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251B1 - 구역화 단열 의복 - Google Patents

구역화 단열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251B1
KR102228251B1 KR1020207012288A KR20207012288A KR102228251B1 KR 102228251 B1 KR102228251 B1 KR 102228251B1 KR 1020207012288 A KR1020207012288 A KR 1020207012288A KR 20207012288 A KR20207012288 A KR 20207012288A KR 102228251 B1 KR102228251 B1 KR 102228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base material
raised portions
zoning
rid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7771A (ko
Inventor
엘레스반 몬토야
리젠 에이 스타우퍼
리베카 엠 시한
카르멘 엘 졸만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0004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41D31/065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using layere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4Removable 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005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made from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8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8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 A41D31/085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4Resistant to mechanical stress, e.g. pierce-proof
    • A41D31/245Resistant to mechanical stress, e.g. pierce-proof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8Shock absorbing
    • A41D31/285Shock absorbing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7/00Protective clothin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heat or harmful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3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laid-in unlooped yarn, e.g. fleec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양태는 구역화 단열 피쳐(zoned insulation feature)를 갖는 의복(100)에 관한 것이다. 구역화 단열 피쳐는, 의복이 착용되었을 때에 착용자의 신체 표면을 향하도록, 의복을 형성하는 베이스 재료의 표면에 대하여 z-방향으로 연장되는 융기부(510)를 포함한다. 융기부의 개수 및/또는 크기는 의복의 상이한 영역에 필요한 단열량에 따라 의복 전반에 걸쳐 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역화 단열 의복{ZONED INSULATION GARMENT}
추운 날씨를 위해 구성되는 의복은 통상적으로 착용자에게 따뜻함을 제공하기 위해 일종의 단열재를 사용한다.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의복에서 균일하게 분산된다. 그러나, 착용자의 신체의 상이한 영역들이 다른 영역보다 많은 열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운동 활동 중에 이러한 구성이 착용자에게 쾌적함을 항상 제공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화 단열 의복의 정면도를 예시하고,
도 2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1의 예시적인 구역화 단열 의복의 후면도를 예시하며,
도 3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의복의 내부가 보이도록 개방된 상태의 도 1의 예시적인 구역화 단열 의복을 예시하고,
도 4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3의 구역화 단열 의복의 슬리브부에 관한 추가 도면을 예시하며,
도 5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제1 세트의 융기부의 확대 사시도를 예시하고,
도 6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제2 세트의 융기부의 확대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7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제3 세트의 융기부의 확대 사시도를 예시하고,
도 8a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5의 절단선 8A-8A를 따라 취한 확대도를 예시하며,
도 8b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7의 절단선 8B-8B를 따라 취한 확대도를 예시하고,
도 9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융기부의 패턴을 예시하며,
도 10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9에 도시한 예시적인 융기부의 패턴을 갖는 예시적인 구역화 단열 의복을 예시하고,
도 11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구역화 단열이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후드를 위해 사용되는 예시적인 패턴 조각을 예시한다.
여기에서는 법적 요건을 충족하는 특수성을 갖는 본 발명의 보호대상이 설명된다. 그러나, 설명 자체가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자들은, 청구되거나 개시된 보호대상이 다른 방식으로도 또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현재 기술이나 미래의 기술과 함께 다른 단계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단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더욱이, “단계” 및 “블럭”이라는 용어는 여기에서는 채용되는 방법의 상이한 요소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개별 단계들의 순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그리고 개별 단계들의 순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용어를 다양한 단계들의 임의의 특정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고차원적으로, 본 개시의 양태는 구역화 단열 피쳐(zoned insulation feature)를 갖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의복이 재킷/코트 또는 셔츠로 구성될 때, 의복의 정면, 의복의 측부 영역 및/또는 의복의 슬리브에 보다 높은 정도의 단열이 제공될 수 있고, 의복의 중앙 등 영역에는 보다 적은 정도의 단열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착용자의 등 영역이 통상적으로, 특히 활동 중에 고발열 영역이고, 착용자의 정면, 측부 및/또는 팔이 운동 활동 중에 그와 동일한 열을 생성할 수 없다는 점을 반영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의복은 적어도 베이스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구역화 단열 피쳐는, 상이한 얀(yarn) 및/또는 섬유 타입을 활용하여, 베이스 재료 및/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재료에서 연장되는 임의의 융기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인 얀 타입은 따뜻한 공기를 포획하는 것을 돕는 중공 코어를 갖는 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얀 타입은, 인체를 따뜻하게 하는 것을 돕는 예정된 길이의 파장을 방출하는 원적외선(FIR)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얀 타입은, 예컨대 울 얀과 같은 단열 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얀은, 예컨대 전술한 얀이 사용될 수 있는 고단열 영역(예컨대, 정면, 측부 및/또는 팔 부분)에 적합한 구역화 의복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부분에 놓일 수 있고, 저단열 영역(예컨대, 중앙 등 영역)에는 상기 얀이 사용될 수 없거나, 고단열 영역보다 적은 정도로 사용된다.
구역화 단열을 달성하기 위해 상이한 얀 타입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 상기 얀이 구역화 단열 피쳐를 달성하도록 기계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재료를 형성하는 얀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베이스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즉, z-방향으로 연장되어), 의복이 착용되었을 때에 내측 또는 착용자의 신체면을 향하는 상이한 타입의 융기부를 형성하도록 기계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일양태에서, 융기부는 베이스 재료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말단 단부를 가질 수 있으며, 말단 단부는 의복이 착용되었을 때에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거나 거의 접촉할 수 있다. 융기부는 단위 면적당 융기부의 개수를 최대화하는 테셀레이션(tessellation)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인접한 융기부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그 말단 단부에 의한 융기부들의 표면적은 융기부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들의 표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착용자에 의해 생성된 고온 공기가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돕는다. 즉, 상기 구성은 고온 공기를 “포획”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고온 공기가 착용자의 신체 밖으로 채널링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의복은, 이들 융기부가 셔츠나 재킷의 정면이나 측부 및/또는 셔츠 또는 재킷의 슬리브와 같은 적당한 내지는 높은 단열량을 필요로 하는 의복의 영역에 위치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베이스 재료를 형성하는 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베이스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내측으로 연장되고(예컨대, z-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에지에서 종결되는 융기부를 형성하도록 기계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즉, 융기부는 전술한 바와 같은 말단 단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에지들은 상호 연결되어 벌집형 격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 관하여, 융기부의 표면적은 상호 연결된 에지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표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개방” 구성은 공기 이동의 기회를 증가시켜, 착용자를 시원하게 하는 것을 돕는다. 더욱이, 융기부에 의해 생성되는 스탠드 오프(stand-off)는 의복이 착용되었을 때에 밀착 인식을 줄이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전술한 융기부는, 보다 낮은 단열량이 요구되는 의복의 중앙 등 영역과 같은 의복 영역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착용했을 때에 통상적으로 운동 활동 중에 고발열 영역인 착용자의 등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양태는, 적어도, 제1 표면과 반대측의 제2 표면을 갖는 베이스 재료로 형성되는 제1 의복부를 포함하는 구역화 의복에 관한 것이며, 제1 의복부에서는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제1 복수 개의 융기부가 연장되고, 제1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베이스 재료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말단 단부를 갖는다. 구역화 의복은 적어도 베이스 재료로 형성되는 제2 의복부를 더 포함하며, 제2 의복부에서는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제2 복수 개의 융기부가 연장되고, 제2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베이스 재료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말단 단부를 갖고, 제1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의 말단 단부는 제2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의 말단 단부보다 큰 표면적을 갖는다.
