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539B1 - 스크롤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539B1
KR102238539B1 KR1020190080142A KR20190080142A KR102238539B1 KR 102238539 B1 KR102238539 B1 KR 102238539B1 KR 1020190080142 A KR1020190080142 A KR 1020190080142A KR 20190080142 A KR20190080142 A KR 20190080142A KR 102238539 B1 KR102238539 B1 KR 102238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otation shaft
gap seal
scroll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170A (ko
Inventor
성상훈
장기태
박홍희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0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5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8Lubr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 공간을 실링(sealing)하기 위한 실링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고,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자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내부에 오일 유로가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간극 씰 및 베어링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및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하여 선회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롤형 압축기 {Scroll-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 공간을 실링(sealing)하기 위한 실링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형 압축기는 밀폐된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고정 스크롤이 고정되고, 이 고정 스크롤에 선회 스크롤이 맞물려 선회운동을 하면서 냉매 등의 유체를 압축할 수 있는 압축기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스크롤형 압축기는 다른 종류의 압축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유체의 흡입, 압축 및 토출 과정이 부드럽게 이어져 안정적인 토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므로 공조장치 등에서 냉매 압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종래의 스크롤형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크롤형 압축기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하우징과의 사이에 토출실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과, 하우징 내에서 공전축 둘레로 공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고정 스크롤과의 사이에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 스크롤과,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선회 스크롤과의 사이에 배압실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흡입실을 형성하는 축지지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메인 볼 베어링으로 샤프트를 구속하고 메인 볼 베어링 후단에 테플론 씰을 사용하여 배압실과 흡입부를 씰링한다. 이러한 구조는 대부분의 횡형 스크롤형 압축기에 적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회전축 회전부에 씰(seal)의 습동면이 생기기 때문에 씰과 회전축 면의 마찰에 의한 기계적인 손실이 발생하며 메인 볼 베어링이 배압실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쿨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1. 특허공개공보 10-2011-701257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축 공간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리적인 회전축의 실링 구조(샤프트 씰)을 제거하여 기계적 마찰 손실을 줄여 압축기 성능을 높이고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어링이 흡입 유로에 위치하도록 하여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압축기의 배압 공간과 흡입 공간을 씰링(sealing) 하기 위해 프레임과 회전축 사이에 동심 간극을 둘 수 있다. 이때, 회전축은 프레임에 대하여 볼 베어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동심의 간극은 볼 베어링의 간극보다 크게 설정하여 볼 베어링에 의해 회전축이 흔들려도 간극이 물리적으로 닿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고압의 오일은 회전축을 통해 배압 공간으로 들어오고 배압 공간과 압축 공간이 연통되는 통로부에 의해 배압 공간의 압력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의 오일 유로를 통해 간극 씰 입구단 또는 간극 씰 내부에 오일을 공급해 주게 되면 배압실 내의 가스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자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내부에 오일 유로가 구비되는 회전축 및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간극 씰 및 베어링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고,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자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내부에 오일 유로가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간극 씰 및 베어링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및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하여 선회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 씰과 상기 베어링은 서로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 내부에 구비된 오일 유로는 상기 간극 씰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케이싱,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고정 스크롤을 관통하는 통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 씰을 통과한 오일은 상기 통로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 스크롤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은 볼 베어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 씰의 간극은 상기 볼 베어링의 간극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유로에는 상기 고정 스크롤 측으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 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유로에는 상기 간극 씰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 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급 홀은 상기 간극 씰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고,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자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내부에 오일 유로가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상기 오일 유로를 통하여 오일을 공급받고 서로 이웃하여 설치되는 간극 씰 및 베어링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및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하여 선회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 내부에 구비된 오일 유로는 상기 간극 씰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케이싱,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고정 스크롤을 관통하는 통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에 유입된 유체는 상기 통로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 스크롤과 