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086Y1 -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를 갖는 가드레일 지주활용교통표지판 지주 - Google Patents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를 갖는 가드레일 지주활용교통표지판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086Y1
KR200408086Y1 KR2020050031973U KR20050031973U KR200408086Y1 KR 200408086 Y1 KR200408086 Y1 KR 200408086Y1 KR 2020050031973 U KR2020050031973 U KR 2020050031973U KR 20050031973 U KR20050031973 U KR 20050031973U KR 200408086 Y1 KR200408086 Y1 KR 200408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sand
main body
pos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국
Original Assignee
손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종국 filed Critical 손종국
Priority to KR2020050031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0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0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2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e.g. grit or salt 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고안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100)의 지주포스트(102)에 설치하여 교통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폭설에도 사용자가 제설거치대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설치공법에서 터파기 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토사유출로 인한 도로침하와 차후 도로관리에 행하여지는 제초작업시 일어날 수 있는 예취기 날과 표지판 지주의 충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지 않기 때문에 현장설치가 간편하고 자재의 절감과 노무비 및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설용구를 지면에 방치하지 않아 겨울철 습기에 의하여 얼어붙는 현상이 생기지 않으며 사용시 주머니가 파손되는 손실율을 0%로 절감할 수 있는 표지판 지주와 제설용구 거치대갖는 특징이 있다.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

Description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를 갖는 가드레일 지주활용 교통표지판 지주 {Pillar of traffic sign board using guardrail as pilar, having mountable holder for snow-removal sand}
도 1은 본 고안의 도로 교통 표시판 및 제설모래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도로 교통 표시판 및 제설모래 거치대를 가드레일에 설 치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로 교통 표시판 및 제설모래 거치대에 모래함을 적재 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거치대 12: 거치대 본체
14: 거치홈 16, 16': 고정홈
18, 18': 결착홈 19: 거치파이프
20: 고정밴드 22: 고정핀
26, 26': 고정홈 30: 적재걸이대
38, 38': 결착돌기
100: 가드레일 102: 지주포스트
110: 제설모래포대 120: 표지판
본 고안은 탈부착용 도로 교통표지판 및 종전 지주를 활용한 제설모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한 내용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의 지주포스트에 설치하여 도로변 시설물의 정리정돈과 도로 시인성을 최대화하여 교통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폭설에도 제설용재(모래주머니)를 도로 이용자가 손쉽게 식별할 수 있는 가드레일 지주를 활용한 제설모래 거치대에 관한 사양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에 눈이 내리거나 기온이 하강하여 노면이 결빙되면 운행하는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염화칼슘이나 모래와 같은 제설재를 살포하게 되며 제설재는 살포차를 사용하여 살포하게 되지만 이러한 살포차에 적재할 수 있는 염화칼슘이나 모래의 양은 한계가 있고 뜻하지 않은 폭설에 대비하는 비상수단으로서 도로변 요소요소에 제설재인 염화칼슘 포대 또는 모래포대 등을 적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제설재는 포대에 담겨진 상태로서 도로변에 노상적재 방식으로 적재하여 폭설시 위치(모래주머니) 파악이 불분명하여 눈이 녹은후 식별하여 사용하고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박스형태 또는 별도의 구조물을 도로변에 형성하여 그 내부에 적층 보관하였다.
또한, 구조물에 적층하여 보관할 경우에는 이러한 구조물이 차량에 장애물로 작용하게 되므로 운행중인 차량이 충돌하여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교통표지판은 설치시 터파기(500~900mm) 공정을 거쳐야 하며 그로인하여 지하매설물(통신선로,하수관,우수관 등) 시설물에 큰 피해를 주는 일이 빈번하였으며 별도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운반하여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단점이었다.
그리고 물류비용, 인건비의 비효율성 등으로 작용하여 왔으며 설치시 토사가 유출되는 문제로 인하여 연약한 지반 형성으로 우천시 도로가 침하되고 도로변 제초작업시 표지판 지주에 제초기의 칼날이 충돌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제설 모래주머니는 지면에 방치되어 동절기 설해,폭설에 의하여 묻혀 찾기가 어렵고 습기로 인하여 얼어붙는 현상이 나타나고 동해로 주머니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전 도로변 교통표지판과 제설재 설치구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변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교통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도로여건의 시인성 확보로 소중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고 폭설시에도 도로사용자가 제설재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가드레일 지주를 활용한 교통표지판과 종전 지주를 활용한 제설용구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설치시 지면을 파지 않으며 터파기 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지 않기 때문에 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자재의 상?하차에 따른 물류비용 절감 효과와 운전자의 시각에서 볼 때 잘 정돈된 교통표지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설물을 제작하는데 그 목적을 두엇다.
