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473A -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 Google Patents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6473A
KR20200046473A KR1020180127677A KR20180127677A KR20200046473A KR 20200046473 A KR20200046473 A KR 20200046473A KR 1020180127677 A KR1020180127677 A KR 1020180127677A KR 20180127677 A KR20180127677 A KR 20180127677A KR 20200046473 A KR20200046473 A KR 20200046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econdary battery
cylindrical
electrode assembly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936B1 (ko
Inventor
윤진국
이유성
Original Assignee
(주)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18012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9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01M2/022
    • H01M2/10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원통형 이차전지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 전극조립체(10) 및 상기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되는 원통형 캔부재(20)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로서, 하나 이상의 원통형 전극조립체(10)가 로딩되는 로딩부(100)와; 상기 로딩부(10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각 원통형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홀(31)들이 형성된 트레이(30)가 위치되는 적재부(200)와; 상기 로딩부(100)에 위치된 원통형 전극조립체(10)를 픽업하여 상기 적재부(200)에 위치된 트레이(30)의 삽입홀(31)에 원통형 전극조립체(10)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플레이스하는 이송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handler}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원통형 이차전지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secondary cell), 축전지(storage battery)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전기를 만들어 내는 장치를 말한다. 여러 번 충전할 수 있다는 뜻으로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라는 명칭도 쓰인다. 흔히 쓰이는 이차 전지로는 납 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NiCd), 니켈 수소 축전지(NiMH), 리튬 이온 전지(Li-ion),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Li-ion polymer)가 있다.
한편 전기자동차는 물론 스마트폰, IOT 등 무선 IT 기기의 발전에 따라서 전력공급원인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차전지의 응용범위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이차전지가 요구되며, 애플사의 에어파드(Airpod)로 불리는 무선 이어폰 등의 IT기기에도 이차전지가 사용되는데 해당 IT기기의 구조 등에 따라서 각형, 원통형 등 이차전치 형상 또한 최적화될 필요가 있다.
특히 애플사의 에어파드(Airpod)로 불리는 무선 이어폰 등의 경우 원통형 소형 이차전지가 사용됨에 따라서 원통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원통형 이차전지!
한편 원통형 이차전지는, 특허문헌 1 등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12), 분리막(13) 및 음극(11)이 적층된 상태로 롤로 권취되는 전극조립체(10)와,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캔부재를 포함함여 구성됨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전극조립체 및 캔부재로 이루어진 이차전지는, 전해액의 주액 등제조공정에 따라서 지면에 대하여 직립, 즉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공정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각형 이차전지에 비하여 원통형 이차전지, 특히 소형 원통형 이차전지의 경우 수직으로 직립된 이차전지의 픽업 및 플레이스 등 이차전지의 핸들링을 요하며, 이차전지의 핸들링의 효율에 따라서 이차전지의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허문헌 1) KR10-2017-0009592 A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추세 및 필요성을 인식하여, 원통형 소형 이차전지를 픽업하여 이차전지의 이송을 위한 트레이로의 플레이스 공정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차전지핸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원통형 전극조립체(10) 및 상기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되는 원통형 캔부재(20)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로서, 하나 이상의 원통형 전극조립체(10)가 로딩되는 로딩부(100)와; 상기 로딩부(10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각 원통형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홀(31)들이 형성된 트레이(30)가 위치되는 적재부(200)와; 상기 로딩부(100)에 위치된 원통형 전극조립체(10)를 픽업하여 상기 적재부(200)에 위치된 트레이(30)의 삽입홀(31)에 원통형 전극조립체(10)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플레이스하는 이송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를 개시한다.
