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044B1 -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 Google Patents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044B1
KR102236044B1 KR1020197020736A KR20197020736A KR102236044B1 KR 102236044 B1 KR102236044 B1 KR 102236044B1 KR 1020197020736 A KR1020197020736 A KR 1020197020736A KR 20197020736 A KR20197020736 A KR 20197020736A KR 102236044 B1 KR102236044 B1 KR 102236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holding member
locking
lamp unit
hold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008A (ko
Inventor
마나부 미히라
유지 나카노
마사히로 노무라
Original Assignee
티에스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49814A external-priority patent/JP6652720B2/ja
Application filed by 티에스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에스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09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85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permanent fixing means, e.g. gluing, riveting or embedding in a potting comp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17Doors, e.g. door sills;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4Lighting devices embedded in interior trim, e.g. in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40Welcome lights, i.e. specific or existing exterior lamps to assist leaving or approaching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4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the light being emitted to facilitate access to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발광 소자의 덜컹거림이 방지된 램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으로서, 램프 유닛(4)은, 장착 대상(3)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홀더 부재(9)와, 발광 소자(5)가 그 주면 상에 결합된 기판(6)과, 기판을 홀더 부재 상의 소정의 위치에 보지하도록 홀더 부재에 계합하여, 홀더 부재에 대해서 기판을 협지하기 위한 보지 부재(8)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광성이며, 홀더 부재와 협동하여, 기판 및 보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실(90)을 획정하도록 홀더 부재에 장착된 커버 부재(9)를 갖는다.

Description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발광 소자를 구비한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 발광하여 승객의 발밑을 비추는 램프 유닛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의 램프 유닛은 발광 소자를 갖고 있다. 발광 소자는 기능부에 마련된 금속판인 버스 바아(busbar)에 결합하여 있다. 기능부는 차량용 도어의 조립 대상부에 장착된 의장부에 끼워맞춰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166635 호 공보
발광 소자는 버스 바아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는 홀더 부재에 대해서 덜컹거린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상의 배경을 감안하여, 발광 소자의 덜컹거림이 방지된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한 램프 유닛(4, 94, 194)은, 장착 대상(3)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홀더 부재(9)와, 발광 소자(5)가 그 주면 상에 결합된 기판(6)과, 상기 기판을 상기 홀더 부재 상의 소정의 위치에 보지하도록 상기 홀더 부재에 계합(係合)하고, 상기 홀더 부재에 대해서 상기 기판을 협지(挾持)하기 위한 보지(保持) 부재(8)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광성이며, 상기 홀더 부재와 협동하여, 상기 기판 및 상기 보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실(90)을 획정(畵定)하도록 상기 홀더 부재에 장착된 커버 부재(9)를 갖는다.
이 태양에 의하면, 기판의 주면에 발광 소자가 결합되고, 또한 그 기판이 홀더 부재와 보지 부재에 의해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의 홀더 부재에 대한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기판 및 상기 보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를 갖고, 상기 홀더 부재의 내면에는, 상기 보지 부재를 계지(係止)하기 위한 계합부(37)가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보지 부재 및 기판이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 및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보지 부재가 판형상을 이루고, 상기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하는 통광(通光) 구멍(39)을 구비하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발광 소자로부터 수용 오목부의 개구로 향하는 광로가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통광 구멍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보지 부재를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기판의 연부를 따라 형성된 외측 프레임(35)과, 상기 외측 프레임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비임(36, 38)을 갖고,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비임에 의해 상기 통광 구멍이 획정되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에 계합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발광 소자로부터 수용 오목부의 개구로 향하는 광로를 방해하는 일 없이, 기판을 홀더 부재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외주면의 서로 이반(離反)하는 적어도 2개의 부분 각각으로부터 돌출하고, 각각 상기 수용 오목부를 획정하는 벽면(111)에 접촉하는 제 1 볼록부(101)를 구비하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보지 부재의 홀더 부재에 대한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외측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판측을 향해 돌출하고, 상기 기판의 단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기판을 협지하는 한쌍의 제 2 볼록부(102)를 구비하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기판이 보지 부재에 결합하여, 기판의 홀더 부재에 대한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수용 오목부의 저벽에 계지 오목부(23)가 마련되고, 상기 보지 부재의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계지 오목부로 돌입(突入)하는 계지 볼록부(40)가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보지 부재가 홀더 부재의 저벽을 따라 이동했을 때에, 계지 볼록부가 계지 오목부를 획정하는 벽에 접촉하기 때문에, 보지 부재의 홀더 부재의 저벽을 따르는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기판에는 상기 계지 오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11)이 형성되고, 상기 계지 볼록부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계지 오목부에 끼워맞춰져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기판에 마련된 관통 구멍에 계지 볼록부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의 보지 부재에 대한 계지 볼록부의 돌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 부재가 보지 부재에 결합하여 있기 때문에, 기판의 홀더 부재에 대한 홀더 부재의 저벽을 따르는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홀더 부재에는, 외면으로부터, 상기 계지 오목부의 저벽과 상기 홀더 부재의 외면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계지 오목부에 이르는 커넥터 삽입 오목부(22)와,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계지 볼록부와 상기 계지 오목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커넥터 삽입 오목부에 이르는 접속 단자(47)를 가지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커넥터를 커넥터 삽입 오목부에 삽입하여 접속 단자에 접속시킴으로써, 기판과 커넥터를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계지 오목부는, 소정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 삽입 오목부의 대략 중앙에 이르고, 상기 커넥터 삽입 오목부는, 상기 축선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계지 오목부의 대략 중앙에 이르고, 상기 계지 오목부와 상기 커넥터 삽입 오목부는 서로 접속하고, 상기 계지 볼록부는 제 1 돌출 단부면(43)과 제 2 돌출 단부면(44)을 갖고, 상기 제 1 돌출 단부면은 상기 계지 오목부의 저벽, 또는 상기 접속 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돌출 단부면은 상기 커넥터 삽입 오목부의 벽면과 협동하여, 커넥터(60)가 삽입되는 커넥터 삽입 구멍(80)을 획정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제 1 돌출 단부면 및 상기 계지 오목부의 저벽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커넥터 삽입 구멍에 이르고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접속 단자가 제 1 돌출 단부면과 계지 오목부의 저벽에 의해 협지되기 때문에, 접속 단자의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계지 오목부의 저벽에는, 상기 접속 단자를 수용하는 홈(48)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 단부면과 상기 계지 오목부의 저벽은 접촉하고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접속 단자의 계지 오목부의 저벽을 따르는 방향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2 돌출 단부면은 상기 제 1 돌출 단부면보다 상기 계지 볼록부의 기단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돌출 단부면과 상기 접속 단자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커넥터에 마련된 구멍에 접속 단자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접속 단자와 커넥터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2 돌출 단부면은 상기 커넥터 삽입 오목부의 개구를 향해서, 기단측으로 경사져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커넥터가 삽입될 때, 커넥터가 제 2 돌출 단부면에 의해 적정 위치로 안내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홀더 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커넥터 삽입 오목부의 개구에 연속하는 경사면(55)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커넥터가 삽입될 때, 커넥터가 커넥터 삽입 구멍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램프 유닛은 차량용 도어에 마련되는 커티시 램프(courtesy lamp)이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발광 소자의 덜컹거림이 방지된 커티시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홀더 부재가 차량용 도어의 도어 트림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구성이 간소하게 되어, 기판이 도어 트림으로부터 보다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기판 및 상기 보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17)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오목부를 획정하는 벽에는 상기 보지 부재를 계지하기 위한 계합부(37)가 마련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계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204)가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기판의 주면에 발광 소자가 결합되고, 그 기판이 홀더 부재와 보지 부재에 의해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의 홀더 부재에 대한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또한, 보지 부재 및 기판이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 및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계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에 기판이 계합부와 간섭하기 어려워져서, 기판의 홀더 부재에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수용 오목부는 저벽(18)과, 상기 저벽의 외연부를 따라 마련된 측벽(19)에 의해 획정되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측벽에 마련되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기판의 외주연부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절결부가 기판의 외주연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을 절결부와 계합부가 대응하는 위치가 되도록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기판의 홀더 부재에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기판은 