상기 선회 스크롤 사이의 압축 공간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 씰을 통과한 오일은 상기 통로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 스크롤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 씰은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은 상기 간극 씰 내측의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압실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은 상기 프레임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압실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물리적인 회전축의 실링 구조(샤프트 씰)을 제거하여 기계적 마찰 손실을 줄여 압축기 성능을 높이고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볼 베어링과 샤프트 씰을 적용하는 것보다 기계 마찰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립성 향상 및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 베어링으로 축방향 하중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구조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볼 베어링과 간극 씰을 적용한 구조는 하중을 볼 베어링에서 받게 되어 편심이 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간극이 동심을 유지하며 편심 간극에 비해 누설량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오일이 간극 씰을 지나가면서 감압되어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서 베어링의 쿨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볼 베어링이 온도가 낮은 저압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쿨링에 의한 신뢰성 개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볼 베어링이 저압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온도 상승에 의해 볼 베어링이 케이싱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일 유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일 유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성능 향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극 씰을 적용한 경우의 전력 사용량의 차이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극 씰을 적용한 경우의 냉력의 차이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극 씰을 적용한 경우의 성능지수의 차이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은 횡형 스크롤형 압축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횡형 스크롤형 압축기(100)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하우징; 110)을 포함하고, 이러한 케이싱(110) 내에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케이싱(110) 내에, 모터(200), 회전축(300), 서로 맞물리는 고정 스크롤(500) 및 선회 스크롤(600), 그리고 회전축(300)이 설치되는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밀폐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110)은 횡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110)에는 냉매의 출입을 위한 흡입구(111) 및 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터(200)의 회전자(210)와 결합되는 회전축(300)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300)은 선회 스크롤(600)에 편심 결합될 수 있다. 즉, 모터(200)는 회전축(300)을 통하여 선회 스크롤(600)이 선회 운동할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200)의 일측에는 프레임(4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400)은 메인 프레임으로서 경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400)은 고정 스크롤(500) 및 선회 스크롤(600)이 설치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레임(400)에는 고정 스크롤(500)이 결합되어 압축 공간(50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케이싱(110)에는 이러한 압축 공간(501)로부터 냉매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실(101)을 포함하고, 토출구(112)는 이 토출실(101)에 구비되어, 토출실(101)의 냉매는 토출구(11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실(101)에서 오일은 유분리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냉매와 분리될 수 있으며, 이때, 하측에 분리된 오일은 오일 저장부(130)에 저장되고, 오일픽업을 통하여 흡입되어 회전하는 각 부분에 공급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흡입구(111) 측에는 별도의 인버터 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인버터 공간에는 인버터부(도시되지 않음)가 위치할 수 있다.
모터(200)는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권선이 설치되는 고정자(220) 및 이 고정자(220)에 결합되어 권선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230)를 포함하는 고정자 조립체 및 이 고정자 조립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400)의 일측에는 회전축(30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면서 압축 공간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간극 씰(320) 및 베어링(310)에 의하여 회전축(3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회전축(30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면서 압축 공간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 구조는 간극 씰(320) 및 베어링(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310)은 볼 베어링일 수 있다. 또한, 간극 씰(320)의 간극은 볼 베어링(310)의 간극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간극 씰(320)은 간극과 회전축(300) 사이에 오일이 지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고, 볼 베어링(310) 또한 일정 간극을 가지고 회전축(3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간극 씰(320)의 간극은 볼 베어링(310)의 간극보다 크게 설정되어, 볼 베어링(310)에 의해 회전축이 흔들려도 간극 씰(320)의 회전축(300) 간의 간극이 물리적으로 닿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극 씰(320)과 베어링(310)은 서로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회전축(300) 내부에는 일례로 중공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일 유로(3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300) 내부에 형성되는 오일 유로(301)는 오일 저장부(130)와 연결되어, 오일 저장부(130)에 저장된 오일이 오일 유로(301)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축(300) 내부에 형성되는 오일 유로(301)는 간극 씰(3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오일 유로(301)에는 고정 스크롤(500) 측으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 홀(30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공급 홀(304)을 통하여 공급된 오일은 고정 스크롤(500)을 거쳐 토출실(101)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토출실(101)에 전달된 오일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오일 저장부(130)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공급 홀(304)을 통하여 공급된 오일은 실링 구조까지 전달될 수 있다. 즉, 제1 공급 홀(304)을 통하여 공급된 오일은 베어링(310) 및 간극 씰(320)에 전달될 수 있다(A 경로).