다른 양태에서는, 적어도, 제1 표면과 반대측의 제2 표면을 갖는 베이스 재료로 형성되는 제1 의복부를 포함하는 구역화 의복이 제공되고, 제1 의복부에서는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제1 복수 개의 융기부가 연장되며, 제1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베이스 재료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말단 단부를 갖는다. 구역화 의복은 적어도 베이스 재료로 형성되는 제2 의복부를 더 포함하며, 제2 의복부에서는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제2 복수 개의 융기부가 연장되고, 제2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베이스 재료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말단 단부를 갖고, 제1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의 말단 단부는 제2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의 말단 단부보다 큰 표면적을 갖는다. 또한, 구역화 의복은 적어도 베이스 재료로 형성되는 제3 의복부를 포함하고, 제3 의복부에서는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제3 복수 개의 융기부가 연장되며, 제3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에지에서 종결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는, 적어도, 제1 표면과 반대측의 제2 표면을 갖는 베이스 재료로 형성되는 제1 의복부를 포함하는 구역화 의복이 제공되고, 제1 의복부에서는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제1 복수 개의 융기부가 연장되며, 제1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베이스 재료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말단 단부를 갖는다. 구역화 의복은 적어도 베이스 재료로 형성되는 제2 의복부를 더 포함하며, 제2 의복부에서는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제2 복수 개의 융기부가 연장되고, 제2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하나 이상의 상호 연결된 에지에서 종결되며, 그 각각의 말단 단부에 의한 제1 복수 개의 융기부의 표면적은 제2 복수 개의 융기부의 표면적보다 크다.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전방", "후방", "바깥쪽", "안쪽", "위쪽", "아래쪽" 등과 같은 위치 용어는 구역화 단열 의복을 착용한 가상의 착용자가 해부학적 자세에 있어서 서있는 동안의 그 공통의 해부학적 의미가 주어진다. 더욱이,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고정된” 또는 “고착된”과 같은 용어는, 예컨대 후크 앤 루프 파스너, 지퍼, 버튼, 스냅, 해제 가능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재료들을 해제 가능하게 함께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용어는 예컨대 접합, 스티칭, 용접,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재료들을 함께 영구 고정하는 것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착용자의 [특정 신체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된”이라는 구문은, 특정 착용자를 위해 적절하게 크기가 정해진 의복과 관련하여 해석된다.
이제 도 1 및 도 2로 돌아가면,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화 단열 의복(100)의 정면도 및 후면도가 각각 제공된다. 착용자의 상체를 위한 의복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여기에서 의복(100)은 착용자의 하체를 위한 의복 형태(예컨대, 바지, 반바지, 레깅스, 카프리 등)일 수도 있고, 의복(100)은 양말, 모자 등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임의의 양태 또는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도 1 및 도 2의 의복은 재킷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여기에서 구역화 단열 의복(100)은 셔츠(풀오버, 후디, 스웨트셔츠 등), 코트 형태일 수 있고/있거나 외피층 아래에 착용되도록 된 내피층이나 내피층 위에 착용되도록 된 외피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의복(100)은 구역화 단열 피쳐를 갖는 선택적 후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양태는 도 11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임의의 양태 또는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에 대하여, 구역화 단열 의복(100)은 적어도, 의복(100)을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정면 몸통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되도록 된 정면부(110) 및 의복(100)을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팔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되도록 된 제1 및 제2 슬리브부(112, 114)를 포함한다. 의복(100)은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측부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되도록 구성된 측부(116)를 더 포함한다. 측부(116)는 일양태에서 슬리브부(112, 114)의 아래쪽 가장자리에서 의복(100)의 아래쪽 가장자리 근처 또는 의복의 아래쪽 가장자리로 연장될 수 있다. 의복(100)은 입고 벗기 위해 의복(100)을 열고 닫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지퍼와 같은) 선택적인 해제 가능한 폐쇄 메커니즘(115)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셔츠 형태일 때, 해제 가능한 폐쇄 메커니즘(115)은 활용될 수 없다.
도 2에 대하여, 의복(100)은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의 등 몸체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되도록 된 등부(210)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정면부(110), 등부(210) 및/또는 슬리브부(112, 114)는 함께 고정되어 의복(100)을 형성하는 별개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정면부(110), 등부(210) 및/또는 슬리브부(112, 114)는, 예컨대 횡편(flat knitting) 프로세스, 환편(circular knitting) 프로세스, 임의의 적절한 위편(weft-knitting) 프로세스 또는 경편(warp-knitting) 프로세스, 직조 프로세스 등을 활용하여 심리스(seamless)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측부(116)는 정면부(110) 및/또는 등부(210)의 일체형 연장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측부(116)는 정면부(110)와 등부(210) 사이에 삽입되는 별개의 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임의의 양태 또는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의복(100)의 내부가 보이도록 개방된 상태의 구역화 단열 의복(100)의 정면도를 예시한다. 의복(100)은, 각각 상이한 단열 피쳐를 포함하는 여러 상이한 의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부분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이, 이들 부분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별개의 패널 조각을 포함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상기 부분들이 상이한 기능성 단열 피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의복(100)은 제1 의복부(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의복부(310)는 일반적으로 구역화 단열 의복(100)의 정면부(110), 구역화 단열 의복(100)의 측부(116) 및 구역화 단열 의복(100)의 등부(210)의 바깥쪽 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역화 단열 의복(100)은 제2 의복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의복부(312)는 일반적으로 의복(100)의 제1 및 제2 슬리브부(112, 114)를 형성한다. 이것은, 슬리브부(114) 내부의 확대도를 도시한 도 4에서 보다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다. 계속해서, 구역화 단열 의복(100)은 일반적으로 의복(100)의 등 중앙부를 따라, 예컨대 의복(100)의 네크라인에서 의복(100)의 아래쪽 가장자리로 연장되는 제3 의복부(314)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것들 이외에 추가의 의복부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제1 의복부(310), 제2 의복부(312) 및 제3 의복부(314)의 위치는 단지 예시적일 뿐이다. 예컨대, 제2 의복부(312)가 제1 슬리브부(112)와 제2 슬리브부(114)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여기에서 제2 의복부(312)가 제1 슬리브부(112)와 제2 슬리브부(114)의 일부만 또는 슬리브부(112, 114)들 전체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예에서, 제2 의복부(312)는 의복(100)의 정면부(110) 및/또는 측부(116)를 형성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고, 제1 의복부(310)는 제1 슬리브부(112)와 제2 슬리브부(114)를 형성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 의복(100)의 일부 영역은 기능성 단열 피쳐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임의의 양태 또는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제1 의복부(310), 제2 의복부(312) 및 제3 의복부(314) 각각은, 적어도 의복(100)의 내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표면 평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이한 타입의 융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의복(100)의 내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는 베이스 재료로 알려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이한 타입의 융기부를 설명하겠다.
