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552B1 -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 - Google Patents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552B1
KR102359552B1 KR1020200104657A KR20200104657A KR102359552B1 KR 102359552 B1 KR102359552 B1 KR 102359552B1 KR 1020200104657 A KR1020200104657 A KR 1020200104657A KR 20200104657 A KR20200104657 A KR 20200104657A KR 102359552 B1 KR102359552 B1 KR 102359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vegetation
water
plant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옥랑
Original Assignee
남옥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옥랑 filed Critical 남옥랑
Priority to KR1020200104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가 등지에 배치되어 식목과 식생식물들의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비점오염물들이 포함된 다량의 오수를 정수하고 정수과정에 포집된 비점오염물들의 자연 분해를 도모하면서, 식재된 식목과 식생식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수분의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인도에 매립하여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 집수구가 형성된 식생 매립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생 매립조는 식목 식재부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식생공간을 갖는 함체로 구성되고, 상기 식생 매립조의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수위 형성구들이 바닥에서 설정높이로 이격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바닥과 설정높이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수위 형성구들에 의해 식재공간에 형성된 식목 식재부에는, 집수구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설정높이로 보습되는 보습층이 형성되고, 상기 보습층의 상부에는 식목, 또는 식물들이 식재되며, 유입되는 오수를 투수 여과하여 배수하는 투수 여과층이 상하 연통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Tree filtration system for nonpoint pollution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having structure for reusing rainwater}
본 발명은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가 등지에 배치되어 식목과 식생식물들의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비점오염물들이 포함된 다량의 오수를 정수하고 정수과정에 포집된 비점오염물들의 자연 분해를 도모하면서, 식재된 식목과 식생식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수분의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 도시개발에 따라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도시개발에 따른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이라 하는데, 산업폐수, 축산폐수등 산업화 폐수와는 다른 오염물질로 한강권의 경우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약 30% 정도(환경부 추산) 된다고 한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하수관로 등을 통해 처리될 경우 기존시설이 필요 이상으로 거대해지며, 불특정 오염물질이 유입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도 발생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 환경부에서는 2004년도부터 2020년까지 3단계로 비점오염원을 처리하는 대책을 다단계로 수립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 여러 업체에서 비점오염저감기술을 가지고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산업폐수 등 점오염원 처리기법을 활용하여 신속하게 오염원과 함께 발생하는 우수도 하수관 또는 우수관을 통해서 배출시키며 수자원보호는 도외시 되왔던 것이 현실이다.
또한, 도시개발로 인하여 도로포장율(서울시 평균포장율 876%, 2008년)이 높기 때문에 비가 오면 토양으로 우수가 침투하기가 어렵고, 침투가 되어도 그 양도 작은 반면 지표면으로 물이 고여 구두가 젖거나 때로는 옷을 걷고 가야 하는 도시 침수현상이 발생하며, 이 때문에 도시 수해민은 물론 경제적·사회적 손실이 계산할 수 없을 정도로 피해가 많이 나타나는 현상은 해를 거듭할수록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에는 오염원 유출 부하량을 최소화시키며 동시에 강우 시 첨두유출 및 총유출량 등의 조절을 유도하며, 이러한 시설을 통해 최종적으로 개발이전의 자연상태의 수문순환 구조에 가깝도록 비점오염원을 처리하는 방식, 즉 지표면 유출의 최소화,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호소, 하천, 해역 등 방류수역의 비점오염원에 대한 오염영향을 최소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시설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시설규모와 자연 경관 보존을 하고 그 기능을 재현하며 불침투면을 효율적으로 줄이는 기술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8984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1224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5-0127620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가 등지에 배치되어 식목과 식생식물들의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비점오염물들이 포함된 다량의 오수를 정수하고, 정수과정에 포집된 비점오염물들의 자연 분해를 도모하면서, 식재된 식목과 식생식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수분의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은,
