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082A - 의복 및 기타 야외 장비용 보온 셀 패턴 - Google Patents

의복 및 기타 야외 장비용 보온 셀 패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082A
KR20210071082A KR1020217016275A KR20217016275A KR20210071082A KR 20210071082 A KR20210071082 A KR 20210071082A KR 1020217016275 A KR1020217016275 A KR 1020217016275A KR 20217016275 A KR20217016275 A KR 20217016275A KR 20210071082 A KR20210071082 A KR 20210071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ells
cell pattern
shap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브리 본
브라이언 러브리스
Original Assignee
마모트 마운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모트 마운틴 엘엘씨 filed Critical 마모트 마운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071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의복 또는 기타 야외 장비의 내부 부분에 구비되어 의복 또는 장비의 보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보온 셀 패턴이 제공된다. 보온 셀은 다양한 형상, 크기 및 패턴을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입방체 형상이며 "런닝본드" 또는 오프셋된 벽돌 모양 패턴으로 배열되어 인접한 셀들 사이에 수직 및 수평 채널이 형성된다. 의복을 착용하거나 장비를 사용할 때 채널과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공기가 채워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는 강력한 단열재이기 때문에, 공기가 채워진 포켓은 열을 유지하여 보온 셀 패턴을 포함하는 재킷이나 의복의 보온 특성이 개선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의복 및 기타 야외 장비용 보온 셀 패턴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8년 11월 1일자로 출원되고 현재 계류중인 "WARMING CELL PATTERN FOR GARMENTS AND OTHER OUTDOOR EQUIPMENT"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가출원 62/754,506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명세서 및 도면을 포함하여 상기 언급된 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의복 및/또는 기타 야외 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복 및/또는 기타 야외 장비의 열 유지 및 보온 특성을 개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보온 셀의 패턴에 관한 것이다.
다운 단열재와 합성 단열재는 둘 다 코트, 바지, 장갑, 이불, 침낭 등의 단열재로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단열재는 의복 및/또는 침낭의 보온성, 무게, 방수성, 압축성, 및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운 단열재는 오리와 거위와 같은 물새의 외부 깃털 아래에서 발견되는 솜털로 이루어진다. 다운 단열재는 깃털이 아니라 부드럽고 푹신하고 가느다란 필라멘트로 구성되지만 일부 제품은 다운과 깃털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다운은 공기를 가두어 단열을 하며, 가볍고, 압축하기 쉽고, 오래 지속되며, 통기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다.
합성 단열재는 전반적인 성능이 강하고 다운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인기가 있다. 합성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로 만들어지고 속건성이며 젖어 있어도 단열이 된다. 또한 합성 단열재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저자극성이다.
일부 제조업체는 다운 및 합성 단열재가 조합된 의복 및/또는 침낭을 제조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구조는 각 재료의 단점을 제한하면서 두 재료의 이점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의복 및/또는 침낭에서, 다운 및/또는 합성 단열재는 다운 재료가 있는 여러 "포켓"이 서로 분리되되 서로 인접하도록 재봉되는 격자형 방식으로 종종 누비질된다. 대안적으로, "퍼퍼(puffer) 스타일"로 만들어진 의복 및/또는 침낭에서는 누비질된 세장형 섹션 또는 배플이 서로 인접하도록 재봉된다. 이 디자인은 종종 의복 및/또는 야외 장비의 내부 및 외부 모두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재킷이나 침낭의 내부와 외부 모두 "퍼퍼 스타일"일 수 있다.
이러한 누비 패턴이 있는 의복이나 침낭의 경우, 의복을 입거나 침낭에서 잤을 때 누비 섹션들 중 일부가 압축될 수 있다. 특정 섹션들이 압축되면 그 섹션들이 정사각형, 다이아몬드 또는 기타 형상으로 만들어지든 또는 세장형 섹션으로 제공되든, 임의의 특정 섹션과 관련된 단열재도 압축된다. 단열재의 압축된 섹션은 의복이나 침낭을 착용하거나 사용하는 사람과의 사이의 층을 더 얇게 만들어 단열의 질이 떨어지게 한다. 따라서 압축으로 인한 의복의 얇은 섹션은 다른 섹션보다 차갑게 되어 의복 또는 침낭의 전반적인 성능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성능 저하는 다운 섹션이 의복 또는 침낭의 내부 및 외부 각각에 노출됨으로써 더욱 악화된다. 다운 섹션이 압축되면 해당 섹션은 착용자와 차가운 공기 사이에 얇은 재료 장벽만을 두게 된다. 다운으로 단열된 의복 또는 기타 야외 장비의 착용자 또는 사용자를 따뜻하게 유지하지만 의복 또는 침낭의 내부 및 외부에 있는 다운 섹션의 압축으로 인한 성능 저하에 덜 민감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의복 및 기타 야외 장비의 보온성을 증대하도록 설계된 종래기술의 시스템을 개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재킷, 침낭 등의 내부 부분을 보온하고 단열시키기 위해 일 패턴으로 배열된 다수의 보온 셀을 사용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 보온 셀은 4개의 동일한 면을 갖는 3차원 입방체로 형성된다. 입방체형 보온 셀은 바람직하게는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공기 채널이 각 셀의 주변 전체에 형성되도록 한다. 보온 셀은 약 ¼ 인치에서 3 인치까지의 높이 범위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단일 제품 내에서 동일한 높이일 수 있다. 각각의 보온 셀은 바람직하게는 거위털 또는 오리털, 깃털 없는 재료, 합성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채워져 있다.
