 제2구동축(122)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케어블 베어(109)는 일측이 모터하우징(105)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케이블 지지트레이(76)와 연결되며 내부에 절단용 토치(160)에 가스 공급을 위한 케이블(162)이 수용된다. 케어블 베어(107)는 일측이 횡방향 이동슬라이더(91)를 따라 이동되면서 횡방향 이동슬라이더(91)의 이동된 위치에 따라 굴곡진 위치가 달리된다.
제2구동부(120)는 횡방향 이동슬라이더(91)의 모터하우징(105)에 내에 장착되어 횡방향이동프레임(92)을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60)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2구동축(122)이 제2수평연장판(93)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제2수평연장판(93)의 타측 상단에 장착되는 횡방향 이동 구동모터(121)와, 제2구동축(122)에 제2구동축(122)과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래크(67)와 기어연결되어 횡방향이동슬라이더(91)를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123)를 구비한다.
절단용 토치(160)는 횡방향 이동유닛의 일측부에 상하로 승강 및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오작재(1)를 절단하는 것으로서, 토치본체(161)와, 토치본체(161)를 파지하는 토치본체파지유닛(164)을 구비한다.
토치본체파지유닛(164)은 제2수직연장판(93)의 타면 중심측에 돌출되게 고정장착되는 제1브라켓(165)과; 제1브라켓(65)에 측부가 고정장착되며 상하로 연장된 제1실린더본체(167)와, 제1실린더본체(167)에 내에 수용되어 제1실린더본체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로드(168)를 포함하는 승강실린더부(166)와; 제1로드(168)의 하단에 상하 또는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회동부재(170)와; 제1회동부재(170)에 일측이 종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11)의 길이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며 타측이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토치본체(161)가 관통장착되는 제2브라켓(173)과; 제1회동부재(170)에 관통되게 나사결합되어 제2브라켓(173)의 일측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동전후위치고정부재(175)와, 제2브라켓(173)의 타측에 관통되게 나사결합되어 토치본체(161)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는 수동상하위치고정부재(177)를 구비한다.
승강실린더부(166)는 제1실린더본체(167)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로 제1로드(168)가 나사 결합된 회전부재(미도시)와,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모터(미도시)가 제1실린더본체(167)의 상단에 장착된 승강모터하우징(169)에 수용된 구조가 적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제1로드(168)가 승강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승강실린더부(166)는 제1실린더본체(167)의 상단에 제1로드(168)의 승강을 위해 제1실린더본체 내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승강구동모터(미도시)와, 승강유압모터에 의해 제1실린더본체 내로 공급되는 유체가 저장된 유체저장탱크(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승강구동모터 또는 승강구동모터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을 것이다.
토치본체(161)는 오작재를 절단하기 위한 일반적인 산소절단기용 토치로서, 상단에 산소공급 또는 연료가스공급을 위한 다수의 케이블(162)이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산소공급하는 케이블(162a) 및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케이블(162b)과 연결되는 노즐부(163)를 포함한다.
제어부(186)는 작업자의 조작부(180)의 조작에 따라 제1 및 제2구동부(50,120)의 구동, 절단용 토치(160)의 구동을 위한 산소나 연료가스 공급 제어 및 승강실린더부(166)의 구동을 제어한다.
분배기(189)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86)의 제어에 의해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나 연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미도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10)는 작업자가 작업대(5)에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절단용 토치(160)를 다수의 작업대(5)가 이격된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 오작재(1)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오작재(1)의 절단부위로 절단용 토치(160)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에에 따른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21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210)는 작업자지지판(40)의 타측 하면에서 횡방향 이동슬라이더(91)의 이동거리에 일정한 비율로 횡방향 이동슬라이더(91)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편심방지슬라이더(221)를 포함하는 무게 편심방지유닛(203)을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10)의 구조와 동일하다.
무게 편심방지유닛(203)은 횡방향 이동슬라이더(91)가 종방향 이동슬라이더(21)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60)의 타측 방향으로 무게가 가중되어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편심방지레일(211)과 편심방지레일(211)에 슬라이딩결합되어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6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편심방지슬라이더(221)와, 편심방지슬라이더(221)에 장착되어 편심방지슬라이더(221)는 이동시키는 편심방지모터(232)를 포함하는 제3구동부(230)를 구비한다.
편심방지레일(211)은 작업자지지판(40)의 타측 하면에 장착되어 발판(42)과, 종방향 이동슬라이더(21) 사이에 위치되며,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60)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편심방지레일(211)은 상부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기어가 마련된 래크부(212)와, 래크부(212)의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며 래크부(2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편심방지레일본체부(215)를 구비한다.
편심방지슬라이더(221)는 내부가 채워지며 금속소재로 된 중량물체로서 상단에 편심방지레일본체부(215)와 슬라이딩결합되게 상방으로 개방되며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60)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된 더브테일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제3구동부(230)는 편심방지모터(232)와, 편심방지모터(232)의 제3구동축(233)에 장착되어 래크부(212)와 기어연결되는 피니언기어(231)를 구비한다.