인도에 매립하여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 집수구가 형성된 식생 매립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생 매립조는 식목 식재부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식생공간을 갖는 함체로 구성되고, 상기 식생 매립조의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수위 형성구들이 바닥에서 설정높이로 이격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바닥과 설정높이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수위 형성구들에 의해 식재공간에 형성된 식목 식재부에는, 집수구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설정높이로 보습되는 보습층이 형성되고, 상기 보습층의 상부에는 식목, 또는 식물들이 식재되며, 유입되는 오수를 투수 여과하여 배수하는 투수 여과층이 상하 연통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목 식재부의 바닥에는 설정높이로 상향 돌출된 중공관체로 이루어진 뿌리 활착 지지관이 형성되어, 상기 뿌리 활착 지지관에 의해 식목 식재부의 바닥에는 설정높이의 보습층이 유지되면서, 식재된 식목의 뿌리가 뿌리 활착 지지관을 따라 지반에 침투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 매립조에 형성된 식목 식재부의 일측에는 식생공간의 바닥면과 설정높이로 이격된 구획벽을 형성하여, 상기 식목 식재부의 일측에는 구획벽에 의해 식목 식재부의 투수 여과층과 구획된 투수 여과층을 갖는 식생식물 식재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구획벽에 의해 식목 식재부의 일측에 형성된 식생식물 식재부는, 식목 식재부의 투수 공간부와 상호 구획된 투수 공간부가 갖고, 하부는 식목 식재부의 보습층과 개방되어 식목 식재부의 보습층을 공유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된 식목 식재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식목 식재부용 투수 커버부는 식목 식재부에 식재된 식목의 줄기를 분할되게 감싸는 둘 이상의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식재된 식목의 줄기와 내접하는 내경에는 식목 식재부에 식재된 식목 줄기를 분할되게 감싸는 진출공 형성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는 식재된 식목의 줄기가 진출되는 진출공이 상호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진출공을 형성하는 커버부재의 진출공 형성홈부에는 진출공의 직경을 조절하는 가동 조절편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식목 식재부에는 식재된 식목의 줄기를 감싸는 식목 멀칭틀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은, 설정높이의 보습층의 상부에 투수 여과층이 연통하여 형성되어, 식목이나 식생식물들의 안정적인 생육이 도모되고, 또 도로가나 인도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투수 여과층을 통해 안정되게 여과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집수되는 우수나 오수를 자연순환식으로 처리하여 우수를 지하수로 보내면, 비점오염원에 의한 토양의 오염발생이 억제되고, 지상부에는 기존의 삭막한 도심의 환경을 식생을 통해 자연스러운 생태공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서, 도시 거주민의 생활환경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식재된 식목의 뿌리를 활착 지지하는 지지구조와, 식목 식재부를 커버하는 투수 커버부를 개량하여, 식목이 태풍이나 강풍 등에 의해 넘어지는 현상이 예방되고, 또 진출공의 유기적인 조절을 통해 발빠짐 등 보행자의 안전사고의 예방과, 식목의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나무여과시스템을 인도에 배치한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나무여과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나무여과시스템을 통해 보습층과 투습층을 형성하여 식목과 식생식물을 식재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나무여과시스템에 있어, 개방된 식목 식재부를 커버하는 식목 식재부용 투수 커버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상기 도 4에서 식목 식재부용 투수 커버부의 세부 구성과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나무여과시스템을 구성하는 식목 멀칭틀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나무여과시스템을 인도에 배치한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나무여과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나무여과시스템을 통해 보습층과 투습층을 형성하여 식목과 식생식물을 식재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나무여과시스템에 있어, 개방된 식목 식재부를 커버하는 식목 식재부용 투수 커버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상기 도 4에서 식목 식재부용 투수 커버부의 세부 구성과 작용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나무여과시스템을 구성하는 식목 멀칭틀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나무여과시스템(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도 경계석에 의해 도로와 구획된 인도의 각 지점에 매립하여 설치되어 가로수 등의 식목과 식생식물들의 생육공간을 제공하여 도시 녹지화를 구현하면서, 도로가에서 집수된 오수를 정수하여 여과 처리하는 정수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나무여과시스템(1)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인도 경계석을 통해 도로와 구획된 인도 등지에 매립하여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 인도 경계석에 형성된 집수관과 연통하는 집수구(110)가 형성된 식생 매립조(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생 매립조(100)를 콘트리트를 양생하여 성형한 콘트리트 성형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식생 매립조(100)에는 적어도 식목이 식재되는 식목 식재부(130)를 갖는 상부 개방형의 식생공간(1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생 매립조(100)의 개량된 보습 배수구조를 마련하여 식생공간(120) 하부층에는 투수 여과된 물이 설정수위로 저수되는 보습층(121)을 형성하고, 상기 보습층(121)의 상부에는 유입되는 오수를 여과하여 하부에 형성된 보습층(121)으로 유입하는 투수 여과층(131, 141)을 형성하여서, 상기 투수 여과층(131, 141)을 통해 식재된 식목(W)이나 식생식물(P)들의 생육에 요하는 물의 충분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생 매립조(100)의 측벽에 바닥과 설정간격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수위 형성구(122)들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상기 수위 형성구(122)들을 기준으로 상호로 연통하는 보습층(121)과 투수 여과층(131, 141)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보습층(121)에는 난석을 충진한 다음 보습과 투수기능을 도모하는 부직포(121a)가 덮혀진다.