상기 목적을 충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100)의 지주포스트(102)에 거치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12)의 후방에 반원형의 거치홈(14)이 형성되고, 본체(12)의 후방 양측에 고정홈(16, 16')이 형성되고, 본체(12)의 하부면에 결착홈(18, 18')이 형성되고, 본체(12)의 상부면에 거치파이프(19)이 부착되어 있는 거치대(10); 고정핀(22)을 사용하여 거치대(10)의 고정홈(16, 16')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26, 26')이 형성된 고정밴드(20); 상기 거치대(10)의 결착홈(18, 18')에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결착돌기(38, 38')가 형성되고, 제설모래포대(110)를 적재할 수 있도록 받침부가 형성되어 있는 적재걸이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에 관 한 사항으로 본 고안의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파이프(19)는 표지판(120)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행 예시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100)의 지주포스트(102)에 거치하여 제설모래포대(110)를 설치할 수 있으며, 거치대의 본체(12) 후방에 반원형의 거치홈(14)이 형성되어 있어 가드레일(100) 지주포스트(102)의 외둘레면에 밀착될 수 있는 반경을 갖게 되며, 본체(12)의 후방 양측에 고정홈(16, 16')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밴드(20)의 고정홈(26, 26')에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는 본체(12)의 하부면에 결착홈(18, 18')이 형성되어 있어 적재걸이대(30)의 결착돌기(38, 38')에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체(12)는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12) 후방에 철판 보강재를 연결하여 부착하고 하부면의 결착홈(18, 18')은 철판을 절곡하여 레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적재걸이대(30)는 평철로 창살망 구조를 제작하여 각 파이프로 이루어진 결착돌기(38, 38')를 부착하여 제작한 것이다.
본 고안의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는 본체(12)의 상부면에 거치파이프 (19)가 부착되어 있고 표지판(120)이 외부에 부착되어 교통표지판 또는 안내표지판과 같은 각종 표지판에 부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는 고정핀(22)을 사용하여 거치대(10)의 고정홈(16,16')과 결합하여 고정홈(26, 26')이 형성된 고정밴드(20)에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는 가드레일(100)에 모래주머니를 설 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으로 가드레일의 안쪽으로 돌출되거나 튀어나오지 않도록 설치하여 차량이 통과하거나 지나갈 경우 차량이 손상되거나 인명피해를 방지 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
위의 모래함은 다수의 제설모래포대(110)를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드레일(100)에 설치한 제설모래포대(110)는 주간 및 야간에 차량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수단을 구비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거치대(10)는 본체(12)의 후방에 반원형의 거치홈(14)이 형성 되어 있어 도로변에 설치하는 가드레일(100) 지주포스트(102)의 외둘레면에 밀착될 수 있는 반경을 갖게 되며 이러한 반원형 거치홈(14)은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로방향으로 보강대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는 가드레일(100)을 통해 도로의 외 측에 설치됨에 따라 차량의 소통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도 제설 모래 포대(110)를 도로변에 설치한 장점을 갖게 되며 사용자는 폭설시 적재된 제설모래포대(110)를 도로에 살포할 수 있고, 동절기 이외에는 탈착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는 가드레일 지주를 이용하여 모래주머니를 설치함에 따라 도로변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시인성을 확보하여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평상시나 폭설시에도 사용자가 제설거치대의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설치시 지면을 파지 않으며 터파기 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고 콘크리트의 구조물을 제작하지 않기 때문에 자재 절감은 물론 자 재를 상하차하기 위한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운전자의 시각에서 정돈된 교통표지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설물을 제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설치시 지면을 파지 않으며 터파기 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지하매설물 및 토사가 유출되지 않으며 도로가 붕괴 되지 않고 도로관리 및 제초작업시 표지판의 지주에 제초기의 칼날이 충돌하여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된 여건으로 본 고안 형식을 활용할 시 기존의 제설용구를 지면에 방치하지 않아도 되고 겨울철 습기에 의하여 얼어붙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모래주머니가 파손되지 않아 도로 유지관리와 