상기 저벽과 상기 보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계합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보지 부재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보지 부재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기판은 대략 사각형을 이루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기판의 외주연부의 한 변에 있어서 대략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절결부가 기판의 외주연부의 단부측으로 치우쳐서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기판에 하중이 불균일하게 가해지기 어려워서, 기판이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계합부는 상기 측벽에 복수 마련되고, 상기 절결부는 상기 계합부의 적어도 2개가 통과 가능한 폭을 갖고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기판에 마련되는 절결부의 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에 절결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계합부는 상기 기판의 외주연부의 한 변(203)에만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외주연부의 복수의 변에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기판의 강성이 저하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보지 부재는 외연부를 이루고, 대략 사각형인 외측 프레임(35)을 포함하며, 상기 절결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과 상기 저벽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이 태양에 의하면, 기판이 절결부에 있어서도 보지 부재와 저벽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절결부에 물체가 충돌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해, 기판의 변형을 보다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태양에 의하면, 기판의 주면에 발광 소자가 결합되고, 또한 그 기판이 홀더 부재와 보지 부재에 의해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의 덜컹거림이 방지된 램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홀더 부재에 기판 및 보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를 갖고, 홀더 부재의 내면에는, 보지 부재를 계지하기 위한 계합부가 마련된 태양에 의하면, 보지 부재 및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보지 부재가 판형상을 이루고,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하는 통광 구멍을 구비하는 태양에 의하면, 발광 소자로부터 수용 오목부의 개구로 향하는 광로가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통광 구멍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보지 부재를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보지 부재가 외측 프레임과 비임을 포함하는 태양에 의하면, 발광 소자로부터 수용 오목부의 개구로 향하는 광로를 방해하는 일 없이, 기판을 홀더 부재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보지 부재는, 외측 프레임의 외주면의 서로 이반하는 적어도 2개의 부분 각각으로부터 돌출하고, 각각 수용 오목부를 획정하는 벽면에 접촉하는 제 1 볼록부를 구비하는 태양에 의하면, 보지 부재의 홀더 부재에 대한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지 부재는, 외측 프레임으로부터 기판의 측을 향해 돌출하고, 기판의 단부면에 접촉하여, 기판을 협지하는 한쌍의 제 2 볼록부를 구비하는 태양에 의하면, 기판이 보지 부재에 결합하여, 기판의 홀더 부재에 대한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계지 볼록부가 계지 오목부에 끼워맞춰져 있는 태양에 의하면, 보지 부재의 홀더 부재의 저벽을 따르는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계지 볼록부가 관통 구멍을 통해 계지 오목부에 끼워맞춰져 있는 태양에 의하면, 보지 부재, 및 기판의 홀더 부재의 저벽을 따르는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삽입 오목부가 마련된 태양에 의하면, 커넥터를 커넥터 삽입 오목부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와 기판을 접속 단자를 거쳐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계지 오목부의 저벽에는, 접속 단자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고, 제 1 돌출 단부면과 계지 오목부의 저벽은 접촉하고, 제 2 돌출 단부면과 커넥터 삽입 오목부에 의해 커넥터 삽입 구멍이 획정되어 있는 태양에 의하면, 제 1 돌출 단부면과 계지 오목부의 저벽에 의해 접속 단자를 협지하는 것에 의해, 접속 단자의 이동을 방지하여, 커넥터 삽입 구멍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계지 오목부의 저벽에는, 접속 단자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고, 제 1 돌출 단부면과 계지 오목부의 저벽은 접촉하고 있는 태양에 의하면, 접속 단자의 계지 오목부의 저벽을 따르는 방향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돌출 단부면은 제 1 돌출 단부면보다 계지 볼록부의 기단측에 위치하고, 제 2 돌출 단부면과 접속 단자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태양에 의하면, 커넥터에 마련된 구멍에 접속 단자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접속 단자와 커넥터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 2 돌출 단부면이 경사져 있는 태양에 의하면, 커넥터가 삽입될 때, 커넥터가 제 2 돌출 단부면에 의해 적정 위치로 안내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홀더 부재의 외면에, 커넥터 삽입 오목부의 개구에 연속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태양에 의하면, 커넥터가 삽입될 때, 커넥터가 커넥터 삽입 구멍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램프 유닛은 차량용 도어에 마련되는 커티시 램프인 태양에 의하면, 발광 소자의 덜컹거림이 방지된 커티시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홀더 부재가 차량용 도어의 도어 트림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태양에 의하면, 구성이 간소하게 되어, 기판이 도어 트림으로부터 보다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홀더 부재는 기판 및 보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수용 오목부를 획정하는 벽에는 보지 부재를 계지하기 위한 계합부가 마련되고, 기판에는 계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의 주면에 발광 소자가 결합되고, 그 기판이 홀더 부재와 보지 부재에 의해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의 홀더 부재에 대한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또한, 보지 부재 및 기판이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 및 기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계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에 기판이 계합부와 간섭하기 어려워져서, 기판의 홀더 부재에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수용 오목부는 저벽과, 저벽의 외연부를 따라 마련된 측벽에 의해 획정되고, 계합부는 측벽에 마련되고, 절결부는 기판의 외주연부에 마련되어 있는 태양에 의하면, 절결부가 기판의 외주연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을 절결부와 계합부가 대응하는 위치가 되도록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기판의 홀더 부재에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기판은 저벽과 보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계합부는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며, 보지 부재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는 태양에 의하면, 보지 부재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기판은 대략 사각형을 이루고, 절결부는 기판의 외주연부의 한 변에 있어서 대략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는 태양에 의하면, 절결부가 기판의 외주연부의 단부측으로 치우쳐서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기판에 하중이 불균일하게 가해지기 어려워서, 기판이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계합부는 측벽에 복수 마련되고, 절결부는 계합부의 적어도 2개가 통과 가능한 폭을 갖고 있는 태양에 의하면, 기판에 마련되는 절결부의 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에 절결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계합부는 기판의 외주연부의 한 변에만 마련되어 있는 태양에 의하면, 외주연부의 복수의 변에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기판의 강성이 저하하기 어렵다.
또한, 보지 부재는 외연부를 이루고, 대략 사각형인 외측 프레임을 포함하며, 절결부는 외측 프레임과 저벽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태양에 의하면, 기판이 절결부에 있어서도 보지 부재와 저벽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절결부에 물체가 충돌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해, 기판의 변형을 보다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램프 유닛이 장착된 차량용 도어의 측면도
도 2는 램프 유닛을 우측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램프 유닛을 좌측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램프 유닛에 접속되는 커넥터의 사시도
도 5는 커버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커버 부재를 제외했을 때의 램프 유닛의 측면도
도 7은 커버 부재 및 보지 부재를 제외했을 때의 램프 유닛의 측면도
도 8은 홀더 부재의 측면도
도 9는 보지 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X-X 단면도
도 11은 도 6의 XI-XI 단면도
도 12는 커버 부재를 제외했을 때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램프 유닛의 측면도
도 13은 커버 부재 및 보지 부재를 제외했을 때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램프 유닛의 측면도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보지 부재의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보지 부재의 이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램프 유닛의 사시도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램프 유닛의 단면도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트림의 사시도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램프 유닛이 장착되었을 때의 도어 트림의 사시도
도 20은 커버 부재를 제외했을 때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램프 유닛의 측면도
도 21은 커버 부재 및 보지 부재를 제외했을 때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램프 유닛의 측면도
도 22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램프 유닛의 홀더 부재의 측면도
도 23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램프 유닛의 XY면을 따르는 방향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램프 유닛을 운전석용의 차량용 도어에 마련되는 커티시 램프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운전석용의 차량용 도어(1)는, 골격이 되는 도어 패널(2)과, 도어 패널(2)의 내측에 내장 부재로서 장착된 도어 트림(3)을 갖는다. 커티시 램프(4)는 도어 트림(3)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티시 램프(4)는, 발광 소자(5)가 마련된 기판(6)과, 기판(6)을 지지하는 홀더 부재(7)와, 기판(6)을 홀더 부재(7)에 고정하는 보지 부재(8)와, 기판(6) 및 보지 부재(8)를 덮는 커버 부재(9)를 구비한다.
기판(6)은 발광 소자(5)가 마련된 프린트 기판이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6)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발광 소자(5)는 기판(6)의 표면에 납땜되어 있다. 발광 소자(5)로서는, 예를 들어 표면 실장형의 LED 소자, 유기 EL 소자, 전구 등이면 좋고, 백색으로 발광하면 좋다. 기판(6)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5)가 마련되어 있다. 발광 소자(5)는 기판(6) 상에 있어서 격자형상으로 늘어서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 소자(5)는, 단측(短手) 방향으로 2행, 장측(長手) 방향으로 4열의 격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기판(6)에는, 발광 소자(5) 외에, 발광 소자(5)에의 전원 공급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저항이나 다이오드 등(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6)에는 대략 중앙에 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까지 관통하는 관통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11)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기판(6)의 장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기판(6)에는, 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까지 관통하는 접속 구멍(12)이 4개 형성되어 있다. 기판(6)의 표면에는, 접속 구멍(12)의 개구 주연부 각각에 있어서, 납땜용의 랜드(13)가 마련되어 있다. 접속 구멍(12)은, 관통 구멍(11)에 대해서, 기판(6)의 장측 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구멍(12)은 기판(6)의 표면 및 이면에서 원형으로 개구되어 있다.
