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688B1 -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688B1
KR102236688B1 KR1020200170526A KR20200170526A KR102236688B1 KR 102236688 B1 KR102236688 B1 KR 102236688B1 KR 1020200170526 A KR1020200170526 A KR 1020200170526A KR 20200170526 A KR20200170526 A KR 20200170526A KR 102236688 B1 KR102236688 B1 KR 102236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secondary battery
cylinder
fixing frame
inclined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시스
Priority to KR102020017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판 상면에 수직프레임을 형성하되, 수직프레임 사이에 고정프레임을 형성한 본체를 구비하고, 고정프레임에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지그를 형성한 제1지그부를 설치하며, 제1지그부와 직교되게, 본체의 고정프레임 사이에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지그를 형성한 제2지그부를 설치하고, 수직프레임 양 측면에 제1지그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를 설치하고, 베이스프레임에 제2지그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를 설치함으로써, 제1지그부의 제1지그 또는 제2지그부의 제2지그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되도록 하여, 이차전지의 양 측면 또는 전, 후면을 밀착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지그 또는 제2지그를 원축 방식에 의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시켜, 이차전지 양 측면 또는 전, 후면을 밀착 고정하고, 원축 방식에 의해 승강 회전되면서 이차전지를 밀착 고정하여, 이차전지 양 측면 또는 전, 후면을 고정 시간이 단축되며, 고정프레임 상에 안착된 이차전지의 양측면 또는 전, 후면을 제1지그부 또는 제2지그부로 교차로 밀착 지지한 상태에서, 이차전지 외면 상태를 검사하여 검사시간이 단축되고, 단일의 장치로 이차전지의 양측면 또는 전, 후면을 선택 고정한 상태에서, 이차전지의 전체 외면을 손쉽게 검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지그장치{Secondary cell jig equipment}
본 발명은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고정프레임에 설치된 각각의 제1지그부의 제1지그 또는 제2지그부의 제2지그가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되도록 하여, 검사면에 직교되는 이차전지 양 측면 또는 전, 후면을 제1지그 또는 제2지그로 밀착 지지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니켈-카드뮴(Ni-Cd), 니켈-수소(Ni-MH), 납축전지(SLA), 리튬-이온(lithium-Ion) 및 리튬-폴리머(lithium-polymer) 등이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 충방전 효율이나 전류용량 등을 고려하여 내부에 여러 개의 셀 즉, 단위전지들을 연결한 전지팩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현재는 높은 에너지 밀도, 경량, 고전압, 무공해, 고출력, 고속충전, 우수한 수명 등의 장점을 지닌 리튬전지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리튬전지는 리튬이온전지, 리튬이온폴리머전지 및 리튬금속폴리머전지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이차전지는 제조과정에서, 이를 검사하기 위해 지그로 고정한 상태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의 외관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전지셀의 회전 지그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용접봉과, 이 용접봉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전, 후 및 좌, 우 측면에 서로 다른 폭 넓이는 갖는 장착틀을 형성한 본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장착틀의 전, 후 및 좌, 우측면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전지셀이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지셀의 진입방향에 대응하도록 회전지그의 본체가 회전봉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전지셀 종류에 대응하는 장착틀이 전지셀 진입방향을 향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장착틀에는 전지셀의 높이를 고려하여,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이 지지부에 의해 전지셀의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장착틀에 전지셀을 장착하는 경우, 이 전지셀의 전면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전지셀의 측면부 및 후면부 외관 상태를 검사할 수 없고, 전지셀의 각각의 전, 후면 검사를 위해 장착틀에 전지셀을 반복 장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전지셀 양 측면이 장착틀에 가로막혀 전지셀 양 측면 검사가 불가능하되, 별도의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전지셀 양 측면을 검사하여, 검사시간이 매우 오래걸리고, 전지셀을 장착틀에 단순 끼워넣어, 전지셀이 장착틀에서 손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으며, 이 전지셀 이탈로 인해 용접작업 또는 전지셀 검사작업등을 전혀 수행할 수 없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194161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판 상면에 수직프레임을 형성하되, 수직프레임 사이에 고정프레임을 형성한 본체를 구비하고, 고정프레임에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지그를 형성한 제1지그부를 설치하며, 제1지그부와 직교되게, 본체의 고정프레임 사이에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지그를 형성한 제2지그부를 설치하고, 수직프레임 양 측면에 제1지그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를 설치하고, 베이스프레임에 제2지그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를 설치함으로써, 제1지그부의 제1지그 또는 제2지그부의 제2지그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되도록 하여, 이차전지의 양 측면 또는 전, 후면을 밀착 지지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는, 판재형상의 베이스판을 형성하고, 이 베이스판 상면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수직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그 상면에 이차전지가 안착되도록 허용하는 고정프레임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 작동되면서 그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 제1지그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차전지 양 측면을 