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716A - 항균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제품 - Google Patents

항균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716A
KR20150113716A KR1020140038100A KR20140038100A KR20150113716A KR 20150113716 A KR20150113716 A KR 20150113716A KR 1020140038100 A KR1020140038100 A KR 1020140038100A KR 20140038100 A KR20140038100 A KR 20140038100A KR 20150113716 A KR20150113716 A KR 20150113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mmonium chloride
dimethyloctadecyl
fabric
trihydroxysilylprop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렬
백상수
박명규
Original Assignee
(주) 아보브네이처
박명규
김정렬
백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보브네이처, 박명규, 김정렬, 백상수 filed Critical (주) 아보브네이처
Priority to KR1020140038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3716A/ko
Publication of KR20150113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7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8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 D06M15/29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containing fluori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4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napkins, handkerchiefs, towels, doilie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fluorin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21H19/14Coatings without pigments applied in a form other than the aqueous solution defined in group D21H19/12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원단은 하기 화학식 1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octadecyl(3-trimethoxysilylpropyl)ammonium chloride)를 가수분해 하여 얻어지는 하기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octadecyl(3-trihydroxysilylpropyl)ammonium chloride)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을 원단에 흡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화학식 2>
Figure pat00008

Description

항균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제품{MANUFACTURING METHOD OF ANTIBACTERIAL TEXTILE AND ITS PRODUCT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항균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의 증식 및 생육의 억제력이 뛰어난 항균과 항곰팡이 기능을 갖는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항균 원단과, 이를 물휴지 및 마스크팩 등에 적용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휴지는 여러 가지 위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주로 식당이나 공공장소에서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기도 하고, 아기가 배변을 했을 때 피부를 닦는 데에도 쓰이며, 일회용 물수건 등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마스크팩은 남녀노소, 나이를 불문하고 여러 계층의 많은 사람들이 피부미용 및 을 위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물휴지 및 마스크팩은 각종 부직포들 중의 일부 혹은 면(cotton)이나 종이류(pulp) [이하 “원단”이라고 함]에 정제수, 보습제, 살균 소독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알코올, 향료 등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물휴지 및 마스크팩은 피부에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며,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제거력이 좋으며 항균성이 뛰어나야 한다.
물휴지 및 마스크팩의 항균성을 위하여 물휴지 및 마스크팩에 항균제 및 방부제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물휴지 및 마스크팩에 사용되는 항균제 및 방부제는 미국의 비영리 환경연구단체인 환경실무그룹 EWG (ENVIRONMENTAL WORKING GROUP)에서 0등급에서 9등급까지의 등급이 있다. 0등급에 가까울수록 안전하며 자극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휴지 및 마스크팩에 사용되는 항균제 및 방부제로는 페녹시에탄올(4등급), 세트리모늄브로마이드(3등급),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3등급), 소듐벤조에이트(1등급), 메틸이소치아졸린온(5등급),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린온(5등급), 세틸피리디늄클라이드(2등급), 벤잘코늄클로라이드(4등급), 프로필파라벤(7등급), 에칠파라벤(4등급), 메틸파라벤(4등급), 부틸파라벤(7등급),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3등급) 등이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한국공개특허 제2012-0080693호에는 유기실란 계열인 실리콘-제4암모니움염계(3-(trimethoxysilyl)propyl-dimethyloctadecylammon iumchloride : Si-QAC)를 물과 혼합하여 물휴지 및 마스크팩 액으로 사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물휴지 및 마스크팩에 사용되는 항균제 혹은 방부제는 피부에 자극을 주거나 인체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소독제 및 알콜 등의 사용에 의해 자극적인 냄새도 발생하여 불쾌감을 주게 된다. 그럼에도, 종래의 물휴지 및 마스크팩에는 부득이하게 보존 및 2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은 등급의 항균제 및 방부제를 높은 함량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공개특허 제2012-0080693호에 개시되어 있는 유기실란 계열인 실리콘제4암모니움염계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octadecyl-(3-trimethoxysilylpropyl)ammonium chloride)는 액체의 흡수성 및 항균기능, 항곰팡이 기능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휴지 및 마스크팩 등의 제품에 사용되는 원단에 항균력 및 항곰팡이 기능을 부여하여 기존에 사용되는 방부제, 항균제의 사용량을 기존 사용량 대비 적게는 50%에서 많게는 100%로까지 줄이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방부제와 항균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물휴지 및 마스크팩 등을 제공할 수 있는 항균 원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물휴지 및 마스크팩 등의 제품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는 하기 화학식 1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octadecyl(3-trimethoxysilylpropyl)ammonium chloride)를 가수분해 하여 얻어지는 하기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octadecyl(3-trihydroxysilylpropyl)ammonium chloride)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을 원단에 흡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원단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는 원단에 0.01 내지 2중량% 함유되도록 흡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 