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691B1 -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691B1
KR102233691B1 KR1020200118609A KR20200118609A KR102233691B1 KR 102233691 B1 KR102233691 B1 KR 102233691B1 KR 1020200118609 A KR1020200118609 A KR 1020200118609A KR 20200118609 A KR20200118609 A KR 20200118609A KR 102233691 B1 KR102233691 B1 KR 102233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st collection
electric dust
collection system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근
박민찬
방주엽
김세훈
심규형
심효원
김성규
헌 권
Original Assignee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부산교통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부산교통공사 filed Critical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11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68Control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으로써, 보다 상세하게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조화시스템의 내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 가능하며, 오운전 또는 고장을 유발하는 복수개의 인자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을 최소화함으로써 성능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Electrostatic precipitato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으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조화시스템의 내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 가능하며, 오운전 또는 고장을 유발하는 복수개의 인자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을 최소화함으로써 성능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등을 비롯한 팬더믹 사태와 미세먼지 등의 증가로 인해 공기조화시스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지하철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조화시스템의 경우 대부분 중성능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중성능 필터의 경우, PM2.5 등의 초미세먼지를 여과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설치된 중성능 필터를 헤파필터 등으로 교체할 경우, 노후된 공기조화시스템으로 인한 압력손실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전기집진시스템은 일측 방향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 등을 여과시켜 타측 방향으로 깨끗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고전압의 인가에 따라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을 통해 생성된 전하와 결합되도록 하여 미세 먼지를 대전시킴으로써 포집이 이루어지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례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86710호(2007.12.11.)에는 자외선 램프가 구비된 전기집진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집진기의 경우, 설치에 소요되는 면적이 커서 지하철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시스템에 전기집진시스템을 적용하여 동시에 운전시킨 여러 실증사업에서 고장이 자주 발생하고, 운전 중 발생하는 돌발 상황에 대하여 신속한 대처가 불가능하며, 장기간 운전에 적합하지 않는 등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6710호(2007.12.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1296호(2016.07.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3720호(2014.03.06.)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03648679호(2005.02.25.)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03456959호(2003.08.0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155303호(2007.06.21.)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05608166호(2014.09.05.)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05476828호(2014.02.2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2131515호(2010.06.17.)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2104937호(2010.05.1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조화시스템의 내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 가능하며, 오운전 또는 고장을 유발하는 복수개의 인자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을 최소화함으로써 성능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조화시스템 내부 또는 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전기집진시스템에 있어서, 공기 중의 초미세먼지를 대전하는 대전부와 상기 대전부에서 대전된 초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와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세척하는 세정부와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건조하는 건조부와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발생부와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고장을 유발하는 인자를 감지하여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인자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자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정보,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기질 정보 및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상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와 공기조화시스템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와 상기 전압발생부의 전압을 측정하는 감지부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 또는 센서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상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압발생부가 운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압발생부는, 상기 대전부와 집진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파워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정부는,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습식 세척하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건식 세척함으로써,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의 집진효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유무를 제공받는 확인단계와 상기 센서부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측정단계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전압발생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 또는 센서부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정상운전유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여부 및 댐퍼 개도율을 포함하는 운전조건을 제공받는 수신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여부 및 고장발생유무를 포함하는 운전결과를 전송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조건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운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정지된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기질측정단계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센싱단계와 상기 센싱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압발생부는, 상기 대전부와 집진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파워팩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측정단계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복수개의 파워팩의 피드백 전압을 측정하는 피드백전압측정단계와 상기 피드백전압측정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횟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된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된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상기 이상신호 살생 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이 자동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유무를 제공받는 확인단계와 상기 세정부가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상기 센서부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단계와 상기 감지부가 상기 전압발생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 또는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 중, 상기 센서부 또는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을 강제 정지시키고, 이후, 상기 세정부 및 건조부가 기설정된 방식으로 운전되어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가 세척 및 건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이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압발생부는, 상기 대전부와 집진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파워팩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측정단계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복수개의 파워팩의 피드백 전압을 측정하는 피드백전압측정단계와 상기 피드백전압측정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부의 운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확인단계와 전압측정단계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감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세정부 및 건조부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설정단계 이후, 상기 세정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세정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세정단계 이후, 상기 건조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단계 및 건조단계가 완료된 이후,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가동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가동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세정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운전조건으로 입력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세정부 및 건조부가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정지되고, 상기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부 및 건조부가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정부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와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수도관밸브와 물을 분사하는 노즐와 상기 노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운전을 시작하면,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수도관밸브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되어 상기 노즐에서 물이 분사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기설정된 노선을 따라 상기 노즐을 이송시켜 다단으로 구비되는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세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조부는, 고압의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와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공기관밸브와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노즐과 상기 공기노즐을 이송시키는 공기노즐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운전을 시작하면,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공기관밸브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되어 상기 공기노즐에서 공기가 분사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기설정된 노선을 따라 상기 공기노즐을 이송시켜 다단으로 