상기 원통형 전극조립체(10)는, 캔부재(20) 내부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 또는 캔부재(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적재부(200)는, 상기 이송부(300)에 의하여 전극조립체(10)가 플레이스 되는 플레이스 위치(202),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를 중심으로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로 공급될 트레이(30)들이 적재되는 트레이 로딩위치(201)와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에서 전극조립체(10)의 적재를 마친 트레이(30)가 전달되는 트레이 언로딩위치(203)이 설정되며,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로부터 트레이(30)를 상기 트레이 언로딩위치(203)로 언로딩함과 아울러 상기 트레이 로딩위치(201)로부터 트레이(30)를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로 로딩하는 트레이이송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이송부(400)는, 트레이(30)를 지지하여 이동방향을 따라서 트레이(30)를 이송하도록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 및 상기 트레이 언로딩위치(203) 사이에 이동되는 제1트레이지지부(410)와, 트레이(30)를 지지하여 이동방향을 따라서 트레이(30)를 이송하도록 상기 트레이 로딩위치(201) 및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 사이에 이동되는 제2트레이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상기 제2트레이지지부(420)는, 서로 연결되어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0)는,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될 다수의 삽입홈(31)들이 형성된 본체(34)와, 상기 트레이이송부(400)에 의하여 저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34)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34)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플렌지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34)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31)은, n×m(n, 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30)는, 상하적층 및 적재의 안정성을 위하여 상기 트레이(30)의 저면을 이루며 평면크기가 상기 상부플렌지부(33)의 외측 가장자리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저면플레이트(3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는, 제조과정 중의 이차전치, 예를 들면 전극조립체 또는 캔부재에 삽입된 상태의 전극조립체-이하 이송대상이라 한다-를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로 트레이의 삽입홈에 자동으로 삽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원통형 소형 이차전지를 픽업하여 이차전지의 이송을 위한 트레이로의 플레이스 공정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는, 이송대상이 적재된 트레이가 로딩되는 트레이 로딩위치, 이송대상이 플레이스 되는 플레이스 위치, 이송대상의 적재가 완료된 트레이를 언로딩하는 트레이 언로딩위치를 설정하고, 트레이 로딩위치↔플레이스 위치, 플레이스 위치↔트레이 언로딩위치 사이에서 트레이를 이송함으로써 원통형 소형 이차전지를 픽업하여 이차전지의 이송을 위한 트레이로의 플레이스 공정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는, 이송대상이 삽입될 다수* 삽입홈들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가장자리로부터 외측드로 돌출된 상부플렌지를 구비하는 트레이를 사용함으로써 트레이의 자동 로딩, 이송 및 언로딩이 보다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에 의하여 이송되는 원통형 이차전지의 일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에 사용되는 트레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중 제1트레이승강부 및 제2트레이승강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A-A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중 트레이이송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A-A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2의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에서 제1트레이승강부 및 제2트레이승강부와 트레이이송부 사이의 트레이교환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중 트레이고정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트레이고정부의 측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2의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의 트레이이송부 중 그립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a 및 도 12b의 그립부의 그립부재의 예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횡방향 위치를 정렬하기 위하여 트레이이송부에 구비된 가이드부재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는, 도 2 내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원통형 전극조립체(10)-이송대상-가 로딩되는 로딩부(100)와; 로딩부(10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각 원통형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홀(31)들이 형성된 트레이(30)가 위치되는 적재부(200)와; 로딩부(100)에 위치된 원통형 전극조립체(10)를 픽업하여 적재부(200)에 위치된 트레이(30)의 삽입홀(31)에 원통형 전극조립체(10)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플레이스하는 이송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의 이송대상인 원통형 전극조립체(10)는, 긍극적으로 원통형 이차전지로 제조되는 각 공정상에서 트레이(30)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부재로서, 해당 공정 내의 조건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의 이송대상인 원통형 전극조립체(10)는, 도 1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극(12), 분리막(13) 및 음극(11)이 적층된 상태로 롤로 권취되는 전극조립체(10)로 이루어지거나, 캔부재(20)가 결합된 상태의 전극조립체(10)가 그 이송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송대상이라 한다.