A 경로를 통하여 베어링(310) 및 간극 씰(320)에 전달된 오일은 다시 고정 스크롤(500)을 거쳐 토출실(101)로 전달될 수 있다(B 경로). 이때, 토출실(101)에 전달된 오일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오일 저장부(13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싱(110), 프레임(400) 및 고정 스크롤(500)을 관통하는 통로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A 경로를 통하여 베어링(310) 및 간극 씰(320)에 전달된 오일은 이 통로부(113)를 통하여, 즉, B 경로를 통하여 고정 스크롤(500)을 거쳐 토출실(101)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흡입구(111)를 통하여 케이싱(110)에 유입된 유체(일례로, 냉매) 또한 통로부(113)를 통하여 고정 스크롤(5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흡입구(111)를 통하여 케이싱(110)에 유입된 냉매는 고정 스크롤(500)과 선회 스크롤(600)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 공간(501)에 유입될 수 있다.
간극 씰(320)은 프레임(400)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간극 씰(320)은 프레임(4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실링부(41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간극 씰(320)과 함께 설치되는 베어링(310)은 프레임(400) 구조에서 간극 씰(320) 내측의 형성되는 배압실(40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극 씰(320)과 베어링(310)을 포함하는 실링 구조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고정 스크롤(500)과 프레임(400) 사이에는 고정 스크롤(500)에 결합되어 이 고정 스크롤(500)에 대하여 선회 운동을 하는 선회 스크롤(6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선회 스크롤(600)은 회전축(300)에 연결되며, 회전축(300)의 중심과 편심되게 결합되어 선회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롤형 압축기(100)에서는, 선회 스크롤(600)과 고정 스크롤(500)의 사이에 압축실(501)이 형성되어, 선회 스크롤(600)과 프레임(400)의 사이에 배압실(4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압실(401) 내에는 선회 스크롤(600)의 선회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상쇄하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7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밸런스 웨이트(700)는 회전축(300)에 설치되고, 회전축(300)의 편심 방향과는 반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밸런스 웨이트(700)와 선회 스크롤(600) 사이에도 베어링(311)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횡형 스크롤형 압축기(100)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110)을 포함하고, 이러한 케이싱(110) 내에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케이싱(110) 내에, 모터(200), 회전축(300), 서로 맞물리는 고정 스크롤(500) 및 선회 스크롤(600), 그리고 회전축(300)이 설치되는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도 1과의 차이점 및 실링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400)의 일측에는 회전축(30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면서 압축 공간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30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면서 압축 공간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 구조는 간극 씰(320) 및 베어링(3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간극 씰(320) 및 베어링(310)에 의하여 회전축(3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310)은 볼 베어링일 수 있다. 또한, 간극 씰(320)의 간극은 볼 베어링(310)의 간극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간극 씰(320)은 간극과 회전축(300) 사이에 오일이 지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고, 볼 베어링(310) 또한 일정 간극을 가지고 회전축(3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간극 씰(320)의 간극은 볼 베어링(310)의 간극보다 크게 설정되어, 볼 베어링(310)에 의해 회전축이 흔들려도 간극 씰(320)의 회전축(300) 간의 간극이 물리적으로 닿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축(300) 내부에는 일례로 중공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일 유로(3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300) 내부에 형성되는 오일 유로(301)는 오일 저장부(130)와 연결되어, 오일 저장부(130)에 저장된 오일이 오일 유로(301)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오일 유로(301)에는 고정 스크롤(500) 측으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 홀(30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공급 홀(304)을 통하여 공급된 오일은 고정 스크롤(500)을 거쳐 압축 공간(401)으로 유입된 이후에 토출실(101)로 전달될 수 있다(A' 경로).
또한, 오일 유로(301)에는 간극 씰(320)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 홀(30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공급 홀(302)은 간극 씰(320)에 직접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C 경로). 따라서, 오일 유로(301)를 통하여 유입된 오일은 제2 공급 홀(302)을 통하여 베어링(310) 및 간극 씰(3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공급 홀(302)을 통하여 베어링(310) 및 간극 씰(320)에 전달된 오일은 다시 고정 스크롤(500)을 거쳐 토출실(101)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토출실(101)에 전달된 오일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오일 저장부(13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싱(110), 프레임(400) 및 고정 스크롤(500)을 관통하는 통로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C 경로를 통하여 베어링(310) 및 간극 씰(320)에 전달된 오일은 이 통로부(113)를 통하여 고정 스크롤(500)을 거쳐 토출실(101)로 전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흡입구(111)을 통하여 케이싱(110)에 유입된 유체(일례로, 냉매) 또한 통로부(113)를 통하여 고정 스크롤(5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흡입구(111)을 통하여 케이싱(110)에 유입된 냉매는 고정 스크롤(500)과 선회 스크롤(600)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 공간(501)에 유입될 수 있다.