압입 고정하는 제1지그부; 상기 제1지그부와 직교되게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 작동되면서 그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 제2지그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지그부와 직교되는 상기 이차전지의 전, 후면을 압입 고정하는 제2지그부; 상기 본체의 베이스판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지그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지그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 상기 본체의 수직프레임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지그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지그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프레임 일측면에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를 잇도록 고정 설치되어,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하는 상기 제2지그가 정해진 반경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한스톱퍼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프레임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이차전지를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베이스판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 및 제2지그부는, 상기 제1지그 및 상기 제2지그를 동시에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지그 및 상기 제2지그로 이차전지의 서로 직교되는 양 측면 및 전, 후면을 동시에 밀착 지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1지그 또는 상기 제2지그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교차 작동시켜, 상기 제1지그 또는 상기 제2지그로 이차전지의 양 측면 또는 전, 후면을 밀착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는, 판재형상으로, 상기 제1실린더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제1실린더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제1승강블럭과; 양단이 상기 제1승강블럭과 상기 제1지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양 측면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지그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시키는 제1하단링크; 양단이 상기 제1지그와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지그가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되는 것을 지지하는 제1상단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는, 판재형상으로,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서 그 양단이 상기 제2실린더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제2실린더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제2승강블럭과;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2지그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지그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시키는 제2하단링크; 상기 제2하단링크 상부에 위치되고,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2지그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지그가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되는 것을 지지하는 제2상단링크; 양단이 상기 제2승강블럭과 상기 제2하단링크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승강블럭에 의해 밀려나거나 혹은 당겨지면서 상기 제2하단링크를 회전시키는 연결링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지그부는, 이차전지와 마주보는 상기 제1, 제2지그의 일면에 상기 제1, 제2지그가 이차전지 외면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패킹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지그부의 제1지그 또는 제2지그부의 제2지그를 원축 방식에 의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시켜, 이차전지 양 측면 또는 전, 후면을 밀착 고정하고, 원축 방식에 의해 승강 회전되면서 이차전지 양 측면 또는 전, 후면을 밀착 고정하여, 제1지그부 또는 제2지그부가 이차전지 양 측면 또는 전, 후면을 고정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특히, 고정프레임 상에 안착된 이차전지의 서로 직교되는 양측면 또는 전, 후면을 제1지그부 또는 제2지그부로 교차로 밀착 지지한 상태에서, 이차전지 외면 상태를 검사하여 검사시간이 단축되고, 단일의 장치로 이차전지의 양측면 또는 전, 후면을 선택 고정한 상태에서, 이차전지의 전체 외면을 손쉽게 검사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의 제1지그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의 제2지그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0)는 판재형상의 베이스판(101)을 형성하고, 이 베이스판(101) 상면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수직프레임(102)을 형성하며, 상기 수직프레임(102) 사이에 그 상면에 이차전지(B)가 안착되도록 허용하는 고정프레임(103)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수직프레임(102)과 상기 고정프레임(103)이 서로 직교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프레임(102)은 그 양 측면에 상기 제1실린더(400)를 수직방향으로 고정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02)은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사이에 상기 제2실린더(500)가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03)은 상기 수직프레임(102)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직립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고정프레임(103) 일측면에 상기 고정프레임(103) 사이를 잇도록 고정 설치되어,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하는 상기 제2지그(301)가 정해진 반경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한스톱퍼(104)를 더 형성한다
상기 제한스톱퍼(104)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지그(301)가 정해진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고정프레임(103)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이차전지(B)를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부재(103a)를 더 형성한다.