홀더 부재(7)는 수지제의 부재이다. 홀더 부재(7)는, 도 2 및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용부(15)와, 수용부(15)로부터 소정의 방향인 X 방향으로 돌출한 커넥터부(16)를 갖는다. 수용부(15)에는, 커넥터부(16)가 결합된 면의 반대측에 있어서, X 방향으로 오목한 수용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17)는, X 방향에 수직인 수용 오목부 저벽(18)과, 수용 오목부 저벽(18)의 주위에 마련된 수용 오목부 측벽(19)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 저벽(18)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이하에서는, 수용 오목부 저벽(18)의 장변을 따르는 방향을 Y 방향, 단변을 따르는 방향을 Z 방향이라고 기재한다. 수용 오목부 측벽(19)은, 수용 오목부 저벽(18)의 단변에 접속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수용 오목부 횡벽(20)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16)에는 Y 방향으로 오목한 삽입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 저벽(18)에는, X 방향으로 오목한 계지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오목부(23)와 삽입 오목부(22)는, Z 방향에서 보아,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일부가 겹쳐 있다. 계지 오목부(23)와 삽입 오목부(22)가 겹쳐 있는 부분에는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오목부(23) 및 삽입 오목부(22)는 개구부(24)를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계지 오목부(23)의 저벽인 계지 오목부 저벽(25)은 삽입 오목부(22)의 X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삽입 오목부(22)의 저벽인 삽입 오목부 저벽(26)은 계지 오목부(23)의 Y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계지 오목부 저벽(25)과 삽입 오목부 저벽(26)은 서로 접속되어 있다.
삽입 오목부(22)를 획정하는 측벽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삽입 오목부 횡벽(27) 및 제 2 삽입 오목부 횡벽(28)과,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삽입 오목부 종벽(29)이 포함된다. 제 1 삽입 오목부 횡벽(27) 및 제 2 삽입 오목부 횡벽(28)은 X 방향을 향하여 있다. 제 1 삽입 오목부 횡벽(27)은 제 2 삽입 오목부 횡벽(28)에 비해, 계지 오목부(23)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삽입 오목부 종벽(29)은 각각 Z 방향을 향하여 있다.
계지 오목부(23)를 획정하는 측벽에는,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직교하고, 삽입 오목부(22)의 개구측을 향하는 계지 오목부 종벽(30)이 포함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6)은 주면이 X 방향을 향하도록, 수용 오목부(17)에 수용되어 있다. 기판(6)의 이면은 수용 오목부 저벽(18)에 접촉하여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6)의 표면측에는, 보지 부재(8)가 배치되어 있다. 보지 부재(8)는 가요성을 갖는 수지제의 부재이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지 부재(8)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외측 프레임(35)과, 외측 프레임(35)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종방향 비임(36)을 갖고 있다. 외측 프레임(35)은 기판(6)의 연부와 대략 동형(同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지 부재(8)는, 외측 프레임(35)의 장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장변)이 기판(6)의 장변을 따르고, 또한 외측 프레임(35)의 장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단변)이 기판(6)의 단변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종방향 비임(36)은 외측 프레임(35)의 장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종방향 비임(36)은 각각 외측 프레임(35)의 장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지 부재(8)에는 3개의 종방향 비임(36)이 마련되어 있다. 보지 부재(8)는 외측 프레임(35) 및 종방향 비임(36)의 기판(6)에 대향하는 면(이면)에 있어서 기판(6)에 접촉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 횡벽(20)에는 각각 수용 오목부(17)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계지 돌기(37)가 마련되어 있다. 각 수용 오목부 횡벽(20)에는, 계지 돌기(37)가 2개씩 쌍을 이루어 마련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계지 돌기(37)는, 각 수용 오목부 횡벽(20)에 있어서, 수용 오목부 저벽(18)에 대략 평행하게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계지 돌기(37)는 외측 프레임(35)의 단변의 표면에 접촉하고, 보지 부재(8)의 수용 오목부(17)의 개구로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6)은 수용 오목부 저벽(18)과 보지 부재(8)에 협지되어 있다. Y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계지 돌기(37)의 간격은 외측 프레임(35)의 장변보다 짧고, 기판(6)의 장변보다 길다.
보지 부재(8)는 복수의 종방향 비임(36)의 대략 중앙을 접속하는 횡방향 비임(38)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방향 비임(38)은 3개의 종방향 비임(36) 모두를 접속하고 있다. 종방향 비임(36) 및 횡방향 비임(38)은 격자형상으로 늘어선 발광 소자(5) 사이를 통과하고 있다. 보지 부재(8)에는, 외측 프레임(35), 종방향 비임(36) 및 횡방향 비임(38)에 의해, 발광 소자(5)에 대응하는 위치에, X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광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횡방향 비임(38)에는, 이면으로부터 X 방향으로 돌출하는 계지 볼록부(40)가 마련되어 있다.
계지 볼록부(40)는 관통 구멍(11)을 통과하여, 계지 오목부(23)로 돌입해서 끼워맞춰져 있다. 계지 볼록부(40)가 관통 구멍(11)을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기판(6)의 보지 부재(8)에 대한 계지 볼록부(40)의 돌출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계지 볼록부(40)는 계지 오목부(23)에 끼워맞춰져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의 홀더 부재(7)에 대한 수용 오목부 저벽(18)을 따르는 방향(X 방향 및 Y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계지 볼록부(40)는, X 방향을 향하는 계지 볼록부 돌출 단부벽(41)과, 계지 볼록부 돌출 단부벽(41)의 주변에 결합된 계지 볼록부 측벽(42)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계지 볼록부 돌출 단부벽(41)에는, 단차로 형성되고, 대략 X 방향을 향하는 제 1 돌출 단부면(43) 및 제 2 돌출 단부면(44)과, 제 1 돌출 단부면(43)과 제 2 돌출 단부면(44)을 접속하는 접속면(45)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돌출 단부면(43)은 제 2 돌출 단부면(44)보다 계지 볼록부(40)의 기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돌출 단부면(43)은 계지 오목부 저벽(25)에 대향하는 면을 이루고, 제 2 돌출 단부면(44)은 개구부(24)를 거쳐서 제 2 삽입 오목부 횡벽(28)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면(45)은 Y 방향에 있어서의 삽입 오목부(22)의 개구측으로 향하고, 또한 삽입 오목부 저벽(26)의 벽면에 연속하여 있다. 계지 볼록부(40)는 제 1 돌출 단부면(43)에 있어서, 계지 오목부 저벽(25)에 접촉하고 있다. 계지 볼록부 측벽(42)에는, 계지 오목부 종벽(30)에 대향하는 계지 볼록부 종벽(46)이 포함된다.
기판(6)에는, 판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접속 단자(47)가 복수 결합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판(6)에는, 2개의 접속 단자(47)가 결합되어 있다. 접속 단자(47)는 기단측에 있어서, 기판(6)에 결합하여 있다.