간극 씰(320)은 프레임(400)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간극 씰(320)은 프레임(4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실링부(41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간극 씰(320)과 함께 설치되는 베어링(310)은 프레임(400) 구조에서 간극 씰(320) 내측의 형성되는 배압실(40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일 유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일 유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오일 경로(오일 유로)의 예를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일 유로(301)에는 간극 씰(320)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 홀(30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공급 홀(302)은 간극 씰(320)에 직접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공급 홀(302)은 간극 씰(320)의 입구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극 씰(320)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400)의 실링부(410)의 입구 측에 제2 공급 홀(302)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공급 홀(302)은 베어링(310)과 간극 씰(3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축(300)의 오일 유로(301)를 통하여 공급된 오일은 제2 공급 홀(302)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베어링(310) 측에는 전달되지 않고 간극 씰(32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오일 유로(301)에는 간극 씰(320)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 홀(302)은 간극 씰(320) 측에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공급 홀(302)은 간극 씰(320)을 형성하는 프레임(400)의 실링부(410)의 중간부에 위치할 수 있다.
부연하면, 제2 공급 홀(302)은 간극 씰(3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공급 홀(302)을 통하여 공급된 오일은 먼저 간극 씰(320)의 간극 내에 채워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축(300)의 오일 유로(301)를 통하여 공급된 오일은 제2 공급 홀(302)을 통하여 먼저 간극 씰(32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간극 씰(320) 내에 유입된 오일은 베어링(310) 측과 프레임(400) 외측으로 분기하여 진행할 수 있다.
즉, 제2 공급 홀(302)을 통하여 간극 씰(320) 측으로 유입된 오일은 베어링(310) 측으로 공급되는 동시에 베어링(310)과 반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간극 씰(320) 내에 유입된 오일은 베어링(310) 측으로도 전달되므로, 오일이 볼 베어링(310)의 간극을 매울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310)을 통하여 유체(냉매)가 지나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 배압실 내부의 냉매 가스가 프레임(400) 측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횡형 스크롤형 압축기(100)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110)을 포함하고, 이러한 케이싱(110) 내에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케이싱(110) 내에, 모터(200), 회전축(300), 서로 맞물리는 고정 스크롤(500) 및 선회 스크롤(600), 그리고 회전축(300)이 설치되는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와의 차이점, 그리고 실링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400)의 일측에는 회전축(30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면서 압축 공간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400)의 일측에는 회전축(30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면서 압축 공간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이웃하여 구비되는 간극 씰(321) 및 베어링(311)에 의하여 회전축(3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회전축(30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면서 압축 공간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 구조는 간극 씰(321) 및 베어링(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311)은 프레임(400)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압실(40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간극 씰(321)은 배압실(401)과 베어링(3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극 씰(321)은 배압실(401)과 베어링(311)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부(4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311)은 볼 베어링일 수 있다. 또한, 간극 씰(321)의 간극은 볼 베어링(311)의 간극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즉, 간극 씰(321)은 간극과 회전축(300) 사이에 오일이 지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고, 볼 베어링(311) 또한 일정 간극을 가지고 회전축(3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간극 씰(321)의 간극은 볼 베어링(311)의 간극보다 크게 설정되어, 볼 베어링(311)에 의해 회전축이 흔들려도 간극 씰(321)의 회전축(300) 간의 간극이 물리적으로 닿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축(300) 내부에는 일례로 중공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오일 유로(3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300) 내부에 형성되는 오일 유로(301)는 오일 저장부(130)와 연결되어, 오일 저장부(130)에 저장된 오일이 오일 유로(301)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축(300) 내부에 형성되는 오일 유로(301)는 간극 씰(3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오일 유로(301)에는 고정 스크롤(500) 측으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 홀(30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공급 홀(304)을 통하여 공급된 오일은 고정 스크롤(500)을 거쳐 토출실(101)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토출실(101)에 전달된 오일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오일 저장부(130)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공급 홀(304)을 통하여 공급된 오일은 실링 구조까지 전달될 수 있다. 즉, 제1 공급 홀(304)을 통하여 공급된 오일은 간극 씰(321) 및 베어링(311)에 전달될 수 있다(A 경로).
