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307B1 - 가로수 보호덮개판 - Google Patents

가로수 보호덮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307B1
KR100903307B1 KR1020080012284A KR20080012284A KR100903307B1 KR 100903307 B1 KR100903307 B1 KR 100903307B1 KR 1020080012284 A KR1020080012284 A KR 1020080012284A KR 20080012284 A KR20080012284 A KR 20080012284A KR 100903307 B1 KR100903307 B1 KR 100903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oadside
plate
trees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이기준
Original Assignee
이용우
이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우, 이기준 filed Critical 이용우
Priority to KR1020080012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9Artificial gr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환경미화, 공해방지 및 소음방지 등 도시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인도블록 가장자리의 식재영역 내에 식재된 가로수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로수 보호덮개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은, 분리 결합되는 판재의 중앙에 가로수식재홀을 구비함과 더불어 그 주위에 여러 형상의 배수홀이 관통 형성된 덮개철판과; 분리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덮개철판의 하단에 설치되며, 가로수 주변의 잡초번식 차단과 더불어 가로수식재홀이나 배수홀 측으로 담배꽁초나 각종 쓰레기들의 유입 및 지면으로부터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가로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함침하고 있다가 지면 아래로 서서히 침투시켜 가로수의 생육에 도움되도록 하는 인조잔디메트로 구성되며, 상기 인조잔디메트의 중앙에는 덮개철판의 가로수식재홀과 대응되면서 식재된 가로수의 성장에 따라 밑둥에 밀착되는 홀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내주면에 지름가변부가 방사상태로 절개된 밑둥결착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수 주변에 잡초의 번식을 차단함은 물론, 덮개철판의 가로수식재홀이나 배수홀을 통해 덮개철판 내부로 담배꽁초나 쓰레기 등의 오물이 유입되거나 지면의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로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바로 지표층까지 투과시키거나 또는 함침하고 있다가 지표층 아래까지 서서히 수분이 침투되도록 하는 등 가로수의 생육에 도움을 주며, 더욱이 여러 형상의 배수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인조잔디가 가로수의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룸에 따라 인도를 보행하는 행인들로부터 배수홀과 동일 형상을 이룬 상태로 돌출된 인조잔디를 통해 심미감을 부각시킴과 아울러 지방자치단체나 관할관청의 지역상징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가로수, 보호덮개판, 여러 형상의 배수홀, 인조잔디메트, 지름가변부, 밑둥결착홀, 잡초 번식 차단, 담배꽁초나 각종 쓰레기 유입 방지, 토사 유출 방지, 가로수 생육 및 성장

Description

가로수 보호덮개판{The cover plate for protection a street trees}
본 발명은 가로수 보호덮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 결합되는 판재의 중앙에 가로수식재홀을 구비함과 더불어 그 주위에 원형이나 동물형상 또는 지방자치단체나 관할관청의 문자와 로고 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배수홀이 관통 형성된 덮개철판 및 그 하단에 인조잔디메트를 일체로 설치 구성함으로써, 가로수 주변에 잡초의 번식을 차단함은 물론, 덮개철판의 가로수식재홀이나 배수홀을 통해 덮개철판 내부로 담배꽁초나 쓰레기 등의 오물이 유입되거나 지면의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로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바로 지표층까지 투과시키거나 또는 함침하고 있다가 지표층 아래까지 서서히 수분이 침투되도록 하는 등 가로수의 생육에 도움을 주며, 더욱이 여러 형상의 배수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인조잔디가 가로수의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룸에 따라 인도를 보행하는 행인들로부터 배수홀과 동일 형상을 이룬 상태로 돌출된 인조잔디를 통해 심미감을 부각시킴과 아울러 지방자치단체나 관할관청의 지역상징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가로수 보호덮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로변에 형성되어 있는 인도에는 통행의 편의를 위해 인도블록 이 설치되어 있고, 이의 가장자리에는 도로의 환경미화, 공해방지 및 소음방지 등 도시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로수가 일정간격으로 심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식재된 가로수를 중심으로 그 주변에 가로수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이 지면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정면적의 지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식재영역을 