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019B1 - 연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019B1
KR102231019B1 KR1020190125014A KR20190125014A KR102231019B1 KR 102231019 B1 KR102231019 B1 KR 102231019B1 KR 1020190125014 A KR1020190125014 A KR 1020190125014A KR 20190125014 A KR20190125014 A KR 20190125014A KR 102231019 B1 KR102231019 B1 KR 102231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rail groove
joint
rail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277A (ko
Inventor
데츠로 오카조노
마사요시 세키야
마사시 오츠카
가즈노리 기시
히사시 고즈카
다카유키 즈루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20004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3Mounting pumps on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덮개 유닛(20)은, 연료 탱크(1)의 연직 방향 상측의 개구부(2)를 폐색한다. 펌프 유닛(30)은, 연료 탱크(1) 내에 마련되고, 연료 탱크(1)의 외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펌프(31)를 갖는다. 조인트(40)는, 덮개 유닛(20)과 펌프 유닛(30)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덮개 유닛(20)과 펌프 유닛(30)을 연결한다. 리테이너(50)는, 조인트(40)에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40)는,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홈부(60)를 갖고 있다. 덮개 유닛(20)은, 레일 홈부(60)의 내측에 있어서 레일 홈부(60)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레일부(70)를 갖고 있다. 리테이너(50)는, 레일부(70)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 홈부(60)에 마련된 리테이너 본체(51)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연료 공급 장치{FUEL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료 펌프를 갖는 펌프 유닛을 연료 탱크 내에 설치하는 연료 공급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연료 탱크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 유닛은, 연료 증기를 탈리 가능하게 흡착하는 캐니스터를 가지므로, 체적이 비교적 크다. 그 때문에, 연료 탱크의 저면에 접한 상태에서 덮개 유닛과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펌프 유닛은, 덮개 유닛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덮개 유닛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마련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29072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덮개 유닛과 펌프 유닛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덮개 유닛과 조인트를 연결하는 조인트, 및 덮개 유닛에 설치된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있다. 조인트는,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홈부를 갖고 있다. 덮개 유닛은, 레일 홈부의 내측에 있어서 레일 홈부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레일부를 갖고 있다. 여기서, 리테이너는, 덮개 유닛의 레일부에 설치되고, 레일 홈부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특허문헌 1의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차량의 급가감속 시나 충돌 시 등, 연료 탱크 내의 연료 등으로부터 펌프 유닛 및 조인트에 대해 수평 방향의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펌프 유닛 및 조인트가 덮개 유닛의 레일부에 대해 상대 회전 또는 상대 이동하여, 레일부에 설치된 리테이너로부터 레일 홈부의 측면에 대해 수평 방향의 큰 힘이 작용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레일 홈부의 저면과 측면 사이의 코너부 등의 특정 개소에 응력이 집중되어, 레일 홈부를 형성하는 조인트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 홈부를 형성하는 조인트의 파손을 억제 가능한 연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연료 공급 장치는, 덮개 유닛과 펌프 유닛과 조인트와 리테이너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 유닛은, 연료 탱크의 연직 방향 상측의 개구부를 폐색한다. 펌프 유닛은, 연료 탱크 내에 마련되고, 연료 탱크의 외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펌프를 갖는다. 조인트는, 덮개 유닛과 펌프 유닛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덮개 유닛과 펌프 유닛을 연결한다. 여기서, 「연직 방향을 따라」라 함은, 「연직 방향과 엄밀하게 일치하는 방향을 따르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연직 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방향을 따르는 것」도 의미한다(이하, 동일함).
리테이너는, 조인트에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는,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홈부를 갖고 있다. 덮개 유닛은, 레일 홈부의 내측에 있어서 레일 홈부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레일부를 갖고 있다. 리테이너는, 레일부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 홈부에 마련된 리테이너 본체를 갖고 있다.
본 양태에서는, 차량의 급가감속 시나 충돌 시 등, 연료 탱크 내의 연료 등으로부터 펌프 유닛 및 조인트에 대해 수평 방향의 큰 힘이 작용하였을 때, 펌프 유닛 및 조인트가 덮개 유닛의 레일부에 대해 상대 회전 또는 상대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덮개 유닛의 레일부로부터 레일 홈부의 측면에 대해 수평 방향의 큰 힘이 작용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양태에서는, 리테이너는, 리테이너 본체가 레일 홈부에 위치하도록 조인트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레일부로부터의 수평 방향의 큰 힘은, 리테이너 본체에 작용하고, 레일 홈부의 측면에는, 리테이너 본체에 의해 분산된 힘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레일 홈부의 저면과 측면 사이의 코너부 등의 특정 개소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홈부를 형성하는 조인트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연료 공급 장치에서는, 리테이너는, 조인트 또는 덮개 유닛에 설치되어 있다. 리테이너는, 레일부 또는 레일 홈부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 홈부 또는 레일부에 마련된 리테이너 본체, 및 레일 홈부의 저면에 맞닿음 가능하도록 리테이너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비드를 갖고 있다.
