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702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702A
KR20180079702A KR1020170000221A KR20170000221A KR20180079702A KR 20180079702 A KR20180079702 A KR 20180079702A KR 1020170000221 A KR1020170000221 A KR 1020170000221A KR 20170000221 A KR20170000221 A KR 20170000221A KR 20180079702 A KR20180079702 A KR 20180079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user
handwriting input
standby mod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584B1 (ko
Inventor
조효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584B1/ko
Priority to US15/856,496 priority patent/US10936184B2/en
Priority to CN201780081813.XA priority patent/CN110168490B/zh
Priority to PCT/KR2017/015753 priority patent/WO2018124823A1/en
Publication of KR20180079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2Remote control based on movements, attitude of remote control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터치 스크린 및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을 통해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기기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러한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TV 자체에 구비된 버튼을 직접 조작하거나, 리모컨을 이용하여 TV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TV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다운로드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TV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존 사용자가 특정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기기 자체의 버튼이나 리모컨의 조작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자가 전자 기기에 구비된 버튼을 직접 조작하는 것은, 해당 전자 기기가 TV와 같은 설치형 기기인 경우, 해당 기기가 설치된 위치까지 사용자가 조작시마다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리모컨과 같은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여러 종류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각 기기의 리모컨을 구분하여 별도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하나의 장치에, 여러 종류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각각 다운로드 받아 이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특정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기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가 요구되므로, 사용자는 제어 대상 기기를 변경할 때마다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기기를 제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통해, TV의 전원을 온 시킨 후 에어컨의 전원을 온 시키는 경우와 같이, 기기들의 전원을 조작하는 간단한 제어 명령 시에도, 사용자는 TV 리모컨 애플리케이션과 에어컨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을 각각 실행시킨 후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각각 전원 온 명령을 입력해야 하므로, 이는 사용자에게 번거로운 일일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대기 모드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통해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터치 스크린 및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입력과 매칭되는 제어 대상 기기 및 제어 명령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어 대상 기기로 상기 판단된 제어 명령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 대상 기기 별로 상기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며,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매칭된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펜의 탈착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펜의 분리가 감지되면,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된 후 상기 센서에서 상기 펜의 부착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푸시형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푸시형 버튼에 대한 기정의된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 모드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상기 필기 입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입력과 매칭되는 제어 대상 기기 및 제어 명령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제어 대상 기기로 상기 판단된 제어 명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제어 대상 기기 별로 상기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매칭된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펜의 탈착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펜의 분리가 감지되면,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된 후 상기 센서에서 상기 펜의 부착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푸시형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푸시형 버튼에 대한 기정의된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 모드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상기 필기 입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직관적으로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 제어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
도 4a 내지 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모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펜 탈착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a 및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대기 모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대기 모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9a 및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기기의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블럭도, 및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기기 제어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기 제어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 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상에 제어 명령을 필기 입력하여 외부 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된 펜(50)을 뽑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모드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또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아무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진입하는 동작 모드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기 모드에서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 구성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저전력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부 구성에 전원이 차단 또는 저전력 전원이 공급되므로, 대기 모드는 전력 관점에서 저전력 모드라 칭해지기도 한다. 