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171B1 - 소독제 혼합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독제 혼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171B1
KR102228171B1 KR1020200095491A KR20200095491A KR102228171B1 KR 102228171 B1 KR102228171 B1 KR 102228171B1 KR 1020200095491 A KR1020200095491 A KR 1020200095491A KR 20200095491 A KR20200095491 A KR 20200095491A KR 102228171 B1 KR102228171 B1 KR 10222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composition
disinfectant
cy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자
황목찬
Original Assignee
(주)디마인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마인화장품 filed Critical (주)디마인화장품
Priority to KR1020200095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력, 탈취력뿐만 아니라, 살균 지속성 및 장기 보관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 무자극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독제 혼합 조성물{Sanitizer mix composition}
본 발명은 살균력뿐만 아니라 탈취력이 우수하면서 장기 보관 안정성이 우수한 소독제 혼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구 환경 오염으로 기인하여 전세계의 기후 변화에 따른 변종바이러스의 창궐이 세계를 흔들어 놓고 있다. 여기에는 사람을 중심으로 이와 함께 생활하는 동물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온도와 습도에 따른 변종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전 인류가 몸살을 앓고 있다.
사람들이 서로 교류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각종 세균 감염자나 보균자로부터 많은 감염성 질환이 주변으로 쉽게 확산된다. 감염은 병원 미생물이 숙주 내에 침입, 증식하고 숙주에 파괴적 효과를 주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감염의 근원이 되는 환자, 보균자, 감염동물, 매개동물 및 병원체를 포함한 배설물 및 그것들에 의하여 감염된 것들을 감염원이라고 하고, 이러한 염원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생체에 병원체가 침입하는 경로를 감염경로라고 한다.
감염경로에는 공기감염, 경구감염 및 경피감염 등이 있는데, 공기감염은 공기 중에 떠돌아다니는 병원체가 직접 피부나 호흡기관의 점막에 부착하여 일어나는 감염을 말하고, 경구감염은 병원체가 입을 통해 소화기로 침입하여 일어나는 감염을 말하며, 경피감염은 병원체가 피부를 통하여 몸 속으로 들어와 일어나는 감염을 말한다.
이러한 감염경로를 소독하여 감염경로를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소독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종래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 탄소수 1~3의 저급 알코올 소독제는 세균의 세포막이나 바이러스의 엔벨로프의 파괴나 효소 등의 단백질의 응고에 의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해 소독 작용을 갖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상기 저급 알코올을 배합한 소독제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을 배합한 소독제에서는 예를 들면,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는데, 예를 들면, 피부 각층과 피지막이 제거되고 각층이 떨어져, 피부 배리어 기능이 상실되는 피부 거칠음 상태가 발생할 수 있고, 이 상태는 피부 배리어 결손부로부터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입함으로써 감염될 수도 있다.
기존의 알코올성 소독제와 차아염소 및 염소의 안정화 물질들이 사람들이 있는 곳에 뿌려지고 방역을 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취와 공기 중에 유해성분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들도 유해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0456133호(2004.11.08)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개인위생과 집단위생을 막고, 동물들의 집단 폐사를 방지하고, 공통된 공간속에 생물체와 주변환경에 발생하는 공기와 기구 등에 오염물을 소독할 수 있는 비알콜성 소독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은 방부제, 보습제, 셀룰로오스, 이산화염소, 편백 오일수 및 미네랄 혼합수(mineral mixing water)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소독제 혼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액상 소독제 및/또는 겔(gel)형 소독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은 살균성, 탈취성이 우수하면서도 비알콜성인 바, 기존 알코올성 소독제와 같은 피부 자극성 등의 부작용이 없으며, 소아에서부터 노약자 같은 면역이 약한 대상자에게도 인체 호흡기에 자극이없는 액상 및/또는 겔 타입 소독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소독제 혼합 조성물 성분 중 순수 이산화염소의 보존력이 2년까지도 유효한 바, 소독제 혼합 조성물의 장기 보존성 및 살균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은 방부제, 보습제, 셀룰로오스, 이산화염소, 편백오일수 및 미네랄 혼합수(mineral mixing water)를 포함한다.
