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758A - 스크롤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758A
KR20200142758A KR1020190070014A KR20190070014A KR20200142758A KR 20200142758 A KR20200142758 A KR 20200142758A KR 1020190070014 A KR1020190070014 A KR 1020190070014A KR 20190070014 A KR20190070014 A KR 20190070014A KR 20200142758 A KR20200142758 A KR 20200142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croll
type compressor
path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형
김범석
임준영
최이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0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2758A/ko
Publication of KR2020014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8Lubr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정적인 오일 공급을 위한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하여 선회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상기 선회 스크롤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싱과 상기 고정 스크롤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실의 일측에 구비되는 오일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오일 저장부에 저장된 오일의 압력을 저감하여 상기 압축공간을 포함하는 흡입 유로에 공급하는 오일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롤형 압축기 {Scroll-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정적인 오일 공급을 위한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형 압축기는 밀폐된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고정 스크롤이 고정되고, 이 고정 스크롤에 선회 스크롤이 맞물려 선회운동을 하면서 냉매 등의 유체를 압축할 수 있는 압축기의 한 종류이다.
이러한 스크롤형 압축기는 다른 종류의 압축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압축비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유체의 흡입, 압축 및 토출 과정이 부드럽게 이어져 안정적인 토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므로 공조장치 등에서 냉매 압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종래의 스크롤형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크롤형 압축기는, 경판이나 탄성 플레이트에 원형 그루브를 만들어 오일 공간과 간헐 연통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탄성 플레이트 면과 자전 방지 구조에 급유하는 구조가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급유 구조에서는 오일의 압력을 강하하여 효과적으로 급유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특히, 고압의 냉매 적용 시에 감압 유로 길이가 길어져 압력강하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고압의 냉매이므로 금속 간의 실링이 어려워 누설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더욱이, 냉매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흡입 유로의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압축기의 성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1. 일본 등록특허공보 JP 611815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일의 압력을 저감하여 흡입 유로로 공급할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압축기의 흡입 유로에 오일을 직접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에 있어서 오일의 압력을 저감하여 흡입 유로로 공급할 수 있는 오일 공급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일 분리기를 통해 회수된 오일을 유속 변화부를 통하여 감압한 후에 흡입 유로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유로에 공급되는 직접적인 오일의 공급은 윤활 성능과 마찰열 손실 저감에 도움을 주어 최종적으로 압축기 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본 발명은, 케이싱과 고정 스크롤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실의 일측에 구비되는 오일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오일 저장부에 저장된 오일의 압력을 저감하여 압축공간을 포함하는 흡입 유로에 공급하는 오일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케이싱과 고정 스크롤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실의 일측에 구비되는 오일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 스크롤에 형성되는 제1 오일 경로 및 상기 제1 오일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오일 경로를 통하여 흐르는 오일의 유속을 변화시키는 유속 변화부를 포함하는 오일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하여 선회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상기 선회 스크롤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싱과 상기 고정 스크롤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실의 일측에 구비되는 오일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오일 저장부에 저장된 오일의 압력을 저감하여 상기 압축공간을 포함하는 흡입 유로에 공급하는 오일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공급부는, 상기 고정 스크롤에 형성되는 제1 오일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오일 경로는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공급부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공급부는, 상기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왕복 경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공급부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 연결되는 제2 오일 경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스크롤에 형성되는 제1 오일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오일의 흐름 속도를 변화시키는 유속 변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속 변화부는, 상기 제1 오일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는 설치홈; 및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로서 오리피스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 스크롤의 테두리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오일 경로는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하여 선회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상기 선회 스크롤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싱과 상기 고정 스크롤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실의 일측에 구비되는 오일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 스크롤에 형성되는 제1 오일 경로 및 상기 제1 오일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오일 경로를 통하여 흐르는 오일의 유속을 변화시키는 유속 변화부를 포함하는 오일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공급부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먼저, 오일의 압력이 감압되어 적절한 유속으로 압축기 내부를 윤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흡입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행하여지는 오일 공급은 압축기의 윤활 성능과 마찰열 손실의 저감에 도움을 주어 최종적으로 압축기 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금속 간의 실링이 고압의 냉매에서는 어려울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오리피스를 이용하여 감압이 이루어지므로 효과적으로 감압이 가능하다. 따라서, 누설에 의한 온도 상승이 감소하여 압축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 내부압력이 안정화되어 압축기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 내부의 안정적인 압력 제어가 가능하고, 압축기 내부 유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오일 공급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오일 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오일 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오일 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오일 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오일 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나의 오리피스가 설치된 오일 공급부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나의 오리피스가 설치된 오일 공급부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두 개의 오리피스가 설치된 오일 공급부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두 개의 오리피스가 설치된 오일 공급부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은 횡형 스크롤형 압축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오일 공급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러한 횡형 스크롤형 압축기(100)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110)을 포함하고, 이러한 케이싱(110) 내에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케이싱(110) 내에, 모터(200), 회전축(300), 서로 맞물리는 고정 스크롤(500) 및 선회 스크롤(600), 그리고 회전축(300)이 설치되는 프레임(400)을 포함할 수 있다.