본 양태에서는, 리테이너를 조인트에 설치한 경우, 제1 양태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급가감속 시나 충돌 시 등, 레일 홈부의 저면과 측면 사이의 코너부 등의 특정 개소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홈부를 형성하는 조인트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양태에서는, 리테이너는, 레일 홈부의 저면에 맞닿음 가능한 비드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레일 홈부의 저면과 리테이너 본체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간극을 비드에 의해 메울 수 있어, 레일 홈부에 대한 리테이너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리테이너 및 그 근방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덮개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조인트 및 리테이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조인트 및 리테이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리테이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을 화살표 IX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조인트 및 리테이너를 도시하는 분해도.
도 11은 도 6의 XI-XI선 단면도.
도 12는 도 6의 XⅡ-XⅡ선 단면도.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리테이너 및 그 근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리테이너 및 그 근방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조인트에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제1 비교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덮개 유닛 및 리테이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제1 비교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리테이너 및 그 근방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조인트에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17의 XⅧ-XⅧ선 단면도.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리테이너 및 그 근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리테이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도 20을 화살표 XXI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리테이너 및 그 근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3은 제2 비교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리테이너 및 그 근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4는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리테이너 및 그 근방을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복수의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복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부위는,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를 도 1∼도 3에 도시한다. 연료 공급 장치(10)는, 도시하지 않은 차량의 연료 탱크(1)에 설치된다. 연료 공급 장치(10)는, 연료 탱크(1) 내의 연료를, 도시하지 않은 차량의 내연 기관에 공급한다.
연료 공급 장치(10)는, 덮개 유닛(20), 펌프 유닛(30), 조인트(40), 리테이너(5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덮개 유닛(20)은, 덮개부(21), 하우징(22), 캐니스터(23), 레일부(70) 등을 갖고 있다.
덮개부(21)는, 예를 들어 수지에 의해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2)은, 예를 들어 수지에 의해 덮개부(21)의 한쪽 면으로부터 통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덮개부(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 유닛(20)은, 하우징(22)이 연료 탱크(1) 내에 위치하고, 덮개부(21)가 연료 탱크(1)의 연직 방향 상측의 개구부(2)를 폐색하도록 하여 연료 탱크(1)에 마련된다. 캐니스터(23)는, 하우징(22)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캐니스터(23)는, 연료 탱크(1) 내의 연료 증기를 탈리 가능하게 흡착한다.
덮개부(21)의 하우징(22)과는 반대측에는, 토출 포트(211)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토출 포트(211)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관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배관의 타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내연 기관에 접속된다.
또한, 덮개부(21)의 하우징(22)과는 반대측에는, 캐니스터(23)가 흡착한 연료 증기를 연료 탱크(1)의 외부로 도출하는 증기 도출관, 캐니스터(23)의 대기 개방관, 전기 커넥터 등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부(70)는, 하우징(22)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기부(71)의 선단으로부터, 기부(71)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기부(7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레일부(70) 및 기부(71)는, 레일부(70)의 선단이 서로 대향하도록 하우징(22)에 2개씩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레일부(70) 및 기부(71)는, 덮개 유닛(20)이 연료 탱크(1)에 마련된 상태에 있어서, 긴 쪽 방향이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펌프 유닛(30)은, 서브 탱크(32), 연료 펌프(31), 센더 게이지(33), 암(34), 플로트(35), 석션 필터(36) 등을 갖고 있다. 서브 탱크(32)는, 예를 들어 수지에 의해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브 탱크(32)는, 덮개 유닛(2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연료 탱크(1) 내에 마련된다. 여기서, 서브 탱크(32)는, 저부가, 연료 탱크(1)의 저면인 탱크 저면(3)에 맞닿는다. 서브 탱크(32) 내에는, 연료 탱크(1) 내의 연료가 제트 펌프 등에 의해 보내진다.