도 7 및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속 단자(47)는, 기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기단부(47A)와, 중간부(47B)와, 돌출 단부(47C)를 포함한다. 기단부(47A)는, 그 기단측에 있어서, 2개가 분기하여 각각 접속 구멍(12)에 삽입되어서, 랜드(13)에 납땜되고 있다. 기단부(47A)는 접속 구멍(12)으로부터 관통 구멍(11)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기단부(47A)는, 돌출 단부측에서, X 방향으로 굴곡하고, 관통 구멍(11)의 내부로 연장되어서, 중간부(47B)에 접속하고 있다. 중간부(47B)는, 관통 구멍(11)을 따라 기판(6)의 이면측에 이르고, 계지 볼록부 종벽(46)과 계지 오목부 종벽(30) 사이를 통과하여, 계지 오목부 저벽(25)에 이르고 있다. 중간부(47B)는, 계지 오목부 저벽(25)에서 굴곡하여, 돌출 단부(47C)에 접속하고 있다. 돌출 단부(47C)는 계지 오목부 저벽(25)을 따라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도 10 참조). 계지 오목부 저벽(25)에는, 계지 오목부 종벽(30)으로부터 삽입 오목부(22)의 개구로 향하는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48)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지 오목부 저벽(25)에는 2개의 홈(48)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 단부(47C)는 중간부(47B)측에 있어서, 각각 홈(48)에 수용되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출 단부(47C)는 중간부(47B)측에 있어서, 계지 오목부 저벽(25)과 제 1 돌출 단부면(43)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홈(48)의 Y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에는, Z 방향으로 폭이 좁혀진 협착부(狹窄部)(49)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단부(47C)는 협착부(49)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Z 방향의 폭이 좁혀져 있다. 접속 단자(47)가 Y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협착부(49)를 획정하는 벽면에 돌출 단부(47C)가 접촉한다. 협착부(49)에 의해, 접속 단자(47)의 Y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돌출 단부(47C)는 홈(48)을 통해서, Y 방향으로 연장되고, 삽입 오목부(22)의 개구를 향해 돌출하여 있다. 돌출 단부(47C)는 삽입 오목부 저벽(26)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고, 제 2 돌출 단부면(44)과 제 2 삽입 오목부 횡벽(28) 사이에 이르고 있다. 제 2 돌출 단부면(44)은 제 1 돌출 단부면(43)보다 기단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2 돌출 단부면(44)은 X 방향으로 계지 오목부 저벽(2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돌출 단부면(44)과 접속 단자(47)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돌출 단부(47C)의 돌출단은 연속한 접속면(45)과 삽입 오목부 저벽(26)의 벽면 사이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제 2 돌출 단부면(44)은 삽입 오목부(22)의 개구를 향해서, 제 2 삽입 오목부 횡벽(28)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다.
제 2 삽입 오목부 횡벽(28)에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突條)(51), 및 X 방향으로 관통하는 계지 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5)의 외면에는, 커넥터 삽입 오목부(22)의 개구에 연속하는 부분에, 개구에 접속하는 경사면(55)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55)은, Y 방향을 따라 커넥터 삽입 오목부(22)로부터 근접함에 따라, 커넥터 삽입 오목부(22)의 축선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60)의 삽입 단부에는, 접속 단자(47)가 삽입되는 단자 수용 구멍(61)이 형성되고, 커넥터(60)의 삽입 방향 후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케이블(62)이 연장되어 있다. 케이블(62)은 도어 패널(2)을 따라 차체로 연장되고, 차체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유닛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60)의 측면에는 각각,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63)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60)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계지 벽(65)이 마련되어 있다. 계지 벽(65)에는, 계지 구멍(53)에 계합하는 계지 클로(locking claw)(67)가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 삽입 구멍(80)은 제 2 돌출 단부면(44), 접속면(45), 삽입 오목부(22)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커넥터(60)를 커넥터 삽입 구멍(80)에 삽입할 때에는, 커넥터(60)의 전단부는 경사면(55)에 접촉하고, 경사면(55)을 따라 이동하여, 삽입 오목부(22)로 안내된다. 커넥터(60)를 더욱 삽입하면, 커넥터(60)의 전단부는 제 2 돌출 단부면(44)에 접촉하고, 제 2 돌출 단부면(44)을 따라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60)는 단자 수용 구멍(61)에 접속 단자(47)가 삽입되는 적정 위치로 안내된다. 돌조(51)는 가이드 홈(63)에 계합하고, 커넥터(60)는 적정 위치로 안내된다. 계지 클로(67)를 계지 구멍(53)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커넥터(60)는 커티시 램프(4)에 결합된다. 이 때,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60)는 제 2 돌출 단부면(44) 및 제 2 삽입 오목부 횡벽(28)에 협지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60)는 접속 단자(47)를 거쳐서 기판(6)에 접속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용부(15)의 외면에는, 수용 오목부(17)의 개구 연부를 따라 계지 클로(70)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9)는, 투광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된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커버 부재(9)의 연부에는 계합 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계지 클로(70)가 계합 구멍(71)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커버 부재(9)는 수용 오목부(17)의 개구에 결합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17)의 개구는 커버 부재(9)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17)와 커버 부재(9)에 의해, 기판(6) 및 보지 부재(8)를 수용하는 수용실(90)이 획정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17)의 개구 연부에는,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구 방향으로 돌출한 복수의 돌기(73)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9)는 돌기(73)에 접촉하고, 커버 부재(9)와 수용 오목부(17)의 개구 연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간극을 거쳐서, 발광 소자(5)로부터 발생한 열을 수용 오목부(17) 밖으로 방출할 수 있다.
커버 부재(9)는 투명한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도 2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 측벽(74)과, 커버 측벽(74)에 대략 수직으로 결합하는 커버 하벽(75)을 갖고 있다. 커버 측벽(74)은 대략 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커버 하벽(75)은 대략 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티시 램프(4)가 도어 트림(3)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커버 측벽(74)은 도어 트림(3)의 측면에 연속하도록 배치된다. 커버 하벽(75)은 도어 트림(3)의 하면에 연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커버 측벽(74)에는 적색 투명한 착색부(76)가 결합되어 있다.
커티시 램프(4)는, 나사 등의 소정의 부재를 이용하여, 장착 대상이 되는 도어 트림(3)에 고정되어 있다. 커티시 램프(4)에는 커넥터(60)가 접속되어 있다. 도어 트림(3)은 도어 패널(2)에 소정의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차량용 도어(1)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X 방향은 차 외측을 향해서 경사 상방으로 향하는 방향이 되고, Y 방향은 차체에 대해서 전후 방향이 된다.
차량용 도어(1)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발광 소자(5)가 발광한다. 발광 소자(5)가 발광하고 있을 때에는, 커티시 램프(4)는 커버 측벽(74)에서 적색으로 점등하고, 후속차에 차량용 도어(1)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알린다. 발광 소자(5)가 발광하고 있을 때에는, 커티시 램프(4)는 커버 하벽(75)에서 백색으로 점등하여 승강하는 승객의 발밑을 비춘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한 커티시 램프(4)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발광 소자(5)는 기판(6)에 결합되고, 기판(6)은 보지 부재(8)와 수용 오목부 저벽(18)에 협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발광 소자(5)의 덜컹거림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커버 부재(9)에 의해, 보지 부재(8) 및 기판(6)이 덮여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17)에 보지 부재(8) 및 기판(6)이 수용되어 있다. 커버 부재(9)에 의해, 수용 오목부(17)의 개구가 폐쇄되어 있다. 그것들에 의해, 커티시 램프(4)에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에 있어서도, 보지 부재(8) 및 기판(6)에 직접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보지 부재(8) 및 기판(6)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기판(6)은 보지 부재(8)와 홀더 부재(7) 사이에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에는, 나사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장착이 용이하다. 또한, 기판(6)은 수용 오목부 저벽(18)을 따라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6)을 파단시키는 하중이 가해지기 어려워서, 기판(6)의 파손이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통광 구멍(39)에 의해, 발광 소자(5)로부터의 광이 보지 부재(8)에 의해 방해되는 일 없이, 수용 오목부(17)의 개구에 도달한다. 또한, 보지 부재(8)에 통광 구멍(3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형상으로 형성했을 경우에 비해, 보지 부재(8)가 경량이다. 또한, 횡방향 비임(38)이 종방향 비임(36)을 연결하고, 외측 프레임(35)에 결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측 프레임(35)이 Y 방향으로 휘기 쉬워서, 보지 부재(8)의 조립이 용이하다. 기판(6)의 장변은 Y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계지 돌기(37) 사이의 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기판(6)을 Y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계지 돌기(37)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어, 기판(6)의 조립이 용이하다.
접속 단자(47)는 계지 오목부 저벽(25)과 제 1 돌출 단부면(43)에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 단자(47)의 홀더 부재(7)에 대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 단자(47)를 접착 등에 의해 홀더 부재(7)에 고정할 필요가 없어, 조립이 용이하다.
