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776B1 -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776B1
KR100993776B1 KR1020070132751A KR20070132751A KR100993776B1 KR 100993776 B1 KR100993776 B1 KR 100993776B1 KR 1020070132751 A KR1020070132751 A KR 1020070132751A KR 20070132751 A KR20070132751 A KR 20070132751A KR 100993776 B1 KR100993776 B1 KR 10099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transparent
state
mode
transpar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268A (ko
Inventor
황치선
변춘원
박상희
추혜용
조경익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7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함으로써 상부 패널 하우징을 펼치지 않고서도 영상 출력이 가능한 폴더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모드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며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 이상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 장치의 활성화 상태 중에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투명 모드 또는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중에 상기 두 개 이상의 투명 디스플레이가 펼침 상태인 경우 설정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각각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서로 다른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는 하부 패널 하우징을 포함한다.
투명 디스플레이, 폴더형, 입체 영상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DEVICE USING TRANSPARENT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부가 투명 전자 소자로 이루어진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79-02, 과제명: 투명전자 소자를 이용한 스마트 창].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휴대폰, PDA 등의 휴대용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그 형태에 따라 바 타입, 플립 타입, 폴더 타입 및 슬라이드 타입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 폴더 타입의 장치는 상부 패널 하우징을 펼친 경우 하부 패널에 구비된 화면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즉, 폴더 타입의 경우 상부 패널 하우징을 열지 않고서는 화면을 볼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부 패널 하우징의 겉면에 LCD 등의 화면을 추가하여 상부 패널 하우징을 펼치지 않고서도 영상 데이터를 볼 수 있게 하는 듀얼 폴더 타입의 장치가 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듀얼 폴더 타입은 상부 패널 하우징에 구비된 화면의 크기가 작아 영상을 보기에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키 입력 등을 하기 위하여는 상부 패널 하우징을 결국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상부 패널 하우징을 열지 않고서도 키 입력이 가능하고 영상 데이터를 볼 수 있게끔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함으로써 상부 패널 하우징을 펼치지 않고서도 영상 출력이 가능한 폴더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함으로써 입체 영상 구현 및 다양한 영상의 동시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 외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하기의 설명 및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하여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모드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며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 이상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 장치의 활성화 상태 중에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투명 모드 또는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중에 상기 두 개 이상의 투명 디스플레이가 펼침 상태인 경우 설정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각각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서로 다른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는 하부 패널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패널 하우징을 펼치지 않고서도 하부 패널 하우징에 구비된 화면을 통하여 영상을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함으로써 3차원 입체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고, 다양한 영상을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폰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되, 본 발명은 휴대폰에 한정되지 않고 PDA, 노트북 등 각 종의 영상 표시가 가능한 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하부 패널 하우징의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라 가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및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힘 상태로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부(220)가 빛을 투과하여 하부 패널 하우징(110)이 보임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힘 상태로 있으면서 화면에 어떠한 영상 출력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를 '대기 상태'라 한다.
이와 같은 대기 상태 중에, 장치의 활성화 상태를 위한 키 입력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부(220)의 펼침이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이하에서는, 각 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 입력을 대기하거나, 키 입력 신호 등에 의하여 장치가 영상 출력, 음성 출력 등의 각 종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활성화 상태'라 한다.
도 1의 (b)는 키 입력을 통하여 장치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경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 때, 키 입력은 하부 패널 하우징(110)에 구비된 키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투명 디스플레이부(220)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하부 패널 하우징(110)에 구비된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1'과 숫자 등의 키 버튼이 투명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하여 보이고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부(220) 자체에는 어떠한 영상도 출력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장치의 활성화 상태 중에 투명 디스플레이부(220)가 빛을 그대로 투과하여 하부 패널 하우징(110)이 보이는 모드를 '투명 모드'라 한다.
한편, 장치의 활성화 상태로의 전환은 키 입력 대신 투명 디스플레이부(220)가 펼침 상태가 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도 1의 (c)는 이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의 (c)를 참조하면 하부 패널 하우징(110)에 구비된 화면에는 영상'1'이 출력되고 있으나 투명 디스플레이부(220)에는 어떠한 영상도 출력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1의 (b)와 마찬가지로 도 1의 (c)는 장치가 투명 모드인 상태를 보여준다.
