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286A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286A
KR20140079286A KR1020130151411A KR20130151411A KR20140079286A KR 20140079286 A KR20140079286 A KR 20140079286A KR 1020130151411 A KR1020130151411 A KR 1020130151411A KR 20130151411 A KR20130151411 A KR 20130151411A KR 20140079286 A KR20140079286 A KR 20140079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rea
flexible
portable terminal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구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7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시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A, 상기 영역 A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영역 A의 다른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과 결합되며, 필요시 상기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 이동시, 제2 케이스의 이동 방향으로 펼쳐져 선택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 및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영역 B를 감거나 펼치기 위한 제1 롤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롤 형태로 감겨있는 영역 B를 원하는 길이만큼 펼치도록 하여 구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MOBI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 통신, 네트워크 접속, 디지털 방송 수신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다.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송수신, 인터넷 웹 브라우징 등의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가 이용된다.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고정되어 있고 그 크기가 충분하지 않아 인터넷 웹 브라우징 기능 등을 이용하기에는 시각적으로 많은 제한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고자 넓은 영역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는 경우, 그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자체의 크기도 커지게 되어 단말기의 소형화, 경량화가 제한된다.
따라서,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한 인터넷 웹 브라우징 기능 등이 가능하면서도,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감겨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필요에 따라 펼치도록 하여 구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는 동시에 휴대 편이성을 만족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시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A, 상기 영역 A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영역 A의 다른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과 결합되며, 필요시 상기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 이동시, 제2 케이스의 이동 방향으로 펼쳐져 선택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 및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영역 B를 감거나 펼치기 위한 제1 롤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 이동시, 제1 케이스의 이동 방향으로 펼쳐져 선택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C와,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영역 C를 감거나 펼치기 위한 제2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은 디스플레이 영역 A의 일측과 일치하도록 위치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 A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는 각각 상기 영역 A의 좌, 우 또는 상, 하 일부를 수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그 내부에 장착되어 제2 케이스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펼쳐지도록 형성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 받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 A는 LCD 또는 플렉시블 LCD이고, 영역 B는 플렉시블 OLED 또는 플렉시블 QLED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 A는 LCD 또는 플렉시블 LCD이고, 영역 B는 플렉시블 OLED 또는 플렉시블 QLED이고, 영역 C는 플렉시블 OLED 또는 플렉시블 QLED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롤 형태로 감겨 있는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펼치도록 하여 구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터넷 웹 브라우징, 동영상 구동시,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해준다.
또한, 유연성이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a)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가 펼쳐진 모습(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a)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가 펼쳐진 모습(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a)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가 펼쳐진 모습(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a)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및 영역 C가 펼쳐진 모습(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a)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 및 영역 C가 펼쳐진 모습(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위치에 따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2 및 도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가 구동되는 모습(a) 및 모습(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하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1)는 디스플레이 영역 A(2), 제1 케이스(3), 제2 케이스(4),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5) 및 제1 롤러부(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시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A, 상기 영역 A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영역 A의 다른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과 결합되며, 필요시 상기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 이동시, 제2 케이스의 이동 방향으로 펼쳐져 선택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 및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영역 B를 감거나 펼치기 위한 제1 롤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의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음성통화, 단문메시지 송수신, 멀티미디어 콘텐츠 다운로드, 동영상 재생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화면 자체가 마치 종이와 같이 쉽게 휘고 구부릴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수만 번 이상 열고 닫아도 디스플레이의 성능에 변화가 없을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플렉시블 LCD(Liquid Crystal Display), 플렉시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또는 플렉시블 QLED(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s)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LCD는 인가 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적인 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기소자이다. 또한, 상기 OLED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스스로 빛을 내는 전계발광 현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또한, 상기 QLED는 반도체 나노 입자의 양자점이 에너지를 받아 불안정한 상태의 전자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내려오면서 발광하는 양자 효과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여기서 LCD가 플렉시블하다는 것은 기존 LCD에서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로 된 기판을 유연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해 곡면 형상으로 구부릴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한 것을 의미한다.