상기 받침부재(103a)는 상기 이차전지(B)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베이스판(101)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10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105)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실린더(105)는 상기 베이스판(101)을 회전시켜, 이 베이스판(101) 상에 설치된 제1지그부(200) 및 제2지그부(300)를 정해진 각도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실린더(105)는 상기 베이스판(101)을 회전시켜,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제1지그부(200)를 이차전지(B)의 전, 후면에, 상기 제2지그부(300)를 이차전지(B)의 양측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1지그부(200)는 상기 고정프레임(10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 작동되면서 그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 제1지그(201)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차전지(B) 양 측면을 압입 고정한다.
상기 제1지그부(200)는 상기 제1실린더(400)에 의해 회전 승강되어 상기 제이차전지(B) 양 측면을 압입 고정한다.
상기 제1지그(201)는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되고,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되면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벌어진다.
상기 제1지그(200)는 이차전지(B)와 마주보는 상기 제1지그(201)의 일면에 상기 제1지그(201)가 이차전지(B) 외면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패킹(201a)을 더 형성한다.
상기 완충패킹(201a)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이차전지(B)에 밀착되는 상기 제1지그(201)에 의해 이차전지(B)에 스크래치 또는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지그(200)의 넓이는 상기 제2지그(301)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상기 이차전지(B)의 양 측면을 밀착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그부(200)는 상기 제1지그(201)를 상기 제2지그(301)와 동시에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차전지(B)의 서로 직교되는 양 측면 및 전, 후면을 동시에 밀착 지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2지그(301)와 교차 되게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차전지(B)의 양 측면을 밀착 지지한다.
상기 제1지그부(200)는 상기 제2지그부(301)와 동시에 작동되거나 혹은 상기 제2지그부(301)와 교차되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지그부(200)는 판재형상으로, 상기 제1실린더(400)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4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실린더(400)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제1승강블럭(202)과, 양단이 상기 제1승강블럭(202)과 상기 제1지그(2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양 측면이 상기 고정프레임(10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지그(201)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시키는 제1하단링크(203), 양단이 상기 제1지그(201)와 상기 고정프레임(103)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지그(201)가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되는 것을 지지하는 제1상단링크(204)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승강블럭(202)은 상기 제1실린더(400)에 의해 승강 이동되고, 상기 제1하단링크(203)를 밀어내거나 혹은 당기면서 상기 제1지그(201)를 상향 경사지거나 혹은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시킨다.
상기 제1승강블럭(202)은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지그부(300)의 제2승강블럭(302)이 통과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제2승강블럭(302)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승강블럭(202)은 서로 대칭되는 양 측면에 상기 제1하단링크(203)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제1하단링크(203)는 아치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그(201)를 상향 경사진 방향 또는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시킨다.
상기 제1하단링크(203)는 상기 고정프레임(103)을 기준으로 상기 제1승강블럭(202)에 의해 당겨지거나 혹은 밀려나면서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지그(201)를 승강 회전시킨다.
상기 제1하단링크(203)는 상기 제1상단링크(204)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상단링크(204)는 상기 고정프레임(103)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지그(201)가 이차전지(B) 양 측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을 지지한다.
제2지그부(300)는 상기 제1지그부(200)와 직교되게 상기 고정프레임(103)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 작동되면서 그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 제2지그(301)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지그부(200)와 직교되는 상기 이차전지(B)의 전, 후면을 압입 고정한다.
상기 제2지그부(300)는 상기 제2실린더(500)에 의해 회전 승강되어 상기 제이차전지(B)의 전, 후면을 압입 고정한다.
상기 제2지그(301)는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되고,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되면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벌어진다.
상기 제2지그(300)는 이차전지(B)와 마주보는 상기 제2지그(301)의 일면에 상기 제2지그(301)가 이차전지(B) 외면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패킹(301a)을 더 형성한다.