착용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압력이 가해질 때, 입방체형 보온 셀은 바람직하게는 종래기술의 긴 배플보다 열 손실이 적다. 그들은 개별 보온 셀이 더 작은 셀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운을 제 위치에 더 잘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나의 셀이 압축되더라도 주위의 다른 셀들도 반드시 압축되는 것은 아니다.
입방체형 보온 셀은 바람직하게는 "런닝본드(running bond)" 벽돌 모양 패턴으로 배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온 셀은 특정 행의 끝에서 끝까지 배치되며, 동일한 행 내의 서로 옆에 있는 보온 셀들의 측면 사이에 수직 채널이 형성된다. 임의의 특정 행에서 수직 채널은 그 특정 행의 위 또는 아래 행에 있는 보온 셀의 중간과 맞춰진다.
이러한 "런닝본드" 패턴은 벽돌 및 타일 시공 업계를 포함하는 다른 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고 이해되는 패턴이며, 특정 셀의 위와 아래에 배치되고 위치하는 인접한 셀들 사이에 오프셋된 배열을 생성한다. 서로 인접한 행에 있는 입방체형 보온 셀들의 측면 사이에는 수평 채널이 또한 형성된다. 채널은 다양한 폭을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그 폭은 3/8 내지 ¼ 인치이다.
수직 채널과 수평 채널은 둘 다 보온 셀 패턴의 보온 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착용자 또는 사용자의 신체가 채널을 덮을 때, 채널과 사람의 신체에 의해 공기가 채워진 공간 또는 포켓이 형성된다. 에어 포켓은 체열을 그 안에 가두어 담아서 의복이나 야외 장비의 보온성을 증가시킨다. 공기는 열 유지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에어 포켓은 보온 셀을 포함하는 내부의 난방 성능을 향상시킨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직사각형, 삼각형, 다이아몬드, 육각형 (및 기타 다각형) 등과 같은 다른 셀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이한 형상의 보온 셀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고, 보온 셀은 다양한 두께를 갖는 것을 포함하여 다른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임의의 주어진 실시형태에서, 형상 및 패턴은 의복을 착용하거나 장비를 사용할 때 에어 포켓을 형성하는 채널을 생성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구성된 내부 보온 셀 패턴을 포함하는 재킷의 상부평면도;
도 2는 도 1의 내부 보온 셀 패턴의 제1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내부 보온 셀 패턴의 제2 사시도;
도 4는 의복 및 기타 야외 장비를 위한 제1 대안적 보온 셀 패턴의 상부평면도;
도 5는 의복 및 기타 야외 장비를 위한 제2 대안적 보온 셀 패턴의 상부평면도;
도 6A는 보온 셀 패턴의 추가 실시형태를 갖는 의복의 제1 패널의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보온 셀 패턴을 갖는 의복의 제2 패널의 평면도;
도 6C는 도 6A 및 도 6B의 보온 셀 패턴을 갖는 의복의 제3 패널의 평면도;
도 7A는 도 6A의 7A-7A선을 따른 단면도;
도 7B는 도 6B의 7B-7B선을 따른 단면도;
도 7C는 도 6C의 7C-7C선을 따른 단면도; 및
도 8은 사용자가 조립하고 착용한 도 6A 내지 도6c 및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의복의 사시도.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수정 및 대안적인 형태가 가능하지만, 본 개시내용의 전부가 아닌 일부 특정 실시형태가 도면에 예로서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내용을 개시된 임의의 특정 실시형태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반대로, 그 의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수정, 등가물 및 대안을 포함하려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며,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분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도면에서 요소들의 비례 관계를 반드시 유지하지는 않았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내부 부분(5) 및 외부 부분(10)을 갖는 재킷(1)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킷(1)의 외부 부분(10)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누비질된 세장형 다운 또는 합성 