그리고, 상기 보습층(121)의 상부에 형성된 투수 여과층(131, 141)에는 마사토와 식생토와 잡석이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유입되는 오수의 안정적인 투수여과와 함께, 식재된 식목(W)이나 식생식물(P)들의 생육에 적합한 영양분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집수구(110)를 통해 도로에서 집수되는 오수 및 개방된 상부를 통해 식생공간(120) 내로 유입된 오수는, 투수 여과층(131, 141)을 형성하는 잡석과 식생토와 마사토를 순차적으로 투과하면서 잔류된 비점오염원들의 투수여과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투수 여과된 정수 중 일부는 투수 여과층(131, 141)의 하부에 형성된 보습층(121)에 설정높이로 저수되고, 나머지 물은 수위 형성구(122)를 통해 지반으로 투수하여 배출되거나 배수로(111)와 연통하는 별도의 집수조(미도시)에 집수된다.
그리하여, 상기 식생 매립조(100)는 도로 등지에서 유입되는 오수의 자연적으로 투수하면서 여과하고, 또 투수 여과층(131)에 식재된 식목(W)이나 식생식물(P)들은 보습층(121)을 통해 생육에 요하는 물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생 매립조(100)를 구성하는 바닥에, 식생공간(120)에 식생된 식목(W)의 뿌리가 침투되어 식목 뿌리의 보다 단단한 지탱이 가능하는 식목 뿌리 지지구조를 형성하여서, 강풍 등에 의해 식재된 식목의 뿌리가 뽑히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상기 식목 식재부(130)의 바닥에는 설정높이로 상향 돌출된 중공관체로 이루어진 뿌리 활착 지지관(132)을 형성하여, 설정높이의 보습층(121)의 유지와 함께 식재된 식목(W)은 성장과정에 뿌리 활착 지지관(132)의 중공관로와 측벽에 형성된 수위 형성구(122)에 뿌리를 투과하여 뿌리가 매립된 지반이나 뿌리 활착 지지관(132)에 안정되게 활착 및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식목 식재부의 상부에, 식목된 식목의 줄기를 감싸는 타공관체로 이루어진 식목 멀칭틀(400)을 관통되게 배치하고, 상기 줄기를 감싼 식목 멀칭틀(400) 내에 나무칩등의 유기물(410)을 충진하여서, 식목 줄기의 안정적인 지지와 함께, 식목 줄기 및 뿌리의 지속적인 보습과 보온이 도모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식목 멀칭틀(40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투수공들이 형성된 밴드몸체로 이루어져, 도 6같이 식목 식재부(130)에 식목된 식목(W)의 줄기를 환형으로 감싸 타공관체를 형성한 다음, 내부에 나무칩 등의 유기물(410)을 충진하여 해당 식목 줄기의 지지기능과 함께, 보습기능과 보온기능 및 영양분의 지속적인 공급기능을 도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생 매립조(100)에 형성된 식목 식재부(130)의 일측에 식생공간(120)의 바닥면과 설정높이로 이격된 구획벽(123)을 형성하여, 상기 식목 식재부(130)의 일측에 구획벽(123)에 의해 식목 식재부(130)의 투수 여과층(131)과 구획된 투수 여과층(141)을 갖는 식생식물 식재부(14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구획벽(141)의 상측에는 구획된 식목 식재부(130)와 식생식물 식재부(14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로(123a)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수로(123a)를 통해 식목 식재부(130)와 식생식물 식재부(140)에 유입된 물은 연결수로(123a)를 통해 분배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나무여과시스템(1)은 식목 식재부(130)를 통한 식목(W)의 식재 및 생육과 식생식물 식재부(140)를 통해 식생식물의 식재 및 생육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식재된 식생식물(P)들과 식목(W)에 의해 보다 