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470A - 문자 확대 표시 방법,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문자 확대 표시 방법,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470A
KR20140081470A KR20120151256A KR20120151256A KR20140081470A KR 20140081470 A KR20140081470 A KR 20140081470A KR 20120151256 A KR20120151256 A KR 20120151256A KR 20120151256 A KR20120151256 A KR 20120151256A KR 20140081470 A KR20140081470 A KR 20140081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mage
character object
object image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51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기
이상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51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1470A/ko
Priority to US14/100,399 priority patent/US20140176600A1/en
Priority to PCT/KR2013/011975 priority patent/WO2014098528A1/en
Priority to AU2013273785A priority patent/AU2013273785A1/en
Priority to EP20130198988 priority patent/EP2747057A1/en
Priority to CN201310717734.7A priority patent/CN103885704A/zh
Priority to JP2013264996A priority patent/JP2014123378A/ja
Publication of KR20140081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44Selective acquisitio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e.g. highlighted text, fiducial marks or predetermined fiel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8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visual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for the partially sigh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2Combinations of audio and printed presentations, e.g. magnetically striped cards, talking books, magnetic tapes with printed texts there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페이지 이미지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페이지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응하는 영역을 잘라내어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문자 확대 표시 방법,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ENLARGING AND DISPLAYING TEXT AND COMPUTER READABLE MEDIA STORING PROGRAM FOR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영역을 처리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mobile)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장치에는 해당 장치의 제조사에 의해 제작되어 해당 장치에 설치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들과, 인터넷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추가 어플리케이션들 등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어플리케이션들은 일반 개발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상기 판매 웹사이트에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든지 자신이 개발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상기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를 통하여 자유롭게 상기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모바일 장치에는 그 제품에 따라 수만에서 수십만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 내에는 적어도 수십에서 수백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을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키들(shortcut keys)이 아이콘 형태로 모바일 장치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모바일 장치는 전면부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배면(背面)인 후면부에는 카메라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적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를 들게되고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바라보게 되면, 카메라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일치되어, 사용자가 보고 있는 사물(피사체)이 표시부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동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노인이나, 저 시력자 장애인들은, 일반적인 도서나, 신문을 읽기에 어려움이 있어, 돋보기 등을 도서나, 신문을 읽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도 1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순히 돋보기(101)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확대된 문자를 읽는 경우, 돋보기(101)를 문자가 배열된 라인(103-1 내지 103-n)을 따라 이동하면서 문자를 읽게 되므로, 돋보기(101)의 흔들림으로 인한,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돋보기(101)를 복수의 라인을 이동하면서, 예컨대, 제1라인(103-1)의 마지막에 있는 문자까지 읽은 후, 다시 제2라인(103-2)의 첫 번째 문자로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진행하므로, 독서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나아가, 모바일 장치에 OCR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여, 도서(102)에 존재하는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식된 문자를 읽을 수 있지만, OCR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서 많은 연산이 요구되므로, 고 성능의 하드웨어, 높은 전력 소비, 시간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문자의 인쇄 상태, 촬영환경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문자가 오 인식될 수 있어, 독서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노인이나, 저시력 장애인들이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독서를 진행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보다 간단한 사용자 입력만으로, 도서에 존재하는 문자를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장치를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도서에 존재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말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페이지 이미지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페이지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응하는 영역을 잘라내어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입력 인터페이스부,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 및 상기 문자 확대 표시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페이지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페이지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응하는 영역을 잘라내어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표시부에 제공하는 명령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페이지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페이지 이미지에서 상기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응하는 영역을 잘라내어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표시부에 제공하는 명령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서등을 이미지화하여 노인이나, 저시력 장애인들에게 빠르고 안정적으로 독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다 간단한 사용자 입력만으로, 도서 등을 이미지화하고, 도서에 존재하는 문자를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독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서 등을 이미지화하여 제공하되, 사용자가 장치를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단순한 입력만으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독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사용자가 도서를 확대하여 책을 읽는 과정을 예시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전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 사용되는 단말과 대상물(도서)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는 개념도 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 사용되는 페이지 이미지의 예시도 이고,
도 6a 내지 도 6j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동작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
도 7a 내지 도 7h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진행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서 제공되는 메인 메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
도 10은 도 8의 컨텐츠의 생성 단계(S804)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g는 도 8의 컨텐츠의 생성 단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
도 12는 도 8의 컨텐츠의 재생 단계(S805)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13a 내지 도 13g는 도 8의 컨텐츠의 재생 단계(S805)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
도 14는 도 8의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 단계(S806)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예시하는 흐름도,
도 15a 및 도 15b는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 단계(S806)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
도 16a 및 도 16e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 따라 생성 및 저장되는 문자객체 파일 포맷의 일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치(100)는 서브통신 모듈(13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과 같은 외부 장치 연결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상기 장치(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무선으로 상기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다른 장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 PC,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치(100)는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예,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의 간격이 1 cm 보다크고, 8 cm 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표시부(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표시부(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표시부(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168)은 장치(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장치(100)로부터 인출 및 탈착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168)이 삽입되는 장치(100) 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펜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가 구비되어, 제어부(100)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펜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스타일러스 펜(168)이 삽입되는 일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168)의 장착시 직ㅇ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펜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68)과의 직ㅇ간접적으로 접촉에 기초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168)의 장착이나 탈착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센서 모듈(170)은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장치(100)의 동작(예, 장치(100)의 회전,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모듈(170), 표시부(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장치(100) 또는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생성되는 정보 등)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부(190)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190)에 제공한다. 그리고, 표시부(190)는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90)는,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표시부(19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90)는 출력 장치뿐 아니라 입력 장치로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90)는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90)는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90)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고, 상기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90)는,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의 터치는 표시부(190)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표시부(190)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 가능한 간격이 1 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9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표시부(190)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이벤트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예컨대, 호버링(Hovering))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다르게 출력할 수 다. 더 나아가, 표시부(190)는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의 거리에 따라,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다르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는 표시부(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좌표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표시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표시부(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는 표시부(190)를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표시부(19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장치(100)는 표시부(190)를 2개 이상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90)는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입력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의 터치나 근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값을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에 제공하고,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입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인지,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장치(100)의 전면(100a) 중앙에는 표시부(190)가 배치된다. 상기 표시부(190)는 장치(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은, 상기 표시부(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또는 화면잠금이 해제된 이후에 표시되는 화면으로써, 상기 표시부(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상기 장치(10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갖고 있을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또는 미리 설정된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메인메뉴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인메뉴 전환키(191-4)는 상기 표시부(190) 상에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장치(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바(Status Bar, 192)가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표시될 수 있다.
