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006B1 -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 - Google Patents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006B1
KR102227006B1 KR1020200141743A KR20200141743A KR102227006B1 KR 102227006 B1 KR102227006 B1 KR 102227006B1 KR 1020200141743 A KR1020200141743 A KR 1020200141743A KR 20200141743 A KR20200141743 A KR 20200141743A KR 102227006 B1 KR102227006 B1 KR 10222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block
dyke
blocking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건호
Original Assignee
태동건설(주)
조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동건설(주), 조건호 filed Critical 태동건설(주)
Priority to KR102020014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1/00Control of undesirable vegetation on roads or similar surfaces or permanent ways of railways, e.g. devices for scorching weeds or for applying herbicides; Applying liquids, e.g. water, weed-killer bitumen, to permanent w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이 자라서 도로로 침범하거나 야생동물이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목적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한쪽에 설치되는 도로블록과, 상기 도로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도로를 벗어난 지면에서 식물이 자라서 상기 도로로 침범하거나 야생동물이 상기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블록 및 상기 도로블록과 상기 차단블록 중 적어도 어느 블록을 상기 도로 또는 상기 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도로의 다이크 기능과 방초 및 야생동물 차단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도로 옆의 지면 경사각에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Multi-purpose mats for herbicide and wildlife prevention}
본 발명은 식물이 자라서 도로로 침범하거나 야생동물이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목적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도로를 벗어나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도로 주변에는 차량의 도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레일이 설치되고, 가드레일에는 절벽, 급경사, 굴곡 도로 등 안전운행을 위하여 운전자에게 도로의 상태나 도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표시판이나 야광 반사판 등의 각종 교통안전시설물이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가드레일 주변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가드레일 주변의 바닥에서 각종 잡초나 풀 등이 성장하여 교통안전시설물을 가리게 됨으로써 안전운전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도로 주변의 경관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가드레일이 설치된 주변 바닥에서 자라는 각종 잡초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주기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나, 제조작업이 낫이나 제초기 등을 이용한 수작업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성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도로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특성상 차량에 의한 사고는 물론, 낫이나 제초기 등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가드레일 주변의 바닥을 시트(또는 매트)로 덮어 각종 풀이 자라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는 바,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763313호에는 "벨크로드를 이용한 방초시트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70900호에는 "방초매트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779925호에는 "친환경 방초매트"가 개시되어 있고, 국내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440943호에는 "도로변 풀 성장 방지 매트" 등이 개시되어 있는바,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벨크로드를 이용한 방초시트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방초시트의 가드레일 방향 양 단부에 벨크로드를 구비하여 시트와 시트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고, 가드레일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의 시트 일측단부가 도로측 경계석에 접착되며, 시트를 관통하여 바닥에 박히는 고무팩에 의해 시트의 타측단부가 고정하는 구조로서, 잡초 등이 자라지 못하게 하는 방초수단으로서 유연한 재질의 시트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방초매트 및 그 제조방법"은 난연처리된 폴리에틸렌 섬유나 폴리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또는 이들이 혼합된 섬유로 이루어진 하부층과, 유브이(UV) 처리된 폴리에틸렌 섬유나 폴리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또는 이들이 혼합된 섬유로 이루어진 표면층이 상기 하부층에 결합된 이층 구조의 방초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친환경 방초매트"는 흡습력이 좋고 방염처리된 잡파사로 이루어진 흡습층과, 흡습층 상에 결합되며 수분증발을 방지하되 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기포층과, 기포층 상에 결합되며 잡초가 자라지 못하게 하는 표면층 등으로 이루어진 방초매트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의 "도로변 풀 성장 방지 매트"는 고무로 만들어지며 바닥에 깔리는 본패드와, 상기 본패드 상측에 형성되고 지주의 형상에 대응되는 지주수용부가 형성된 보조패드 등으로 구성된 풀 성장 방지 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드레일이 설치된 바닥에 잡초가 자라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유연한 재질의 시트(또는 매트)를 바닥에 깔아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는바,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방초 시트가 노후화되면서 변색 등에 의해 외관이 쉽게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강풍이나 태풍 등에 의해 시트가 펄럭이면서 지속적으로 소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경시변화에 의해 내구성이 떨어져 야생동물이나 태풍 등의 기타 외적인 여건에 의해 찢기는 등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방초 시트가 찢긴 경우에는 그 부위가 바람에 휘날리게 되면서 도로 주변의 경관을 해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방초 시트 또는 매트는 지주와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그 틈 사이로 잡초가 자라날 수 있어 도로 주변에서 잡초의 성장을 방지하고자 하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방초매트는 지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다이크와 방초매트를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지면의 다양한 경사각에 대응할 수 없어서 매번 경사각이 다른 방초매트를 제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779925호(공고일자 2007.11.29)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0943호(공고일자 2008.07.0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의 다이크 기능과 방초 및 야생동물 차단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도로 옆의 지면 경사각에 대응할 수 있는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의 한쪽에 설치되는 도로블록과, 상기 도로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도로를 벗어난 지면에서 식물이 자라서 상기 도로로 침범하거나 야생동물이 상기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블록 및 상기 도로블록과 상기 차단블록 중 적어도 어느 블록을 상기 도로 또는 상기 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차단블록은,
상기 도로블록으로부터 회전하되, 상기 지면의 경사각에 대응할 수 있다.
