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832Y1 - 필터가내장된가로수보호대 - Google Patents

필터가내장된가로수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832Y1
KR200166832Y1 KR2019990015215U KR19990015215U KR200166832Y1 KR 200166832 Y1 KR200166832 Y1 KR 200166832Y1 KR 2019990015215 U KR2019990015215 U KR 2019990015215U KR 19990015215 U KR19990015215 U KR 19990015215U KR 200166832 Y1 KR200166832 Y1 KR 200166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oadside
lower plate
upper pla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균
Original Assignee
홍종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균 filed Critical 홍종균
Priority to KR2019990015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01C9/005Coverings around trees forming part of the ro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상판과 하판을 이중구조로 제작하고 이들 사이에 판 스프링과 탄성있는 로드 부재가 내장된 필터막을 설치하고 보도블록과 연계하여 시공함으로써,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의 여러 가지 유형의 가로수 보호대 설치물들을 재활용시키거나 간단한 보강공사 만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가로수 보호대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는, 사각형의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하여 형성된 4개의 상판 세그멘트로 이루어진 상판, 상판 세그멘트와 엇갈리게 분할하여 형성된 4개의 하판 세그멘트로 이루어진 하판, 그리고 상판과 하판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내에 배치되며 다공성의 직물로 이루어진 복층 구조의 필터를 포함한다. 필터의 중앙에는 원형 개구부가 형성되고, 원형 개구부 주위에는 환형의 판 스프링과 다수의 탄성있는 로드 부재가 내장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는, 가로수 주위에 마련된 가로수 보호대 사이트 내로 하판과 필터를 위치시킨 후 그 위에 상판을 놓는다. 이때, 보도 블록의 설치위치까지 연장되어 보도 블록과 지면 사이에 놓이는 필터의 외측 주변부는 가로수의 바깥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보도블록과 외측 주변부를 지나서 지면에 박히는 다수의 고정 철심에 의해 지면에 고정된다. 가로수 주위로 가로수 보호대를 설치한 후에는, 가로수 줄기 주위로 노출된 필터 위의 공간에 모르타르를 추가로 시공하여 보강한다.

Description

필터가 내장된 가로수 보호대{Structure for protecting a roadside tree which has a filter therein}
본 고안은 가로수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과 하판을 이중구조로 제작하고 이들 사이에 판 스프링과 탄성있는 로드 부재가 내장된 필터막을 설치하고 보도블록과 연계하여 시공함으로써,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의 여러 가지 유형의 가로수 보호대 설치물들을 재활용시키거나 간단한 보강공사 만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가로수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는 아스팔트로 포장된 도로변에 심어져서 도로변의 경치를 아름답게 하고 도로를 오가는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상쾌감을 준다. 또한, 아스팔트나 시멘트 등으로 포장된 광장에 심어져서 도시의 풍광을 미려하게 하고 도시민에게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준다. 이때, 지면에 접하는 가로수 줄기 주변은 나지(裸地)의 상태로 외부에 노출시킴으로써, 가로수 뿌리쪽으로 공기나 빗물이 스며들게하여 가로수의 생육을 돕는다.
가로수 보호대는 이와같이 노출된 나지 위에 설치되어 나지의 손상을 방지하고 나무 뿌리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가로수 보호대는 급수공의 모양새 및 보호대 자체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재질의 중량화에 개발의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므로, 급수공의 모양을 변형시킨 다양한 가로수 보호대가 개발되었고, 재질 또한 주철이나 시멘트를 주로 사용하여 무겁게 만들었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로수 보호대(10)는 일체로 결합가능한 다수의 보호대 세그멘트(12)를 구비한다. 보호대 세그멘트(12)는 가로수의 외면 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원호형상의 내측 만곡부(14) 및 내측 만곡부(14)에 대향하여 원호형상이나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외측 주변부(16)를 구비한다. 내측 만곡부(14)와 외측 주변부(16) 사이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15)가 연장되고, 보강 리브(15)에 의해서 각각의 보호대 세그멘트(12)에는 다수의 급수공(18)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가로수 보호대(1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같은 과정을 거쳐서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로수 보호대(10)는 각각의 보호대 세그멘트(12)가 함께 결합하여 이루는 가로수 보호대(10)의 외형에 맞게 보도블록(B)에 미리 형성된 가로수 보호대 사이트(S)내에 안치된다. 이때, 가로수 보호대 사이트(S)내에는 가로수 보호대(1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가로수 보호대(10)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틀(13)이 설치된다.
