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338B1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338B1
KR102222338B1 KR1020160013523A KR20160013523A KR102222338B1 KR 102222338 B1 KR102222338 B1 KR 102222338B1 KR 1020160013523 A KR1020160013523 A KR 1020160013523A KR 20160013523 A KR20160013523 A KR 20160013523A KR 102222338 B1 KR102222338 B1 KR 102222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area
touch
area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8223A (ko
Inventor
조규현
정희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775,19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17022B2/en
Priority to PCT/KR2016/013195 priority patent/WO2017086689A1/ko
Publication of KR20170058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전자 장치는, 롤을 포함하는 하우징, 롤에 감기며, 롤의 회전에 따라 표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표시 영역의 크기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디스플레이 및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되는 동안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롤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표시 영역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에 의해 감기며, 롤의 회전에 따라 표시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 제품 중 중요한 장치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는 그 크기가 점차 소형화 되고 있다. 이에 반해 많은 수요자는 큰 화면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최근 전자 장치 내부에 감거나 화면을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두루마리처럼 감겨질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머지 않아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 장치가 상용화될 전망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터치 앤 롤링 인터렉션 또는 터치 앤 언롤링 인터렉션이 입력되는 경우, 표시 영역이 변경된 디스플레이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롤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롤에 감기며, 상기 롤의 회전에 따라 표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되는 동안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되는 경우, 상기 표시 영역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롤에 감기며, 상기 롤의 회전에 따라 표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 크기의 증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인터렉션을 통해 표시 영역이 확장된 경우, 새로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후 전자 장치의 표시 영역의 크기 변경이 발생함에 따라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따라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영역이 증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역이 축소되는 경우,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 영역이 감소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렉션에 따라 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변경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및/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 가운데 "제1", "제2", "첫째", "둘째" 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 기기와 제2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자 인터렉션은, 터치 인터렉션, 롤링 인터렉션, 언롤링 인터렉션, 터치 앤 롤링 인터렉션, 터치 앤 언롤링 인터렉션, 벤딩 인터렉션, 음성 인터렉션, 버튼 인터렉션, 모션 인터렉션 및 다중(multimodal) 인터렉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개시에서 "롤링 인터렉션"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감겨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감소시키는 인터렉션으로서, 롤의 회전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전자 장치의 하우징으로 인입되는 인터렉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언롤링 인터렉션"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펼쳐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증가시키는 인터렉션으로서, 롤의 회전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전자 장치의 하우징으로 인출되는 인터렉션일 수 있다. 또한, "터치 앤 롤링 인터렉션" 또는 "터치 앤 언롤링 인터렉션"은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터치한 상태에서 롤의 회전에 의해 플렉셔블 디스플레이가 전자 장치의 하우징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인터렉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개시에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어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지도 애플리케이션, 메모 애플리케이션, 일정 애플리케이션, 폰 북 애플리케이션, 방송 애플리케이션, 운동 지원 애플리케이션, 결제 애플리케이션, 사진 폴더 애플리케이션, 의료 기기 제어 어플리케이션, 다수의 의료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어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에서, "레이아웃"은 화면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수, 구성 요소의 위치, 구성 요소 내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의 표시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화면의 레이아웃이 변경되는 의미는 화면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수가 변경되거나 구성 요소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구성 요소 내의 디스플레이 아이템의 표시 방법이 변경(예를 들어, 동영상 컨텐츠가 아이콘으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구성 요소의 위치는 구성 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표시 영역의 크기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톱 PC, 디지털 TV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메뉴 화면, 잠금 해제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화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는, 컨텐츠, 아이콘, 텍스트, 위젯, 그래픽 아이템(예를 들어, 프로그레서 바 등)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하우징(110-1), 우측 하우징(110-2) 및 롤러블한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한다. 특히, 좌측 하우징(110-1)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0)가 감길 수 있는 롤(115) 및 디스플레이(120)가 인입/인출될 수 있는 개구부(11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우측 하우징(110-2)은 디스플레이(120)와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20)는 롤의 회전에 따라 개구부(117)를 통해 인입/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가 개구부(117)를 통해 인입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표시 영역은 감소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20)가 개구부(117)를 통해 인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표시 영역은 증가할 수 있다. 이때, 롤의 회전은 사용자가 우측 하우징(110-2)을 잡아 당기거나 미는 사용자 인터렉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롤을 구동하는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우측 하우징(110-2)만을 잡아 당기거나 미는 인터렉션을 통해 롤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양측 하우징(110-1,110-2) 모두에 롤이 구비되어 양측 하우징(110-1,110-2) 중 적어도 하나를 잡아 당기거나 미는 인터렉션을 통해 롤의 회전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도 2a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120)의 말린 상태 및 디스플레이(120)의 펼친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언롤링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언롤링 인터렉션에 따른 롤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롤링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는 롤링 인터렉션에 따른 롤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으로 인입할 수 있다.