또, 상기 차단블록은,
상기 도로블록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또, 상기 도로블록은 한 부분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블록은 한 부분에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면 상기 도로블록으로부터 상기 차단블록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로블록 및 상기 차단블록 중 적어도 어느 블록의 저면에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미끄럼방지부가 상기 도로 또는 상기 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박혀서 상기 도로블록 및 상기 차단블록 중 적어도 어느 블록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로블록 및 상기 차단블록 중 적어도 어느 블록의 상면에 상기 미끄럼방지부에 대응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되, 상기 도로블록 및 상기 차단블록 중 적어도 어느 블록을 적층 할 경우 상기 미끄럼방지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 상기 도로블록은,
상기 걸림홈에 상기 미끄럼방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걸림홈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편을 포함하되, 상기 도로블록과 상기 차단블록이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도로블록과 상기 차단블록이 서로 분리되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차단블록은,
상기 걸림편이 상기 미끄럼방지부와 연결되되, 상기 도로블록과 상기 차단블록이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차단블록으로부터 상기 걸림편이 분리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크와 방초매트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이크와 방초매트가 결합함으로써, 도로 옆의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이크로부터 방초매트가 회전할 수 있어서 도로 옆의 지면 경사각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도로에 적용할 수 있어서 범용성이 넓다.
또한, 다이크 및 방초매트의 저면에 미끄럼방지부가 돌출돼 있어서 본 발명 설치 시 다이크 및 방초매트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이크와 다이크 또는 방초매트와 방초매트를 고정핀으로 엮어서 고정함으로써 결속력을 높일 수 있고, 도로 및 지면으로부터 다이크 및 방초매트가 유동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이크로부터 방초매트를 탈착할 수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를 도로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를 굽은 도로에 설치할 때 사다리꼴 모양의 방초매트를 적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에서 도로블록을 적층 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에서 차단블록을 적층 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에서 결속홈을 추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다목적 매트를 결속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에서 다른 차단블록을 적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는, 도로블록(이하 "다이크(1)"라 함), 차단블록(이하 "방초매트(2)"라 함) 및 고정핀(3)을 포함한다. 여기에, 미끄럼방지부(4) 및 수용홈(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크(1)는, 도로의 양측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거나 차량이 도로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대략 일정한 두께의 패드 모양으로 형성되되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된다. 이때, 다이크(1)는 도로의 형상에 따라 직사각 또는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굽어진 도로의 일측에 직사각의 다이크(1)를 설치하면, 다이크(1)와 다이크(1) 사이가 "V" 모양으로 벌어질 수 있는데 도로의 굽은 크기에 대응하는 사다리꼴의 다이크(1)를 설치하면 다이크(1)와 다이크(1)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다이크(1)는 고정핀(3)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다이크(1)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하면서 고정핀(3)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파이프(P)가 다이크(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파이프(P)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크(1)를 도로의 일측에 놓고 고정핀(3)을 박아도 다이크(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이크(1)는 일측 일 영역이 방초매트(2)의 삽입부(21)에 대응하는 삽입홈(11)이 내측으로 함몰된다. 또한, 다이크(1)는 삽입홈(11)의 양 측면에 걸림편(7)에 대응하는 걸림홈(13)이 양측방향으로 함몰되고 상향 개구되어 형성되며, 다이크(1)의 일측 하단은 라운드로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크(1)는 상면에 파이프(P)를 기준으로 파이프(P)와 연결연결되는 제1결속홈(12)이 다이크(1)의 양 측면과 각각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결속홈(12)은 상향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크(1)와 다이크(1)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ㄷ" 형태의 제2고정핀(32)을 파이프(P)에 삽입하면 제2고정핀(32)의 상단이 제1결속홈(12)에 삽입되어 제2고정핀(32)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이크(1)와 다이크(1)를 결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고정핀(32)을 통해서 결속력을 높임으로써 다이크(1)와 다이크(1)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이크(1)가 유동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방초매트(2)는, 도로로 식물이나 야생동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대략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패드 모양으로 형성되되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된다.