구비되는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정부는,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물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측정기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세정부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물저장부에 물을 보충한 후 상기 세정부의 운전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조부는, 상기 공기저장부에 저장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측정기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건조부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공기저장부에 공기를 보충한 후 상기 건조부의 운전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조단계 이후,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세정 및 건조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 횟수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의 표면에 남은 수분으로 인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고장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세정부 및 건조부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설정단계 이후, 상기 세정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세정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세정단계 이후, 상기 건조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센서부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과 후의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성능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과 후의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단계와 건조단계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세정단계와 건조단계가 수행된 이후,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재운전 전과 후의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과 후의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오감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과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이 기설정된 시간만큼 운전하고 난 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운전성능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성능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대전부, 집진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세정부와 건조부가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부와 건조부가 기설정된 방식으로 운전되어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가 세척 및 건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성능에 따라 상기 세정단계 및 건조단계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과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이 10분 간 운전되고 난 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운전성능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과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이 10분 간 운전되고 난 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과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이 10분 간 운전되고 난 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오감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유무를 제공받는 확인단계와 상기 센서부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유독가스를 검출하는 공기조화시스템으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제연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대전부, 집진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세정부와 건조부를 운전시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내부로 물이 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상기 제연신호가 지속적으로 송신되면, 화재발생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대전부, 집진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세정부와 건조부를 운전시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내부로 물이 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압발생부는, 상기 대전부와 집진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파워팩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발생부의 운전 정지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파워팩의 피드백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잔류전류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정부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와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수도관밸브와 물을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는, 고압의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와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공기관밸브와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노즐과 상기 공기노즐을 이송시키는 공기노즐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제연신호가 송신될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도관밸브와 공기관밸브가 개방되어 물과 고압의 공기가 분출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내에 미스트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상기 제연신호가 지속적으로 송신되면, 화재발생으로 판단하여 오감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연신호가 소멸되면, 상기 세정부와 건조부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연신호를 저장하며, 점검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확인 후 조치를 취할 때까지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가 운전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세정부 및 건조부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설정단계 이후, 상기 세정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세정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세정단계 이후, 상기 건조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센서부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중이용시설 내부의 오존발생량을 측정하는 오존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과 후의 상기 오존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단계와 건조단계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세정단계와 건조단계가 수행된 이후,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재운전 전과 후의 상기 오존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세정부 및 건조부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단계와 상기 설정단계 이후, 상기 세정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세정하는 세정단계와 상기 세정단계 이후, 상기 건조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센서부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중이용시설 내부의 오존발생량을 측정하는 오존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과 후의 상기 오존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단계와 건조단계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세정단계와 건조단계가 수행된 이후,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재운전 전과 후의 상기 오존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다중이용시설 내 독립적으로 설치가능하며, 전기집진시스템 불량을 유발하는 환경에서의 운전을 최소화함으로써, 고장을 예방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전기집진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점검하고 지속운전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기집진시스템 불량을 유발하는 환경에서의 운전을 최소화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이상 발생 시, 자동으로 전기집진시스템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일정 주기로 자동 세정되도록 함으로써, 집진부와 대전부의 집진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세정에 의한 전기집진시스템 고장을 최소화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습식 세정의 경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 횟수를 저장하고 그 값이 전력선 통신(PLC)에서 지정한 수치보다 높을 시 전기집진시스템을 운전하게 하여 전기집진시스템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전기집진시스템의 유지보수 시기의 자동알림을 통하여 전기집진시스템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파워팩 이상 신호 또는 미세먼지 농도의 대비를 통해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집진시스템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다중이용시설 내 화재 발생 시, 세정부 및 건조부를 활용하여 대응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구성 및 제어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구성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구성 및 제어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운전되는지 점검하고 지속운전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방법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운전되는지 점검하고 지속운전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방법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가동이상 발생 시,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가동이상 발생 시,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성능유지를 위한 자동세정 및 잔류수분에 의한 고장을 최소화하는 제어방법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성능유지를 위한 자동세정 및 잔류수분에 의한 고장을 최소화하는 제어방법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성능관찰을 통해 전기집진시스템의 유지보수 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성능관찰을 통해 전기집진시스템의 유지보수 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 내 화재 발생 시 전기집진시스템의 비상대응 제어방법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 내 화재 발생 시 전기집진시스템의 비상대응 제어방법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 내 오존발생량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 내 오존발생량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제어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조화시스템(200) 내부 또는 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전기집진시스템(100)에 있어서, 공기 중의 초미세먼지를 대전하는 대전부(110)와 상기 대전부(110)에서 대전된 초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120)와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세척하는 세정부(130)와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건조하는 건조부(140)와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발생부(150)와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고장을 유발하는 인자를 감지하여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어부(160)와 공기조화시스템(200)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161)와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전압을 측정하는 감지부(162)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부(163)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의 운전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세정부(130)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세정하며, 상기 건조부(140)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건조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의 세정 및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가동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가동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이 재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감지된 상기 인자를 바탕으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인자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정보,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기질 정보 및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상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대전부(110)는 코로나 방전을 통해 공기 중 초미세먼지를 대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운전이 제어된다. 