특히,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되는 동안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롤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표시 영역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정보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포함된 UI,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 알림 정보, 히스토리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0)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일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롤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되는 터치 앤 언롤링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0)과 함께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템이 포함된 UI(7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템이 포함된 UI(70)는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 따라 표시될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우측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롤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영역의 반대 측인 좌측 영역에 새로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템이 포함된 UI(70)는 늘어난 표시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즉, 기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0)의 크기는 유지되면서, 증가된 표시영역의 크기만큼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템이 포함된 UI(70)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의 터치 디스플레이(120)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의 터치없이 롤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되면, 전자 장치(100)는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늘어난 표시 영역에 비례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증가된 표시 영역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 증가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것은 화면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상대적인 배치가 변경되거나, 구성 요소의 수가 변경되거나, 구성 요소의 표시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 감지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특히,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10)에 구비된 롤의 회전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10)으로 인입되거나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120)가 롤의 회전에 따라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경우,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표시 영역은 롤의 회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디스플레이(120)가 롤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으로 인입되는 경우,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표시 영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120)가 롤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으로 인출되는 경우,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표시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복수의 컨텐츠 및 아이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웹 어플리케이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등)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복수의 위젯 및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복수의 위젯 및 잠금해제 아이콘을 포함하는 잠금 해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프로세서(140)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감지부(130)는 롤의 회전에 따른 디스플레이(120)의 인출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b 를 참조하면 좌측 하우징(110-1), 디스플레이(120) 및 감지부(130)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603)는 좌측 하우징(110-1) 내부로 감겨 들어가거나 좌측 하우징(110-1)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인출 방향은 하단 방향(200)일 수 있다. 감지부(130)는 광센서 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20)에 프린트된 패턴(131)을 감지 할 수 있다. 패턴(131은 디스플레이(120)의 픽셀 라인에 대응하는 QR 코드, 바코드, 흑백 패턴 또는 컬러 패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가 인출됨에 따라 디스플레이(120)에 프린트된 패턴(131)의 값이 변경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 는 변경된 패턴(131)의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120)의 인출량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양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120)의 인출량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등과 같은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120)의 인출량을 판단할 수 있으며, 롤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120)의 인출량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120) 및 감지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되는 동안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일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롤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표시 영역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4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유지시키면서 표시 영역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유지시키면서, 증가된 표시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의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영역의 반대편 위치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터치가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우측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롤(115)의 회전에 의해 표시영역의 크기가 증가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표시 영역 중 좌측 영역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터치가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좌측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롤(115)의 회전에 의해 표시영역의 크기가 증가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표시 영역 중 우측 영역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되는 동안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일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롤(115)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새로운 정보는 표시하지 않고, 표시 영역 크기의 증가에 따라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롤(115)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터치 감지의 유무에 따라 상이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롤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영역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화면을 제공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되는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롤(115)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만을 제공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정보가 제공되는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롤(115)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표시 영역에 새로운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터치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롤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표시 영역 크기의 감소에 따라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의 크기를 축소시키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새로운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새로운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다른 정보를 제공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감지부(130), 프로세서(140), 메모리(150), 구동 모듈(160), 사용자 입력 모듈(170), 터치 디스플레이(120), 통신 모듈(180) 및 버스(190)를 포함한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구현예에 따라 새로운 구성 요소를 추가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삭제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예를 들면, 버스(190)을 통해 다른 구성요소들(예: 메모리 (150), 구동 모듈(160), 사용자 입력 모듈(170), 터치 디스플레이(120), 통신 모듈(160) 등)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40)는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표시 영역의 변경에 따라 구성요소의 크기 및 레이아웃 중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칩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프로세서(14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구동 모듈(160), 사용자 입력 모듈(170), 디스플레이(120), 통신 모듈(16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프로세서(14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예를 들면, 커널(151), 미들웨어(15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153) 또는 어플리케이션(15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50)는 다양한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내장 메모리(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DRAM,SRAM)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OTPROM,PROM) 등) 또는 외장 메모리(예를 들어, flash drive, CD, SD 등)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 모듈(160)은 디스플레이를 말거나 펼치기 위한 롤(115)의 회전을 구동할 수 있는 모듈이다. 이때, 구동 모듈(160)은 사용자 입력 모듈(17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롤(115)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에 입력된 사용자의 외력(밀고 당기는 함)에 따라 반자동으로 롤(115)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모듈(160)은 롤의 회전이 아닌 다른 구동 방식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말거나 펼칠 수 있다.