본 개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의 상태에 따라 동작 모드를 구분하기 위해, 이하, 대기 모드라는 용어로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기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의 전체의 전원을 모두 차단하여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스크린의 전원이 모두 차단된 대기 모드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전화가 수신되거나 별도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대기 모드를 해제되는 경우가 아닌 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필기 입력을 하더라도 해당 필기 입력은 수신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기 모드에서 펜(50)의 분리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에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인식하고, 인식된 제어 명령을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은,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등의 단순한 터치 입력과는 상이한 것으로, 글자, 숫자 등과 같은 문자나 기호, 도형 등을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상에 쓰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사용자의 필기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각종 터치 펜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기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펜(50)을 이용하여 "TV ON"이라는 제어 명령을 터치 스크린에 필기 입력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은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 및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인식하여 제어 대상 기기 및 제어 명령을 판단하고, 판단된 제어 대상 기기로 판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1의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인 "TV ON"을 인식하여, 제어 대상 기기를 "TV(200)"로 판단하고 제어 명령을 "전원 온"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200)로 전원 온과 같은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전원 온 명령을 수신한 TV(200)는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의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마트폰인 경우를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태블릿, 노트북, 스마트 시계, MP3 플레이어, 전자책, 카메라, 캠코더, 게임기, PDA, PMP 등과 같이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고,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든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기기(200) 역시 TV에 한정되지 않고, PC, 노트북, 사운드 바, 키오스크, LFD(Large Format Display), 테이블 디스플레이, 전자 액자, 에어컨, 세탁기, 청소기, 냉장고, 조리 기기, 조명 시설, 스마트 카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모든 기기가 외부 기기(200)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기기(200)로 전송하는 제어 명령이 전원 온인 경우를 들었으나, 제어 명령이 외부 기기(200)의 전원 온 또는 오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TV에서 채널이나 볼륨 업/다운, 에어컨의 풍량 업/다운, 조명의 밝기 업/다운, 세탁기의 세탁 시간 설정 등과 같이, 외부 기기(200)의 종류에 따라 외부 기기(200)에서 수행 가능한 모든 기능이 제어 명령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부 기기(200)가 TV이고, 제어 명령이 전원 온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터치 스크린(13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각종 유,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의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미도시)를 통해 외부 기기(200)와 연결되어 외부 기기(2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고, 외부 서버(미도시)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외부 기기(200)와 연결되어 외부 기기(2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9를 통해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터치 스크린(13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그래픽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터치 스크린(130)은 프로세서(120)의 제어를 받아 대기 모드에서 일부 영역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130)은 영역별로 동작하도록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30)은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프로세서(120)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필기 입력은 사용자가 문자나 기호, 도형을 터치 스크린(130)에 쓰는 방식으로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말하며, 오브젝트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과 구분된다.
한편, 터치 스크린(13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130) 상의 좌표 정보를 프로세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100)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모두 차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대기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130)의 화면은 오프되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더라도 터치 입력은 수신되지 않는다.
이때,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 시킴으로써, 터치 스크린(130)상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대기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130)의 일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대기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130)의 전체 영역 중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만 동작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130)의 일부 영역에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대기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터치 스크린(130)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미리 설정된 비주얼 엘리먼트로서, 제어 대상인 외부 기기(200)에 대응되는 아이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외부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20)는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외부 기기(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필기 순서에 따라 터치 스크린(130)으로부터 x, y 좌표 정보가 제공되면, 프로세서(120)는 제공된 x, y 좌표열 정보 및 저장된 모델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120)가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인식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의 다양한 필기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가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인식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본 개시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사용자의 필기 입력은,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외부 기기, 즉, 제어 대상 기기의 종류나 명칭과 같은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제어 대상 기기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에 관한 제어 명령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기별 제어 명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인식되면, 인식된 필기 입력 정보 및 저장된 기기별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입력 정보에 매칭되는 제어 대상 기기(200) 및 제어 명령을 판단하고, 판단된 제어 대상 기기(2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 모드에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제어 대상 기기 별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필기 입력은 제어 대상 기기(200)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에 관한 제어 명령 정보만을 포함하는 문자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130)에는 제어 대상 기기 별로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므로,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는 