일반적으로 참조부호 500으로 인용되는 도 5는, 예컨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3에 나타낸 영역에서 취한 제1 의복부(310)에서 활용되는 융기부(510)의 확대 사시도이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융기부(510)는 [참조부호 512로 나타낸] 베이스 재료의 표면 평면에 대하여 z-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융기부(510)는 말단 단부(511)에서 종결하여 노드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도 8a에 도시한 것과 같은 단면도에서 더 잘 보인다.
일반적으로 참조부호 800으로 인용되는 도 8a는 적어도, 복수 개의 융기부(814)가 연장되는 베이스 재료(812)를 보여준다. 각각의 융기부(814)는 측부(818)와 베이스 재료(812)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말단 단부(82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측부(818)는 베이스 재료(812)의 표면 평면에 거의 수직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융기부(814)의 말단 단부(820)는 융기부(814)의 베이스의 표면적과 비슷한 표면적을 갖는다. 다른 양태에서, 측부(818)는, 융기부(814)의 말단 단부(820)가 융기부(814)의 베이스의 표면적보다 작은 표면적을 갖도록 각질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측부(818)는, 융기부(814)의 말단 단부(820)가 융기부(814)의 베이스의 표면적보다 큰 표면적을 갖도록 베이스 재료(812)의 표면 평면에 대해 각질 수 있다. 임의의 양태 또는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5로 돌아가면, 도시한 바와 같이 융기부(510)는 테셀레이션 패턴으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한 패턴을 활용하는 것은 베이스 재료(512)의 단위 면적당 융기부(10)의 개수를 최대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육각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여기에서 융기부(510)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원형, 타원형, 다이아몬드형 및 다른 기지의 기하 형상과 같은 상이한 형상을 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계속해서, 각각의 융기부(510)는 [말단 단부(511)의 일측면에서 말단 단부(511)의 대향 측면까지 측정했을 때] 예컨대 15 mm 내지 50 mm, 20 mm 내지 40 mm 및/또는 25 mm 내지 35 mm의 적절한 직경을 가질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이들 범위보다 크거나 작은 직경도 고려된다. 각각의 융기부(510)는 공간(513)에 의해 인접한 융기부(5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인접한 융기부(510)들 사이의 공간(513)의 폭은, 예컨대 3 mm 내지 15 mm, 4 mm 내지 13 mm 및/또는 5 mm 내지 12 mm일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이들 범위보다 크거나 작은 폭도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인접한 융기부(510)들 사이의 공간(513)은, 예컨대 의복(100)의 움직임 중에 인접한 융기부(510)들이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굴곡되게 하여 의복(100)의 유연성 및/또는 드레이프(drape)를 증가시키는 힌지 포인트 또는 굴곡 포인트로서 작용할 수 있다. 더욱이, 공간(513)은 의복(100)을 착용했을 때에 공기 이동을 위한 도관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즉, 공기는 공간(513)을 통해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의복부(310)에 통기성을 제공하고 착용자의 쾌적함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융기부(510)와 융기부(510)들 사이의 공간(513)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착용자의 쾌적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통기를 여전히 가능하게 하면서, 의복(100)을 착용했을 때에 착용자에게 단열을 제공하는 유연한 의복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각각의 융기부(510)는 베이스 재료(512)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얀의 일부 또는 전부를 기계적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재료(512)와 융기부(510)는 기계적으로 조작된 얀으로부터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재료(512)는 단일 저지 패턴으로 편직될 수 있고, 융기부(510)는 베이스 재료(512)를 편직하는 데 사용되는 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편직된 프렌치 테리 자카드 루프(French terry Jacquard loop)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융기부(510)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편직 또는 직조 프로세스가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융기부(510)의 말단 단부(511)는 융기부(510)에 증가된 부드러움 또는 보온성을 부여하기 위해 브러싱(brushing)될 수 있다. 즉, 융기부(510)의 말단 단부(511)를 브러싱하는 것에 의해, 융기부(510)의 표면적이 증가할 수 있고, 융기부(510)가 보다 양호하게 착용자에 의해 생성된 신체의 열을 유지하거나 포획하게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베이스 재료(512)와 융기부(51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얀은,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얀 및/또는 면, 울, 스판덱스 등과 같은 다른 얀과 조합된 폴리에스테르 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양태에 대하여, 융기부(510)에 의해 마련되는 단열 피쳐는 주로 융기부의 크기 및/또는 표면적, 융기부의 브러싱된 말단 단부, 융기부의 밀도 등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베이스 재료(512) 및/또는 융기부(51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얀은 또한 수분 관리 특징(즉, 직물이, 예컨대 모세관 작용, 데니어 차, 흡수 등을 통해 수분을 한 표면에서 반대측 표면으로 이동시키는 능력)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수분은 착용자의 신체 표면으로부터 융기부(510)를 통해 베이스 재료(512)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간단히 기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재료(512)와 융기부(510)를 형성할 때, 특정 용도의 얀 및/또는 섬유 타입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한가지 예시적인 섬유 타입은 원적외선(FIR) 섬유이다. FIR 섬유는 통상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원적외선 방출 세라믹 마이크로 입자를 매립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의류에 활용될 때, 세라믹 마이크로 입자는 착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신체 열(및/또는 주위 열)을 흡수하여, 예컨대 파장이 4 내지 14 미크론 범위인 무해한 적외선 복사선을 방출한다. 방출된 복사선은 인체에 의해 흡수되고, 이 경우 (예컨대, 인체 내의 물분자를 여기시키는 것을 통해) 발열 또는 보온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FIR 섬유는, 베이스 재료(512) 및/또는 융기부(510)를 형성할 때에 활용되는 얀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섬유 타입(면, 폴리에스테르 등)과 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얀 내의 FIR 섬유의 양 또는 퍼센티지는 보다 많거나 적은 정도의 따뜻함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의복부(310, 312)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얀 내의 FIR 섬유의 양 또는 퍼센티지는, 예컨대 제3 의복부(314)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얀 내의 FIR 섬유의 양 또는 퍼센티지보다 많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제1 및 제2 의복부(310, 312)가 일반적으로 제3 의복부(314)보다 높은 정도의 단열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이다.
