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331B1 -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내장 지방 저감제 및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 - Google Patents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내장 지방 저감제 및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331B1
KR102239331B1 KR1020197010469A KR20197010469A KR102239331B1 KR 102239331 B1 KR102239331 B1 KR 102239331B1 KR 1020197010469 A KR1020197010469 A KR 1020197010469A KR 20197010469 A KR20197010469 A KR 20197010469A KR 102239331 B1 KR102239331 B1 KR 102239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
iodine
visceral fat
egg
inhib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221A (ko
Inventor
지로 요코야마
메구미 모리오카
Original Assignee
니혼 노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노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노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3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8Iodine;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5/30Addition of substance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A23L15/20 – A23L15/2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7Birds; Materials from birds, e.g. eggs, feathers, egg white, egg yolk or endothelium corneum gigeriae gal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4.2질량ppm 이상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조란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내장 지방 저감제 및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요오드화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란의 난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1일당 요오드량으로서 300μg 이상 투여되도록 이용되는 내장 지방 저감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내장 지방 저감제 및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
본 개시는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내장 지방 저감제 및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지방 세포는 중배엽계 줄기세포로부터 발생하여 지방 전구 세포 등을 거쳐 분화된 세포로서, 지방의 합성, 축적 및 방출을 맡는 백색 지방 세포와, 열산생을 맡는 갈색 지방 세포로 분류된다.
비만이란 백색 지방 세포에 지방이 과잉으로 축적된 상태이다. 따라서, 비만을 방지 또는 개선하기 위해서는 백색 지방 세포에의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최근에 성인기 이후에서도 백색 지방 세포수가 증가하는 것이 밝혀지고 있고, 비만을 방지 또는 개선하려면 지방 전구 세포 등에서 백색 지방 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도 유효하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크게 피하 지방형 비만과 내장 지방형 비만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내장 지방형 비만은 당뇨병, 동맥 경화, 고혈압, 뇌경색, 지질 이상증 등의 위험을 높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비만 중에서도 내장 지방형 비만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비만을 방지 또는 개선하는 여러 가지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구름버섯의 에탄올 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지방 세포의 지방 축적 저해제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연꽃 배아 및 야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구 지방 세포의 분화 억제제 및 이 분화 억제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항비만제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난백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체지방 축적 억제제,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 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 제436382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 제467578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 2011-225496호 공보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체지방 축적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축적 억제제는 식품 소재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계속적으로 투여 또는 섭취함에 있어서의 안전성이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 효과는 충분하지 않고, 효과적이며 안전성이 우수한 새로운 유효 성분의 탐색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개시는 효과적이며 안전성이 우수한 유효 성분을 이용한 새로운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내장 지방 저감제 및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는 이하의 실시형태가 포함된다.
<1> 4.2질량ppm 이상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조란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지방 축적 억제제.
<2> 4.2질량ppm 이상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조란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3> 4.2질량ppm 이상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조란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내장 지방 저감제.
<4> 4.2질량ppm 이상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조란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
<5> 요오드화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란의 난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1일당 요오드량으로서 300μg 이상 투여되도록 이용되는 내장 지방 저감제.
본 개시에 의하면 효과적이며 안전성이 우수한 유효 성분을 이용한 새로운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내장 지방 저감제 및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 추출물(IY) 또는 보통란의 난황 추출물(OY)을 배지 중에 첨가한 경우에서의 지방 세포에의 지방 축적량(상대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요오드화 나트륨을 배지 중에 첨가한 경우에서의 지방 세포에의 지방 축적량(상대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 추출물(IY) 또는 보통란의 난황 추출물(OY)을 배지 중에 첨가한 경우에서의 지방 세포의 글리세롤-3-인산 탈수소효소(GPDH) 활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 추출물(IY) 또는 보통란의 난황 추출물(OY)을 배지 중에 첨가한 경우에서의 지방 세포의 PPAR(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γ2 유전자의 발현량(상대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 추출물(IY) 또는 보통란의 난황 추출물(OY)을 배지 중에 첨가한 경우에서의 지방 세포의 아디포게닌 유전자의 발현량(상대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 추출물(IY) 또는 보통란의 난황 추출물(OY)을 배지 중에 첨가한 경우에서의 지방 세포의 렙틴 유전자의 발현량(상대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는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 추출물(IY) 또는 보통란의 난황 추출물(OY)을 배지 중에 첨가한 경우에서의 지방 세포의 아디포넥틴 유전자의 발현량(상대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를 이용하여 나타난 수치 범위는 「~」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값 및 최대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내장 지방 저감제 및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
제1 실시형태의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내장 지방 저감제 및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은 모두 4.2질량ppm 이상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조란(鳥卵)(이하, 「요오드 고함유란」이라고도 함)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조란으로서는 닭, 메추라기, 오골계, 집오리 등의 조류의 알을 들 수 있고, 계란이 바람직하다.