밀폐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싱(110)은 횡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110)에는 냉매의 출입을 위한 흡입구(111) 및 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터(200)의 회전자(210)와 결합되는 회전축(300)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300)은 선회 스크롤(600)에 편심 결합될 수 있다. 즉, 모터(200)는 회전축(300)을 통하여 선회 스크롤(600)이 선회 운동할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200)의 일측에는 프레임(4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400)은 메인 프레임으로서 경도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400)은 고정 스크롤(500) 및 선회 스크롤(600)이 설치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레임(400)에는 고정 스크롤(500)이 결합되어 흡입 공간(501; 압축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400) 측에는 선회 스크롤(600)을 고정 스크롤(500)에 밀착시키는 배압이 작용하는 배압실(4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400)과 선회 스크롤(600) 사이에는 탄성 플레이트(800)가 위치할 수 있다.
케이싱(110)에는 흡입 공간(501)로부터 냉매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실(101)을 포함하고, 토출구(112)는 이 토출실(101)에 구비되어, 토출실(101)의 냉매는 토출구(11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실(101)에서 오일은 유분리기(140)를 통해 냉매와 분리될 수 있으며, 이때, 하측에 분리된 오일은 오일 저장부(141)에 적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싱(110)과 고정 스크롤(500)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실(101)의 일측에 오일 저장부(141)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오일 저장부(141)와 연결되는 오일 공급부(9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오일 공급부(900)는 오일 저장부(141)에 저장된 오일의 압력을 저감하여 압축공간을 포함하는 흡입 유로(501)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오일 공급부(900)는,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되는 제1 오일 경로(9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오일 경로(910)는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하나의 제1 오일 경로(91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오일 공급부(900)는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되는 제1 오일 경로(9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오일의 흐름 속도를 변화시키는 유속 변화부(920, 9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속 변화부(920, 930)는, 제1 오일 경로(9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설치홈(920) 및 이 설치홈(920)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0)로서 오리피스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오리피스는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 중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오리피스는 유체를 분출시키는 구멍으로, 교축 통로를 말한다. 이러한 오리피스는 관로의 중간에 설치하는 스로틀 기구의 하나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로의 중간에 관 입구의 단면적보다 직경이 작은 구멍이 존재한다. 유체가 이러한 직경이 변화하는 곳을 흐를 때 압력 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차이는 방향에 따라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0)는 내부를 흐르는 오일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오일 공급부(900)는, 탄성 플레이트(800)에 형성된 오일 경로(940; 이하, 제2 오일 경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오일 경로(940)는 제1 오일 경로(91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오일 경로(910)는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될 때, 이러한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오일 경로(9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오일 경로(940)는 탄성 플레이트(800) 상에서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플레이트(800) 상에서 형성된 제2 오일 경로(940) 또한 압력을 감압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오일 경로(910)는 회전축(300)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회전축(300)에 대하여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케이싱(110)의 흡입구(111) 측에는 별도의 인버터 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인버터 공간에는 인버터부(120)가 위치할 수 있다.