홈 버튼(161a)은 표시부(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90)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키(161a)가 입력되면, 표시부(190)에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9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91a)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190)상에는 도 3a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상기 표시부(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표시부(190)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장치(100)의 전면(100a)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151)와 조도 센서(170a) 및 근접 센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장치(100)의 후면(100c)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가 배치될 수 있다.
장치(100)의 측면(100b)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160a), 음량 버튼(161b),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DMB 안테나(141a)는 장치(100)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장치(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스타일러스 펜(168)과 상기 스타일러스 펜(168)을 보관하는 홀이 포함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168)은 장치(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장치(100)로부터 인출 및 탈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전술한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에 따른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의 실행을 위해 제어부(111) 내에 포함된 램(RAM, 113)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1)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에 따른 상기 프로그램 명령에 대응하여, 장치(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수행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면서 일시 또는 영구적으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부(175)에 저장하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의 실행에 필요한 UI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상 표시부가 UI, GUI, 또는 메뉴 등을 출력 또는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표시부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표시부는 다양한 정보(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생성되는 정보 등)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별도의 입력장치(예컨대, 키 패드, 버튼, 마우스 등)가 내부 또는 외부에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 사용되는 단말과 대상물(도서) 사이의 관계를 예시하는 개념도 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 사용되는 페이지 이미지의 예시도 이고, 도 6a 내지도 6j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동작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 이고, 도 7a 내지 도 7h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진행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일반적인 단말의 사용자에 비해 시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자들이 대상물(예컨대, 신문, 도서 등의 인쇄물)에 포함된 문자를 보다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5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501)이,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502)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서(503)를 촬영하여, 상기 페이지(502) 내에 존재하는 문자(504)들을 단말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읽을 수 있도록, 상기 페이지(502) 내에 존재하는 문자(504)들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S401), 페이지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S402), 상기 페이지 이미지로부터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403), 및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환경에 맞게 표시하는 단계(S404)를 포함한다.
S401단계는, 단말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통해, 본 발명의 이미지 처리 방법을 위해 구성된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됨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 이벤트는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아이콘의 터치 입력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나아가, S401단계는 사용자가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좀 더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개시되었음을 알리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기 위한 음성 파일의 재생을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S402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페이지 이미지를 입력 받는데, 상기 페이지 이미지는 대상물(예컨대, 도서나 신문 등의 인쇄물)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을 이미지화한 데이터이다. 예컨대, 상기 페이지 이미지는 상기 도서(503)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502)를 단말(501)의 카메라 모듈(예컨대, 도 2의 150)을 통해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 이미지는 대상물(예컨대, 도서나 신문 등의 인쇄물)을 촬영하거나 스캔하여 미리 획득된 저장된 이미지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페이지 이미지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도 2의 120) 또는 서브 통신 모듈(예컨대, 도 2의 130)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또는 다운로드된) 이미지이거나, 멀티미디어 모듈(예컨대, 도 2의140)을 통해 캡쳐된 이미지일 수도 있다.