확보하고 있으나 가로수 성장에 방해가 되면서 미관을 해치는 각종 잡초들이 번식하기 쉽고 또한 우천 시 노출된 식재영역의 지면으로부터 토사가 유출되어 도로를 더럽히거나 지면이 파여져 가로수의 뿌리부분이 노출되게 되는 등 가로수의 성장에 위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된 가로수의 식재영역을 덮어 각종의 잡초의 번식을 차단함과 동시에 우천 시의 토사 유출을 방지하는 등 가로수를 보호하기 위한 가로수 보호용 덮개판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 가로수 보호용 덮개판의 경우 분할 조립이 가능하도록 사각형 내지 반원형의 패널형태로서 중앙에 가로수가 식재되는 가로수식재홀이 관통되어 있고, 그 주위로 빗물 등 수분이 지면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홀이 다수 관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가로수 보호용 덮개판은 주철을 소재로 한 주조방식으로 제조됨과 아울러 별도의 표면처리 및 도장 등의 마감작업을 거치지 않고 사용되기 때문에 외면이 거칠고 조악하여 전체적인 도시 미관을 해칠 우려가 높을 뿐만 아니라 산화작용에 따라 쉽게 부식되게 되고 우천 시 이를 통해 발생된 녹물이 지면속으로 스며들게 되어 토양을 훼손시키는 등 가로수가 성장하는데 큰 지장을 줄 수밖에 없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가로수 보호용 덮개판의 경우 중앙에 관통된 가로수식재홀 및 그 주위에 다수 관통된 배수홀을 통해 가로수의 성장을 방해하면서 주위 미관을 해치는 각종 잡초들이 번식하게 되는 단점과 아울러 담배꽁초나 각종 쓰레기들이 상기 가로수식재홀이나 배수홀에 쌓이게 되면서 가로수 주위가 지저분해지는 등의 환경오염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담배꽁초나 각종 쓰레기들을 제거키 위해 청소작업을 실시할 경우 가로수식재홀을 비롯하여 작은 크기의 관통홀로 이루어진 배수홀 내의 담배꽁초나 각종 쓰레기들을 제거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 역시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관통된 가로수 보호용 덮개판의 가로수식재홀 및 다수의 배수홀을 통해 노출된 지면의 수분 즉, 가로수 성장에 필요한 지면뿐만 아니라 지면 아래의 수분까지 대기중으로 증발되어 가로수가 말라버리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우천 시 종래 가로수 보호용 덮개판이 설치되기 전(前) 가로수 식재영역에서의 토사 유출 보다는 적지만 이 역시 상기 가로수식재홀 및 다수의 배수홀을 통해 노출된 식재영역의 지면으로부터 토사가 유출되어 도로를 더럽히거나 지면이 파여져 가로수의 뿌리부분이 노출되어 가로수 성장에 위해가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더불어, 종래 가로수 보호용 덮개판의 주위로 보행자가 보행할 경우 상기 가로수 보호용 덮개판의 중앙 및 그 주위에 다수 관통된 가로수식재홀와 배수홀에 보행자의 신발 굽이 빠지거나 걸려 넘어져 상처를 입게 되는 부상을 초래하는 문제점 등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분리 결합되는 판재의 중앙에 가로수식재홀을 구비함과 더불어 그 주위에 다수의 배수홀이 관통 형성된 덮개철판 및 그 하단에 인조잔디메트를 일체로 설치 구성함으로써, 가로수 주변에 잡초의 번식을 차단함은 물론, 덮개철판의 가로수식재홀이나 배수홀을 통해 덮개철판 내부로 담배꽁초나 쓰레기 등의 오물이 유입되거나 지면의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로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바로 지표층까지 투과시키거나 또는 함침하고 있다가 지표층 아래까지 서서히 수분이 침투되도록 하는 등 가로수의 생육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가로수식재홀 주위의 배수홀을 원형이나 동물형상 또는 지방자치단체나 관할관청의 문자와 로고 등으로 관통시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여러 형상의 배수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인조잔디가 가로수의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룸으로써, 인도를 보행하는 행인들로부터 배수홀과 동일 형상을 이룬 상태로 돌출된 인조잔디를 통해 심미감을 부각시킴과 아울러 지방자치단체나 관할관청의 지역상징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은, 분리 결합되는 판재의 중앙에 가로수식재홀을 구비함과 더불어 그 주위에 여러 형상의 배수홀이 관통 형성된 덮개철판과;
분리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덮개철판의 하단에 설치되며, 가로수 주변의 잡초번식 차단과 더불어 가로수식재홀이나 배수홀 측으로 담배꽁초나 각종 쓰레기들 의 유입 및 지면으로부터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가로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함침하고 있다가 지면 아래로 서서히 침투시켜 가로수의 생육에 도움되도록 하는 인조잔디메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조잔디메트의 중앙에는 덮개철판의 가로수식재홀과 대응되면서 식재된 가로수의 성장에 따라 밑둥에 밀착되는 홀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내주면에 지름가변부가 방사상태로 절개된 밑둥결착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은, 분리 결합되는 판재의 중앙에 가로수식재홀을 구비함과 더불어 그 주위에 다수의 배수홀이 관통 형성된 덮개철판 및 그 하단에 인조잔디메트를 일체로 설치 구성함으로써, 가로수 주변에 잡초의 번식을 차단함은 물론, 덮개철판의 가로수식재홀이나 배수홀을 통해 덮개철판 내부로 담배꽁초나 쓰레기 등의 오물이 유입되거나 지면의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로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바로 지표층까지 투과시키거나 또는 함침하고 있다가 지표층 아래까지 서서히 수분이 