가로수 보호대(10)의 설치를 위해서는, 먼저 가로수 보호대(10)의 보호대 세그멘트(12)를 서로 결합된다. 즉, 지면에 인접한 가로수 줄기 주위로 보호대 세그멘트(12)의 내측 만곡부(14)를 접촉시키면서 보호대 세그멘트(12)들을 인접하여 배치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보호대 세그멘트(12)의 급수공(18) 내로 다수의 체결 밴드(11)를 감아싸서 보호대 세그멘트(12)들을 차례로 결합시킨다.
체결 밴드(11)에 의해서 결합된 일체형의 가로수 보호대(10)는 가로수 보호대(10)의 외형에 맞도록 미리 설계 제작되어 가로수 주위로 기설치된 받침틀(13) 상에 위치하여 지지된다. 즉, 가로수 보호대(10)는 보호대 세그멘트(12)의 외측 주변부(16)들이 받침틀(13) 내측에 돌출하여 형성된 쇼울더(17) 상에 놓이면서 받침틀(13) 내로 안착하여 지지된다.
그런데, 이와같은 구조의 가로수 보호대(10)는 마감처리시에 흙으로 급수공(18)을 막게 되어 있기 때문에, 우천시의 흡수율이 저조하고, 토사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정결하지 못하여 쓰레기장화 하기도 한다.
또한, 체결 밴드(11)를 이용한 체결력이 약하며, 보도 블록(B)과 가로수 보호대(10)가 일직선 상에 있으면서도 이어지지 않고 따로 따로 시공했기 때문에 일체감이 없어서 파손과 망실이 자주 발생한다. 보도 블록(B)과 가로수 보호대(10)의 접점 부위는 토사유출이 의외로 심하기 때문에, 이 부분이 파손의 근원이 되고 있다. 최근, 국민차 애용을 장려하기 위해서 도입된 개구리 주차 허용방침 이후, 가로수 주위의 보도블록 위로 진입하는 차량에 의해서 주철로 이루어진 가로수 보호대(10)의 파손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렇게 조각난 주철은 불법수거 되어 망실되고 있고, 이로 인하여 도시 미관이 더욱 나빠지고 있다.
게다가, 우천시 가로수 보호대 사이트(S)의 토사가 유실되어 도로에 쌓이거나 하수관을 막는 원인제공처가 되기도 하며, 기후가 건조해지면 바람에 의해서 가로수 보호대 사이트(S)로부터 흙먼지가 많이 발생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모래 제거차량이 동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변두리 지역에서는 부실화된 가로수 보호대(10) 지역에서 잡초 등이 무성하게 자라나서 주변의 경관을 해치고 있으며, 각종 벌레 등의 서식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판과 하판 사이에 필터를 내장함으로써,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의 가로수 보호대 설치물들을 재활용시키거나 간단한 보강공사 만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가로수 보호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의 분해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필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의 설치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 : 가로수 보호대 11 : 체결 밴드
12 : 보호대 세그멘트 13 : 받침틀
52 : 결합 띠 54 : 고정 철심
60 : 상판 62 : 상판 세그멘트
70 : 필터 72 : 체결공
76 : 판 스프링 78 : 로드 부재
80 : 하판 82 : 하판 세그멘트
P : 가로수 B : 보도 블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일정한 방향의 제 1 분할선을 따라서 분할하여 형성된 다수의 상판 세그멘트를 구비하며, 상기 상판 세그멘트는 가로수 줄기의 외면 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원호형상의 제 1 내측 만곡부, 상기 제 1 내측 만곡부에 대향하여 직선형으로 형성된 제 1 외측 주변부, 그리고 상기 제 1 내측 만곡부와 상기 제 1 외측 주변부 사이에서 연장된 제 1 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측면부의 일측에는 제 1 체결 돌기가 일정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면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 1 체결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제 1 체결 홈이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면서 결합되고, 상기 제 1 분할선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분할선을 따라서 상기 상판 세그멘트에 대하여 엇갈리게 분할하여 형성된 다수의 하판 세그멘트를 구비하며, 상기 하판 세그멘트는 상기 가로수 줄기의 상기 외면 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원호형상의 제 2 내측 만곡부, 상기 제 2 내측 만곡부에 대향하여 직선형으로 형성된 제 2 외측 주변부, 그리고 상기 제 2 내측 만곡부와 상기 제 2 외측 주변부 사이에서 연장된 제 2 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측면부의 일측에는 제 2 체결 돌기가 일정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면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체결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제 2 체결 홈이 형성된, 하판; 그리고