OLED 및 QLED가 플렉시블하다는 것은 기존 OLED 및 QLED을 유리보다 유연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해 롤 형태로 감았다가 펼칠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시키는데, 상시 구동이 가능한 영역 A는 플렉시블한(flexible) 소재 또는 플렉시블하지 않은(inflexible)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구동한 영역 B 및 영역 C는 플렉시블한(flexibl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a)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가 펼쳐진 모습(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a)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가 펼쳐진 모습(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A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 설치되고, 후술할 제2 케이스의 이동과는 상관없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시 구동이 가능하여 현재의 작동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해 준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A는 LCD 또는 플렉시블 LCD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휴대 편이성과 그립(grip)감을 고려하여, 플렉시블 LCD인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영역 A는 그 일부를 제1 케이스가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케이스는 영역 A의 제1면(7)과 상기 제1면의 양단에서 제1면과 수직하게 연장시킨 제2면(8) 및 제3면(9)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가 수용한 상기 영역 A의 다른 일부를 제2 케이스가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케이스는 제1면의 타면인 제4면(10)과 상기 제4면의 양단에서 제4면과 수직하게 연장시킨 제2면 및 제3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대략 'ㄷ'자의 좌우가 바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 내측의 일단(11)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영역 A를 통해 일반적인 통화, 메세지 확인, 메뉴 설정, 스케줄 확인 등의 단순한 서비스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케이스 이동시, 제2 케이스의 이동 방향으로 펼쳐져 선택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가 형성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이동방향으로 확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선택적으로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은 디스플레이 영역 A의 일측과 일치하도록 위치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 A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 (a)와 같이, 제1 케이스의 일단이 영역 A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도 2의 (b)와 같이 제2 케이스가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a)와 같이, 제1 케이스의 일단이 영역 A의 일측과 일치하도록 위치하고, 도 3의 (b)와 같이 제2 케이스가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케이스는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케이스가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우측으로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구동 가능한 넓은 범위의 영역 B를 제공해준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제2 케이스는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케이스가 영역 A와 멀어지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넓은 범위의 영역 B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사용자는 평상시, 도 2의 (a) 형상으로 단말기를 고정시켜 휴대할 수 있으며, 인터넷 접속, 동영상 재생 등을 위해 넓은 범위의 영역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이동시켜 도 2의 (b) 형상으로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그 내부에 장착되어 제2 케이스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펼쳐지도록 형성된 프레임(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2)은 제2 케이스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 A 및 영역 B를 고정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은 외부로 노출된 상기 영역 A 및 영역 B가 깨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은 단말기에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영역 B가 펼쳐짐과 동시에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일례로 키 입력부 또는 메시지 표시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와 메시지 표시부는 프레임 상에 터치 스크린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프레임은 롤 형태로 감았다가 펼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재는 낮은 열팽창계수(CTE)와 높은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시클로올레핀(Cycloolefi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lat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재는 낮은 굽힙모멘트를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아크릴(acryl), 폴리스티렌(Polystyren)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일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a)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가 펼쳐진 모습(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 B를 감거나 펼치기 위한 제1 롤러부(6)가 제2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롤러부는 상기 영역 B의 제4면을 따라 영역 B를 자동적으로 감고, 펼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롤러부는 영역 B 자체가 감겨져 있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롤러부의 중심에는 축이 형성되어, 축이 회전함에 따라 축의 외주면으로 상기 영역 B가 감기거나 펼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롤러부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영역 B가 펼쳐지도록 하고, 그 이동을 보다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롤러부가 상기 영역 B를 원하는 길이만큼 감겨 원하는 범위의 영역 B가 펼쳐지고, 그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고정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 홈 및 돌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케이스가 이동하면서 형성되는 프레임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케이스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는 용수철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과 케이스가 결합되는 표면 내외부로의 이동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돌기는 홈과 결합 시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결합되지 않은 시에는 돌기의 최고 돌출점이 적어도 표면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는 영역 B로의 확장 시 사용자의 소정에 힘에 의해, 결합된 홈으로부터 이격된 다른 홈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다.