향상된 도시미관의 연출과 도시 녹지화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구획벽(123)에 의해 식목 식재부(130)의 일측에 형성된 식생식물 식재부(140)는, 식목 식재부(130)의 투수 공간부(131)와 상호 구획된 투수 공간부(141)가 형성되는 반면, 하부는 식목 식재부(130)와 연통하여 식목 식재부(130)의 보습층(121)을 공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나무여과시스템(1)은 보습층(121)을 상호 연통되게 공유하며, 투수 공간층(131, 141)은 각각 구획하여 형성된 식목 식재부(130)와 식생식물 식재부(140)를 통해 식목(W)과 식생식물(P)을 함께 식재 및 생장할 수 있는 특이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식목 식재부(130)와 식생식물 식재부(140)는 집수구(110)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투수 공간부(131, 141)를 투과하여 여과하고, 상기 투수 공간부(131, 141)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물은 하부에 형성된 보습층(121)에 설정높이로 보습하고 나머지 정수된 물은 수위 형성구(122)나 뿌리 활착 지지관(132)을 통해 지반으로 투수하여 배수되거나, 배수로(111)와 연통하는 별도의 집수조(미도시)에 집수되어 재활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식목이 식재된 식목 식재부(130)와 식생식물이 식재된 식생식물 식재부(140)에 기립하여 배치되며, 외벽에 복수의 통기공들이 형성된 타공관체로 이루어진 통기 수위관(500)을 기립되게 배치하여, 통기 수위관(500)을 통해 식재부(130, 140)에 뿌리의 성장에 요구되는 충분한 공기의 공급이 가능하고, 또 육안으로 각 식재부(130, 140)의 수위를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생 매립조(100) 내에 구획하여 형성된 식생식물 식재부(140)와 식목 식재부(130)의 상부에 투수 커버부(200, 300)를 각각 형성하여, 보행하는 보행자가 상부가 개방된 식목 식재부(130)나 식생식물 식재부(140)에 발빠짐 사고를 예방하고, 또 식재된 식생식물(P)이나 식목(W)의 훼손이 방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개방된 식생식물 식재부(140)의 상부에 배치되는 식생식물용 투수 커버부(200)는 복수의 투수공들이 형성된 범용의 그레이팅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된 식목 식재부(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식목 식재부용 투수 커버부(30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목 식재부(130)에 식재된 식목(W)의 줄기를 감싸는 하나 이상의 커버부재(31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커버부재(310)를 식목 식재부(130)의 상부에 방사구조로 배치하여 개방된 식목 식재부의 상부를 분할되게 커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10)는 식재된 식목(W)의 줄기와 내접하는 내경에는 식목 식재부(130)에 식재된 식목 줄기를 분할되게 감싸는 진출공 형성홈부(311)를 형성하여서, 식목 줄기와 커버부재(310)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보행자의 발 등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예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상기 식목 식재부(130)의 상부에 2개의 커버부재(310)로 이루어진 식목용 투수 커버부(300)를 형성하여, 개방된 식목 식재부(130)의 상부는 방사구조로 배치된 식목용 커버부재(310)에 의해 투수구조로 커버되면서 식재된 식목(W)의 줄기는 식목용 커버부재(310)들의 내경부에 형성된 진출공 형성홈부(311)들에 의해 형성되는 진출공(330)을 따라 외부에 노출된다.
