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164B1 - 휴대 단말기의 구비에 따른 선택적 주차유도 제어가 가능한 주차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구비에 따른 선택적 주차유도 제어가 가능한 주차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164B1
KR102227164B1 KR1020200031840A KR20200031840A KR102227164B1 KR 102227164 B1 KR102227164 B1 KR 102227164B1 KR 1020200031840 A KR1020200031840 A KR 1020200031840A KR 20200031840 A KR20200031840 A KR 20200031840A KR 102227164 B1 KR102227164 B1 KR 102227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group
guida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정안
이원경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주)참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주)참슬테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구비에 따른 선택적 주차유도 제어가 가능한 주차유도 시스템을 개시한다. 주차유도 시스템은 차량 카드 및 차번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차유도 시스템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카메라 그룹을 포함하는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주차 유도에 관련된 방향지시 정보를 받아 주차장 맵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주차 유도 안내부를 복수로 포함하는 주차 유도 안내 그룹, 및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 및 상기 스마트 폰과 통신함에 의해 결정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방향지시 정보를 주차 유도 안내부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으로 제공하는 주차유도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구비에 따른 선택적 주차유도 제어가 가능한 주차유도 시스템{Parking guidance system capable of selective control of preferred parking guidance according to provision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공공 건물이나 공동 주택의 주차유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구비에 따른 선택적 주차유도 제어가 가능한 주차유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공 건물이나 공동 주택에는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이 마련될 수 있다. 공공 건물은 백화점이나 마트 등과 같은 상업용 건물뿐만 아니라 구청이나 정부 청사 등과 같은 관공서 건물도 포함할 수 있다. 공동 주택은 2가구 이상의 세대가 형성된 집합 건물, 빌라, 연립, 빌라, 또는 타운 하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주차유도 시스템은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할 때 차량을 빈 주차 면으로 안내할 수 있다. 주차유도 시스템은 주차장의 주차면들 각각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혹은 차량이 비어 있는지를 감지 장치나 카메라 장치를 통해 미리 인식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는 주차면들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는 주차유도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주차유도 서버는 주차장 내에 복수로 설치된 카메라 장치들로부터 주차면 이미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차유도 서버는 주차면 이미지 정보를 처리 및 분석하여 주차면들 각각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지의 유무를 인식할 수 있다. 주차유도 서버는 주차 면에 대한 주차 여부를 인식한 후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대상으로 주차유도를 수행할 수 있다.
필요에 의해 복수의 카메라 장치는 하나의 전송 라인을 통해 주차유도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복수의 카메라 장치 중 임의의 카메라 장치에서 고장이 발생되거나 임의의 지점에서 전송 라인이 절단된 경우에 주차유도가 원활히 수행되기 곤란하다.
한편,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미리 등록된 차량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차량일 수도 있다. 또한, 차량에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카드가 비치될 수도 있고 비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는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지닐 수도 있고 지니지 않을 수도 있으며, 주차장 내에서 특정한 구역에 주차를 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경우들을 감안하여 보다 적합한 주차유도 제어의 필요성이 강력히 요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 단말기의 구비에 따른 선택적 주차유도 제어가 가능한 주차유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일 전송 라인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가 주차유도 서버에 연결된 경우에 통신 장애를 해결하거나 줄일 수 있는 주차유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차유도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며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된 차번 인식부, 상기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카메라 그룹과, 상기 주차장의 진입로와 교차로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제2 카메라 그룹을 포함하는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상기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할 때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장의 주차 구역별로 설치된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주차 유도에 관련된 방향지시 정보를 받아 주차장 맵 상에 네비게이션 화면 형태로 표시하는 주차 유도 안내부를 복수로 포함하는 주차 유도 안내 그룹, 및 상기 제1 카메라 그룹을 통해 빈 주차면 정보를 실시간 보유하고,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및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과 통신함에 의해 교차로 차번 인식에 주로 근거하여 결정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되고 등록 인증된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하도록 상기 방향지시 정보를 상기 주차 유도 안내 그룹의 해당되는 주차 유도 안내부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으로 제공하는 주차유도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주차유도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구비 여부에 따라 선택적 주차유도 제어가 적응적 및 효율적으로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일 전송 라인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가 주차유도 서버에 연결되고 통신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 통신 장애가 해결되거나 줄어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중 주차유도 안내 그룹의 주차유도 안내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유도 제어의 예시적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유도 제어의 예시적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유도 제어의 예시적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차로 주차유도 제어의 예시적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카드를 이용한 주차유도 제어의 예시적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도 1중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그룹에 적용가능한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주차장 내의 니어 영역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을 이용한 만공차 표시 제어의 예시적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은 도 1중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그룹의 예시적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만공차 표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중 주차유도 서버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소자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소자나 회로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싱 후의 이미지 처리 동작, 통상적인 주차유도 동작, 블루투스 모듈(또는 장치)이나 차번 인식 장치의 구체적 동작 및 기능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유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의 주차유도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나 차량 카드의 구비에 따른 선택적 주차유도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 유도 시스템은 차량 카드(3), 휴대용 단말기 그룹(50), 차번 인식부(150), 단지 입구 비콘 장치(250), 주차유도 전광판(280), 주차유도 서버(400), 주차유도 안내 그룹(450), 주차위치 서버(460), 주차장 단말기 그룹(500), 및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10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카드(3)는 차량관련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며 차량(1)에 비치된다. 