모터(200)는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권선이 설치되는 고정자(220) 및 이 고정자(220)에 결합되어 권선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230)를 포함하는 고정자 조립체 및 이 고정자 조립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 공간에 설치되는 인버터부(120)는 모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200)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400)의 일측에는 회전축(300)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면서 압축 공간을 실링하기 위한 실링 구조(31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케이싱(100)의 내측 단부측에도 베어링(320)이 설치되어 회전축(30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고정 스크롤(500)과 프레임(400) 사이에는 고정 스크롤(500)에 결합되어 이 고정 스크롤(500)에 대하여 선회 운동을 하는 선회 스크롤(60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선회 스크롤(600)은 회전축(300)에 연결되며, 회전축(300)의 중심과 편심되게 결합되어 선회 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서, 고정 스크롤(500)은 나선형 벽(랩)(5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회 스크롤(600)은 고정 스크롤(500)의 나선형 벽(520)에 결합되는 가동 나선형 벽(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롤형 압축기(100)에서는, 선회 스크롤(600)과 고정 스크롤(500)의 사이에 압축실(501)이 형성되어, 선회 스크롤(600)과 프레임(400)의 사이에 배압실(4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압실(401) 내에는 선회 스크롤(600)의 선회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을 상쇄하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7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밸런스 웨이트(700)는 회전축(300)에 설치되고, 회전축(300)의 편심 방향과는 반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밸런스 웨이트(700)와 선회 스크롤(600) 사이에도 베어링(311)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오일 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다른 실시예의 경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오일 공급부(900)는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일 공급부(900)는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되는 제1 오일 경로(9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오일의 흐름 속도를 변화시키는 유속 변화부(920, 921, 930, 9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속 변화부는, 제1 오일 경로(910)의 일측 경로에 구비되는 설치홈(920) 및 이 설치홈(920)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속 변화부는, 제1 오일 경로(910)의 타측 경로에 구비되는 설치홈(921) 및 이 설치홈(921)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오일 경로(910)의 일측 경로는 오일의 주입 경로가 될 수 있고, 제1 오일 경로(910)의 일측 경로는 오일의 회수 경로가 될 수 있다. 이때, 주입 측의 설치홈(920)은 회수 측의 설치홈(921)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0, 931)로서 오리피스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홈(920, 921) 및 오리피스(930, 931)에 의하여 주입되는 오일의 압력이 적정 수준으로 감압될 수 있다.
또한, 탄성 플레이트(800)에는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 연결되는 경로(이하, 제2 오일 경로; 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플레이트(800) 상에서 형성된 제2 오일 경로(940) 또한 압력을 감압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는 회전축(300)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 중 어느 하나는 회전축(300)에 대하여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오일 저장부(141)에 저장된 오일은 제1 오일 경로(910)를 통하여 주입 측의 설치홈(920) 및 오리피스(930)에 의하여 감압되어 흡입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후 탄성 플레이트(800) 상에 형성된 제2 오일 경로(940)에서 한차례 더 감압된 이후 이 제2 오일 경로(940)를 따라 흐르고, 이어, 회수 측의 설치홈(921) 및 오리피스(931), 그리고 제1 오일 경로(910)를 통하여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오리피스(930, 931)의 저항 크기에 따라 흐르는 오일의 유량과 오일 감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의 압력이 감압되어 적절한 유속으로 압축기 내부를 윤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행하여지는 오일 공급은 압축기의 윤활 성능과 마찰열 손실의 저감에 도움을 주어 최종적으로 압축기 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오일 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다른 실시예의 경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오일 공급부(900)는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일 공급부(900)는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되는 제1 오일 경로(9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오일의 흐름 속도를 변화시키는 유속 변화부(920, 921, 930, 9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속 변화부는, 제1 오일 경로(910)의 일측 경로에 구비되는 설치홈(920) 및 이 설치홈(920)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속 변화부는, 제1 오일 경로(910)의 타측 경로에 구비되는 설치홈(921) 및 이 설치홈(921)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오일 경로(910)의 일측 경로는 오일의 주입 경로가 될 수 있고, 제1 오일 경로(910)의 일측 경로는 오일의 회수 경로가 될 수 있다. 이때, 주입 측의 설치홈(920)은 회수 측의 설치홈(921)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0, 931)로서 오리피스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홈(920, 921) 및 오리피스(930, 931)에 의하여 주입되는 오일의 압력이 적정 수준으로 감압될 수 있다.