5 내지 20중량%, 에탄올(Ethanol),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용제 50 내지 70중량% 및 물 20 내지 40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항균 원단을 이용하여 된 제품이며, 상기 제품은 물휴지 또는 마스크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원단을 이용한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휴지 및 마스크팩용 원단에 항균성, 항공팡이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물휴지, 마스크팩에 소량의 방부제 및 항균제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항균성을 얻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항균성을 얻을 수 있어 인체 자극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물휴지 및 마스크팩에 사용되는 모든 방부제 및 항균제, 방부기능을 갖는 유기화합물, 무기화합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미생물의 증식 및 곰팡이 증식을 방지하여 악취의 발생이나 외관 변색 등을 방지하여 물휴지 및 마스크팩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시료의 항균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시료의 곰팡이의 방미력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원단은 하기 화학식 1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를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하기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을 원단에 흡수시켜 제조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는 상기 화학식 1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를 가수분해 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원단에 흡수시킬 경우 항균성뿐만 아니라 항곰팡이성까지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제조된 원단을 물휴지 및 마스크팩으로 제조시 충분한 항균성을 얻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항균성을 얻을 수 있어 인체 자극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는 원단에 0.01 내지 2중량% 함유되도록 흡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원단 내에 0.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충분한 항균성과 항곰팡이성을 얻을 수 없으며, 2중량% 이상 함유될 경우 더 이상 증진된 항균성과 항곰팡이성을 얻을 수 없으며, 제조단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원단 내에 함유되도록 하기 위한 항균 조성물은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 5 내지 20중량%, 에탄올(Ethanol),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용제 50 내지 70중량% 및 물 20 내지 40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원단 내에 함유되도록 하기 위한 항균 조성물은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10중량%, 에탄올(Ethanol),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용제 60중량% 및 물 30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항균 조성물을 원단에 흡수시킬 때 상기 항균 조성물을 물에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희석비율은 원단이 물을 흡수해가는 량과 탈수량을 측정한 후 상기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원단에 0.01 내지 2중량% 함유되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원단은 물휴지 및 마스크팩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부직포들 중의 일부 혹은 면(cotton)이나 종이류(pulp) 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항균 조성물을 물과 희석할 때 일반적으로 물휴지나 마스크팩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보습제, 살균 소독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알코올, 향료 등을 통상의 첨가범위 내에서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조된 원단은 물휴지나 마스크팩 등의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물휴지 및 마스크팩은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을 가지고 있어 소량의 방부제 및 항균제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항균성을 얻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항균성을 얻을 수 있어 인체 자극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 물휴지 및 마스크팩에 사용되는 모든 방부제 및 항균제, 방부기능을 갖는 유기화합물, 무기화합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미생물의 증식 및 곰팡이 증식을 방지하여 악취의 발생이나 외관 변색 등을 방지하여 물휴지 및 마스크팩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항균 조성물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 10중량%를 유기용제인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60중량%와 물 30중량%에 녹여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화학식 1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 10중량%를 유기용제인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60중량%와 물 30중량%에 녹여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항균원단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원단은 레이온 65중량%, 페트 30중량%, 코튼 5중량% [이하 “부직포”로 칭함]과 면 100중량% [이하 “순면”으로 칭함]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물 99.475중량%에 제조예에서 제조한 항균 조성물 0.525중량%를 투입하여 희석액을 만든 다음, 여기에 부직포를 적셔 탈수 후 건조하여 화학식 2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0.075중량% 함유된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물 99.2중량%에 제조예에서 제조한 항균 조성물 0.8중량%를 투입하여 희석액을 만든 다음, 여기에 부직포를 적셔 탈수 후 건조하여 화학식 2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0.1중량% 함유된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물 99중량%에 제조예에서 제조한 항균조성물 1중량%를 투입하여 희석액을 만든 다음, 여기에 부직포를 적셔 탈수 후 건조하여 화학식 2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0.125중량% 함유된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물 99.475중량%에 제조예에서 제조한 항균 조성물 0.525중량%를 투입하여 희석액을 만든 다음, 여기에 순면을 적셔 탈수 후 건조하여 화학식 2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0.075중량% 함유된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물 99.2중량%에 제조예에서 제조한 항균 조성물 0.8중량%를 투입하여 희석액을 만든 다음, 여기에 순면을 적셔 탈수 후 건조하여 화학식 2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0.1중량% 함유된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물 99중량%에 제조예에서 제조한 항균조성물 1중량%를 투입하여 희석액을 만든 다음, 여기에 순면을 적셔 탈수 후 건조하여 화학식 2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0.125중량% 함유된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부직포 원단을 물을 적셔 탈수 후 건조하였다.