섹션(15)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특정 재킷(1)의 경우, 다운 섹션(15)이 주된 단열재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외부 부분(10)은 바람직하게는 "쉘 층"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재킷(1)의 내부 부분(5)은 바람직하게는 재킷(1)의 내부 부분(5)의 난방 특성을 증가시키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된 복수의 보온 셀(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온 셀(20)이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재킷(1)의 내부 부분(5) 상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보온 셀(20)은 바지, 장갑, 모자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의복의 내부뿐만 아니라 침낭, 캠핑 베개, 이불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야외 장비의 내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내부 부분(5) 및 외부 부분(10)이 각각 또는 그 중 하나만이 보온 셀(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온 셀(20)과 재킷(1)의 내부 부분(5)의 복수의 보온 셀(20)에 의해 형성된 패턴의 제1 실시형태가 더 상세히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대부분의 보온 셀(20)은 3차원 입방체로 형성되며, 이는 각 보온 셀(20)을 구성하는 측면(25)의 길이가 동일함을 의미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보온 셀(20)은 길이가 대략 4 인치로 측정되는 측면(25)을 갖지만,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측면(25)은 보온 셀(20)의 패턴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무한한 수의 상이한 길이일 수 있다.
개별 보온 셀(20)의 높이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셀(20)은 약 ¼ 인치 내지 3 인치의 높이에 있을 수 있으며, 단일 제품 내에서 동일한 높이일 수 있다. 각각의 보온 셀(20)은 바람직하게는 거위털 또는 오리털, 깃털 없는 재료, 합성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채워져 있다. 보온 셀(20)은 바람직하게는 다운 방지 및 섬유 방지 재료로 구성되며, 이는 다운 또는 합성 섬유가 직물을 통해 누출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긴 다운 배플과 달리, 보온 셀(20)은 개별 셀(20)이 서로 가까이 있는 더 작은 셀로 형성되기 때문에 압력이 가해질 때 다운을 제자리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하나의 보온 셀(20)이 압축되더라도, 압축된 배플에 의해 생성되는 극적인 온도 강하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외부 부분(10)에 제공되는 것과 같은 합성 재료(또는 다운, 또는 유사한 외부 층)로 만들어진 외부 쉘 또는 층이 보온 셀(20)의 패턴을 포함하는 내부 부분(5)과 같은 내부 다운 쉘/층과 조합될 때 열 효과가 생성된다. 이 두 층 사이에는 따뜻한 공기로 채워져 더 따뜻한 온도를 유지하는 막힌 에어 챔버가 형성된다.
그러나 외부 합성 층 없이 보온 셀(20)만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외부 합성 층과 다운의 쉘/내부 층 사이에 형성된 에어 챔버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적인 보온 효과는 없을 수 있다. 추가적인 난방 특성은 인접한 보온 셀들(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존재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특성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보온 셀(20)은 "런닝본드" 벽돌 모양 패턴으로 배열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온 셀(20)은 특정 행의 끝에서 끝까지 배치되며, 동일한 행 내의 인접한 보온 셀들(20)의 측면(25) 사이에 수직 채널(30)이 형성된다. 수직 채널(30)의 목적 및 이들이 제공하는 이점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주어진 행에 대해, 수직 채널(30)은 주어진 행의 위 또는 아래 행에 있는 보온 셀(20)의 중간과 맞춰진다. 예를 들어, 행(35)에서, 보온 셀(20a)의 측면(25a) 옆에 형성된 수직 채널(30a)은 행(35) 위의 행(45)의 보온 셀(20b)의 중간(40)과 맞춰진다(도 2 참조). 수직 채널(30)은 위 또는 아래 보온 셀의 임의의 부분과 맞춰질 수 있음이 인식되고 예상된다.