침투되도록 하는 등 가로수의 생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가로수식재홀 주위의 배수홀을 원형이나 동물형상 또는 지방자치단체나 관할관청의 문자와 로고 등으로 관통시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여러 형상의 배수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인조잔디가 가로수의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룸으로써, 인도를 보행하는 행인들로부터 배수홀과 동일 형상을 이룬 상태로 돌 출된 인조잔디를 통해 심미감을 부각시킴과 아울러 지방자치단체나 관할관청의 지역상징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을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가로수 보호덮개판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가로수 보호덮개판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 중 배수홀 형상에 대한 각 실시예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1)은, 외부로 노출된 가로수 주변의 식재영역을 덮어 잡초번식 차단과 더불어 가로수식재홀(12)이나 배수홀(14,14a,14b) 측으로 담배꽁초나 각종 쓰레기들의 유입 및 지면으로부터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가로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함침하고 있다가 지면 아래로 서서히 침투시켜 가로수의 생육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한 요소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결합되는 판재의 중앙에 가로수식재홀(12)을 구비함과 더불어 그 주위에 여러 형상의 배수홀(14,14a,14b)이 관통 형성된 덮개철판(10)과; 상기 덮개철판(10)과 마찬가지로 상호 분리 결합되는 구조로서 덮개철판(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인조잔디메트(2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철판(10)의 경우 노출된 가로수 주변의 식재영역 내에서 각종 잡초가 번식하여 이를 통해 식재된 가로수의 성장에 위해가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철 재질의 사각판재로 이루어져 있음과 아울러 중앙이 상호 분리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상호 분리 결합되면서 사각판재로 이루어진 덮개철판(10)의 각 일단 양측에는 상호 분할된 일측의 사각판재와 타측의 사각판재를 결착시켜 하나의 사각판재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호 대응 결합되는 결합수단 즉, 결합홀(18a)과 결합돌기(18b)가 각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철판(10)의 중앙에는 식재된 가로수를 감싸는 상태로 하여 식재영역에 덮개철판(10)이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가로수식재홀(12)이 덮개철판(10)과 마찬가지로 분할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수식재홀(12)의 주위에는 여러 형태의 배수홀(14,14a,14b)이 관통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배수홀(14,14a,14b)의 경우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14a), 사각형, 삼각형, 사디리꼴형, 부채꼴형 등의 형상(도 4b 참조)이나 동물형상(14)(도 4a 참조) 또는 지방자치단체나 관할관청의 문자와 로고(14b)(도 4c 참조) 등 여러 형상으로 관통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4a에 도시한 동물형상의 배수홀(14)을 사용함과 아울러 상기한 배수홀(14,14a,14b)은 레이저 컷팅방식을 통해 해당 모양을 관통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덮개철판(10)의 양단에는 인조잔디메트(20)를 덮개철판(10)의 하단 전체에 일체로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메트걸림부(16)가 하방(下方)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인조잔디메트(20)의 경우 빗물 등 가로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이 덮개철판(10)의 가로수식재홀(12)과 배수홀(14,14a,14b)을 통해 유입될 시 이를 바 로 지표층까지 투과시키거나 또는 유입된 수분을 함침하고 있다가 지표층 아래까지 서서히 수분이 침투되도록 하여 가로수의 생육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투수성이 좋은 다공질의 수지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덮개철판(10)과 마찬가지로 중앙이 상호 분리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조잔디메트(20)의 중앙에는 덮개철판(10)의 가로수식재홀(12)과 대응되면서 식재된 가로수의 성장에 따라 밑둥에 밀착되는 홀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내주면에 지름가변부(24)가 방사상태로 절개된 밑둥결착홀(2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호 분할 결합되는 덮개철판(10)의 중앙 및 그 주위에 가로수식재홀(12)과 배수홀(14,14a,14b)을 관통 형성시키되, 상기 배수홀(14,14a,14b)의 형상을 원형이나 동물형상 또는 지방자치단체나 관할관청의 문자와 로고 등으로 형성시킨 후 상기 덮개철판(10)의 하단에 인조잔디메트(20)를 일체로 결착시킬 경우 가로수 주변에 잡초의 번식을 차단함은 물론, 덮개철판(10)의 가로수식재홀(12)이나 배수홀(14,14a,14b)을 통해 덮개철판(10) 내부로 담배꽁초나 쓰레기 등의 오물이 유입되거나 