상기 S403단계는 상기 페이지 이미지로부터 상기 문자(504)가 포함되는 영역을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영역을 문자객체 이미지(505)로 잘라내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페이지 이미지에 존재하는 문자(504)를 직접 인식(즉, 이미지 상에서 문자를 추출하여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는 것)하고, 인식된 문자를 재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문자를 직접 인식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산 동작이 요구된다. 또한, 문자를 직접 인식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정확하게 문자를 인식하지 못하는 오류가 발생될 수 있어, 페이지 이미지에 존재하는 문자와 다른 문자를 제공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예시되는 S403단계는 페이지 이미지에 존재하는 문자를 인식하는 것과는 구별되는 동작으로, 페이지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영역으로써 페이지 이미지에서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즉, 페이지 이미지의 일부)을 하나의 개별 객체(즉, 문자객체)로서 검출하고, 검출된 개별 객체를 문자객체 이미지로서 잘라내는(또는 구분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잘라낸(또는 구분된) 문자객체 이미지는 페이지 이미지의 일부로써 이미지 속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작업은 이미지 속성을 텍스트 속성으로 변환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다. 즉, 본 발명에서 예시되는 S403단계에서는, 단말이 이미지 속성을 텍스트 속성으로 변환함으로써 문자를 직접 인식하는 동작을 진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는 문자를 직접 인식하기 위한 고 성능의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문자를 직접 인식하는 동작을 처리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 지연 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고, 또한 오 인식된 문자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상기 문자 객체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S4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403'단계에서, 단말은 잘라낸(또는 구분된) 문자객체 이미지를 그 배열 순서를 반영하여 저장부(예컨대, 도 1의 17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에서, S403'단계가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S403단계에 포함되어 S403단계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404단계에서, 단말은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순서, 및 문자객체 이미지의 표시 배율 등을 고려하여,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표시부에 표시한다(506). 그리고, 단말은 사용자 입력을 반영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를 변경 또는 이동하거나,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율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입력은 표시부의 터치를 기반으로 입력되는 드래그(drag) 제스처, 플릭(flick) 제스처, 스와이프(swipe) 제스처, 또는 핀치 줌(pinch zoom) 제스처이거나, 단말의 모션을 기반으로 입력되는 틸팅(tilting) 제스처, 회전 제스처, 또는 이동 제스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은 터치를 기반으로 한 입력이 아닌, 버튼 또는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은 이와 같은 사용자 입력의 진행방향과 진행거리를 반영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객체 이미지가 변경, 또는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404단계를 통해 사용자는, 문자객체 이미지의 이동 또는 변경하기 위한 간단한 입력만으로,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독서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사용자 입력의 진행방향과 진행거리를 반영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객체 이미지의 개수 또는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율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서(503)의 페이지(502) 상에 존재하는 문자(504)를, 단말을 통해 다양하게 변경하여 읽을 수 있고, 특히 도서(503)의 페이지(502) 상에 존재하는 문자(504)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페이지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S402)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페이지 이미지는 대상물(예컨대, 도서나 신문 등의 인쇄물)의 전체영역, 또는 일부 영역을 이미지화한 데이터로써,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한 이미지이거나, 대상물(예컨대, 도서나 신문 등의 인쇄물)을 촬영하거나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이미지이거나, 이동 통신 모듈 또는 서브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또는 다운로드된) 이미지이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통해 캡쳐된 이미지일 수도 있다.
상기 페이지 이미지가, 단말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인 경우, S402단계에서, 단말은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문자(504)가 포함된 페이지(502)를 촬영함으로써, 페이지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페이지 이미지는 상기 페이지(502) 전체 영역을 한번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도 5b의 510)이거나, 상기 페이지(502)의 일부 영역을 한번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도 5b의 530)이거나, 상기 페이지(502) 전체(또는 일부 영역)가 소정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촬영된 후, 이들의 이미지(이하, '소스 이미지'라 함)(도 5b의521, 522, 523, 524)가 조합되어 구성된 이미지(도 5b의 520)일 수도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이 상기 소스 이미지들(521, 522, 523, 524)을 조합하여 페이지 이미지(520)를 구성함에 있어서, 단말은 복수의 소스 이미지들(521, 522, 523, 524)로부터 중복되는 영역을 확인하여 소스 이미지들(521, 522, 523, 524)을 이어붙임으로써, 하나의 페이지 이미지(52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소스 이미지들(521, 522, 523, 524)을 이어붙이는 기술로는 카메라의 파노라마 기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파노라마 기법의 실시에 대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더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페이지 이미지는 대상물의 촬영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다시 상기 대상물의 이미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상물의 촬영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대상물이 존재하는 영역만을 잘라낸 이미지(도 5b의 540, 550) 일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페이지 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해 진행되는 페이지(502)의 촬영 동작은, 이후에 진행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403)를 원할하게 진행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페이지(502)에 포함된 문자영역을 검출할 수 있을 정도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페이지(502)의 촬영을 보다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S402단계에서, 페이지의 촬영을 가이드 하는 촬영 가이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a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촬영가이드 UI는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더불어, 촬영 가이드 UI의 동작시,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을 알릴 수 있는 음성 파일의 재생을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S402 단계에서, 상기 페이지(502)에 포함된 문자(504)의 색상과, 페이지의 배경색의 일반적인 색상이나, 문자(504) 색상과 배경 색상의 대비 등을 고려하여, 단말은 상기 문자(504)가 존재하는 영역에 카메라의 포커스가 맞춰지도록 제어하거나, 사용자가 단말을 조작하여 포커스가 맞춰지도록 촬영 가이드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 가이드 UI는, 촬영되는 이미지의 화질,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객체 이미지의 크기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촬영되는 이미지가 적절한 화질(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의 화질) 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문자객체 이미지 크기로 촬영되도록, 촬영을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가이드 UI는 촬영되는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의 화질을 갖도록 대상물의 재촬영을 가이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되는 이미지상의 문자객체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촬영 가이드 UI는 단말과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가이드 하는 정보나, 촬영 화질의 조정을 가이드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대상물을 소정의 영역(예컨대, (상/하, 좌/우 또는 상/중/하 등 2~4개의 영역)단위로 촬영된 소스 이미지들을 조합하여 페이지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a에서와 같이, 대상물(예컨대, 페이지(502))을 상, 하, 좌, 우 영역(701a, 701b, 701c, 701d)으로 나누어 소스 이미지들을 촬영하는 것을 예시하면, 우선, 사용자에 의해 단말(501)은 페이지(502)의 상, 하, 좌, 우 영역(701a, 701b, 701c, 701d)의 촬영을 위해 이동되고, 이렇게 이동되는 단말(501)은 상기 페이지(502)의 상, 하, 좌, 우 영역(701a, 701b, 701c, 701d)을 촬영하여 도 7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은 소스 이미지들(702a, 702b, 702c, 702d)을 생성한다. 이러한, 상기 페이지(502)의 상, 하, 좌, 우 영역(701a, 701b, 701c, 701d)의 촬영은, 센서 모듈(예컨대, 도 2의 170)에서 검출되는 단말(501)의 이동 상태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진행되거나, 사용자의 촬영 버튼 입력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스 이미지의 촬영시, 단말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촬영되는 상기 소스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의 화질을 갖도록 가이드 하는 촬영 가이드 UI를 제공할 수 있다(도 6b 참조). 상기 촬영 가이드 UI는 단말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촬영영역, 촬영횟수 등을 가이드하거나, 또는 대상물의 재촬영을 가이드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상기 페이지(502)의 상, 하, 좌, 우 영역(701a, 701b, 701c, 701d)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의해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촬영 가이드 UI가 촬영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가이드 UI는 카메라부에 포함된 플래쉬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상기 플래쉬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플래쉬의 온/오프를 입력받을 수 있는 플레쉬 제어 버튼(601)을 상기 촬영 가이드 UI에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다(도 6c 참조).