요오드 고함유란은 요오드원의 배합에 의해 요오드 함유율을 높인 사료를 조류에게 주어 알 중의 요오드 함유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요오드원으로서는 요오드산 칼슘, 요오드산 칼륨, 요오드화 칼륨, 요오드산 나트륨, 요오드화 티몰, 요오드화 구리, 차요오드살리실산, 과요오드산 칼슘, 칼슘요오드비헤메이트 등의 요오드 화합물; 다시마, 켈프 등의 요오드를 고함유하는 해조류 또는 그 처리물 등을 들 수 있다. 조류의 건강, 요오드의 알로의 이행율 등의 관점에서 요오드원으로서는 요오드산 칼슘, 요오드산 칼륨 및 요오드화 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오드산 칼슘, 요오드산 칼륨 및 요오드화 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함께 해조류를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조류에게 주는 요오드량은 조류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산란계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1일에 1마리당 5mg~250mg의 요오드 섭취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일에 1마리당 5mg~15mg의 요오드 섭취량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란계가 1일에 1마리당 약 100g의 사료를 섭취한다고 가정한 경우 사료 중의 요오드 함유율은 50질량ppm~2500질량pp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질량ppm~150질량ppm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요오드를 고함유하는 사료를 조류에게 주면, 약 1주일 후에는 목적으로 하는 요오드 고함유란이 산출된다. 예를 들어 50질량ppm 정도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사료를 산란계에게 주면, 1개당 약 300μg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알이 산출된다.
요오드 고함유란의 요오드 함유율은 가식부(可食部) 전량에 대해 4.2질량ppm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4.2질량ppm~20.0질량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 고함유란의 요오드 함유율을 20.0질량ppm 이하로 함으로써 산란율의 저하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시장에서 주로 유통되고 있는 껍질 붙은 계란의 가식부는 1개당 약 45g~66g이기 때문에, 4.2질량ppm~20.0질량ppm의 요오드 함유율은 1개당 약 200μg~1400μg의 요오드 함유량에 상당한다.
또, 산란계에서의 요오드의 요구량은 사료 1kg당 0.2mg(일본 사료 표준 가금(2011년판)에 의함)이며, 실제 시판 사료 중의 요오드 함유량은 사료 1kg당 0.3mg~2.0mg이 되어 있다. 이 시판 사료를 이용하여 사육된 산란계로부터 산출되는 보통란의 요오드 함유량은 1개당 약 9μg 정도(일본 식품 표준 성분표 2015년판(7판)에 의함)이며, 많아도 1개당 약 30μg 정도이다.
요오드 고함유란은 시판품으로서도 입수 가능하다. 예를 들어, 4.2질량ppm 이상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계란의 시판품으로서는 니혼 농산 공업(주)의 「요오드란 광」(「요오드란」은 등록상표)을 들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내장 지방 저감제 및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은 요오드 고함유란의 전란(全卵)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요오드 고함유란 중의 요오드의 대부분은 펩티드와 결합한 요오드화 펩티드로서 난황 중에 함유되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의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내장 지방 저감제 및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은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난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난황 추출물은 난황 중의 요오드화 펩티드를 함유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요오드 고함유란의 전란, 난황 및 난황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건조, 농축, 분말화, 과립화 등의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의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저감제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시럽제, 유제 등을 들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저감제는 제형에 따라 각종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용제 등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의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및 내장 지방 저감제의 투여량 및 투여 기간과 제1 실시형태의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의 섭취량 및 섭취 기간은 목적으로 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서는 1일당 요오드량이 300μg 이상이 되는 투여량 또는 섭취량을 1개월간 이상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개월간 이상 계속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여량 또는 섭취량의 상한값은 요오드의 내용(耐容) 상한량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는 1일당 요오드량이 3000μg 이하가 되는 투여량 또는 섭취량으로 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혹은 내장 지방 저감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제1 실시형태의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을 섭취함으로써 비만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방법도 제공된다.
(1) 4.2질량ppm 이상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조란의 유효량을 대상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방 축적 억제 방법.