제설 설비관리 및 산업 경제에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도로변 가드레일(100)의 지주포스트(102)에 거치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주포스트의 상부에 탈부착 고정밴드로 표지판(120)이 부착된 거치파이프(19)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를 갖는 가드레일 지주활용 교통표지판 지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변 가드레일(100)의 지주포스트(102)와 거치파이프를 고정함에 있어서, 도로변 가드레일(100)의 지주포스트(102)에 거치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12)의 후방에 반원형의 거치홈(14)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2)의 후방 양측에 고정홈(16, 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2)의 하부면에 결착홈(18,18')을 형성하고, 본체(12)의 상부면에 거치파이프(19)이 부착되어 있는 거치대(10)와 고정핀(22)을 사용하여 거치대(10)의 고정홈(16, 16')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26, 26')이 형성된 고정밴드(20)와. 상기 거치대(10)의 결착홈(18, 18')에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결착돌기(38, 38')를 구성하고,
    제설모래포대(110)를 적재할 수 있도록 받침부가 형성되어 있는 적재걸 이대(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를 갖는 가드레일 지주활용 교통표지판 지주.
KR2020050031973U 2005-11-11 2005-11-11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를 갖는 가드레일 지주활용교통표지판 지주 KR200408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973U KR200408086Y1 (ko) 2005-11-11 2005-11-11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를 갖는 가드레일 지주활용교통표지판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973U KR200408086Y1 (ko) 2005-11-11 2005-11-11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를 갖는 가드레일 지주활용교통표지판 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086Y1 true KR200408086Y1 (ko) 2006-02-07

Family

ID=4448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973U KR200408086Y1 (ko) 2005-11-11 2005-11-11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를 갖는 가드레일 지주활용교통표지판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0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155B1 (ko) 2006-08-16 2007-03-08 도원철 가드레일용 빙방사 보관함
KR200446824Y1 (ko) * 2008-09-03 2009-12-03 주식회사 엔에이건설 접이식 모래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155B1 (ko) 2006-08-16 2007-03-08 도원철 가드레일용 빙방사 보관함
KR200446824Y1 (ko) * 2008-09-03 2009-12-03 주식회사 엔에이건설 접이식 모래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8086Y1 (ko) 탈부착용 제설모래 거치대를 갖는 가드레일 지주활용교통표지판 지주
KR20160097486A (ko) 도로 배수시설 및 그에 따른 시공방법
KR200426167Y1 (ko) 가드레일용 교통표지판 거치대
JP2518390Y2 (ja) 張出歩道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張出歩道構造
KR200433096Y1 (ko) 가드레일용 교통표지판 거치대
CN216194832U (zh) 一种高速公路路基边坡的疏水护坡
JP2886528B1 (ja) 多目的街渠構造
JPH101981A (ja) 地下貯水装置
JP4227600B2 (ja) 排水型舗装道路用の舗装路面工法、およびそれによる排水型舗装道路
KR200450426Y1 (ko) 번개수로
KR100970494B1 (ko)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CN215976660U (zh) 一种具有防水防沉降的公路路基
KR100274747B1 (ko) 전주의 설치공법 및 그 지지구
CN214883717U (zh) 基坑防护装置
CN218375765U (zh) 一种道路施工隔离护栏
KR100989978B1 (ko) 굴착 공사용 빗물받이덮개
Orr Roadway and roadside drainage
KR101850909B1 (ko) 도로변 멀티 구조물
RU2735404C2 (ru) Лежневой материал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дорог
KR100558655B1 (ko) 가로등 전력선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McDonald et al. Low water stream crossings in Iowa: a selection and design guide.
JPH089216Y2 (ja) 草止ブロック
Pöyry et al. Technical exchange in the European northern periphery to identify best practices in winter maintenance
Shoop et al. Maintenance and Drainage Issues for Gravel and Snow Road Transitions: Case Study at the Scott Base Transition, Antarctica
Tonkel Snow Removal on County Ro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