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303A -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303A
KR20220147303A KR1020210054260A KR20210054260A KR20220147303A KR 20220147303 A KR20220147303 A KR 20220147303A KR 1020210054260 A KR1020210054260 A KR 1020210054260A KR 20210054260 A KR20210054260 A KR 20210054260A KR 20220147303 A KR20220147303 A KR 20220147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board
antifungal
finishing material
antifunga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4261B1 (ko
Inventor
박희준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4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26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laminated and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12, E04C2/16, E04C2/2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에 타공된 복수 개의 홀 또는 라인을 통해 수분을 흡습 및 방습할 수 있고, 후면에 수용성 항균 및 항곰팡이제가 건조상태로 함침된 부직포를 포함함으로써 축마감재 및 실내에 번식할 수 있는 바이러스균 및 곰팡이의 발생과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Antibacterial and antifungal interior finishing material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보드에 타공된 복수 개의 홀 또는 라인을 통해 수분을 흡습(absorptiuon, 吸濕) 및 방습(desorption, 放濕)할 수 있고, 후면에 수용성 항균 및 항곰팡이제가 건조상태로 함침된 부직포를 포함함으로써 건축마감재 및 실내에 번식할 수 있는 바이러스균 및 곰팡이의 발생과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주택, 아파트, 및 업무용 또는 상업용 건물의 경우 사람이 거주하거나 각종 활동을 하는 공간이므로, 인간이 안전하면서도 쾌적하게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그 내장재 등이 개선되고 발전되어 오고 있다.
국내 건축물의 경우 특히, 건축물의 실내마감재는 콘크리트, 석고보드, 합성수지계 제품이 주로 시공되고 있다.
석고보드는 불연내장재로서 화재에 강하고, 취급과 시공이 편해 콘크리드 건축물이나 목조건축물의 비내력벽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석고보드는 수분 및 습기에 약해 곰팡이 발생의 가능성이 높고, 강도가 약하여 부서지기 쉬우며(나사못 유지력이 약함), 폐암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라돈방사능 발생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단열 및 흡음기능이 거의 없고, 또한, 시공 후 표면에 페인트, 벽지, 목재 및 타일접착 등 별도의 마감재 처리를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합성수지계 제품은 가볍고 수분차단 능력이 우수하고, 경제적이기는 하나, 화재에 취약하고 단열 성능이 떨어지며, 결로발생 등 습도조절 기능에 문제가 있다.
한편, 국내 실내습도는 여름철 80% 이상(때때로 100% 이상), 겨울철에 30% 이하(때때로 20% 이하)로 여름철 실내의 높은 습도와 겨울철의 낮은 습도는 각종 바이러스, 곰팡이 등 미생물의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거주자의 질병발생, 면역력 약화 등의 원인이 되고 있고, 특히 유해한 곰팡이균에 노출로 코막힘, 비염, 인후통, 기침, 천식, 눈자극, 피부자극, 면역력 저하, 과민성 폐렴, 암발생 등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문제를 고려하여, 2018년 국가 녹색인증 적합성 기준(첨단그린주택·도시(대분류), 저에너지 친환경 주택(중분류), 기능성 건축자재(소분류))에 항균기술, 항곰팡이성 기술이 분류되어 있으며, 실내건축 마감재 녹색기술인증 및 녹색기술제품인증을 위한 제품 분류에 항균성과 항곰팡이성 건축자재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목재 또는 목제품의 경우 천연 고분자 유기물로 각종 균류, 곰팡이, 해중 등의 영양분이 될 수 있어 부후, 부패 등이 발생하기 때문이고, 또한, 벽지, 타일, 각종 합성수지계 마감재의 경우 통기성 불량 등으로 온도와 습도 조건만 맞는다면 언제든지 다양한 균류와 곰팡이류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우수한 항균성과 항곰팡이성을 가지는 실내 건축 마감재의 개발과 보급은 국민의 건강과 쾌적한 실내환경 개선을 위하여 매우 절실한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0-0124459호에는, 천연물질로만 구성되는 접착수단으로서의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것으로서 유해물질의 정화작용 등의 기능이 구비되는 건축물 내벽 마감재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마감재 조성물에 황토, 숯, 맥반석, 게르마늄, 옥돌, 편백나무 줄기와 잎을 분말화한 상태에서 물, 아크릴릭 폴리머, 칼슘 카보나이트, 돌로마이트가 혼합된 접착제를 혼합하는 등 많은 재료가 요구되고, 그 효능에 대한 어떠한 검증 및 실험적 데이터의 첨부가 없어 효과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0-0124459호
본 발명은 보드에 타공된 복수 개의 홀 또는 라인을 통해 수분을 흡습 및 방습할 수 있고, 후면에 수용성 항균 및 항곰팡이제가 건조상태로 함침된 부직포를 포함함으로써 건축마감재 및 실내에 번식할 수 있는 바이러스균 및 곰팡이의 발생과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소정 간격으로 타공된 복수 개의 홀 또는 라인을 구비하는 보드(board); 상기 보드 후면에 부착된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 후면에 도포되는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를 제공한다.