한편 이차전지의 공정특성에 따라서 원통형 이차전지가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이차전지들이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로 적재되는 트레이(30)를 활용하여 다수의 이차전지들이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30)는, 이송대상인 원통형의 전극조립체(10) 또는 캔부재(20)가 결합된 상태의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31)들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트레이(3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삽입홈(31)들이 형성된 본체(34)와, 후술하는 트레이이송부(400)에 의하여 저면이 지지되도록 본체(34)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되어 본체(34)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플렌지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34)는,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되는 삽입홈(31)들이 다수 형성되는 부재로서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34)는, 금속재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제조의 용이를 위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34)는,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되거나, 복수의 부재들이 수평으로 결합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31)은, 이송대상인 원통형의 전극조립체(10) 또는 캔부재(20)가 결합된 상태의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되도록 본체(34)에 형성되는 홀 또는 홈으로써 삽입될 이송대상의 직경에 따라서 적절한 내경 및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31)의 상단은, 이송대상의 삽입이 원활하도록 상단 부분에 내경이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31)은, 이송대상의 이송 및 트레이(30)에 삽입된 상태로의 공정수행을 고려하여 인접한 이송대상과의 적절한 간격, 즉 피치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배치 형태는 n×m(n, 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렌지부(33)는, 후술하는 트레이이송부(400)에 의하여 저면이 지지되도록 본체(34)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되어 본체(34)의 상단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상부플렌지부(33)는,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본체(34)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되는 직사각형 플레이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30)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이송되는바, 상부플렌지부(33)는, 삽입홈(31)에 삽입된 이송대상이 상측에 위치된 트레이(30)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필요가 있는바, 상부플렌지부(33)는, 상측으로 돌출된 측벽부(35)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35)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부플렌지부(33)의 상면이 본체(34)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부플렌지부(33)와 분리가능한 부재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35)는, 상부플렌지부(33) 대신에 본체(34)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측벽부(35)는, 본체(34)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대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저면플레이트(3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본체(34)의 측벽에 면접촉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상부플렌지부(33)는, 상측면에 후술하는 트레이이송부(400)에 의하여 이송시 적재위치의 안내를 위한 하나 가이드롤러(3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36)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이송부(400)에 설치된 가이드부재(490)와의 접촉에 의하여 트레이(30)가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지지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는 부재로서, 엔지니어링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서 상부플렌지부(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490)는, 트레이이송부(400)의 이동에 의하여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지지프레임(412, 422)에 설치되어 트레이이송부(400)의 이동에 의하여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트레이안착부(411, 421)가 상부플렌지부(33)의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부플렌지부(33)에 설치된 가이드롤러(36)가 접촉됨으로써 트레이(30)가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트레이안착부(411, 421)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490)는, 상부플렌지부(33)에 설치된 가이드롤러(36)에 대하여 접촉하는 부분이 경사진 테이퍼부(491)가 형성됨으로써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트레이안착부(411, 421)가 상부플렌지부(33)의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부플렌지부(33)에 설치된 가이드롤러(36)가 접촉됨으로써 트레이(30)가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트레이안착부(411, 421)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롤러(36)의 회전축은, 상부플렌지(33)의 상면에 대한 법선과 평행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트레이(30)는, 상하적층 및 적재의 안정성을 위하여 트레이(30)의 저면을 이루며 평면크기가 상부플렌지부(33)의 외측 가장자리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저면플레이트(3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면플레이트(32)는, 상하적층 및 적재의 안정성을 위하여 트레이(30)의 저면을 이루며 평면크기가 상부플렌지부(33)의 외측 가장자리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부재로서 엔지니어링 플리스틱,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면플레이트(32)가 설치되는 경우 본체(31)에는 관통공으로서 형성되어 관통공이 저면플레이트(32)와 함께 이송대상이 삽입되는 삽입홈(3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트레이(30)는, 금속(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 및 플라스틱(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부재로서 볼트 등에 의하여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이(30)의 변형, 가공오차 등으로 삽입홈(31)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송대상의 안착에 에러가 발생될 수 있는바, 엔지니어링 플라스티과 같이 사출, 가공 후의 정밀도 가높은 재질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딩부(100)는, 트레이(30)로 적재될 하나 이상의 원통형 전극조립체(10)-이송대상-가 로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딩부(100)는, 트레이(30)에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이송대상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이송트레이를 이용하는 이송방식, 컨베이어 이송방식 등 이송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로딩부(100)는, 이송대상의 이송효율을 고려하여 이송대상이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로서 후술하는 이송부(300)에 의한 픽업 숫자에 대응되는 개수의 이송대상들이 순차적으로 또는 한번에 공급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딩부(100)는, 이송대상이 컨베이어 이송방식에 의하여 경우, 이송대상이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각 이송대상이 삽입되는 안착부(111)가 켄베이어 밸트(110)에 결합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적재부(200)는, 로딩부(10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각 원통형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홀(31)들이 형성된 트레이(30)가 위치되는 구성으로서 트레이(30)의 로딩 및 언로딩, 트레이(30)의 이송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적재부(300)는, 이송부(300)에 의하여 전극조립체(10)-이송대상-가 플레이스 되는 플레이스 위치(202), 플레이스 위치(202)를 중심으로 플레이스 위치(202)로 공급될 트레이(30)들이 적재되는 트레이 로딩위치(201)와 플레이스 위치(202)에서 전극조립체(10)-이송대상-의 적재를 마친 트레이(30)가 전달되는 트레이 언로딩위치(203)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는, 이송부(300)에 의하여 전극조립체(10)-이송대상-가 트레이(30)의 삽입홈(31)에 플레이스 되는 위치로서 적재부(200) 내에 설정되는 위치로 정의된다.