(2) 4.2질량ppm 이상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조란의 유효량을 대상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 방법.
(3) 4.2질량ppm 이상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조란의 유효량을 대상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장 지방 저감 방법.
(4) 4.2질량ppm 이상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조란의 유효량을 섭취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장 지방 저감 방법.
(5) 4.2질량ppm 이상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조란의 유효량을 대상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 방법.
(6) 4.2질량ppm 이상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조란의 유효량을 섭취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 방법.
<내장 지방 저감제>
제2 실시형태의 내장 지방 저감제는 요오드화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란의 난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1일당 요오드량으로서 300μg 이상 투여되도록 이용된다.
조란으로서는 닭, 메추라기, 오골계, 집오리 등의 조류의 알을 들 수 있고, 계란이 바람직하다. 조란은 보통란이어도 되고 상술한 요오드 고함유란이어도 되며, 요오드를 고함유하고 있는 점에서 상술한 요오드 고함유란이 바람직하다.
난황 추출물은 난황 중의 요오드화 펩티드를 함유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난황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건조, 농축, 분말화, 과립화 등의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의 내장 지방 저감제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시럽제, 유제 등을 들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내장 지방 저감제는 제형에 따라 각종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용제 등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의 내장 지방 저감제의 투여량은 1일당 요오드량이 300μg 이상이 되는 투여량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투여량의 상한값은 요오드의 내용 상한량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는 1일당 요오드량이 3000μg 이하가 되는 투여량으로 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내장 지방 저감제의 투여 기간은 목적으로 하는 효과가 나타나는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서는 1개월간 이상 계속하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개월간 이상 계속하여 투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의 내장 지방 저감제를 투여함으로써 비만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방법도 제공된다.
(1) 요오드화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란의 난황 추출물을 1일당 요오드량으로서 300μg 이상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장 지방 저감 방법.
(2) 요오드화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란의 난황 추출물을 1일당 요오드량으로서 300μg 이상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 방법.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제예 1]
가식부 100g당 약 1300μg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계란(니혼 농산 공업(주), 「요오드란 광」)을 요오드 고함유란으로서 이용하여 난황만을 무균 상태로 동결 건조(-10℃, 180분간)하여 난분을 얻었다. 얻어진 난분 1g에 대해 5mL의 용해 버퍼(20mM Tris-HCl(pH 7.6), 5mM DTT(Dithiothreitol), 0.1w/v% SDS(Sodium Dodecyl Sulfate), 1v/v% 프로테아제 저해제 칵테일)를 더하여 현탁한 후, 17000G로 15분간 원심 분리를 행하였다. 얻어진 상청에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를 더하고 단백질 농도를 10μg/μL로 조정하여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 추출물(IY)로서 이용하였다. 또, 단백질 농도는 Bradford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요오드 고함유란 대신에 시판의 계란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같이 하여 보통란의 난황 추출물(OY)을 조제하였다.
[실험예 1]
실험예 1에서는 마우스 지방 전구 세포 3T3-L1을 지방 세포로 분화시켜 지방 세포에의 지방 축적량을 측정하였다. 3T3-L1 세포는 통상 배양 조건 하에서는 섬유아세포 모양의 형태를 나타내지만, 융합(confluent) 상태로 한 후에 인슐린 자극을 부여함으로써 세포 내에 지방립을 형성하여 지방 세포로 분화된다.
우선, 3T3-L1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고, 융합 2일 후까지 10v/v%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에 의해 유지하였다. 배지는 48시간마다 교환하였다. 다음으로 10v/v% FBS, 0.5mM 이소부틸메틸크산틴, 1μM 덱사메타손 및 1.7μM 인슐린을 함유하는 DMEM으로 배지 교환하고 48시간 배양함으로써 지방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다음으로 10v/v% FBS를 함유하는 DMEM으로 배지 교환하였다. 나아가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 추출물(IY) 또는 보통란의 난황 추출물(OY)을 5μg/mL, 10μg/mL 또는 50μg/mL의 종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10일간 배양하였다. 배지는 48시간마다 교환하였다.
10일간 배양 후 분화된 지방 세포를 PBS로 3회 세정하고, 10v/v% 파라포름알데히드 용액을 이용하여 10분간 이상 고정하였다. 고정 후 지방 세포를 PBS로 2회 세정하고, 37℃ 조건 하에서 0.5w/v% Oil Red O용액(Sigma Aldrich사)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그 후, 파장 57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지방 세포에의 지방 축적량을 평가하였다.