그런데, 상기 식목 식재부(130)에 식재된 식목(W)은 점차 성장함에 따라 줄기의 직경은 점차 굵어지는데, 이를 고려하여 상기 진출공(330)을 형성하는 진출공 형성홈부(311)의 내경을 식재된 식목(W)의 줄기 직경 보다 과도하게 크도록 설계하면 식목 줄기와 진출공 형성홈부(311)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넓어져 발빠짐 등 보행자의 안전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진출공 형성홈부(311)의 내경을 좁게 하면 성장하는 식목의 줄기가 진출공 형성홈부(311)에 의해 물리적으로 압박되어 생육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물론, 주기적으로 식재하여 성장하는 식목 줄기의 직경에 따라 대응하는 내경의 진출공 형성홈부(311)를 갖는 커버부재(310)를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과도한 비용과 인력이 요구되므로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재(310)에 형성된 진출공 형성홈부(311)에, 식재하여 성장되는 식목(W)의 줄기의 직경에 따라 진출공 형성홈부(311)의 개방면적을 유기적으로 조절하는 가동 조절편(320)을 배치하여서, 식목의 줄기와 진출공 형성홈부(311) 사이의 노출간격을 최소화하여 발빠짐 등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또 식목의 줄기의 직경에 따라 대응하는 직경의 진출공(330)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식목의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가동 조절편(320)은 커버부재(310)의 내경에 형성된 진출공 형성홈부(311)를 감싸는 "ㄷ"자형의 가동체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 조절편(320)과 진출공 형성형부(311) 사이에 가이드 슬롯(312)과 가이드핀(321)으로 이루어진 진퇴 가이드 구조를 형성하여서, 상기 가동 조절편(320)은 내외측으로 진출하여 진퇴공(330)의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방사구조로 배치되어 식목 식재부용 투수 커버부(300)를 형성하는 커버부재(310)의 내측에는, 가동 조절편(320)의 진퇴에 의해 직경이 조절되는 진퇴공(330)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 조절편(320)의 진퇴를 통해 성장하는 식물(P)의 줄기의 직경에 적합한 직경의 진퇴공(330)이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식목 식재부용 투수 커버부(30)는 식목의 안정적인 성장과 발빠짐 등 보행자의 안전사고의 예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 조절편(320)의 내벽에 탄성 지지패드(322)를 마련하여, 상기 진퇴공(330)을 관통하는 식목의 줄기는 가동 조절편(320)에 직접적으로 간섭되지 아니하고 탄성 지지패드(322)를 통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서, 식물 줄기의 압박을 최소화하면서 식물 줄기와 가동 조절편(3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사구조로 배치된 커버부재(310)들에 진퇴구조로 배치된 가동 조절편(320)을 내측으로 견인하는 탄성 조임부재(323)를 마련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6과 같이 상기 탄성 조임부재(323)를 진출공(330)을 형성하는 가동 조절편(320)들을 환형으로 감싸는 환형 스프링으로 구성하여, 단일 환형 스프링로 이루어진 하나의 탄성 조임부재(323)을 통해서, 진출공(330)을 형성하는 각 가동 조절편(320)들은 내측으로 일괄하여 탄성 견인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탄성 조임부재(323)에 의해 가동 조절편(320)들이 내측으로 탄성 견인되도록 구성하면, 성장되는 식목 줄기의 직경에 따라 관리자가 가동 조절편(320)들을 일일히 진출 거리를 조절하여 진출공(330)의 직경을 조절하지 아니하고, 내측으로 탄성 견인되는 가동 조절편(320)들은 성장하는 식목의 줄기 직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진출하여서 줄기의 직경과 대응하는 직경의 진출공(330)을 형성할 수 있는 특이성을 갖는다.
1. 나무여과시스템
100. 식생 매립조 110. 집수구
111. 배수로
120. 식생공간 121. 보습층
121a. 부직포 122. 수위 형성구
123. 구획벽 123a. 연결수로
130. 식목 공간부 131. 투수 여과층
132. 뿌리 활착 지지관
140. 식생식물 공간 141. 투수 여과층
200. 식생식물 식재부용 투수 커버부
300. 식목 식재부용 투수 커버부 310. 커버부재
311. 진출공 형성홈부 312. 가이드 슬롯
320. 가동 조절편 321. 가이드핀
322. 탄성 지지패드 323. 탄성 조임부재(환형 스프링)
330. 진출공
400. 식목 멀칭틀 410. 유기물(나무칩)
500. 통기 수위관

Claims (5)

  1. 인도에 매립하여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 집수구가 형성된 식생 매립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생 매립조는 식목 식재부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식생공간을 갖는 함체로 구성되고, 상기 식생 매립조의 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수위 형성구들이 바닥에서 설정높이로 이격되게 형성되어서,
    상기 바닥과 설정높이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수위 형성구들에 의해 식재공간에 형성된 식목 식재부에는, 집수구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설정높이로 보습되는 보습층이 형성되고, 상기 보습층의 상부에는 식목, 또는 식물들이 식재되며, 유입되는 오수를 투수 여과하여 배수하는 투수 여과층이 상하 연통되게 형성하되,