다른 예시적인 얀 타입은 중공 코어 얀이다. 그 명칭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중공 코어 얀은, 예컨대 착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신체 열을 포획할 수 있는 중공 코어를 갖는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중공 코어 얀은 폴리에스테르 얀, 면 얀 등과 같은 통상의 얀 및/또는 예컨대 울 얀과 같은 단열성 얀과 조합될 수 있다(예컨대, 엮일 수 있다). 더욱이, 몇몇 양태에서 융기부(510)는 단지 중공 코어 얀 또는 중공 코어 얀과 통상의 얀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임의의 양태 또는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FIR 섬유와 유사하게, 중공 코어 얀의 양 또는 퍼센티지는 보다 많거나 적은 따뜻함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의복부(310, 312)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중공 코어 얀의 퍼센티지는, 예컨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제3 의복부(314)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중공 코어 얀의 퍼센티지보다 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참조부호 600으로 인용되는 도 6으로 돌아가면,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3에 나타낸 영역에서 취한 제2 의복부(312)에서 활용되는 융기부(610)의 확대도가 제공된다. 융기부(610)는 제1 의복부(310)와 연관된 융기부(510)와 유사한 피쳐를 공유하지만, 일반적으로 크기가 더 작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의복부(312)는 제1 및 제2 슬리브부(112, 114)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융기부(510)와 유사하게, 융기부(610)는 [참조부호 612로 나타낸] 베이스 재료의 표면 평면에 대하여 z-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융기부(610)는 말단 단부(611)로 종결하여 노드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베이스 재료(612)는 베이스 재료(512)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융기부(610)의 단면은, 융기부(814)의 크기가 도시한 것보다 작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8a에 도시한 융기부와 유사할 것이다. 또한, 융기부(610)의 측부는 베이스 재료(612)의 표면 평면에 거의 수직할 수도 있고, 말단 단부(611)의 표면적이 융기부(610)의 베이스의 표면적과 동일하거나, 이 베이스의 표면적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도록 베이스 재료(612)에 대해 각질 수도 있다.
융기부(610)는 테셀레이션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고, 육각형 형상을 취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다른 형상 구성(예컨대,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원형, 삼각형 등)도 고려된다. 각각의 융기부(610)는 [말단 단부(611)의 일측면에서 말단 단부(611)의 대향 측면까지 측정했을 때] 예컨대 5 mm 내지 15 mm, 7 mm 내지 12 mm 및/또는 8 mm 내지 11 mm의 적절한 직경을 가질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이들 값보다 크거나 작은 직경도 고려된다. 각각의 융기부(610)는 공간(613)에 의해 인접한 융기부(6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인접한 융기부(610)들 사이의 공간(613)의 폭은, 예컨대 1 mm 내지 5 mm, 2 mm 내지 4 mm 및/또는 약 3 mm일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이들 값보다 크거나 작은 폭도 고려된다. 알 수 있다시피, 융기부(510)의 말단 단부(511)의 직경이 융기부(610)의 말단 단부(611)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융기부(510)의 각각의 말단 단부(511)는 융기부(610)의 각각의 말단 단부(611)보다 큰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작은 크기의 융기부(610)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보다 큰 크기의 융기부(510)에 비해 단위 면적당 보다 많은 개수의 융기부가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제2 의복부(312)가, 예컨대 예시적인 양태의 제1 의복부(310)에 비해 보다 높은 정도의 단열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5에 대하여 설명한 공간(513)과 유사하게, 공간(613)은 또한, 의복(100)의 움직임 중에 인접한 융기부(610)가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굴곡할 수 있도록 굴곡 또는 힌지 지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더욱이, 융기부(610)의 작은 사이즈로 인해 제2 의복부(312)의 단위 면적당 융기부(610) 및 공간(613)의 개수가 일반적으로 제1 의복부(310)의 단위 면적당 융기부(510) 및 공간(513)의 개수보다 많기 때문에, 제2 의복부(312)는, 예컨대 제1 의복부(310)에 비해 더 높은 정도의 유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은, 의복의 슬리브부가 통상적으로 높은 정도의 굴곡, 연장 및 움직임을 경험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슬리브부(112, 114)에서의 가요성을 증가시키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의복부(310)와 유사하게, 제2 의복부(312) 내의 공간(613)은 의복이 착용될 때에 공기가 흐르는 도관으로서 작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통기성을 증가시키고 착용자의 쾌적함을 향상시키는 것을 돕는다.
융기부(510)와 유사하게, 각각의 융기부(610)는 베이스 재료(612)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얀의 일부 또는 전부를 기계적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재료(612)와 융기부(610)는 기계적으로 조작된 얀으로부터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재료(612)는 단일 저지 패턴으로 편직될 수 있고, 융기부(610)는 베이스 재료(612)를 편직하는 데 사용되는 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편직된 프렌치 테리 자카드 루프(French terry Jacquard loop)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융기부를(610)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편직 또는 직조 프로세스도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융기부(610)의 말단 단부는 융기부(610)에 증가된 부드러움 또는 따뜻함을 부여하기 위해 브러싱될 수 있다. 돌출부(61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얀은 통상의 얀 및/또는 단열성 얀(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면, 울 등) 및/또는 FIR 섬유 및/또는 중공 코어 얀을 포함하는 얀과 같은 특정 용도의 얀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양태 또는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반적으로 참조부호 700으로 인용되는 도 7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3에 나타낸 영역에서 취한 제3 의복부(314)에서 활용되는 융기부(710)의 확대도이다. 말단 단부에서 종결하여 노드형 구조를 형성하는 융기부(510, 610)와 달리, 융기부(710)는 도 7에서 일반적으로 정면을 향하는 것으로 도시된 하나 이상의 에지에서 종결한다. 각각의 융기부(710)는 육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과 같은 다른 형성 구성도 고려된다. 융기부(710)의 에지는 상호 연결되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벌집형 격자 공간을 형성한다. 더욱이, 각각의 융기부(710)는 베이스 재료를 포함하는 공간(712)을 획정한다. 각각의 융기부(710)는 육각형 형상을 포함하기 때문에, 공간(712)도 또한 육각형 형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으로 참조부호 850으로 인용되는 이 구성의 단면도가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도 8b는, 융기부(710)와 같은 복수 개의 융기부(856)가 연장되는 베이스 재료(852)를 적어도 도시한다. 각각의 융기부(856)는 에지(857)로 종결한다. 인접한 융기부(856)들 사이에 공간(858)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융기부(856)는 베이스 재료(852)의 표면 평면에 거의 수직하게 연장될 수도 있고, 베이스 재료(852)의 표면 평면에 대해 정렬될 수도 있다. 임의의 양태 또는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7을 참고하면, 각각의 융기부(710)의 에지는, 예컨대 1 mm 내지 10 mm, 3 mm 내지 7 mm 및/또는 4 mm 내지 6 mm의 적절한 폭을 가질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이들 값보다 크거나 작은 폭도 고려된다. 융기부(710)의 한 쪽 내측 에지에서 융기부(710)의 대향 내측 에지까지 측정한 공간(712)의 직경은, 예컨대 5 mm 내지 30 mm, 10 mm 내지 25 mm, 12 mm 내지 23 mm 및/또는 14 mm 내지 20 mm일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3 의복부(314)에서의 융기부(710)의 표면적은 융기부(710)에 의해 획정되는 공간(712)의 표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자면, 융기부(710)가 융기부(510, 610)와 같은 말단 단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 재료의 단위 면적에 대하여 융기부(710)의 표면적은 일반적으로 융기부(510, 610)의 표면적보다 작다.