돌출 단부(47C)는 접속면(45) 및 삽입 오목부 저벽(26)으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따라서, 접속 단자(47)는 커넥터 삽입 구멍(80)의 저벽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60)의 단자 수용 구멍(61)에 접속 단자(47)를 끼워맞출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티시 램프(9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티시 램프(4)에 비해, 보지 부재(8) 및 홀더 부재(7)의 형상이 상이하다.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티시 램프(4)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지 부재(8)의 외측 프레임(35)은 장측 방향의 외면 각각에, 둘레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00)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100)의 돌출단에는 각각, 외측을 향하고, 또한 서로 이반한 대략 사각형인 면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00)의 돌출 단부면 각각에는, 둘레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제 1 볼록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돌출부(100)에 형성된 제 1 볼록부(101)는 각각 다른쪽의 돌출부(100)에 형성된 제 1 볼록부(101)와 서로 단변 방향(Y 방향)으로 정렬된 위치에 마련되어, 쌍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지 부재(8)는 2 쌍의 제 1 볼록부(101)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100)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이면측으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향하는 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 면에는 각각, 내측으로 돌출하고, 이면측, 즉 기판(6)측을 향해 연장되는 리브 형상의 제 2 볼록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돌출부(100)에 형성된 제 2 볼록부(102)는 각각 다른쪽의 돌출부(100)에 형성된 제 2 볼록부(102)와 서로 단변 방향(Y 방향)으로 정렬된 위치에 마련되어, 쌍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지 부재(8)는 3 쌍의 제 2 볼록부(102)를 구비하고 있다. 보지 부재(8)의 이면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볼록부(102)의 주위에 있어서 각각 대략 반원형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 부재(7)의 수용 오목부 측벽(19)에 있어서, Z 방향을 향하는 2개의 측벽(이하, 수용 오목부 종벽(107))의 내측의 면에는 각각 외측으로 오목한 수용 오목부(110)가 마련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110)는 각각 수용 오목부(17)의 내측을 향하고, 서로 대향하는 피가압면(111)과, Y 방향을 향하는 좌우 양측면(112)과, X 방향(수용 오목부(17)의 개구 방향)을 향하는 계지면(113)(도 13)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피가압면(111)의 거리는 쌍을 이루는 제 1 볼록부(101)의 돌출단의 거리와 대체로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작다. 제 1 볼록부(101)는 각각 수용 오목부(110)에 수용되고, 탄성 변형하여 피가압면(111)을 가압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보지 부재(8)의 홀더 부재(7)에 대한 덜컹거림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제 1 볼록부(101)를 마련하지 않고, 돌출부(100)의 외면과 피가압면(111) 사이에, 탄성 부재(고무)나 부직포 등을 끼워넣는 것에 의해, 보지 부재(8)의 홀더 부재(7)에 대한 덜컹거림을 방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계지면(113)은 X 방향에 있어서 수용 오목부 저벽(18)에 대해서 단차로 형성되고, 수용 오목부 저벽(18)보다 수용 오목부(17)의 개구측(지면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돌출부(100)는 이면측(지면 하측)의 단부면에 있어서, 계지면(113)에 접촉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 저벽(18)에는 개구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리브(115)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115)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리브(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와,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리브(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를 포함하고, 모든 리브(115)의 돌출 단부면이 X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115)의 돌출 단부면은 X 방향에 있어서 계지면(113)보다 수용 오목부 저벽(18)측(지면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기판(6)의 이면은 리브(115)의 돌출단에 접촉하고, 표면은 계지면(113)보다 수용 오목부(17)의 개구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기판(6)의 Z 방향의 단부면에는 각각 제 2 볼록부(102)가 접촉하고 있다. 쌍을 이루는 제 2 볼록부(102)의 대향하는 면 사이의 거리는 기판(6)의 Z 방향의 폭과 대체로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볼록부(102)는 각각 탄성 변형하여 기판(6)의 단부면을 가압하고, 기판(6)은 쌍을 이루는 제 2 볼록부(102)에 협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판(6)이 보지 부재(8)에 결합하여, 기판(6)의 홀더 부재(7)에 대한 덜컹거림이 방지되고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볼록부(102)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기판(6)에 실장된 LED 소자나 저항 등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LED 소자나 저항 등은 대향하는 제 2 볼록부(102) 사이를 피해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 횡벽(20) 각각에는, 계지 돌기(37)가 마련되어 있다. 계지 돌기(37)는 각각 한쌍의 클로형상을 이루고, 수용 오목부(17)의 내측, 즉 Y 방향(커넥터(60)의 삽입 방향)으로 돌출하여, 보지 부재(8)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6) 및 보지 부재(8)의 수용 오목부(17)의 개구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계지 돌기(37)는 Z 방향에 있어서, 2개의 수용 오목부 종벽(107)의 대체로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외측 프레임(35)은 계지 돌기(37)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휘기 쉬워서, 보지 부재(8)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홀더 부재(7)에는 커버 부재(9)가 결합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측벽(74)은 수용 오목부(17)의 개구 연부에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커버 측벽(74)과 수용 오목부(17)의 개구 연부 사이로부터 광이 새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17)의 개구 연부에는, 커버 하벽(75)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돌기(73)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 하벽(75)은 돌기(73)에 접촉하고, 커버 하벽(75)과 수용 오목부(17)의 개구 연부 사이에 간극(116)이 형성되어 있다. 간극(116)에 의해 홀더 부재(7) 및 커버 부재(9)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홀더 부재(7) 및 커버 부재(9)가 결합하기 쉬워진다. 커버 부재(9)를 구성하는 수지에는, 광을 산란하는 확산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 종벽(107) 중, 커버 측벽(74)에 결합하는 종벽(도 12의 지면 상측)의 개구측 연부에는, 연출부(延出部)(120)가 2개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연출부(120)는 각각 연부로부터 수용 오목부(17)의 개구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여 있다. 수용 오목부 종벽(107) 중, 커버 하벽(75)에 결합하는 종벽의 개구측 연부에는, 플랜지부(121)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121)는 판형상을 이루고, 수용 오목부(17)의 개구의 외측을 향해 연출되어 있다. 플랜지부(121)는 수용 오목부(17)의 개구 방향을 향하는 주면을 갖고, 그 주면에는 수용 오목부(17)의 바닥 방향으로 오목한 플랜지 오목부(123)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 횡벽(20)의 외면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하는 설편부(舌片部)(124)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 트림(3)의 하연부는 차 외측으로 굴곡하여 있다. 그 굴곡한 부분에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9)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관통하는 도어 트림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 트림 개구부(130)는 도어 트림(3)의 차폭방향을 향하는 벽면에 마련된 상반부(130U)와, 차 외측으로 연출되는 벽면에 마련된 하반부(130D)로 이루어진다. 상반부(130U)를 획정하는 연부에는 이면측으로 연출되는 상연부벽(131)이 마련되어 있다. 상연부벽(131)에는, 표면측으로 오목한 2개의 상연부벽 오목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연부벽(131)에는, 이면측으로 판형상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걸림 고정판(133)이 전후로 마련되어 있다. 걸림 고정판(133)의 연출 단부에는, 도어 트림 개구부(130)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클로부(134)가 마련되어 있다. 하반부(130D)를 획정하는 연부에는 상방으로 연출되는 하연부벽(135)이 마련되어 있다. 하연부벽(135)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연부벽 돌기(136)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마련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티시 램프(94)는 도어 트림(3)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시에는, 연출부(120)를 표면측으로부터 도어 트림 개구부(130)로 삽입하여, 연출부(120)를 각각 상연부벽 오목부(132)에 건다. 그 후, 연출부(120)를 축으로 하여 커티시 램프(94)를 회전시켜서, 플랜지부(121)를 이면측으로 밀어넣는다. 플랜지부(121)가 밀어넣어지면, 연부벽 돌기(136)가 각각 탄성 변형하여 플랜지 오목부(123)를 획정하는 벽을 통과하여, 플랜지 오목부(123)에 끼워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커티시 램프(94)는 도어 트림(3)에 조립된다. 이와 같이, 연출부(120)를 축으로 하여 커티시 램프(94)를 회전시킴으로써, 커티시 램프(94)를 용이하게 적정한 위치에 배치하여, 도어 트림(3)에 조립할 수 있다.
커티시 램프(94)가 도어 트림(3)에 조립되었을 때에는, 걸림 고정판(133)이 각각 커티시 램프(94)의 측면에 접촉하고, 클로부(134)가 설편부(124)에 이면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커티시 램프(94)의 도어 트림(3)을 따르는 방향, 및 도어 트림(3)의 이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연부벽 돌기(136)가 플랜지 오목부(123)에 끼워넣어져 있기 때문에, 커티시 램프(94)의 하부의 도어 트림(3)의 표면측, 이면측, 및 도어 트림(3)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연출부(120)가 도어 트림(3)의 이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커티시 램프(94)의 상부의 도어 트림(3)의 표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커티시 램프(94)가 도어 트림(3)에 고정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커티시 램프(19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티시 램프(194)에 비해, 기판(6)의 형상이 상이하고, 홀더 부재(7) 및 보지 부재(8)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주로 기판(6)의 형상, 기판(6)과 홀더 부재(7) 및 보지 부재(8)의 관계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홀더 부재(7) 및 보지 부재(8)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을 실행한다.