연료 펌프(31)는, 서브 탱크(32)의 내측에 마련되고,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서브 탱크(32) 내의 연료를 흡입하여 가압하고 토출한다. 여기서, 연료 펌프(3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이 서브 탱크(32)의 축 방향을 대략 따르도록 서브 탱크(32)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료 펌프(31)는, 서브 탱크(32) 내에 있어서, 축 방향이 연직 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연료 탱크(1) 내에 마련된다.
덮개 유닛(20)의 토출 포트(211)에는, 벨로우즈관(4)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벨로우즈관(4)의 타단부는, 퓨얼 필터에 접속되어 있다. 연료 펌프(31)는, 서브 탱크(32) 내의 연료를 흡입구로부터 흡입하고, 토출시킨 연료를 퓨얼 필터, 벨로우즈관(4), 토출 포트(211), 배관을 경유하여, 연료 탱크(1)의 외부의 내연 기관으로 공급한다.
센더 게이지(33)는, 서브 탱크(32)의 외벽에 설치되어 있다. 암(34)은, 봉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센더 게이지(33)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플로트(35)는, 암(34)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플로트(35)는, 연료 탱크(1) 내의 연료의 액면에 떠오른다. 그 때문에, 연료 탱크(1) 내의 연료의 양, 즉, 연료의 액면의 위치에 따라서 암(34)이 회전한다. 센더 게이지(33)는, 암(34)의 회전 위치, 즉, 연료의 액면의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ECU에 출력 가능하다. 이에 의해, ECU는, 연료 탱크(1) 내의 연료의 양을 검출 가능하다.
석션 필터(36)는, 서브 탱크(32)의 저부와 연료 펌프(31) 사이에 마련되고, 연료 펌프(31)의 흡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석션 필터(36)는, 연료 펌프(31)가 흡입하는 연료에 포함되는 이물을 포집 가능하다.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인트(40)는, 조인트 본체(41), 가이드 지주(42), 결합 클로부(43, 44), 레일 홈부(60) 등을 갖고 있다. 조인트 본체(41)는, 예를 들어 수지에 의해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지주(42)는, 조인트 본체(41)로부터 조인트 본체(41)의 긴 쪽 방향으로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조인트 본체(4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 클로부(43)는, 조인트 본체(41)의 한쪽 면의 가이드 지주(42)측의 단부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41)와 일체로 클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결합 클로부(43)는, 조인트 본체(41)에 2개 형성되고, 서로 접근하는 방향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결합 클로부(44)는, 조인트 본체(41)의 다른 쪽 면의 중앙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41)와 일체로 클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결합 클로부(44)는, 조인트 본체(41)에 2개 형성되고, 서로 접근하는 방향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레일 홈부(60)는, 조인트 본체(41)의 외연부로부터 짧은 쪽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면서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레일 홈부(60)는, 서로의 저부가 마주보면서 서로 평행이 되도록 조인트 본체(41)에 2개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조인트(40)는, 덮개 유닛(20)의 2개의 레일부(70)의 각각의 선단이, 2개의 레일 홈부(6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덮개 유닛(20)에 조립 장착된다. 여기서, 가이드 지주(42)는, 덮개 유닛(20)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부(24)에 삽입되어 있다. 조인트(40)는, 덮개 유닛(20)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다. 결합 클로부(43)는, 덮개 유닛(20)의 기부(71)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 가능하다. 이에 의해, 조인트(40)는, 덮개 유닛(20)으로부터의 탈락이 규제되어 있다. 덮개 유닛(20)의 가이드 구멍부(24)와 조인트 본체(41) 사이의 가이드 지주(42)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스프링(5)이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5)은, 조인트(40)를 덮개 유닛(20)에 대해 탱크 저면(3)측으로 가압한다. 그 때문에, 조인트 본체(41)의 가이드 지주(42)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탱크 저면(3)에 맞닿는다.