또한, 탄성 플레이트(800)에는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 연결되는 경로(이하, 제2 오일 경로; 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플레이트(800) 상에서 형성된 제2 오일 경로(940) 또한 압력을 감압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는 회전축(300)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 중 어느 하나는 회전축(300)에 대하여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일 공급부(900)는 제2 오일 경로(940)의 위치에 대응하여 프레임(400)에 형성된 왕복 경로(950; 제3 오일 경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오일 경로(950)는 입구홀(951)과 출구홀(9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구홀(951)과 출구홀(952)은 제2 오일 경로(940)의 양 단부측의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 저장부(141)에 저장된 오일은 제1 오일 경로(910)를 통하여 주입 측의 설치홈(920) 및 오리피스(930)에 의하여 감압되어 흡입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후 탄성 플레이트(800) 상에 형성된 제2 오일 경로(940)에서 한차례 더 감압된 이후 이 제2 오일 경로(940)를 따라 흐를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제2 오일 경로(940)에 이른 오일 중 일부는 제3 오일 경로(950)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입구홀(951)로 유입되어 제3 오일 경로(950)를 지난 후 출구홀(952)로 유출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오일 경로(940)를 따라 이송된 오일 및/또는 제3 오일 경로(950)의 출구홀(952)로 유출된 오일은 회수 측의 설치홈(921) 및 오리피스(931), 그리고 제1 오일 경로(910)를 통하여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오리피스(930, 931)의 저항 크기에 따라 흐르는 오일의 유량과 오일 감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의 압력이 감압되어 적절한 유속으로 압축기 내부를 윤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행하여지는 오일 공급은 압축기의 윤활 성능과 마찰열 손실의 저감에 도움을 주어 최종적으로 압축기 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오일 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다른 실시예의 경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오일 공급부(900)는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일 공급부(900)는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되는 제1 오일 경로(9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오일의 흐름 속도를 변화시키는 유속 변화부(920, 921, 930, 9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속 변화부는, 제1 오일 경로(911)의 일측 경로에 구비되는 설치홈(920) 및 이 설치홈(920)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속 변화부는, 제1 오일 경로(911)의 타측 경로에 구비되는 설치홈(921) 및 이 설치홈(921)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오일 경로(911)의 일측 경로는 오일의 주입 경로가 될 수 있고, 제1 오일 경로(911)의 일측 경로는 오일의 회수 경로가 될 수 있다. 이때, 주입 측의 설치홈(920)은 회수 측의 설치홈(921)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0, 931)로서 오리피스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홈(920, 921) 및 오리피스(930, 931)에 의하여 주입되는 오일의 압력이 적정 수준으로 감압될 수 있다.
이때, 제1 오일 경로(9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오일 경로(9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축(3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서로 연결되어 왕복 경로를 이룰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탄성 플레이트(800)에는 별도의 오일 경로가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속 변화부(920, 921, 930, 931) 만이 압력을 감압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 저장부(141)에 저장된 오일은 제1 오일 경로(911)를 통하여 주입 측의 설치홈(920) 및 오리피스(930)에 의하여 감압되어 흡입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렇게 흡입 공간으로 주입된 오일은 회수 측의 설치홈(921) 및 오리피스(931), 그리고 제1 오일 경로(911)를 통하여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오리피스(930, 931)의 저항 크기에 따라 흐르는 오일의 유량과 오일 감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의 압력이 감압되어 적절한 유속으로 압축기 내부를 윤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행하여지는 오일 공급은 압축기의 윤활 성능과 마찰열 손실의 저감에 도움을 주어 최종적으로 압축기 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오일 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다른 실시예의 경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오일 공급부(900)는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되는 단일의 제1 오일 경로(9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일 공급부(900)는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되는 제1 오일 경로(9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오일의 흐름 속도를 변화시키는 유속 변화부(920, 930, 9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속 변화부는, 제1 오일 경로(911)의 일측 경로에 구비되는 설치홈(920) 및 이 설치홈(920)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속 변화부는, 제1 오일 경로(912)의 타측 경로에 구비되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0, 932)로서 오리피스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홈(920) 및 오리피스(930, 932)에 의하여 주입되는 오일의 압력이 적정 수준으로 감압될 수 있다.