한편, 상기 페이지 이미지가, 대상물(예컨대, 도서나 신문 등의 인쇄물)을 촬영하거나 스캔하여 미리 저장된 이미지인 경우, 402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미리 저장된 페이지 이미지를 불러오기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상기 페이지 이미지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또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 이미지는 단말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이동 통신 모듈또는 서브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미리 저장된 페이지 이미지를 불러오기 위한 환경은 단말의 저장부뿐 아니라, 이동 통신 모듈또는 서브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페이지 이미지를 선택하여 다운로드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불러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페이지 이미지가 멀티미디어 모듈을 통해 캡쳐된 이미지인 경우, 상기 캡쳐된 페이지 이미지 역시 저장이 필요하므로, 402단계에서, 단말은 전술한 상기 미리 저장된 페이지 이미지를 불러오기 위한 동작과 유사하게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403)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d를 참조하면, 페이지(502) 내에서 문자는 일반적으로 특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분포되거나, 소정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 분포되거나, 문자(712)와 문자(712)를 구분하도록 문자(712)와 문자(712) 사이에 소정의 빈 공간(제1 빈 공간)(713)이 형성되거나, 단어(714)를 구분하도록 단어(714)와 단어(714) 사이에 상기 제1 빈 공간(713)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소정의 공간(제2 빈 공간)(715)이 형성되는 등의 특성을 갖는다. 이를 고려하여, S403 단계에서는, S402단계에서 획득한 페이지 이미지(703) 내에서, 문자객체 이미지를 잘라내는 동작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예시되는 S403단계는 페이지 이미지(703)에 존재하는 문자를 텍스트 형식으로 인식하는 것과는 구별되는 동작으로, 페이지 이미지(703)에서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을 하나의 개별 객체(즉, 문자객체)로서 검출하고 검출된 개별 객체의 이미지를 잘라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컨대, 페이지 이미지(703)에 존재하는 문자객체 이미지(711)를 잘라내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예시되는 S403단계는, 문자를 이미지 형식에서 직접 텍스트 형식으로 인식하는 동작을 처리하는데 요구되는 연산 동작을 위한, 고 성능의 하드웨어나, 처리 시간 지연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문자 인식의 오류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S403단계에서, 단말이 문자객체 이미지를 잘라내는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술한 문자(712)와 문자(712) 사이의 배열, 단어(714)와 단어(714) 사이의 배열 관계를 고려하여, 문자객체 이미지를 문자 단위로 잘라내거나(7e 참조), 또는 단어 단위로 잘라낼 수 있다(7f 참조). 또한, 문자객체 이미지를 잘라내는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7e에서와 같이, 문자와 문자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1 빈 공간(713)을 고려하여,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712)만을 문자객체 이미지(721)로 잘라내거나,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712)과 상기 제1 빈 공간(713)을 함께 잘라낸 영역을 문자객체 이미지(722)로 잘라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7f에서와 같이, 단말은, 단어와 단어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2 빈 공간을 고려하여, 단어가 존재하는 영역(714)만을 문자객체 이미지(731)로 잘라내거나, 단어가 존재하는 영역(714)과 상기 제2 빈 공간(715)을 함께 잘라낸 영역을 문자객체 이미지(732)로 잘라낼 수 있다. 또한, 문자객체 이미지는 일정 개수의 문자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이미지이거나, 단어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이미지이거나, 1개의 라인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이미지일 수도 있다.
나아가, 이렇게 획득한 문자객체 이미지가 S404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들의 배열에 대한 정보가 요구된다. 따라서, S403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면서,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에 대한 정보도 함께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7d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은 라인의 순서를 X값으로, 라인 내에서 문자객체 이미지의 순서를 Y값으로 설정하여,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 정보를 2차원 좌표(X,Y)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단어 'or'를 포함하는 문자객체 이미지(704)에 대한 배열정보를 좌표값(0,3)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2차원 좌표의 값을 이용하여 각 라인의 시작 또는 끝에 위치한 문자객체와 인접한 라인의 시작 또는 끝에 위치한 문자객체간의 순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이 복수의 페이지 이미지들로부터 문자객체 이미지들을 잘라내는 경우, 단말은 페이지 이미지들의 순서에 대한 정보를 배열정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2차원 좌표(X,Y) 도메인을 확장하여, 문자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페이지의 순서를 Z좌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배열정보가 3차원 좌표(X,Y,Z) 값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2차원 좌표를 사용하여 페이지 이미지 내에서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정보를 표현하거나, 3차원 좌표를 사용하여 복수의 페이지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정보를 표현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페이지 이미지 내에서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 순서에 따른 값이, 각 문자객체 이미지에 순차적으로 지정되어,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정보는 1차원 값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추가로, 복수의 페이지 이미지들에 포함된 문자객체 이미지들에 대해서는, 복수의 페이지를 각각 식별하기 위해, 페이지 이미지의 배열 순서에 따른 값이 각각 지정됨에 따라,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정보는 페이지 이미지의 배열 순서에 따른 값과, 페이지 내에서의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 순서에 따른 값을 구비한 2차원 값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S403단계는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독서 컨텐츠로 구성하여, 미리 정해진 파일 포맷으로 저장할 수 있는데, 상기 미리 정해진 파일 포맷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에 기재되는 도 1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단말이 문자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404)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S404단계에서, 단말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이미지의 크기를 고려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할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읽어들일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종속적으로 표시부에 현재 디스플레이 할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읽어 들일 수 있다. 나아가, 단말이 사용자 입력시 좀 더 빠르게 반응하여 문자객체 이미지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말은 현재 디스플레이 할 문자객체 이미지와 인접한 문자객체 이미지, 즉, 현재 디스플레이 할 문자객체 이미지의 이전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 할 문자객체 이미지의 이후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미리 읽어 들일 수도 있다.