상기 방부제는 소독제 혼합 조성물의 외부 오염으로부터 변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소디움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 메틸파라벤(methyl paraben), 프로필파라벤(propyl paraben), 이소부틸파라벤(isobutyl paraben), p-하이드로시벤조산에스터(p-hydroxybenzoate),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및 포타슘소르베이트(potassium sorb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소디움벤조에이트,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및 p-하이드로시벤조산에스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디움벤조에이트 및 p-하이드로시벤조산에스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 내 방부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0.030 ~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00 ~ 1.2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0 ~ 1.0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부제 함량이 0.030 중량% 미만이면 그 함량이 너무 적어서 방부 효과가 미진할 수 있고, 1.500 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과량 사용이며, 비경제적이고, 오히려 본 발명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상기 보습제는 소독제 혼합 조성물에 보습성을 부여, 조성물의 적정 유화성, 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글리세린(glycerin),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소르비톨(Sorbitol),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판테놀(panthenol) 및 토코페롤 (tocophero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히알루론산, 판테놀 및 토코페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및 히알루론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습제의 사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0.03 ~ 3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0 ~ 25.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 20.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성물 전체 중량 중 보습제 함량이 0.03 중량%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이를 사용하는 효과를 볼 수 없고, 30.0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소독제 혼합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사용감이 떨어지고, 조성물간 혼화성이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조성물 성분 중 상기 셀룰로오스는 소독제 혼합 조성물의 분산성 및 안정화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셀루로오스의 사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0.01 ~ 30.00 중량%를, 바람직하게는 5.00 ~ 25.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 25.00 중량%,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 23.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성물 전체 중량 중 셀룰로오스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소독제 혼합 조성물의 안정성이 부족하여 소독력이 오히려 감소하고, 살균 지속성도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오히려 소독제 혼합 조성물 간 분산성이 감소하여 조성물간 혼화성이 떨어지고, 조성물의 점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조성물 성분 중 상기 이산화염소는 소독제의 세균, 바이러스 및/또는 곰팡이균에 대한 1 ~ 5분 동안의 초기 살균력, 소독력 및 탈취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소독제 혼합 조성물의 살균 지속성 및 장기 보존 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산화염소의 사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0.0005 ~ 9.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00 ~ 8.0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 6.50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이산화염소 함량이 0.0005 중량% 미만이면 초기 살균력이 미진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9.00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살균력은 우수하나,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편백(Chamaecyparisobtusa)은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회목, 히노끼 및 노송나무라고도 한다. 편백 나무의 높이는 30 ~ 40m이고, 폭은 1 ~ 2m 가량이며, 나무껍질은 적갈색이고, 작은 바늘 모양의 잎이 가지에 밀생한다. 편백은 강한 항균 작용을 하여 피부질환을 개선해주고, 가려움을 진정시켜 주며, 세균이 피부 내에 침투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편백은 항원에 대한 항체를 생성시키는 작용을 하여 체내의 면연력을 향상시켜주면서 각종 질병으로부터 몸을 보호한다. 히노키티올은 편백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 성분으로, 강력한 항곰팡이, 항균효과, 탈취 및 방충효과가 있는 기능성 성분이다. 그리고, 히노키티올에는 피톤치드(phytoncide)라는 천연 항균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뛰어난 항균 및 살균 작용을 하여 천연보존제로 활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편백 오일수는 이산화염소와 함께 살균 및 탈취력을 부여하며, 특히, 탈취, 항균 및 소독성을 1 ~ 10 시간 동안의 지속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편백 오일수는 편백수와 편백오일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편백을 수증기 증류법을 통해 편백수와 편백오일(essential oil)로 각각 추출한 후, 편백수 및 편백오일을1 : 0.1 ~ 0.5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 0.2 ~ 0.4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백수는 편백의 수용성 피톤치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뛰어난 항균 및 살균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편백 오일은 리모넨(limonene), γ-테르피넨(terpinene), 보르네올(borneol), α-테르피넨(terpinene), β-미르센(myrcene), α-테르피놀렌(terpinolene), 4-테르피네올(terpineol), 2-카렌 (carene), α-피넨(pinene) 등의 모노테르펜(monoterpene)류로 전체함량의 약 80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는 바, 탈취력 및 곰팡이균 등에 대해 살균효과가 우수하며 장시간 소독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 상기 편백 오일수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중 0.03 ~ 3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0 ~ 27.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 ~ 20.0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편백 오일수 함량이 0.03 중량%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탈취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30.00 중량%를 초과 사용하는 것은 비경제적이고, 상대적으로 미네랄 혼합수 등의 함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방부제, 보습제, 셀룰로오스, 이산화염소, 편백 오일수 외에 조성물 전체 중량 중 잔량의 미네랄 혼합수를 포함한다.