A 경로를 통하여 간극 씰(321) 및 베어링(311)에 전달된 오일은 다시 고정 스크롤(500)을 거쳐 토출실(101)로 전달될 수 있다(B 경로). 이때, 토출실(101)에 전달된 오일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오일 저장부(13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싱(110), 프레임(400) 및 고정 스크롤(500)을 관통하는 통로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A 경로를 통하여 간극 씰(321) 및 베어링(311)에 전달된 오일은 이 통로부(113)를 통하여, 즉, B 경로를 통하여 고정 스크롤(500)을 거쳐 토출실(101)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오일의 경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흡입구(111)를 통하여 케이싱(110)에 유입된 유체(일례로, 냉매) 또한 통로부(113)를 통하여 고정 스크롤(5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흡입구(111)를 통하여 케이싱(110)에 유입된 냉매는 고정 스크롤(500)과 선회 스크롤(600)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 공간(501)에 유입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물리적인 회전축의 씰링 구조(샤프트 씰)을 제거하여 기계적 마찰 손실을 줄여 압축기 성능을 높이고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고압의 오일은 회전축(300)를 통해 배압실(401)로 유입되고 배압실(401)과 압축 공간(501)의 연통홀에 의해 배압실(401)의 압력이 결정된다. 이때, 배압실(401)과 흡입부의 압력차에 의해 동심 간극으로 일부의 오일이 누설되며 이때 누설된 오일은 볼 베어링(310)을 지나가게 되고 베어링 윤활이 이루어진다.
회전축(300)의 중공홀 형상의 오일 유로(301)를 통해 간극 씰(320) 입구단 또는 간극 씰(320) 내부에 오일을 공급해 주게 되면 배압실(401) 내의 가스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볼 베어링과 샤프트 씰을 적용하는 것보다 기계 마찰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립성 향상 및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저널 베어링 적용 구조는 축 방향 하중을 받기 위한 별도 구조가 필요한데 본 발명에 의하면 볼 베어링(310)으로 축방향 하중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구조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저널 베어링 구조는 베어링 하중에 의해 간극이 한쪽으로 편심되는 데 반해 본 발명의 볼 베어링(310)과 간극 씰(320)을 적용한 구조는 하중을 볼베어링에서 받게 되어 편심이 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간극이 동심을 유지하며 편심 간극에 비해 누설량이 적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베어링이 흡입 유로에 위치하여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즉, 회전축(300) 주위에서 동심 간극 후단에 볼 베어링(310)이 위치하여 볼 베어링(310)이 흡입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오일이 간극 씰(320)을 지나가면서 감압되어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서 베어링의 쿨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볼 베어링(310)이 온도가 낮은 저압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쿨링에 의한 신뢰성 개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볼 베어링(310)이 저압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온도 상승에 의해(일반적으로 케이싱(110)의 열팽창이 더 크다.) 볼 베어링(310)이 케이싱(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성능 향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극 씰을 적용한 경우의 전력 사용량의 차이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극 씰을 적용한 경우의 냉력의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극 씰을 적용한 경우의 성능지수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간극 씰을 적용한 경우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입력은 압축기가 소비하는 전력 사용량을 의미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극 씰을 사용하는 경우에 입력 저감 효과는 간극 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간극 씰 미사용)에 비해 입력이 높게 나타납니다.
이는 간극 씰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손실이 저감되어 발생하는 현상일 수 있다. 마찰 손실은 회전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고속으로 갈수록 손실이 커집니다. 따라서, 반대로 고속으로 갈수록 효과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냉력은 압축기에서 나오는 냉방부하(냉기)를 와트(Watt)로 환산한 값을 나타낸다.