상기 차량 카드(3)는 차량(1)이 단지 입구를 들어올 때 활성화되어 비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에는 상기 차량관련 정보와 운전자 정보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차량 카드(3)는 단지 입구를 들어올 때 활성화되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은 단방향 혹은 양방향 통신일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관련 정보와 운전자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그룹(50)은 복수의 휴대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고 주차유도 관련 어플을 다운받을 수 있는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은 상기 주차유도 관련 어플을 다운한 경우에 상기 주차장 내에서의 네비게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화면 상에는 주차 목적지로 가는 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은 블루투스 통신 시에 차량관련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폰은 블루투스 통신 시에 주차장의 니어 영역 주차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이 운전자에게 휴대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주차 유도 시스템은 스마트 폰으로 주차유도 정보를 제공함이 없이, 상기 주차유도 전광판(280) 혹은 상기 주차유도 그룹(450)을 통해 주차유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번 인식부(150)는 상기 차량(1)의 등록된 번호를 인식하며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번 인식부(150)는 통상의 LPR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차번 인식부(150)는 인식된 차량번호(차번)을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지 입구 비콘 장치(250)는 공동주택의 단지 입구에 설치되어 비콘 신호를 수신하거나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지 입구 비콘 장치(250)는 라인(L2)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 그룹(5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라인(L2)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상기 단지 입구 비콘 장치(250)는 상기 차량 카드(3)를 스캐닝하여 차량관련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지 입구 비콘 장치(250)는 상기 스마트 폰과 통신하여 차량관련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단지 입구 비콘 장치(250)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전광판(280)은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의 제어 하에 주자유도 안내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전광판(280)은 주차장의 입구나 진입로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행 경로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전광판(280)은 주차장의 진입구에서 니어 홈 주차 유도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전광판(280)은 주차유도 서버(400)에 연결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는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1004)내의 제1 카메라 그룹을 통해 빈 주차면 정보를 실시간 보유하고,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1004),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500), 및 상기 스마트 폰과 통신함에 의해 스마트 폰(예 10) 혹은 차량 카드(3)의 정보에 의해 결정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되고 인증된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하도록 상기 방향지시 정보를 상기 주차 유도 안내 그룹(450)의 해당되는 주차 유도 안내부(예 451)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예 10)으로 제공한다.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500)의 제2 카메라 그룹과 통신함에 의해 주차장의 교차로에서 인식된 차번을 수신할 수 있다. 인식된 차번은 주차유도 제어를 위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는 상기 주차면 정보에 기반하여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 하나에 주차되도록 상기 차량(1)을 유도한다.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는 상기 차량을 상기 비어 있는 주차 면들 중 하나로 유도할 때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따른 니어 홈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 면을 우선적으로 찾는다.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는 상기 차량의 이용자에 따른 니어 홈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 면을 찾았을 때, 니어 홈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 면으로 상기 차량을 우선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는 니어 홈 주차 유도를 위해 니어 홈 안내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안내 그룹(450)은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주차 유도에 관련된 방향지시 정보를 받아 주차장 맵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주차장 맵이 아닌 화면 상에 표시하는 주차 유도 안내부(예 451,452)를 복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안내부는 주차장의 레이스 웨이에 설치되는 주차유도 보드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주차위치 서버(460)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5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차위치 서버(460)는 상기 차량(1)이 주차 구역에 주차한 경우에 차량(1)의 주차위치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주차위치 서버(460)는 TCP/IP 통신을 통해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차위치 서버(460)는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로 주차유도와 관련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차량 위치 정보, 차번, 또는 운전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500)은 상기 주차장의 주차 구역별로 설치되고 상기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할 때 상기 차량 카드(3)를 읽어 상기 차량관련 정보와 상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차량(1)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예 510)를 포함하는 주차장 단말기(예 501-505)를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500)내의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예 510)는 라인들(L5, L4))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 그룹(50)내의 스마트 폰(예 10)과 근거리 통신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예 510)는 스마트 폰(예 10)으로부터 송출되는 블루투스 신호를 받아 상기 차량(1)의 차번 혹은 상기 운전자의 거주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1004)은 상기 주차장 내의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카메라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1004)은 상기 주차장의 진입로와 교차로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제2 카메라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그룹(50)내의 스마트 폰(10)은 라인(L5)을 통해 통신망(8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라인(L5)은 근거리 통신 혹은 이동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채널일 수 있다.
상기 통신망(80)은 라인(L6)을 통해 웹서버(300)를 연결하는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웹서버(300)는 TCP/IP 통신을 통해 주차 유도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망(80)은 라인(L7)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600)를 연결하는 통신망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중 주차유도 안내 그룹의 주차유도 안내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장면 P1601은 2대의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될 시, 2개의 차번이 주차 유도 보드와 같은 주차 안내부 상에 표시되는 예를 보여준다. 먼저 진입하는 차량의 차번은 "6326"이고, 후속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번은 "2427"임이 주차 안내부 상에 표시되어 있다. 선 진입하는 차량이 상기 주차 안내부를 통과하게 되면 장면 P160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주차 안내부 상에 표시되어 있던 차번"6326"은 사라지고, 후속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차번 "2427"만이 남게 된다. 한편, 후속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목적지를 향해 계속 직진하는 경우에 장면 P160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주차 안내부상에 차번 "2427"이 표시된다. 마침내 후속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목적지에 도달하면, 장면 P160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해당되는 모든 주차 안내부들 상에는 차번 "2427"이 사라지게 된다.
주차장의 진입로와 교차로 마다 설치 가능한 주차 안내부(450)는 해당 차량의 진입이 차량 카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 및 차번 인식 카메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확인될 시에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의 제어에 의해 주차 유도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유도 제어의 예시적 플로우챠트이다.