또한, 조인트(40)는, 서브 탱크(32)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다. 결합 클로부(44)는, 서브 탱크(32)의 외벽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결합부에 결합 가능하다. 이에 의해, 서브 탱크(32)는, 조인트(40)로부터의 탈락이 규제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유닛(20)과 펌프 유닛(30)은, 사이에 조인트(40)를 끼우면서,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된 상태로 연료 탱크(1)에 마련된다. 연료 공급 장치(10)가 연료 탱크(1)에 설치된 상태에서, 덮개 유닛(20)의 연직 방향 하측의 단부는, 연료 탱크(1)의 내부 공간의 높이의 1/2의 위치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펌프 유닛(30)의 연직 방향 상측의 단부는, 연료 탱크(1)의 내부 공간의 높이의 1/2의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덮개 유닛(20)과 펌프 유닛(30)은, 연직 방향으로 랩되어 있다. 연료 공급 장치(10)가 연료 탱크(1)에 설치된 상태에서, 레일 홈부(60) 및 레일부(70)는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덮개 유닛(20)과 펌프 유닛(30)은, 사이에 조인트(40)를 끼우면서, 서로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다. 또한, 서브 탱크(32)는, 조인트(40)에 대한 수평 방향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0)에서는, 연료 탱크(1)의 개구부(2)를 폐색하는 덮개 유닛(20)은, 연료 증기를 탈리 가능하게 흡착하는 캐니스터(23)를 가지므로, 체적이 비교적 크다. 그 때문에, 연료 탱크(1)의 탱크 저면(3)에 접한 상태에서 덮개 유닛(20)과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펌프 유닛(30)은, 덮개 유닛(2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덮개 유닛(2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마련된다.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50)는, 예를 들어 금속에 의해 형성되고, 리테이너 본체(51), 클로부(52, 53)를 갖고 있다. 리테이너 본체(51)는, 저벽부(511), 측벽부(512)를 갖고 있다. 저벽부(511)는, 긴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512)는, 저벽부(511)와 마찬가지로, 긴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본체(51)는, 측벽부(512)를 2개 갖고 있다. 2개의 측벽부(512)는, 긴 변이 저벽부(511)의 2개의 긴 변의 각각에 접속되도록 저벽부(5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측벽부(512)는, 저벽부(511)의 한쪽 면측에 있어서, 서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테이너 본체(51)는, 긴 쪽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에 의한 단면의 형상이 대략 コ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52)는, 저벽부(511)의 한쪽 단부로부터 측벽부(512)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된 후, 저벽부(511)의 다른 쪽 단부측으로 구부러지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53)는, 저벽부(511)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측벽부(512)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된 후, 저벽부(511)의 한쪽의 단부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구부러지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50)는, 조인트(40)에 형성된 2개의 레일 홈부(60)의 각각에 위치하도록, 조인트(40)에 대해 총 2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리테이너(50)는, 조인트 본체(41)의 레일 홈부(60)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부(411)에 클로부(52)가 결합되고, 조인트 본체(41)의 레일 홈부(60)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부(412)에 클로부(53)가 결합됨으로써, 조인트(40)에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50)는, 조인트 본체(41)의 양측으로부터 리테이너 본체(51)를 레일 홈부(60)에 삽입하도록 하여 조인트(40)에 설치한다. 여기서, 먼저, 클로부(52)를 결합부(411)에 결합시키고 나서, 스냅핏에 의해 클로부(53)를 결합부(412)에 결합시킨다.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50)는, 리테이너 본체(51)가 레일 홈부(60)에 위치하도록 조인트(40)에 설치되어 있다.
덮개 유닛(20)과 조인트(40)는, 레일부(70)의 기부(71)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레일 홈부(60)의 내측이면서 또한 리테이너 본체(5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조립 장착된다(도 4 참조). 여기서, 덮개 유닛(20)과 조인트(40)가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할 때, 레일부(70)는, 레일 홈부(60)의 내측에 있어서 레일 홈부(60)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한다. 또한, 이때, 리테이너 본체(51)는, 레일부(70)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이에 의해, 덮개 유닛(20)과 조인트(40)의 상대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50)가 조인트(40)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리테이너 본체(51)의 저벽부(511)는, 레일 홈부(60)의 저면(61)에 맞닿음 가능하다. 또한, 리테이너 본체(51)의 측벽부(512)는, 레일 홈부(60)의 측면(62)에 맞닿음 가능하다. 