행(35, 45)과 같은 인접 행들 사이에는 보온 셀들(20)의 측면(25) 사이에 수평 채널(50)이 형성된다. 수직 채널(30)과 달리, 수평 채널(50)은 인접 행들 사이에 하나의 연속 채널을 형성하도록 서로 맞닿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채널(30, 50)은 폭이 ¼ 내지 3/8 인치이지만,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채널(30, 50)은 더 넓거나 심지어 다소 더 좁을 수도 있고, 또는 폭이 가변적일 수 있다. 더욱이, 셀들(20)이 "런닝본드" 패턴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보온 셀(20)은 완전히 다른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내부 부분(5), 보다 구체적으로 보온 셀(20)이 착용자 또는 사용자와 접할 경우(예를 들어 재킷(1)을 착용한 경우), 착용자의 신체는 채널(30, 50)을 덮어서 채널(30, 50)과 착용자의 신체가 공기가 채워진 공간 또는 포켓(미도시됨)을 셀들(20) 사이에 형성하도록 한다. 이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그 안에 체열을 가두어 담아서 의복이나 야외 장비(이 경우에는 재킷(1))의 보온성을 증가시킨다. 공기가 다운 자체보다 더 나은 단열재이기 때문에, 채널(30, 50)에 의해 형성된 에어 포켓은 내부 부분(5)에 있는 보온 셀 패턴의 보온 특성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수평 채널(50)을 빠져나가는 공기가 수직 채널(30)보다 내부 부분(5)에 유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평 채널(50)은, 공기가 재킷(1)과 같은 재킷에 제공되는 목 또는 허리 개구부로부터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은 수직 채널(30)보다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제한적인 대안적 실시형태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패턴은 90도 회전(미도시됨)되어 수직 채널이 수평 채널이 아닌 연속 채널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직사각형, 삼각형, 다이아몬드 등과 같은 다른 셀 형상을 사용하여 보온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킷(1)의 상부(55)에는, 직사각형 보온 셀(60)이 입방체형 보온 셀(20)의 행 위쪽에 제공된다. 이러한 직사각형 보온 셀(60)은 입방체형 보온 셀(20)의 최상위 행 위쪽에 전술한 "런닝본드" 벽돌 모양 패턴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이한 형상의 보온 셀들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한 가지 형상의 보온 셀만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자켓(1)의 내부 부분(5)과 같은 의복 또는 야외 장비의 내부 부분에 사용될 수 있는 두 개의 대안적인 보온 셀 형상 패턴이 제공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각각 3개의 변(75)을 포함하는 복수의 3차원 삼각형 형상의 보온 셀(70)로 구성된 보온 셀 패턴(65)의 일부분이 제공된다. 보온 셀 패턴(65)의 일부분에는 보온 셀(70)의 3개 행(80a, 80b, 80c)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행(80a, 80b, 80c)은 삼각형의 꼭지점이 위쪽을 향하는 보온 셀(70a)과 삼각형의 꼭지점이 아래쪽을 향하는 보온 셀(70b) 각각을 포함한다.
전술한 보온 셀(20)의 패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의복 또는 기타 야외 장비를 착용하거나 사용할 때 공기가 채워진 공간 또는 포켓을 형성하는 채널은 인접한 셀들(70) 사이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진 채널(85)은 동일한 행의 인접한 삼각형 형상의 보온 셀들(70) 사이에 형성되고, 수평 채널(90)은 한 행의 삼각형 형상의 보온 셀(70)과 주어진 행의 위 또는 아래에 있는 행의 삼각형 형상의 보온 셀(70) 사이에 형성된다. 채널(8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행(80a, 80b, 80c)의 채널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다.
보온 셀(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온 셀(70)이 착용자 또는 사용자와 접할 경우(예를 들어 재킷(1)을 착용한 경우) 착용자의 신체는 채널(85, 90)을 덮어서 공기가 채워진 공간 또는 포켓(미도시됨)을 셀들(70) 사이에 형성한다. 이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체열을 가두어 담아서 재킷(1)과 같은 의복 또는 야외 장비의 보온성을 증가시킨다.