또한, 방초매트(2)는 내부에 다이크(1)에 설치된 파이프(P)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방초매트(2)는 일측 일 영역이 다이크(1)의 삽입홈(11)에 대응하는 삽입부(21)가 돌출되고 삽입부(21)의 단면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삽입부(21)의 양측면에는 환봉모양의 걸림편(7)이 돌출된다. 이에 따라, 다이크(1)의 상부에서 방초매트(2)의 삽입부(21)를 다이크(1)의 삽입홈(11)에 끼우면 걸림편(7)이 다이크(1)의 걸림홈(13)에 끼워지고, 걸림홈(13)을 중심으로 다이크(1)로부터 방초매트(2)가 회전할 수 있다. 즉, 다이크(1)의 일측 하단이 라운드지고 방초매트(2)의 삽입부(21)가 반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방초매트(2) 회전 시 다이크(1)와 방초매트(2)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방초매트(2)의 회전각도는 0° ~ 90°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이크(1)가 설치된 상태에서 방초매트(2)를 다이크(1)와 결합하면, 도로를 벗어난 지면이 기울어지더라도 방초매트(2)가 지면에 손쉽게 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방초매트(2)를 지면에 맞춰 경사지게 형성하지 않고도 지면에 손쉽게 밀착시킬 수 있어서 대부분의 지형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방초매트(2)를 굽어진 도로에 대응하는 사다리꼴로 형성하거나 방초매트(2)의 양단을 절단하여 사다리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을 굽어진 도로에 설치할 경우에는 사다리꼴의 방초매트(2)를 다이크(1)에 끼우면 방초매트(2)와 방초매트(2)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직사각의 방초매트(2)와 사다리꼴의 방초매트(2)를 섞어서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방초매트(2)와 방초매트(2) 사이를 밀착시킴으로써 방초매트(2)와 방초매트(2) 사이로 식물이 자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크(1)를 도로의 일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다이크(1)의 상부에서 방초매트(2)의 삽입부(21)를 다이크(1)의 삽입홈(11)에 끼우면 걸림편(7)이 걸림홈(13)에 삽입되고, 방초매트(2)를 놓으면 방초매트(2)가 지면에 밀착된다. 즉, 지면이 기울어져 있으면 다이크(1)의 걸림홈(13)을 중심으로 방초매트(2)가 회전함으로써 방초매트(2)가 지면에 손쉽게 밀착된다. 방초매트(2)가 지면에 밀착되면 제1고정핀(31)을 다이크(1)의 파이프(P)와 방초매트(2)의 파이프(P)에 각각 삽입한 후 제1고정핀(31)을 두드려 땅속에 박는다. 제1고정핀(31)이 땅속에 박히면 다이크(1) 및 방초매트(2)는 도로 및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방초매트(2)가 지면에 밀착돼 있어서 지면에서 식물이 자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면이 경사진 경우에는 방초매트(2)도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야생동물이 방초매트(2)를 타고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초매트(2)는 상면에 파이프(P)를 기준으로 파이프(P)와 연결되는 제2결속홈(22)이 방초매트(2)의 양 측면과 각각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결속홈(22)은 상향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초매트(2)와 방초매트(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ㄷ" 형태의 제2고정핀(32)을 파이프(P)에 삽입하면 제2고정핀(32)의 상단이 제2결속홈(22)에 삽입되어 제2고정핀(32)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방초매트(2)와 방초매트(2)를 결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고정핀(32)을 통해서 결속력을 높임으로써 방초매트(2)와 방초매트(2)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방초매트(2)가 유동하거나 지면으루터 흘러내리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핀(32)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야생동물이 내딛고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핀(3)은, 다이크(1) 및 방초매트(2)를 땅에 고정하는 것으로, 제1고정핀(31), 제2고정핀(32) 및 제3고정핀(33)을 포함한다.