전술한 S403단계에서 잘라낸 문자객체 이미지는 문자 단위, 또는 단어 단위로 잘라낸 이미지일 수 있고, 또한, 잘라낸 문자객체 이미지가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만이 포함되거나, 또는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과 소정의 공간(예컨대, 제1 빈 공간(713), 또는 제2 빈 공간(715))이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은 S404단계에서, 문자객체 이미지의 구분 기준을 고려하여 표시부에 문자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필요가 있으므로, 단말은 문자객체 이미지의 구분 기준에 대응하여, 전술한 S403단계에서 잘라낸 문자객체 이미지를, 도 7g 내지 7j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출력되는 문자객체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잘라낸 문자객체 이미지가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만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도 7g와 같이, 글자단위로 이루어진 문자객체 이미지(721) 사이에 소정의 공간(예컨대, 제1 빈 공간(713))이 존재하도록 문자객체 이미지(721)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잘라낸 문자객체 이미지가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과 제1 빈 공간(7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단말은, 도 7h와 같이, 문자객체 이미지(722)가 연속적으로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잘라낸 문자객체 이미지가, 단어가 존재하는 영역만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도 7i와 같이, 단어단위로 이루어진 문자객체 이미지(731) 사이에 전술한 소정의 공간(예컨대, 제2 빈 공간(715))이 존재하도록 문자객체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잘라낸 문자객체 이미지가 단어가 존재하는 영역과 제2 빈 공간(7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단말은 도 7j와 같이, 단어단위로 이루어진 문자객체 이미지(732)가 연속적으로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속적으로 배열된 문자객체 이미지는 소정의 단위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소정의 단위는, 페이지 이미지 상에서의 라인 단위, 들여쓰기 또는 내어쓰기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문단 단위, 또는 미리 정해진 길이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k는 상기 소정의 단위가 미리 정해진 길이 단위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 7k를 참조하면, 단말은 상기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는 미리 정해진 길이(740) 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하나의 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첫번째 미리 정해진 길이(740-1) 내에 완전히 포함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들(741 ~ 744)을 제1단위(761)로 구성하고, 첫번째 미리 정해진 길이(740-1) 내에 완전히 포함되지 않고 일부 영역만 포함되는 문자객체 이미지(745)는 제1단위(761)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단말(501)은 첫번째 미리 정해진 길이(740-1) 내에 포함되지 않았던 문자객체 이미지(745)부터 다시 두번째 미리 정해진 길이(740-2) 내에 완전히 포함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들(745 ~ 749)을 제2단위(762)로 구성하고, 두번째 미리 정해진 길이(740-2) 내에 완전히 포함되지 않고 일부 영역만 포함되는 문자객체 이미지(750) 역시 제2단위(762)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단말은 두번째 미리 정해진 길이(740-2) 내에 포함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들(750 ~ 752)을 제3단위(763)로 구성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길이 단위로 문자객체 이미지를 구분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길이 단위로 문자객체 이미지를 구분함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길이 내에 완전히 포함되지 않고 일부 영역만 포함되는 문자객체 이미지(745, 750)가해당 단위에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일부 영역만 포함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들(745, 750)도해당 단위에 포함되도록 구성하거나, 문자객체 이미지가 완전히 포함되는지 여부에 상관 없이 무조건적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 단위로 문자객체 이미지를 잘라내어 구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S404단계에서,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환경과 사용자의 설정에 맞춰, 문자객체 이미지가 표시되는 줄(Line)의 수, 문자객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배율(크기) 등을 조절하여,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도 6d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표시부에 한 줄의 문자객체 이미지가 보여질 수 있도록,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e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표시부의 터치에 의한 드래그(drag) 제스처가 입력되면, 단말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객체 이미지(N번째 이미지)(651)가 상기 드래그 제스처의 진행방향(641)과 진행거리(642)에 대응하여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N번째 이미지)의 앞에 배열된 문자객체 이미지(N-1번째 이미지), 또는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N번째 이미지)의 뒤에 배열된 문자객체 이미지(N+1번째 이미지)(652) 역시, 상기 드래그 제스처의 진행방향(641)과 진행거리(642)에 대응하여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6f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드래그 제스처와 유사하게, 표시부의 터치에 의한 플릭(flick) 제스처(또는 스와이프(swipe) 제스처)가 입력되면, 단말은 상기 플릭(flick) 제스처(또는 스와이프(swipe) 제스처)의 진행방향(643)에 대응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객체 이미지(N번째 이미지)(652)를,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N번째 이미지)(651)의 앞에 배열된 문자객체 이미지(N-1번째 이미지)(651), 또는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N번째 이미지)(652)의 뒤에 배열된 문자객체 이미지(N+1번째 이미지)(653)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단말은 사용자 입력 대응하여, 문자객체 이미지를 소정의 단위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g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사용자 입력(예컨대, 드레그 제스쳐, 플릭(flick) 제스처, 또는 스와이프(swipe) 제스처 등)이 발생되면, 단말은 문자객체 이미지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디스플레이 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문자객체 이미지(651)가 포함된 단위(761)의 뒤에 배열되는 단위(762)의 문자객체 이미지(655)를 표시부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6h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문자객체 이미지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문자객체 이미지(655)가 포함된 단위(762)의 앞쪽의 단위(761)에 배열되는 문자객체 이미지(651)를 표시부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단위가 미리 정해진 길이 단위인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소정의 