상기 트레이 로딩위치(201)는, 플레이스 위치(202)를 중심으로 플레이스 위치(202)의 일측에서 플레이스 위치(202)로 공급될 트레이(30)들이 적재되는 위치로서 적재부(200) 내에 설정되는 위치로 정의된다.
상기 트레이 언로딩위치(203)는, 플레이스 위치(202)를 중심으로 트레이 로딩위치(201)에 대향되어 설정되며 플레이스 위치(202)에서 전극조립체(10)-이송대상-의 적재를 마친 트레이(30)가 전달되는 위치로서, 적재부(200) 내에 설정되는 위치로 정의된다.
한편 상기 트레이 로딩위치(201), 플레이스 위치(202) 및 트레이 언로딩 위치(203)는, 트레이(30)의 이송, 즉 전달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로서, 앞서 설명한 로딩부(100)에서의 이송대상의 이동방향(Y축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X축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재부(200)는, 트레이 로딩위치(201), 플레이스 위치(202) 및 트레이 언로딩 위치(203) 사이에는, 트레이(30)를 이송하기 위한 트레이이송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이송부(400)는, 트레이 로딩위치(201), 플레이스 위치(202) 및 트레이 언로딩 위치(203) 사이에서 트레이(30)를 이송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트레이이송부(400)의 구성은, 트레이 로딩위치(201)에서 이송대상이 적재될 트레이(30)들의 공급을 위한 구성과, 트레이 언로딩위치(203)에서 이송대상이 적재된 트레이(30)의 배출을 위한 구성과 연계하여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트레이이송부(400)는, 플레이스 위치(202)로부터 트레이(30)를 트레이 언로딩위치(203)로 언로딩함과 아울러 트레이 로딩위치(201)로부터 트레이(30)를 플레이스 위치(202)로 로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로딩위치(201)에서 이송대상이 적재될 트레이(30)들의 공급을 위한 구성의 일 예로서, 트레이 로딩위치(201)에는, 이송대상이 적재될 복수의 트레이(30)들이 상하로 적층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제1트레이승강부(500)가 설치되고, 트레이 언로딩위치(203)에는, 이송대상이 적재된 트레이(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제2트레이승강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승강부(500)는, 트레이 로딩위치(201)에 설치되어 이송대상이 적재될 복수의 트레이(30)들이 상하로 적층되며 후술하는 트레이이송부(400)에 이송대상이 적재될 복수의 트레이(30)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트레이(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1트레이승강부(5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트레이(30)들을 지지하는 트레이승강부재(510)와, 트레이승강부재(5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승강부재(510)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트레이(30)들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트레이승강부재(510)는, 평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트레이(30)의 한 쌍의 대향변의 가장자리 저면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지지포크부(510)와, 한 쌍의 지지포크부(510)와 결합되며 승강구동부(540)의 승강가이드부(541)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블록(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포크부(510)는, 평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트레이(30)의 한 쌍의 대향변의 가장자리 저면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트레이(3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포크부(510)는, 이동블록(515)과 결합된 부분에 대향되는 부분에서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트레이(30)들이 이동카트 등에 의하여 진입될 수 있도록 그 끝단이 충분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지지포크부(510)는, 평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트레이(30)의 한 쌍의 대향변의 가장자리 저면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트레이안착부(520)와, 트레이안착부(520)가 결합됨과 아울러 후술하는 이동블록(515)에 결합되는 결합브라켓(5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안착부(520)는, 평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트레이(30)의 한 쌍의 대향변의 가장자리 저면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트레이안착부(520)는, 트레이(30)의 안정적 지지를 위하여 지지하는 트레이(30)의 저면의 가장자리 중 트레이(30)의 꼭지점을 포함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안착부(5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0)의 저면 모서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안착단차부(523)와, 트레이(30)의 안정적 안착을 위하여 상측으로 가면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안착부(5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트레이(30)의 저면 중 네개의 꼭지점에 대응되어 네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브라켓(511)은, 트레이안착부(520)가 결합됨과 아울러 후술하는 이동블록(515)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브라켓(511)은, 이동블록(515)과 직접 