이때, 구동 모듈(160)은 모터 및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170)은,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버스(190)를 통해 프로세서(140) 또는 메모리(15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170)은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키(key)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 키보드, 마우스, 음성 입력 장치, 포인티 디바이스, 리모컨 신호 수신부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에게 화상, 영상 또는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120)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80)은 다른 전자 장치(192)와 전자 장치(100)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191)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193)와 서버(194)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80)은 소정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예: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소정의 네트워크 통신(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전자 장치 각각(192,193)은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예: 같은 타입의) 장치이거나 또는 다른(예: 다른 타입의) 장치일 수 있다.
특히, 통신 모듈(180)은 네트워크(191)를 통해 외부의 서버(194)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자이로 센서, 제스처 센서, 그립 센서, 가속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프로세서(140)로 제공한다.
특히, 감지부(130)는,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온/습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30)는 롤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9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 신호(예: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인 "부" 또는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예를 들어,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5는 언롤링 인터렉션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사용자 터치의 유무에 따라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감지부(130)를 통해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좌측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고, 사용자가 오른쪽 방향으로 표시 영역을 확장시키는 터치 앤 언롤링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앤 언롤링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도 4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실행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UI(420)를 터치 디스플레이의 우측 영역에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좌측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롤(115)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이 증가하면, 프로세서(140)는 새로운 정보를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우측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좌측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롤(115)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이 증가하면, 프로세서(140)는 기존의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의 크기는 유지시키나, 실행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UI(420)의 크기를 표시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증가시키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실행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UI(420)는 표시 영역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증가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표시 영역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보다 커질 때, 실행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UI(420)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4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410)을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감지부(130)를 통해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우측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고, 사용자가 왼쪽 방향으로 표시 영역을 확장시키는 터치 앤 언롤링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앤 언롤링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도 4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실행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UI(420')를 터치 디스플레이의 좌측 영역에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우측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롤(115)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이 증가하면, 프로세서(140)는 새로운 정보를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좌측 영역에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서는 새로운 정보가 표시된 영역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UI가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새로운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따라 상이한 UI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우측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롤(115)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이 증가하면, 프로세서(140)는 제1 UI(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좌측 영역에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좌측 영역을 터치한 상태에서 롤(115)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이 증가하면, 프로세서(140)는 제2 UI(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우측 영역에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지점의 반대편 영역에 새로운 정보가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지점과 대응되는 영역에 새로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120)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롤(115)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되면, 프로세서(140)는 새로운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현재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을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감지부(130)를 통해 터치 디스플레이(120)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양쪽 방향으로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되는 언롤링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언롤링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증가된 표시 영역의 크기에 따라 현재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10')의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롤(115)의 회전에 따라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터치 유무에 따라 상이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제공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7은 롤링 인터렉션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우, 사용자 터치의 유무에 따라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6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610) 및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UI(620)을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감지부(130)를 통해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UI(620)가 표시된 우측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고, 표시 영역을 감소시키는 터치 앤 롤링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앤 롤링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도 6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610)을 제거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실행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UI(620')만을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실행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UI(620')는 감소되는 표시 영역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6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610) 및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UI(620)을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감지부(130)를 통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610)이 표시된 좌측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고, 표시 영역을 감소시키는 터치 앤 롤링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앤 롤링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도 6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실행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UI(620)을 