이때, 상기 대전부(110)는 상기 전압발생부(150)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공기 중의 초미세먼지를 대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집진부(120)는 전기장을 형성하여 대전된 초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집진부(120)는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운전이 제어되며, 상기 전압발생부(150)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공기 중에 대전된 초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대전부(110)는 복수개의 대전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집진부(120)는 복수개의 집진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진모듈은 전기집진필터일 수 있으며, 상기 대전모듈은 카본이오나이저와 금속타공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타공판은 그라운드 역할로 외기의 유동방향에 대응하여 전기장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카본이오나이저와 금속타공판은 고정부(도면 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며, 기설정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송시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부(11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의 난류성을 감소시키는 디스트리뷰터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집진부(120)로 고른 유동이 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부(110)와 집진부(120)는 유전체 전극, 유전체분리판, 카본이오나이저의 조합을 통하여 금속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스파크 등과 같은 사고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스파크 발생염려가 적어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120)는 복수개로 외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수직인 가상의 선을 따라 배열된다. 이때, 상기 집진부(120)는 인접한 집진부(120)와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집진부(120)는 상기 집진부(120)를 지지하는 케이스(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1)는 외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수직인 방향으로 단을 형성하며, 각각의 단에 상기 집진부(120)가 하나씩 배열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복수개의 집진부(120) 중 지면에 가장 인접한 제1집진부(120-1)는 상기 케이스(121)에서 지면에 가장 인접한 단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21)의 단을 따라 제2집진부(120-2), 제3집진부(120-3) 및 제4집진부(120-4)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세정부(130)가 마련된다. 상기 세정부(130)는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세척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운전이 제어된다. 이때, 상기 세정부(13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도면 미도시)가 마련되고, 상기 세정부(130)는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운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압발생부(150)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운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건조부(140)가 마련된다. 상기 건조부(140)는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운전이 제어된다. 이때, 상기 전력공급부(도면 미도시)로부터 상기 세정부(130)는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운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압발생부(150)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운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140)는 상기 세정부(130)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운전될 수 있고, 상기 세정부(130)가 운전하는 동안 동시에 운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세정부(130)는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습식 세척하고, 상기 건조부(140)는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건식 세척함으로써,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의 집진효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는 상기 집진부(120) 및 대전부(110)가 각각 운전되면서 상기 집진부(120) 및 대전부(110)에 쌓이는 초미세먼지를 제거함으로써, 초미세먼지 포집 성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압발생부(150)가 마련된다. 상기 전압발생부(150)는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운전이 제어되며, 상기 대전부(110) 및 집진부(120)에 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전압발생부(150)는 상기 대전부(110)와 집진부(120)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파워팩(151)을 포함한다. 일례로, 제1파워팩(151-1)은 상기 대전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대전부(110)에 전압을 공급하고, 제2파워팩(151-2)은 상기 집진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집진부(120)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파워팩(151-2)은 상기 제1집진부(120-1)와 연결되어 상기 제1집진부(120-1)에 전압을 공급하고, 제3파워팩(151-3)은 상기 제2집진부(120-2)와 연결되어 상기 제2집진부(120-2)에 전압을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파워팩(151)은 상기 대전부(110)와 복수개의 집진부(120)에 각각 연결되어 개별적으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정보,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기질 정보 및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고장 또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불량을 유발하는 환경에서의 운전을 최소화하여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고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상태정보는 후술할 본 발명의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삭제
상기 연결부(161)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과 공기조화시스템(200) 상호간에 정보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을 제어하는 자동제어부(210)와 상기 자동제어부(210)와 전기집진시스템(100)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연결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와 자동제어부(210)는 상기 연결부(161) 및 자동연결부(211)에 의해 상호간에 정보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연결부(161) 및 자동연결부(211)는 유선통신으로 연결되거나,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62)는 상기 전압발생부(150)에서부터 상기 대전부(110) 또는 집진부(120)로 공급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저장하고, 그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감지부(162)는 상기 전압발생부(150)에서부터 상기 대전부(110) 또는 집진부(120)로 공급되는 전압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로 위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63)는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저장하고, 그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부(162) 또는 센서부(163)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부(162) 또는 센서부(163)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고장 또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불량을 유발하는 환경에서의 운전을 최소화하여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고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고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유무를 제공받는 확인단계(S110)와 상기 센서부(163)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측정단계(S120)와 상기 감지부(162)가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단계(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부(162) 또는 센서부(163)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정상운전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확인단계(S110)는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으로부터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여부 및 댐퍼 개도율을 포함하는 운전조건을 제공받는 수신단계(S111)와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여부 및 고장발생유무를 포함하는 운전결과를 전송하는 송신단계(S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운전조건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운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이 정지된 경우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질측정단계(120)는, 상기 센서부(163)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센싱단계(S121)와 상기 센싱단계(S121) 이후,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측정단계(S130)는, 상기 감지부(162)가 상기 복수개의 파워팩(151)의 피드백 전압을 측정하는 피드백전압측정단계(S131)와 상기 피드백전압측정단계(S131) 이후,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감지부(162)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압판단단계(S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부(162)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이 운전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현재까지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강제중지 횟수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부(162)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횟수를 초기화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이 정지된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이 정지된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이 정상적으로 운전이 될 수 있는 환경인지를 판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지속가동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에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다중이용시설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상기 센서부(163)를 통하여 공기의 습도조건이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에 적합한 조건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감지부(162)를 통하여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전압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이 정상적으로 운전되고 있는지 점검하고 지속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163)를 통하여 공기의 습도조건을 확인하는 이유는 비가 내리는 등으로 인하여 상기 집진부(120)에 수분이 접촉되면 상기 집진부(120)의 효율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제어를 시작하면, 