결합되거나, 별도의 지지부재(512)에 의하여 이동블록(515)과 간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블록(515)은, 한 쌍의 지지포크부(510)와 결합되며 승강구동부(540)의 승강가이드부(541)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승강가이드부(541)는, 스크류잭의 스크류 부재로 구성되고 이동블록(515)은 스크류잭과의 스크류 결합에 의하여 스크류잭(541)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승강부(540)는, 트레이승강부재(51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승강구동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트레이승강부(540)는, 스크류 잭, 리니어가이드 등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트레이승강부(700)는, 트레이 언로딩위치(203)에 설치되어 이송대상이 적재된 트레이(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상하로 이동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제2트레이승강부(700)는, 앞서 설명한 제1트레이승강부(50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2트레이승강부(700)는, 제1트레이승강부(500)에 대하여 이송대상이 적재될 트레이(30)가 순차적으로 적재되는 점과,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트레이(30)들의 인출을 고려하여 트레이이송부(400)의 이동방향(X축방향)에 수직을 이루는 Y축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루는 점을 제외하고 거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이송부(400)는,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0)를 지지하여 이동방향을 따라서 트레이(30)를 이송하도록 플레이스 위치(202) 및 트레이 언로딩위치(203) 사이에 이동되는 제1트레이지지부(410)와, 트레이(30)를 지지하여 이동방향을 따라서 트레이(30)를 이송하도록 트레이 로딩위치(201) 및 플레이스 위치(202) 사이에 이동되는 제2트레이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제2트레이지지부(420)는, 상기 제1트레이승강부(500) 및 제2트레이승강부(700)의 구성과 연계하여, 트레이(30)를 지지하여 플레이스 위치(202) 및 트레이 언로딩위치(203) 사이 또는 트레이 로딩위치(201) 및 플레이스 위치(202) 사이를 이동하는 구성으로서 트레이(30)를 지지할 수 있은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더 나아기 상기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제2트레이지지부(420)는, 서로 연결되어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위하여 상기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상기 제2트레이지지부(420)는, 트레이(30)의 대향변을 지지하도록 X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하나 이상의 트레이안착부(411, 421)와, 트레이안착부(411, 421)가 결합되며 X축방향으로 선형이동되는 지지프레임(412, 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안착부(411, 421)는, 트레이(30)의 대향변을 지지하도록 X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며, 평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트레이(30)의 한 쌍의 대향변의 가장자리 저면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트레이안착부(411, 421)는, 트레이(30)의 안정적 지지를 위하여 지지하는 트레이(30)의 저면의 가장자리 중 트레이(30)의 꼭지점을 포함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안착부(411, 42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0)의 저면 모서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안착단차부(411b, 421b)와, 트레이(30)의 안정적 안착을 위하여 상측으로 가면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부(411a, 421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안착부(411, 4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트레이(30)의 저면 중 네개의 꼭지점에 대응되어 네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12, 422)은, 트레이안착부(411, 421)가 결합되며 X축방향으로 선형이동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트레이지지부(410)의 지지프레임(411)과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지지프레임(422)은,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제2트레이지지부(420)가 서로연결되어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트레이지지부(410)의 지지프레임(411)과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지지프레임(422)은, 트레이안착부(411, 421)의 선형이동을 위하여 선형구동부(미도시)에 의하여 선형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트레이지지부(410)의 지지프레임(411)과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지지프레임(421)은, 트레이(30)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어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호 연동이동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44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트레이(30)의 로딩으로부터 언로딩까지의 과정을 설명한다.