단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페이지 이미지 상에서의 라인 단위, 들여쓰기, 내어쓰기, 마침표, 여백 등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문단 단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단위를 반영하여, 상기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문자객체 이미지를 라인 단위, 문단 단위 등으로 이동 또는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도 6d 내지도 6h에서, 문자객체 이미지가 드레그 제스쳐 입력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직관적으로 문자객체 이미지를 이동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문자객체 이미지가 드레그 제스쳐 입력에 대응하여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써, 도 6i과 같이, 표시부에, 문자객체 이미지의 이동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설정된 영역 상에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문자객체 이미지가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의 좌측에 위치한 제1영역(661)의 터치가 입력되면 문자객체 이미지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표시부의 우측에 위치한 제2영역(662)의 터치가 입력되면 문자객체 이미지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표시부의 상부에 위치한 제3영역(663)의 터치가 입력되면 문자객체 이미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문자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단위의 뒷쪽의 단위에 배열된 문자객체 이미지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고, 표시부의 하부에 위치한 제4영역(663)의 터치가 입력되면 문자객체 이미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문자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단위의 앞쪽의 단위에 배열된 문자객체 이미지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이와 다른 실시예로써, 단말에 구비된 볼륨키 버튼의 입력에 대응하여, 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문자객체 이미지가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도 6j 참조). 이 경우, 단말에 구비된 볼륨키 버튼(671,672)의 입력이 지속되는 시간을 반영하여, 문자객체 이미지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미리 정해진 제1시간이상 단말에 구비된 볼륨키 버튼(671,672)의 입력이 지속되면, 우선적으로, 볼륨키 버튼(671,672)의 위치에 따라 문자객체 이미지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문자객체 이미지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미리정해진 제2시간이상 단말에 구비된 볼륨키 버튼(671,672)의 입력이 지속되면, 볼륨키 버튼(671,672)의 위치에 따라 문자객체 이미지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문자객체 이미지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실시예로써, 단말의 모션을 기반으로 입력되는 틸팅(tilting) 제스처, 회전 제스처, 또는 이동 제스처 등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단말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를 이동 또는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인접한 문자객체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페이지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객체 이미지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모두 표시 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표시부에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문자객체 이미지(N번째 이미지)가 첫번째 라인의 우측 끝에 위치한 문자객체 이미지(일례로, 'question:')를 포함함을 예시하면, 특정 사용자 입력(예컨대, 드래그 제스처, 플릭 제스처, 스윕 제스처 등)이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발생함에 따라, 단말은 전술한 N번째 이미지를 N+1번째 이미지로 이동 또는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N+1번째 이미지는 두번째 라인의 좌측 처음에 위치한 문자객체 이미지(일례로, 'Whether')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될 수 있다. 결국, 단말은 동일한 사용자 입력만을 수신하더라도, 페이지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객체 이미지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모두 표시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S404단계를 통해 사용자는, 단말을 이동하는 등의 동작 없이, 단말을 고정한 상태에서, 문자객체 이미지의 이동을 위한 간단한 입력만으로,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독서를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S404단계는 페이지 이미지 내에서의 문자객체 위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는 미니 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컨텐츠 내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또는 문자객체)으로 이동할 수 있는 북마크 기능,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지점부터 컨텐츠의 재생을 진행하는 이어보기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S404단계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단말에 디스플레하는 과정에서, 미니 맵 기능, 북마크 기능, 이어보기 기능 등을 동작시키는 환경을 제공하는 UI가 함께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UI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술한 미니 맵 기능, 북마크 기능, 이어보기 기능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서 제공되는 메인 메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우선,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은 기본적으로,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실행되는 단계(S801)와, 메인 메뉴 UI를 제공하는 단계(S802)를 포함하며, 메인 메뉴 UI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메뉴 UI에 포함된 메뉴, 즉 컨텐츠의 생성, 컨텐츠의 재생, 및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 등의 동작(S803 내지 S806)을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에 대응하여 그 실행이 개시된다(S801). 이와같이,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메인 메뉴 UI(901)가 표시부에 제공된다(S802). 메인 메뉴 UI(901)는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기본적인 동작을 진행하기 위한, 선택 메뉴를 제공한다. 예컨대, 메인 메뉴 UI(901)는 독서 컨텐츠를 만드는 동작을 진행하기 위한 컨텐츠 생성 버튼(902), 이미 만들어진 독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컨텐츠 재생 버튼(903), 및 독서 확대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필요한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환경설정 버튼(904)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인 메뉴 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만들기 메뉴(902)가 선택되면(803-a) 독서 컨텐츠를 생성하는 동작(S804)을 진행하고, 재생하기 메뉴(903)가 선택되면(803-b) 독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S805)을 진행하고, 설정 메뉴(904)가 선택되면(803-c) 독서 확대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동작(S806)을 진행한다.