동작 S301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차번 인식부(400)로부터 차량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302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단지 입구에 설치된 통신 장치 예컨대 단지 입구 비콘장치(250)로부터 탑승자(예 차량 운전자나 동승자)의 스마트 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마트 폰은 이미 주차유도 어플이 실행되어 있을 수도 있고 주차유도 어플의 실행 직전 단계에 있을 수도 있다. 스마트 폰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탑승자의 정보 즉 차량정보, 전화번호, 및 거주 동호수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S303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상기 차번 인식부(400)로부터 수신된 차량번호와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수신된 탑승자의 정보가 동일 세대에 매칭되는 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101동 501호 거주자의 차량 번호가 56마2301이고 전화번호가 010-257-1254 이라고 가정할 때, 상기 차번 인식부(400)로부터 수신된 차량번호가 56마2301이고 상기 스마트 폰으로부터 수신된 전화번호가 010-257-1254 라면 주차유도 서버(400)는 수신된 차번과 스마트 폰의 정보가 101동 501호 거주자에 소속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동작 S304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주차장에서의 주차유도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주차유도 서비스 전환 명령을 스마트 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유도 서비스 전환 명령은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500)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상기 주차유도 서비스 전환 명령에 응답하여 주차장 네비게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네비게이션 화면에는 주차장의 맵이 표시되고 주차 목적지를 향해 가기 위한 경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작 S305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니어 영역에 관련된 주차유도 제어 서비스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니어 영역은 차량 운전자가 주차하기를 원하는 주차 목적지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니어 영역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별도로 마련된 주차면 일수 있다. 주차장의 복수의 주차면들 가운데 차량 운전자는 니어 영역에 대응되는 주차면들을 미리 등록하여 둘 수 있다. 주차유도 서버(400)는 스마트 폰으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 시에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운전자가 니어 영역을 설정하였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니어 영역의 설정이 스마트 폰을 통해 수행될 경우에도 주차유도 서버(400)는 스마트 폰으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 시에 니어 영역의 설정 정보도 함께 받아 니어 영역에 관련된 주차유도 제어 서비스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니어 영역 주차유도인 경우에 동작 S307로 진행되어 비어있는 니어 영역의 주차면이 주차유도 목적지로 설정되고, 니어 영역 주차유도가 아닌 경우에 동작 S306으로 진행되어 비어있는 노말 영역의 주차면이 주차유도 목적지로 설정될 수 있다. 주차유도 서버(400)는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1004)내의 제1 카메라 그룹을 통해 빈 주차면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 보유 및 관리한다. 따라서 주차유도 목적지는 빈 주차면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시점에서 최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동작 S308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스마트 폰의 정보 및 차량 카드(3)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받아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진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이 주차 목적지로 가도록 하기 위해 주차장 내에서의 교차로에서 차량이 직진을 해야 하는지 아니면 좌 또는 우회전을 해야 하는 지를 유도할 필요가 있으므로,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진입 위치의 결정이 필요하다. 스마트 폰과 차량 카드(3)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 스마트 폰의 정보와 차량 카드의 정보를 모두 이용하면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진입 위치에 대한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폰 및 차량 카드 중의 하나 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차량 진입 위치는 최소한 결정될 수 있다. 주차유도 서버(400)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500)으로부터 차량 진입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500)내의 주차장 단말기들은 주차장의 각 구역별로 설치되어 있다. 주차장 단말기 그룹(500)내의 상기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예 510)는 라인들(L5, L4))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 그룹(50)내의 스마트 폰(예 10)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예 510)는 차량 진입 위치의 결정을 위해 스마트 폰(예 10)으로부터 송출되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309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주차유도 정보를 스마트 폰 및 주차유도 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상기 주차유도 정보를 주차장 단말기 그룹(50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의 화면에는 주차장 네비게이션이 디스플레이되고 주차 목적지로 가는 경로가 통상의 네비게이션 경로 표시와 유사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보드는 상기 주차유도 안내 그룹(450)내의 주차 유도 안내부(예 451,452)중의 하나 일 수 있다. 주차유도 보드에는 주차유도에 관련된 차번 정보 및 방향지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작 S310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해당 차량이 주차 유도 목적지가 있는 있는 방향으로 진행하는 지를 체크한다. 동작 S310은 상술된 차량 진입 위치의 결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S311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해당 차량이 주차 유도 목적지에 도착하였는 지를 체크한다. 마찬가지로 동작 S311은 상술된 차량 진입 위치의 결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S312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주차유도 완료를 스마트 폰 및 주차유도 안내부 중 적어도 하나로 알릴 수 있다. 주차유도 완료가 스마트 폰으로 알려질 경우에 스마트 폰의 주차유도 어플은 완료될 수 있다. 주차유도 완료가 주차유도 보드로 알려질 경우에 주차유도 보드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던 주차유도 정보는 사라지게 된다.
도 3에 따른 주차유도 제어는 차량 카드(3)의 유무에 상관없이 스마트 폰 및 주차유도 안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주차유도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유도 제어의 예시적 플로우챠트이다.
도 4의 동작 S401-412중 동작 S408을 제외한 동작들은 도 3의 동작 S301-307 및 S309-S312와 동일하다.
동작 S408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주차장의 교차로 카메라 장치로부터 차량번호을 받아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진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주차유도 서버(400)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500)의 제2 카메라 그룹과 통신함에 의해 주차장의 교차로에서 인식된 차량의 차번을 수신할 수 있다. 결국, 이 때 인식된 차번은 주차유도 제어를 위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제2 카메라 그룹의 카메라 장치는 차번 인식을 위한 카메라로서 주차장 내의 직진, 좌/우회전이 이루어지는 교차로마다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스마트 폰과 차량 카드(3)가 존재하는 경우에 스마트 폰의 정보와 차량 카드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더 이용하면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진입 위치에 대한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폰 및 차량 카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교차로에서의 차번 인식을 통해 차량 진입 위치는 최소한 결정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주차유도 제어는 차량 카드(3)가 없더라도 주자유도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유도 제어의 예시적 플로우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S501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차번 인식부(400)로부터 차량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S502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차번 인식이 성공하였는 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차번 인식이 실패한 경우에 동작 S503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단지 입구 비콘장치(250)로부터 차량 카드(3)의 정보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 카드(3)는 차량정보, 전화번호, 및 거주 동호수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S504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상기 차번 인식부(400)로부터 수신된 차량번호 혹은 차량 카드(3)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기등록 차량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기등록 차량인 경우에 동작들 S505, S506, 및 S507이 수행된다. 동작들 S505, S506, 및 S507은 도 3을 통해 설명된 동작들 S305, S306, 및 S307에 각기 동일하게 대응된다.