먼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여부는 상기 연결부(161)와 자동연결부(211)의 정보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이 정지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이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강제중지 횟수가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강제중지 횟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강제중지 횟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강제중지 횟수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감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이상신호와 동시에 자동복구제어 운전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복구제어 운전신호는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를 통한 상기 대전부(110) 또는 집진부(120)의 세척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강제중지 횟수가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판단한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부(163)를 통해 측정된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의 습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즉,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부(163)를 통해 측정된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의 습도가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이 운전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부(162)를 통하여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피드백 전압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이내인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부(162)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정지 횟수를 카운팅하여 기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부(162)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이 정상운전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지속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여부,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강제중지 횟수, 상기 센서부(163) 및 감지부(162)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및 운전 정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불량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에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정지하거나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고장 및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상기 이상신호 발생 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이 자동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유무를 제공받는 확인단계(S210)와 상기 세정부(130)가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세척하는 세척단계(S220)와 상기 감지부(162)가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단계(S230)와 상기 센서부(163)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단계(S2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부(163) 또는 감지부(162)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 중, 상기 센서부(163) 또는 감지부(163)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강제 정지시키고, 이후,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가 기설정된 방식으로 운전되어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가 세척 및 건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이 복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압측정단계(230)는, 상기 감지부(162)가 상기 복수개의 파워팩(151)의 피드백 전압을 측정하는 피드백전압측정단계(231)와 상기 피드백전압측정단계(S231) 이후,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감지부(162)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압판단단계(S23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세정부(130)의 운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확인단계(S210)와 전압측정단계(S230)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부(162)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부(162)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감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60)로부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이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정지 발생 시, 상기 연결부(161)를 통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세정부(130)를 운전시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을 세척하여,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을 자동으로 복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부(162)를 통해 피드백 전압값이 기설정된 전?陋?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재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이상신호 발생 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여부를 파악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이 운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이 운전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가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의 운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재차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이 운전 정지상태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 역시 운전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이 운전 상태인 경우,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을 운전 정지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이 운전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피드백 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피드백 전압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이상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피드백 전압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지속시키고, 상기 이상신호를 해제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에 상기 이상신호 발생 시,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대전부(110) 및 집진부(120)의 집진성능을 자동으로 복구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불량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에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정지하거나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고장 및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단계(S310)와 상기 설정단계(S310) 이후, 상기 세정부(130)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세정하는 세정단계(S320)와 상기 세정단계(S320) 이후, 상기 건조부(140)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세정단계 및 건조단계가 완료된 이후,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가동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가동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을 재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연결부(161)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세정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운전조건으로 입력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가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이 정지되고,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가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부(130)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도면 미도시)와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수도관밸브(도면 미도시)와 물을 분사하는 노즐(도면 미도시)와 상기 노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도면 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운전을 시작하면,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수도관밸브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되어 상기 노즐에서 물이 분사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기설정된 노선을 따라 상기 노즐을 이송시켜 다단으로 구비되는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세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140)는 고압의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도면 미도시)와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공기관밸브(도면 미도시)와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노즐(도면 미도시)과 상기 공기노즐을 이송시키는 공기노즐컨베이어벨트(도면 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에 의해 운전을 시작하면,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공기관밸브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되어 상기 공기노즐에서 공기가 분사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기설정된 노선을 따라 상기 공기노즐을 이송시켜 다단으로 구비되는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부(130)는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물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물측정기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세정부(130)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물저장부에 물을 보충한 후 상기 세정부(130)의 운전을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140)는 상기 공기저장부에 저장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압력측정기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건조부(140)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공기저장부에 공기를 보충한 후 상기 건조부(140)의 운전을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 이후,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세정 및 건조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 횟수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운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의 표면에 남은 수분으로 인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성능이 복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설정된 시간에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가 운전되고, 상기 대전부(110) 또는 집진부(120)에 잔류한 수분이 충분히 증발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가동 횟수를 비교함으로써, 자동 세정 후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가동횟수는 일례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에 포함된 팬이 정지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가동을 한 후, 가동이 완료되어 정지되는 것을 1회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세정신호수신 혹은 입력된 시간에 따라 상기 연결부(161)를 통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정지상태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가 운전되도록 하여,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의 표면에 남은 수분으로 인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고장을 방지한다.
