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810B1 - 지질대사 개선작용을 갖는 요오드 고함유란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지질대사 개선작용을 갖는 요오드 고함유란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810B1
KR830001810B1 KR1019800004117A KR800004117A KR830001810B1 KR 830001810 B1 KR830001810 B1 KR 830001810B1 KR 1019800004117 A KR1019800004117 A KR 1019800004117A KR 800004117 A KR800004117 A KR 800004117A KR 830001810 B1 KR830001810 B1 KR 830001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dine
eggs
iodide
egg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885A (ko
Inventor
신이찌로 가따미네
Original Assignee
니혼노오산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또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노오산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가또 도시오 filed Critical 니혼노오산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4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810B1/ko
Publication of KR83000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질대사 개선작용을 갖는 요오드 고함유란의 생산방법
본 발명은 주로 지질 단백질 리파제 활성을 강화해주고, 글리코겐 소모를 감소해주며, 또한 고밀도 지질 단백질의 구성 비율을 개선해주는 지질 대사 향상 효과가 있는 란,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특수한 란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에 있어서 암닭 알의 소비량은 최근 10여년간 계속 감소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같은 경향은 일본에서도 같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의 원인은 암닭알을 과식하면 심장을 해친다는 견해, 즉 음식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콜레스테롤은 혈정이난 혈액의 콜레스테롤치를 증기시켜, 그 결과 혈액의 콜레스테롤치가 증가되면 관상 동맥 질병의 위험을 초래할 수있다는 2단계의 가설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일상 음식물로 섭취하는 것외에 매일 1내지 3개의 달걀을 수개월동안 섭취한다 하더라도 혈액의 평균콜레스테롤치에는 별 다른 차이가 없다는 많은 실험보고(FEEDSTUFF, August 7, 22, '78)(FEEDSTUFF, August 14, 24, '78)와 달걀의 영양가가 입증된 이상 달걀의 섭취량을 제한하는 것이 심장병을 예방하기 위한 적당한 수단은 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반대론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의 경향은 뒤집혀 질 수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많은 연구를 통하여 혈액중 콜레스테롤의 문제는 콜레스테롤의 총 함량치가 아나라 어떤 종류의 콜레스테롤이 함유되고, 각각의 콜레스테롤치가 얼마냐가 중요시 되었다.
즉, 일반적으로 고밀도 지질 단백질의 함량치가 높으면 관상동맥 경화증이 예방되고, 저밀도 지질단백질의 함량치가 높으면 심장병에 걸리거나 심장병이 악화된다는 것이 인정되어 왔다.
또, 운동, 알콜 및 의약은 상기 2종의 지질 단백질 함량치의 중요한 인자로서 인정되어 왔다.
저밀도 지질 단백질이 증가되면 종종 고밀도 지질 단백질이 감소되나, 고밀도 지질 단백질의 증가와 저밀도 지질 단백질의 감소와를 모두 달성하여, 즉 혈액중 고밀도 지질 단백질의 구성비율을 증가시켜 동맥경화증의 악화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액의 경점성에 의해 고밀도 지질 단백질의 비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식이요법에 대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행하여 달걀의 노른자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나, 고밀도 지질 단백질은 달걀의 섭취에 의해 약간 증가됨에 반하여 저밀도 지질 단백질은 현저하게 증가된다는 것이 보고되어 왔다. 일본대학 의학부 학보 38, 1295, '79). 또, 고밀도 지질 단백질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고(高) 콜레스테롤 혈증의 식이요법으로서 에너지의 합리화, 삭카린의 적정 한정 및 폴리불포화 지방산과 포화 지방산과의 평형 향상이 알려져 왔다. 