상기 완충패킹(301a)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이차전지(B)에 밀착되는 상기 제2지그(301)에 의해 이차전지(B)에 스크래치 또는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지그(301)의 넓이는 상기 제1지그(201)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상기 이차전지(301)의 전, 후면을 밀착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그부(300)는 상기 제1지그(201)와 동시에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지그(201)와 이차전지(B)의 서로 직교되는 양 측면 및 전, 후면을 동시에 밀착 지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1지그(201) 또는 상기 제1지그(201)와 교차 되게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차전지(B)의 전, 후면을 밀착 지지한다.
상기 제2지그부(300)는 상기 제1지그부(200)와 동시에 작동되거나 혹은 상기 제1지그부(200)와 교차되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지그부(300)는 판재형상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3) 사이에서 그 양단이 상기 제2실린더(500)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실린더(500)와 연결되어, 상기 제2실린더(500)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제2승강블럭(302)과,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2지그(30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0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지그(301)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시키는 제2하단링크(303), 상기 제2하단링크(303) 상부에 위치되고,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2지그(30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0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지그(301)가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되는 것을 지지하는 제2상단링크(304), 양단이 상기 제2승강블럭(302)과 상기 제2하단링크(303)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승강블럭(302)에 의해 밀려나거나 혹은 당겨지면서 상기 제2하단링크(303)를 회전시키는 연결링크(305)로 구성된다.
상기 제2승강블럭(302)은 상기 제2실린더(500)에 의해 승강 이동되면서, 상기 연결링크(305)를 밀어내거나 혹은 당긴다.
상기 제2승강블럭(302)은 상기 제1승강블럭(202)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1승강블럭(202)을 가로지르도록 통과하여, 그 양단이 상기 제2실린더(500)와 연결된다.
상기 제2승강블럭(302)은 상기 제1승강블럭(202)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 작동시 상기 제1승강블럭(202)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2하단링크(303)는 아치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되,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링크(305)에 의해 밀려나거나 혹은 당겨지면서 상기 제2지그(301)가 상향경사진 방향 또는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2하단링크(303)는 상기 고정프레임(103)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지그(301)를 승강 회전시킨다.
상기 제2상단링크(304)는 상기 제2하단링크(303)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지그가 이차전지(B)의 전, 후면 방향을 향해 승강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2상단링크(304)는 상기 제2하단링크(30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링크(305)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상기 제2하단링크(303) 각각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305)는 상기 제2승강블럭(302)에 의해 승강 이동되면서, 상기 제2하단링크(303)를 밀어내거나 혹은 당긴다.
제1실린더(400)는 상기 본체(100)의 베이스판(101)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지그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지그부(200)를 승강 이동시킨다.
상기 제1실린더(400)는 상기 제1지그부(200)의 제1승강블럭(202)과 연결되어, 상기 제1승강블럭(202)을 승강 이동시킨다.
상기 제1실린더(400)는 상기 제1승강블럭(202)의 정 중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승강블럭(202)을 승강 이동시킨다.
제2실린더(500)는 상기 본체(100)의 수직프레임(102)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지그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제2지그부(300)를 승강 이동시킨다.
상기 제2실린더(500)는 상기 제2지그부(300)의 제2승강블럭(302)과 연결되어, 상기 제2승강블럭(302)을 승강 이동시킨다.
상기 제2실린더(500)는 상기 제2승강블럭(302)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2승강블럭(302)을 승강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는 일렬방향으로 이동하는 주행장치에 일렬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동시에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이차전지용 지그장치가 주행하는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본체(100)의 고정프레임(103) 상에 이차전지(B)를 안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제1지그부(200) 및 제2지그부(300)를 동시에 승강 회전시켜, 이 제1지그부(200) 및 제2지그부(300)의 제1, 제2지그(201, 301)로 이차전지(B)의 전, 후면 및 양 측면을 동시에 압입 밀착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고정프레임(103) 상면에는 받침부재(10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받침부재(103a)에 이차전지(B)를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받침부재(103a)에 의해 상기 이차전지(B)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완화된다.
이때, 상기 제1지그부(200)의 제1승강블럭(202)은 상기 제1실린더(400)에 의해 하방으로 승강 이동되면서, 상기 제1하단링크(203)를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시키고, 이에따라, 상기 제1하단링크(203)가 상기 고정프레임(103)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지그(201)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하단링크(203)는 상기 고정프레임(10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0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제1하단링크(203) 상부에는 제1상단링크(20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1상단링크(204)가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되는 상기 제1지그(201)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지그(201)의 회전을 안내한다.