지방 세포에의 지방 축적량의 평가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은 지방 세포에의 지방 축적량(상대값)을 평균값±표준오차로 나타낸 것이다(모두 n=6).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 추출물(IY)을 50μg/mL의 종농도가 되도록 배지 중에 첨가한 경우에는 보통란의 난황 추출물(OY)을 배지 중에 첨가한 경우와 비교하여 지방 세포에의 지방 축적량이 상당히 저하되었다(p<0.05).
[실험예 2]
실험예 2에서는 난황 추출물 대신에 요오드화 나트륨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지방 세포에의 지방 축적량을 측정하였다. 또, 요오드화 나트륨은 요오드화물 이온의 종농도가 10-9M, 10-8M, 10-7M 또는 10-6M이 되도록 배지 중에 첨가하였다.
지방 세포에의 지방 축적량의 평가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오드화 나트륨을 배지 중에 첨가해도 지방 세포에의 지방 축적량은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1 및 2의 결과로부터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 추출물(IY)에 의한 지방 축적 억제 효과는 이온 상태의 요오드가 아니라 요오드 고함유란에 함유되는 요오드화 펩티드에 기인하는 것임이 시사된다.
[실험예 3]
실험예 3에서는 3T3-L1 세포를 지방 세포로 분화시켜 GPDH 활성을 측정하였다. GPDH는 지방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이며, 또한 지방 전구 세포에서 지방 세포로의 분화의 지표도 된다.
우선, 실시예 1과 같이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 추출물(IY) 또는 보통란의 난황 추출물(OY)을 종농도 50μg/mL가 되도록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여 3T3-L1 세포를 10일간 배양하여 지방 세포를 얻었다. 10일간 배양 후의 지방 세포(Day10)를 PBS로 세정하고, 세포를 파쇄하여 세포 파쇄액에 대해 GPDH 활성 측정 키트((주) 셀 개러지)를 이용하여 GPDH 활성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 결과는 세포 파쇄액 중의 단백질량으로 보정하였다. 비교를 위해 10일간 배양 전의 세포(Day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GPDH 활성을 측정하였다.
GPDH 활성의 측정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 추출물(IY)을 배지 중에 첨가한 경우에는 보통란의 난황 추출물(OY)을 배지 중에 첨가한 경우와 비교하여 GPDH 활성이 상당히 저하되었다(p<0.05).
[실험예 4]
실험예 4에서는 3T3-L1 세포를 지방 세포로 분화시켜 지방 전구 세포에서 지방 세포로의 분화의 지표가 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우선, 실시예 1과 같이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 추출물(IY) 또는 보통란의 난황 추출물(OY)을 종농도 50μg/mL가 되도록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여 3T3-L1 세포를 10일간 배양하여 지방 세포를 얻었다. 10일간 배양 후의 지방 세포(Day10)로부터 전체 RNA를 추출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간 역전사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에 의해 PPAR-γ2, 아디포게닌, 렙틴 및 아디포넥틴의 각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 결과는 내부 표준인 β-액틴 유전자의 발현량으로 보정하였다. 비교를 위해 10일간 배양 전의 세포(Day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PPAR-γ2, 아디포게닌, 렙틴 및 아디포넥틴의 각 유전자의 발현량의 측정 결과(상대값)를 도 4a~도 4d에 나타낸다. 도 4a~도 4c에서의 「ND」는 불검출을 의미한다. 도 4a~도 4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요오드 고함유란의 난황 추출물(IY)을 배지 중에 첨가한 경우에는 보통란의 난황 추출물(OY)을 배지 중에 첨가한 경우와 비교하여 PPAR-γ2, 아디포게닌, 렙틴 및 아디포넥틴의 각 유전자의 발현량이 상당히 저하되었다(PPAR-γ2, 아디포게닌 및 렙틴: p<0.05, 아디포넥틴: p<0.1).
[실험예 5]
실험예 5에서는 피험자를 2군으로 나누어 요오드 고함유란 또는 보통란을 계속적으로 섭취시켜 체지방에 대한 영향을 더블 블라인드법으로 평가하였다. 요오드 고함유란으로서는 가식부 100g당 약 1300μg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계란(니혼 농산 공업(주), 「요오드란 광」)을 이용하였다. 또한, 보통란으로서는 시판의 계란을 이용하였다.