제1고정핀(31)은, 대략 못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다이크(1)의 파이프(P) 또는 방초매트(2)의 파이프(P)에 제1고정핀(31)을 삽입한 후 제1고정핀(31)의 머리를 두드리면 제1고정핀(31)의 하단이 땅속으로 박히면서 다이크(1) 및 방초매트(2)가 땅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2고정핀(32)은, 대략 "ㄷ" 모양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다이크(1) 또는 두 개의 방초매트(2)를 동시에 땅에 고정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다이크(1)가 밀착한 상태에서 제2고정핀(32)을 다이크(1)의 파이프(P)에 꽂으면 제2고정핀(32)의 상단이 제1결속홈(1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다이크(1)가 제2고정핀(32)에 의해 결속된다. 또한, 두 개의 방초매트(2)가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제2고정핀(32)을 방초매트(2)의 파이프(P)에 꽂으면 제2고정핀(32)의 상단이 제2결속홈(2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방초매트(2)가 제2고정핀(32)에 의해 결속된다.
제3고정핀(33)은, 다이크(1)들 또는 방초매트(2)들 중 가장 끝단에 배치되거나 서로 밀착하지 않은 다이크(1) 또는 방초매트(2)를 고정하는 것으로, 대략 "ㄱ"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3고정핀(33)을 다이크(1)의 파이프(P) 또는 방초매트(2)의 파이프(P)에 꽂으면 제3고정핀(33)의 상단이 제1결속홈(12) 또는 제2결속홈(22)에 삽입됨으로써 제3고정핀(33)이 다이크(1) 또는 방초매트(2)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4)는, 다이크(1) 또는 방초매트(2)가 미끄러지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제1미끄럼방지편(41) 및 제2미끄럼방지편(42)을 포함한다.
제1미끄럼방지편(41)은, 다이크(1)가 미끄러지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다이크(1)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돌출되고, 끝단이 뾰족한 철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크(1)가 도로에 설치되면 제1미끄럼방지편(41)이 땅속에 박혀서 도로로부터 다이크(1)가 미끄러지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미끄럼방지편(42)은, 방초매트(2)가 미끄러지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방초매트(2)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돌출되고, 끝단이 뾰족한 철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초매트(2)가 지면에 설치되면 제2미끄럼방지편(42)이 땅속에 박혀서 지면으로부터 방초매트(2)가 미끄러지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홈(8)은, 미끄럼방지부(4)를 수용하는 것으로, 제1수용홈(81) 및 제2수용홈(82)을 포함한다.
제1수용홈(81)은, 제1미끄럼방지편(41)을 수용하는 것으로, 다이크(1)의 상면에 제1미끄럼방지편(41)에 대응하는 홈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다이크(1)를 적층 하면 제1미끄럼방지편(41)이 제1수용홈(81)에 삽입됨으로써 다이크(1)를 밀착시켜 적층 할 수 있고, 이동 시 다이크(1)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2수용홈(82)은, 제2미끄럼방지편(42)을 수용하는 것으로, 방초매트(2)의 상면에 제2미끄럼방지편(42)에 대응하는 홈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방초매트(2)를 적층 하면 제2미끄럼방지편(42)이 제2수용홈(82)에 삽입됨으로써 방초매트(2)를 밀착시켜 적층 할 수 있고, 이동 시 방초매트(2)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보강편(6)은, 다이크(1)의 걸림홈(13) 부분을 보강하는 것으로, 대략 "L" 모양의 철근이 걸림홈(13)의 절반을 감쌓도록 다이크(1)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다이크(1)의 걸림홈(13)에 걸림편(7)이 삽입되면, 걸림홈(13)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령, 걸림홈(13)에 걸림편(7)이 삽입되면, 걸림홈(13)에 방초매트(2)의 하중이 집중되어 걸림홈(13) 부분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걸림홈(13) 둘레에 보강편(6)이 내장되면 걸림홈(13)에 방초매트(2)의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보강편(6)이 걸림홈(13) 부분을 견고하게 잡아주고 있어서 걸림홈(13) 부분이 크랙이 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5)는, 제1미끄럼방지편(41)과 보강편(6)을 연결하거나 제2미끄럼방지편(42)과 걸림편(7)을 연결해 주는 것으로, 대략 철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1연결편(51) 및 제2연결편(52)을 포함한다.