즉, 상기 제1승강블럭(202)에 의해 상기 제1하단링크(203)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1지그(201)를 회전시키고, 이때, 상기 제1상단링크(204)가 상기 제1지그(201)의 회전을 안내하여, 상기 제1지그(201)가 상기 이차전지(B)의 양 측면 방향으로 회전 승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지그부(200)와 동시에 상기 제2지그부(300)의 제2실린더(500)가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제2승강블럭(302)을 상방으로 승강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2승강블럭(302)과 연결된 상기 연결링크(305)가 상기 제2승강블럭(302)에 밀려 나면서 상기 제2하단링크(303)를 상방으로 밀어내고, 이에따라, 한 쌍의 상기 제2하단링크(303)가 상기 고정프레임(103)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지그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하단링크(303) 및 상기 제2상단링크(304)는 상기 고정프레임(10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고정프레임(103) 부분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2하단링크(303)의 상부에는 상기 제2상단링크(30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2상단링크(304)는 상기 고정프레임(103)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그(301)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2지그(301)가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상기 제2지그(301)가 이차전지(B) 전,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지그(201, 301)는 완충패드(201a, 301a)를 형성하고 있어, 상기 제1지그(201) 및 제2지그(301)의 완충패드(201a. 301a)가 이차전지(B)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1, 제2지그(201, 301)에 의해 이차전지(B)의 외면에 스크래치 또는 손상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면, 상기 이차전지(B)가 상기 제1, 제2지그(201, 301)에 의해 압입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프레임(103)의 정 중앙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차전지(B)의 위치가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지그부(200) 및 제2지그부(300)로 이차전지(B)의 위치 결정을 완료하면, 이어서, 상기 제2지그부(300)의 제2지그(301)가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되어, 상기 제2지그(301)의 압입 밀착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이차전지(B)의 전, 후면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2지그부(300)와 연결된 상기 제2실린더(500)가 하방으로 승강 이동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2실린더(500)에 의해 상기 제2승강블럭(302)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결링크(305)를 당겨, 이 연결링크(305)에 연결된 상기 제2하단링크(303)가 하방으로 당겨진다.
그러면, 한 쌍의 상기 제2하단링크(303)가 상기 고정프레임(103)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진 방향을 향해 회전 승강되면서 상기 제2지그(301)를 하방으로 당기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2지그(301)가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되면서, 그 사이가 서로 벌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하단링크(303)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제2상단링크(304)는 상기 고정프레임(103)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그(301)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2지그(301)가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이때, 상기 제2지그부(300)의 제2지그(301)는 상기 본체(100)의 제한스토퍼(104)에 걸림되어, 상기 제2지그(301)가 정해진 반경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제2지그(301)가 상기 고정프레임(103) 주변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어서, 이차전지(B)의 양 측면을 고정한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면, 이차전지(B)의 전면 및 후면을 검사장치(미도시)로 촬영하여, 이차전지(B)의 전면 및 후면의 정상 유무 상태를 식별한다.
이후, 이차전지(B)의 전, 후면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제2지그부(300)의 제2지그(301)가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되어, 상기 제2지그(301)로 이차전지(B)의 전, 후면을 압입 밀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1실린더(400)가 승강 작동되어, 상기 제1승강블럭(202)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이때, 상기 제1승강블럭(202)에 연결된 상기 제1하단링크(203)가 상기 고정프레임(103)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되어, 상기 제1지그(201)를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하단링크(203) 상부에 설치된 제1상단링크(204)는 상기 제1지그(201)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103)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지그(201)가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되도록 안내한다.