    상기 식생 매립조에 형성된 식목 식재부의 일측에는 식생공간의 바닥면과 설정높이로 이격된 구획벽을 형성하여, 상기 식목 식재부의 일측에는 구획벽에 의해 식목 식재부의 투수 여과층과 구획된 투수 여과층을 갖는 식생식물 식재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구획벽에 의해 식목 식재부의 일측에 형성된 식생식물 식재부는, 식목 식재부의 투수 여과층과 상호 구획된 투수 여과층을 갖고, 하부는 식목 식재부의 보습층과 개방되어 식목 식재부의 보습층을 공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목 식재부의 바닥에는 설정높이로 상향 돌출된 중공관체로 이루어진 뿌리 활착 지지관이 형성되어, 상기 뿌리 활착 지지관에 의해 식목 식재부의 바닥에는 설정높이의 보습층이 유지되면서, 식재된 식목의 뿌리가 뿌리 활착 지지관을 따라 지반에 침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목 식재부에는 식재된 식목의 줄기를 감싸는 식목 멀칭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식목 식재부의 상부에는 식목 식재부용 투수 커버부가 배치되며, 상기 식목 식재부용 투수 커버부는 식목 식재부에 식재된 식목의 줄기를 분할되게 감싸는 둘 이상의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식재된 식목의 줄기와 내접하는 내경에는 식목 식재부에 식재된 식목 줄기를 분할되게 감싸는 진출공 형성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는 식재된 식목의 줄기가 진출되는 진출공이 상호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진출공을 형성하는 커버부재의 진출공 형성홈부에는 진출공의 직경을 조절하는 가동 조절편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
KR1020200104657A 2020-08-20 2020-08-20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 KR102359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57A KR102359552B1 (ko) 2020-08-20 2020-08-20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657A KR102359552B1 (ko) 2020-08-20 2020-08-20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552B1 true KR102359552B1 (ko) 2022-02-07

Family

ID=8025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657A KR102359552B1 (ko) 2020-08-20 2020-08-20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5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944Y1 (ko) * 2004-10-28 2005-01-14 박건준 조경수목 방수용 커버
KR100903307B1 (ko) * 2008-02-11 2009-06-16 이용우 가로수 보호덮개판
KR20110012248A (ko) 2009-07-30 2011-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017980B1 (ko) * 2010-04-23 2011-03-02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용 침투정
KR20150127620A (ko) 2013-03-05 2015-11-17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반도체 프로세스 챔버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퍼터 소스
KR102052679B1 (ko) * 2019-05-13 2019-12-06 주식회사 가랑비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944Y1 (ko) * 2004-10-28 2005-01-14 박건준 조경수목 방수용 커버
KR100903307B1 (ko) * 2008-02-11 2009-06-16 이용우 가로수 보호덮개판
KR20110012248A (ko) 2009-07-30 2011-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017980B1 (ko) * 2010-04-23 2011-03-02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용 침투정
KR20150127620A (ko) 2013-03-05 2015-11-17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반도체 프로세스 챔버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퍼터 소스
KR102052679B1 (ko) * 2019-05-13 2019-12-06 주식회사 가랑비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8944B2 (ja) 浄化された路面排水を利用する緑化装置
KR10129471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724155B1 (ko) 수목용 빗물정화 및 물공급시설
CN105986566B (zh) 一种海绵体多功能生态治理的方法
KR101701387B1 (ko) 빗물 침투 시설
CN111919621B (zh) 基于寒地生境恢复的行道树树池结构及制作方法
KR101393021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100966646B1 (ko) 친환경적인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0966887B1 (ko) 개량형 레인가든
KR20180060097A (ko) 저영향개발 시설의 화분 교체식 식생 구조체
KR102345755B1 (ko) 식생대를 활용한 도로용 우수처리장치
CN108867806B (zh) 一种用于雨水收集循环再利用的雨水花园
CN1774168B (zh) 绿化装置
KR101603588B1 (ko) 생태순환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JP3284346B2 (ja) 地下貯水システム
KR101440988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을 이용한 침투형 빗물저류 시스템
KR102359552B1 (ko)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 정수처리용 나무여과시스템
KR102052679B1 (ko)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CN205348113U (zh) 可再生填料-植物组合式沟渠-护坡氮磷生态拦截系统
CN213507859U (zh) 一种针对亚热带季风气候地区的复杂下凹式绿地系统
CN213448664U (zh) 一种海绵城市生态绿地系统
CN213897307U (zh) 一种雨水收集装置
CN209780066U (zh) 生态小区的屋顶排水结构
CN211446456U (zh) 一种绿地受限条件下的多功能海绵结构
CN217974670U (zh) 一种道路中央绿化带蓄排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