40세 이상 65세 미만이며 BMI(Body Mass Index)가 25kg/㎡ 이상 30kg/㎡ 미만인 남녀 56명을 피험자로 하고, 시험군(남성: 14명, 여성: 14명)과 대조군(남성: 14명, 여성: 14명)의 2군으로 나누었다. 시험군에 대해서는 1일당 1개의 요오드 고함유란을 삶은 달걀로서 12주간에 걸쳐 계속적으로 섭취시켰다. 또한, 대조군에 대해서는 1일당 1개의 보통란을 삶은 달걀로서 12주간에 걸쳐 계속적으로 섭취시켰다. 그리고, 복부 CT(Computed Tomography) 화상을 이용하여 체지방 면적을 측정함과 아울러 혈액 검사, 요검사 등의 각종 검사를 행하고, 시험 전후로 비교하였다.
전체 지방 면적, 내장 지방 면적 및 피하 지방 면적의 시험 전후에서의 추이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는 혈중의 총콜레스테롤(T-cho), 트리글리세라이드(TG), LDL(Low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LDL-cho), HDL(High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HDL-cho), 유리트리요오드사이로닌(FT3) 및 유리사이록신(FT4)의 양의 시험 전후에서의 추이에 대해서도 아울러 나타낸다. 표 1은 각 군에 대해 평균값±표준오차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9037327882-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군에서는 전체 지방 면적 및 내장 지방 면적이 시험 전후로 상당히 저하되었지만(전체 지방 면적: p=0.037, 내장 지방 면적: p=0.001), 피하 지방 면적에 대해서는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대조군에서는 전체 지방 면적, 내장 지방 면적 및 피하 지방 면적 모두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군간 비교에서는 내장 지방 면적의 변화량 및 변화율에 대해 시험군이 상당히 크고(변화량: p=0.049, 변화율: p=0.031), 군간 차이가 인정되었다.
또, 지질 대사에 관련된 혈중의 총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LDL 콜레스테롤 및 HDL 콜레스테롤의 양은 시험군 및 대조군 모두 상당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갑상선 기능에 관련된 혈중의 유리트리요오드사이로닌(FT3) 및 유리사이록신(FT4)의 양은 시험군 및 대조군 모두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고, 정상 범위 내에서 추이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요오드 고함유란에 의한 내장 지방 저감 효과는 지질 대사 기능의 향상 또는 갑상선 기능의 향상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요오드 고함유란에 함유되는 요오드화 펩티드에 기인하는 것임이 시사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도입되는 것이 구체적이며 개개에 기록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도입된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요오드화 펩티드를 함유하는 조란의 난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1일당 요오드량으로서 300μg 이상 투여되도록 이용되는 내장 지방 저감제.
KR1020197010469A 2016-09-15 2016-09-15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내장 지방 저감제 및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 KR102239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7315 WO2018051471A1 (ja) 2016-09-15 2016-09-15 脂肪蓄積抑制剤、脂肪前駆細胞の分化抑制剤、内臓脂肪低減剤、及び内臓脂肪低減用飲食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221A KR20190053221A (ko) 2019-05-17
KR102239331B1 true KR102239331B1 (ko) 2021-04-12

Family

ID=6161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469A KR102239331B1 (ko) 2016-09-15 2016-09-15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내장 지방 저감제 및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52285B2 (ko)
KR (1) KR102239331B1 (ko)
WO (1) WO201805147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613A (ko) 2021-11-25 2023-06-01 (주)네오크레마 근아세포의 증식과 근육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20230077614A (ko) 2021-11-25 2023-06-01 (주)네오크레마 지방전구세포의 증식과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20230077612A (ko) 2021-11-25 2023-06-01 (주)네오크레마 지방전구세포의 증식과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20230077611A (ko) 2021-11-25 2023-06-01 (주)네오크레마 근아세포의 증식과 근육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9188259A1 (ja) * 2018-03-29 2021-03-18 株式会社タニタ 成分決定装置、成分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3911A (ja) * 2007-07-17 2009-02-05 Nihon Nosan Kogyo Kk 抗加齢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810B1 (ko) * 1980-10-28 1983-09-12 니혼노오산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지질대사 개선작용을 갖는 요오드 고함유란의 생산방법
JPWO2003039270A1 (ja) * 2001-11-08 2005-02-24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抗肥満用飲食物
JP4363825B2 (ja) 2002-08-22 2009-11-11 株式会社ファンケル 脂肪細胞分化抑制剤
JP4675781B2 (ja) 2006-01-11 2011-04-27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脂肪細胞分化抑制剤
JP2011225496A (ja) 2010-04-22 2011-11-10 Q P Corp 体脂肪蓄積抑制剤、内臓脂肪蓄積抑制剤、肝臓中トリグリセリド上昇抑制剤、又は血中トリグリセリド上昇抑制剤