도 #9a에 도시되 바와 같이, 이송대상이 적재될 복수의 트레이(30)들이 적재된 제1트레이승강부(500)는, 상하로 적층된 트레이(30)들 중 최 상측에 위치된 트레이(30)를 제1트레이지지부(410)로 전달하기 위한 위치로 상승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층된 트레이(30)들 중 최 상측에 위치된 트레이(30)를 제1트레이지지부(410)로 전달하기 위한 위치로 상승하면, 트레이이송부(400)의 제1트레이지지부(410)의 트레이안착부(411)는, 트레이(30)의 상부플렌지부(33)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트레이지지부(410)의 트레이안착부(411)의 이동이 완료되면 트레이(30)의 이송을 위하여 제1트레이승강부(500)는 하강함으로써 트레이(30)의 상부플렌지부(33)가 제1트레이지지부(410)의 트레이안착부(411)에 의하여 지지되고 제1트레이지지부(410)의 트레이안착부(411)는, 트레이(30)를 지지한 상태로 플레이스 위치(202)로 트레이(30)를 이송한다.
트레이(30)가 플레이스 위치(202)에 위치되면 후술하는 트레이고정부(800)가 상승하여 트레이(30)의 저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상기 트레이고정부(800)는, 도 4,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0)의 각 삽입홈(31)에 후술하는 이송부(300)에 의한 이송대상의 삽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플레이스 위치(202)에 위치된 트레이(3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트레고정부(800)는, 트레이(3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저면지지부(630)과, 트레이(30)의 측면을 가압하여 트레이(30)를 수평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641, 642, 64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면지지부(630)는, 트레이(30)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641, 642, 643)들은, 트레이(30)의 측면을 가압하여 트레이(30)를 수평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직사각형 형상의 트레이(30)의 각변에 대응되어 가압하도록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30)의 위치 얼라인을 위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트레이(30)의 각변 중 서로 대향되는 변에서 한 쪽 변에 위치된 고정부재(641, 643)는, 저면지지부(630)에 대하여 고정되고 반대 쪽 변에 위치된 고정부재(642, 644)-가동부재로 칭할 수 있다-는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30)의 측면을 가압하여 트레이(30)를 수평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부재(642, 644)는, 공압 등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트레이(30)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고정부(800)는,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트레이안착부(411, 421)에 대하여 트레이(30)의 안착 또는 안착해제를 위하여 트레이(3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저면지지부(6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620)는,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트레이안착부(411, 421)에 대하여 트레이(30)의 안착 또는 안착해제를 위하여 트레이(3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저면지지부(6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승강구동부(620)는, 별도의 지지프레임(610, 611)에 의하여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30)가 트레이고정부(800)에 의하여 고정되면 후술하는 이송부(300)에 의하여 이송대상이 순차적으로 또는 복수의 이송대상들이 동시에 트레이(30)의 삽입홈(31)에 안착된다.
한편 트레이(30)의 모든 삽입홈(31)들에 이송대상이 모두 안착되면 트레이고정부(800)에 의한 트레이(30)의 고정이 해제되며,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트레이안착부(412)가 트레이고정부(800)에 지지되는 트레이(30)의 상부플렌지부(33)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트레이안착부(421)의 이동이 완료되면 트레이(30)의 이송을 위하여 제2트레이승강부(700)는 하강함으로써 트레이(30)의 상부플렌지부(33)가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트레이안착부(421)에 의하여 지지되고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트레이안착부(421)는, 트레이(30)를 지지한 상태로 트레이 언로딩 위치(202)로 트레이(30)를 이송한다.