제1연결편(51)은, 제1미끄럼방지편(41)과 보강편(6)을 연결해 주는 것으로, 철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연결편(51)에 의해 제1미끄럼방지편(41)과 보강편(6)이 서로 연결되면, 제1미끄럼방지편(41)의 하단이 하부로 돌출되고, 제1미끄럼방지편(41)의 상단은 제1연결편(51)과 연결되되 제1연결편(51)이 수평으로 연장되며, 제1연결편(51)의 끝단에 보강편(6)이 연결되되 보강편(6)의 상단이 상부로 절곡된다. 이에 따라, 제1미끄럼방지편(41), 제1연결편(51) 및 보강편(6)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1미끄럼방지편(41) 및 보강편(6)의 구조적인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다이크(1)로부터 제1미끄럼방지편(41) 및 보강편(6)이 빠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제2연결편(52)은, 제2미끄럼방지편(42)과 걸림편(7)을 연결해 주는 것으로, 철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연결편(52) 의해 제2미끄럼방지편(42)과 걸림편(7)이 서로 연결되면, 제2미끄럼방지편(42)의 하단이 하부로 돌출되고, 제2미끄럼방지편(42)의 상단은 제2연결편(52)과 연결되되 제2연결편(52)이 삽입부(21)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며, 제2연결편(52)의 끝단에 걸림편(7)이 연결되되 삽입부(21)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걸림편(7)의 끝단이 삽입부(21)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에 따라, 제2미끄럼방지편(42), 제2연결편(52) 및 걸림편(7)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2미끄럼방지편(42) 및 걸림편(7)의 구조적인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방초매트(2)로부터 제1미끄럼방지편(41) 및 걸림편(7)이 빠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초매트(2)는 상면에 만곡부(23)가 형성되되 삽입부(21)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더욱 볼록하고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초매트(2)의 상면에 만곡부(23)를 형성함으로써, 야생동물이 밟으면 미끄러져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크(1)와 방초매트(2)는 삽입홈(11)의 양측과 삽입부(21)의 내부에 상술한 파이프(P)가 내장될 수 있고, 다이크(1) 및 방초매트(2)의 파이프(P)에 축(S)을 끼워서 다이크(1)와 방초매트(2)를 결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다이크(1)를 설치하면 방초매트(2)가 지면에 자동으로 밀착됨으로써, 다이크(1) 및 방초매트(2)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이크(1) 및 방초매트(2)는 고정핀(3)에 의해 땅에 고정되는 것은 상술한 설명에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다이크(1)와 방초매트(2) 상면에는 견인용 고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내부에 다이크(1)와 방초매트(2)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메시(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다이크(도로블록) 11; 삽입홈
12; 제1결속홈 13; 걸림홈
2; 방초매트(차단블록) 21; 삽입부
22; 제2결속홈 23; 만곡부
3; 고정핀 31; 제1고정핀
32; 제2고정핀 33; 제3고정핀
4; 미끄럼방지부 41; 제1미끄럼방지편
42; 제2미끄럼방지편
5; 연결부 51; 제1연결편
52; 제2연결편
6; 보강편
7; 걸림편
8; 수용홈 81; 제1수용홈
82; 제2수용홈
P; 파이프
S; 축

Claims (8)

  1. 도로의 한쪽에 설치되는 도로블록;
    상기 도로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도로를 벗어난 지면에서 식물이 자라서 상기 도로로 침범하거나 야생동물이 상기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블록;
    상기 도로블록과 상기 차단블록 중 적어도 어느 블록을 상기 도로 또는 상기 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고정하는 고정핀;
    상기 도로블록 및 상기 차단블록 중 적어도 어느 블록의 저면에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도로블록 및 상기 차단블록 중 적어도 어느 블록의 상면에 상기 미끄럼방지부에 대응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되,
    상기 차단블록은 상기 도로블록으로부터 탈착되며,
    상기 도로블록은 한 부분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블록은 한 부분에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편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홈에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면 상기 도로블록으로부터 상기 차단블록이 회전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가 상기 도로 또는 상기 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박혀서 상기 도로블록 및 상기 차단블록 중 적어도 어느 블록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도로블록 및 상기 차단블록 중 적어도 어느 블록을 적층 할 경우 상기 미끄럼방지부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블록은,