독서 컨텐츠를 생성하는 동작(S804)은 카메라 또는 메모리(단말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에 존재하는 메모리 등)를 통해 입력받은 페이지 이미지로부터, 이(페이지 이미지)에 분포되는 문자객체 이미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자객체 이미지를 잘라내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조합하여 독서 컨텐츠를 구성하여, 미리 정해진 파일 포맷으로 저장하는 동작을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 예시되는 S803단계는 페이지 이미지에 존재하는 문자를 인식하는 것과는 구별되는 동작으로, 페이지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영역으로써 페이지 이미지에서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즉, 페이지 이미지의 일부)을 하나의 개별 객체로서 검출하고, 검출된 개별 객체를 문자객체 이미지로서 잘라내는(또는 구분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잘라낸(또는 구분된) 문자객체 이미지는 페이지 이미지의 일부로써 이미지 속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작업은 이미지 속성을 텍스트 속성으로 변환하는 작업이 불필요하다. 즉, 본 발명에서 예시되는 S803단계에서는, 단말이 이미지 속성을 텍스트 속성으로 변환함으로써 문자를 직접 인식하는 동작을 진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는 문자를 직접 인식하기 위한 고 성능의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문자를 직접 인식하는 동작을 처리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 지연 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고, 또한 오 인식된 문자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독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S805)은 상기 독서 컨텐츠를 생성하는 동작(S804) 또는 통신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독서 컨텐츠를 불러들여,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에 맞게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컨텐츠에 포함된 문자객체 이미지를 읽어들을 수 있도록 구현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특히, 독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S805)에서는, 사용자가, 단말을 이동하는 등의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히 단말에 미리 정해진 사용자 입력(터치를 기반으로 입력되는 드래그(drag) 제스처, 플릭(flick) 제스처, 스와이프(swipe) 제스처, 또는 핀치 줌(pinch zoom) 제스처, 단말의 모션을 기반으로 입력되는 틸팅(tilting) 제스처, 회전 제스처, 또는 이동 제스처 등)만으로 독서 컨텐츠에 포함된 문자객체 이미지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단말은 연속적인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인접한 문자객체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페이지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객체 이미지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모두 표시 할 수 있다.
독서 확대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동작(S806)은 독서 컨텐츠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환경을 설정하는 동작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을 고려한 모드(예컨대, 실버 모드, 장애인 모드 등)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율을 사용자에게 최적화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콘텐츠 생성 단계>
콘텐츠는 문자가 인쇄된 적어도 하나의 대상물(예컨대, 도서나 신문 등의 인쇄물)을 이미지화 한 페이지 이미지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지 이미지는 대상물(예컨대, 도서나 신문 등의 인쇄물)을 촬영 또는 스캔하여 미리 저장한 이미지, 이동 통신 모듈 또는 서브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또는 다운로드된) 이미지, 또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통해 캡쳐된 이미지일 수 있으나,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페이지 이미지는, 대상물(예컨대, 도서나 신문 등의 인쇄물)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한 이미지인 것을 중심으로 예시한다.
도 10은 도 8의 컨텐츠의 생성 단계(S804)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g는 도 8의 컨텐츠의 생성 단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S1001단계에서, 단말은,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카메라의 동작을 지시하고,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프리뷰 영상으로 구성하여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프리뷰 영상은 표시부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S1001단계에서, 사용자가 카메라의 동작이 개시되었음을 인식하고, 소스 이미지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단말은 촬영 가이드 UI를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 가이드 UI는 도 11a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소스 이미지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을 알려주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더불어, 촬영 가이드 UI의 동작시, 촬영이 시작되는 시점을 알릴 수 있는 음성 파일의 재생을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페이지 이미지는 상기 페이지(502) 전체 영역을 한번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도 5b의 510)이거나, 상기 페이지(502)의 일부 영역을 한번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도 5b의 530)이거나, 상기 페이지(502) 전체(또는 일부 영역)가 소정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촬영된 후, 이들의 이미지(이하, '소스 이미지'라 함)(도 5b의521, 522, 523, 524)가 조합되어 구성된 이미지(도 5b의 520)일 수도 있다.