상기 미네랄 혼합수는 광물질 성분과 식물 유래 가공수를 포함하는 미네랄 조성물과 물을 1 : 10 ~ 12 부피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며, 상기 미네랄 조성물은 겔라이트(pozzolan),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마이카(mica), 칼사이트(calcite), 백운모(muscuv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일라이트(ilite), 제올라이트, 조선옥(chosun jade), 백탄(hardwood charcoal), 토르말린(tourmaline), 흑운모(biotite), 장미수(rose water) 및 대나무 목초액(bamboo water)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네랄 조성물은 겔라이트 2 ~ 4 중량%, 카올리나이트 2 ~ 4 중량%, 마이카 1 ~ 4 중량%, 칼사이트 2 ~ 5 중량%, 백운모 5 ~ 10 중량%, 벤토나이트 7 ~ 12 중량%, 일라이트 1 ~ 4 중량%, 제올라이트 1 ~ 5 중량%,, 조선옥 3 ~ 7 중량%, 백탄 0.1 ~ 2 중량%, 토르말린 8 ~ 15 중량%, 흑운모 5 ~ 10 중량%, 장미수 1 ~ 5 중량% 및 잔량의 대나무 목초액을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네랄 조성물은 겔라이트 2.5 ~ 3.5 중량%, 카올리나이트 2.5 ~ 3.2 중량%, 마이카 2.0 ~ 3.5 중량%, 칼사이트 2.0 ~ 4.0 중량%, 백운모 7.0 ~ 9.5 중량%, 벤토나이트 7.5 ~ 11.0 중량%, 일라이트 2.0 ~ 3.5 중량%, 제올라이트 1.5 ~ 4.0 중량%,, 조선옥 3.5 ~ 6.5 중량%, 백탄 0.5 ~ 1.5 중량%, 토르말린 8.5 ~ 13.5 중량%, 흑운모 7.0 ~ 10.0 중량%, 장미수 2.5 ~ 5.0 중량% 및 잔량의 대나무 목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은 1차적으로 이산화염소에 의한 초기 살균, 항균, 탈취력을 증가시키고, 2차적으로 편백 오일수에 의한 지속적 탈취, 항균력이 있으며, 3차적으로 미네랄 혼합수의 지속 살균력을 통하여 향도 좋고, 피부 등에 자극적이지 않는 소독 조성물로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은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을 액상 및/또는 겔형 소독제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례를 들면, 상기 소독제 혼합 조성물을 일반적인 증류수, 수돗물 등의 물과 혼합하여 적절하게 희석하여 액상형 소독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제 혼합 조성물과 증점제, 점도조절제 등과 혼합하여 겔형 소독제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은 공간 방역제, 지역 방역제, 생활공간 방역제, 초음파 방역제, 고압분사 방역제 그 외 다수의 방역기에 사용하여도 그 효과가 좋은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소독제 혼합 조성물의 제조
방부제로서 소디움벤 조에이트,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셀룰로오스, 이산화염소, 편백 오일수 및 미네랄 혼합수를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혼합하여 소독제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편백 오일수는 편백을 수증기 증류법을 통해 편백수와 편백오일(essential oil)로 각각 추출한 후, 상기 편백수 및 상기 편백오일을1 : 0.35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미네랄 혼합수는 하기 표 1의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미네랄 조성물과 물을 1 : 10.5 부피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성분 함량(중량%)
겔라이트 3
카올리나이트 3
마이카 3
칼사이트(방해석) 3
백운모 8
벤토나이트(몬모릴로나이트) 8
일라이트 3
제올라이트 3
조선옥 5
백탄 1
토르말린 10
흑운모 8
장미수 3
대나무 목초액 39
실시예 2 ~ 4 및 비교예 1 ~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독제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비로 조성물을 각각 사용하여 소독제 혼합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여 실시예 2 ~ 4 및 비교예 1 ~ 5를 실시하였다. 단, 비교예 3은 미네랄 혼합수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구분
(중량%)
소디움
벤조에이트
글리세린 셀룰로오스 이산화염소 편백
오일수
미네랄
혼합수
실시예 1 0.5 10 25 3 18 나머지잔량
실시예 2 0.5 10 25 6 20 나머지잔량
실시예 3 0.5 10 12 3 18 나머지잔량
실시예 4 0.5 20 25 3 18 나머지잔량