제어 대상 기기를 필기 입력할 필요없이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 명령을 전송할 제어 대상 기기(200)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하나의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사용자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판단하며, 선택된 오브젝트에 매칭된 제어 대상 기기(200)로 판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에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실시 예에 따라 제어 대상 기기 별이 아닌 제어 대상 기기의 종류별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이 경우에는 동일한 종류의 기기가 복수 개인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사용자는 동일한 종류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기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예는 도 7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어 명령을 제어 대상 기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명령이 있는 경우에 제어 명령을 제어 대상 기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 대상 기기(2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의 구체적인 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터치 스크린(130), 저장부(140), 센서(151) 및 버튼(16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설명함에 있어, 도 2를 통해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터치 스크린(130)은 터치 패널(131) 및 디스플레이(13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31)은 다양한 방식으로 패턴화된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좌표 정보를 프로세서(120)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널(131)은 대기 모드에서,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 예를 들어, 특정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에서만 해당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하도록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31)은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전체 영역에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이벤트는, 터치 스크린(130) 전체에 전원이 차단된 대기 모드(이하, 제 1 대기 모드라 한다.) 상태에서는, 펜의 분리가 센서(151)에서 감지되는 이벤트 또는 버튼(161)에 기정의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 이벤트일 수 있고, 터치 스크린(130) 일부에 저전력 전원이 공급되어 특정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는 대기 모드(이하, 제 2 대기 모드라 한다.) 상태에서는, 상기 특정 오브젝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32)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재생 화면,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각종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32)는 제 2 대기 모드에서 일부 영역에 저전력 전원을 공급하여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할 수 있다. 이때, 오브젝트는 제어 대상 기기에 대응되는 아이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령, 사용자 명령 없이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인 각종 위젯 화면(예를 들어, 날씨, 생활정보, 일정 관리, 시계, 메모 등)일 수도 있다. 제 2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는, 대기 모드가 아닌 환경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대기 모드로 진입하면, 디스플레이(13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3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2)는 터치 패널(131)과 함께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151)는 펜(50)의 탈착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1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펜(50)의 분리 및 부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펜(50)은 액티브형, 패시브형, 정전식, 감압식과 같은 각종 터치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터치 펜(50)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펜(50)을 뽑아서 사용하고 다시 수납공간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센서(151)는 사용자가 수납공간에서 펜(50)을 뽑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펜(50)의 분리를 감지하고, 다시 펜(50)이 수납공간에 삽입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펜(50)의 부착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151)는 펜(50)의 분리 및 부착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버튼(16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버튼(161)이 푸시형인 경우, 사용자는 버튼(161)을 누르는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대기 모드에서 버튼(161)에 기정의된 조작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버튼(161)의 종류에 제한은 없다. 기존에 특정한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버튼이라도 버튼의 조작을 달리 정의하면,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버튼(161)은 전원 버튼, 홈 버튼, 음량 버튼일 수 있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종류에 따라 구비된 다른 버튼도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161)이 될 수 있다. 버튼의 종류 또한 푸시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한이 없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동작을 위한 별도의 버튼이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에는 기기별 제어 명령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기기별 제어 명령 정보는, 외부 기기(200)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에 대한 명령어 세트를 기기별로 매칭시켜 저장한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기기별 제어 명령 정보는 해당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직접 수신하여 저장될 수도 있고, 기기별 제어 명령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40)에는 기기 별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에는 기기 별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기기 별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 역시 해당 기기로부터 직접 각각 수신되어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기기 별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기기의 제어 명령어 정보를 포함하므로, 기기 별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 역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어 명령 정보를 추출하여 별도로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저장부(140)는 램(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유,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기기(200)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기 별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특정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 1 대기 모드에서 센서(161)를 통해 펜(50)의 분리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필기 입력이 수신되고, 이후 센서(161)를 통해 펜(50)의 부착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20)는 외부 기기(2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대기 모드 상태에서는 터치 패널(131) 및 디스플레이(132)에 모두 전원이 차단되므로, 사용자의 어떠한 터치 입력도 수신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 1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펜(50)을 뽑으면 센서(151)는 펜(151)의 분리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터치 