일례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의 운전신호 발생 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운전하고 있는 경우,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의 운전을 중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 모두 운전 정지상태인 경우,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가 운전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수도관밸브 및 공기관밸브는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고르게 세정 및 건조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횟수를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1회 운전은 기설정된 공기조화시스템의 한 사이클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의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횟수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횟수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중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횟수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이 운전하도록 제어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에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의 운전신호 발생 시,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대전부(110) 및 집진부(120)의 집진성능을 자동으로 복구하고, 상기 대전부(110) 및 집진부(120)에 잔류한 수분이 있는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정지하거나 최소화함으로써, 스파크 등으로 인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고장 및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단계(S410)와 상기 설정단계(S410) 이후, 상기 세정부(130)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세정하는 세정단계(S420)와 상기 세정단계(S420) 이후, 상기 건조부(140)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430)와 상기 센서부(163)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측정단계(S4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전과 후의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전과 후의 상기 센서부(160)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단계(S420)와 건조단계(S430)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세정단계(S420)와 건조단계(S430)가 수행된 이후,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재운전 전과 후의 상기 센서부(160)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전과 후의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오감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전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과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이 기설정된 시간만큼 운전하고 난 후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운전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운전성능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세정부(130)와 건조부(140)가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세정부(130)와 건조부(140)가 기설정된 방식으로 운전되어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가 세척 및 건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성능에 따라 상기 세정단계(S420) 및 건조단계(S430)의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성능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세정단계(S420) 및 건조단계(S430)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성능이 기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대전부(110)와 집진부(120)가 운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전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과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이 10분 간 운전되고 난 후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운전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전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과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이 10분 간 운전되고 난 후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전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과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이 10분 간 운전되고 난 후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오감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한 시간 전후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성능을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성능에 따라 자동복구를 1회 실시한 후, 재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성능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지보수 시기를 알람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전과 운전 후 상기 다중이용시설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비교하고, 상기 다중이용시설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이 기설정된 목표값 미만인 경우,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를 운전시켜 상기 대전부(110) 또는 집진부(120)를 세척한다.
또한, 상기 대전부(110) 또는 집진부(120)의 세척이 완료된 후, 재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전과 운전 후 상기 다중이용시설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성능복구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 시 상기 이상신호를 발생시켜 유지보수 시기를 알림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전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을 기록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했는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지속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시간이 10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시간이 10분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지속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시간이 10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후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을 기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설정된 저감성능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설정된 저감성능값을 초과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지속적으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이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설정된 저감성능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를 제어하여 집진성능을 자동으로 복구한다.
상기 집진성능 자동복구 운전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재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전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을 기록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이 10분 간 운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이 10분 간 운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 및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을 지속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및 전기집진시스템(100)이 10분 간 운전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을 재차 기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설정된 저감성능값을 초과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지속적으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이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설정된 저감성능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정지하고, 유지보수 안내알람을 발생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전 후 상기 센서부(163)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성능을 확인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자동복구 제어 운전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속적인 이상 발생 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정지하고, 유지보수 안내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이상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유무를 제공받는 확인단계(S510)와 상기 센서부(163)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측정단계(S5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제연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세정부(130)와 건조부(140)를 운전시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내부로 물이 분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상기 제연신호가 지속적으로 송신되면, 화재발생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세정부(130)와 건조부(140)를 운전시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내부로 물이 분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운전 정지 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감지부(162)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파워팩(151)의 