비교예 1 0.5 10 25 - 18 나머지잔량
비교예 2 0.5 10 25 6 - 나머지잔량
비교예 3 0.5 10 25 3 18 나머지잔량
증류수
사용
비교예 4 0.5 10 32 3 18 나머지잔량
비교예 5 0.5 32 25 3 18 나머지잔량
실험예 1 : 살균력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소독제 혼합 조성물의 살균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살균력 측정은 Shake flask method(균감소율 측정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세균은 일상 생활에서 쉽게 발견되는 세균인 대장균(E.coli KCTC 1682),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aureus KCTC 1621), 장티푸스균(Salmonella typhimurium KCTC 1925)를 사용하였다.
구분
(균감소율, %)
E.coli
감소율
S.aureus
감소율
S.typhimurium
감소율
실시예 1 99.99 99.17 98.92
실시예 2 99.99 99.95 99.88
실시예 3 99.99 98.79 98.79
실시예 4 99.98 99.24 98.86
비교예 1 88.73 78.27 72.81
비교예 2 95.27 93.13 94.72
비교예 3 99.99 97.25 98.04
비교예 4 99.99 99.02 98.85
비교예 5 99.35 98.79 98.69
상기 표 3의 살균력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 5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높은 세균 살균력을 보였다.
이에 반해, 이산화염소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대장균뿐만 아니라, 황색포도상구균 및 장티푸스균에 대한 살균력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편백 오일수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 및 미네랄 혼합수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은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전반적으로 균에 대한 살균력이 크게 감소했는데, 이를 통해 이산화염소와 편백 오일수 및 미네랄 혼합수의 혼합 사용으로 인해 균에 대한 살균력이 증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셀룰로오스를 30 중량% 초과하여 사용한 비교예 4의 경우, 다른 실시예와 비교할 때, 황색포도상구균과 장티푸스균에 대한 살균력이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는데, 비교예 4의 조성물은 점성이 매우 높았으며, 이는 조성물 간 분산성이 감소 및 혼화성이 떨어뜨렸으며, 이로 인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또한, 글리세린을 30 중량% 초과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 실시예 4와 비교할 때, 전반적으로 세균 감소율이 다소 떨어졌으며, 비교예 4의 조성물과 같이 점성이 높았으며, 오히려 글리세린 성분이 세균 표면을 코팅시켜 소독제 혼합 조성물의 살균성을 감소시키는 결과가 나온 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 살균 지속력 측정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 ~ 3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의 살균 지속력을 측정하기 위해, 대장균(E.coli KCTC 1682),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aureus KCTC 1621)을 평판 배양법으로 접종하여 32℃의 항온조에서 2일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각 균의 초기농도를 1×106 cfu(colony forming unit)/g 되도록 조절한 후 대조시험액(멸균생리식염수)과 시험액(실시예 2, 비교예 1 ~ 3) 각각에 접족하여 1시간 및 24시간 이후의 균수를 측정하여 살균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초기균수
(cfu/g)
살균력(%)
1시간 24시간
실시예 2 E.coli 1×106 99.98 99.68
S.aureus 1×106 99.89 99.38
비교예 1 E.coli 1×106 88.98 88.83
S.aureus 1×106 77.92 76.95
비교예 2 E.coli 1×106 95.43 93.27
S.aureus 1×106 93.55 92.41
비교예 3 E.coli 1×106 99.96 93.91
S.aureus 1×106 97.07 90.88
상기 표 4의 살균 지속력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2의 경우, 24시간 경과 후에도 우수한 살균력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초기 살균력이 낮으나, 24시간 이후에도 낮지만, 초기 살균력에서 약간 떨어진 살균력을 유지하였다.