상기 보드는 보드는 다공성인 합성수지 보드, 무기질 보드, 목재, 합판, 섬유판, 파티클 보드, 집성판 또는 목재- 무기질 복합 보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홀 또는 라인의 평균 크기는 1 내지 15 m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은, 편백수 45 내지 60%, 물 45 내지 60%, 붕산 1 내지 10%, 및 천연 편백나무 오일 0.05 내지 1%로 이루어진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에 조습제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습제는 염화칼슘, 수산화나트륨, 오산화인,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인산암모늄, 폴리 인산암모늄 및 탄산칼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용성 조습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보드에 복수 개의 홀 또는 라인을 타공하는 단계; 상기 보드 후면에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 후면에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도포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는 편백수 45 내지 60%, 물 45 내지 60%, 붕산 1 내지 10%, 및 천연 편백나무 오일 0.05 내지 1%로 이루어진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는 50 내지 300 g/m2를 도포하여 상기 보드 및 부직포에 함침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는 항균성과 항곰팡이성이 우수한 기능성 실내 건축 마감재로서, 보드에 타공을 함으로써 수분을 흡습하거나 방습할 수 있는 다공성 재료로 제조하여 비표면적을 늘려주는 동시에, 후면에 부직포 등 흡습 및 흡수성이 강한 재료를 부착한 후 수용성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일정량 이상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이면에 부착된 부직포와 마감용 재료에 항균 및 항곰팡이제가 건조상태로 함침되게하여 건축마감재 및 실내에 번식할 수 있는 바이러스균 및 곰팡이의 발생과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대부분의 건축 마감재 표면에는 도장 또는 오버레이가 되어있어 흡습과 방습 기능이 차단되어 있고, 표면에 수용성 항균 및 항곰팡이제와 조습제를 도포할 경우에 습기로 인한 얼룩, 변색, 백화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는 이면에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도포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실내 마감재의 통기성이 불량하여 이면에 다양한 균류와 곰팡이가 번식 및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무기질 복합보드를 이용한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의 타공된 표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성능 시험성적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곰팡이 성능 시험성적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소정 간격으로 타공된 복수 개의 홀 또는 라인을 구비하는 보드(board); 상기 보드 후면에 부착된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 후면에 도포되는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는 항균성과 항곰팡이성이 우수한 기능성 실내 건축 마감재로서, 보드에 타공을 함으로써 수분을 흡습하거나 방습할 수 있는 다공성 재료로 제조하여 비표면적을 늘려주는 동시에, 후면에 부직포 등 흡습 및 흡수성이 강한 재료를 부착한 후 수용성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일정량 이상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이면에 부착된 부직포와 마감용 재료에 항균 및 항곰팡이제가 건조상태로 함침되게하여 건축마감재 및 실내에 번식할 수 있는 바이러스균 및 곰팡이의 발생과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는 건강친화형 주택건설기준과 국가녹색기술기준(기능성 건축자재)을 만족시키는 실내 건축 마감재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는 복수의 홀 또는 라인(1)이 형성된 보드(10), 부직포(20) 및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30)을 포함한다.