    상기 도로블록으로부터 회전하되, 상기 지면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블록은,
    상기 걸림홈에 상기 미끄럼방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걸림홈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편;을 포함하되, 상기 도로블록과 상기 차단블록이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도로블록과 상기 차단블록이 서로 분리되는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블록은,
    상기 걸림편이 상기 미끄럼방지부와 연결되되,
    상기 도로블록과 상기 차단블록이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차단블록으로부터 상기 걸림편이 분리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
KR1020200141743A 2020-10-29 2020-10-29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 KR102227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743A KR102227006B1 (ko) 2020-10-29 2020-10-29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743A KR102227006B1 (ko) 2020-10-29 2020-10-29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006B1 true KR102227006B1 (ko) 2021-03-12

Family

ID=7517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743A KR102227006B1 (ko) 2020-10-29 2020-10-29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0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25B1 (ko) 2006-11-01 2007-11-29 이현승 친환경 방초 매트
KR200440943Y1 (ko) 2006-11-22 2008-07-09 이형룡 도로변 풀 성장 방지 매트
KR100899037B1 (ko) * 2008-12-24 2009-05-21 이재복 블록 조립체
KR20180078799A (ko) * 2016-12-30 2018-07-10 (유)광일산업 도로변 식물성장 억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25B1 (ko) 2006-11-01 2007-11-29 이현승 친환경 방초 매트
KR200440943Y1 (ko) 2006-11-22 2008-07-09 이형룡 도로변 풀 성장 방지 매트
KR100899037B1 (ko) * 2008-12-24 2009-05-21 이재복 블록 조립체
KR20180078799A (ko) * 2016-12-30 2018-07-10 (유)광일산업 도로변 식물성장 억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625B2 (en) Infilless and/or fuel absorbing synthetic covering system for safety areas of airports
US4969289A (en) Garden edging device
KR100946096B1 (ko)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야생동물 보호휀스 및 방초매트 설치구조
JP2017063780A (ja) 蔦返し部材、及び防草蔦返しユニット
KR102227006B1 (ko) 제초 및 야생동물 차단용 다목적 매트
KR102158796B1 (ko) 방초 매트 시스템
JP5387473B2 (ja) 防草用防草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791940B1 (ko) 두렁 덮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렁 덮개방법
KR101944376B1 (ko) 식생 억제 블럭체
US20040000665A1 (en) Weed barrier
KR100889319B1 (ko) 도로변의 식물성장 억제용 차폐 구조체
JPH1136252A (ja) 法肩の構造
JP3148096U (ja) 道路植栽植物剪定用アタッチメント
KR200166832Y1 (ko) 필터가내장된가로수보호대
US20050236610A1 (en) Universal weed cover
KR200408086Y1 (ko)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를 갖는 가드레일 지주활용교통표지판 지주
KR20150002152U (ko) 경계석의 보조 장치
KR102234818B1 (ko) 로드킬 방지 및 방초 시스템
KR200440943Y1 (ko) 도로변 풀 성장 방지 매트
KR101995969B1 (ko) 방초매트 고정구
KR101439151B1 (ko) 방초시트의 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방초시트의 시공방법
US11889792B1 (en) Modular weed barrier mat using upcycled tires
US11459790B1 (en) Landscape barrier and method to manufacture and install the same
KR100570350B1 (ko) 논둑 보강방법과 이 방법에 사용되는 흙못
KR101268090B1 (ko) 도로변 방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