제거하고,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610')만을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610')은 감소되는 표시 영역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감소하는 터치 앤 롤링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영역에 표시된 화면을 제거하고,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 표시된 화면만을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120)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롤(115)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감소되면, 프로세서(140)는 감소된 표시 영역의 크기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의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10) 및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UI(720)를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감지부(130)를 통해 터치 디스플레이(120)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감소되는 롤링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롤링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10') 및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UI(720')의 위치를 유지하고, 크기만을 감소시키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롤(115)의 회전에 따라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터치 유무에 따라 상이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제공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새로운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새로운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다른 정보를 제공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우선,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터치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화면은 개념적으로 메인 영역(810) 및 복수의 서브 영역(820-1,820-2,830-1,830-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역(810)는 다양한 화면(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대기 화면, 잠금 화면 등)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서브 영역(820)은 터치 앤 언롤링 인터렉션에 의해 생성되는 새로운 정보(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실행 아이콘이 포함된 UI, 현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UI 등)가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서브 영역(820-1,820-2,830-1,830-2) 각각은 서로 상이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영역(820-1,820-2,830-1,830-2)은 위치에 따라 상이한 유형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좌측에 위치하는 서브 영역(820-1,820-2)은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1 서브 영역(820-1)은 현재 실행되는 동영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제2 서브 영역(820-2)은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의 플레이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밖에, 좌측 영역에 위치하는 서브 영역은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예를 들어,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문자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관련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우측에 위치하는 서브 영역(830-1,830-2)은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없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서브 영역(830-1)은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제공하고, 제4 서브 영역(830-2)은 전자 장치의 다양한 설정(예를 들어, 통신 설정, 음량 설정, 화면 설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우측 영역에 위치하는 서브 영역은 알림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메인 영역(810) 및 서브 영역이 표시되는 동안 드래그 인터레션을 통해 표시되는 서브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메인 영역(810) 및 제1 서브 영역(820-1)을 함께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영역(810)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될 수 있으며, 서브 영역(820)에는 터치 앤 언롤링 인터렉션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메인 영역(810)을 터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서브 영역(820-1)을 위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위쪽 방향의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영역(820-1)을 제거하고, 메인 표시영역(810) 및 제2 서브 영역(820-2)을 함께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서브 영역(820-2)은 드래그 인터렉션에 따라 위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메인 영역(810) 및 제2 서브 영역(820-2) 각각의 한 지점을 터치한 후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왼쪽 방향의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서브 영역(820-2)을 제거하고, 메인 표시영역(810)을 좌측으로 이동하며, 우측 영역에 제3 서브 영역(830-1)을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3 서브 영역(830-1)은 드래그 인터렉션에 따라 왼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메인 영역(810)을 터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3 서브 영역(820-1)을 위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다.
위쪽 방향의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서브 영역(820-3)을 제거하고, 메인 표시영역(810) 및 제4 서브 영역(830-2)을 함께 표시하도록 터치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4 서브 영역(830-2)은 드래그 인터렉션에 따라 위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터치 인터렉션 또는 드래그 인터렉션을 통해 서브 영역을 변경하여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한다(S1010).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화면(예를 들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대기 화면, 잠금 화면 등)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터치 디스플레이(120)의 일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롤(115)의 회전에 의해 표시 영역 크기의 증가를 감지한다(S1020).
표시 영역 크기의 증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0)는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S1030).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앤 언롤링 인터렉션, 드래그 인터렉션과 같이 다양한 인터렉션을 통해, 사용자는 메인 영역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멀티 태스킹이 가능해 진다. 이에 의해, 전자 장치(100)는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 (예: 모듈들 또는 전자 장치(100)) 또는 방법 (예: 동작들)은, 예컨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유지되는(maintain)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instructions)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예: 프로세서 19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예: 프로세서 14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150)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로,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 (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 (optical media)(예: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 (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 (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 (예: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과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저장 매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구성의 일부로 포함되나, 전자 장치(100)의 포트(port)를 통하여 장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기기(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다른 전자 기기)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복수의 저장 매체에 나누어 저장될 수도 있으며, 이 때, 복수의 저장 매체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 기기에 위치할 수도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하우징 120: 터치 디스플레이
130: 감지부 140: 프로세서
150: 메모리 160: 구동 모듈
170: 사용자 입력 모듈 180: 통신 모듈