JPWO2011145722A1 (ja) * 2010-05-20 2013-07-22 宮崎 徹 Aimの機能を制御する化合物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JP2015189691A (ja) * 2014-03-27 2015-11-02 公益財団法人東洋食品研究所 Gpdh活性抑制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3911A (ja) * 2007-07-17 2009-02-05 Nihon Nosan Kogyo Kk 抗加齢用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rter-Aeberli et al. Iodine and hypercholesterolemia in obesity. The Journal of Nutrition. pp2067~2075. (2015)*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613A (ko) 2021-11-25 2023-06-01 (주)네오크레마 근아세포의 증식과 근육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20230077614A (ko) 2021-11-25 2023-06-01 (주)네오크레마 지방전구세포의 증식과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20230077612A (ko) 2021-11-25 2023-06-01 (주)네오크레마 지방전구세포의 증식과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KR20230077611A (ko) 2021-11-25 2023-06-01 (주)네오크레마 근아세포의 증식과 근육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신규 펩티드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52285B2 (ja) 2020-09-09
WO2018051471A1 (ja) 2018-03-22
KR20190053221A (ko) 2019-05-17
JPWO2018051471A1 (ja)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331B1 (ko) 지방 축적 억제제, 지방 전구 세포의 분화 억제제, 내장 지방 저감제 및 내장 지방 저감용 음식품
Alkhalidy et al. Kaempferol ameliorates hyperglycemia through suppressing hepatic gluconeogenesis and enhancing hepatic insulin sensitivity in diet-induced obese mice
Huang et al. 5‐Caffeoylquinic acid decreases diet‐induced obesity in rats by modulating PPARα and LXRα transcription
Baltzegar et al. Role for leptin in promoting glucose mobilization during acute hyperosmotic stress in teleost fishes
Suh et al. Blockade of lipid accumulation by silibinin in adipocytes and zebrafish
Kang et al. A water-soluble extract of Petalonia binghamiae inhibits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regulators in 3T3-L1 preadipocytes and reduces adiposity and weight gain in rats fed a high-fat diet
Zhang et al. Feeding blueberry diets to young rats dose-dependently inhibits bone resorption through suppression of RANKL in stromal cells
Ashok et al. Role of vitamin B12 and folate in metabolic syndrome
Fujikura et al. Ketogenic diet with medium‐chain triglycerides restores skeletal muscle function and pathology in a rat model of Duchenne muscular dystrophy
Motta et al. Browning is activated in the subcutaneous white adipose tissue of mice metabolically challenged with a high-fructose diet submitted to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Cheng et al. Anti-obesity action of INDUS810, a natural compound from Trigonella foenum-graecum: AMPK-dependent lipolysis effect in adipocytes
NISHIkAWA et al. Co-administration of curcumin and artepillin C induces development of brown-like adipocytes in association with local norepinephrine production by alternatively activated macrophages in mice
Kai et al. Effects of IL-33 on 3T3-L1 cells and obese mice models induced by a high-fat diet
US20160067270A1 (en) Use of ginsenoside f2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JP6488504B2 (ja) 褐色脂肪細胞分化誘導剤及びその用途
KR101232872B1 (ko) 스핑고신-1-포스페이트(sphingosine-1-phosphat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7039367A (ja) 細胞の分化を促進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Hosseini et al. Impact of short–term intake of Cinnamon on serum glucose and lipid profil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P7185990B2 (ja)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剤、脂肪前駆細胞分化促進剤並びにそれらを含む医薬組成物、食品及び飼料
US20210386767A1 (en) Brown and beige adipocyte activating agent containing d-allulose as active ingredient
JP5317919B2 (ja) Gip上昇抑制剤の評価又は選択方法
Kong et al. Smilax china Polyphenols Stimulate Browning via β 3-Adrenergic Receptor/AMP-Activated Protein Kinase α Signaling Pathway in 3T3-L1 Adipocytes
KR20120015206A (ko)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8031154A (ja) 血糖低下剤
JP6192141B1 (ja) 骨量減少抑制剤、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骨粗鬆症の予防又は改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