즉, 프레임의 홈과 제2 케이스의 돌기가 결합된 상태에 있다가, 수동적으로 사용자가 소정에 힘을 가하면서 일정 길이만큼 제2 케이스를 이동시키면, 그 지점에서 프레임의 홈과 제2 케이스의 돌기가 결합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홈-돌기의 결합과 관련된 자동 모드를 설정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영역 B로의 확장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역 A 및 영역 B는 이종의 디스플레이를 각각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역 A는 LCD 또는 플렉시블 LCD이고, 영역 B는 플렉시블 OLED 또는 플렉시블 QLED인 것일 수 있다.
LCD는 내구성이 우수하나,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므로 광원을 제공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므로 전력 소모가 크다.
이에 비해, OLED 또는 QLED는 전력 소모는 낮고 화질이 우수하나, 장시간 동일한 화면에 이미지를 띄우는 경우 해당 화면에 잔상 또는 얼룩이 남는 번인(Burn-in)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영역 A는 상시 구동이 가능한 영역으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번인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LCD 또는 플렉시블 LCD인 것이 좋고, 상기 영역 B는 선택적 구동이 가능한 영역으로, 전력 소모가 낮고 화질이 우수한 플렉시블 OLED 또는 플렉시블 QLED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 받는 키 입력부(미도시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는 키패드(keypad)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 키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키 입력부는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상단부, 하단부 또는 측부에 형성되거나, 제 2케이스가 이동하면서 형성되는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여러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a)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 및 영역 C가 펼쳐진 모습(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a)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 및 영역 C가 펼쳐진 모습(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 B와, 동시에 선택적으로 구동 가능한 넓은 범위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C(13)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 이동시, 제1 케이스의 이동 방향으로 펼쳐져 선택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영역 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가 이동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C가 펼쳐지는 구동 원리는 전술한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의 구동 원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영역 C가 펼쳐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역 A는, 영역 B 및 영역 C와 이종의 디스플레이를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역 A는 LCD 또는 플렉시블 LCD이고, 영역 B는 플렉시블 OLED 또는 플렉시블 QLED이고, 영역 C는 플렉시블 OLED 또는 플렉시블 QLED인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시 구동이 가능한 영역 A, 선택적 구동이 가능한 영역 B 및 영역 C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는 이유는, 상술한 영역 A 및 영역 B에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는 이유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영역 C를 감거나 펼치기 위한 제2 롤러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롤러부는 전술한 일실시예 따른 제1 롤러부의 이동방향과 반대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위치에 따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는 각각 상기 영역 A의 좌, 우 또는 상, 하 일부를 수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영역 A의 좌, 우 일부를 수용하는 경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는 상기 영역 A의 상, 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a)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과 결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 영역 B가 감겨진 제1 롤러부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영역 A만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넓은 범위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필요하지 않는 통화, 메시지 확인, 메뉴 설정, 스케줄 확인 등의 단순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 동영상 재생 등을 위해 넓은 범위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2의 (b) 및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2 케이스를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롤러부에 감겨 있는 영역 B를 펼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역 B는 휴대용 단말기의 설정된 모드에 따라 원하는 길이만큼 펼쳐지고, 그 상태로 유지된 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가 구동되는 모습(a) 및 모습(b)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 평상시에는 제1 케이스의 일단이 영역 A의 중앙부에 위치하거나(도 8(a)) 또는 영역 A의 일측과 일치하도록 위치한 상태(도 8(b))에서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는 단순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동영상 구동시에는 각각의 제2 케이스가 디스플레이 영역 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단순한 서비스 및 동영상을 동시 사용할 경우에는, 각각의 제 2 케이스를 더 이동시켜 듀얼 모드(dual mode)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롤 형태로 감겨 있는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길이만큼 펼치도록 하여 구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터넷 웹 브라우징, 동영상 구동시,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하여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 휴대용 단말기
2: 디스플레이 영역 A
3: 제1 케이스
4: 제2 케이스
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
6: 제1 롤러부
7: 제1 면
8: 제 2면
9: 제3 면
10: 제 4면
11: 일단
12: 프레임
1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C
14: 제2 롤러부

Claims (9)

  1. 상시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A,