이에 반해, 편백 오일수 및 미네랄 혼합수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경우, 눈에 띄는 살균력 감소를 보였고, 특히, 미네랄 혼합수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의 경우, 크게 살균력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실험예 3 : 항곰팡이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소독제 혼합 조성물의 항곰팡이성을 ASTM G2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측정에 사용된 곰팡이는 푸른곰팡이(P.citrium KCTC 6990), 흑곰팡이(A.niger KCTC 6960)를 사용하였다.
항곰팡이 시험은 ASTM G21에 따른 측정 기준은 하기와 같다.
0등급 - 시편 위에 전혀 곰팡이가 자라지 않음, 1등급 - 시편 위에 10% 이내로 곰팡이가 성장, 2등급 - 시편 위에 10~30% 정도 곰팡이가 성장, 3등급 - 시편 위에 30 ~ 60% 정도로 곰팡이가 성장, 4등급 - 시편 위에 60% 이상 곰팡이가 성장
구분 P.citrium A.niger
실시예 1 0 1
실시예 2 0 0
실시예 3 0 1
실시예 4 0 1
비교예 1 3 2
비교예 2 1 2
비교예 3 1 3
비교예 4 0 1
비교예 5 1 1
상기 표 5의 항곰팡이성을 살펴보면, 실시예 1 ~ 4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의 경우, 전반적으로 우수한 항곰팡이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산화염소, 편백 오일수 또는 미네랄 혼합수 중 하나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 3의 경우, 실시예 1 ~ 2와 비교할 때, 항곰팡이성이 좋지 않은 결과를 보였는데, 이를 통해서, 이산화염소, 편백 오일수 및미네랄 혼합수의 혼합 사용으로 인해 항곰팡이성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셀룰로오스 과량 사용한 비교예 4의 경우 항곰팡이성에 대한 큰 영향은 없었으며, 글리세린을 과량 사용한 비교예 5의 항곰팡이성이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실험예 4 : 구제역 바이러스 살균력 시험
상기 실시예 1 ~ 4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한 소독제 혼합 조성물의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력을 측정하였으며, 시험 방법은 국립수의과학검역원고시 제2008-14호[소독제 효력시험지침]에 따라 시험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구제역 바이러스 살균성
실시예 1 효과 우수
실시예 2 효과 우수
실시예 3 효과 우수
실시예 4 효과 우수
비교예 1 보통
비교예 2 보통
비교예 3 효과 우수
실험예 5 : 피부 자극 시험
실시예 1 ~ 2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을 하기 피부 자극 시험에 사용하였다.
인체에 대한 안전성 및 자극 평가는 하기와 같이 인체 첩포 시험(Human patch test)를 통하여 인체에 대한 1차 자극시험을 행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총 2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참고문헌 : The Cosmetic, Toilit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핀 챔버(Finn Chamber)에 시료 및 용액 15 ㎕를 적하시킨 후, 이것을 시험 부위인 인체의 등에 얹어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이어서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4시간 경과한 다음 시험 부위의 피부 반응을 하기의 판정 기준에 따라 판정 및 자극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냈다.