패널(131)에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자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필기 입력을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32)에도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터치 스크린(130)에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터치 패널(131)을 통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은 수신하되 디스플레이(132)로 공급되는 전원은 여전히 차단하여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터치 스크린(130)상에 디스플레이되지는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기 입력을 인식하고, 인식된 필기 입력의 내용과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기별 제어 명령 정보를 비교하여 제어 대상 기기 및 제어 명령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펜(50)을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수납공간에 삽입하면, 센서(151)는 펜(50)의 부착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판단된 제어 명령을 판단된 제어 대상 기기(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펜(50)의 부착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프로세서(120)가 제어 명령을 제어 대상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프로세서(120)는 펜(50)이 분리된 후 일정시간 동안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다른 조작 예를 들어, 필기 입력 후 터치 스크린을 2회 탭핑하는 조작 또는 특정 패턴의 입력이나 특정 버튼을 누르는 등의 조작을 하는 경우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대기 모드에서 버튼(161)에 기정의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 1 또는 제 2 대기 모드에서, 홈 버튼이나 음량 버튼을 기설정된 시간 이상 누르거나 전원 버튼을 일정한 빈도로 연속적으로 누르는 등과 같은 버튼(161)에 기정의 된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대상 기기 및 제어 명령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제어 대상 기기(200)로 판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 필기 입력 후 자동으로 또는 기설정된 횟수만큼 터치 스크린(130)을 태핑하는 등과 같이 사용자의 특정 조작 명령이 있는 경우에 제어 명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 2 대기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 2 대기 모드에서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디스플레이(132)의 영역에만 저전력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터치 입력만을 수신하도록 터치 패널(131)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가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선택될 수 있으며,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패널(131)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예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 내지 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 모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노멀 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대기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동작하는 경우를 말한다. 노멀 모드에서는 터치 스크린(130) 전체에 정상적인 구동 전력이 공급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멀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130)에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오브젝트에 매칭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사용자가 카메라 아이콘(40)을 터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역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노멀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노멀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태에서, 대기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 4a와 같이 노멀 모드로 동작 중에, 사용자가 전원 온/오프 버튼(161-1)을 한번 누르거나 기설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상에 아무런 사용자 조작이 없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0)의 전원을 오프하여 도 4b와 같은 상태의 제 1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대기 모드는 터치 스크린(130)의 전체 전원이 차단된 상태이므로, 터치 스크린(130)의 디스플레이(130)에는 아무것도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즉, 제 1 대기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132)의 모든 백라이트 또는 모든 LED가 오프되므로, 사용자는 검은 화면을 보게 된다. 또한, 제 1 대기 모드에서는 터치 패널(131)로 공급되는 전원도 모두 차단되므로, 사용자의 어떠한 터치 입력도 수신되지 않는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에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 4a와 같이 노멀 모드로 동작 중에, 사용자가 전원 온/오프 버튼(161-1)을 한번 누르거나 또는 기설정된 시간동안 아무런 조작을 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4c와 같은 상태의 제 2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0) 일부에 저전력 전원을 공급하여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오브젝트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대상 기기 또는 제어 대상 기기의 종류에 대응되는 GUI 또는 아이콘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 2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오브젝트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각종 위젯 UI가 오브젝트로 터치 스크린(130)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한편, 오브젝트(1, 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2 대기 모드로 진입하면 터치 스크린(13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노멀 모드 상태에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도 4c를 보면, 제 2 대기 모드에서 2개의 오브젝트(1, 2)가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된 것을 볼 수 있다. 오브젝트(1)은 시간 위젯 UI의 일 예를, 그리고, 오브젝트(2)는 외부 기기인 TV에 대응되는 GUI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때, 오브젝트(1, 2)는,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해, 터치 스크린(130)의 일 영역에 저전력 전원이 공급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단색일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오브젝트(2)를 선택하여 TV(200)를 제어하기 위한 필기 입력을 터치 스크린(130)상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1, 2)의 위치를 시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 잔상(burn-in)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으로, 사용자가 전원 버튼(161-1)을 1회 누르는 조작 명령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다른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모션이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션, 사용자 음성, 주변 밝기 등을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펜(50) 탈착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5a와 같은 제 1 대기 모드 상태에서, 도 5b와 같이 펜(50)의 분리가 감지되면,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사용자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TV의 전원을 켜기 위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ON"이라는 명령을 터치 스크린(130)상에 필기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인식하고, 기저장된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와 매칭하여 제어 대상 기기(200) 및 제어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제어 대상 기기는 "TV(200)"이고, 제어 명령은 "전원 온"으로 판단된다.