지면의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로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바로 지표층까지 투과시키거나 또는 함침하고 있다가 지표층 아래까지 서서히 수분이 침투되도록 하는 등 가로수의 생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등의 주목적에 관련된 특징적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여러 형상의 배수홀(14,14a,14b)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인조잔디가 가로수의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룸으로써 인도를 보행하는 행인들로부터 배수홀(14,14a,14b)과 동일 형상을 이룬 상태로 돌출된 인조잔디를 통해 심미감을 부각시킴과 아울러 지방자치단체나 관할관청의 지역상징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특징적 효과 역시 이룰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 중 인조잔디메트 설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덮개철판(10) 중앙의 가로수식재홀(12) 주위에 관통 형성된 여러 형상의 배수홀(14,14a,14b)과 각기 대응되는 위치 하단에 각기 부분적으로 인조잔디메트(20)가 설치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여러 형상의 배수홀(14,14a,14b)과 각기 대응되는 위치 하단에 각기 부분적으로 인조잔디메트(20)를 결착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가로수식재홀(12) 주위에 관통된 덮개철판(10)의 배수홀(14,14a,14b) 하단 양측에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1) 중 상기 덮개철판(10)의 양단으로부터 하방(下方)으로 절곡 형성된 메트걸림부(16)와 같은 동일 구조의 메트걸림부(16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1)을 식재된 가로수의 식재영역에 설치하는 과정 및 상기 설치된 가로수 보호덮개판(1)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는 식재된 가로수 주위에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이 초기 설치된 상태 및 가로수 성장에 따른 가로수 보호덮개판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차로변과 인접되는 인도블록 가장자리의 식재영역 내에 도로의 환경미화, 공해방지 및 소음방지 등 도시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로수가 식 재된 상태에서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식재된 가로수의 밑둥을 감싸는 상태로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1)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의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도블록 가장자리의 식재영역 내에 초기 식재된 가로수를 보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1)을 설치하기에 앞서 상호 분할 결합되는 각 덮개철판(10)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메트걸림부(16)에 각기 분할된 구조의 인조잔디메트(20)를 삽입 결착시킨 다음 상기 인조잔디메트(20)가 결착된 각 덮개철판(10)을 이용해 식재된 가로수의 밑둥을 감싸는 상태로 위치시킨 후 상기 각 덮개철판(10)의 결합에 의해 중앙측에 형성되는 가로수식재홀(12) 내에 식재된 가로수가 위치되도록 한 후 고정수단을 통해 각기 분리된 덮개철판(10)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가로수가 식재된 식재영역 내에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1)에 대한 설치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가로수가 식재된 식재영역 내에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1)이 설치될 경우 상기 덮개철판(10)의 중앙에 형성된 가로수식재홀(12)의 직경에 비해 상기 덮개철판(10)과 마찬가지로 상호 분할 구조로 이루어진 인조잔디메트(20)의 중앙에 형성된 밑둥결착홀(22)이 가로수의 밑둥에 근접되거나 밀착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가로수식재홀(12)의 내측으로 상기 밑둥결착홀(22)을 포함한 인조잔디메트(20)가 외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가로수식재홀(12)의 주위에 관통된 배수홀(14) 측으로도 인조잔디메트(20)가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초기 식재된 가로수의 주위에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 판(1)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로수가 성장할 경우 이에 따라 증가하는 가로수의 밑둥 크기와 대응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식재된 가로수의 밑둥에 근접되거나 밀착될 수 있도록 직경이 작게 형성된 인조잔디메트(20)의 밑둥결착홀(22) 즉, 식재된 가로수의 성장에 따라 밑둥에 밀착되는 홀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내주면에 지름가변부(24)가 방사상태로 절개된 밑둥결착홀(22)의 직경이 상기 절개된 지름가변부(24)의 확개에 따라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철판(10)의 가로수식재홀(12)까지 점차 확대되면서 보다 원활한 가로수의 성장을 이룰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가로수 보호덮개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가로수 보호덮개판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 중 배수홀 형상에 대한 각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 중 인조잔디메트 설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a 및 도 6b는 식재된 가로수 주위에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덮개판이 초기 설치된 상태 및 가로수 성장에 따른 가로수 보호덮개판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로수 보호덮개판 10. 덮개철판