융기부(510, 610)와 유사하게, 각각의 융기부(710)는 베이스 재료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얀의 일부 또는 전부를 기계적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재료와 융기부(710)는 기계적으로 조작된 얀으로부터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재료는 단일 저지 패턴으로 편직될 수 있고, 융기부(710)는 베이스 재료를 편직하는 데 사용되는 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편직된 프렌치 테리 자카드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융기부를(710)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편직 또는 직조 프로세스도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융기부(710)의 에지는 융기부(710)에 증가된 부드러움 또는 따뜻함을 부여하기 위해 브러싱될 수 있다.
돌출부(71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얀은 통상의 얀(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면, 울 등), 울과 같은 단열성 얀 및/또는 FIR 섬유 및/또는 중공 코어 얀을 포함하는 얀과 같은 특정 용도의 얀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의복부(314)는 의복이 착용되었을 때에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고발열 등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 설정되기 때문에, 예시적인 양태에서 FIR 섬유를 포함하는 얀의 퍼센티지 및/또는 중공 코어 얀의 퍼센티지는 제1 의복부(310)와 제2 의복부(312)에서 사용되는 퍼센티지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의복부(314)에서의 특정 용도의 얀의 퍼센티지는 제1 의복부(310)와 제2 의복부(312)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도의 얀의 90%, 80%, 70%, 60%, 50%, 40%, 30%, 20%, 10% 또는 0%일 수 있다. 임의의 양태 또는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융기부(710)는 의복(100)이 착용되었을 때, 예컨대 의복(100)의 내부와 착용자의 중앙 등 영역 사이에 스탠드 오프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사람의 중앙 등 영역은 특히 운동 활동 중에 고발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융기부(710)에 의해 형성되는 스탠드 오프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이 영역에서의 밀착 인식을 줄이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더욱이, 융기부(710)에 의해 생성되는 스탠드 오프는 이 영역에서의 공기의 움직임을 촉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공기 순환은 이 영역에서 융기부(710)에 비해 공간(712)의 퍼센티지가 클수록 증가할 수 있다[즉, 공기는 공간(712)에서 순환할 수 있다]. 순환하는 공기는 결국 증발 열전달(Evaporative heat Transfer)을 촉진시키고, 이에 따라 착용자를 시원하게 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제1 의복부(310), 제2 의복부(312) 및 제3 의복부(314)에 대해 도시한 융기부의 패턴은 단지 예시적일 뿐이며, 여기에서는 다른 패턴도 고려된다. 예컨대, 도 9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활용될 수 있는 대안의 테셀레이션 패턴(900)을 도시한다. 테셀레이션 패턴(900)은 수평 양태와 수직 양태 모두에서 보다 큰 사이즈의 융기부(910)가 작은 사이즈의 융기부(912)로 천이하고 다시 보다 큰 사이즈의 융기부(910)로 천이하는 교호하는 패턴으로 구성된다. 융기부(910, 912)들 각각은 베이스 재료의 표면 평면에 대해 z-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와, 베이스 재료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말단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융기부(910, 912, 914)들이 형성되는 방법, 사용되는 얀/섬유 타입, 공간 등과 같은 융기부(910, 912, 194)에 관한 상세는 융기부(510)에 대해 기술한 것과 유사하며, 이에 따라 여기에서는 반복하지 않겠다.
도 10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도 9에 도시한 테셀레이션 패턴(900)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의복(100)의 내부도를 보여준다. 테셀레이션 패턴(900)의 단지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패턴(900)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일반적으로 의복(100)의 등부와 측부에 걸쳐 위치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패턴(900)이 슬리브부와 정면부 등과 같은 의복(1000)의 다른 영역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의복(1000)은 융기부(510, 610 및/또는 710)와 같은 다른 타입의 융기부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의복(1000)은 의복(100)의 융기부(510)와 유사한 융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융기부는, 예컨대 높은 단열도가 필요할 수 있는 의복(1000)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제 도 11로 돌아가면,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후드(1100)를 위한 예시적인 패턴 조각이 제공된다. 후드(1100)는, 예컨대 구역화 의복(100) 및/또는 구역화 의복(10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참조부호 1110으로 나타낸 영역은 의복의 네크라인[이후에는 뒤쪽 가장자리(1110)라고 함]에 고정되도록 된 후드(1100) 부분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112로 나타낸 영역은 후드(110)를 착용하고 있을 때에 후드(1100)의 앞쪽 부분이나 전방 에지[이후에는 앞쪽 가장자리(1112)라고 함]를 나타낸다. 따라서, 참조부호 1114로 나타낸 영역은 후드(1100)의 측부 가장자리[이후에는 측부 가장자리(1114)]를 나타낸다.