<비교예 2>
물 99.94중량%에 비교제조예에서 제조한 항균조성물 0.06중량%를 투입하여 희석액을 만든 다음, 여기에 부직포를 적셔 탈수 후 건조하여 화학식 1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0.075중량% 함유된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물 99.92중량%에 비교제조예에서 제조한 항균조성물 0.08중량%를 투입하여 희석액을 만든 다음, 여기에 부직포를 적셔 탈수 후 건조하여 화학식 1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0.1중량% 함유된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물 99.9중량%에 비교제조예에서 제조한 항균조성물 0.1중량%를 투입하여 희석액을 만든 다음, 여기에 부직포를 적셔 탈수 후 건조하여 화학식 1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0.125중량% 함유된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물 99.94중량%에 비교제조예에서 제조한 항균조성물 0.06중량%를 투입하여 희석액을 만든 다음, 여기에 순면을 적셔 탈수 후 건조하여 화학식 1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0.075중량% 함유된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물 99.92중량%에 비교제조예에서 제조한 항균조성물 0.08중량%를 투입하여 희석액을 만든 다음, 여기에 순면을 적셔 탈수 후 건조하여 화학식 1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0.1중량% 함유된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물 99.9중량%에 비교제조예에서 제조한 항균조성물 0.1중량%를 투입하여 희석액을 만든 다음, 여기에 순면을 적셔 탈수 후 건조하여 화학식 1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0.125중량% 함유된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험예1>
항균성 검사방법으로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을 농도 1.0×105~ 1.0×106/㎖ 범위가 되게 조절한 다음 접종하여, 배양기간 2일 경과 후 검체 무게의 10배액이 되게 포스페이트 버퍼를 가한 뒤 30분간 정치한다.
얻어진 액을 뉴트리언트 아가(Nutrient Agar) 평판 배지에 주입한 후 35±1℃에서 48±2시간동안 배양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초기 2.5 × 105
48시간 후 <50 <10 <10 <10 <10 <10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초기 2.5 × 105
48시간 후 2.1×105 <100 <10 4.3×103 <50 <10 <10
상기 표 1 및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원단의 경우 항균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에 비하여 항균력이 매우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화학식 1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와 화학식 2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각각 동일한 함량으로 함유되도록 원단을 제조한 비교예 2와 실시예1, 비교예 3과 실시예 2, 비교예 4와 실시예 3, 비교예 5와 실시예 4, 비교예 6과 실시예 5 및 비교예 7과 실시예 6을 각각 비교해 보면 실시예의 데이터 결과값이 비교예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곰팡이의 방미력 시험 방법으로는 시료를 소독된 플라스틱 용기 안에 넣고 사용곰팡이(Aspergillus niger ATCC 6275외 4종)을 접종하여, 배양기간 4일 경과 후 검체 무게의 10배액이 되게 포스페이트 버퍼를 가한 뒤 30분간 정치한다.