상기 보드(10)는 보드는 다공성인 합성수지 보드, 무기질 보드, 목재, 합판, 섬유판, 파티클 보드, 집성판 또는 목재- 무기질 복합 보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재는 제재목(lumber), 합판(plywood), 집성보드(Glulam, Glued Laminated Timber), 단판적층재(LVL, Laminated Veneer Lumber), 파티클보드(particleboard), 또는 중밀도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보드는 폴리에스테르 강화판, 염화비닐판, 멜라민 합성판 또는 페놀수지 합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무기질 보드는 석고보드, 마그네슘보드, 암면보드, 미네랄보드 또는 기타 무기질 보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목재-무기질 복합보드는 목재단판 또는 합판과 무기질 보드가 적층된 복합보드일 수 있다.
상기 보드(10)는 소정 간격으로 타공된 복수 개의 홀 또는 라인(1)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 개의 홀은 원형 타공되거나, 상기 복수 개의 선은 상기 보드의 섬유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선 타공되어 수증기 또는 수분 이동이 유리한 상기 보드의 횡단면 노출 비율을 높이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홀 또는 라인(1)의 간격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하기 도 4 참조).
상기 보드(10)는 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홀 또는 라인(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 또는 라인의 평균 크기(직경)는 1 내지 15 m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 또는 라인(1)의 평균 크기는 1 내지 12 mm, 1 내지 10 mm, 1 내지 8 mm, 1 내지 6 mm, 1 내지 4 mm 또는 5 m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의 크기는 홀의 직경일 수 있고, 상기 라인의 크기는 라인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20)는 상기 보드의 후면(벽면에 부착되는 면)에 부착된다. 상기 부직포에는 항균 및 항곰팡이제가 함침된다. 상기 부직포는 공지된 부직포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두께에 대해 특별히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부직포의 두께는 0.2 내지 3 mm, 평량은 60 내지 300 g/㎡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20) 후면에 항균 및 항곰팡이제가 도포되어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30) 형성된다.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30)은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도포 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보드의 후면 및 부직포에 함침되어 별도의 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30)은, 편백수 45 내지 60%, 물 45 내지 60%, 붕산 1 내지 10% 및 천연 편백나무 오일 0.05 내지 1%로 이루어진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30)은 편백수에 물을 혼합하여 1:1 내지 1:2의 비율로 희석한 후, 붕산과 천연 편백나무 오일을 용해하여 제조된 수용성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편백수는 편백나무 제재목 건조 시 방출되는 수액일 수 있다.
천연 편백나무의 추출물인 히노키치올(편백나무 오일)에는 항균, 항곰팡이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편백나무를 건조하면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편백수에도 소량의 히노키치올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항곰팡이성을 나타낸다. 또한, 편백나무 추출물로부터 발생하는 향의 효능에 대해서는 스트레스 완화, 심리학적 안정, 진정작용, 공기정화, 악취 제거 및 탈취, 항균 및 방충효과, 알레르기 피부질환과 아토피 완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붕산은 살균, 방충 및 방부제 기능이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하는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30)은, 예를 들어, 50 내지 200 g/m2, 50 내지 100 g/m2, 100 내지 300 g/m2 또는 100 내지 200 g/m2의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는 상기와 같은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포함함으로써 건강친화형 주택건설기준과 국가녹색기술기준(기능성 건축자재)을 만족시키는 실내 건축 마감재일 수 있다.
대부분의 건축 마감재 표면에는 도장 또는 오버레이가 되어있어 흡습과 방습 기능이 차단되어 있고, 표면에 수용성 항균 및 항곰팡이제와 조습제를 도포할 경우에 습기로 인한 얼룩, 변색, 백화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는 이면에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포함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실내 마감재의 통기성이 불량하여 이면에 다양한 균류와 곰팡이가 번식 및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30) 후면에 조습제층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습제층은 염화칼슘, 수산화나트륨, 오산화인,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인산암모늄, 폴리 인산암모늄 및 탄산칼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용성 조습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습제는 수용액 상태로 부직포(20)의 후면에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30)을 도포한 후, 건조시키기 전에 도포되어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30)의 항균 및 항곰팡이제에 혼합되거나 별도의 조습제층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습제는 물 60 내지 75%, 조습제(염화칼슘) 20 내지 30%, 붕사 1 내지 5%, 10% 초산용액 2 내지 5%를 혼합한 조습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습제층은 상기 조습제를 50 내지 150 g/㎡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통상 공장에서 제품 제조 시 롤코터나 스프레이 코터로 이면에 조습제를 도포하는 바, 조습제의 함량이 150g/㎡을 초과하게 되면 1회 도포로 처리가 어려워 2회 이상 도포처리하여야 하는 공정상의 불리함과 도포 후 건조시간의 증대로 생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홀 또는 라인(1)은 실내 수증기(수분)가 목재, 합판, 목재 이면에 함침된 항균 및 항곰팡이제 및/또는 조습제를 함유한 부직포로 흡습되거나 실내로 방습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하기 도 4 참조).