트레이(30)가 트레이 언로딩 위치(202)에 위치되면 제2트레이승강부(700)가 상승하여 트레이(30)의 저면을 지지하여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트레이안착부(421)로부터 들어올려진다.
트레이(30)가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트레이안착부(421)로부터 들어올려지면 제2트레이지지부(420)의 트레이안착부(421)는, 다음 트레이(30)의 이송을 위하여 플레이스 위치(202)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제1트레이승강부(500) 및 제1트레이지지부(410) 사이의 트레이교환 및 제2트레이지지부(420) 및 트레이고정부(800) 사이의 트레이교환은 동시에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트레이고정부(800) 사이의 트레이교환 및 제2트레이지지부(420) 및 제2트레이승강부(700) 사이의 트레이교환은 동시에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300)는, 로딩부(100)에 위치된 원통형 전극조립체(10)-이송대상-를 픽업하여 적재부(200)에 위치된 트레이(30)의 삽입홀(31)에 원통형 전극조립체(10)-이송대상-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플레이스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이송부(300)는, 이송대상을 그립하는 하나 이상의 그립부(310)와, 플레이스 위치(202)에서의 트레이(30)의 각 삽입홈(31)에 이송대상을 삽입할 수 있도록 그립부(310)를 X-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Y 이동로봇(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310)는, 이송대상을 그립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송대상의 그립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그립부(310)는, 원통형상의 이송대상을 사이에 그립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되는 한 쌍의 그립부재(331)와, 한 쌍의 그립부재(331)들을 서로 대향되어 선형이동시키는 구동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331)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활한 그립을 위하여 원통형상의 이송대상을 횡단면의 형상에서 이송대상을 향하는 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재(331)에 형성된 오목한 홈은, V자 형상, U자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립부재(331)는, 삽입홈(31)에 대한 이송대상의 안착 등을 위하여 상하로 이동될 필요가 있는바, 이송부(300)는, 그립부(310), 즉 그립부재(33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구동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하구동부(314)는, 각 그립부(310)를 개별적으로 상하이동시키거나, 복수의 그립부(310)들 전체를 한번에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구동부(314)은, 그립부(310)에 의한 이송대상의 픽업 및 적재를 위하여 각 그립부(310)를 개별적으로 상하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하구동부(314)는, 복수의 그립부(310)들이 결합되는 지지부재(315)와, 지지부재(315)에 결합되는 상하이동모듈(316)과, 상하이동모듈(316) 및 지지부재(315)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322)와, 그립부재(331)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결합되며 상하이동모듈(316)에 의하여 가이드부재(322)에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이동블록(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모듈(316)은, 선형모터, 공압모터 등 선형이동을 구동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그립부(310)는, 이송대상의 효율을 위하여 복수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그립부(310)들은 트레이(30)의 삽입홈(31)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피치들의 차이, 공정상의 이유로, 이송대상의 픽업시 복수의 그립부(310)들의 배치방향(Y축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Y축방향으로 이송대상을 트레이(30)의 삽입홈(31)에 안착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 이송부(300)는, 복수의 그립부(310)들의 배치방향을 X축방향에서 Y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각 그립부(310)를 회전시키거나 복수의 그립부(310)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15)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전극조립체 20 : 캔부재
30 : 트레이
100 : 로딩부 200 : 트레이적재부
300 : 이송부

Claims (7)

  1. 원통형 전극조립체(10) 및 상기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되는 원통형 캔부재(20)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로서,
    하나 이상의 원통형 전극조립체(10)가 로딩되는 로딩부(100)와;
    상기 로딩부(10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각 원통형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홀(31)들이 형성된 트레이(30)가 위치되는 적재부(200)와;
    상기 로딩부(100)에 위치된 원통형 전극조립체(10)를 픽업하여 상기 적재부(200)에 위치된 트레이(30)의 삽입홀(31)에 원통형 전극조립체(10)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플레이스하는 이송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전극조립체(10)는, 캔부재(20) 내부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 또는 캔부재(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200)는,
    상기 이송부(300)에 의하여 전극조립체(10)가 플레이스 되는 플레이스 위치(202),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를 중심으로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로 공급될 트레이(30)들이 적재되는 트레이 로딩위치(201)와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에서 전극조립체(10)의 적재를 마친 트레이(30)가 전달되는 트레이 언로딩위치(203)이 설정되며,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로부터 트레이(30)를 상기 트레이 언로딩위치(203)로 언로딩함과 아울러 상기 트레이 로딩위치(201)로부터 트레이(30)를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로 로딩하는 트레이이송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이송부(400)는,