재킷(1)의 내부 부분(5)과 같은 의복 또는 야외 장비의 내부 부분에 사용될 수 있는 보온 셀 패턴(95)의 또 다른 일부분이 도 5에 제공된다. 보온 셀 패턴(95)은 6개의 변(105)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육각형 형상 보온 셀(100)로 구성된다. 보온 셀(100)은 바람직하게는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패턴(95) 내에서 이격되어 인접한 열(115)에 대해 오프셋된 셀(100)의 열(110)을 배치한다. 이러한 열의 배열은 패턴(95)의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어느 방향으로든 연속적으로 교대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6개의 상이한 방향으로 이어지는 다수의 채널(120)이 인접 셀들(100)의 인접한 측면(105) 주위 및 사이에 형성된다. 보온 셀(20, 70)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보온 셀(100)이 착용자 또는 사용자와 접할 경우(예를 들어 재킷(1)을 착용한 경우), 채널(120)은 착용자에 의해 차단되어 공기가 채워진 공간 또는 포켓(미도시됨)을 셀들(100) 사이에 형성한다. 이 공간은 보온 셀의 전술한 패턴과 관련된 공간과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체열을 가두어 담아서 착용 또는 사용 중인 의복 또는 야외 장비의 보온성을 증가시킨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서로 부착될 경우 단독으로 착용하거나 재킷이나 코트와 같은 의복에 통합될 수 있는 조끼 모양 의복을 형성할 수 있는 3개의 의복 패널(125A, 125B 및 125C)을 도시한다. 도 6A,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130A, 130B, 130C)은 패널(125A, 125B, 125C)이 조립될 때 착용자의 중앙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열(130A, 130B, 130C)을 각각 구성하는 셀(135A, 135B, 135C)은 거의 직사각형 형상이다. 패널(125A, 125B, 125C)의 상부(140A, 140B, 140C)에서 하부(145A, 145B, 145C)를 향하여 각각 패널(135A)의 면적이 다소 작아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셀(135A, 135B, 135C)은 상부(140A, 140B, 140C)에서 하부(145A, 145B, 145C)를 향하여 크기가 동일하거나 심지어 크기가 증가할 수도 있다.
제2 열(150A, 150B, 150C) 및 제3 열(155A, 155B, 155C)이 또한 각 패널(125A, 125B, 125C) 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열(150A, 150B, 150C 및 155A, 155B, 155C)을 각각 구성하는 셀(160A, 160B, 160C 및 165A, 165B, 165C) 각각은 실질적으로 사변형일 수 있다. 셀(160A, 160B, 160C)은 또한 상부(140A, 140B, 140C)에서 하부(145A, 145B, 145C)를 향하여 크기가 감소한다. 셀(165A, 165B, 165C) 역시 사변형일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25A, 125B, 125C)을 구성하는 다른 셀에 비해 세장형이다.
패널(125A, 125B, 125C)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수평 채널(170A, 170B, 170C) 및 수직 채널(175A, 175B 및 175C)을 각각 포함한다. 패널(125A, 125B, 125C)을 구성하는 채널(170 및 175)은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공된 것보다 덜 선형적일 수 있다. 이는 패널(125A, 125B, 125C)을 구성하는 셀이 도 6A,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대칭 사변형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널(170A, 170B, 175C)은 전술한 채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패널(6A 및 6C)은 실질적으로 서로의 거울상이고, 패널(6B)은 그 수직축에 대해 대칭이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다를 수 있으며, 패널(6A 및 6C)은 서로에 대해 보다 상당히 상이할 수 있다.
이제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패널(125A, 125B, 125C)로부터의 보온 셀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셀과 달리, 패널(125)을 구성하는 셀(135, 160, 165)은 두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제시된 바와 같이, 셀(135A)은 셀(160A)보다 두껍고, 이것은 다시 셀(165A)보다 두껍다. 도 7B에서, 셀(135B)은 셀(160B)보다 두껍고, 이것은 셀(165B)보다 두껍다. 도 7C에서, 셀(135C)은 셀(160C)보다 두껍고, 이것은 거울상 형태이긴 하지만 도 7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셀(165C)보다 두껍다. 셀(135, 160, 165)의 다양한 형상과 두께는 신체에 보다 쉽게 일치하도록 생리학적으로 매핑될 수 있다.
도 8은 착용자(185)가 착용한 의복(180)을 도시한다. 의복(180)은 조끼로 구현되어 있지만, 의복(180)을 조립된 구조에 통합한 재킷 또는 코트와 같은 더 큰 의복의 그저 일부분일 수도 있다. 의복(180)에서, 복수의 보온 셀(190)은 (대안적인 기하학적 형상이 예측 및 구상 가능하지만) 4개의 변을 갖는 사변형으로 제공된다. 일부 셀(190), 예를 들어 셀(190A)에서, 상부 가장자리(19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의복(180)의 적어도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장자리(195)와 같은 가장자리의 더 많은 수가 만곡될 수 있거나, 가장자리(195)와 같은 가장자리의 더 적은 수가 만곡될 수 있다.
의복(180)에는 다양한 수평 채널(200) 및 수직 채널(205)이 제공된다. 채널(200, 205)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채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채널과 달리, 채널(200, 205)은 그 길이에 걸쳐 변화하는 폭을 갖는다. 이러한 변화는 위쪽으로 또는 좌우로 공기의 흐름을 촉진하여 의복(180)의 열 유지 특성을 증가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보온 셀은 다양한 방법으로 의복 또는 기타 야외 장비의 직물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온 셀은 의복 또는 기타 야외 장비에 부착되기 전에 천 조각에 부착되거나 의복 또는 기타 야외 장비에 직접 재봉될 수 있다. 셀의 하부는 뒤집힌 가장자리에서 가장자리 스티치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의복 또는 기타 야외 장비에 부착될 수 있다. 셀의 모서리도 바람직하게는 다트 처리된다. 상기에도 불구하고, 보온 셀을 의복 또는 기타 야외 장비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예측 가능한 재봉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고려된다.