또한, 리테이너 본체(51)의 저벽부(511)와 측벽부(512)의 접속부는,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측면(62) 사이의 코너부(63)에 맞닿음 가능하다. 여기서, 코너부(63)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곡률 반경은 비교적 작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급가감속 시나 충돌 시 등, 연료 탱크(1) 내의 연료 등으로부터 펌프 유닛(30) 및 조인트(40)에 대해 수평 방향의 큰 힘 F1이 작용하였을 때, 펌프 유닛(30) 및 조인트(40)가 덮개 유닛(20)의 레일부(70)에 대해 상대 회전 또는 상대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덮개 유닛(20)의 레일부(70)로부터 레일 홈부(60)의 측면(62)에 대해 수평 방향의 큰 힘 F2가 작용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테이너(50)는, 리테이너 본체(51)가 레일 홈부(60)에 위치하도록 조인트(40)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레일부(70)로부터의 수평 방향의 큰 힘 F2는, 리테이너 본체(51)의 측벽부(512)에 작용하고, 레일 홈부(60)의 측면(62)에는, 리테이너 본체(51)에 의해 분산된 힘 F3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측면(62) 사이의 코너부(63) 등의 특정 개소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홈부(60)를 형성하는 조인트(4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비교 형태에 대해 설명하고, 제1 비교 형태에 대한 본 실시 형태의 우위인 점을 밝힌다. 도 15,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비교 형태는, 리테이너(50)가 덮개 유닛(20)의 레일부(70)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본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급가감속 시나 충돌 시 등, 연료 탱크(1) 내의 연료 등으로부터 펌프 유닛(30) 및 조인트(40)에 대해 수평 방향의 큰 힘 F1이 작용하였을 때, 펌프 유닛(30) 및 조인트(40)가 덮개 유닛(20)의 레일부(70)에 대해 상대 회전 또는 상대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덮개 유닛(20)의 레일부(70)에 설치된 리테이너(50)의 측벽부(512)로부터 레일 홈부(60)의 측면(62)에 대해 수평 방향의 큰 힘 F2가 작용할 우려가 있다. 이에 의해,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측면(62) 사이의 코너부(63) 등의 특정 개소에 응력이 집중되어, 레일 홈부(60)를 형성하는 조인트(4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는, 차량의 급가감속 시나 충돌 시 등,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측면(62) 사이의 코너부(63) 등의 특정 개소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제1 비교 형태에 비해 우위이다.
또한, 덮개 유닛(20)과 펌프 유닛(30)의 세트 높이가 비교적 높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량의 급가감속 시나 충돌 시 등, 연료 탱크(1) 내의 연료 등으로부터 펌프 유닛(30) 및 조인트(40)에 대해 작용하는 수평 방향의 힘이 커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리테이너(50)에 관한 구성은, 특히 덮개 유닛(20)과 펌프 유닛(30)의 세트 높이가 높은 연료 공급 장치(10)에 적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1) 본 실시 형태의 연료 공급 장치(10)는, 덮개 유닛(20)과 펌프 유닛(30)과 조인트(40)와 리테이너(50)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 유닛(20)은, 연료 탱크(1)의 연직 방향 상측의 개구부(2)를 폐색한다. 펌프 유닛(30)은, 연료 탱크(1) 내에 마련되고, 연료 탱크(1)의 외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펌프(31)를 갖는다. 조인트(40)는, 덮개 유닛(20)과 펌프 유닛(30)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덮개 유닛(20)과 펌프 유닛(30)을 연결한다.
리테이너(50)는, 조인트(40)에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40)는,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홈부(60)를 갖고 있다. 덮개 유닛(20)은, 레일 홈부(60)의 내측에 있어서 레일 홈부(60)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레일부(70)를 갖고 있다. 리테이너(50)는, 레일부(70)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 홈부(60)에 마련된 리테이너 본체(51)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덮개 유닛(20)과 조인트(40)의 상대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의 급가감속 시나 충돌 시 등, 연료 탱크(1) 내의 연료 등으로부터 펌프 유닛(30) 및 조인트(40)에 대해 수평 방향의 큰 힘이 작용하였을 때, 펌프 유닛(30) 및 조인트(40)가 덮개 유닛(20)의 레일부(70)에 대해 상대 회전 또는 상대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덮개 유닛(20)의 레일부(70)로부터 레일 홈부(60)의 측면(62)에 대해 수평 방향의 큰 힘이 작용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테이너(50)는, 리테이너 본체(51)가 레일 홈부(60)에 위치하도록 조인트(40)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레일부(70)로부터의 수평 방향의 큰 힘은, 리테이너 본체(51)에 작용하고, 레일 홈부(60)의 측면(62)에는, 리테이너 본체(51)에 의해 분산된 힘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측면(62) 사이의 코너부(63) 등의 특정 개소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홈부(60)를 형성하는 조인트(4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2)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테이너(50)는, 리테이너 본체(51)가 레일 홈부(60)에 위치하도록 조인트(40)에 결합되는 클로부(52, 53)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레일 홈부(60)에 대한 리테이너 본체(51)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를 도 17, 도 18에 도시한다. 