그러나, 식이요법은 평형을 잃고, 폴리불포화 지방산을 많이 섭취하면은 고밀도 지질 단백질 뿐만 아니라 저밀도 지질 단백질이 증가되며, 또 강한 의지가 없이는 장기간동안 속행할 수가 없기 때문에 실시하는데 어려움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상 생활의 음식물 처럼 간단하고 용이하게 소화가 가능하며 혈액의 고밀도 지질 단백질의 구성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지질대사 개선 작용을 갖는 요오드 고함유란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사료에 첨가되는 미량 영양소가 달걀성분에 미치는 영양과 이 달걀 성분이 지질 대사와 혈액중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양에 대하여 연구를 행한 결과,요오드를 다량함유하는 달걀은 지질 단백질 리파제 활성을 강화해 주고, 글리코겐 소모를 감소해주며, 또한 혈액중 고밀도 지질 단백질의 구성비율을 향상해주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요오드를 다량 함유하는 란은 란을 낳는 날짐승에게 요오드 화합물 및 해초를 다량 투여함으로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의 조사에 따르면 요오드를 다량 함유하는 사료나 또는 요오드 그 자체는 지질 단백질 리파제 활성을 강화해주고, 글리코겐 소모를 감소해주며, 또한 혈액중 고밀도 지질 단백질의 구성 비율을 향상햐준다고 하는 사실에 대하여는 보고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은 신규의 발명이라고 말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오드를 다량 함유하는 달걀은 통상 하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다. 즉, 요오드 화합물, 다량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해초 또는 이들의 가공품을 일정량보다 과량으로 사료에 혼합한 다음, 이 사료를 란을 낳는 날짐승에게 투여함으로서 란 중의 요오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사용하는 요오드 화합물의 예로서는 요오드산 칼슘, 요오드화 칼륨, 요오드화 나트륨, 요오드화 칼륨, 요오드화 나트륨, 요오드화 구리, 요오드화 티몰, 요오드 베헨산 칼슘, 이요오드화 살리실산, 과요오드산 칼슘 등을 열거할 수가 있으며, 해초의 예로서는 다시마속 해초(sea tangle)를 들 수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날질슴의 건강 상태와 요오드산 달걀에의 전환을 고려하여 요오드산 칼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요오드산 칼슘과 다시마속 해초와 같은 해초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의 사용 용량은 란을 낳는 날짐승의 종류, 예를 들면 암닭 및 메추라기에 따라 다른데, 란을 낳는 암닭의 경우에는 1일 약 5 내지 250mg,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내지 15mg이다. 요오드는 통상 사료와 혼합 투여하는데, 이 경우 암닭이 1일 약 100g의 사료를 섭취한다면 사료중의 요오드 함량이 50내지 2500ppm, 바람직하게는 50내지 150ppm이 되도록 혼합한다.
날짐승에 요오드 화합물 및 (또는) 다량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물질을 투여한 결과, 목적으로 하는 요오드를 다량 함유하는 달걀이 1주 후에 산란된다. 예를 들면, 란을 낳는 암닭의 경우에 약 50ppm의 요도드를 함유하는 사료를 사용하면 달걀 1개당 약 300μg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달걀이 산란되고, 약 100ppm의 요오드를 함유하는 사료를 투여하면 달걀 1개당 약 600내지 800의 요도드를 함유하는 달걀이 산란된다. 일반으로 란을 낳는 암닭의 경우 요오드의 요구량은 사료(NRC) 1kg당 0.30 내지 0.35mg이며. 시판 사료 중의 요오드 함량은 0.3 내지 2.0mg/kg이다. 또, 시판의 사료를 사용한 암닭으로부터 산란되는 보통 란 중의 요오드 함령은 달걀 1개당 약 6μg(American Egg Board), 최고 약 30μg이다. 전술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란은 보통의 란에 비하여 요오드가 아주 다량으로 함유되게 한다. 요오드를 다량 함유하는 달걀은 비가공 상태하의 란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또 건조, 농축, 분말화, 과립화 등과 같이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은 각종 결합제와 혼합하여 정제 또는 분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음료, 시럽 또는 유제로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란의 급독성 시험의 결과를 하기에 기술하겠다.
Figure kpo00001
본 시험에서는 요오드를 다량 함유하는 달걀 분말을 쥐 체중 1kg당요오드 함량 최고 50mg까지 기하 급수적인 비율로 투여량을 증가시켜 경구 투여한 다음 7일 후에 쥐들의 관찰을 행한 결과, 쥐들이 사망하거나 체중의 감소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즉, 본 발명의 란은 어떠한 급독성도 없음이 입증되었다. 다음에 혈중의 고밀도 지질 단백질의 구성 비율 개선효과에 대한 본 란의 동물 실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하기에 기술하였다.