즉, 건물내의 수증기는 상기 홀 또는 라인을 통해 목재나 부직포 등에 흡습되거나 목재나 부직포 등으로부터 상기 홀 또는 라인을 통해 실내로 탈습(방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 또는 라인은 통상적인 흡음 효과뿐만 아니라 마감재 이면에 부착된 부직포와 함께 실내 습도조절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드가 목재, 합판 또는 목재-무기질 복합보드인 경우 상기 홀 또는 라인은 목재 횡단면 노출 면적을 높여 방습과 흡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목재의 흡습과 방습기능이 우수한 횡단면은 전체 면의 맨 끝면(횡단면)에만 나타나게 되지만, 홀 또는 라인을 타공하게 되면 횡단면이 홀 또는 라인 내측면을 통해 타공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수배에서 수십 배 이상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보드(10)에는 방염, 난연 또는 준불연 수지(이하, 난연수지)가 홀 또는 라인을 통해 내부에 함침되거나 표면에 코팅되어 난연 수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합판은 단판과 단판이 서로 섬유방향으로 직교되어 3개 이상이 홀수로 적층되어 접착된다. 상기 목재와 단판은 타공된 홀 또는 라인을 통해 난연수지를 표면도포 또는 가압하여 주입할 수 있으며, 상기 목재-무기질 복합보드는 난연수지를 단판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난연 수지는 방염, 준불연, 난연 기능을 제공하는 공지된 수용성 난연수지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난연수지는 물, 일인산암모늄, 이인산암모늄, 폴리인산암모늄, 붕산나트륨, 붕산암모니아, 동결방지제를 포함한다. 상기 난연수지는 항균제 및 항곰팡이 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재-무기질 복합보드를 이용한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내 건축 마감재는 보드로서 복수의 홀 또는 라인(1)이 형성된 목재-무기질 복합 보드(110, 210), 부직포(120, 220) 및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130, 2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목재-무기질 복합보드(110)는 무기질 보드(111), 하부 목재 단판(112), 상부 목재 단판(113)을 포함한다. 상기 무기질 보드(111)의 두께는 0.2 내지 12 m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단판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난연수지를 단순 도포공정으로(진공 가압방식이 아닌) 목재단판 내부로 난연수지를 쉽게 침투시킬 수 있으며, 무기질 보드에 고온 가압을 가하지 않고 상온이나 중온, 예를 들어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범위에서 5 내지 15 kgf/cm2,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 kgf/cm2의 압력으로 무기질 보드 상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목재 단판을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목재 단판(112), 상부 목재 단판(113)은 동일한 목재 단판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목재-무기질 복합보드(210)는 하부 목재 단판(211), 적층부(212), 상부 목재 단판(213)을 포함한다. 상기 적층부(212)는 상기 하부 목재 단판(211) 위에 무기질 보드(2121)와 목재 단판(2122)이 교대로 복수 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층부(212)는 무기질 보드(2121)와 목재 단판(2122)이 수회 이상 반복하여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질 보드(2121) 위에 목재 단판(2122)이, 또는 상기 목재 단판(2122) 위에 무기질 보드(2121)가 반복 적층되어 적층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적층부(212)는 무기질 보드-목재 단판-무기질 보드-목재 단판-무기질 보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기질 보드(2121)의 두께는 0.2 내지 7 mm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목재 단판(211), 상부 목재 단판(213) 및 목재 단판(2122)은 동일한 목재 베니어 단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목재 단판(211), 상부 목재 단판(213), 목재 단판(2122)은 두께가 각각 1 내지 12 mm, 1 내지 7 mm, 1 내지 3 mm일 수 있다. 상기 단판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난연수지를 도포하여 단판 내부로 난연수지를 쉽게 침투시킬 수 있으며, 무기질 보드에 고온 가압을 가하지 않고 상온이나 중온, 예를 들어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범위에서 5 내지 15 kgf/cm2,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 kgf/cm2의 압력으로 무기질 보드 상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목재 단판을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목재-무기질 복합보드(210)는 목재 단판의 비율(용적)이 50%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제15078호(시행일 2018.05. 