상기 간격 내에 배치되며, 다공성의 직물로 제조되고 상층과 하층의 복층 구조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원형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형 개구부 및 상기 원형 개구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3 외측 주변부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는 상층과 하층 사이에서 상기 원형 개구부 주위에 배치된 환형의 판 스프링과 다수의 탄성있는 로드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판과 하판 사이에 다공성 직물로 이루어진 필터를 배치하고, 필터의 외측 주변부를 보도블록의 아래까지 연장 배치하여 고정 철심에 의해서 고정시키기 때문에, 필터가 강한 접지력을 갖게 되어 가로수 보호대를 견고하게 잡아준다. 따라서, 가로수 보호대의 유격이 없어져서 가로수 보호대의 흐트러짐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50)는 플라스틱이나 철로 제조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결합되는 상판(60)과 하판(80), 그리고 상판(60)과 하판(80)의 결합시 이들 사이에 조성된 간격 내에 배치되는 필터(70)를 구비한다.
상판(60)은 위에서 갑자기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가로수(P)(도 3 참조)의 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형의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하여 형성된 4개의 상판 세그멘트(62)로 이루어진다. 상판 세그멘트(62)는 가로수(P) 줄기의 외면 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원호형상의 내측 만곡부(64), 내측 만곡부(64)에 대향하여 직선형으로 형성된 외측 주변부(66),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연장된 측면부(68)를 구비한다. 상판 세그멘트(62)의 하면 상에는 움푹 들어간 다수의 제 1 급수 주머니(63)(도 3 참조)가 형성된다.
상판 세그멘트(62)에서, 내측 만곡부(64)와 외측 주변부(66) 사이에는 다수의 제 1 급수공(61a)과 제 1 결합공(61b)이 수직하게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 주변부(66) 상에는 결합 띠(52)가 끼워질 수 있는 띠 끼움홈(65)이 형성된다. 결합 띠(52)의 중간에는 결합 띠(52)를 필요에 따라서 결속하여 조여줄 수 있는 띠 결속부(56)가 부착된다.
상판 세그멘트(62)의 측면부(68) 일측에는 체결 돌기(67)가 일정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되고, 측면부(68)의 타측에는 체결 돌기(67)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체결 홈(69)이 형성된다. 모든 상판 세그멘트(62)는 각각의 측면부(68)에 체결 돌기(67)와 체결 홈(69)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상판 세그멘트(62)는 체결 돌기(67)와 체결 홈(69) 사이의 끼움결합에 의해서 서로 단단하게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판 세그멘트(62)들중 하나의 세그멘트(62)의 상부면 상에는 “나무사랑 나라사랑”과 같은 문구를 새겨넣을 수 있는 문양부(62a)가 형성된다. 문양부(62a)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50)를 도로변이나 광장에 설치할 때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한다.
하판(80)은 상판(60)과 마찬가지로, 위에서 갑자기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가로수(P)(도 3 참조)의 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하판(80)은 상판(60)의 상판 세그멘트(62)와 엇갈리게 분할하여 형성된 4개의 하판 세그멘트(82)로 이루어진다. 즉, 하판 세그멘트(82)는 사각형의 각변에서 정중앙 쪽으로 열십자(+)로 교차하는 선을 따라서 분할된다.