위의 설명은 보온 셀을 입방체, 삼각형 또는 육각형 형상으로 구별한다. 그러나 임의의 특정 패턴의 셀은 다이아몬드, 직사각형, 팔각형(및 기타 다각형), 별, 원, 평행사변형 등과 형상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 여러 단면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의복 또는 기타 야외 장비를 착용하거나 사용할 때 채널이 덮일 수 있도록 사용되는 임의의 형상의 셀들 사이 또는 주위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공기가 채워진 공간 또는 포켓은 채널에 의해 형성되고 사용자의 신체는 이러한 채널에 공기를 가두고 보온시켜 착용중인 의복이나 사용중인 장비의 보온성을 증가시킨다.
설명은 일반적으로 보온 셀이 재킷 또는 의복의 "코어"에 있을 수 있음을 전제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보온 셀이 재킷이나 의복의 후드, 소매 또는 의복의 다른 어느 곳에도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온 셀은 침낭, 담요 등과 같은 장비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자명하고 본 구조에 내재된 또 다른 장점들과 함께 상기 설명된 모든 목적 및 장점들을 달성하기에 매우 적합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특정 특징 및 하위 조합은 유용하며 다른 특징 및 하위 조합을 참조하지 않고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많은 가능한 실시형태들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거나 첨부도면에 도시된 모든 개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제한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점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위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다양한 구성은 단지 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개념, 원리 및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본 명세서에 예시된 실시형태의 특정 세부사항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따라서 다른 수정 및 응용, 또는 그 등가물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용어 "갖는"과 "포함하는" 그리고 전술한 명세서에서 사용된 유사한 용어는 "필수적인"이 아니라 "선택적인" 또는 "포함할 수 있다"의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그러나, 본 구성의 많은 변경, 수정, 변형 및 기타 사용 및 응용은 명세서 및 첨부도면을 고려한 후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이러한 모든 변경, 수정, 변형 및 기타 사용 및 응용은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0)

  1. 의복 또는 기타 야외 장비를 위한 셀 패턴으로서,
    의복 또는 기타 야외 장비의 일부분;
    상기 일부분에 구비된 셀 패턴으로서, 상기 일부분의 전역에 걸쳐 이격된 관계로 위치되어 각 셀의 주변 전체에 공기 채널을 형성하는 복수의 개별 셀을 포함하며, 각 셀은 3차원 형상이고 단열재로 채워진 셀 패턴을 포함하는, 셀 패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셀은 특정 셀의 위아래에 위치하는 인접 셀들로부터 오프셋되는, 셀 패턴.
  3. 제1항에 있어서, 각 셀은 높이가 약 ¼ 인치 내지 약 3 인치인, 셀 패턴.
  4. 제1항에 있어서, 각 셀 주변의 상기 공기 채널은 폭이 약 ¼ 인치 내지 약 3/8 인치인, 셀 패턴.
  5. 제1항에 있어서, 각 셀의 단면 형상은 정사각형 형상인, 셀 패턴.
  6. 제1항에 있어서, 각 셀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인, 셀 패턴.
  7. 제1항에 있어서, 각 셀의 단면 형상은 다이아몬드 형상인, 셀 패턴.
  8. 제1항에 있어서, 각 셀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형상인, 셀 패턴.
  9. 제1항에 있어서, 각 셀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인, 셀 패턴.
  10. 제1항에 있어서, 각 셀의 단면 형상은 원형 형상인, 셀 패턴.
  11. 의복 또는 기타 야외 장비에 사용하기 위한 셀 패턴으로서,
    서로 이격된 관계로 위치되어 인접한 셀들 사이에 수평 공기 채널 및 수직 공기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며, 각각 3차원 형상이고 단열재로 채워진 복수의 개별 셀을 포함하는, 셀 패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셀은 특정 셀의 위아래에 위치하는 인접 셀들로부터 오프셋되는, 셀 패턴.
  13. 제11항에 있어서, 각 셀은 높이가 약 ¼ 인치 내지 약 3 인치인, 셀 패턴.
  14. 제11항에 있어서, 각 셀 주변의 상기 공기 채널은 폭이 약 ¼ 인치 내지 약 3/8 인치인, 셀 패턴.