기판(6)은 표면에 평판형상의 프린트 기판이며, 발광 소자(5)를 포함하는 저항이나 다이오드 등(도시하지 않음)의 전자 부품이 납땜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6)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판형상의 기부(202)와, 기부의 한쪽측의 단변(이하, 제 1 단변(203))의 대략 중앙 부분에 있어서 기부(202)의 내측을 향해 절결 형성된 1개의 절결부(204)를 구비하고 있다. 절결부(204)는 제 1 단변(203)에만 형성되고, 기부(202)의 다른쪽측의 단변(이하, 제 2 단변(209))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절결부(204)는 기부(202)의 장변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연부벽(205) 및 제 2 연부벽(206)과, 기부(202)의 단변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제 3 연부벽(207)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발광 소자(5)는 백색으로 발광하는 표면 실장형의 LED 소자이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유기 EL 소자, 전구 등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 소자(5)는 단측 방향으로 2행, 장측 방향으로 4열의 격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기판(6)에는 대략 중앙으로 관통하고, 기판(6)의 장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사각형인 사각형 관통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6)에는 또한 대략 원형인 관통 구멍인 접속 구멍(12)이 사각형 관통 구멍(11)에 대해서 기판(6)의 장측 방향측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기판(6)의 표면에 있어서 접속 구멍(12)의 개구 주연부에는, 납땜용의 랜드(13)가 마련되어 있다.
홀더 부재(7)는, 도 2 및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용부(15)와, 수용부(15)로부터 소정의 방향인 X 방향으로 돌출한 커넥터부(16)를 갖는 수지제의 부재이다. 수용부(15)에는, 커넥터부(16)가 결합된 면의 반대측에 있어서, X 방향으로 오목한 수용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17)는, X 방향에 수직인 수용 오목부 저벽(18)과, 수용 오목부 저벽(18)의 주위에 마련된 수용 오목부 측벽(19)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 저벽(18)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이하에서는, 수용 오목부 저벽(18)의 장변을 따르는 방향을 Y 방향, 단변을 따르는 방향을 Z 방향이라고 기재한다. 홀더 부재(7)의 수용 오목부 측벽(19)은, 수용 오목부 저벽(18)의 단변 각각에 접속된 수용 오목부 횡벽(20)과, 수용 오목부 저벽(18)의 장변 각각에 접속된 수용 오목부 종벽(107)을 포함하고 있다. 수용 오목부 횡벽(20)은 Y 방향을 향해 서로 대향하고, 대략 평행한 제 1 횡벽(20A)과 제 2 횡벽(20B)을 포함한다. 수용 오목부 종벽(107)은 Z 방향을 향해 서로 대향하고, 대략 평행한 2개의 종벽을 포함하고 있다.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6)은 주면이 X 방향을 향하도록, 수용 오목부(17)에 수용되어 있다. 기판(6)은 제 1 단변(203)이 제 1 횡벽(20A)을 따르도록 수용 오목부 저벽(18)에 배치되고, 이면에서 수용 오목부 저벽(18)에 접촉하고 있다.
기판(6)의 표면측에는, 보지 부재(8)가 배치되어 있다. 보지 부재(8)는 가요성을 갖는 수지제의 부재이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지 부재(8)는, 보지 부재(8)의 외연부를 이루고 대략 직사각형상의 외측 프레임(35)과, 외측 프레임(35)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종방향 비임(36)을 갖고 있다. 외측 프레임(35)은 기판(6)의 연부와 대략 동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 횡벽(20)에는 각각 계지 돌기(37)가 마련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횡벽(20A)에는 제 1 계지 돌기(37A) 및 제 2 계지 돌기(37B)의 2개의 계지 돌기(37)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계지 돌기(37A)와 제 2 계지 돌기(37B)는 각각 Y 방향을 따라 수용 오목부(17)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제 1 계지 돌기(37A)는 제 2 계지 돌기(37B)에 대해서 Z 방향 한쪽측에 위치하고, 수용 오목부 저벽(18)에 대해서 평행하게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횡벽(20B)에는 수용 오목부 저벽(18)에 평행하게 늘어선 제 3 계지 돌기(37C) 및 제 4 계지 돌기(37D)의 2개의 계지 돌기(37)가 마련되어 있다. 제 3 계지 돌기(37C)와 제 4 계지 돌기(37D)는 각각 Y 방향을 따라 수용 오목부(17)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제 1 계지 돌기(37A)와 제 3 계지 돌기(37C)는 Y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제 2 계지 돌기(37B)와 제 4 계지 돌기(37D)는 Y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있다.
외측 프레임(35)의 표면에는 제 1 계지 돌기(37A) 내지 제 4 계지 돌기(37D)가 각각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보지 부재(8)의 수용 오목부 저벽(18)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6)은 이면에서 수용 오목부 저벽(18)에 접촉하고, 표면에서 보지 부재(8)의 이면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8)는 제 1 계지 돌기(37A) 내지 제 4 계지 돌기(37D)에 의해 계지되고, 기판(6)은 보지 부재(8)와 수용 오목부 저벽(18)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절결부(204)는 X 방향에서 보아, 제 1 계지 돌기(37A) 및 제 2 계지 돌기(37B)에 대해서 Y 방향으로 대향하고, 절결부(204)는 제 1 계지 돌기(37A) 및 제 2 계지 돌기(37B)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또한, 절결부(204)는, X 방향에 있어서 보지 부재(8)의 외측 프레임(35)과 수용 오목부 저벽(18)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1 계지 돌기(37A)의 Z 방향 한쪽의 단부와 제 2 계지 돌기(37B)의 Z 방향 다른쪽의 단부의 거리는 제 1 연부벽(205) 및 제 2 연부벽(206)의 간격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제 1 계지 돌기(37A) 및 제 2 계지 돌기(37B)가 절결부(204)를 동시에 통과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 1 계지 돌기(37A)의 돌출단 및 제 3 계지 돌기(37C)의 돌출단과, 제 2 계지 돌기(37B)의 돌출단 및 제 4 계지 돌기(37D)의 돌출단은 각각 제 3 연부벽(207) 및 제 2 단변(209)의 거리보다 이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립시에, 제 3 연부벽(207) 및 제 2 단변(209) 사이의 부분을, 제 1 계지 돌기(37A)의 돌출단 및 제 3 계지 돌기(37C)의 돌출단 사이, 및 제 2 계지 돌기(37B)의 돌출단 및 제 4 계지 돌기(37D)의 돌출단 사이를 통과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기판(6)을 수용 오목부 저벽(18)을 향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보지 부재(8)는 복수의 종방향 비임(36)의 대략 중앙을 접속하는 횡방향 비임(38)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방향 비임(38)은 3개의 종방향 비임(36) 모두를 접속하고 있다. 종방향 비임(36) 및 횡방향 비임(38)은 서로 이웃하는 발광 소자(5) 사이를 통과하고 있다. 보지 부재(8)에는, 외측 프레임(35), 종방향 비임(36) 및 횡방향 비임(38)에 의해, 발광 소자(5)에 대응하는 위치에, X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광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횡방향 비임(38)에는, 이면으로부터 X 방향으로 돌출하는 계지 볼록부(40)가 마련되어 있다.