얻어진 액 1㎖를 단계별 희석한 후 ISO 846 아가 평판 배지에 주입한 후 25±1℃에서 96±2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판정은 하기 표 2와 같이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0 No fungal recovery
1 Trace of contamination
2 Light contamination
3 Moderate contamination
4 Heavy contamination
구분 초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48시간 후 4 3 0 1 2 0 2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48시간 후 4 3 3 3 4 2 3
상기 표 3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항균 원단의 경우 항균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에 비하여 방미력이 매우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화학식 1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와 화학식 2의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가 각각 동일한 함량으로 함유되도록 원단을 제조한 비교예 2와 실시예1, 비교예 3과 실시예 2, 비교예 4와 실시예 3, 비교예 5와 실시예 4, 비교예 6과 실시예 5 및 비교예 7과 실시예 6을 각각 비교해 보면 실시예의 데이터 결과 값이 비교예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이가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휴지 및 마스크팩의 보존을 위하여 독성이 있는 여러 가지의 항균제와 방부제를 사용하는 바. 본 발명으로 인하여 방부제 및 항균제 그 외 항균력과 방부력을 가지는 무기물이나 유기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물휴지 및 마스크팩 보존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octadecyl(3-trimethoxysilylpropyl)ammonium chloride)를 가수분해 하여 얻어지는 하기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octadecyl(3-trihydroxysilylpropyl)ammonium chloride)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을 원단에 흡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원단.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는 원단에 0.01 내지 2중량% 함유되도록 흡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원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화학식 2인 디메틸옥타데실(3-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 5 내지 20중량%, 에탄올(Ethanol),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용제 50 내지 70중량% 및 물 20 내지 40중량%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원단.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의 항균 원단을 이용하여 된 제품이며, 상기 제품은 물휴지 또는 마스크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원단을 이용한 제품.
KR1020140038100A 2014-03-31 2014-03-31 항균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20150113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100A KR20150113716A (ko) 2014-03-31 2014-03-31 항균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100A KR20150113716A (ko) 2014-03-31 2014-03-31 항균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716A true KR20150113716A (ko) 2015-10-08

Family

ID=5434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100A KR20150113716A (ko) 2014-03-31 2014-03-31 항균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37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08U (ko) 2015-10-29 2017-05-11 김용수 블라인더용 원단 및 이를 구비하는 블라인더
CN113914098A (zh) * 2020-07-07 2022-01-11 中科鼎晟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08U (ko) 2015-10-29 2017-05-11 김용수 블라인더용 원단 및 이를 구비하는 블라인더
CN113914098A (zh) * 2020-07-07 2022-01-11 中科鼎晟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2007430A1 (zh) * 2020-07-07 2022-01-13 中科鼎晟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341B1 (ko) 항균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
TWI603698B (zh) 浸透入纖維板用之水性組成物
KR20120058571A (ko) 살생물제로서의 1,3-디올의 용도
KR101525987B1 (ko) 물티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KR102228171B1 (ko) 소독제 혼합 조성물
KR101500514B1 (ko) 피부자극이 없는 방부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물티슈
KR102030590B1 (ko) 유산균 생존력과 항균력이 우수한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 섬유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13716A (ko) 항균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870562B1 (ko) 반려동물용 귀세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4512B1 (ko) 항균력과 유산균 증식력이 우수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KR20100078777A (ko) 속효성 항균 손세정제 조성물
CN111418587A (zh) 一种高效家庭织物消毒剂及其制备方法
KR20170130714A (ko)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세정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KR20140034036A (ko) 물티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DE102012208291A1 (de) Antimikrobiell wirksame Zusammensetzungen auf Basis von Zinkverbindung, Glycerinmonoalkylether und Antioxidans
KR101856771B1 (ko) 알킬-pg-디모늄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물티슈용 조성물
JP2002233471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
KR101788179B1 (ko) 방부력이 우수한 저자극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76712B1 (ko)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CN114376933A (zh) 一种婴幼儿手口湿巾抗微生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614671A (zh) 一种安全环保驱蚊液及其制备方法
CN108728261B (zh) 一种环保物理抑菌洗液及其用途
KR101320599B1 (ko) 무방부제 항균 물티슈
KR100749138B1 (ko) 기능성 물티슈
JP2007307287A (ja) 身体拭き取り用の繊維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