이때,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펜(50)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다시 꽂아 넣는 경우,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펜(50)의 부착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대상 기기(2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필기 입력 후 펜(50)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꽂아 펜(50)의 부착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200)로 전원 온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필기 입력 후 제어 대상 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트리거하는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 대상 기기(200) 및 제어 명령의 판단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으로 TV(200)로 전원 온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완료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TV(200)로 전원 온 명령을 전송할 수 있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펜(50)의 부착 외에 다른 기정의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TV(200)로 전원 온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 후 터치 스크린(130) 상에 연속적으로 2회 태핑(tapping) 입력이 수신되면, TV(200)로 전원 온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 후 전원 버튼(161-1)이나 홈 버튼(161-2)에 기정의된 조작이 입력되는 경우, TV(200)로 전원 온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TV(200)에 태깅하거나 제어 명령을 전송하라는 사용자 음성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TV(200)를 향해 던지는 모션을 하는 경우 등에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원 온 명령을 TV(20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대기 모드에서 버튼(161)에 기정의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은 제 1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홈 버튼(161-2)을 길게 누르거나 음량 버튼(미도시)를 길게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사용자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30) 상에 TV(20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이 필기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온 명령을 TV(1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대기 모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a는 제 2 대기 모드에서 TV(200)에 대응되는 오브젝트(2)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오브젝트(2)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오브젝트(2)는 터치 스크린(130) 화면에서 삭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30) 상에 TV(20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 "ON"이 필기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온 명령을 TV(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b 입력된 필기 입력은, 도 5c에 입력된 필기 입력과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제 2 대기 모드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제어 명령을 필기 입력하는 경우, 오브젝트의 선택에 따라 제어 명령을 전송할 제어 대상 기기가 특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제 2 대기 모드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경우라도 사용자는 도 5c와 같이 "TV ON"이라고 제어 대상 기기를 포함하여 터치 스크린(130)에 필기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TV(200)로 전원 온 명령을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반해, 제 1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터치 스크린(130)이 사용자 필기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반드시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등을 제어 명령과 함께 필기 입력해야 할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제 2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터치 스크린(130)에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대기 모드에서 제어 대상 기기 별로 또는 제어 대상 기기의 종류 별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TV1, TV2, 에어컨 및 조명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TV1, TV2, 에어컨 및 조명에 대한 오브젝트가 제 2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노멀 모드에서 설정된 경우, 제 2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기에 대응되는 오브젝트(2-1, 2-2, 3, 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2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러한 오브젝트(2-1, 2-2, 3, 4)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며,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TV2의 전원을 켜기 위해, 오브젝트(2-2)를 선택하고, 터치 스크린(130)에 "온"과 같은 제어 명령을 필기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 대상 기기의 종류 별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같은 종류의 기기인 TV1과 TV2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하나의 오브젝트(2)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TV2의 전원을 켜기 위해서는, 오브젝트(2)를 선택하고, 터치 스크린(130)에 "TV2 ON"과 같이 제어 대상 기기의 명칭과 제어 명령을 함께 필기 입력해야 할 것이다.