    트레이(30)를 지지하여 이동방향을 따라서 트레이(30)를 이송하도록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 및 상기 트레이 언로딩위치(203) 사이에 이동되는 제1트레이지지부(410)와,
    트레이(30)를 지지하여 이동방향을 따라서 트레이(30)를 이송하도록 상기 트레이 로딩위치(201) 및 상기 플레이스 위치(202) 사이에 이동되는 제2트레이지지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트레이지지부(410) 및 상기 제2트레이지지부(420)는, 서로 연결되어 연동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30)는, 전극조립체(10)가 삽입될 다수의 삽입홈(31)들이 형성된 본체(34)와, 상기 트레이이송부(400)에 의하여 저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34)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34)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플렌지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본체(34)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31)은, n×m(n, 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30)는, 상하적층 및 적재의 안정성을 위하여 상기 트레이(30)의 저면을 이루며 평면크기가 상기 상부플렌지부(33)의 외측 가장자리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저면플레이트(3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KR1020180127677A 2018-10-24 2018-10-24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KR102162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677A KR102162936B1 (ko) 2018-10-24 2018-10-24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677A KR102162936B1 (ko) 2018-10-24 2018-10-24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473A true KR20200046473A (ko) 2020-05-07
KR102162936B1 KR102162936B1 (ko) 2020-10-07

Family

ID=7073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677A KR102162936B1 (ko) 2018-10-24 2018-10-24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251B1 (ko) * 2023-06-12 2024-01-02 (주)그린파워 직렬 배터리 충방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543A (ko) * 2002-09-25 2004-03-3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전지 제조 장치 및, 방법
CN207947359U (zh) * 2018-03-30 2018-10-09 珠海华冠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全自动装盘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543A (ko) * 2002-09-25 2004-03-3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전지 제조 장치 및, 방법
CN207947359U (zh) * 2018-03-30 2018-10-09 珠海华冠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全自动装盘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251B1 (ko) * 2023-06-12 2024-01-02 (주)그린파워 직렬 배터리 충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936B1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534B1 (ko) 복수 개의 이차전지 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충전장치
CN110217582B (zh) 一种上料装置及电池组装系统
KR101823198B1 (ko) 이차전지 셀 정렬장치
KR102270017B1 (ko) 위치 정렬 기능이 개선된 롤 이재 장치
EP3955332A1 (en) Secondary battery cell stacking device and manufacturing system comprising same
KR20090091702A (ko) 솔라 웨이퍼와 같은 일 측면이 도핑될 웨이퍼의 스택 형성 방법 및 웨이퍼 배치의 프로세스 보트 탑재를 위한 핸들링 시스템
KR102162937B1 (ko)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KR20130054592A (ko) 솔라셀 피치체인저 시스템
KR102197531B1 (ko)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
KR102273320B1 (ko)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의 스태킹 장치
KR101917571B1 (ko) 극판 자동 투입장치
KR102162936B1 (ko) 원통형 이차전지 핸들러
KR102178185B1 (ko)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의 스태킹 장치 및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의 스태킹 방법
JP7462981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の積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テリーパック積載方法
CN109732242B (zh) 一种蓄电池极柱焊接自动紧固校准对接装置
CN217412750U (zh) 一种极耳翻折装置及焊接设备
EP4159653A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roll
CN112660811A (zh) 二次电池制造装置用取放装置
CN114873236A (zh) 一种电池入柜系统及电池入柜方法
JP2023543790A (ja) 保管システム
CN114455315A (zh) 电池放电设备
KR20220119728A (ko) 이차전지의 전극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2567565A (zh) 电池组制造装置和电池组的制造方法
CN220702504U (zh) 一种电池的注液系统及其转移装置
CN221050765U (zh) 一种锂电池装配用的送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