실험 1
Figure kpo00002
자유 운동이 가능한 장치가 달린 우리내의 3주령(週令)된 쥐들에게 맨 처름 10일 동안은 시판되는 고상의 기초 사료를 먼저 투여한 다음, 기초 사료 분말(일본 농산 공업사 제품)을 8~9시와 21~22시 2회로 투여하였다. 7주령된 때에 1군 15마리씩 2군으로 나누고, 제1군은 시험군으로 하여 기초 사료 분말에 요오드를 다량 함유하는 실시예 2의 란 분말 2%를 첨가시켜 제조한 공시 사료를 투여하였다.
제2군은 대조군으로 하여 기초 사료 분말에 보통란 분말 2%를 첨가시켜서 제조한 대조 사료를 투여하였다.
실시예 2의 란 분말 및 보통 란 분말의 각각 조성을 하기 제1표에 기재하고, 공시 사료 및 대조 사료의 각각의 조성을 하기 제2표에 기재한다.
[제1표]
Figure kpo00003
[제2표]
Figure kpo00004
각 우리의 온도를 25±2℃로, 습도를 50내지 80%로 유지하여 각 사료의 섭취량을 매주 3일동안 연속 측정하고, 각 쥐의 체중을 2주에 2회씩 측정하였다. 또, 10주 동안 각 군의 쥐들에게 전술한대로 먹이를 준 후, 먹이 섭취 전후의 17시, 21시 및 24시에 각각 목을 잘라 쥐들을 죽인 다음, 지방 조직 내의 지질 단백질 리파제 활성, 골격근 내의 지질 단백질 리파제 활성, 간장 내의 글리코겐 양, 골격근 내의 글리코겐 양, 전 혈액중 콜레스테롤 총치, 혈액중 고밀도 지질단백질 양을 측정한 후, 혈액중 고밀도 지질 단백질의 구성 비율(HDL 비)을 산출하였다.
먹이 섭취량과 체중 증가에 대해서는 시험균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시험군의 자유 운동량은 대조군의 것보다 언제나 많았다.
[제3표]
Figure kpo00005
*15마리 평균치
지질 단백질 리파제(LPL)활성의 측정 결과 및 글리코겐 양의 측정 결과를 하기 제4표와 제5표에 각각 기재한다.
[제4표]
Figure kpo00006
*효소 반응을 가스켓트(Gasquet)씨 방법에 의해 행한 다음, 지방산 단리량을 그라우드(Grout)씨외가 개선시킨 도울(Dole)씨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4내지 5마리의 평균치
[제5표]
Figure kpo00007
* 글리코겐 양은 로(Lo)씨 외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혈액중 고밀도 지질 단백질(HDL)구성비율의 측정 결과를 하기 제6표에 기재한다.
[제6표]
Figure kpo00008
* 콜레스테롤 총량은 주르코우스키(Zurkowski)씨의 직접 착색-초미량 분석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고밀도 지질 단백질 콜레스테롤 양의 경우에는 와르닉크(WAR-nick)씨 외의 해파린 Mn2+가공법으로 고밀도 지질 단백질 획분을 얻은 다음, 고밀도 지질 단백질 획분 내의 콜레스테롤 양을 콜레스테롤 총량에서와 같이 측정하였다.
* 14마리 평균치
실험 2
Figure kpo00009
실험 1에 있어서 자유운동이 가능한 장치가 달리지 않은 우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 1에서와 같이 3주령 된 쥐들에게 먹이를 주고, 수온이 30℃, 흐름 속도가 약 40m/분으로 설치해 놓은 강제 수영 운동장치에 의해 1주에 1회씩 쥐들을 강제운동시킨 결과 쥐들은 피로해졌다.