Claims (16)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롤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롤에 감기며, 상기 롤의 회전에 따라 표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되는 동안, 상기 실행 화면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표시 영역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터치가 상기 실행 화면의 일 측면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영역의 반대 측면에 위치한 표시 영역에 상기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되는 동안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가 증가되는 경우,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되는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만을 제공하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새로운 정보가 제공되는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표시 영역에 새로운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의 감소에 따라 상기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의 크기를 축소시키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새로운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드래그 인터렉션이 감지된 경우, 상기 새로운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다른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롤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롤에 감기며, 상기 롤의 회전에 따라 표시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실행 화면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롤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의 증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표시 영역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과 함께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터치가 상기 실행 화면의 일 측면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영역의 반대 측면에 위치한 표시 영역에 상기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되는 동안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롤의 회전에 의한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의 증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의 증가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제공되는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롤의 회전에 의한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의 감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새로운 정보가 제공되는 영역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롤의 회전에 의한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의 감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표시 영역에 새로운 정보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롤의 회전에 의한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의 감소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표시 영역의 크기의 감소에 따라 상기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의 크기를 축소시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표시 영역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새로운 정보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새로운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드래그 인터렉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정보가 표시된 영역에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60013523A 2015-11-18 2016-02-0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22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75,194 US10817022B2 (en) 2015-11-18 2016-11-16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6/013195 WO2017086689A1 (ko) 2015-11-18 2016-11-16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56889P 2015-11-18 2015-11-18
US62/256,889 2015-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223A KR20170058223A (ko) 2017-05-26
KR102222338B1 true KR102222338B1 (ko) 2021-03-04

Family

ID=590519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450A KR102500060B1 (ko) 2015-11-18 2016-01-29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160013523A KR102222338B1 (ko) 2015-11-18 2016-02-03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450A KR102500060B1 (ko) 2015-11-18 2016-01-29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17022B2 (ko)
KR (2) KR102500060B1 (ko)
CN (1) CN1083517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164B1 (ko) 2017-06-08 2021-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동작 방법
KR102420877B1 (ko) 2017-08-25 2022-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2408112B1 (ko) 2018-01-12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KR102629413B1 (ko) 2018-03-22 2024-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KR102577051B1 (ko) * 2018-07-17 2023-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분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9636720B (zh) * 2018-11-28 2023-03-21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09725773B (zh) * 2018-12-29 2021-09-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屏的控制方法及终端
KR102572268B1 (ko) * 2019-01-02 2023-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00100923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7237681B2 (ja) * 2019-03-25 2023-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134471B (zh) * 2019-04-01 2022-09-06 徐州视达坦诚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屏幕切换动画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821686A (zh) * 2019-04-22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0010009B (zh) * 2019-04-28 2021-04-2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CN110503891A (zh) * 2019-07-05 2019-11-26 太仓秦风广告传媒有限公司 一种基于距离变化的电子广告牌变换方法及其系统
CN110491289B (zh) * 2019-07-29 2024-03-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US20220291723A1 (en) * 2019-08-16 2022-09-15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10544432A (zh) * 2019-08-26 2019-12-06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CN110673697B (zh) * 2019-09-23 2021-08-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41380A (ko) 2019-10-07 2021-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의 전자 장치
EP4047913A4 (en) * 2019-10-18 2023-07-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210056563A (ko) 2019-11-11 2021-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385750A1 (en) * 2019-11-14 2022-12-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1104086B (zh) * 2019-11-19 2022-09-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WO2021125379A1 (ko) * 2019-12-18 202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978374B2 (en) * 2019-12-26 2024-05-07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WO2021137318A1 (ko) * 2019-12-31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60278A1 (en) * 2020-02-14 2021-08-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elf-adaptive display aspect ratio adjuster and gesture on rolling devices
CN111459367B (zh) * 2020-04-03 2022-04-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1510536A (zh) * 2020-05-26 2020-08-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938730B (zh) * 2020-06-29 2023-05-05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的投影组件校正方法和显示设备
CN117012099A (zh) * 2020-06-29 2023-11-07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KR102256681B1 (ko) * 2020-10-19 2021-05-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4148543A4 (en) * 2020-10-23 2024-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CN114442829A (zh) * 2020-10-30 2022-05-0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触控面板操作方法
WO2022098125A1 (en) 2020-11-06 2022-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CN116420132A (zh) * 2020-11-06 2023-07-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感测水分引入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11243636B1 (en) 2020-11-30 2022-02-08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Rollable display device
US11720147B2 (en) * 2020-12-01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2119355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19215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확장 및/또는 축소에 따라서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592932B2 (en) 2021-03-15 2023-02-28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Position detection in rollable displays
CN113179345A (zh) * 2021-04-28 2021-07-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及装置