후드(1100)를 위한 패턴 조각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융기부(510)와 대체로 유사한 형상 및 크기 구성을 갖는 융기부(1116)가 대체로 위쪽 가장자리(1110), 측부 가장자리(1114) 및 앞쪽 가장자리(1112)를 따라 위치하도록 후드(1100)에 위치 설정된다. 그리고 융기부(610)와 대체로 유사한 형상 및 크기 구성을 갖는 융기부(1118)가 후드(1100)의 내부 영역에 위치 설정된다. 즉, 융기부(1118)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융기부(1116)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단위 면적당 융기부(1118)의 밀도는 단위 면적당 융기부(1116)의 밀도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시적인 양태에서 융기부(1118)는 융기부(1116)보다 큰 단열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융기부(1116, 1118)의 구성은 단지 예시적일 뿐이며, 여기에서는 융기부의 다른 구성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컨대, 보다 큰 크기의 융기부(1116)가 후드(1100)의 안쪽 부분에 위치 설정될 수 있고, 보다 작은 크기의 융기부(1118)가 후드(1100)의 앞쪽, 뒤쪽 및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보다 적은 양의 단열 및/또는 증가된 공기 흐름이 요구될 때, 융기부(710)와 같은 융기부가 후드(1100)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테셀레이션 패턴(900)과 같은 상이한 패턴이 후드(11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양태 또는 모든 양태와 그 임의의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8a로 돌아가면, 참조부호 800으로 일반적으로 인용되는 도 8a는, 예컨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의복(100) 및/또는 의복(1000)을 형성하는 재료(들)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여기에서 설명하는 의복의 내부는 베이스 재료(812)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재료(812)로부터 융기부(814)가 연장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베이스 재료(812)는 싱글 니트 저지(single knit jersey)를 포함할 수 있고, 융기부(814)는 프렌치 테리 자카드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많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예시적인 양태에서는 의복이 조립되었을 때에 의복의 외부 페이스 상에 위치 설정되는 백커 재료(810)가 활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백커 재료(810)는, 예컨대 용접, 접착제, 열접합, 스티칭 등을 사용하여 베이스 재료(812)에 고정될 수 있다. 양태에서, 백커 재료(810)는, 예컨대 도트 패턴으로 도포되는 접착제, 스팟 용접 등을 사용하여 베이스 재료(812)에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베이스 재료(812)/백커 재료(810) 조합의 투과성 및/또는 통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백커 재료(810)가 베이스 재료(812)에 고정되어 복합 직물을 형성하는 별개의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양태에서, 백커 재료(810)는, 예컨대 더블 저지 직물 또는 스페이서 메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재료는 통기성 및/또는 투과성 피쳐를 여전히 제공하면서 의복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백커 재료(810)는 베이스 재료(8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재료(812)를 형성하는 얀은 백커 재료(810)를 더욱 형성하도록 기계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양태에서, 백커 재료(810)는 드롭 니들 메시(drop needle mesh)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양태에 대하여, 드롭 니들 메시는 일부 투과성과 통기성이 덜한 백커 재료와 대조적으로 의복의 공기 투과성 및 통기성(즉, 직물이 직물의 제1 표면에서 직물의 반대측의 제2 표면으로 수증기를 전달하는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은, 착용자가 운동 활동에 참여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는 경우에 유익할 수 있다. 백커 재료(810)가 베이스 재료(8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중공 코어 얀 및/또는 FIR 섬유를 포함하는 얀과 같은 특정 용도의 얀이 백커 재료(81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기계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것은 의복의 단열 특징을 증가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상이한 기능성 마감 처리가 백커 재료(810)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영구 발수제가 백커 재료(810)에 도포되어, 최종 의복이 실질적으로 내수성이 되게 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8b는 도 8a와 유사한 구성을 보여준다. 예컨대, 복수 개의 융기부(856)가 연장되는 베이스 재료(852)가 백커 재료(854)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도 8a의 백커 재료(810)에 관한 설명은 도 8b에 도시한 백커 재료(854)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사항으로부터, 본 개시의 양태는 앞서 기술한 목표 및 목적 모두와 함께, 명백한 그리고 구조 특유의 다른 장점을 달성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다른 피쳐 및 하위 조합에 대한 언급 없이도, 소정 피쳐 및 하위 조합이 활용되며, 채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것은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예상되고,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한다. 청구범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여러 가능한 양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설명하거나 첨부도면에 도시한 모든 사안은 예시적이라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구역화 단열 의복(zoned insulation garment)에 있어서,
    상기 구역화 단열 의복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백커 재료; 및
    제1 표면과, 반대측의 제2 표면을 갖는 베이스 재료로서, 상기 베이스 재료의 제2 표면은 상기 백커 재료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은 상기 구역화 단열 의복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것인, 베이스 재료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재료는,
    상기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복수 개의 융기부를 갖는 제1 의복부로서, 상기 제1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상기 베이스 재료의 반대측에 위치된 말단 단부를 갖는 것인, 제1 의복부, 및
    상기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복수 개의 융기부를 갖는 제2 의복부로서, 상기 제2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상기 베이스 재료의 반대측에 위치된 말단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의 말단 단부 전체는 상기 제2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의 말단 단부 전체보다 큰 표면적을 갖는 것인, 제2 의복부
    를 형성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 개의 융기부는 테셀레이션(tessellation) 패턴으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 개의 융기부의 인접한 융기부들 사이에 공간이 획정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 개의 융기부는 테셀레이션 패턴으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 개의 융기부의 인접한 융기부들 사이에 공간이 획정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적외선(FIR) 섬유를 갖는 얀(yarn)으로 형성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 코어 얀으로 형성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코어 얀은 추가적인 얀과 엮이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화 단열 의복은 적어도,
    정면 영역, 등 영역 및 한 쌍의 측부 영역을 갖는 몸통부; 및
    상기 구역화 단열 의복의 몸통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슬리브부
    를 포함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한 쌍의 측부 영역은 상기 제1 의복부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슬리브부는 상기 제2 의복부로 형성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11. 구역화 단열 의복에 있어서,
    상기 구역화 단열 의복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백커 재료; 및
    제1 표면과, 반대측의 제2 표면을 갖는 베이스 재료로서, 상기 베이스 재료의 제2 표면은 상기 백커 재료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은 상기 구역화 단열 의복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것인, 베이스 재료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재료는,
    상기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복수 개의 융기부를 갖는 제1 의복부로서, 상기 제1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상기 베이스 재료의 반대측에 위치된 말단 단부를 갖는 것인, 제1 의복부,
    상기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복수 개의 융기부를 갖는 제2 의복부로서, 상기 제2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상기 베이스 재료의 반대측에 위치된 말단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의 말단 단부 전체는 상기 제2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의 말단 단부 전체보다 큰 표면적을 갖는 것인, 제2 의복부, 및
    상기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복수 개의 융기부를 갖는 제3 의복부로서, 상기 제3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에지에서 종결하는 것인, 제3 의복부
    를 형성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복수 개의 융기부의 하나 이상의 에지는, 테셀레이션 패턴을 형성하도록 서로 상호 연결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상기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형성된 공간을 획정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화 단열 의복은 적어도,
    정면 영역, 등 영역 및 한 쌍의 측부 영역을 갖는 몸통부; 및
    상기 구역화 단열 의복의 몸통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슬리브부
    를 포함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한 쌍의 측부 영역은 상기 제1 의복부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슬리브부는 상기 제2 의복부로 형성되며, 중앙 등 영역은 상기 제3 의복부로 형성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적외선(FIR) 섬유를 갖는 얀으로 형성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 코어 얀으로 형성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코어 얀은 추가적인 얀과 엮이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19. 구역화 단열 의복에 있어서,
    상기 구역화 단열 의복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백커 재료; 및
    제1 표면과, 반대측의 제2 표면을 갖는 베이스 재료로서, 상기 베이스 재료의 제2 표면은 상기 백커 재료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은 상기 구역화 단열 의복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것인, 베이스 재료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재료는,
    상기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복수 개의 융기부를 갖는 제1 의복부로서, 상기 제1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상기 베이스 재료의 반대측에 위치된 말단 단부를 갖는 것인, 제1 의복부, 및
    상기 베이스 재료의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복수 개의 융기부를 갖는 제3 의복부로서, 상기 제3 복수 개의 융기부 각각은 하나 이상의 상호 연결된 에지에서 종결하며, 상기 베이스 재료의 단위 면적에 대하여 상기 제3 복수 개의 융기부는 상기 제1 복수 개의 융기부보다 작은 표면적을 갖는 것인, 제3 의복부
    를 형성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적외선(FIR) 섬유를 갖는 얀(yarn) 또는 중공 코어 얀으로 형성되는 것인 구역화 단열 의복.