제2 실시 형태는, 펌프 유닛(30) 등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펌프 유닛(30)은, 서브 탱크(32) 대신에 지지체(37)를 갖고 있다. 연료 펌프(31)는, 축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도록 하여 지지체(37)에 지지되어 있다. 센더 게이지(33)는, 지지체(37)에 설치되어 있다. 석션 필터(36)는, 탱크 저면(3)에 맞닿음 가능하게 지지체(37)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체(37)는, 조인트(40)에 접속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50)의 설치 개소, 및 레일 홈부(60) 및 리테이너(50)와 레일부(70)의 관계 등은, 제1 실시 형태(도 4 참조)와 마찬가지이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급가감속 시나 충돌 시 등, 레일 홈부(60)의 저면과 측면 사이의 코너부 등의 특정 개소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1)의 개구부(2)가 형성되는 벽면으로부터 펌프 유닛(30)의 무게 중심 위치까지의 거리 L2는, 제1 실시 형태의 연료 탱크(1)의 개구부(2)가 형성되는 벽면으로부터 펌프 유닛(30)의 무게 중심 위치까지의 거리 L1(도 1 참조)과 비교하여, 크다. 그 때문에, 차량의 급가감속 시나 충돌 시 등, 연료 탱크(1) 내의 연료 등으로부터 펌프 유닛(30) 및 조인트(40)에 대해 작용하는 수평 방향의 힘은, 제1 실시 형태보다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리테이너(50)에 관한 구성은, 특히 연료 탱크(1)의 개구부(2)가 형성되는 벽면으로부터 펌프 유닛(30)의 무게 중심 위치까지의 거리가 큰 연료 공급 장치(10)에 더욱 적합하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일부를 도 20∼도 22에 도시한다. 제3 실시 형태는, 리테이너(50) 등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테이너(50)는, 비드(55)를 더 갖고 있다. 비드(55)는, 레일 홈부(60)의 저면(61)에 맞닿음 가능하도록 리테이너 본체(51)로부터 돌출되도록 리테이너 본체(5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22 참조). 더 구체적으로는, 비드(55)는, 리테이너 본체(51)의 저벽부(511)로부터 측벽부(512)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리테이너 본체(51)의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0, 도 21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측면(62) 사이의 코너부(63)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곡률 반경은 비교적 크다. 그 때문에, 코너부(63)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레일 홈부(60)를 형성하는 조인트(4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비교 형태에 대해 설명하고, 제2 비교 형태에 대한 본 실시 형태의 우위인 점을 밝힌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비교 형태는, 리테이너(50)가 비드(55)를 갖고 있지 않은 점에서, 본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측면(62) 사이의 코너부(63)의 곡률 반경이 비교적 크므로, 리테이너 본체(51)의 저벽부(511)와 측벽부(512)의 접속부가 코너부(63)에 간섭하여,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리테이너 본체(51)의 저벽부(511)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그 때문에, 레일 홈부(60)에 대한 리테이너(50)의 위치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테이너(50)는, 레일 홈부(60)의 저면(61)에 맞닿음 가능하도록 리테이너 본체(51)로부터 돌출되는 비드(55)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제2 비교 형태에 있어서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리테이너 본체(51)의 저벽부(511)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간극을 비드(55)에 의해 메울 수 있다. 이에 의해, 레일 홈부(60)에 대한 리테이너(50)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는, 레일 홈부(60)의 코너부(63)의 응력 집중을 완화시킬 것을 목적으로 코너부(63)의 곡률 반경을 크게 한 구성에 있어서,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리테이너 본체(51)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간극을 비드(55)에 의해 메울 수 있어, 레일 홈부(60)에 대한 리테이너(50)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는 점에서, 제2 비교 형태에 대해 우위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3)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테이너(50)는, 레일 홈부(60)의 저면(61)에 맞닿음 가능하도록 리테이너 본체(51)로부터 돌출되는 비드(55)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리테이너 본체(51)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간극을 비드(55)에 의해 메울 수 있어, 레일 홈부(60)에 대한 리테이너(50)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레일부(70)와 리테이너(50)의 미끄럼 이동성이 향상된다.