계지 볼록부(40)는 사각형 관통 구멍(11)을 통과하고, 계지 오목부(23)로 돌입하여 끼워맞춰져 있다. 계지 볼록부(40)가 사각형 관통 구멍(11)을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기판(6)의 보지 부재(8)에 대한 계지 볼록부(40)의 돌출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계지 볼록부(40)는 계지 오목부(23)에 끼워맞춰져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의 홀더 부재(7)에 대한 수용 오목부 저벽(18)을 따르는 방향(X 방향 및 Y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속 단자(47)는, 기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기단부(47A)와, 중간부(47B)와, 돌출 단부(47C)를 포함한다. 기단부(47A)는, 그 기단측에 있어서, 2개가 분기하여 각각 접속 구멍(12)에 삽입되어서, 랜드(13)에 납땜되고 있다. 기단부(47A)는 접속 구멍(12)으로부터 사각형 관통 구멍(11)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기단부(47A)는, 돌출 단부측에서, X 방향으로 굴곡하고, 사각형 관통 구멍(11)의 내부로 연장되어서, 중간부(47B)에 접속하고 있다. 중간부(47B)는, 사각형 관통 구멍(11)을 따라 기판(6)의 이면측에 이르고, 계지 볼록부 종벽(46)과 계지 오목부 종벽(30) 사이를 통과하여, 계지 오목부 저벽(25)에 이르고 있다. 중간부(47B)는, 계지 오목부 저벽(25)에서 굴곡하여, 돌출 단부(47C)에 접속하고 있다. 돌출 단부(47C)는 계지 오목부 저벽(25)을 따라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도 10 참조). 계지 오목부 저벽(25)에는, 계지 오목부 종벽(30)으로부터 삽입 오목부(22)의 개구로 향하는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48)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지 오목부 저벽(25)에는 2개의 홈(48)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 단부(47C)는 중간부(47B)측에 있어서, 각각 홈(48)에 수용되고, 도 10 및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출 단부(47C)는 중간부(47B)측에 있어서, 계지 오목부 저벽(25)과 제 1 돌출 단부면(43)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출 단부(47C)는 홈(48)을 통해서, Y 방향으로 연장되고, 삽입 오목부(22)의 개구를 향해 돌출하여 있다. 돌출 단부(47C)는 삽입 오목부 저벽(26)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고, 제 2 돌출 단부면(44)과 제 2 삽입 오목부 횡벽(28) 사이에 이르고 있다. 제 2 돌출 단부면(44)은 제 1 돌출 단부면(43)보다 기단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2 돌출 단부면(44)은 X 방향으로 계지 오목부 저벽(2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돌출 단부면(44)과 접속 단자(47)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돌출 단부(47C)의 돌출단은 연속한 접속면(45)과 삽입 오목부 저벽(26)의 벽면 사이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제 2 돌출 단부면(44)은 삽입 오목부(22)의 개구를 향해서, 제 2 삽입 오목부 횡벽(28)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 저벽(18)의 커넥터부(16)의 돌출 방향측의 면에는, X 방향에 대략 수직인 저벽 이면(54)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부(16)는 그 저벽 이면(54)으로부터 X 방향으로 돌출하고, 삽입 오목부(22)의 개구는 저벽 이면(54)보다 커넥터부(16)의 돌출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삽입 오목부(22)의 개구 연부는 삽입 오목부(22)의 개구로 향함에 따라 커넥터부(16)의 돌출 방향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55)을 거쳐서, 저벽 이면(54)에 접속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용부(15)의 외면에는, 수용 오목부(17)의 개구 연부를 따라 계지 클로(70)가 복수 마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9)는 투광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된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커버 부재(9)의 연부에는 계합 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계지 클로(70)가 계합 구멍(71)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커버 부재(9)는 수용 오목부(17)의 개구에 결합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17)의 개구가 커버 부재(9)에 의해 폐쇄되는 것에 의해, 홀더 부재(7)와 커버 부재(9)가 협동하여, 기판(6) 및 보지 부재(8)를 수용하는 수용실(90)이 형성된다.
커버 부재(9)는 투광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도 2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 측벽(74)과, 커버 측벽(74)에 대략 수직으로 결합하는 커버 하벽(75)을 갖고 있다. 커버 측벽(74)은 무색 투명하고, 대략 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커버 측벽(74)의 외면에는 적색 투명한 착색부(76)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티시 램프(194)가 도어 트림(3)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착색부(76)의 외면은 도어 트림(3)의 측면에 연속하고 있다. 커버 하벽(75)은 무색 투명하고, 대략 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커티시 램프(194)가 도어 트림(3)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커버 하벽(75)의 외면은 도어 트림(3)의 하면에 연속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부재(9)는 투광성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지만, 커버 부재(9)는 부분적으로 투광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차량용 도어(1)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케이블(62)을 거쳐서 발광 소자(5)에 전력이 공급되어, 발광 소자(5)가 발광한다. 발광 소자(5)의 발광에 의해, 커티시 램프(194)의 커버 측벽(74)은 적색으로 점등한다. 이것에 의해, 커티시 램프(194)는 후속차에의 경고등으로서 기능한다. 동시에, 커티시 램프(194)의 커버 하벽(75)은 백색으로 점등하고, 커티시 램프(194)는 승강하는 승객의 발밑을 비추는 조명으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한 커티시 램프(194)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립시에는, 기판(6)을 수용 오목부(17)에 경사지게 삽입하여 제 2 단변(209)을 제 2 횡벽(20B)에 대향하도록 배치한 후에, 기판(6)을 회전시켜 제 1 단변(203)을 수용 오목부(17)의 바닥을 향해 이동시켜서, 기판(6)을 수용 오목부 저벽(18)에 접하도록 배치하면 좋다. 이 때, 제 1 계지 돌기(37A) 및 제 2 계지 돌기(37B)가 동시에 절결부(204)를 통과하기 때문에, 기판(6)이 제 1 계지 돌기(37A) 및 제 2 계지 돌기(37B)에 간섭하지 않아, 기판(6)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204)가 제 1 단변(203)에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단변(203) 및 제 2 단변(209)에 절결부(204)가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기판(6)의 강성이 높다. 또한, 절결부(204)가 제 1 단변(203)에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6)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204)가 제 1 계지 돌기(37A) 및 제 2 계지 돌기(37B)가 동시에 통과 가능하기 때문에, 기판(6)에는 제 1 계지 돌기(37A) 및 제 2 계지 돌기(37B)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204)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기판(6)의 형상이 간소하게 되어, 기판(6)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절결부(204)는 기판(6)의 외주연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6)을 제 1 계지 돌기(37A) 및 제 2 계지 돌기(37B)에 간섭하는 것을 피하도록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204)가 제 1 단변(203)의 대략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단변(203)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제 1 단변(203)의 양단부 중 한쪽에 하중이 집중하지 않아, 기판(6)에 하중이 불균일하게 가해지기 어렵다. 그 때문에, 기판(6)이 변형하기 어려워진다.
절결부(204)는 외측 프레임(35)과 수용 오목부 저벽(18)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절결부(204)에 물체가 충돌하기 어려워서, 기판(6)이 변형하기 어렵다. 절결부(204)가 외측 프레임(35)과 수용 오목부 저벽(18) 사이에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단변(203)을 보다 강고하게 외측 프레임(35)과 수용 오목부 저벽(18) 사이에 보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지 부재(8)를 계지 돌기(37)와 수용 오목부 저벽(18) 사이에 안정하게 보지할 수 있다.
통광 구멍(39)에 의해, 발광 소자(5)로부터의 광이 보지 부재(8)에 의해 방해되는 일 없이, 수용 오목부(17)의 개구에 도달한다. 또한, 보지 부재(8)에 통광 구멍(3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형상으로 형성했을 경우에 비해, 보지 부재(8)가 경량이다. 또한, 횡방향 비임(38)이 종방향 비임(36)을 연결하고, 외측 프레임(35)에 결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측 프레임(35)이 Y 방향으로 휘기 쉬워서, 보지 부재(8)의 조립이 용이하다.
이상으로 구체적 실시형태의 설명을 마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폭넓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부재(9)에 의해, 수용 오목부(17)의 개구가 폐쇄되어, 보지 부재(8) 및 기판(6) 모두가 덮여 있었지만, 이 태양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보지 부재(8)의 적어도 일부, 및 기판(6)의 적어도 일부가 커버 부재(9)에 의해 덮이는 태양이어도 좋고, 이 경우에도, 커버 부재(9)에 의해 보지 부재(8)의 일부가 덮여서, 보지 부재(8)를 외부로부터의 하중에 대해서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보지 부재(8)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9)에 의해 기판(6)의 일부가 덮여서, 기판(6)을 외부로부터의 하중에 대해서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6)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횡벽(20A) 및 제 2 횡벽(20B)에 각각 2개씩의 계지 돌기(37)가 마련되어 있었지만, 3개 이상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때, 계지 돌기(37)의 적어도 2개가 1개의 절결부(204)를 동시에 통과 가능하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램프 유닛은 커티시 램프(4, 94, 194)에 적용되고 있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램프 유닛은, 전조등(head light), 방향 지시등, 안개등(fog light), 후미등(tail light), 브레이크등(brake light), 후진등(back light), 번호등, 실내등, 차량용의 각종 라이트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램프 유닛은 자전거용 라이트, 회중 전등 등에도 적용되어도 좋다.
계지 돌기(37)는 제 2 볼록부(102)의 Z 방향으로 정렬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외측 프레임(35)의 변형하기 어려운 단부에 계지 돌기(37)가 접촉하기 때문에, 기판(6) 및 보지 부재(8)가 수용 오목부(17)로부터 탈락하기 보다 어려워진다.