피드백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잔류전류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제연신호가 송신될 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수도관밸브와 공기관밸브가 개방되어 물과 고압의 공기가 분출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내에 미스트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상기 제연신호가 지속적으로 송신되면, 화재발생으로 판단하여 오감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제연신호가 소멸되면, 상기 세정부(130)와 건조부(140)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연신호를 저장하며, 점검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확인 후 조치를 취할 때까지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가 운전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연결부(161)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제연동작 여부를 감지하고, 이상 발생 시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가 운전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내부로 물을 비산시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수분함유량을 높이고,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세정하여 화재먼지의 유입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검출신호 발생시간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검출신호가 1분 이상 지속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이 지속적으로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검출신호가 1분 이상 지속해서 검출될 경우, 비상운전모드를 실행한다. 이때, 상기 비상운전모드는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피드백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피드백전압이 0V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을 재차 정지시키고,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피드백전압을 재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피드백전압이 0V인 경우,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를 운전시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내부로 물을 비산시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수분함유량을 높이고,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세정하여 화재먼지의 유입을 감소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검출신호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검출신호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를 지속적으로 운전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검출신호가 정지되면, 비상운전 종료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중지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을 통해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를 운전시켜 화재에 대응함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단계(S610)와 상기 설정단계(S610) 이후, 상기 세정부(130)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세척하는 세정단계(S620)와 상기 세정단계(S620) 이후, 상기 건조부(140)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120) 또는 대전부(110)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630)와 상기 센서부(163)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측정단계(S64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163)는, 상기 다중이용시설 내부의 오존발생량을 측정하는 오존센서(도면 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오존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대전부(110), 집진부(120), 세정부(130), 건조부(140) 및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 전과 후의 상기 오존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단계(S620)와 건조단계(S630)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세정단계(S620)와 건조단계(S630)가 수행된 이후,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재운전 전과 후의 상기 오존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오존센서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내부의 오존발생량을 확인하고, 이상 발생 시 상기 제어부(160)가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을 정지하며,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가 운전되도록 하여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성능을 복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을 운전시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내부의 오존발생량을 재차 확인하고, 여전히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완전히 정지하고, 상기 이상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례로,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오존센서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내부의 오존발생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은 자체적으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내부의 오존발생량을 측정하고, 오존발생량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연결부(161)를 통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내부의 오존발생량이상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오존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으로부터 상기 오존발생량이상신호를 송신한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일시정지하고 상기 세정부(130)와 건조부(140)가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세정부(130)와 건조부(140)의 운전이 완료되고 상기 세정부(130)의 종료신호를 수신하면, 재차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내부의 오존발생량을 확인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오존발생량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중단하고 상기 이상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오존발생량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피드백전압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피드백전압이 0V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운전을 재차 정지시키고 상기 이상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전압발생부(150)의 피드백전압이 0V인 경우, 정상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재개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오존센서 또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을 통해 상기 공기조화시스템(200) 내부의 오존발생량을 감지하고, 이상 발생 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의 운전을 정지시키며 상기 세정부(130) 및 건조부(140)를 운전시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을 복구시킴으로써, 지속적으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100)이 운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전기집진시스템
110 : 대전부
120 : 집진부
121 : 케이스
130 : 세정부
140 : 건조부
150 : 전압발생부
151 : 파워팩
160 : 제어부
161 : 연결부
162 : 감지부
163 : 센서부
170 : 송풍부
200 : 공기조화시스템
210 : 자동제어부
211 : 자동연결부
220 : 급기관
221 : 급기구
230 : 배기관
231 : 배기구
S110 : 확인단계
S111 : 수신단계
S112 : 송신단계
S120 : 공기질측정단계
S121 : 센싱단계
S122 : 판단단계
S130 : 전압측정단계
S131 : 피드백전압측정단계
S132 : 전압판단단계
S210 : 확인단계
S220 : 세척단계
S221 : 세정단계
S222 : 건조단계
S230 : 전압측정단계
S231 : 피드백전압측정단계
S232 : 전압판단단계
S240 : 습도측정단계
S310 : 설정단계
S320 : 세정단계
S330 : 건조단계
S410 : 설정단계
S420 : 세정단계
S430 : 건조단계
S440 : 공기질측정단계
S510 : 확인단계
S520 : 공기질측정단계
S610 : 설정단계
S620 : 세정단계
S630 : 건조단계
S640 : 공기질측정단계

Claims (43)

  1.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조화시스템 내부 또는 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전기집진시스템에 있어서,
    공기 중의 초미세먼지를 대전하는 대전부;
    상기 대전부에서 대전된 초미세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세척하는 세정부;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건조하는 건조부;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발생부; 및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고장을 유발하는 인자를 감지하여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와 공기조화시스템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전압발생부의 전압을 측정하는 감지부; 및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부 및 건조부의 운전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세정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세정하며, 상기 건조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건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의 세정 및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가동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가동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재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정보,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기질 정보,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상태정보, 제연신호 정보 및 오존발생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발생부는,