동작 S508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차번 인식을 통해 수신된 차번 혹은 차량 카드(3)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받아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진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차번 인식 및 차량 카드(3)의 정보를 모두 이용하면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 진입 위치에 대한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차번 인식 카메라 및 차량 카드 중의 하나 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차량 진입 위치는 최소한 결정될 수 있다.
동작 S509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주차유도 정보를 주차유도 보드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유도 보드에는 주차유도에 관련된 차번 정보 및 방향지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작 S509의 수행 이후에는 동작들 S510-S512가 수행된다. 상기 동작들 S510-S512 은 도 3에서 기 설명된 바와 같은 동작들 S310-S312에 각기 동일하게 대응된다.
도 5에 따른 주차유도 제어는 스마트 폰이 없더라도 차량 카드(3)만에 의해 주자유도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차로 주차유도 제어의 예시적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폰의 정보를 이용한 교차로 주차유도 제어의 세부적인 동작이 나타나 있다. 동작 S601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차량이 단지 출입구를 통과한 경우에 니어 홈 영역의 서비스 결정을 수행한다. 니어홈 영역의 서비스 결정은 운전자의 스마트 폰이 니어홈 서비스에 등록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동작 S602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단지 입구에 설치된 통신 장치 예컨대 단지 입구 비콘장치(250)를 통해 스마트 폰으로 스타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타트 신호는 스마트 폰으로 주차장에서의 주차유도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주차유도 서비스 전환 명령에 대응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상기 스타트 신호에 응답하여 주차장 네비게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네비게이션 화면에는 주차장의 맵이 표시되고 주차 목적지를 향해 가기 위한 경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작 S603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스마트 폰으로부터 위치 확인용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BLE 신호에는 운전자의 정보 즉 차량정보, 전화번호, 및 거주 동호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동작 S604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이동 경로 상의 교차로 방향 지시등 예컨대 주차유도 보드에 차량번호와 이동방향(경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동작 S605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차량이 해당 교차로를 통과하였는 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차량의 통과 여부는 상기 BLE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진입 위치를 확인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BLE 신호에는 RSSI신호 뿐만 아니라 방향 탐지 기능의 지원을 위한 방향성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노르딕의 nRF52 시리즈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현된 nRF52811 SoC는 보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블루투스 5.1의 방향 탐지 기능은 물론, 스레드 및 지그비와 같은 무선 사물인터넷(IoT) 기능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방향성 정보는 RSSI 신호 세기만을 이용한 삼각 측량 없이도, 차량의 위치확인을 위해 차량의 다가옴 혹은 멀어짐을 인식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차량이 통과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동작 S607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해당 교차로의 방향 지시등에 표시된 해당 차량의 방향 지시용 디스플레이 정보를 오프한다. 즉, 차량의 통과 시에 주차유도 보드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던 차량번호와 이동방향(경로)의 정보는 사라지게 된다.
차량이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동작 S605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설정된 시간 동안 BLE 신호의 수신이 없는 지를 체크한다. BLE 신호의 수신이 없는 경우에 전술된 동작 S607이 수행된다.
동작 S608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해당 차량이 주차 유도 목적지에 도착하였는 지를 체크한다. 마찬가지로 동작 S608은 상술된 차량 진입 위치의 결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S609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만공차등 점멸을 중지하고 주차유도 완료를 주차유도 안내부로 알릴 수 있다. 주차유도 완료가 주차유도 보드로 알려질 경우에 주차유도 보드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던 주차유도 정보는 사라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카드를 이용한 주차유도 제어의 예시적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카드(3)를 이용한 교차로 주차유도 제어의 세부적인 동작이 나타나 있다.
동작 S701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이동 경로상의 모든 교차로 방향 지시등에 차량번호와 이동방향을 디스플레이한다. 주차유도 보드에는 주차 목적지를 향해 가기 위한 차량번호와 경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작 S702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차량 카드(3)로부터 BLE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BLE 신호에는 운전자의 정보 즉 차량정보, 전화번호, 및 거주 동호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동작 S703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BLE 신호가 점점 커지는 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BLE 신호의 세기가 점점 세어지는 경우에 차량은 차량 위치 결정 지점으로 더 가까지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여기서 BLE 신호의 세기는 통상의 삼각 측량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동작 S704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설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을 경우에 동작 S702로 진행한다.
BLE 신호가 점점 커지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동작 S705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해당 차량이 주차 유도 경로 상의 교차로의 특정 지점에 다가오고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동작 S706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차량 카드(3)로부터 BLE 신호를 다시 수신한다.
동작 S707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차량 카드(3)로부터 수신되는 BLE 신호가 점점 작아지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BLE 신호가 점점 작아지는 경우, 동작 S709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해당 차량이 주차 유도 경로 상의 교차로의 특정 지점을 통과 혹은 벗어난 것으로 결정한다.
차량이 주차 유도 경로 상의 교차로의 특정 지점을 통과하거나 벗어난 경우에 동작 S710에서, 주차유도 서버(400)는 해당 교차로의 방향 지시등에 표시된 해당 차량의 방향 지시용 디스플레이 정보를 오프한다. 즉, 차량의 통과 시에 주차유도 보드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던 차량번호와 이동방향(경로)의 정보는 사라지게 된다.
도 8은 도 1중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그룹(1004)에 적용가능한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는 이미지 센서(110),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 및 만공차 표시부(예 도 12의 161,162)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110)는 주차장에 구획된 주차면들의 이미지를 전방위 카메라 렌즈를 통해 받아 촬상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110)는 예컨대 "Sony IMX291"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위 카메라 렌즈는 어안 렌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어안 렌즈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주차면들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렌즈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어안 렌즈는 12개의 주차면들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은 상기 이미지 센서(110)를 통해 촬상된 상기 주차면들의 이미지를 캡쳐링 후 처리하여, 상기 주차면들 상의 주차 상태를 나타내는 만공차 표시 제어신호를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만공차 표시 제어신호는 주차된 원본 이미지를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한 후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를 영상 이진화한 이진화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이진화 이미지 내에서 타겟 영역내의 이미지가 빈 주차면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각각에서 타겟 영역내의 에지(Edge)를 검출하고 이들을 서로 비교함에 의해 해당 주차면에서의 주차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은 영상처리부(101), 비디오 코덱(102), 버스(103), 및 주차유도 제어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01)는 상기 이미지 센서(110)를 통해 촬상된 상기 주차면들의 이미지를 캡쳐링 후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01)는 상기 주차면들의 이미지를 영상처리(ISP)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한다.