한편, 제 2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의 형태가 도 7a 및 7b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가령, 오브젝트(2, 3, 4)는 TV, 에어컨, 조명 각각을 나타내는 썸네일 또는 아이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입력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TV ON"이라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수신되기는 했지만, 디스플레이되지는 않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여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5c, 도 5d,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의 구성 중 터치 패널(131)에는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되, 디스플레이(132)로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하여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a 및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기기(200)가 서로 통신하는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기기, 즉 제어 대상 기기(200)가 서버(300)를 통해 서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서버(300)는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를 저장/업데이트/관리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외부 기기(200)의 제어 명령어 세트를 수신하여 외부 기기(200)와 매칭시켜 외부 기기(200)의 제어 명령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300)는 각종 외부 기기들로부터 제어 명령어 세트를 수신하여 각 기기와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0)는 사용자의 계정을 통해 등록된 기기들에 대한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만을 상기 계정을 통해 등록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서버(300)는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를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미도시)로부터 각종 외부 기기들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기 별도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직접 기기별 제어 명령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기기별 제어 명령 정보가 기기 별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어 대상 기기에 관한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 대상 기기(2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어떤 계정을 통해 제어 대상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제어 명령어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계정에 등록된 외부 기기들 중 매칭되는 기기로 제어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버(300)를 통해 외부 기기(200)에 대한 제어 명령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서버(300)와 연결된 제어 대상 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먼저, 계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 기기(200)를 서버(300)에 등록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위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계정 관리를 위해 별도의 계정 관리 서버(미도시)가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기기(200)로 직접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9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대상 기기(200)로 직접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와이 파이 P2P, 블루투스, NFC 등과 같은 각종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외부 기기(200)와 통신하여, 제어 명령을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기기(200)가 와이 파이 P2P나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먼저 장치 간 페어링을 수행하고, 제어 명령을 외부 기기(200)로 전송하게 될 것이다.
만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기기(200)가 NFC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기기(200)가 접촉되거나 일정 거리 이상 가까워질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20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 대상 기기인 외부 기기(200)에 태깅하는 동작에 의해 제어 명령을 전송할 기기가 특정되므로, 사용자의 필기 입력에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정보의 기재는 불필요할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00), 프로세서(120), 디스플레이(132), 저장부(140), 감지부(160), 사용자 입력부(160), 신호 처리부(180), 카메라부(1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의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의 구성이 반드시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2) 및 사용자 입력부(160)의 터치 패널(161)이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하나의 터치 스크린(130)으로 구현되는 등과 같이, 필요에 따라 각 구성들의 조합이 하나의 칩이나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각 구성이 수 개의 구성으로 나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300)를 통해 외부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외부 기기(200)와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1) 및 무선 통신 모듈(112), 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근거리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200)와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IrDA)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와이 파이(Wi-Fi)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2)은 와이 파이(Wi-Fi),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그 밖에 무선 통신 모듈(112)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tronics Engineers) 1394 등의 유선 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넥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50)는 펜(50)의 탈착,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움직임 및 주변 밝기 등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감지부(150)는 펜 탈착 센서(151), 모션 센서(152), 조도 센서(153)를 포함할 수 있다.
펜 탈착 센서(15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터치 펜(50)의 분리와 부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모션 센서(15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션 센서(152)는 가속도 센서(미도시), 자이로 센서(미도시), 지자기 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공간상 움직임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즉, 가속도 센서(미도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가속도의 변화 및 각가속도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미도시)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직선 속도의 증감분을 측정하는 3축 가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자이로(gyro) 센서(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각속도를 측정하는 관성 센서이다. 즉, 회전하는 물체가 가진 관성력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방향과 속도를 알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한다. 자이로 센서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회전각의 증감분을 측정하는 3축 각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미도시)는 방위각(azimuth)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즉, 지자기 센서(미도시)는 지구의 남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기장(magnetic field)을 감지하여 방위각을 측정하는 센서를 의미한다. 여기서, 지자기 센서(미도시)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자기의 세기와 방향을 측정하는 3축 지자기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조도 센서(15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술한 감지부(150)에서 감지된 각종 신호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위와 같이 감지부(150)에서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진입하거나,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패널(131)를 제어하거나 또는 제어 명령을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사용자의 다양한 조작 명령을 수신하여 프로세서(120)로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이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버튼(161), 터치 패널(131) 및 마이크(16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버튼(161-1), 홈 화면으로 복귀하기 위한 홈 버튼(161-2), 통화음, 벨소리, 착신음, 음악 컨텐츠 등 오디오 출력부(180)를 통해 재생되는 각종 오디오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 버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버튼(161)은 숫자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를 구성하는 하나의 버튼일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161)에 기할당된 위와 같은 기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아닌, 다른 기정의된 조작이 대기 모드에서 버튼(161)에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 패널(131)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터치 패널(131)은 예를 들어, 전자 펜(50)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130)은 패턴화된 복수의 터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미도시)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나 터치 펜(50)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나 터치 펜(50)으로인해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의미한다. 그 밖에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이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이크(162)는 외부 음원에서 발생된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162)는 사용자의 음셩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60)는 근접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미도시) 및 터치 패널(131)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32)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2)는 터치 패널(131)과 함께 터치 스크린(130)을 구성할 수 있다.