    상기 대전부와 집진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파워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습식 세척하고,
    상기 건조부는,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건식 세척함으로써,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의 집진효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
  6. 제1항의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유무를 제공받는 확인단계;
    상기 센서부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측정단계; 및
    상기 감지부가 상기 전압발생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 또는 센서부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정상운전유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여부 및 댐퍼 개도율을 포함하는 운전조건을 제공받는 수신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여부 및 고장발생유무를 포함하는 운전결과를 전송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조건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운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정지된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측정단계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의 미세먼지농도,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센싱단계; 및
    상기 센싱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발생부는,
    상기 대전부와 집진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파워팩;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측정단계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복수개의 파워팩의 피드백 전압을 측정하는 피드백전압측정단계; 및
    상기 피드백전압측정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압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횟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된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된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1항의 전기집진시스템의 상기 이상신호 발생 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이 자동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방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유무를 제공받는 확인단계;
    상기 세정부가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감지부가 상기 전압발생부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단계; 및
    상기 센서부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외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 또는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 중, 상기 센서부 또는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을 강제 정지시키고, 이후, 상기 세정부 및 건조부가 기설정된 방식으로 운전되어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가 세척 및 건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이 복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발생부는,
    상기 대전부와 집진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파워팩;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측정단계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복수개의 파워팩의 피드백 전압을 측정하는 피드백전압측정단계; 및
    상기 피드백전압측정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압판단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부의 운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확인단계와 전압측정단계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오감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제1항의 전기집진시스템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세정부 및 건조부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단계;
    상기 설정단계 이후, 상기 세정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세정하는 세정단계;
    상기 세정단계 이후, 상기 건조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단계 및 건조단계가 완료된 이후,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가동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가동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재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세정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운전조건으로 입력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세정부 및 건조부가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정지되고, 상기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부 및 건조부가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수도관밸브;
    물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운전을 시작하면,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수도관밸브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되어 상기 노즐에서 물이 분사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기설정된 노선을 따라 상기 노즐을 이송시켜 다단으로 구비되는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세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고압의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공기관밸브;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노즐; 및
    상기 공기노즐을 이송시키는 공기노즐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운전을 시작하면,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공기관밸브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개방되어 상기 공기노즐에서 공기가 분사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기설정된 노선을 따라 상기 공기노즐을 이송시켜 다단으로 구비되는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물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측정기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세정부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물저장부에 물을 보충한 후 상기 세정부의 운전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상기 공기저장부에 저장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측정기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건조부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공기저장부에 공기를 보충한 후 상기 건조부의 운전을 재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 이후,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세정 및 건조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 횟수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미만인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의 표면에 남은 수분으로 인한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고장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26. 제1항의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세정부 및 건조부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단계;
    상기 설정단계 이후, 상기 세정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세정하는 세정단계;
    상기 세정단계 이후, 상기 건조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센서부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과 후의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성능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과 후의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단계와 건조단계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세정단계와 건조단계가 수행된 이후,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재운전 전과 후의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과 후의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오감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과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이 기설정된 시간만큼 운전하고 난 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운전성능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성능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대전부, 집진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세정부와 건조부가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부와 건조부가 기설정된 방식으로 운전되어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가 세척 및 건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성능에 따라 상기 세정단계 및 건조단계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과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이 10분 간 운전되고 난 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운전성능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과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이 10분 간 운전되고 난 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과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및 전기집진시스템이 10분 간 운전되고 난 후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오감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36. 제1항의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유무를 제공받는 확인단계; 및