상기 비디오 코덱(102)은 이미지 데이터를 코딩 및 디코딩한다. 상기 비디오 코덱(102)은 엠펙4(MPEC4;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혹은 제이펙(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압축률이 높은 코덱을 사용하면 데이터 처리 및 전송에 필요한 자원이 줄어들고 최종 저장되는 데이터량도 줄어든 다. 코덱의 구현 가격과 압축률은 트레이드 오프될 필요성이 있다.
상기 버스(103)는 WISHBONE 버스일 수 있다. 상기 버스(103)는 상기 영상처리부(101) 및 비디오 코덱(102)와 주차유도 제어부(104)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버싱한다.
상기 주차유도 제어부(104)는 상기 촬상된 상기 주차면들의 이미지를 캡쳐링 후 처리하여, 상기 주차면들 상의 주차 상태를 나타내는 만공차 표시 제어신호를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제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주차유도 제어부(104)는 ExRISC 32비트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은 메인 SOC로서 예를 들어 Eyenix EN673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제어부(104)는 도 1의 주차유도 서버(400)의 서브 제어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제어부(104)의 제어 기능에 기인하여 도 1의 주차유도 서버(400)의 처리 부하는 대폭적으로 경감될 수 있다.
상기 만공차 표시부(도 3의 161,162)는 상기 만공차 표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적색 혹은 녹색과 같이 설정된 색의 빛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고유한 기술적 사상에 따라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를 구성하는 상기 이미지 센서(110), 상기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 및 상기 만공차 표시부(도 3의 161,162)는 일체로 혹은 분리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는 주차장 내에서 상기 주차면들의 이미지(예를 들어 12개 주차면들)를 촬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는 메모리부(120), 및 인터페이스부(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20)는 주차유도 제어부(104)와 연결되어 주차유도에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불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6)는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의 외부에 위치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싱을 담당한다. 예컨대 외부에 위치된 장치는 주차유도 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06)는 이더넷 통신부(130), RS485 통신부(140), UART 통신부(150), 및 GIPO(16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GIPO(160)에는 상기 만공차 표시부(도 12의 161,162)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더넷 통신부(130) 및 RS485 통신부(140)에는 주차유도 서버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UART(150)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BLE)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UART(150) 또는 기타 통신 인터페이스에는 주차장의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가 캡쳐링 화질의 안정화를 위해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주차장 내의 니어 영역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주차장(202)은 출입구(302)를 기준으로 니어 영역(204)과 노말 영역(206)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주차면들의 개수가 예를 들어 150개인 경우에 1번 내지 30번 주차면은 상기 니어 영역(204)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31번 내지 150번 주차면은 노말 영역(206)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니어 영역(204)은 입출입구(302)를 기준으로 설정된 것이며 상황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202)은 출입구(302)와는 무관하게 설정 니어 영역과 노말 영역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설정 니어 영역은 출입구(302)와는 무관하게 이용자의 설정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이용자가 전기 자동차를 가진 경우 충전 커넥터가 31번 내지 40번 주차 면에 설치되었다면, 31번 내지 40번 주차 면이 설정 니어 영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니어 영역은 사용자가 주차하기를 희망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을 이용한 만공차 표시 제어의 예시적 플로우챠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S201에서,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은 모션 감지 혹은 동체 감지가 있을 경우에 이미지 센서(110)를 통해 촬상된 주차면들의 이미지를 캡쳐링한다.
동작 S202에서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은 상기 캡쳐링된 이미지를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하고 영상 이진화를 수행한다.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은 영상 이진화의 수행 후에 에지를 검출한다.
동작 S203에서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은 주차장 조명이 디밍 제어중인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디밍 제어중 유무의 체크는 조도 센서의 센싱 값을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주차장 조명이 디밍 제어중인 경우에는 동작 S204가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S204는 주차장 조명등 켜짐에 대한 보정값을 적용하거나 디밍 상태 완료시까지 대기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예컨대 주차장의 조명이 60% 조도로 설정된 경우 80% 조도에서 이미지 캡쳐링이 되었다면 증가된 조도에 대하여 20%만큼 낮출 필요가 있다. 즉 이미지 캡쳐링의 조도를 60% 조도로 설정하는 보정값 적용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주차장 조명이 디밍 제어 중이 아닌 경우 및 상기 동작 S204의 수행 후에는 동작 S205가 수행된다. 동작 S205에서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은 주차면의 주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영상 이진화의 수행 후에 이미지의 에지가 설정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지를 체크한다.
영상 이진화의 수행 후에 이미지의 에지가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되면, 동작 S206에서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은 해당 주차면을 주차된 상태로 설정한다.
한편, 영상 이진화의 수행 후에 이미지의 에지가 설정 값 미만으로 검출되면, 동작 S207에서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은 해당 주차면을 주차되지 않는 상태 즉 비어있는 상태로 설정한다.
상기 동작 S206이 수행된 후에는 동작 S208이 수행되고, 상기 동작 S207이 수행된 후에는 동작 S209이 수행된다.
상기 동작 S208과 동작 S209는 모두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에 의해 수행되며, 해당 주차면이 포함된 설정 구역의 전체 주차면 상태를 재설정하는 동작이다.