또한, (5)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일 홈부(60)는 저면(61)과 측면(62) 사이의 코너부(63)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코너부(63)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레일 홈부(60)를 형성하는 조인트(4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연료 공급 장치의 일부를 도 24에 도시한다. 제4 실시 형태는, 리테이너(50) 등의 구성이 제3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테이너(50)의 클로부(52)는, 리테이너 본체(51)의 저벽부(511)의 한쪽 단부로부터 측벽부(512)측으로 연장된 후, 저벽부(511)의 다른 쪽 단부측으로 구부러지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50)의 클로부(53)는, 리테이너 본체(51)의 저벽부(511)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측벽부(512)측으로 연장된 후, 저벽부(511)의 한쪽 단부측으로 구부러지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50)는, 클로부(52, 53)가 레일부(70)에 결합됨으로써, 덮개 유닛(20)의 레일부(70)에 설치되어 있다. 리테이너(50)는, 레일 홈부(60)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부(70)에 마련된 리테이너 본체(51), 및 레일 홈부(60)의 저면(61)에 맞닿음 가능하도록 리테이너 본체(51)로부터 돌출되는 비드(55)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리테이너 본체(51)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간극을 비드(55)에 의해 메울 수 있어, 레일 홈부(60)에 대한 리테이너(50)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테이너(50)가 레일부(7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급가감속 시나 충돌 시 등, 연료 탱크(1) 내의 연료 등으로부터 펌프 유닛(30) 및 조인트(40)에 대해 수평 방향의 큰 힘이 작용하고, 레일부(70)에 설치된 리테이너(50)로부터 레일 홈부(60)의 측면(62)에 대해 수평 방향의 큰 힘이 작용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측면(62) 사이의 코너부(63) 등의 특정 개소에 응력이 집중되어, 레일 홈부(60)를 형성하는 조인트(4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측면(62) 사이의 코너부(63)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곡률 반경은 비교적 크다. 그 때문에, 코너부(63)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레일 홈부(60)를 형성하는 조인트(4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4)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테이너(50)는, 덮개 유닛(20)에 설치되어 있다. 리테이너(50)는, 레일 홈부(60)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부(70)에 마련된 리테이너 본체(51), 및 레일 홈부(60)의 저면(61)에 맞닿음 가능하도록 리테이너 본체(51)로부터 돌출되는 비드(55)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테이너(50)는, 레일 홈부(60)의 저면(61)에 맞닿음 가능한 비드(55)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레일 홈부(60)의 저면(61)과 리테이너 본체(51)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간극을 비드(55)에 의해 메울 수 있어, 레일 홈부(60)에 대한 리테이너(50)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레일 홈부(60)와 리테이너(50)의 미끄럼 이동성이 향상된다.
(다른 실시 형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레일 홈부(60) 및 레일부(70)를, 각각, 조인트(40) 또는 덮개 유닛(20)에 2개 마련하는 예를 나타냈다. 이에 비해,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레일 홈부(60) 및 레일부(70)는, 각각, 조인트(40) 또는 덮개 유닛(20)에 1개, 또는 3개 이상 마련해도 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레일 홈부(60)를 덮개 유닛(20)에 형성하고, 레일부(70)를 조인트(40)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조인트(40)는, 펌프 유닛(30)에 고정해도 되고, 펌프 유닛(30)을 구성하는 서브 탱크(32) 또는 지지체(37) 등과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 공급 장치는, 차량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탈것의 연료 공급 장치로서 채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1 : 연료 탱크
2 : 개구부
10 : 연료 공급 장치
20 : 덮개 유닛
30 : 펌프 유닛
31 : 연료 펌프
40 : 조인트
50 : 리테이너
51 : 리테이너 본체
60 : 레일 홈부
70 : 레일부

Claims (6)

  1. 연료 탱크(1)의 연직 방향 상측의 개구부(2)를 폐색하는 덮개 유닛(20)과,
    상기 연료 탱크 내에 마련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외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펌프(31)를 갖는 펌프 유닛(30)과,
    상기 덮개 유닛과 상기 펌프 유닛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 유닛과 상기 펌프 유닛을 연결하는 조인트(40)와,
    상기 조인트에 설치된 리테이너(50)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는,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홈부(60)를 갖고,
    상기 덮개 유닛은, 상기 레일 홈부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레일 홈부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레일부(70)를 갖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레일부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 홈부에 마련된 리테이너 본체(51)를 갖고 있는, 연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테이너 본체가 상기 레일 홈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조인트에 결합되는 클로부(52, 53)를 갖고 있는, 연료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레일 홈부의 저면에 맞닿음 가능하도록 상기 리테이너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비드(55)를 갖고 있는, 연료 공급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홈부는, 저면(61)과 측면(62) 사이의 코너부(63)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료 공급 장치.