KR1020207012288A 2016-05-27 2017-05-23 구역화 단열 의복 KR102228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42646P 2016-05-27 2016-05-27
US62/342,646 2016-05-27
US15/601,052 US10575569B2 (en) 2016-05-27 2017-05-22 Zoned insulation garment
US15/601,052 2017-05-22
PCT/US2017/033945 WO2017205340A1 (en) 2016-05-27 2017-05-23 Zoned insulation garm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353A Division KR102121454B1 (ko) 2016-05-27 2017-05-23 구역화 단열 의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771A KR20200047771A (ko) 2020-05-07
KR102228251B1 true KR102228251B1 (ko) 2021-03-17

Family

ID=590313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288A KR102228251B1 (ko) 2016-05-27 2017-05-23 구역화 단열 의복
KR1020187034353A KR102121454B1 (ko) 2016-05-27 2017-05-23 구역화 단열 의복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353A KR102121454B1 (ko) 2016-05-27 2017-05-23 구역화 단열 의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575569B2 (ko)
EP (1) EP3462954A1 (ko)
KR (2) KR102228251B1 (ko)
CN (1) CN109195468A (ko)
CA (2) CA3124765A1 (ko)
WO (1) WO2017205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6117B2 (en) * 2005-10-19 2012-12-25 Nike, Inc. Article of apparel with material elements having a reversible structure
US8336118B2 (en) 2007-05-31 2012-12-25 Nike, Inc. Articles of apparel providing enhanced body position feedback
US10973268B2 (en) * 2016-08-25 2021-04-13 Nike, Inc. Garment with zoned insulation and variable air permeability
IT201700107834A1 (it) * 2017-09-27 2019-03-27 Geox Spa Fodera perfezionata per capi d'abbigliamento, calzature o accessori
USD821761S1 (en) 2017-10-20 2018-07-03 Nike, Inc. Garment
USD821063S1 (en) 2017-10-20 2018-06-26 Nike, Inc. Garment
CH714468A1 (de) * 2017-12-19 2019-06-28 X Tech Swiss Gmbh Kleidungsstück mit mindestens einem Klimaregulierungsbereich.
US11564430B2 (en) 2018-05-30 2023-01-31 Nike, Inc. Lightweight, permeable garment formed from monofilament yarns
US11684094B2 (en) * 2018-08-30 2023-06-27 Nike, Inc. Flexible cooling garment system
KR20210071082A (ko) * 2018-11-01 2021-06-15 마모트 마운틴 엘엘씨 의복 및 기타 야외 장비용 보온 셀 패턴
JP6742677B1 (ja) * 2019-05-27 2020-08-19 株式会社ファーストリテイリング 上着
US20210140079A1 (en) * 2019-11-07 2021-05-13 Adidas Ag Knitted garments having colored regions and textured element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20230148683A1 (en) * 2021-11-05 2023-05-18 Andrew Fontelar Dioneda Short or Long Sleeve T-Shirt / Undershirt With Quilted or Other Similar Type Thick Fabric Material Sewn at the Inside Back or the Inside Front and Back of the Gar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257B2 (ja) * 1991-08-06 2000-08-21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車両懸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0810A (en) * 1928-10-12 1933-05-23 Johns Manville Acoustical construction for interiors
US2897508A (en) * 1952-04-11 1959-08-04 Us Rubber Co Cold weather garments
US3404406A (en) * 1966-09-13 1968-10-08 Rubatex Corp Diving suit
US3577305A (en) * 1968-08-22 1971-05-04 Theodore G Hines Thermal and air shock insulating structure
US3771170A (en) * 1972-07-17 1973-11-13 G Leon Inflatable insulating material
US4810559A (en) * 1987-04-09 1989-03-07 Drospo Inc. Fabric with wear and abrasion resistant platelets
US5413837A (en) * 1992-06-30 1995-05-09 Malden Mills Industries, Inc. Three-dimensional knit fabric
US5466515A (en) * 1994-04-04 1995-11-14 Blauer Manufacturing Company, Inc. Weather protective fabric combination, outerwear constructed therefrom
US5626949A (en) * 1994-04-04 1997-05-06 Blauer Manufacturing Company Breathable shell for outerwear
US5514459A (en) * 1994-04-04 1996-05-07 Blauer Manufacturing Company Waterproof breathable lining and outerwear constructed therefrom
US7560399B2 (en) * 1998-08-28 2009-07-14 Mmi-Ipco, Llc Multi-layer composite fabric garment
FR2797154B1 (fr) * 1999-08-06 2001-09-21 Inst Nat Rech Securite Plaque de protection du genou
US6969548B1 (en) * 1999-08-30 2005-11-29 Goldfine Andrew A Impact absorbing composite
US20040192133A1 (en) * 2000-07-06 2004-09-30 Higher Dimension Medical, Inc. Abrasion and heat resistant fabrics
US6962739B1 (en) * 2000-07-06 2005-11-08 Higher Dimension Medical, Inc. Supple penetration resistant fabric and method of making
US7018692B2 (en) * 2000-07-06 2006-03-28 Higher Dimension Medical, Inc. Penetration resistant fabric with multiple layer guard plate assembli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523709B2 (ja) * 2000-09-05 2010-08-11 ジャパンゴアテックス株式会社 発光性複合布帛及び衣類
US20040019950A1 (en) * 2000-11-22 2004-02-05 Rast Rodger H. Abrasion resistant conformal beaded-matrix for use in safety garments
US20030054141A1 (en) * 2001-01-25 2003-03-20 Worley James Brice Coated article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exhibiting improved flexibility, softness, air permeability, or water vapor transport properties
JP3080257U (ja) * 2001-03-14 2001-09-21 由夫 池内 局所保温性ウェア
US6519781B1 (en) * 2001-09-07 2003-02-18 Salomon S.A. Energy absorbing protective device that protects areas of articulation