동작 S210에서 주차유도 시스템 온 칩(100)은 설정된 구역이 모두 주차된 상태인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예를 들어 12개의 주차면들 모두가 주차되어 있는 상태라면 만공차 표시는 동작 S211에서 적(RED)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12개의 주차면들 중에서 1개 이상이 비어있는 상태라면 만공차 표시는 동작 S212에서 녹(GREEN)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12개의 주차면들 모두에 대응하여 발광표시는 하나로 될 수 있지만, 2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질 경우 6개의 주차면들에 대응하여 발광표시가 하나씩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발광표시는 지정된 1개 이상의 주차면에 대응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를 통해 촬상된 상기 주차면들의 이미지를 캡쳐링 후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가 자체적으로 이미지를 처리하여, 주차면들 상의 주차 상태를 나타내는 만공차 표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는 이더넷 통신부(130)를 통해 주차유도 서버로 만공차 표시 상태의 결과 값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는 이더넷 통신부(130)를 통해 주차유도 서버(400)와 통신하여 통신망 상태 응답을 수신하고 주차유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도 11은 도 1중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그룹(1004)의 예시적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주차유도 시스템은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1,1000-2,…,1000-8)를 포함하는 상기 카메라 장치 그룹(1004)과, 허브(1300)를 통해 상기 카메라 장치 그룹(1004)과 연결되며 주차장 이용자의 차량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장치 그룹을 2개의 망 그룹으로 나눌 경우에 절체 제어장치(1100)를 기준으로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1~1000-4)는 제1 그룹 망으로,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5~1000-8)는 제2 그룹 망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도시의 편의상 하나의 그룹 망이 4개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하나의 그룹 망은 6개, 8개, 혹은 10개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제1 그룹 망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1~1000-4)는 하나의 전송 라인에 멀티 드롭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그룹 망에 속하는 상기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5~1000-8)는 다른 하나의 전송 라인에 멀티 드롭 방식으로 연결된다.
임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1)는 도 8과 같이 구성되어 도 1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만공차 표시 제어를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는 통신망 상태 응답 및 주차유도 총괄 제어나 지원을 위해, 상기 허브(1300)에 2개의 통신망들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들(1000-1,1000-2,…,1000-8)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치 그룹(1004) 내에서 상기 절체 제어장치(1100)는 상기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중 선택된 카메라 장치들(1000-1,1000-5) 간에 설치되어 상기 통신망들에서 통신 장애 혹은 라인(또는 회선) 절단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통신망들 간의 통신 경로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허브(1300)에 연결된 2개의 통신망들이 모두 정상적인 상태로 되어 통신수행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절체 제어장치(1100)는 상기 2개의 통신망들 간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지 않거나 차단한다. 즉,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들(1000-1,1000-5) 간의 통신 경로는 절단된 상태로 제어된다. 이 경우에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1~1000-4)를 포함하는 제1 그룹 망은 상기 허브(1300)를 통해 주차유도 서버(400)와 통신한다. 또한,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5~1000-8)를 포함하는 제2 그룹 망도 상기 허브(1300)를 통해 주차유도 서버(400)와 통신한다.
2개의 통신망들 중 하나의 통신망이 비상적인 상태로 되어 통신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에 상기 절체 제어장치(1100)는 상기 2개의 통신망들 간의 통신 경로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2 그룹 망 내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7)와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8) 간의 전송 라인이 절단된 경우에 주차유도 서버(400)는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들(1000-5, 1000-6, 1000-7)과 통신하지 못한다. 이 경우에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들(1000-1,1000-5) 간의 통신 경로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그룹망과 제2 그룹 망은 상기 허브(1300)를 기준으로 폐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절체 제어장치(1100)에 의한 통신 경로 형성에 의해,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1~1000-4)를 포함하는 제1 그룹 망은 물론 제2 그룹 망 내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들(1000-5, 1000-6, 1000-7)은 상기 허브(1300)를 통해 주차유도 서버(400)와 통신한다. 또한, 제2 그룹 망 내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8)도 상기 허브(1300)를 통해 주차유도 서버(400)와 통신한다. 결국, 상기 절체 제어장치(1100)에 의한 통신 경로 형성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표시된 화살 방향(AR1)을 따라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1~1000-4)를 포함하는 제1 그룹 망과 제2 그룹 망 내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들(1000-5, 1000-6, 1000-7)은 통신 단절 없이 주차유도 서버(4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절체 제어 장치(1100)는 상기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중 특정 장치(예 1000-8)에서 통신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특정 장치와 상기 회선 절체 제어 장치 간에 속한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5~1000-7)의 통신 방향을 통신 장애가 발생되기 이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절체 제어장치(1100)는 설정된 주기 혹은 특정 타임 마다 상기 허브(1300) 혹은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와 통신하여 통신망 상태 요청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허브(1300) 혹은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는 상기 통신망 상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통신망 상태 응답을 절체 제어장치(1100)로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절체 제어장치(1100)가 상기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중 선택된 카메라 장치들(1000-1,1000-5) 간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카메라 장치들(1000-1,1000-5)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절체 제어장치(1100)는 제1,2 그룹망들 중 하나에 속하고 상기 허브(1300)에 대하여 가장 먼 곳에 위치한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예: 1000-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차유도 서버(400)는 상기 제1,2 그룹 망들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들로 주차유도의 총괄 제어 혹은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차유도 지원은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들에 각종 파라미터들을 일괄 세팅하는 일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유도 지원은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들에서 수신된 요청 예를 들어 주차면 만공차 상태 이미지에 대한 정밀 분석요청을 받은 경우에 그 분석 요청에 대한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밀 분석은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에서 제공되는 스틸 이미지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1에서 상기 절체 제어장치(1100)는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체 제어장치(1100)가 설치되는 경우 특정 카메라 장치에서 통신 장애가 발생되면 상기 특정 장치와 상기 절체 제어 장치 간에 속한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들의 통신 방향이 통신 장애가 발생되기 이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통신 장애가 해결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만공차 표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8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100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 만공차 표시등(161)과 만공차 표시등(162)에 대한 주차유도 표시가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주차 안내부나 스마트 폰을 통해 주차 유도를 받지 않는 경우에도 주차장 이용자는 만공차 표시등(161)이 녹색으로 점등되어 있음을 보고서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 해당 위치의 빈 주차면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주차장 이용자는 만공차 표시등(162)이 적색으로 점등되어 있음을 보고서 해당 위치에서 빈 주차면이 없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2의 만공차 표시등(162)의 점멸은 스마트 폰 네비게이션 혹은 주차유도 보드를 통한 주차 유도제어와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중 주차유도 서버(400)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이다.