  5. 연료 탱크(1)의 연직 방향 상측의 개구부(2)를 폐색하는 덮개 유닛(20)과,
    상기 연료 탱크 내에 마련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외부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펌프(31)를 갖는 펌프 유닛(30)과,
    상기 펌프 유닛에 마련되고, 상기 덮개 유닛과 상기 펌프 유닛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 유닛과 상기 펌프 유닛을 연결하는 조인트(40)와,
    상기 조인트 또는 상기 덮개 유닛에 설치된 리테이너(50)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는,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 홈부(60)를 갖고,
    상기 덮개 유닛은, 상기 레일 홈부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레일 홈부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한 레일부(70)를 갖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레일부 또는 상기 레일 홈부에 대해 연직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및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 홈부 또는 상기 레일부에 마련된 리테이너 본체(51), 및 상기 레일 홈부의 저면에 맞닿음 가능하도록 상기 리테이너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비드(55)를 갖고 있고,
    상기 레일 홈부는, 저면(61)과 측면(62) 사이의 코너부(63)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료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저벽부(511)와 측벽부(512)의 접속부와 상기 레일 홈부의 곡면 형상의 코너부(63)가 접촉하고 있는, 연료 공급 장치.
KR1020190125014A 2018-10-17 2019-10-10 연료 공급 장치 KR102231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95583A JP7128081B2 (ja) 2018-10-17 2018-10-17 燃料供給装置
JPJP-P-2018-195583 2018-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277A KR20200043277A (ko) 2020-04-27
KR102231019B1 true KR102231019B1 (ko) 2021-03-23

Family

ID=7029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014A KR102231019B1 (ko) 2018-10-17 2019-10-10 연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28081B2 (ko)
KR (1) KR102231019B1 (ko)
CN (1) CN111058980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4760A (ja) 2011-02-17 2012-09-27 Aisan Industry Co Ltd 燃料供給装置
JP2017129072A (ja) * 2016-01-21 2017-07-27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2018071367A (ja) 2016-10-25 2018-05-10 愛三工業株式会社 配線保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417U (ko) * 1988-07-29 1990-02-14
US20040094131A1 (en) * 2002-11-18 2004-05-2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Fuel delivery check valve for automotive application
JP2007056820A (ja) * 2005-08-26 2007-03-08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JP2008034967A (ja) 2006-07-26 2008-02-14 Strawberry Corporation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CN103339365A (zh) * 2011-03-24 2013-10-02 三菱电机株式会社 燃料供给装置
JP6258157B2 (ja) * 2014-08-26 2018-01-10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6215155B2 (ja) * 2014-08-26 2017-10-18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6327067B2 (ja) * 2014-08-29 2018-05-23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4760A (ja) 2011-02-17 2012-09-27 Aisan Industry Co Ltd 燃料供給装置
JP2017129072A (ja) * 2016-01-21 2017-07-27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2018071367A (ja) 2016-10-25 2018-05-10 愛三工業株式会社 配線保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63692A (ja) 2020-04-23
CN111058980B (zh) 2021-12-14
KR20200043277A (ko) 2020-04-27
JP7128081B2 (ja) 2022-08-30
CN111058980A (zh)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4762B2 (en) Fuel supply device
US7249594B2 (en) Fuel feed apparatus having inner connecting structure
KR20080082424A (ko) 연료 공급 장치
CN1796766A (zh) 具有油泵和过滤器的供油装置
JP2008248801A (ja) 燃料供給装置
JP4359806B2 (ja) 燃料供給装置
KR102231019B1 (ko) 연료 공급 장치
CN108368802B (zh) 箱盖单元及燃料供给装置
CN202273777U (zh) 一种汽车碳罐
JP6800699B2 (ja) 配線保持構造
JP2005226524A (ja) 燃料供給装置
KR101746438B1 (ko) 연료펌프모듈용 커버브라켓의 구조
US20120063938A1 (en) Fuel feed apparatus
JP5828296B2 (ja) 燃料供給装置
JP2006138256A (ja) フューエルゲージ取付け構造
JP5704053B2 (ja) 燃料センサユニット、燃料タンク構造及び燃料センサユニット搭載方法
JPH0474544B2 (ko)
KR101222013B1 (ko) 연료공급장치
JP4541310B2 (ja) 燃料供給装置
JP2006152992A (ja) 燃料供給装置
JP6138369B2 (ja) 燃料供給装置
CN219081746U (zh) 一种用于燃油汽车的燃油供给装置
CN108223216B (zh) 燃料供给装置
JP7000880B2 (ja) 燃料供給装置
JP2021154818A (ja) 液体貯留装置および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