US20050009429A1 (en) * 2003-07-08 2005-01-13 Higher Dimension Medical, Inc. Flame retardant and cut resistant fabric
US20060068155A1 (en) 2003-08-07 2006-03-30 Moshe Rock Controlled air permeability composite fabric articles having enhanced surface durability
US7013496B2 (en) * 2003-09-05 2006-03-21 Southern Mills, Inc. Patterned thermal liner for protective garments
US7669250B2 (en) * 2004-10-14 2010-03-02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n embossed material
US9332792B2 (en) * 2005-02-17 2016-05-10 Nike, Inc. Articles of apparel utilizing targeted venting or heat retention zones that may be defined based on thermal profiles
US7428772B2 (en) * 2005-05-19 2008-09-30 Mmi-Ipco, Llc Engineered fabric articles
FR2889033B1 (fr) * 2005-07-29 2007-12-28 Salomon Sa Vetement ajuste
US8336117B2 (en) * 2005-10-19 2012-12-25 Nike, Inc. Article of apparel with material elements having a reversible structure
US8187984B2 (en) * 2006-06-09 2012-05-29 Malden Mills Industries, Inc. Temperature responsive smart textile
US20130078415A1 (en) * 2006-06-09 2013-03-28 Mmi-Ipco, Llc Temperature Responsive Smart Textile
JP2008057100A (ja) * 2006-08-29 2008-03-13 Mmi-Ipco Llc 感温性且つ感湿性のスマートテキスタイル
US20080113143A1 (en) * 2006-10-31 2008-05-15 David Stirling Taylor Flexibl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lexible Material
JP4949066B2 (ja) * 2007-02-21 2012-06-06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衣類用防水透湿性布帛
CN101646556A (zh) * 2007-02-23 2010-02-10 攀高维度材料公司 一种在清晰可见基布上设置有护板的防护材料
US20100015373A1 (en) * 2007-03-21 2010-01-21 Chiang-Chuan Lin Inflatable structure
US20100065873A1 (en) * 2007-03-29 2010-03-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an elastomeric layer
JP2010528893A (ja) * 2007-05-18 2010-08-26 ハイアー ディメンション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膨張保護板を備えた難燃性かつ断熱性の可撓材料、及びその製法
WO2008146289A2 (en) * 2007-05-29 2008-12-04 Celine Tezartes-Strauss Garment with built-in protecting pads
US8429764B2 (en) * 2009-01-30 2013-04-30 Joseph Riccelli Composite fabric material and apparel made therefrom
US8453270B2 (en) * 2009-05-07 2013-06-04 Columbia Sportswear North America, Inc. Patterned heat management material
US8510871B2 (en) * 2009-05-07 2013-08-20 Columbia Sportswear North America, Inc. Holographic patterned heat management material
CA2761171C (en) 2009-05-07 2014-09-30 Columbia Sportswear North America, Inc. Patterned heat management material
GB2471283A (en) * 2009-06-23 2010-12-29 Stirling Moulded Composites Ltd Manufacturing a flexible impact-resistant material
US20110083246A1 (en) * 2009-10-14 2011-04-14 Ranil Kirthi Vitarana Garment with Elastomeric Coating
TW201114974A (en) * 2009-10-29 2011-05-01 Formosa Taffeta Co Ltd Unidirectional moisture-conducting quick-drying comfortable cloth
FR2961065B1 (fr) * 2010-06-14 2013-04-26 Salomon Sas Vetement de sport ajuste
TW201216877A (en) * 2011-12-23 2012-05-01 Zhen-Ping Wu Breathable insulation
US8806663B2 (en) * 2012-10-19 2014-08-19 Under Armour, Inc. Fabric having improved diffusion moisture capability and garments made therefrom
WO2014120867A1 (en) * 2013-01-30 2014-08-07 Miller Stephen D Resilient prominence fabric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N107787192B (zh) * 2015-05-22 2020-11-2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预配置压缩区段和一体式结构图案的跑步紧身衣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257B2 (ja) * 1991-08-06 2000-08-21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車両懸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23528C (en) 2021-10-26
US20200146367A1 (en) 2020-05-14
KR20200047771A (ko) 2020-05-07
CA3124765A1 (en) 2017-11-30
CA3023528A1 (en) 2017-11-30
US20170340027A1 (en) 2017-11-30
KR20190002599A (ko) 2019-01-08
KR102121454B1 (ko) 2020-06-10
WO2017205340A1 (en) 2017-11-30
US10575569B2 (en) 2020-03-03
CN109195468A (zh) 2019-01-11
EP3462954A1 (en)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251B1 (ko) 구역화 단열 의복
KR102207589B1 (ko) 단열성 의복
US7080412B2 (en) Insect barrier garment
RU2534531C1 (ru) Ткани, имеющие участки с разными функциональ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US20190365000A1 (en) Garment with adaptive ventilation
US20180055117A1 (en) Garment with zoned insulation and variable air permeability
US20220258450A1 (en) Multi-layer apparel and accessory construction for cooling and ventilation
ITPV20090010A1 (it) Tessuto traspirante antizanzara
JP6596104B2 (ja) 運動用被服
JP5603450B2 (ja) 衣服
US20170172238A1 (en) Absorbent garment underarm inlays and garment comprising same
JP2013040416A (ja) シャツ
JP2016030875A (ja) 衣服
JP5478405B2 (ja) メッシュ生地およびメッシュ衣服
JP2017145542A (ja) 断熱、保温、放熱、通気、換気機能のある衣服用素材及びそれを用いた衣服
US20210015190A1 (en) Garment having at least one breathable region
JP3175379U (ja) 衣服
JP6376674B2 (ja) 衣服
JP6470920B2 (ja) 遮光性ウエア
JP3099460U (ja) ネックウォーマー
TW200846175A (en) Fabric structure and clothes with thereof
JP2014177739A (ja) 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