하판 세그멘트(82)는 가로수(P)의 외면 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원호형상의 내측 만곡부(84), 내측 만곡부(84)에 대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외측 주변부(86),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연장된 측면부(88)를 구비한다. 내측 만곡부(84)는 하판(80) 상에 놓이는 필터(70)의 판스프링(76) 형상에 부합하도록 하판 세그멘트(82)의 표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하여 형성된다. 하판 세그멘트(82)의 하면 상에는 움푹 들어간 다수의 제 2 급수 주머니(83)(도 3 참조)가 형성된다.
하판 세그멘트(82)에서, 내측 만곡부(84)와 외측 주변부(86) 사이에는 다수의 제 2 급수공(81a)과 제 2 결합공(81b)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 2 급수공(81a)은 상판 세그멘트(62)에 각각 형성된 제 1 급수공(61a)의 크기와 모양에 대응하는 크기 및 모양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 2 결합공(81b)은 상판 세그멘트(62)에 각각 형성된 제 1 결합공(61b)의 크기와 모양에 대응하는 크기 및 모양을 갖는다.
하판 세그멘트(82)의 측면부(88) 일측에는 체결 돌기(87)가 일정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되고, 측면부(88)의 타측에는 체결 돌기(87)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체결 홈(89)이 형성된다. 모든 하판 세그멘트(82)는 각각의 측면부(88)에 체결 돌기(87)와 체결 홈(89)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하판 세그멘트(82)는 측면부(88)에 형성된 체결 돌기(87)와 체결 홈(89) 사이의 끼움결합에 의해서 서로 단단하게 체결된다.
하판 세그멘트(82) 들이 일체로 체결되어 형성하는 하판(80)의 상면은 상판 세그멘트(62) 들이 일체로 체결되어 형성하는 상판(60)의 하면 형상에 대응한다. 또한, 하판(80)의 전체 크기는 상판(60)의 전체 크기 보다 작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60)은 하판(80)과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면서 하판(80) 상에 안착되며, 상판 세그멘트(62)에 제 1 결합공(61b)과 하판 세그멘트(82)에 형성된 제 2 결합공(81b)을 관통하여 지나는 체결 보울트(58)에 의해서 서로 단단하게 결합된다. 이때, 하판(80)의 외측 주변부(86)는 상판(60)의 외측 주변부(66)에 의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감싸진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필터(70)는 기존의 가로수 보호대에서 급수공 부위, 보호대와 가로수 사이, 보호대와 보도 블록 사이에서 필연적으로 야기되는 우천시 토사유출 및 건조시 토사의 비산, 잡초발생, 해충발생 등을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필터(70)는 썩지 않고 신축력이 없으며 흙이나 모래는 걸러지고 물은 통과되는 다공성의 직물로 제조된다. 필터(70)는 1900m/m×1900m/m의 크기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로수의 굵기, 수종에 따른 성장률, 뿌리의 노출모양 등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진다.
필터(70)는 상층(70a)과 하층(70b)의 복층 구조로 형성되고, 상층(70a)과 하층(70b)의 중앙에는 원형 개구부(71)가 각각 형성된다. 원형 개구부(71)와 필터(70)의 외측 주변부(74) 사이에는 절개부(73)가 형성되고, 절개부(73)는 필터(70)의 원형 개구부(71) 내에 가로수(P) 줄기가 위치된 상태에서 바느질, 즉 시임부(seam portion)(75)에 의해서 결속된다. 외측 주변부(74) 근처에는 다수의 체결공(72)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층(70a)과 하층(70b) 사이에서, 원형 개구부(71) 주위에는 환형의 판 스프링(76)과 다수의 탄성있는 로드 부재(78)가 내장된다. 판 스프링(76)와 로드 부재(78)는 가로수 보호대(50)의 한쪽으로부터 큰 힘이 가해졌을 때, 그 큰 힘이 가로수에 가해지지 않고 반대편으로 전달되게 한 것이다.