    상기 센서부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제연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대전부, 집진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세정부와 건조부를 운전시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내부로 물이 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상기 제연신호가 지속적으로 송신되면, 화재발생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대전부, 집진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세정부와 건조부를 운전시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내부로 물이 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발생부는,
    상기 대전부와 집진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파워팩;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발생부의 운전 정지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파워팩의 피드백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잔류전류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
    물의 유동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수도관밸브;
    물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부는,
    고압의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부;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공기관밸브;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노즐; 및
    상기 공기노즐을 이송시키는 공기노즐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제연신호가 송신될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도관밸브와 공기관밸브가 개방되어 물과 고압의 공기가 분출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 내에 미스트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상기 제연신호가 지속적으로 송신되면, 화재발생으로 판단하여 오감을 통해 관리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상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연신호가 소멸되면, 상기 세정부와 건조부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제연신호를 저장하며, 점검자가 상기 이상신호를 확인 후 조치를 취할 때까지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가 운전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42. 제1항의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세정부 및 건조부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설정단계;
    상기 설정단계 이후, 상기 세정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세정하는 세정단계;
    상기 세정단계 이후, 상기 건조부가 상기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집진부 또는 대전부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센서부가 상기 다중이용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공기질측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중이용시설 내부의 오존발생량을 측정하는 오존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센서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대전부, 집진부, 세정부, 건조부 및 전압발생부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 전과 후의 상기 오존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단계와 건조단계가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세정단계와 건조단계가 수행된 이후,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재운전 전과 후의 상기 오존센서의 측정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기집진시스템의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200118609A 2020-09-15 2020-09-15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3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609A KR102233691B1 (ko) 2020-09-15 2020-09-15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609A KR102233691B1 (ko) 2020-09-15 2020-09-15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691B1 true KR102233691B1 (ko) 2021-03-30

Family

ID=7526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609A KR102233691B1 (ko) 2020-09-15 2020-09-15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6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6195A (zh) * 2022-06-14 2022-09-27 南通黄海药械有限公司 基于粉尘分析的园林工程施工用除尘系统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016A (ja) * 1996-07-26 1998-02-10 Hitachi Ltd 空気清浄装置および空気清浄システム
JPH10328578A (ja) * 1997-05-30 1998-12-15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気集塵装置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JP3456959B2 (ja) 2000-02-25 2003-10-14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集塵装置
JP3648679B2 (ja) 2000-02-23 2005-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
KR100786710B1 (ko) 2006-09-12 2007-12-21 정동협 전기집진기
JP2010104937A (ja) 2008-10-31 2010-05-13 Panasonic Corp 電気集塵装置
JP2010131515A (ja) 2008-12-04 2010-06-17 Panasonic Corp 電気集塵装置
KR101373720B1 (ko) 2013-05-13 2014-03-13 한국기계연구원 활성탄 섬유필터를 이용하는 전기집진기
JP5476828B2 (ja) 2009-07-17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集塵装置
JP5608166B2 (ja) 2008-09-24 2014-10-15 サイアー アーベー 空気清浄装置
KR101641296B1 (ko) 2014-10-14 2016-07-21 한국기계연구원 유해 가스 및 입자를 동시에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JP2019155303A (ja) 2018-03-15 2019-09-19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ポッティング部の成型用型
KR20200056092A (ko) * 2018-11-14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KR102145257B1 (ko) * 2018-05-31 2020-08-18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자동 전원 차단 구조의 전기 집진 필터 장치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016A (ja) * 1996-07-26 1998-02-10 Hitachi Ltd 空気清浄装置および空気清浄システム
JPH10328578A (ja) * 1997-05-30 1998-12-15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気集塵装置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JP3648679B2 (ja) 2000-02-23 2005-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
JP3456959B2 (ja) 2000-02-25 2003-10-14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集塵装置
KR100786710B1 (ko) 2006-09-12 2007-12-21 정동협 전기집진기
JP5608166B2 (ja) 2008-09-24 2014-10-15 サイアー アーベー 空気清浄装置
JP2010104937A (ja) 2008-10-31 2010-05-13 Panasonic Corp 電気集塵装置
JP2010131515A (ja) 2008-12-04 2010-06-17 Panasonic Corp 電気集塵装置
JP5476828B2 (ja) 2009-07-17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集塵装置
KR101373720B1 (ko) 2013-05-13 2014-03-13 한국기계연구원 활성탄 섬유필터를 이용하는 전기집진기
KR101641296B1 (ko) 2014-10-14 2016-07-21 한국기계연구원 유해 가스 및 입자를 동시에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JP2019155303A (ja) 2018-03-15 2019-09-19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ポッティング部の成型用型
KR102145257B1 (ko) * 2018-05-31 2020-08-18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자동 전원 차단 구조의 전기 집진 필터 장치
KR20200056092A (ko) * 2018-11-14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06195A (zh) * 2022-06-14 2022-09-27 南通黄海药械有限公司 基于粉尘分析的园林工程施工用除尘系统
CN115106195B (zh) * 2022-06-14 2023-11-03 南通黄海药械有限公司 基于粉尘分析的园林工程施工用除尘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6837B (zh) 估计esp含尘量的方法及控制esp振打的方法和装置
KR101930798B1 (ko) 거실 환기용 전기집진기 및 이것을 내장한 환기 시스템
US4665707A (en) Protection system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2233691B1 (ko) 전기집진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0838609B (zh) 一种动力电池热失控保护方法、装置及系统
KR102021551B1 (ko) 백필터 펄싱 제어시스템
CN104654515A (zh) 空调器积尘检测方法及系统
JP2008062172A (ja) 電気集じん機
CN111346440A (zh) 一种智能电磁脉冲阀故障的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02422498B (zh) 离子产生装置
CN112628819B (zh) 一种油烟在线监控净化方法及系统
CN103372499A (zh) 电集尘机用电源的控制方式
WO2018124785A2 (ko) 연료전지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7408967B2 (ja) 電池監視装置
JP2008068207A (ja) 電気集塵機の電源装置
JP2000042446A (ja) 電気集塵機の制御回路
KR20220124003A (ko) 여과 집진기 필터교체주기 예측 방법
CN115318019A (zh) 一种有在线监测功能的袋式过滤器反吹系统
JP2001034863A (ja) エアブロー式火災報知システム
JP7018785B2 (ja) 空気清浄機
NL2026940B1 (en) Improved filter unit and method for filtering air
JPH04219110A (ja) 空気清浄機
KR101623335B1 (ko) 백필터 집진 제어시스템
JP2001017813A (ja) バグフィルターの運転方法
KR20240012107A (ko) 배터리팩의 접촉 불량 및 쇼트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