    상기 영역 A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영역 A의 다른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과 결합되며, 필요시 상기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2 케이스 이동시, 제2 케이스의 이동 방향으로 펼쳐져 선택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B 및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영역 B를 감거나 펼치기 위한 제1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 이동시, 제1 케이스의 이동 방향으로 펼쳐져 선택적으로 구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 C와,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영역 C를 감거나 펼치기 위한 제2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은 디스플레이 영역 A의 일측과 일치하도록 위치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 A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는 각각 상기 영역 A의 좌, 우 또는 상, 하 일부를 수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그 내부에 장착되어 제2 케이스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펼쳐지도록 형성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 받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역 A는 LCD 또는 플렉시블 LCD이고, 영역 B는 플렉시블 OLED 또는 플렉시블 QLED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역 A는 LCD 또는 플렉시블 LCD이고, 영역 B는 플렉시블 OLED 또는 플렉시블 QLED이고, 영역 C는 플렉시블 OLED 또는 플렉시블 QLED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130151411A 2012-12-18 2013-12-06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1400792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8552 2012-12-18
KR1020120148552 2012-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286A true KR20140079286A (ko) 2014-06-26

Family

ID=5113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411A KR20140079286A (ko) 2012-12-18 2013-12-06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9286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888A (ko) *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전자 기기
WO2016190498A1 (ko) * 2015-05-27 201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58220A (ko) * 2015-11-18 2017-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731098A (zh) * 2016-08-11 2018-02-23 三星显示有限公司 滑动式显示装置
KR20200102405A (ko) * 2020-08-21 2020-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CN111821686A (zh) * 2019-04-22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及控制方法
KR20200122983A (ko) * 2019-04-19 2020-10-28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이동 단말기, 스크린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WO2020241926A1 (ko) * 2019-05-30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141159A1 (ko) * 2020-01-09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220124852A (ko) * 2021-03-04 2022-09-14 김돈수 롤러블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
US11531375B2 (en) 2015-07-20 202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S11960322B2 (en) 2019-07-12 202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 slidable electronic devic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888A (ko) *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전자 기기
WO2016190498A1 (ko) * 2015-05-27 201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225385B2 (en) 2015-05-27 2019-03-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531375B2 (en) 2015-07-20 202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KR20170058220A (ko) * 2015-11-18 2017-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731098A (zh) * 2016-08-11 2018-02-23 三星显示有限公司 滑动式显示装置
KR20200122983A (ko) * 2019-04-19 2020-10-28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이동 단말기, 스크린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CN111821686A (zh) * 2019-04-22 2020-10-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及控制方法
WO2020241926A1 (ko) * 2019-05-30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960322B2 (en) 2019-07-12 202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 slidable electronic device
WO2021141159A1 (ko) * 2020-01-09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375053B2 (en) 2020-01-09 2022-06-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200102405A (ko) * 2020-08-21 2020-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220124852A (ko) * 2021-03-04 2022-09-14 김돈수 롤러블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9286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8380327B2 (en) Flexible electronic product having a shape change characteristic and method thereof
JP5044689B2 (ja) 情報表示装置
US8096068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for use in combination therewith
KR102470945B1 (ko) 이동 단말기
JP3962418B2 (ja) 情報表示装置
TWI779298B (zh) 顯示裝置及電子裝置
KR102372173B1 (ko) 이동 단말기
TWI676880B (zh) 動態可撓物品
US9629237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101510717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5302027B2 (ja) 情報通信端末
KR102313066B1 (ko) 휴대용 표시 장치
KR100781708B1 (ko) 플렉서블 표시부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8676269B2 (en) Mobile terminal having wide display unit
JP2011095766A5 (ko)
US200900457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illumination arou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N112700715B (zh) 柔性显示装置
CN111833749A (zh) 柔性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KR20090006606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2006113581A (ja) 情報表示装置
KR20170014055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KR100993776B1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085165A (ja) 情報表示装置
JP200608516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