12. 가로수식재홀 14, 14a, 14b. 배수홀
16, 16a. 메트걸림부 18a. 결합홀
18b. 결합돌기 20. 인조잔디메트
22. 밑둥결착홀 24. 지름가변부

Claims (3)

  1. 상호 분리 결합되는 판재의 중앙에 가로수식재홀을 구비함과 더불어 그 주위에 여러 형상의 배수홀이 관통 형성된 덮개철판과;
    상호 분리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덮개철판의 하단에 설치되며, 가로수 주변의 잡초번식 차단과 더불어 가로수식재홀이나 배수홀 측으로 담배꽁초나 각종 쓰레기들의 유입 및 지면으로부터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가로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함침하고 있다가 지면 아래로 서서히 침투시켜 가로수의 생육에 도움되도록 하는 인조잔디메트로 구성하되,
    상기 덮개철판의 양단에는 인조잔디메트를 덮개철판의 하단에 일체로 결착되도록 하기 위한 메트걸림부가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인조잔디메트의 중앙에는 덮개철판의 가로수식재홀과 대응되면서 식재된 가로수의 성장에 따라 밑둥에 밀착되는 홀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내주면에 지름가변부가 방사상태로 절개된 밑둥결착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덮개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메트는 덮개철판의 하단 전체 또는 여러 형상의 배수홀과 대응되는 위치 하단에 각기 부분적으로 설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덮개판.
KR1020080012284A 2008-02-11 2008-02-11 가로수 보호덮개판 KR100903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284A KR100903307B1 (ko) 2008-02-11 2008-02-11 가로수 보호덮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284A KR100903307B1 (ko) 2008-02-11 2008-02-11 가로수 보호덮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307B1 true KR100903307B1 (ko) 2009-06-16

Family

ID=4098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284A KR100903307B1 (ko) 2008-02-11 2008-02-11 가로수 보호덮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3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043B1 (ko) 2010-06-30 2012-11-29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가로수 보호덮개
KR102359552B1 (ko) * 2020-08-20 2022-02-07 남옥랑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813Y1 (ko) 1999-06-16 2000-03-15 황의철 잔디를 이용한 가로수보호덮개
KR200253388Y1 (ko) * 2001-08-22 2001-11-22 홍여주 가로수보호대용 휠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813Y1 (ko) 1999-06-16 2000-03-15 황의철 잔디를 이용한 가로수보호덮개
KR200253388Y1 (ko) * 2001-08-22 2001-11-22 홍여주 가로수보호대용 휠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043B1 (ko) 2010-06-30 2012-11-29 주식회사 드림인테크 가로수 보호덮개
KR102359552B1 (ko) * 2020-08-20 2022-02-07 남옥랑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5791A (ko) 슬렌팅 보호덮개
KR100822057B1 (ko) 담수형 가로수 보호 덮개
KR100903307B1 (ko) 가로수 보호덮개판
KR101182722B1 (ko) 가로수 물공급장치
KR200401368Y1 (ko) 가로수 보호판
KR101505984B1 (ko) 가로 녹지용 저류 관수장치
KR20070087942A (ko) 가로수 아래의 식물식재와 비산 먼지 방지 가로수 보호대
AU2011100491A4 (en) Root Barrier
KR100827102B1 (ko) 수목보호용 보호덮개 시공방법
KR100998823B1 (ko) 가로수 보호판
KR20100026070A (ko) 가로수 보호덮개
KR200245187Y1 (ko) 가로수 수분공급대
KR101167978B1 (ko)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59245Y1 (ko) 가로수보호판
KR20160100582A (ko)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JP2646507B2 (ja) グリーンベルト及びグリーンベルト用保水器具
KR100917382B1 (ko) 공간 잔디 블럭
KR100536411B1 (ko) 도로용 법면보호블록 설치구조
KR20130131053A (ko) 수목 보호용 덮개
KR200414415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친환경맨홀 뚜껑
KR200166832Y1 (ko) 필터가내장된가로수보호대
KR101086096B1 (ko) 간이형 생태수로
JP6043991B2 (ja) 雑草防止可能な給水用の施工構造
KR200253388Y1 (ko) 가로수보호대용 휠터
JP2005046006A (ja) 埋設型植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