제1군(시험군)은 14마리로 구성하였고, 제2군(대조군)은 12마리로 구성하였다. 각 군의 콜레스테롤 총량과 각군의 혈액 고밀도 지질 단밸질 콜레스테롤 양을 실험 1에서와 같이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제7표에 기재하였다. 이 결과로 부터 본 란에 의해 혈액 고밀도 지질 단백질의 구성비율이 개선됨을 알 수 가 있다.
[제7표]
Figure kpo00010
혈액 고밀도 지질 단백질의 구성 비율에 있어서의 본 란의 향상 효과에 대한 임상 시험 결과는 하기와 같다.
임상시험
고(高)콜레스테롤 외래환자 10명에게 실시예 2의 요오드 고함유란(高含有卵) 분말을 투여하였다. 투여 전후의 혈액 콜레스테롤 총량, 혈액 고밀도 지질 단백질 콜레스테롤 양, 및 저밀도 지질 단백질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제8표에 기재하였다. 이 결과로 부터 고밀도 지질 단백질은 증가되나, 저밀도 지질 단백질은 감소됨을 알 수가 있다.
[제8표]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상기 실험 및 임상 시험의 결과로 부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란은 지질 단백질 리파제 활성을 강화해주고, 클리코겐 소모를 감소해주며, 또 혈액 고밀도 지질 단백질의 구성 비율을 개선해 주는 효과가 있음을 완연히 알 수가 있다.
지질 단백질 리파제 활성을 강화해주고, 글리코겐 소모를 감소해주는 효과의 인과 관계 및 혈액 HDL의 구성 비율을 개선해 주는 효과의 인과 관계에 대해서는 결코 분명하지는 않으나, 암닭의 몸체를 통하여 요오드가 란으로 전환되어 란성분과 조합되며 이 조합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지질 단백질 리파제에 작용하여 리파제를 활성화 시킴으로서 상기 2개의 고밀도 및 저밀도 지질 단백질의 구성비율을 개선해 준다고 생각되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란은 영양가가 아주 우수하고 또한, 어떠한 후발적인 악효과 없이 효과가 직접 나나타는 것이 아나라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연속 섭취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본 발명자들에 의하면 요오드 함량이 1개당 약 300 내지 1000μg 이면 먹을 수 있는 란의 수는 1일에 불과 1 또는 2개이기 때문에 일상 생활에 있어서 본 란을 아주 용이하게 섭취할 수가 있다. 또, 목적하는 개선 효과는 약 1개월 후에 얻을 수가 있다. 본 란을 장기간 투여하더라도 혈액 지질 단백질의 구성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되지 않기 때문에 심장병 등에 안심하고 투여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상기와 같이 유효한 란을 용이하게 간단히 생산할 수가 있다.
[실시예 1]
시판의 암닭용 사료에 요오드 함량이 100ppm이 되도록 요오드산 칼슘을 첨가하였다. 이 사료를 3개월전부터 란을 낳기 시작한 암닭에 투여하고, 10일 후에 1개당 평균 요오드 함량이 550μg 인 란이 산란되었다.
[실시예 2]
시판의 암닭용 사료에 요오드 함량이 2000ppm이 되도록 요오드산 칼슘을 첨가하고, 또 여기에 분말 해초를 1%양으로 혼합 첨가하였다. 7개월 전부터 란을 낳기 시작한 암닭 100마리에 이 사료를 투여하였다.
상기 투여에 의해 얻은 달걀 170kg을 분무 건조기로 건조시켜 본 발명의 란 분말 35kg을 얻었다. 란 분말은 요오드를 411μg/kg으로 함유하였다.
[실시예 3]
시판의 암닭용 사료에 요오드 함량이 150ppm이 되도록 과 요오드산 칼슘을 첨가한 다음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1개당 평균 요오드 함량이 1,250μg 인 란을 얻었다. 란들을 깨뜨리고 여기에 덱스트린 10% 양으로 첨가한 다음 물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분무-건조기로 건조시킴으로서 본 발명의 란을 얻었다.
[실시예 4]
시판의 암닭용 사료에 요오드 함량이 75ppm이 되도록 요오드산 티몰을 첨가한 다음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1개당 평균 450μg 이 함유된 란들을 얻었다. 이 란들을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란을 얻었다.