29)' 에 의거하여 목제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응용분야(마감재, 천장재, 벽재 등)에서 석고보드뿐만 아니라 합판이나 목질 보드 등도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로는 수성 에멀젼 형태인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공축합수지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극성과 비극성의 이질적인 재료로 인하여 접착이 어려운 목재 단판과 무기질 재료를 상온에서 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접착제의 유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드에 복수 개의 홀 또는 라인을 타공하는 단계; 상기 보드 후면에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 후면에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도포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 후면에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도포 및 건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 도포한 후, 건조하기 전에 조습제를 도포하는 것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20) 후면에 항균 및 항곰팡이제가 도포되어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30) 형성된다.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30)은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도포 후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보드의 후면 및 부직포에 함침되어 별도의 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는 편백수 45 내지 60%, 물 45 내지 60%, 붕산 1 내지 10%, 및 천연 편백나무 오일 0.05 내지 1%로 이루어진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는 편백수에 물을 1:1 내지 1:2의 비율로 혼합하여 희석한 후, 붕산과 천연 편백나무 오일을 용해하여 제조된 수용성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편백수는 편백나무 제재목 건조 시 방출되는 수액일 수 있다.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는 50 내지 300 g/m2를 도포하여 상기 보드 및 부직포에 함침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는 50 내지 200 g/m2, 50 내지 100 g/m2, 100 내지 300 g/m2 또는 100 내지 200 g/m2를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제조된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의 타공된 홀 또는 라인에 따른 표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흑색으로 나타낸 부분이 타공된 홀 또는 라인이며, 상기 홀 또는 라인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타공될 수 있다.상기 홀 또는 라인은 실내 수증기(수분)가 보드 이면에 함침된 항균 및 항곰팡이제 및/또는 조습제를 함유한 부직포로 흡습되거나 실내로 방습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수용성 항균·항곰팡이제 제조(모든 물질의 %는 중량비임)
편백나무 제재목 건조 시 방출되는 수액인 편백수 48%와 물 48%를 혼합하여 편백수를 희석한 후, 붕산 3.9%와 천연 편백나무 오일 0.1%를 첨가 후 용해하여 수용성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항균 및 항곰팡이제가 처리된 건축 마감재 제조
직경 5 mm 구멍을 타공한 두께 9 mm인 합판을 5매 적층하고 합판의 후면에 부직포를 접착시킨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수용성 항균 및 항곰팡이제 200 g/㎡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항균 및 항곰팡이제가 처리된 건축 마감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균 성능 측정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항균 및 항곰팡이제가 처리된 건축 마감재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에 의뢰하여 국가기준에 따라 3가지 균에 대한 항균성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공인시험성적서 번호 CT20- 143685K)를 하기 표 1,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판정 기준은 항균활성치 로그값이 2.0 이상일 경우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며,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3가지 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는 것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2: 항곰팡이 성능 측정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항균 및 항곰팡이제가 처리된 건축 마감재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에 의뢰하여 국가기준에 따라 5가지 곰팡이균에 대한 항곰팡이 성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공인시험성적서 번호 CT19- 042404)를 하기 표 2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상기 5가지 곰팡이균은 Aspergillus brasiliensis ATCC9642, Penicillium funiculosum ATCC 11797, Chaetomium globosum ATCC 6205, Trichoderma virens ATCC 9645 및 Aureobasidium pullulans ATCC 15233 이었다.