또한, 플랜지부(121)를 도어 트림(3)의 이면측으로 밀어넣을 때에, 걸림 고정판(133)이 도어 트림 개구부(130)의 외측으로 휘어서, 결합후, 걸림 고정판(133)이 설편부(124)에 압접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클로부(134)가 커버 부재(9)의 연부에 걸림고정되는 것에 의해, 커티시 램프(4)가 도어 트림(3)에 결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홀더 부재(7)는 도어 트림(3)에 일체로 형성되고, 커버 부재(9)가 도어 트림(3)으로부터 착탈 가능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3 : 도어 트림(장착 대상)
4 :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티시 램프(램프 유닛)
5 : 발광 소자
6 : 기판
7 : 홀더 부재
8 : 보지 부재
9 : 커버 부재
11 : 관통 구멍
17 : 수용 오목부
18 : 수용 오목부 저벽(오목부 저벽)
19 : 수용 오목부 측벽(오목부 측벽)
22 : 삽입 오목부(커넥터 삽입 오목부)
23 : 계지 오목부
35 : 외측 프레임
36 : 종방향 비임
37 : 계지 돌기(계합부)
38 : 횡방향 비임
39 : 통광 구멍
40 : 계지 볼록부
43 : 제 1 돌출 단부면
44 : 제 2 돌출 단부면
47 : 접속 단자
48 : 홈
55 : 경사면
60 : 커넥터
80 : 커넥터 삽입 구멍
90 : 수용실
94 :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티시 램프(램프 유닛)
101 : 제 1 볼록부
102 : 제 2 볼록부
194 :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커티시 램프(램프 유닛)
203 : 제 1 단변
204 : 절결부

Claims (17)

  1. 장착 대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홀더 부재와,
    발광 소자를 그 주면 상에 구비한 기판과,
    상기 기판을 상기 홀더 부재 상에 보지하도록 상기 홀더 부재에 계합하여, 상기 홀더 부재에 대해서 상기 기판을 협지하기 위한 보지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광성이며, 상기 홀더 부재와 협동하여, 상기 기판 및 상기 보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획정하도록 상기 홀더 부재에 장착된 커버 부재를 갖고,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기판 및 상기 보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를 갖고, 상기 홀더 부재의 내면에는, 상기 보지 부재를 계지하기 위한 계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보지 부재가 판형상을 이루고, 상기 기판의 연부를 따라 형성된 외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측의 상기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위치를 관통하는 통광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외주면의 서로 이반하는 적어도 2개의 부분 각각으로부터 돌출하고, 각각 상기 수용 오목부를 획정하는 벽면을 따라 돌출하는 제 1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레임은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 1 볼록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상기 외주면의 서로 대향하는 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외측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기판측을 향해 돌출하고, 상기 기판의 단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기판을 협지하는 한쌍의 제 2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볼록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장측 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의 단측 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되고, 각각 상기 외측 프레임에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오목부의 저벽에는 상기 기판에 접촉하도록, 개구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부재에는, 외면으로부터 상기 수용 오목부의 저벽과 상기 홀더 부재의 외면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 오목부에 이르는 커넥터 삽입 오목부를 갖고,
    상기 리브는 상기 커넥터 삽입 오목부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커넥터 삽입 오목부를 끼워맞추도록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유닛.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은 차량용 도어에 마련되는 커티시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유닛.
  10. 제 9 항에 기재된 상기 커티시 램프가 마련되어 있는
    차량용 도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97020736A 2017-12-26 2018-12-24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KR102236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9129A KR102319853B1 (ko) 2017-12-26 2018-12-24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9814 2017-12-26
JP2017249814A JP6652720B2 (ja) 2017-08-11 2017-12-26 ランプユニット、及び車両用ドア
JP2018028280A JP6652723B2 (ja) 2018-02-20 2018-02-20 ランプユニット、及び車両用ドア
JPJP-P-2018-028280 2018-02-20
PCT/JP2018/047407 WO2019131566A1 (ja) 2017-12-26 2018-12-24 ランプユニット、及びランプユニットを備えた車両用ドア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129A Division KR102319853B1 (ko) 2017-12-26 2018-12-24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008A KR20190099008A (ko) 2019-08-23
KR102236044B1 true KR102236044B1 (ko) 2021-04-02

Family

ID=6706729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736A KR102236044B1 (ko) 2017-12-26 2018-12-24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KR1020217034670A KR102416959B1 (ko) 2017-12-26 2018-12-24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KR1020217009129A KR102319853B1 (ko) 2017-12-26 2018-12-24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KR1020227022426A KR102557248B1 (ko) 2017-12-26 2018-12-24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670A KR102416959B1 (ko) 2017-12-26 2018-12-24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KR1020217009129A KR102319853B1 (ko) 2017-12-26 2018-12-24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KR1020227022426A KR102557248B1 (ko) 2017-12-26 2018-12-24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1112095B2 (ko)
JP (1) JP6652723B2 (ko)
KR (4) KR102236044B1 (ko)
CN (2) CN111492174B (ko)
WO (1) WO201913156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1997A (ja) * 2010-09-17 2012-03-29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車室内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5888A (ja) 1996-03-04 1997-09-19 Fujitsu Ten Ltd コネクタ構造
JP3417533B2 (ja) 1997-07-31 2003-06-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構造
JP2000021273A (ja) * 1998-06-30 2000-01-21 Niles Parts Co Ltd コラムスイッチ
JP3751769B2 (ja) 1999-06-25 2006-03-01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の接続部構造
JP3416945B2 (ja) 1999-11-30 2003-06-16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電気機器の接続構造
JP4343720B2 (ja) 2004-01-23 2009-10-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灯具
JP2008016362A (ja) * 2006-07-07 2008-01-24 Koito Mfg Co Ltd 発光モジュール及び車輌用灯具
KR100978742B1 (ko) * 2008-06-30 2010-08-3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사이드 리피터
KR200456929Y1 (ko) * 2008-11-03 2011-11-28 (주)씨티엘 일체형 자동차용 풋 램프
JP5237894B2 (ja) 2009-07-07 2013-07-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
CN201672416U (zh) * 2010-05-12 2010-12-15 佳欣汽车用品股份有限公司 车门灯改良结构
JP5666333B2 (ja) 2011-02-14 2015-02-12 矢崎総業株式会社 ランプユニット
JP5731303B2 (ja) * 2011-07-14 2015-06-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発光モジュール
CN102506365B (zh) * 2011-10-19 2014-06-18 上海英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车门投影灯及其应用
EP2813748B1 (en) * 2012-02-07 2023-09-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ght-source device and reflector-support structure
CN104271397B (zh) 2012-05-09 2017-05-17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发光装置
KR101722049B1 (ko) * 2014-09-02 2017-03-31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32222B1 (ko) * 2015-11-04 2022-08-17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광학 플레이트, 조명 소자 및 광원 모듈
CN105276489A (zh) * 2015-11-30 2016-01-27 重庆林洲机械制造有限公司 汽车门灯
JP2017109507A (ja) 2015-12-14 2017-06-22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天井用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1997A (ja) * 2010-09-17 2012-03-29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車室内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12095B2 (en) 2021-09-07
KR20190099008A (ko) 2019-08-23
KR20220100083A (ko) 2022-07-14
KR102319853B1 (ko) 2021-10-29
JP6652723B2 (ja) 2020-02-26
KR20210134420A (ko) 2021-11-09
CN111492174A (zh) 2020-08-04
KR20210038694A (ko) 2021-04-07
CN115717694A (zh) 2023-02-28
US20230167967A1 (en) 2023-06-01
US11603984B2 (en) 2023-03-14
US20210095837A1 (en) 2021-04-01
US20210356101A1 (en) 2021-11-18
WO2019131566A1 (ja) 2019-07-04
US20240052996A1 (en) 2024-02-15
KR102416959B1 (ko) 2022-07-05
US11815246B2 (en) 2023-11-14
KR102557248B1 (ko) 2023-07-18
JP2019142350A (ja) 2019-08-29
US12078324B2 (en) 2024-09-03
CN111492174B (zh)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6419B2 (ja) 車両用内装材
US8282252B2 (en) Vehicle interior light source unit
JP5721446B2 (ja) 室内ランプの固定構造
JP2024023806A (ja) ランプユニット
JP5450036B2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2236044B1 (ko)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JP7132266B2 (ja) 照明灯
CN219246327U (zh) 照明标志组件
JP2013022990A (ja) 照明ユニット
JP7044981B2 (ja) ランプユニット
JP6869068B2 (ja) 灯具
JP2011235685A (ja) 車載用室内照明装置の機能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