먼저, 판 스프링(76)은 원형 개구부(71)로부터 안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배치된다. 판 스프링(76)은 스테인레스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중간에 배치된 스프링 결속부(76a)에 의해서 결합되고 조여져서 반경을 원하는 대로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판 스프링(76)은 원형 개구부(71)를 가로수(P)(도 3 참조)의 줄기 외면 상에 접촉시켜서 필터(70)를 설치할 때, 원형 개구부(71) 주위에 탄성력을 주어서 필터(70)가 가로수(P)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로드 부재(78)는 판 스프링(76)을 기준으로 했을 때 판 스프링(76)의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 배치된다. 이때, 로드 부재(78)의 일단부는 판 스프링(76)을 지나서 원형 개구부(71) 안쪽으로 돌출되며, 로드 부재(78)의 타단부는 필터(70)의 중간위치까지 연장된다. 로드 부재(78)는 상층(70a)과 하층(70b)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바느질에 의해 고정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50)를 도로변 횡단보도(B)에 미리 마련된 가로수 보호대 사이트(S) 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판(80)의 하판 세그멘트(82)들을 지면에 인접한 가로수 줄기 주위로 배치한후 끼워맞춤 결합시킨다. 다음에는, 가로수(P)를 에워싸도록 결합된 하판 세그멘트(82) 위로 필터(70)를 놓는다.
이때, 필터(70)의 원형 개구부(71) 둘레에 내장된 판 스프링(76)은 가로수 줄기 주위로 배치된후 스프링 결속부(76a)에 의해서 결합되어 가로수 줄기의 직경에 부합되게 적당히 조여진다. 필터(70)의 중간부분은 하판(80)의 표면 상에 놓이며, 필터(70)의 외측 주변부(74)는 가로수 보호대 사이트(S) 외측에서 보도블록(B) 설치 위치와 지면(G)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같이 하판(80) 위에 필터(70)를 위치시킨 후에는 하판(80) 위에 상판(60)을 놓는다. 즉, 상판(60)의 상판 세그멘트(62)들을 가로수 주위로 배치한후 끼워맞춤 결합시킨다. 이때, 상판 세그멘트(62)의 외측 주변부(66)에 형성된 틀 끼움홈(65) 내에 결합 띠(52)를 삽입하여 상판 세그멘트(62)들을 단단하게 결합시키고, 상판 세그멘트(62)의 외측 주변부(66)가 하판 세그멘트(80)의 외측 주변부(88)를 충분히 에워싸도록 상판(60)을 하판(80) 상에 위치시킨다.
상판(60)을 배치한 후에는, 외부로 노출된 필터(70)의 외측 주변부(74)를 가로수(P)의 바깥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긴 상태에서 가로수 보호대 사이트(S) 외곽에 보도 블록(B)을 위치시킨후, 보도블록(B)과 외측 주변부(74)를 지나서 지면(G)에 박히는 다수의 고정 철심(54)을 이용해서 보도 블록(B)과 외측 주변부(74)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다음에는, 상판 세그멘트(62)에 형성된 제 1 결합공(61b), 상판(60)과 하판(80) 사이에 배치된 필터(70), 그리고 하판 세그멘트(82)에 형성된 제 2 결합공(81b)을 순서대로 관통하여 지나는 체결 보울트(58)를 이용하여 상판(60), 필터(70) 및 하판(80)을 단단하게 결합시킨다. 그 결과,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50)가 가로수(P) 주위로 견고하게 설치된다.
가로수(P) 주위로 가로수 보호대(50)를 설치한 후에는, 가로수(P) 줄기 주위로 노출된 필터(70) 위의 공간에 모르타르를 추가로 시공하여 보강한다. 그 결과, 보도 블록(B)과 가로수 보호대(50)가 일체감을 갖게되어, 파손의 근원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설치된 가로수 보호대(50)는 상판(60) 하면에 구비된 제 1 급수공(63), 상판(60)과 필터(70) 사이의 공간, 필터(70)와 하판(80) 사이의 공간, 그리고 하판(80) 하면에 구비된 제 2 급수공(83)이 급수 포켓을 형성하기 때문에, 흡수력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 보호대(50)에서는, 상판(60)과 하판(80)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70)의 외측 주변부(74)가 보도블록(B)의 아래까지 연장 배치되고 고정 철심(54)에 의해서 고정되기 때문에, 강한 접지력을 갖는 필터(70)가 가로수 보호대(50)를 강하게 잡아주므로, 가로수 보호대(50)의 유격이 없어져서 가로수 보호대(50)의 흐트러짐이 방지된다.