한편, 도 1의 (b) 및 도 1의 (c)와 같은 장치의 활성화 상태 중에 사용자에 의한 요청에 의하여 또는 장치의 활성화 상태로의 전환과 동시에 투명 디스플레이부(220)에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는데, 도 1의 (d) 및 도 1의 (e)는 이를 설 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의 (d)는 접힘 상태의 장치의 활성화 상태 중에 동영상 등의 출력을 요청하는 키 입력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220)에 영상 데이터가 출력된 경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 때 키 입력은 하부 패널 하우징(110)에 구비된 키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투명 디스플레이부(220)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의 (d)를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220)에 영상'1'이 출력되고 이로 인하여 하부 패널 하우징(110)이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투명 디스플레이부(220)에 출력되는 영상의 투명도 설정에 따라서 하부 패널 하우징(110)이 조금은 보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장치의 활성화 상태 중에 투명 디스플레이부(220)에 영상이 출력는 모드를 '디스플레이 모드'라 한다.
한편, 도 1의 (e)는 펼침 상태의 장치의 활성화 상태 중에 동영상 등의 출력을 요청하는 키 입력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부(220)에 영상 데이터'2'가 출력된 경우를 보여주는 예이다. 즉, 도 1의 (d)와 마찬가지로 도 1의 (e)는 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드인 상태를 보여준다.
이 때, 투명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되는 영상은 하부 패널 하우징(110)에 구비된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1'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즉, 하부 패널 하우징(110)에 구비된 화면과 투명 디스플레이부(220)에 출력되는 영상을 달리함으 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부(210), 센서부(212), 키 입력부(214) 및 투명 디스플레이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220)는 투명 디스플레이(222) 및 터치 스크린(22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1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또는 활성화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투명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모드로 또는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투명 모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은 장치의 상태 전환 및 모드 전환은, 키 입력부(214) 또는 터치 스크린(224)을 통한 키 입력에 의할 수도 있으며, 센서부(212)로부터 수신되는 장치의 접힘 또는 펼침 상태에 관한 신호에 의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메모리(미도시)로부터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투명 디스플레이(222)로 출력한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부(220)가 다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222)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222)가 접힘 상태에 있는 경우 제어부(210)는, 3차원 영상 데이터를 그 깊이 정보에 따라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222)에 2차원 영상 데이터로 분배하여 출력함으로써 3차원 영상 데이터를 구 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투명 디스플레이(222)가 펼침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설정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222)로 다른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2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정 영역에 설치되어 장치의 접힘과 펼침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제어부(210)는 센서부(21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장치의 접힘과 펼침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부(21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 패널 하우징에 구비되며 눌러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키 입력부(214)를 통하여 사용자는 장치의 각 종 기능을 조작할 수 있으며, 특히 장치의 활성화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 및 영화 등의 영상 데이터 출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키 입력부(214)와 별도로 투명 디스플레이부(220)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224)을 통하여 키 입력 신호가 발생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키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10)는 수신된 키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부(220)는, 투명 디스플레 이(222) 및 터치 스크린(224)을 포함한다.
투명 디스플레이(222)는 빛을 투과할 수도 있고,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는 소자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소자에는 투명 LCD, LED 및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Transparent Organic Light Emission Diode, 이하, TOLED라 함)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다양한 색상과 높은 품질의 영상 출력을 위하여는 TOLED가 주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TOLED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3은 상기와 같은 TOLED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투명 디스플레이(222)에 적용되는 TOLED는 하부로부터 차례로 적층된 투명 기판(302), 하부 전극(304), 유기 발광층(306) 및 상부 전극(308)을 포함한다.
투명 기판(302)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데, 유리 기판은 투명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고 플라스틱 기판은 가볍고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부 전극(304) 및 상부 전극(308)으로는 투명성이 있는 소재, 즉 ITO, IZO 또는 ITZO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306)은, 트리스(8-옥소퀴놀린)알루미늄(III)(Alq3), 안트라센(Anthracene) 등과 같은 단분자 물질과 PPV(poly(p_phenylenevinylene)), PT(polythiophene)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음극인 상부 전극(308)과 유기 발광층(306) 사이에 전자 수송층을, 양극인 하부 전극(304)과 유기 발광층(306) 사이에 정공 수송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부(220)는 서로 연결되어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투명 디스플레이(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두 개 이상의 투명 디스플레이(222)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그 접힘과 펼침 상태에 따라 3차원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거나 다 수의 영상을 개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두 개 이상의 투명 디스플레이(222)가 접힘 상태에 있는 경우, 3차원 영상 데이터를 그 깊이 정보에 따라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에 2차원 영상 데이터로 분배하여 출력함으로써 3차원 영상 데이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투명 디스플레이(222)가 펼침 상태에 있는 경우, 설정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달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224)은 별도로 구비되어 투명 디스플레이(222)에 접합된 상태로 위치하거나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222) 자체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220)을 구현할 때 투명 전자 소자로 구동 회로를 구성하게 되면 장치가 좀더 용이하게 접히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일실시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40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대기 상태 중에 제어부(210)는 장치의 활성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장치의 활성화 요청 신호는 키 입력부(214)를 통한 키 입력 신호에 의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224)에 의한 키 입력 신호에 의할 수도 있다. 키 입력부(214)를 통한 키 입력의 경우에는 투명 디스플레이(222)부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은 하부 패널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된 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단 결과 장치의 활성화 요청 신호가 없다면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활성화 요청 신호가 있다면 단계(403)로 진행하여 장치를 활성화한다.