[실시예 5]
시판의 암닭용 사료에 요오드 함량이 100ppm이 되도록 이 요오드화 살리실산을 첨가하고, 여기에 다시 마속 해초분말을 1%첨가 혼합하였다. 이 사료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란을 낳는 암닭에 투여하여 1개당 평균 요오드 함량이 700μg 인 란을 얻었다.

Claims (1)

  1. 조류에 요오드화 칼륨, 요오드산칼슘, 요오드산칼륨, 요오드산나트륨,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 구리, 요오드화 티몰, 요오드 비헨산칼슘, 이요오드화 살리실산, 에틸렌디아민디히드로 아이오다이드로써 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요오드 화합물 및/또는 해조류를 사료 kg당 요오드 량으로서 50~2,500mg의 범위에서 투여하고 란중의 요오드 함유량을 란 60g당 300~4,000μg 로 하여 이 란을 먹었을 때 지질 따라 개선에 유효케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대사 개선 작용을 갖는 란의 생산방법.
KR1019800004117A 1980-10-28 1980-10-28 지질대사 개선작용을 갖는 요오드 고함유란의 생산방법 KR830001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117A KR830001810B1 (ko) 1980-10-28 1980-10-28 지질대사 개선작용을 갖는 요오드 고함유란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4117A KR830001810B1 (ko) 1980-10-28 1980-10-28 지질대사 개선작용을 갖는 요오드 고함유란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885A KR830003885A (ko) 1983-06-30
KR830001810B1 true KR830001810B1 (ko) 1983-09-12

Family

ID=1921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117A KR830001810B1 (ko) 1980-10-28 1980-10-28 지질대사 개선작용을 갖는 요오드 고함유란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1471A1 (ja) * 2016-09-15 2018-03-22 日本農産工業株式会社 脂肪蓄積抑制剤、脂肪前駆細胞の分化抑制剤、内臓脂肪低減剤、及び内臓脂肪低減用飲食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885A (ko) 198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ber The effect of nutrition on the composition of eggs
Sandström et al. Zinc absorption from composite meals II. Influence of the main protein source
CA2055042C (en) Eggs compatible with cholesterol-reducing die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DE4304394A1 (en) Prepn. for nourishment of oncological patients - comprises fats formulation contg. oleic acid, alpha-linolenic acid, etc., and opt. carbohydrate and proteins
EP0575846A2 (de) Lipasehemmer enthaltende Nahrungsmittel und Futtermittel
Park et al. Effect of dietary fat supplement on lipid metabolism of Holstein heifers
US4419369A (en) Protein mineral dietary module
EP0035882B1 (en) Method for producing iodine-enriched eggs
US4338304A (en) Composite for treating diabetes
Jensen et al. Dietary chromium and interior egg quality
DE60220899T2 (de) Mittel gegen stressinduzierte krankheiten
US4394376A (en) Method for preventing hypertriglyceridemia
KR830001810B1 (ko) 지질대사 개선작용을 갖는 요오드 고함유란의 생산방법
DE69631538T2 (de) Eier mit niedrigem Gehalt an polyungesättigten Fettsäuren
EP0495264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eed and feed additive for marine species and crawfish.
GB2266217A (en) Processes for producing low calorie chocolate having cholesterol reducing effects in blood
March Choline supplementation of layer diets containing soybean meal or rapeseed meal as protein supplement
Szkudelski Phytic acid-its influence on organism
Malinow et al. The toxicity of alfalfa saponins in rats
Waldroup Use of molasses and sugars in poultry feeds
Fischer et al. Influence of age on protein and energy utilization in adult rats
CA1158983A (en) Bird feed mixture to produce iodine enriched eggs
Hanai et al. The interactive effect of dietary water-soluble vitamin levels on the depression of gonadal development in growing male rats kept under disturbed daily rhythm
Pearce et al. A review of biotin deficiency and the fatty liver and kidney syndrome in poultry
Wang et al. The effect of dietary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on calcium excre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