<판정 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식 1]
자극도 = {(±수×1)+(+수×2)+(++수×3)}/피시험자 수
구분 피시험자수 ++ + ± - 자극도
실시예 1 30 0 0 2 29 0.07
실시예 2 30 0 0 3 28 0.10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이 매우 낮은 피부 자극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을 실제 적용시 물과 혼합 사용하거나 또는 겔화시켜서 사용으로 인해 조성물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고려할 때, 실질적으로 피부 자극성이 더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이 살균성 및 살균 지속성이 우수하면서, 항곰팡이성 또한 우수하면, 나아가 구제역바이러스에 대한 살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소독제 혼합 조성물은 비알콜성 소독제로서 피부 자극성이 거의 없거나 피부 무자극성인 바, 다양한 소독제 형태로 응용될 수 있다.

Claims (8)

  1. 방부제 0.250 ~ 1.000 중량%, 보습제 5.00 ~ 20.00 중량%, 셀룰로오스 12.00 ~ 23.00 중량%, 이산화염소 1.500 ~ 6.500 중량%, 편백오일수 8.00 ~ 20.00 중량% 및 잔량의 미네랄 혼합수를 포함하며,
    상기 방부제는 소디움벤조에이트,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및 p-하이드로시벤조산에스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glycerin),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소르비톨(Sorbitol),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판테놀(panthenol) 및 토코페롤(tocophero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편백오일수는 편백수 및 편백오일을 1 : 0.1 ~ 0.5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미네랄 혼합수는 미네랄 조성물을 물과 1 : 10 ~ 12 부피비로 혼합한 것이고,
    상기 미네랄 혼합수는 겔라이트 2 ~ 4 중량%, 카올리나이트 2 ~ 4 중량%, 마이카 1 ~ 4 중량%, 칼사이트 2 ~ 5 중량%, 백운모 5 ~ 10 중량%, 벤토나이트 7 ~ 12 중량%, 일라이트 1 ~ 4 중량%, 제올라이트 1 ~ 5 중량%,, 조선옥 3 ~ 7 중량%, 백탄 0.1 ~ 2 중량%, 토르말린 8 ~ 15 중량%, 흑운모 5 ~ 10 중량%, 장미수 1 ~ 5 중량% 및 잔량의 대나무 목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제 혼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액상 소독제.
  8.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겔(gel)형 소독제.
KR1020200095491A 2020-07-30 2020-07-30 소독제 혼합 조성물 KR102228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491A KR102228171B1 (ko) 2020-07-30 2020-07-30 소독제 혼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491A KR102228171B1 (ko) 2020-07-30 2020-07-30 소독제 혼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171B1 true KR102228171B1 (ko) 2021-03-16

Family

ID=7522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491A KR102228171B1 (ko) 2020-07-30 2020-07-30 소독제 혼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1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365B1 (ko) * 2022-02-17 2022-05-13 동양특수목재 주식회사 이산화염소수 및 천연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20220147303A (ko) * 2021-04-27 2022-11-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09961A (ko) * 2022-01-14 2023-07-21 (주)아이씨디 플라즈마 라디칼 용액이 함유된 항균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133B1 (ko) 2002-07-05 2004-11-08 (주)마이크로 사이언스 테크 살균 소독용 조성물
KR20140034531A (ko) * 2012-09-12 2014-03-20 정인재 친환경 소독제를 이용하여 사람 또는 동물을 방역하는 방법
KR20150130358A (ko) * 2013-03-11 2015-11-23 바이어스도르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방부제로 구성되는 조성물
KR20160068416A (ko) * 2014-12-05 2016-06-15 (주)동양공조 미네랄 함량이 증가된 알칼리성 미네랄수의 제조방법