이후, 단계(405)에서 제어부(210)는 키 입력 신호가 수신되기를 기다리며, 키 입력 신호가 수신된 경우 단계(407)로 진행한다.
단계(407)에서 제어부(210)는 수신된 키 입력 신호가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수신된 신호가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가 아니라면 단계(417)로 진행하여 수신된 키에 대응하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 후 단계(405)로 진행하고, 수신된 신호가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라면 단계(409)로 진행하여 장치를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한다.
이후, 단계(411)에서 제어부(210)는 키 입력 신호가 수신되기를 기다리며, 키 입력 신호가 수신된 경우 단계(413)로 진행한다.
단계(413)에서 제어부(210)는 수신된 키 입력 신호가 투명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수신된 신호가 투명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가 아니라면 단계(419)로 진행하여 수신된 키에 대응하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 후 단계(411)로 진행하고, 수신된 신호가 투명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신호라면 단계(417)로 진행하여 장치를 투명 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및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TOLED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Claims (10)

  1.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모드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며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연결된 두 개 이상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
    장치의 활성화 상태 중에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투명 모드 또는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중에 상기 두 개 이상의 투명 디스플레이가 펼침 상태인 경우 설정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각각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서로 다른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는 하부 패널 하우징
    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중에 상기 두 개 이상의 투명 디스플레이가 접힘 상태인 경우 3차원 영상 데이터의 깊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를 각각의 투명 디스플레이에 2차원 영상 데이터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활성화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활성화 키를 구비하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의 활성화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이 있는 경우 상기 장치를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장치의 활성화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의 활성화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의 수신이 있는 경우 상기 장치를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의 활성화 상태 중에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장치를 투명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접힘과 펼침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장치의 상태 전환 또는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장치가 접힙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장치를 대기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장치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장치를 투명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모드로 전환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132751A 2007-12-17 2007-12-17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93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751A KR100993776B1 (ko) 2007-12-17 2007-12-17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751A KR100993776B1 (ko) 2007-12-17 2007-12-17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268A KR20090065268A (ko) 2009-06-22
KR100993776B1 true KR100993776B1 (ko) 2010-11-12

Family

ID=4099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751A KR100993776B1 (ko) 2007-12-17 2007-12-17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554B1 (ko) * 2012-01-03 2012-10-16 주식회사 시공테크 쇼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9075B2 (en) * 2009-12-28 2013-01-2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with transparent display
US10180741B2 (en) 2015-05-27 2019-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emissive display and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554B1 (ko) * 2012-01-03 2012-10-16 주식회사 시공테크 쇼케이스
WO2013103179A1 (ko) * 2012-01-03 2013-07-11 주식회사 시공테크 쇼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268A (ko) 2009-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17790A1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CN102096446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JP5740527B2 (ja) 拡張可能な画面を持つ通信デバイス
TWI831924B (zh) 顯示裝置及電子裝置
KR101212133B1 (ko)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JP2020074239A (ja) 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KR1020807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64453B1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서 오브젝트 제어 방법 및 그 디바이스와 기록 매체
JP2020053075A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
CN203721163U (zh) 柔性显示装置
KR102582263B1 (ko)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20100085397A (ko) 전자 종이를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된 제어방법
US2009004261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Morphing User Interface
EP3930298A1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mobile terminal
JP2016021230A (ja) タッチセンサ、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US8665176B2 (en) Display apparatus
CN110134465A (zh) 图像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JP2008257061A (ja) 表示装置
KR100993776B1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폴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CN111316657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KR102086346B1 (ko) 오디오 확장모듈
TWI442274B (zh) 一種電子裝置及其圖形化使用者介面控制方法
CN112492100B (zh) 一种控制通信的方法、装置、折叠屏设备及存储介质
JP6346782B2 (ja) タッチパネル
KR101132045B1 (ko)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