  15. 제11항에 있어서, 각 셀의 단면 형상은 정사각형 형상인, 셀 패턴.
  16. 제11항에 있어서, 각 셀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인, 셀 패턴.
  17. 제11항에 있어서, 각 셀의 단면 형상은 다이아몬드 형상인, 셀 패턴.
  18. 제11항에 있어서, 각 셀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형상인, 셀 패턴.
  19. 제11항에 있어서, 각 셀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인, 셀 패턴.
  20. 제19항에 있어서, 각 셀의 단면 형상은 원형 형상인, 셀 패턴.
KR1020217016275A 2018-11-01 2019-11-01 의복 및 기타 야외 장비용 보온 셀 패턴 KR202100710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54506P 2018-11-01 2018-11-01
US62/754,506 2018-11-01
PCT/US2019/059335 WO2020092873A1 (en) 2018-11-01 2019-11-01 Warming cell pattern for garments and other outdoor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082A true KR20210071082A (ko) 2021-06-15

Family

ID=7046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275A KR20210071082A (ko) 2018-11-01 2019-11-01 의복 및 기타 야외 장비용 보온 셀 패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92980A1 (ko)
EP (1) EP3873284A4 (ko)
JP (1) JP2022506307A (ko)
KR (1) KR20210071082A (ko)
CN (1) CN215649448U (ko)
CA (1) CA3118443A1 (ko)
WO (1) WO2020092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2677B1 (ja) * 2019-05-27 2020-08-19 株式会社ファーストリテイリング 上着
USD1009455S1 (en) * 2020-01-02 2024-01-02 Marmot Mountain, Llc Cube pattern
US11723424B2 (en) * 2021-04-27 2023-08-15 Acushnet Company Insulated paneling for active sports
WO2022251870A1 (en) * 2021-05-28 2022-12-01 Marmot Mountain, Llc Temperature regulating insulative system
JP2023000360A (ja) * 2021-06-17 2023-01-04 デサントジャパン株式会社 衣料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45046A (en) * 1918-04-17 1920-06-29 Featheredge Rubber Company Heat-insulating fabric
US3285768A (en) * 1962-07-18 1966-11-15 Deering Milliken Res Corp Fabric coated with surface deformed foam
US3404406A (en) * 1966-09-13 1968-10-08 Rubatex Corp Diving suit
JPS4914082Y1 (ko) * 1968-08-08 1974-04-08
US3577305A (en) * 1968-08-22 1971-05-04 Theodore G Hines Thermal and air shock insulating structure
US3771170A (en) * 1972-07-17 1973-11-13 G Leon Inflatable insulating material
US4136222A (en) * 1977-04-18 1979-01-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ermally insulating sheet material
GB8327334D0 (en) * 1983-10-12 1983-11-16 Bertram J K Insulated fabric articles
US5150476A (en) * 1991-03-22 1992-09-29 Southern Mills, Inc. Insulating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5626949A (en) * 1994-04-04 1997-05-06 Blauer Manufacturing Company Breathable shell for outerwear
US5692245A (en) * 1996-12-19 1997-12-02 Reuben; Ronnie Thin down-fill inner lining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093468A (en) * 1997-03-14 2000-07-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lightweight protective pad with energy absorbing inserts
US20040132367A1 (en) * 1999-07-02 2004-07-08 Moshe Rock Multi-layer garment system
US6969548B1 (en) * 1999-08-30 2005-11-29 Goldfine Andrew A Impact absorbing composite
TWI261640B (en) * 2001-01-25 2006-09-11 Outlast Technologies Inc Coated articles having enhanced reversible thermal properties and exhibiting improved flexibility, softness, air permeability, or water vapor transport properties
US7013496B2 (en) * 2003-09-05 2006-03-21 Southern Mills, Inc. Patterned thermal liner for protective garments
US7226879B2 (en) * 2003-12-30 2007-06-05 Owens-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Multidensity liner/insulator formed from multidimensional pieces of polymer fiber blanket insulation
DE102004016855A1 (de) * 2004-04-06 2005-11-03 Volk, Benedikt Selbstwärmende bzw. Selbstkühlende Kleidung
US7669250B2 (en) * 2004-10-14 2010-03-02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n embossed material