제어부(186)는 제3구동부(230)의 피니언기어(231)가 제3구동부(230)의 래크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 회전되는 횟수와, 제2구동부(120)의 피니언기어(123)가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60)의 래크(67)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시 회전되는 횟수가 저장된다. 즉, 제어부(186)는 제2구동부(120)의 피니언기어(123)가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60)의 래크(67)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1회 이동시, 제3구동부(230)의 피니언기어(231)가 제3구동부(230)의 래크부(212)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1회 이동될 수 있게 편심방지모터(232)의 제3구동축(233)의 회전속도가 설정된다
그리고, 제2구동부(120)의 피니언기어(123)가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60)의 래크(67)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소정거리 이동 시, 제3구동부(230)의 피니언기어(231)가 제3구동부(230)의 래크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일정비율로 이동될 수 있도록, 편심방지레일(211)의 래크부(212)와 제3구동부(230)의 피니언기어(231)의 각 기어의 수는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60)의 래크(67)의 기어(68)와 제2구동부(120)의 피니언(123)의 수 보다 많이 형성되며 기어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편심방지슬라이더(221)는 횡방향 이동슬라이더(91) 이동거리에 일정한 비율로 종방향 이동슬라이더(21)에 대해 멀어지거나 인접하게 이동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에에 따른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210)는 횡방향이동슬라이더(91)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중량물체인 편심방지슬라이더(221)가 일정비율로 이동되어 무게중심이 종방향 이동슬라이더(21) 측으로 유지되므로, 횡방향이동슬라이더(91)가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60)의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도 종방향 이동슬라이더의 이동이 용이하여 더욱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오작재 5 : 작업대
7 : 이송부 10 :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
11 ;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 12 : 제1베이스부
16 : 롤러지지프레임 20 : 종방향 이동유닛
21 : 종방향 이동슬라이더 50 : 제1구동부
60 :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 61 : 횡방향연장프레임
64 :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 90 : 횡방향 이동유닛
91 : 횡방향 이동슬라이더 120 : 구동부
160 : 절단용 토치

Claims (7)

  1. 오작재를 지지하도록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작업대에 인접한 위치에서 다수의 상기 작업대들의 이격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와;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안착되어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종방향 이동슬라이더와, 상기 종방향 이동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상기 종방향 이동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종방향이동유닛과;
    상기 종방향 이동유닛에서 상기 작업대에 지지된 상기 오작재의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교차되게 상기 작업대 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와;
    상기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안착되어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횡방향 이동슬라이더와, 상기 횡방향 이동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상기 횡방향이동슬라이더를 상기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횡방향이동유닛과;
    상기 횡방향 이동유닛의 일측부에 상하로 승강 및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오작재를 절단하는 절단용 토치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의 구동 및 상기 절단용 토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는 일측이 상기 종방향이동유닛의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연장프레임과, 상기 횡방향 연장프레임의 상단 일측에 돌출되게 장착되며 상기 횡방향 연장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와, 상기 횡방향가이드레일본체의 상단 타측에 상기 횡방향가이드레일본체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일측면에 다수의 기어가 형성된 래크를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이동슬라이더는 수평하게 연장되며, 하면 일측에 상기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에 안착되어 상기 횡방향 가이드레일본체를 따라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부재가 장착되는 제2수평연장판과, 상기 제2수평연장판의 일단에 장착되며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절단용 토치가 장착되는 제2수직연장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제2구동축이 상기 제2수평연장판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제2수평연장판의 타측 상단에 장착되는 횡방향 이동 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축에 장착되며 상기 래크와 기어연결되어 상기 횡방향이동슬라이더를 상기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
  2. 오작재를 지지하도록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작업대에 인접한 위치에서 다수의 상기 작업대들의 이격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와;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안착되어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종방향 이동슬라이더와, 상기 종방향 이동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상기 종방향 이동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종방향이동유닛과;
    상기 종방향 이동유닛에서 상기 작업대에 지지된 상기 오작재의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교차되게 상기 작업대 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와;
    상기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안착되어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횡방향 이동슬라이더와, 상기 횡방향 이동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상기 횡방향이동슬라이더를 상기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횡방향이동유닛과;
    상기 횡방향 이동유닛의 일측부에 상하로 승강 및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오작재를 절단하는 절단용 토치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의 구동 및 상기 절단용 토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는 수직하게 연장된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의 상단에 양측이 돌출되게 수평하게 연장된 제1수평부를 구비하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상단 중심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1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롤러회전지지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롤러지지프레임;를 구비하고,
    상기 종방향 이동슬라이더는