압축기에서는 기계적인 밀봉 대신에 씰링 구조를 사용하므로, 냉매의 유출이 필연적일 수 있다. 이때, 누출되는 냉매 가스의 양이 많을수록 냉력이 저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간극 씰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은 일정하기 때문에 고속으로 갈수록 누설량의 비는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전체 냉매 순환량은 압축기의 회전속도에 비례하는데 누설량은 일정하고, 따라서 누설량의 비는 작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저속에서는 냉력이 저하될 수 있으나, 고속에서는 입력이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성능 지수(coefficient of performance; COP)는 냉력을 입력으로 나눈 값을 나타낸다. 이는 냉방의 경우에 해당된다. 난방 운전의 경우에 있어서 COP는 1+냉력/입력에 해당한다. 이러한 COP는 압축기나 에어컨 성능을 확인하는 지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축기에서의 성능은 냉력/입력으로 판단하는데 본 발명을 적용하여 평가한 결과 냉력 감소에 비해 입력 감소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할 ㅅ수 있다. 특히 고속에서의 성능 상승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압축기 110: 케이싱
200: 모터 210: 회전자
220: 고정자 230: 절연체
300: 회전축 310, 311: 볼 베어링
320, 321: 간극 씰 400: 프레임
500: 고정 스크롤 600: 선회 스크롤
700: 밸런스 웨이트

Claims (18)

  1.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고, 고정자 및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자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내부에 오일 유로가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상기 오일 유로를 통하여 오일을 공급받고 서로 이웃하여 설치되는 간극 씰 및 볼 베어링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및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하여 선회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 내부에 구비된 오일 유로는 상기 간극 씰에 연결되어, 상기 오일이 상기 간극 씰 및 상기 볼 베어링에 공급되고,
    상기 케이싱,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고정 스크롤을 관통하여 통로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 및 상기 간극 씰에 전달된 오일은 상기 통로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 스크롤을 거쳐 상기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실로 전달되고,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프레임 구조에서 상기 간극 씰 내측의 형성되는 배압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간극 씰은 상기 회전축과의 사이에 오일이 지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과 제1 간극을 가지고 설치되고, 상기 볼 베어링은 상기 회전축과 제2 간극을 가지고 설치되고, 상기 간극 씰의 제1 간극은 상기 볼 베어링의 제2 간극보다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유로에는 상기 고정 스크롤 측으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유로에는 상기 간극 씰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급 홀은 상기 간극 씰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90080142A 2019-07-03 2019-07-03 스크롤형 압축기 KR102238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142A KR102238539B1 (ko) 2019-07-03 2019-07-03 스크롤형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142A KR102238539B1 (ko) 2019-07-03 2019-07-03 스크롤형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170A KR20210004170A (ko) 2021-01-13
KR102238539B1 true KR102238539B1 (ko) 2021-04-09

Family

ID=7414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142A KR102238539B1 (ko) 2019-07-03 2019-07-03 스크롤형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5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51B1 (ko) * 2018-01-04 201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186A (ja) * 1996-11-25 1998-06-09 Hitachi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51B1 (ko) * 2018-01-04 201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170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89451A1 (en) Scroll compressor with supporting member in axial direction
US20130177465A1 (en) Compressor with compliant thrust bearing
EP1754889B1 (en) Air pump
CN114729637A (zh) 共旋转的涡旋式压缩机
JP5178613B2 (ja) スクリュー圧縮機
US7766633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 slider with a flat surface slidable and fitted in a notch part of a main shaft
JP5178612B2 (ja) スクリュー圧縮機
KR102238539B1 (ko) 스크롤형 압축기
JP2001041162A (ja) 容積形流体機械
JP5295087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11015600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sub-discharge port with involute-shaped opening
JP5334659B2 (ja) スクリュー圧縮機
US20200032798A1 (en) Motor-operated compressor
JP2003176793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6598881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4811200B2 (ja) 電動圧縮機
US20020085937A1 (en) Scroll type compress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232427B1 (ko) 스크롤형 압축기
JP5979974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その設計方法
JP7233935B2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4797548B2 (ja) 密閉型電動圧縮機
JP2019019768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7247978A (ja) 冷媒ポンプ
KR20200142758A (ko) 스크롤형 압축기
KR20200095994A (ko) 결합 구조가 개선된 스크롤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