US20070245448A1 (en) * 2005-03-04 2007-10-25 Northern Outfitters, Llc Quilted cold-weather garment with a substantially uncompressed interior foam layer
FR2889033B1 (fr) * 2005-07-29 2007-12-28 Salomon Sa Vetement ajuste
US8336117B2 (en) * 2005-10-19 2012-12-25 Nike, Inc. Article of apparel with material elements having a reversible structure
US20130078415A1 (en) * 2006-06-09 2013-03-28 Mmi-Ipco, Llc Temperature Responsive Smart Textile
US8453270B2 (en) * 2009-05-07 2013-06-04 Columbia Sportswear North America, Inc. Patterned heat management material
GB2471283A (en) * 2009-06-23 2010-12-29 Stirling Moulded Composites Ltd Manufacturing a flexible impact-resistant material
TW201114974A (en) * 2009-10-29 2011-05-01 Formosa Taffeta Co Ltd Unidirectional moisture-conducting quick-drying comfortable cloth
US20130196109A1 (en) * 2009-11-24 2013-08-01 Mmi-Ipco, Llc Insulated Composite Fabric
WO2011090845A1 (en) * 2010-01-19 2011-07-28 Mmi-Ipco, Llc Composite textile fabrics
US10875274B2 (en) * 2011-11-29 2020-12-29 Columbia Sportswear North America, Inc. Cooling material
US9668530B2 (en) * 2013-01-30 2017-06-06 Stephen D. Miller Resilient prominence fabric and articles made therefrom
DE102014200824A1 (de) * 2014-01-17 2015-07-23 Adidas Ag Wärmeisolationsstruktur für ein Bekleidungsstück
US10492550B2 (en) * 2014-01-28 2019-12-03 Under Armour, Inc. Article of apparel including thermoregulatory textile
WO2016201363A1 (en) * 2015-06-12 2016-12-15 Graftech International Holdings Inc. Graphite composites and thermal management systems
JP3199520U (ja) * 2015-06-17 2015-08-27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複合成形体
US10575569B2 (en) 2016-05-27 2020-03-03 Nike, Inc. Zoned insulation garment
US11019865B2 (en) * 2016-10-06 2021-06-01 Nike, Inc. Insulated garment
KR101912011B1 (ko) * 2016-10-24 2018-12-19 조연수 단열재 원단, 그 제조방법 및 제조에 적합한 장치
ES2830952T3 (es) * 2017-07-28 2021-06-07 Puma SE Prenda de vestir, especialmente prenda de vestir deportiva
US11725310B2 (en) * 2017-09-13 2023-08-15 Mmi-Ipco, Llc Insulating double-knit fabric
CN111225999B (zh) * 2017-10-16 2022-03-29 哥伦比亚运动休闲北美公司 传导受限的热反射材料
TWI813902B (zh) * 2019-09-13 2023-09-01 美商北面服飾公司 三維隔熱擋板及其製作方法
CA3166982A1 (en) * 2020-02-21 2021-08-26 Cenesy Ab Shock-absorbing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649448U (zh) 2022-01-28
US20210392980A1 (en) 2021-12-23
EP3873284A4 (en) 2022-07-13
CA3118443A1 (en) 2020-05-07
JP2022506307A (ja) 2022-01-17
EP3873284A1 (en) 2021-09-08
WO2020092873A1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1082A (ko) 의복 및 기타 야외 장비용 보온 셀 패턴
US10779587B2 (en) Heat insulation structure
ES2245746T3 (es) Cobertor.
US6185744B1 (en) Thermal vest
EP2731465B1 (en) Multi-layered constructions with shaped baffles
US5150476A (en) Insulating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1396760B1 (ko) 웨트수트
US20130177731A1 (en)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and products made therefrom
US20070136946A1 (en) Multipurpose sleeping bag
JP2018504169A (ja) 複数の空隙率のポートを有する枕
JP5879139B2 (ja) 防寒衣服
US5511245A (en) Cold weather clothing including coextensive fibrous insulation layer within shell and foam inserts in stress areas
US20050076419A1 (en) Warming scarf
WO2017142041A1 (ja) 保温材充填用袋体を有する構造体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寝具および被服
US8321974B2 (en) Insulating construction having a multi-layer synthetic code
CN110325064A (zh) 带有内部可更换绝热板的保暖制品
US109665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hawl blanket with feet pockets foldable into a pillow
JP2761627B2 (ja) 羽毛布団
JP2011069004A (ja) 多機能防寒具
JP7027377B2 (ja) 羽毛布団
ES1298860U (es) Prenda para abrigar el cuello
JP3155864U (ja) 多機能防寒具
JP7430951B1 (ja) 上掛け用寝具
JP3180639U (ja) 首部又は頭部装着具
JP2022018041A (ja) 首元保冷・保温スカー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