또한, 상판(60), 필터(70) 및 하판(80)으로 구성되는 가로수 보호대(50)의 전체 두께가 보도 블록(B)의 높이와 같아지게 시공하므로, 턱이 생기지 않아서 미관이 좋아질 뿐만아니라 보행자의 안전이 도모되며, 시공이 편리한 잇점이 있다.
게다가, 필터(70)와 가로수(P)의 연결부위에 탄성있는 판 스프링(76)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필터(70)의 탄력이 강해져서 필터(70)를 설치할 때 필터(70)의 외측 주변부(74)를 당겼다 놓는 순간, 필터(70)가 가로수(P)에 치밀하게 연접하므로, 토사의 노출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일정한 방향의 제 1 분할선을 따라서 분할하여 형성된 다수의 상판 세그멘트를 구비하며, 상기 상판 세그멘트는 가로수 줄기의 외면 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원호형상의 제 1 내측 만곡부, 상기 제 1 내측 만곡부에 대향하여 직선형으로 형성된 제 1 외측 주변부, 그리고 상기 제 1 내측 만곡부와 상기 제 1 외측 주변부 사이에서 연장된 제 1 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측면부의 일측에는 제 1 체결 돌기가 일정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면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 1 체결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제 1 체결 홈이 형성된, 상판;
    상기 상판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면서 결합되고, 상기 제 1 분할선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분할선을 따라서 상기 상판 세그멘트에 대하여 엇갈리게 분할하여 형성된 다수의 하판 세그멘트를 구비하며, 상기 하판 세그멘트는 상기 가로수 줄기의 상기 외면 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원호형상의 제 2 내측 만곡부, 상기 제 2 내측 만곡부에 대향하여 직선형으로 형성된 제 2 외측 주변부, 그리고 상기 제 2 내측 만곡부와 상기 제 2 외측 주변부 사이에서 연장된 제 2 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측면부의 일측에는 제 2 체결 돌기가 일정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면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체결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제 2 체결 홈이 형성된, 하판; 그리고
    상기 간격 내에 배치되며, 다공성의 직물로 제조되고 상층과 하층의 복층 구조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원형 개구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원형 개구부 및 상기 원형 개구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3 외측 주변부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측 만곡부와 상기 제 1 외측 주변부 사이에는 다수의 제 1 급수공과 제 1 결합공이 수직하게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외측 주변부 상에는 띠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 세그멘트들은, 상기 제 1 체결 돌기와 상기 제 1 체결 홈 사이의 끼움결합에 의해서 서로 결합될 때, 상기 띠 끼움홈 내에 삽입되는 결합 띠에 의해서 단단하게 체결되고, 상기 결합 띠의 중간에는 상기 결합 띠를 결속하여 조여주기 위한 띠 결속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세그멘트들중 하나의 세그멘트의 상부면 상에 문양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 세그멘트의 하면 상에는 움푹 들어간 다수의 제 1 급수 주머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측 만곡부와 상기 제 2 외측 주변부 사이에는 다수의 제 2 급수공과 제 2 결합공이 수직하게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판 세그멘트들이 일체로 체결되어 형성하는 상기 하판의 상면은 상기 상판 세그멘트 들이 일체로 체결되어 형성하는 상기 상판의 하면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하판 세그멘트의 하면 상에는 움푹 들어간 다수의 제 2 급수 주머니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의 전체 크기는 상기 상판의 전체 크기 보다 작고, 상기 상판, 상기 필터 및 상기 하판은 상기 제 1 결합공, 상기 필터 및 상기 제 2 결합공을 순서대로 관통하여 지나는 체결 보울트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되며, 이때 상기 하판의 상기 제 2 외측 주변부는 상기 상판의 상기 외측 주변부에 의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감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상층과 상기 하층 사이에서 상기 원형 개구부 주위에 배치된 환형의 판 스프링과 다수의 탄성있는 로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원형 개구부로부터 안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배치되고, 중간에 배치된 스프링 결속부에 의해서 결합되고 조여지며, 상기 로드 부재는 상기 판 스프링의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 