주차유도 서버(400)는 차량 번호판 모듈(412), 주차장 단말기 모듈(414), 웹서버 연동 모듈(416), 주차유도 보드 연동모듈(418), 맵 매치 위치 계산 모듈(420), 주차유도 방향 연산모듈(422), 니어홈 안내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번호판 모듈(412)은 차량 번호 즉 차번 정보를 수신하거나 차번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주차장 단말기 모듈(414)은 주차장 단말기(예 501)와 통신하여 차량 카드 혹은 스마트 폰의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웹서버 연동 모듈(416)은 웹서버(300)와 연동되어 통신망(80)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주차유도 보드 연동모듈(418)은 주차유도 보드(예 451)를 구동하여 주차유도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맵 매칭 위치 계산 모듈(420)은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를 받아 차량의 진입 위치가 주차장의 맵 상에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주차유도 방향 연산모듈(422)은 주차장의 각 교차로에서 차량이 직진, 좌/우 회전을 할 것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니어홈 안내부(410)는 주차유도 서버(400)의 제어 하에 니어 홈 안내를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니어홈 안내부(410)는 주차유도 제어 시에 수신된 운전자의 정보를 서치하여 니어홈 안내 대상 차량인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주차유도를 위해 사용되는 통신 방식이나 통신기기들에 대한 세부적 제어기능이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400: 주차유도 서버
410: 니어 홈 안내부
450: 주차유도 안내 그룹
460: 주차위치 서버
500: 주차장 단말기 그룹
1004: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Claims (12)

  1.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며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된 차번 인식부;
    상기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카메라 그룹과 상기 주차장의 교차로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제2 카메라 그룹을 포함하는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상기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할 때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장의 주차 구역별로 설치된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주차 유도에 관련된 방향지시 정보를 받아 주차장 맵 상에 네비게이션 화면 형태로 표시하는 주차 유도 안내부를 복수로 포함하는 주차 유도 안내 그룹; 및
    상기 제1 카메라 그룹을 통해 빈 주차면 정보를 실시간 보유하고,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및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과 통신함에 의해 스마트 폰의 정보에 적어도 근거하여 결정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되고 등록 인증된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하도록 상기 방향지시 정보를 상기 주차 유도 안내 그룹의 해당되는 주차 유도 안내부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으로 제공하는 주차유도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는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신호와 상기 제2 카메라 그룹에 의한 인식된 차량의 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함에 의해 결정되는 주차유도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신호는 방향 탐지 기능의 지원을 위한 방향성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4. 상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며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된 차번 인식부;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카메라 그룹을 포함하는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상기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할 때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장의 주차 구역별로 설치된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주차 유도에 관련된 방향지시 정보를 받아 주차장 맵 상에 네비게이션 화면 형태로 표시하는 주차 유도 안내부를 복수로 포함하는 주차 유도 안내 그룹;
    상기 제1 카메라 그룹을 통해 빈 주차면 정보를 실시간 보유하고,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및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과 통신함에 의해 스마트 폰의 정보에 적어도 근거하여 결정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되고 등록 인증된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하도록 상기 방향지시 정보를 상기 주차 유도 안내 그룹의 해당되는 주차 유도 안내부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으로 제공하는 주차유도 서버; 및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의 카메라 장치들 중 선택된 카메라 장치들 간에 연결되어 통신망 장애가 발생되었을 때 통신망들 간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절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중 특정 장치에서 통신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 상기 특정 장치와 상기 절체 제어 장치 간에 속한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의 통신 방향을 통신 장애가 발생되기 이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6. 삭제
  7. 차량관련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며 차량에 비치되는 차량 카드;
    상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며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된 차번 인식부;
    상기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주차장 내의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카메라 그룹을 포함하는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상기 주차장의 주차 구역별로 설치되고 상기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할 때 상기 차량 카드를 읽어 상기 차량관련 정보와 상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주차 유도에 관련된 방향지시 정보를 받아 주차장 맵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주차 유도 안내부를 복수로 포함하는 주차 유도 안내 그룹; 및
    상기 제1 카메라 그룹을 통해 빈 주차면 정보를 실시간 보유하고,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 및 상기 스마트 폰과 통신함에 의해 스마트 폰 및 차량 카드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되고 인증된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하도록 상기 방향지시 정보를 상기 주차 유도 안내 그룹의 해당되는 주차 유도 안내부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으로 제공하는 주차유도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는 상기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신호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통해 수신함에 의해 결정되는 주차유도 시스템.
  8. 차량관련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며 차량에 비치되는 차량 카드;
    상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며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된 차번 인식부;
    상기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주차장 내의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카메라 그룹을 포함하는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상기 주차장의 주차 구역별로 설치되고 상기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할 때 상기 차량 카드를 읽어 상기 차량관련 정보와 상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주차 유도에 관련된 방향지시 정보를 받아 주차장 맵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주차 유도 안내부를 복수로 포함하는 주차 유도 안내 그룹; 및
    상기 제1 카메라 그룹을 통해 빈 주차면 정보를 실시간 보유하고,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 및 상기 스마트 폰과 통신함에 의해 스마트 폰 및 차량 카드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되고 인증된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하도록 상기 방향지시 정보를 상기 주차 유도 안내 그룹의 해당되는 주차 유도 안내부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으로 제공하는 주차유도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는 상기 차량 카드의 정보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통해 수신함에 의해 결정되는 주차유도 시스템.