이때, 제1 오일 경로(910)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오일 경로(910)는 회전축(3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오일 경로(912)의 양측에 오리피스(930, 932)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일 경로(912)의 주입 단부 측에 위치하는 오리피스(932)는 고정 스크롤(500)의 외주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주입 단부 측에 위치하는 오리피스(932)는 고정 스크롤(500)의 테두리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오일 경로(910)는 오일의 주입 및 회수의 경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플레이트(800)에는 별도의 오일 경로가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속 변화부(920, 930, 932)가 압력을 감압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 저장부(141)에 저장된 오일은 제1 오일 경로(910)를 통하여 설치홈(920) 및 오리피스(930)에 의하여 감압되어 흡입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렇게 흡입 공간으로 주입된 오일은 오리피스(932), 그리고 제1 오일 경로(910)를 통하여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오리피스(930, 932)의 저항 크기에 따라 흐르는 오일의 유량과 오일 감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의 압력이 감압되어 적절한 유속으로 압축기 내부를 윤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행하여지는 오일 공급은 압축기의 윤활 성능과 마찰열 손실의 저감에 도움을 주어 최종적으로 압축기 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스크롤형 압축기의 오일 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다른 실시예의 경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오일 공급부(900)는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일 공급부(900)는 고정 스크롤(500)에 형성되는 제1 오일 경로(9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오일의 흐름 속도를 변화시키는 유속 변화부(920, 921, 930, 9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속 변화부는, 제1 오일 경로(910)의 일측 경로에 구비되는 설치홈(920) 및 이 설치홈(920)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속 변화부는, 제1 오일 경로(910)의 타측 경로에 구비되는 설치홈(921) 및 이 설치홈(921)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오일 경로(910)의 일측 경로는 오일의 주입 경로가 될 수 있고, 제1 오일 경로(910)의 일측 경로는 오일의 회수 경로가 될 수 있다. 이때, 주입 측의 설치홈(920)은 회수 측의 설치홈(921)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930, 931)로서 오리피스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홈(920, 921) 및 오리피스(930, 931)에 의하여 주입되는 오일의 압력이 적정 수준으로 감압될 수 있다.
또한, 탄성 플레이트(800)에는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에 대응하는 위치에 홀(941, 942)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는 회전축(300)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910) 중 어느 하나는 회전축(300)에 대하여 사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일 공급부(900)는 제2 오일 경로(940)의 위치에 대응하여 프레임(400)에 형성된 왕복 경로(950; 제3 오일 경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오일 경로(950)는 입구홀(951)과 출구홀(9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구홀(951)과 출구홀(952)은 제2 오일 경로(940)의 양 단부측의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 저장부(141)에 저장된 오일은 제1 오일 경로(910)를 통하여 주입 측의 설치홈(920) 및 오리피스(930)에 의하여 감압되어 흡입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후 탄성 플레이트(800) 상에 형성된 홀(941)을 관통한 오일 중 적어도 일부는 제3 오일 경로(950)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입구홀(951)로 유입되어 제3 오일 경로(950)를 지난 후 출구홀(952)로 유출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오일 경로(910)를 통과한 후 흡입 공간을 지난 오일, 탄성 플레이트(800) 상에 형성된 홀(941)을 관통한 오일 및/또는 및/또는 제3 오일 경로(950)의 출구홀(952)로 유출된 오일은 탄성 플레이트(800) 상에 형성된 타측의 홀(942)을 관통한 이후 회수 측의 설치홈(921) 및 오리피스(931), 그리고 제1 오일 경로(910)를 통하여 회수될 수 있다.
이때, 오리피스(930, 931)의 저항 크기에 따라 흐르는 오일의 유량과 오일 감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일의 압력이 감압되어 적절한 유속으로 압축기 내부를 윤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행하여지는 오일 공급은 압축기의 윤활 성능과 마찰열 손실의 저감에 도움을 주어 최종적으로 압축기 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나의 오리피스가 설치된 오일 공급부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하나의 오리피스가 설치된 오일 공급부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L은 오리피스를 의미하고, Q는 유량을 의미하며, Pd는 압축기 토출 위치, 그리고 Ps는 압축기 흡입 위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도 9에서, P1은 압축기의 토출 압력 그리고 P3는 압축기의 흡입 압력을 나타낸다.