    상기 롤러회전지지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1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되며 상호 나란한 제1 및 제2구동롤러지지판과, 상기 구동롤러에 대해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롤러회전지지홈에 안착되어 상기 구동롤러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동롤러와, 상기 피동롤러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되며 상호 나란한 제1 및 제2피동롤러지지판과, 상기 종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 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하면 전단에 상기 제1 및 제2구동롤러지지판과 후단에 상기 제1 및 제2피동롤러지지판이 각각 장착된 제1수평연장판과, 상기 제1수평연장판의 양측에 상기 제1 및 제2구동롤러지지판과 상기 제1 및 제2피동롤러지지판보다 하방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기 종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 한 쌍의 제1수직연장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이동슬라이더는
    한 쌍의 제1수직연장판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종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의 상기 제1수평부의 하면 양측에 각각 접촉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종방향이동보조롤러와,
    상기 제1 및 제2구동롤러지지판 또는 상기 제1 및 제2피동롤러지지판의 하단에 상기 롤러지지프레임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 접촉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복수의 제2종방향이동보조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동가이드레일부는
    상기 횡방향 연장프레임의 폭 방향 일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횡방향연장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되 하부가 상기 횡방향 연장프레임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횡방향이동보조지지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이동슬라이더는
    상기 제2수직연장판의 하부에 상기 횡방향이동보조지지판의 하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롤러장착판과,
    상기 보조롤러장착판의 상단에 상기 횡방향이동보조지지판의 일측면에 접하며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횡방황이동보조롤러와,
    상기 보조롤러장착판의 상단에 상기 횡방향이동보조지지판의 타측면에 접하며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횡방황이동보조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이동가이드레일부는
    상기 횡방향 연장프레임의 폭 방향 타측에 인접한 위치에 고정장착되며 상기 횡방향 연장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방으로 개방된 케이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블 지지트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이동슬라이더는
    상기 횡방향 이동 구동모터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과,
    일측이 상기 모터하우징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블 지지트레이와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절단용 토치에 가스 공급을 위한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베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이동유닛은
    상기 종방향 이동슬라이더의 제1수평연장판의 상단에 폭 방향 일측이 고정 장착되며 타측이 상기 작업대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수평연장판에 대해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며 상부에 폭 방향 일측에 상기 횡방향 이동유닛이 지지되는 작업자 지지판과,
    상기 작업자지지판의 타측 하면에서 상기 횡방향 이동슬라이더의 이동거리에 일정한 비율로 상기 횡방향 이동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편심방지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무게 편심방지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
KR1020200008422A 2020-01-22 2020-01-22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 KR102241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422A KR102241332B1 (ko) 2020-01-22 2020-01-22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422A KR102241332B1 (ko) 2020-01-22 2020-01-22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332B1 true KR102241332B1 (ko) 2021-04-16

Family

ID=7574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422A KR102241332B1 (ko) 2020-01-22 2020-01-22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3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6711A (zh) * 2023-11-03 2023-12-12 潍坊鑫旭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驾驶舱板件激光切割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383A (ko) * 2002-10-14 2004-04-28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절단장치
KR100601132B1 (ko) 2005-08-23 2006-07-19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용 오작재 배출장치
KR101040660B1 (ko) * 2011-01-14 2011-06-10 (주)스페이스원 집진 효율을 향상시킨 cnc 플라즈마 모형 절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383A (ko) * 2002-10-14 2004-04-28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절단장치
KR100601132B1 (ko) 2005-08-23 2006-07-19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용 오작재 배출장치
KR101040660B1 (ko) * 2011-01-14 2011-06-10 (주)스페이스원 집진 효율을 향상시킨 cnc 플라즈마 모형 절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6711A (zh) * 2023-11-03 2023-12-12 潍坊鑫旭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驾驶舱板件激光切割装置及其使用方法
CN117206711B (zh) * 2023-11-03 2024-02-20 潍坊鑫旭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驾驶舱板件激光切割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14299B1 (en) Saw table for a band saw apparatus and a band saw apparatus.
KR102241332B1 (ko) 오작재 자동가스절단장치
KR101307837B1 (ko) 플레이트 상하부 모서리의 동시 면취가공이 가능한 면취장치
US3929324A (en) Flame cutting machine
KR20220059029A (ko) Srd 전단보강재 제조용 평철 절단장치
KR101646057B1 (ko) 기둥형 구조물의 토치이동형 자동용접장치
CN217832324U (zh) 一种步进上料式激光切割机
DE19722123A1 (de) Seilsäge
KR101140301B1 (ko) 가공 장치
CN210877854U (zh) 一种角铁锯床用上料移动台
JP5841215B1 (ja) 火打ち加工装置
KR20190089286A (ko) 에저롤 발란스 실린더 교체 장치
CN209850059U (zh) 三项端子焊接机
KR101639896B1 (ko) 절단장치
US10940604B2 (en) Device for dividing material panels
US3650457A (en) Panel fitting and welding machine
KR102497708B1 (ko) 경사면 성형이 가능한 플라즈마 절단장치
KR20110088066A (ko) 비대칭 에이치 형강 절단 장치와 비대칭 에이치 형강 제조 방법
CN219310229U (zh) 一种锯床送料架
KR20140070825A (ko) 소재 정렬장치
CN212350596U (zh) 一种具有上料装置的带锯床
EP4070913A1 (en) A machine tool with retractable members for clamping the workpieces to be machined
CN117140761A (zh) 一种用于大尺寸石英锭切割的金刚线切割机及方法
KR101788255B1 (ko) 에지댐 보수장치
JP5841216B1 (ja) 火打ち加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