카메라부(19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과 같은 각종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부(190)는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카메라부(190)의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분석하거나 주변 환경을 인식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에서 수신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컨텐츠의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170)는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및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는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디코딩,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신호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예를 들어, 스피커)(180)를 통해 가청음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버스(126)를 포함한다.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등은 버스(12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23)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23)는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23)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2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처리부(124)는 제 2 대기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프로세서(120)의 동작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메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용자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필기 입력을 인식을 통해 판단된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어 대상 기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먼저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1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13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모드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모드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모두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인 제 1 대기 모드일 수도 있고,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일부에 저전력 전원이 공급되어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인 제 2 대기 모드일 수도 있다.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S11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대기 모드에서 펜의 분리가 감지되거나 푸시형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기정의된 조작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12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터치 스크린(130)에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1130). 이에 따라, 외부 기기(20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입력과 매칭되는 제어 대상 기기 및 제어 명령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제어 대상 기기기로 판단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2 대기 모드에서 제어 대상 기기 별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 중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매칭된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대기 모드에서 펜(50)의 분리에 따라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된 이후 다시 펜(50)의 부착이 감지되면, 외부 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수신된 사용의 필기 입력을 터치 스크린(130)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직관적으로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의 동작이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3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 및 터치 스크린을 통해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미들웨어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통신부               120 : 프로세서
130 : 터치 스크린 140 : 저장부

Claims (17)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터치 스크린; 및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입력과 매칭되는 제어 대상 기기 및 제어 명령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어 대상 기기로 상기 판단된 제어 명령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 대상 기기 별로 상기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며,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매칭된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펜의 탈착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펜의 분리가 감지되면,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된 후 상기 센서에서 상기 펜의 부착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푸시형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푸시형 버튼에 대한 기정의된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 모드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상기 필기 입력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기기 별 제어 명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입력과 매칭되는 제어 대상 기기 및 제어 명령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제어 대상 기기로 상기 판단된 제어 명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제어 대상 기기 별로 상기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매칭된 제어 대상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펜의 탈착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펜의 분리가 감지되면,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된 후 상기 센서에서 상기 펜의 부착이 감지되면,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푸시형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푸시형 버튼에 대한 기정의된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 모드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상기 필기 입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기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대기 모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필기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70000221A 2017-01-02 2017-01-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655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221A KR102655584B1 (ko) 2017-01-02 2017-01-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5/856,496 US10936184B2 (en) 2017-01-02 2017-12-28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780081813.XA CN110168490B (zh) 2017-01-02 2017-12-29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PCT/KR2017/015753 WO2018124823A1 (en) 2017-01-02 2017-12-29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221A KR102655584B1 (ko) 2017-01-02 2017-01-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702A true KR20180079702A (ko) 2018-07-11
KR102655584B1 KR102655584B1 (ko) 2024-04-08

Family

ID=6270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221A KR102655584B1 (ko) 2017-01-02 2017-01-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36184B2 (ko)
KR (1) KR102655584B1 (ko)
CN (1) CN110168490B (ko)