이후, 상기 제1지그(201)를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하면서 서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하고, 이어서, 상기 본체(100)의 베이스판(101) 하부에 설치된 회전실린더(105)로 상기 베이스판(101)을 회전시켜, 이차전지(B)의 양 측면이 검사장치(미도시) 방향을 향해 전, 후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지그부(200) 및 상기 제2지그부(300)가 상기 베이스판(101)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2지그부(300)의 제2지그(301)가 이차전지(B)의 전, 후면을 압입 밀착한 상태에서, 검사장치 방향을 향해 이차전지(B)의 양 측면을 노출시킨 상태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장치(미도시)를 통해 이차전지(B)의 양 측면을 검사하여, 이차전지(B)의 외관 상태를 검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되는 제1지그(201) 또는 제2지그(301)로 이차전지(B)의 양측면 또는 전, 후면을 밀착 고정하여, 이차전지(B)의 양측면 및 전, 후면을 검사하는 구조는, 제1지그부(200)의 제1지그(201) 또는 제2지그부(300)의 제2지그(301)를 원축 방식에 의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시켜, 이차전지(B) 양 측면 또는 전, 후면을 밀착 고정하고, 원축 방식에 의해 승강 회전되면서 이차전지(B) 양 측면 또는 전, 후면을 밀착 고정하여, 제1지그부(200) 또는 제2지그부(300)가 이차전지(B) 양 측면 또는 전, 후면을 고정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특히, 고정프레임(103) 상에 안착된 이차전지(B)의 서로 직교되는 양측면 또는 전, 후면을 제1지그부(200) 또는 제2지그부(300)로 교차로 밀착 지지한 상태에서, 이차전지(B) 외면 상태를 검사하여 검사시간이 단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본체 101 : 베이스판
102 : 수직프레임 103 : 고정프레임
103a : 받침부재 104 : 제한스톱퍼
105 : 회전실린더 200 : 제1지그부
201 : 제1지그 201a, 301a : 완충패킹
202 : 제1승강블럭 203 : 제1하단링크
204 : 제1상단링크 300 : 제2지그부
301 : 제2지그 302 : 제2승강블럭
303 : 제2하단링크 304 : 제2상단링크
305 : 연결링크 400 : 제1실린더
500 : 제2실린더 B : 이차전지

Claims (8)

  1. 판재형상의 베이스판(101)을 형성하고, 이 베이스판(101) 상면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된 수직프레임(102)을 형성하며, 상기 수직프레임(102) 사이에 그 상면에 이차전지(B)가 안착되도록 허용하는 고정프레임(103)을 형성한 본체(100)와;
    상기 고정프레임(10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 작동되면서 그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 제1지그(201)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차전지(B) 양 측면을 압입 고정하는 제1지그부(200);
    상기 제1지그부(200)와 직교되게 상기 고정프레임(103)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 작동되면서 그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 제2지그(301)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지그부(200)와 직교되는 상기 이차전지(B)의 전, 후면을 압입 고정하는 제2지그부(300);
    상기 본체(100)의 베이스판(101)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지그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지그부(200)를 승강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400);
    상기 본체(100)의 수직프레임(102)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지그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제2지그부(300)를 승강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500);
    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베이스판(101)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10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실린더(10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그부(200) 및 제2지그부(300)는 상기 제1지그(201) 및 상기 제2지그(301)를 동시에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지그(201) 및 상기 제2지그(301)로 이차전지(B)의 서로 직교되는 양 측면 및 전, 후면을 동시에 밀착 지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1지그(201) 또는 상기 제2지그(301)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교차 작동시켜, 상기 제1지그(201) 또는 상기 제2지그(301)로 이차전지(B)의 양 측면 또는 전, 후면을 밀착 지지하며,
    상기 제1, 제2지그부(200, 300)는 이차전지(B)와 마주보는 상기 제1, 제2지그(201, 301)의 일면에 상기 제1, 제2지그(201, 301)가 이차전지(B) 외면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패킹(201a, 301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고정프레임(103) 일측면에 상기 고정프레임(103) 사이를 잇도록 고정 설치되어,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승강 회전하는 상기 제2지그(301)가 정해진 반경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한스톱퍼(104)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고정프레임(103) 상면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이차전지(B)를 떠받쳐 지지하는 받침부재(103a)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200)는,
    판재형상으로, 상기 제1실린더(400)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4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실린더(400)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제1승강블럭(202)과;
    양단이 상기 제1승강블럭(202)과 상기 제1지그(2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양 측면이 상기 고정프레임(10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지그(201)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시키는 제1하단링크(203);