  9. 차량관련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며 차량에 비치되는 차량 카드;
    상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며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된 차번 인식부;
    상기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주차장 내의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카메라 그룹을 포함하는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상기 주차장의 주차 구역별로 설치되고 상기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할 때 상기 차량 카드를 읽어 상기 차량관련 정보와 상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주차 유도에 관련된 방향지시 정보를 받아 주차장 맵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주차 유도 안내부를 복수로 포함하는 주차 유도 안내 그룹;
    상기 제1 카메라 그룹을 통해 빈 주차면 정보를 실시간 보유하고,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 및 상기 스마트 폰과 통신함에 의해 스마트 폰 및 차량 카드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되고 인증된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하도록 상기 방향지시 정보를 상기 주차 유도 안내 그룹의 해당되는 주차 유도 안내부 및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스마트 폰으로 제공하는 주차유도 서버; 및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의 카메라 장치들 중 선택된 카메라 장치들 간에 연결되어 통신망 장애가 발생되었을 때 통신망들 간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회선 절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10. 차량관련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며 차량에 비치되는 차량 카드;
    상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며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된 차번 인식부;
    상기 주차장으로 향하는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 카드를 읽어 상기 차량관련 정보와 상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복수의 주차면들에 대응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서의 빈 주차면이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제1 카메라 그룹과, 상기 주차장의 진입로와 교차로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제2 카메라 그룹을 포함하는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상기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여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할 때 상기 차량 카드를 읽어 상기 차량관련 정보와 상기 운전자 정보를 획득하는 제2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장의 주차 구역별로 설치된 주차장 단말기를 복수로 구비하는 주차장 단말기 그룹;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주차 유도에 관련된 방향지시 정보를 받아 주차장 맵 상에 표시하는 주차 유도 안내부를 복수로 포함하는 주차 유도 안내 그룹; 및
    상기 제1 카메라 그룹을 통해 빈 주차면 정보를 실시간 보유하고,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부, 상기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그룹, 및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과 통신함에 의해 주차장 내에서의 차번 인식 및 상기 차량 카드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주차장으로 진입되고 등록 인증된 차량이 상기 주차 유도 목적지로 향하도록 상기 방향지시 정보를 상기 주차 유도 안내 그룹의 해당되는 주차 유도 안내부로 제공하는 주차유도 서버를 포함하는 주차유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는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신호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통해 더 수신함에 의해 추가로 결정되는 주차유도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는 상기 차량 카드의 정보를 상기 주차장 단말기 그룹을 통해 수신함에 의해 결정되는 주차유도 시스템.
KR1020200031840A 2020-03-16 2020-03-16 휴대 단말기의 구비에 따른 선택적 주차유도 제어가 가능한 주차유도 시스템 KR102227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840A KR102227164B1 (ko) 2020-03-16 2020-03-16 휴대 단말기의 구비에 따른 선택적 주차유도 제어가 가능한 주차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840A KR102227164B1 (ko) 2020-03-16 2020-03-16 휴대 단말기의 구비에 따른 선택적 주차유도 제어가 가능한 주차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164B1 true KR102227164B1 (ko) 2021-03-12

Family

ID=7517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840A KR102227164B1 (ko) 2020-03-16 2020-03-16 휴대 단말기의 구비에 따른 선택적 주차유도 제어가 가능한 주차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1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7906A (zh) * 2021-07-21 2021-10-08 深圳市纵停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管理系统
KR102527640B1 (ko) * 2022-02-16 2023-05-02 케이엠이엔씨(주) 복수의 어안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주차유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581A (ko) * 2000-12-07 2002-06-19 구자홍 Dsrc를 이용한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KR20180057801A (ko) * 2016-11-22 2018-05-31 탑라이트 주식회사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00842A (ko) * 2017-03-02 2018-09-12 (주)월드정보기술 주차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581A (ko) * 2000-12-07 2002-06-19 구자홍 Dsrc를 이용한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KR20180057801A (ko) * 2016-11-22 2018-05-31 탑라이트 주식회사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00842A (ko) * 2017-03-02 2018-09-12 (주)월드정보기술 주차 안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7906A (zh) * 2021-07-21 2021-10-08 深圳市纵停科技有限公司 一种停车场管理系统
KR102527640B1 (ko) * 2022-02-16 2023-05-02 케이엠이엔씨(주) 복수의 어안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주차유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74695B (zh) 智能照明系统、智能车辆及其车辆辅助驾驶系统和方法
KR100981274B1 (ko) 자동 조명제어 시스템
KR101876557B1 (ko)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WI536330B (zh) 停車管理系統與燈源裝置
KR102227164B1 (ko) 휴대 단말기의 구비에 따른 선택적 주차유도 제어가 가능한 주차유도 시스템
KR102197704B1 (ko) 실내주차장에서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KR102224247B1 (ko) 다이렉트 주차유도 카메라 장치
KR101857421B1 (ko)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KR101015577B1 (ko) 자동 조명제어 기능을 구비한 영상녹화장치
KR20180057802A (ko) IoT 융합형 집합건물 주차장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114807B (zh) 用于探测位于停车场内的突起对象的方法和系统
KR20210156394A (ko) 주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2802363A (zh) 基于全景视频和人脸识别技术的智能引导系统和方法
KR102501642B1 (ko) 차량간 통신기능을 이용한 주차유도 방법 및 그 장치
KR102357138B1 (ko)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KR102457783B1 (ko) 스마트홈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JP2020086744A (ja) 停止位置制御装置、停止位置制御方法、及び停止位置制御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393619B1 (ko) 딥러닝을 이용한 주차지도 제작 및 주차장내 차량위치확인 시스템
KR20190099987A (ko) 차량 융합 인식 기술을 이용한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KR20150074272A (ko)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74424A (ko) 주차공간 이용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차공유시스템
KR20150068680A (ko) 스마트 주차 안내 단말기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주차 안내 방법
KR101703567B1 (ko) IoT기반 무선 주차관제시스템
CN204178561U (zh) 一种超声波与视频相结合的寻车查询系统
KR102208615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무선 비상벨 장치를 포함하는 주차위치 확인 및 주차유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