판정 기준은 0등급일 경우, 시험편의 접종한 부분에 균사의 발육이 인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며, 하기 표 2에서와 같이, 0등급으로 측정되어 항곰팡이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2
1: 홀 또는 라인
10: 보드
20, 120, 220: 부직포
30, 130, 230: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
110, 210: 목재-무기질 복합보드
111, 2121: 무기질 보드
112, 211: 하부 목재 단판
113, 213: 상부 목재 단판
212: 적층부
2122: 목재 단판

Claims (9)

  1. 소정 간격으로 타공된 복수 개의 홀 또는 라인(line)을 구비하는 보드(board);
    상기 보드 후면에 부착된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 후면에 도포되는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다공성인 합성수지 보드, 무기질 보드, 목재, 합판, 섬유판, 파티클 보드, 집성판 또는 목재-무기질 복합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또는 라인의 평균 크기는 1 내지 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은,
    편백수 45 내지 60%, 물 45 내지 60%, 붕산 1 내지 10%, 및 천연 편백나무 오일 0.05 내지 1%로 이루어진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층에 조습제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습제는 염화칼슘, 수산화나트륨, 오산화인,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인산암모늄, 폴리 인산암모늄 및 탄산칼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용성 조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7. 보드에 복수 개의 홀 또는 라인을 타공하는 단계;
    상기 보드 후면에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 후면에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도포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는 편백수 45 내지 60%, 물 45 내지 60%, 붕산 1 내지 10%, 및 천연 편백나무 오일 0.05 내지 1%로 이루어진 항균 및 항곰팡이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및 항곰팡이제는 50 내지 300 g/m2를 도포하여 상기 보드 및 부직포에 함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20210054260A 2021-04-27 2021-04-27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64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60A KR102664261B1 (ko) 2021-04-27 2021-04-27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60A KR102664261B1 (ko) 2021-04-27 2021-04-27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303A true KR20220147303A (ko) 2022-11-03
KR102664261B1 KR102664261B1 (ko) 2024-05-09

Family

ID=8404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60A KR102664261B1 (ko) 2021-04-27 2021-04-27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2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459A (ko) 2009-05-19 2010-11-29 김병욱 건축물 내벽 마감재 제조방법
KR20200020105A (ko) * 2018-08-16 2020-02-26 주식회사 피엔에이치 건축용 내장 마감재 및 이 마감재를 이용한 내장 마감 구조
KR102139522B1 (ko) * 2019-03-06 2020-07-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흡습과 방습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8171B1 (ko) * 2020-07-30 2021-03-16 (주)디마인화장품 소독제 혼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4459A (ko) 2009-05-19 2010-11-29 김병욱 건축물 내벽 마감재 제조방법
KR20200020105A (ko) * 2018-08-16 2020-02-26 주식회사 피엔에이치 건축용 내장 마감재 및 이 마감재를 이용한 내장 마감 구조
KR102139522B1 (ko) * 2019-03-06 2020-07-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흡습과 방습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8171B1 (ko) * 2020-07-30 2021-03-16 (주)디마인화장품 소독제 혼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261B1 (ko)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522B1 (ko) 흡습과 방습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9278304B2 (en) Gas adsorbing and sound absorbing composite structure of activated charcoal-wooden material composites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and removing radon ga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9763382B (zh) 一种负离子浸渍纸/负离子饰面人造板基材/负离子饰面人造板的制作方法
JP2018532907A (ja) 防炎、難燃、準不燃合板天井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17157A (ko) 흡음 및 준불연성의 목재-무기질 복합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Fogel et al. Mold performance of some construction products with and without borates
KR101447235B1 (ko) 방염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664261B1 (ko) 항균 및 항곰팡이성 실내 건축 마감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3741530A1 (en) Flame-retardant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eco-friendly particle boar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205997440U (zh) 新型多功能家装用生态板
CN205935546U (zh) 多功能芳香环保木地板基材
KR20210002614U (ko) 조습 및 난연성을 가지는 기능성 실내 건축마감재
CN105239747A (zh) 一种具有吸附有害气体功能的天花板及其制备方法
KR20210086868A (ko) 친환경 가구 패널
CN104059467A (zh) 一种建筑隔音环保涂料
JP2006316430A (ja) 建具用芯材及びこれを用いた建具
CN205171910U (zh) 纱线防水防火防污壁纸
KR200496267Y1 (ko) 난연 및 방염성이 개선된 목질계 건축 마감재
KR102157316B1 (ko) 목재-무기질 적층 복합재
JP2001002514A (ja) 防蟻・防腐・防黴性建築構造面材
CN207974458U (zh) 一种抗菌环保型实木复合地板
CZ31399U1 (cs) Směs pro nehořlavou voděodolnou zdravotně nezávadnou desku na bázi dřeva
CN215519676U (zh) 一种带有表面除醛抗菌功能的强化复合地板
JP2008014111A (ja) 建材
CN208347028U (zh) 一种ati阻尼吸声喷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