    양단이 상기 제1지그(201)와 상기 고정프레임(103)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지그(201)가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되는 것을 지지하는 제1상단링크(20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300)는,
    판재형상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3) 사이에서 그 양단이 상기 제2실린더(500)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실린더(500)와 연결되어, 상기 제2실린더(500)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제2승강블럭(302)과;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2지그(30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0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지그(301)를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시키는 제2하단링크(303);
    상기 제2하단링크(303) 상부에 위치되고,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2지그(30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0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지그(301)가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승강되는 것을 지지하는 제2상단링크(304);
    양단이 상기 제2승강블럭(302)과 상기 제2하단링크(303)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승강블럭(302)에 의해 밀려나거나 혹은 당겨지면서 상기 제2하단링크(303)를 회전시키는 연결링크(30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8. 삭제
KR1020200170526A 2020-12-08 2020-12-08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KR102236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526A KR102236688B1 (ko) 2020-12-08 2020-12-08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526A KR102236688B1 (ko) 2020-12-08 2020-12-08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688B1 true KR102236688B1 (ko) 2021-04-06

Family

ID=7547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526A KR102236688B1 (ko) 2020-12-08 2020-12-08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5012A (zh) * 2021-08-06 2021-11-09 深圳市鸿发鑫科技有限公司 具有不规则件固定装置的检测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944A (ko) * 2007-12-13 2009-06-1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본딩 장비의 카메라 촛점 자동조정장치
KR101194161B1 (ko) 2010-07-16 2012-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회전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 용접 방법
KR20150125085A (ko) * 2014-04-29 2015-11-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의 회전식 코팅 장치
KR20190105855A (ko) * 2018-03-06 2019-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위셀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2944A (ko) * 2007-12-13 2009-06-1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본딩 장비의 카메라 촛점 자동조정장치
KR101194161B1 (ko) 2010-07-16 2012-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회전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 용접 방법
KR20150125085A (ko) * 2014-04-29 2015-11-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의 회전식 코팅 장치
KR20190105855A (ko) * 2018-03-06 2019-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위셀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5012A (zh) * 2021-08-06 2021-11-09 深圳市鸿发鑫科技有限公司 具有不规则件固定装置的检测设备
CN113625012B (zh) * 2021-08-06 2024-05-10 深圳市鸿发鑫科技有限公司 具有不规则件固定装置的检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534B1 (ko) 복수 개의 이차전지 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충전장치
KR102236688B1 (ko)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JP5419690B2 (ja) 液体電解質バッテリを製造する方法
KR101903367B1 (ko) 이차전지의 절연필름 패키징장치
KR20160126891A (ko)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의 전극단자 용접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용접 방법
CN116511753A (zh) 一种锂电池极耳焊接用设备及焊接方法
CN210243686U (zh) 一种汽车锂电池检测用夹具
CN109732242B (zh) 一种蓄电池极柱焊接自动紧固校准对接装置
CN218885764U (zh) 一种用于太阳能表面缺陷检测装置
CN116500051A (zh) 锂电池包蓝膜检测装置
JP2022541475A (ja) バッテリーパックの積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テリーパック積載方法
KR20210155075A (ko) 배터리셀용 버스바 조립장치
KR20230050175A (ko) 이차전지 트레이 검사 시스템 및 이차전지 트레이 검사 방법.
KR20230003995A (ko) 파우치셀 이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송 방법
CN109119672B (zh) 钢壳与电芯自动组装机构
KR102503008B1 (ko) 전극 절단 장치
CN211238387U (zh) 一种锂电池加工用夹持夹具
CN112259780A (zh) 一种新能源锂离子电池模组制造加工方法
CN211088385U (zh) 一种铅蓄电池极群焊接用极板板耳对齐装置
CN218452699U (zh) 一种六工位汽车电池组装机下料装置
CN219937110U (zh) 一种电芯入壳机构和电芯入壳系统
CN219106321U (zh) 一种软包电池自动封口装置
CN220762672U (zh) 一种夹爪结构及夹持装置
KR20200046473A (ko)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CN220121896U (zh) 一种方壳电芯pack包组装及焊接半自动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