WO (1) WO20181248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5960A1 (ko) * 2018-10-10 2020-04-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WO2020116982A1 (ko) * 2018-12-06 2020-06-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39135B2 (ja) * 2017-06-23 2021-09-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プログラム、サーバ、グラフ画像生成方法およびグラフ画像生成システム
WO2019035843A1 (en) * 2017-08-18 2019-02-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TION-BASED FEED STATES
WO2022078184A1 (zh) * 2020-10-15 2022-04-21 聚好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教学直播方法及显示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621A (ko) * 2009-06-12 201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8246A (ko) * 2010-12-17 2012-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KR20140065048A (ko) * 2012-11-21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100306A (ko) * 2013-02-06 2014-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
KR20140110356A (ko) * 2013-03-07 2014-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2330B2 (ja) * 1995-04-07 2005-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映像投射システム
TWI236239B (en) * 2004-05-25 2005-07-11 Elan Microelectronics Corp Remote controller
KR100908845B1 (ko) 2007-04-20 2009-07-21 주식회사 아이리버 필기입력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제어 시스템 및제어 방법
WO2008150887A1 (en) * 2007-05-29 2008-12-11 Livescribe, Inc. Self-addressing paper
US9870123B1 (en) * 2008-04-18 2018-01-16 Universal Electronics Inc. Selecting a picture of a device to identify an associated codeset
KR20100033716A (ko) 2008-09-22 2010-03-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미디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1739796B (zh) * 2008-11-19 2012-01-04 中融科技(北京)有限公司 手写方式输入功能控制信息的遥控器
KR101639074B1 (ko) 2009-07-31 201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인식 및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20633A (ko) 2009-08-24 2011-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위젯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US20120216152A1 (en) 2011-02-23 2012-08-23 Google Inc. Touch gestures for remote control operations
US8863042B2 (en) * 2012-01-24 2014-10-14 Charles J. Kulas Handheld device with touch controls that reconfigure in response to the way a user operates the device
KR20140076261A (ko) * 2012-12-12 2014-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펜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말 및 방법
KR20140081470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확대 표시 방법,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US9577975B2 (en) * 2013-02-22 2017-02-21 Facebook, Inc. Linking multiple entities associated with media content
US20140372896A1 (en) * 2013-06-14 2014-12-18 Microsoft Corporation User-defined shortcuts for actions above the lock screen
KR102170321B1 (ko) 2013-06-17 2020-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지된 물체를 이용한 모션을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 시스템
CN103338400A (zh) * 2013-06-26 2013-10-0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视机的换台方法
KR102214974B1 (ko) * 2013-08-29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잠금 화면 상에서 필기 형태의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26255A (ko) 2013-09-02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6032A (ko) 2014-01-17 2015-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798378B2 (en) * 2014-03-31 2017-10-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awakening a primary processor out of sleep mode
JP6367031B2 (ja) 2014-07-17 2018-08-01 公立大学法人首都大学東京 電子機器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5045414B (zh) * 2015-08-04 2018-11-27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笔、实现方法以及一种触控系统
KR101781133B1 (ko) 2016-11-23 2017-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위젯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621A (ko) * 2009-06-12 201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8246A (ko) * 2010-12-17 2012-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KR20140065048A (ko) * 2012-11-21 2014-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100306A (ko) * 2013-02-06 2014-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기기 및 이의 외부 기기 제어 방법
KR20140110356A (ko) * 2013-03-07 2014-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5960A1 (ko) * 2018-10-10 2020-04-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11489957B2 (en) 2018-10-10 202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by using electronic device
WO2020116982A1 (ko) * 2018-12-06 2020-06-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69058A (ko) * 2018-12-06 2020-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584B1 (ko) 2024-04-08
WO2018124823A1 (en) 2018-07-05
CN110168490B (zh) 2023-03-07
US20180188944A1 (en) 2018-07-05
US10936184B2 (en) 2021-03-02
CN110168490A (zh)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10936184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101170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5182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TWI708169B (zh) 使用者終端裝置及其控制方法
EP3647922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thereof
EP3651452A1 (en) Portab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photo thereof
CN105556428B (zh) 具有显示器的便携式终端及其操作方法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67666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054978B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the same
CN103677711A (zh) 连接移动终端和外部显示器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装置
KR20170043065A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KR20140128207A (ko) 펜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6319A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KR102521192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50128031A1 (en) Contents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20150193613A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necting to external apparatus
WO2020238496A1 (zh) 图标管理方法及终端设备
KR20160097623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327139B1 (ko)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US1071914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0680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KR102463080B1 (ko)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트 표시방법
EP3287886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