WO2022250645A1 (en) * 2021-05-24 2022-12-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ollable display devices
US11946742B2 (en) 2021-07-13 2024-04-02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Angle detection of hinges in rollable devices
KR20240055040A (ko) * 2021-10-08 2024-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19404A (ko) * 2022-02-07 2023-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00084A1 (ko) * 2022-04-14 2023-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기반하여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1907516B2 (en) * 2022-04-16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identifying set of information according to change in size of display area of flexible display
WO2023204439A1 (ko) * 2022-04-19 2023-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3204418A1 (ko) * 2022-04-19 2023-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변경에 기반하여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1830A1 (en) * 2006-01-06 2009-02-26 Yoshiteru Matsushita Mobile terminal unit, display method,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30201208A1 (en) * 2012-02-07 2013-08-08 Eunhyung Cho Icon display method for a pull-out display device
US20140118317A1 (en) * 2012-11-01 201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of screen of flexible display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208B1 (ko) 2004-07-20 2006-08-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슬라이딩에 의해 접사모드로 전환 가능한 슬라이드형이동통신단말기
KR100593177B1 (ko) 2004-07-26 2006-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줌 기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카메라 모듈
JP4640641B2 (ja) 2005-09-09 2011-03-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8041003A (ja) 2006-08-10 2008-02-21 Fuji Xerox Co Ltd 文書表示処理装置および文書表示処理プログラム
US9823833B2 (en) 2007-06-05 2017-11-21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ptic enabled flexible touch sensitive surface
US7949954B1 (en) 2007-08-17 2011-05-24 Trad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Dynamic functionality based on window characteristics
KR101499546B1 (ko) * 2008-01-17 201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제어 방법, 장치, 및기록매체
KR101463837B1 (ko) * 2008-06-12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운용방법
KR101522882B1 (ko) 2008-07-17 2015-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472021B1 (ko) 2008-09-02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62582B1 (ko) 2008-12-30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
KR101991862B1 (ko) * 2011-02-10 2019-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9927839B2 (en) 2011-05-03 2018-03-27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KR101789625B1 (ko) 2011-06-23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711566B2 (en)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KR101968131B1 (ko) 2011-11-16 2019-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방법
KR101860880B1 (ko) 2011-11-18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30056674A (ko) * 2011-11-22 201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저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US9116567B2 (en) 2012-04-25 2015-08-2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he display of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US9940903B2 (en) 2012-06-07 2018-04-10 Nbcuniversal Media,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ublishing and manipulating data objects
KR20140000749A (ko) 2012-06-25 2014-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79348B1 (ko) 2012-07-30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2070244B1 (ko) 2012-08-01 2020-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21893A (ko) * 2012-08-13 201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영역을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892959B1 (ko) * 2012-08-22 201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044237A (ko) 2012-10-04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79286A (ko) * 2012-12-18 2014-06-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10025494B2 (en) * 2013-01-16 2018-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aptive edge-to-edge display system for multi-touch devices
KR102105958B1 (ko) 2013-03-04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익스펜더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2중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35404A (ko) 2013-05-16 2014-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1602B1 (ko) * 2013-06-10 2020-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029229A1 (en) 2013-07-27 2015-01-2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djustable Size Scrollable Display
CN104424318A (zh) * 2013-09-09 2015-03-1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页面元素的控制方法及装置
KR101540864B1 (ko) 2013-12-19 2015-07-31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TWI543129B (zh) 2014-07-22 2016-07-21 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捲軸式顯示裝置
KR101564267B1 (ko) 2014-12-30 2015-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9320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85147B1 (ko) * 2015-07-06 2023-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169842B2 (en) * 2015-07-06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content adjustment on a bendable transparent display
KR102370169B1 (ko) * 2015-10-13 2022-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1830A1 (en) * 2006-01-06 2009-02-26 Yoshiteru Matsushita Mobile terminal unit, display method,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30201208A1 (en) * 2012-02-07 2013-08-08 Eunhyung Cho Icon display method for a pull-out display device
US20140118317A1 (en) * 2012-11-01 201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of screen of flexible display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17022B2 (en) 2020-10-27
KR20170058220A (ko) 2017-05-26
KR102500060B1 (ko) 2023-02-16
US20180374452A1 (en) 2018-12-27
KR20170058223A (ko) 2017-05-26
CN108351706A (zh)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338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76235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886252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144095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241346B1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41291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03506B1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7846501A (zh)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EP3629674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343361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웹 페이지 디스플레이 방법
CN103870132A (zh) 基于情境提供信息的方法和系统
CN107783597A (zh) 可折叠装置及控制所述可折叠装置的方法
KR101624161B1 (ko)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1800797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7086689A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75336B1 (ko)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21374B1 (ko) 벤디드 디스플레이와 커버를 갖는 휴대단말 및 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20160027856A (ko) 벤디드 디스플레이와 커버를 갖는 휴대단말 및 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