압축기의 토출 압력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부하에 따라 다양하게 바뀌게 된다. 도 9에서는 네 개의 토출 압력을 표시하고 있다. 즉, 13Mpa, 12.5Mpa, 105Mpa 및 7.5Mpa는 압축기의 토출 압력을 의미하며, 3.5Mpa는 압축기의 흡입 압력을 의미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각 토출 압력 상황에 맞게 공급 오일의 압력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하나의 오리피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토출 압력이 도시하는 바와 같은 흡압 압력으로 감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오리피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감압된 흡압 압력에 의하여 오일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각 조건별로 그래프의 기울기가 다른 이유는 각각의 상황에서 감압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두 개의 오리피스가 설치된 오일 공급부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두 개의 오리피스가 설치된 오일 공급부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L1 및 L2는 오리피스를 의미하고, Q는 유량을 의미하며, Pd는 압축기 토출 위치, 그리고 Ps는 압축기 흡입 위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도 9에서, P1은 압축기의 토출 압력, P3는 압축기의 흡입 압력 그리고 P2는 하나의 오리피스를 통과한 이후의 압력을 나타낸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기의 토출 압력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부하에 따라 다양하게 바뀌게 된다. 도 11에서는 네 개의 토출 압력을 표시하고 있다. 즉, 13Mpa, 12.5Mpa, 105Mpa 및 7.5Mpa는 압축기의 토출 압력을 의미하며, 3.5Mpa는 압축기의 흡입 압력을 의미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각 토출 압력 상황에 맞게 공급 오일의 압력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두 개의 오리피스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토출 압력이 도시하는 바와 같은 흡압 압력으로 단계적으로 감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오리피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두 오리피스를 지나면서 효과적으로 감압된 흡압 압력에 의하여 오일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금속 간의 실링이 고압의 냉매에서는 어려울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오리피스를 이용하여 감압이 이루어지므로 효과적으로 감압이 가능하다. 따라서, 누설에 의한 온도 상승이 감소하여 압축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 내부압력이 안정화되어 압축기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 내부의 안정적인 압력 제어가 가능하고, 압축기 내부 유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압축기 110: 케이싱
120: 인버터부
200: 모터 210: 회전자
220: 고정자 230: 절연체
300: 회전축 400: 프레임
500: 고정 스크롤
600: 선회 스크롤
700: 밸런스 웨이트
800: 탄성 플레이트
900: 오일 공급부
910, 911, 912: 제1 오일 경로
920, 921: 설치홈
930, 931, 932: 오리피스
940: 제2 오일 경로
950: 제3 오일 경로

Claims (20)

  1.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하여 선회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상기 선회 스크롤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싱과 상기 고정 스크롤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실의 일측에 구비되는 오일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오일 저장부에 저장된 오일의 압력을 저감하여 상기 압축공간을 포함하는 흡입 유로에 공급하는 오일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공급부는, 상기 고정 스크롤에 형성되는 제1 오일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일 경로는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공급부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공급부는, 상기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왕복 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공급부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 연결되는 제2 오일 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크롤에 형성되는 제1 오일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오일의 흐름 속도를 변화시키는 유속 변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변화부는,
    상기 제1 오일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는 설치홈; 및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는 오리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 스크롤의 테두리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일 경로는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사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3. 스크롤형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스크롤;
    상기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압축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하여 선회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프레임과 상기 선회 스크롤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싱과 상기 고정 스크롤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실의 일측에 구비되는 오일 저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 스크롤에 형성되는 제1 오일 경로 및 상기 제1 오일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오일 경로를 통하여 흐르는 오일의 유속을 변화시키는 유속 변화부를 포함하는 오일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일 경로는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공급부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공급부는, 상기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왕복 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공급부는, 상기 탄성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오일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 연결되는 제2 오일 경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변화부는,
    상기 제1 오일 경로의 일측에 구비되는 설치홈; 및
    상기 설치홈에 설치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이 변화하는 관통형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 스크롤의 테두리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일 경로는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사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KR1020190070014A 2019-06-13 2019-06-13 스크롤형 압축기 KR20200142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014A KR20200142758A (ko) 2019-06-13 2019-06-13 스크롤형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014A KR20200142758A (ko) 2019-06-13 2019-06-13 스크롤형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758A true KR20200142758A (ko) 2020-12-23

Family

ID=7408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014A KR20200142758A (ko) 2019-06-13 2019-06-13 스크롤형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27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159B2 (ko) 1981-07-16 1986-05-10 Kraftwerk Union A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159B2 (ko) 1981-07-16 1986-05-10 Kraftwerk Union 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459B1 (ko)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US8177522B2 (en) Mode changing apparatus for a scroll compressor
JP5870056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2549777B1 (ko) 스크롤 압축기
JP5774134B2 (ja) ベーン型圧縮機
JP2008101559A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
KR100746896B1 (ko) 스크롤 압축기
US20170058900A1 (en) Lubrication system of electric compressor
WO2017150602A1 (ja) 圧縮機
JP6745992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0065635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5178612B2 (ja) スクリュー圧縮機
JP2016223390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CN210164645U (zh) 电压缩机
JP4604968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557061B1 (ko) 스크롤 압축기
KR20130102357A (ko) 횡형 스크롤 압축기
KR20200142758A (ko) 스크롤형 압축기
JP5386566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200108706A (ko) 전동식 압축기
JP6913842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CN114450487B (zh) 共同旋转的涡旋压缩机的稳定性
KR102232427B1 (ko) 스크롤형 압축기
JP5979974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その設計方法
KR102238539B1 (ko) 스크롤형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