배치되고, 이때 상기 로드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판 스프링을 지나서 상기 원형 개구부 안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로드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필터의 중간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로드 부재는 상기 상층과 상기 하층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바느질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필터를 가로수 줄기 주위로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를 가로질러서 제공되는 시임부(seam portion)에 의해서 결속되고, 상기 제 3 외측 주변부 근처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3 외측 주변부는, 가로수 줄기 주위로 상기 하판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판 상에 상기 필터를 배치하는 경우에, 가로수 보호대 사이트 외측에서 보도블록의 설치 지역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 위에 상기 상판을 놓은후 가로수의 바깥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설치지역에 놓이는 보도 블록과 상기 제 3 외측 주변부를 지나서 지면에 박히는 다수의 고정 철심에 의해서 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KR2019990015215U 1999-07-28 1999-07-28 필터가내장된가로수보호대 KR200166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215U KR200166832Y1 (ko) 1999-07-28 1999-07-28 필터가내장된가로수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215U KR200166832Y1 (ko) 1999-07-28 1999-07-28 필터가내장된가로수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832Y1 true KR200166832Y1 (ko) 2000-02-15

Family

ID=1958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215U KR200166832Y1 (ko) 1999-07-28 1999-07-28 필터가내장된가로수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8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823B1 (ko) * 2010-06-07 2010-12-06 강찬성 가로수 보호판
KR101203043B1 (ko) 2010-06-30 2012-11-29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가로수 보호덮개
KR200487079Y1 (ko) * 2018-01-18 2018-08-01 김동수 조림목 보호구
KR102317324B1 (ko) * 2021-03-23 2021-10-27 (주) 에이앤티 디스크형 여과장치의 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823B1 (ko) * 2010-06-07 2010-12-06 강찬성 가로수 보호판
KR101203043B1 (ko) 2010-06-30 2012-11-29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가로수 보호덮개
KR200487079Y1 (ko) * 2018-01-18 2018-08-01 김동수 조림목 보호구
KR102317324B1 (ko) * 2021-03-23 2021-10-27 (주) 에이앤티 디스크형 여과장치의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5791A (ko) 슬렌팅 보호덮개
JP2002281822A (ja) 植生構造
KR200166832Y1 (ko) 필터가내장된가로수보호대
JP2008163689A (ja) 防草構造および防草方法
KR20070087942A (ko) 가로수 아래의 식물식재와 비산 먼지 방지 가로수 보호대
KR100776705B1 (ko) 가로수 및 산책로 주변 녹도 조성용 인조잔디의 고정장치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75271B1 (ko) 수목 뿌리 보호기능을 갖는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및 그 시공방법
KR101167978B1 (ko)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59245Y1 (ko) 가로수보호판
KR100903307B1 (ko) 가로수 보호덮개판
KR200293424Y1 (ko) 가로수 보호대
KR20100026070A (ko) 가로수 보호덮개
KR100910550B1 (ko) 다용도 슬릿구
KR20200120192A (ko) 고정력이 향상된 다기능 조립식 경계석 받침틀
KR100961987B1 (ko) 지주커버
KR100948974B1 (ko) 도로변의 식물성장 억제용 차폐 구조체
KR100892256B1 (ko) 가로수 조경용 블록
KR100503973B1 (ko) 다용도 가로수 밴드
KR100687588B1 (ko) 녹화조성용 가드레일
KR200494526Y1 (ko) 내경이 조절되는 가로수 지지 조립체
KR200221036Y1 (ko) 수목보호받침틀 및 투수콘크리트를 이용한 수목보호구조
KR101877952B1 (ko) 녹지대 가장자리 보호대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365449B1 (ko) 수목보호받침틀 및 투수콘크리트와 이를 이용한수목보호공법
JP2003088237A (ja) 植栽屋根構造
KR100668963B1 (ko) 보도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