KR20170021573A (ko) * 2015-08-18 2017-02-28 허진희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36151A (ko) * 2015-09-23 2017-04-0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진균활성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KR101963614B1 (ko) * 2018-09-07 2019-03-29 (주)카데시인코퍼레이션 미네랄 이온 혼합물을 포함하는 알콜분해용 조성물
KR20200062103A (ko) * 2020-05-20 2020-06-03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폴리감마글루탐산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여성 질 건강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133B1 (ko) 2002-07-05 2004-11-08 (주)마이크로 사이언스 테크 살균 소독용 조성물
KR20140034531A (ko) * 2012-09-12 2014-03-20 정인재 친환경 소독제를 이용하여 사람 또는 동물을 방역하는 방법
KR20150130358A (ko) * 2013-03-11 2015-11-23 바이어스도르프 악티엔게젤샤프트 알킬아미도티아졸 및 방부제로 구성되는 조성물
KR20160068416A (ko) * 2014-12-05 2016-06-15 (주)동양공조 미네랄 함량이 증가된 알칼리성 미네랄수의 제조방법
KR20170021573A (ko) * 2015-08-18 2017-02-28 허진희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36151A (ko) * 2015-09-23 2017-04-0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진균활성 증강용 손소독제 조성물
KR101963614B1 (ko) * 2018-09-07 2019-03-29 (주)카데시인코퍼레이션 미네랄 이온 혼합물을 포함하는 알콜분해용 조성물
KR20200062103A (ko) * 2020-05-20 2020-06-03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폴리감마글루탐산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여성 질 건강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303A (ko) * 2021-04-27 2022-11-0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64261B1 (ko) * 2021-04-27 2024-05-0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09961A (ko) * 2022-01-14 2023-07-21 (주)아이씨디 플라즈마 라디칼 용액이 함유된 항균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0456B1 (ko) * 2022-01-14 2024-03-22 (주)아이씨디 플라즈마 라디칼 용액이 함유된 항균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7365B1 (ko) * 2022-02-17 2022-05-13 동양특수목재 주식회사 이산화염소수 및 천연물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171B1 (ko) 소독제 혼합 조성물
CN111685134A (zh) 一种含有植物精油的除螨抑菌功效组合物及应用
CN104094977A (zh) 一种具有驱虫杀菌灭毒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WO2006087569A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tarchonanthus camphoratus
CN108042562A (zh) 凝胶型复合醇免洗消毒剂及其制备方法
TW201216859A (en) Disinfectant and antiseptic formulation having reduced iodine content
WO2021217324A1 (zh) 消毒剂组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BRPI0617067A2 (pt) composição com acidez controlada
CN108653121A (zh) 一种含中草药成分的抑菌洗手消毒液
CN112640904A (zh) 一种除菌除螨喷雾剂及其制备方法
CN111493097A (zh) 一种抑制病毒和致病菌的集合型消毒剂及其制备方法
KR102093827B1 (ko) 폴리(부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보존제 조성물
KR20080081633A (ko) 항균비누 조성물
CN106726871A (zh) 青蒿驱蚊止痒花露水及其制备方法
KR20150001021A (ko) 피부자극이 없는 방부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물티슈
CN103110541A (zh) 纯天然免洗消毒净手液
KR101898060B1 (ko) 가습기 살균제용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수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25331B1 (ko) 이온화 미네랄과 감잎 추출물 등 천연물로 조성된 천연 항균 탈취제 조성물
CN104904753A (zh) 高效消毒剂及其制备方法
CN113521042A (zh) 一种儿童专用无醇免洗病毒灭活消毒剂及其制备方法
KR20210014043A (ko) 감염병 예방용 살균제 조성물 및 살균제
KR20150113716A (ko) 항균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제품
CN109984153A (zh) 一种多功能植物精油驱蚊剂
KR102189174B1 (ko) 산업용 항균제 조성물
KR102518838B1 (ko) 어린이용품 전용 살균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