상기 페이지 이미지가 상기 페이지(502) 전체 영역을 한번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도 5b의 510)이거나, 상기 페이지(502)의 일부 영역을 한번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도 5b의 530)인 경우, 페이지 이미지의 촬영 동작은, 이후에 진행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004)를 원할하게 진행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페이지(502)에 포함된 문자영역을 검출할 수 있을 정도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페이지(502)에 포함된 문자(504)의 색상과, 페이지의 배경색의 일반적인 색상이나, 문자(504) 색상과 배경 색상의 대비 등을 고려하여, 상기 문자(504)가 존재하는 영역에 카메라의 포커스가 맞춰지도록 제어하거나, 사용자가 단말을 조작하여 포커스가 맞춰지도록 하는 촬영 가이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촬영 가이드 UI는, 촬영되는 이미지의 화질,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객체 이미지의 크기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촬영되는 이미지가 적절한 화질(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의 화질) 또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문자객체 이미지 크기로 촬영되도록, 촬영을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가이드 UI는 촬영되는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의 화질을 갖도록 대상물의 재촬영을 가이드하는 정보, 촬영되는 이미지상의 문자객체 크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촬영 가이드 UI는 단말과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가이드 하는 정보, 또는 촬영 화질의 조정을 가이드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지 이미지가 상기 페이지(502) 전체 영역을 한번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도 5b의 510)이거나, 상기 페이지(502)의 일부 영역을 한번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도 5b의 530)인 경우, 한 장의 이미지 촬영만으로 페이지 단위의 촬영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S1002단계에서, 단말은,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의 화질을 갖는 이미지가 획득됨에 따라, 페이지 단위의 촬영을 자동으로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S1003단계에서, 상기 S1001단계에서 획득된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의 화질을 갖는 이미지를 사용하여 페이지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자동으로 페이지 이미지의 촬영을 완료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단말은 촬영 완료 버튼을 포함하는 촬영 가이드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촬영 완료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페이지 이미지의 촬영을 완료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페이지 이미지가 소스 이미지들(521, 522, 523, 524)을 조합하여구성된 이미지(520)인 경우, S1001 단계에서, 단말은 대상물을 소정의 영역(예컨대, (상/하, 좌/우 또는 상/중/하 등 2~4개의 영역)단위로 촬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예컨대, 도 7a에서와 같이, 대상물(예컨대, 페이지(502))을 상, 하, 좌, 우 영역(701a, 701b, 701c, 701d)으로 나누어 소스 이미지들을 촬영하는 것을 예시하면, 우선, 사용자에 의해 단말(501)은 페이지(502)의 상, 하, 좌, 우 영역(701a, 701b, 701c, 701d)의 촬영을 위해 이동되고, 이렇게 이동되는 단말(501)은 상기 페이지(502)의 상, 하, 좌, 우 영역(701a, 701b, 701c, 701d)을 촬영하여 도 7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은 소스 이미지들(702a, 702b, 702c, 702d)을 생성한다. 이러한, 상기 페이지(502)의 상, 하, 좌, 우 영역(701a, 701b, 701c, 701d)의 촬영은, 센서 모듈(예컨대, 도 2의 170)에서 검출되는 단말(501)의 이동 상태를 고려하여 자동으로 진행되거나, 사용자의 촬영 버튼 입력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스 이미지의 촬영시, 단말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촬영되는 상기 소스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의 화질을 갖도록 가이드 하는 촬영 가이드 UI를 제공할 수 있다(도 11b, 도 11c 참조). 상기 촬영 가이드 UI는 촬영영역, 촬영횟수 등을 가이드하는 정보, 또는 대상물의 재촬영을 가이드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페이지(502)의 상, 하, 좌, 우 영역(701a, 701b, 701c, 701d)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의해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단말의 이동 방향(1101), 이동 속도(110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을 수동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단말은 촬영버튼을 포함하는 촬영 가이드 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S1001 단계에서, 페이지 이미지의 배경색이나, 상기 문자영역의 색상 분포를 고려하여, 카메라부에 포함된 플래쉬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상기 플래쉬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은, 상기 플래쉬의 온/오프를 입력받을 수 있는 플레쉬 제어 버튼(103)을 상기 촬영 가이드 UI에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다(도 11d 참조).
이미지의 촬영은 독서의 대상이 되는 대상물(예컨대, 신문, 책, 성경책 등)의 페이지 단위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S1001 단계에서, 단말은, 내부에 구비된 모션 센서(예컨대, 자이로 센서 등)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사용하여, 페이지 단위의 이미지 촬영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단말은, 상기 촬영 가이드 UI 상에 이미지 촬영이 완료되었음을 입력하는 완료 입력 버튼(1104)을 제공하고, 상기 완료 입력 버튼(1104)의 입력 여부에 대응하여, 페이지 단위의 이미지 촬영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페이지 단위의 이미지 촬영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 결과에 따라, S1001단계의 동작을 반복하여 진행하거나, 다음 단계(S1003)를 진행할 수 있다(S1002).
한편, S1003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S1001단계에서 획득된 소스 이미지들(702a, 702b, 702c, 702d)을 사용하여 페이지 이미지를 구성한다. 예컨대, 촬영을 통해 획득된 상기 소스 이미지들(702a, 702b, 702c, 702d)을 촬영환경, 즉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되어 촬영된 소스 이미지들(702a, 702b, 702c, 702d)의 촬영 위치, 또는 단말에 구비된 모션 센서에 의헤 확인된 소스 이미지들(702a, 702b, 702c, 702d)의 상대적 위치 등을 고려하여 조합함으로써, 페이지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소스 이미지들(702a, 702b, 702c, 702d)을 이어붙이는 기술로는 카메라의 파노라마 기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파노라마 기법의 실시에 대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더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페이지 이미지는 대상물의 촬영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다시 상기 대상물의 이미지적 특성을 고려하여, 대상물의 촬영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대상물이 존재하는 영역만을 잘라낸 이미지(도 5b의 540, 550)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d를 참조하면, 페이지(502) 내에서 문자는 일반적으로 특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분포되거나, 소정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 분포되거나, 문자(712)와 문자(712)를 구분하도록 문자(712)와 문자(712) 사이에 소정의 빈 공간(제1 빈 공간)(713)이 형성되거나, 단어(714)를 구분하도록 단어(714)와 단어(714) 사이에 상기 제1 빈 공간(713)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소정의 공간(제2 빈 공간)(715)이 형성되는 등의 특성을 갖는다. 이를 고려하여, S1004단계에서, 단말은 S1003단계에서 획득한 페이지 이미지(703) 내에서, 문자객체 이미지를 잘라내는 동작을 수행한다.
나아가, S1004단계에서, 단말이 문자객체 이미지를 잘라내는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술한 문자(712)와 문자(712) 사이의 배열, 단어(714)와 단어(714) 사이의 배열 관계를 고려하여, 문자객체 이미지를 문자 단위로 잘라내거나(7e 참조), 또는 단어 단위로 잘라낼 수 있다(7f 참조). 또한, 문자객체 이미지를 잘라내는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7e에서와 같이, 문자와 문자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1 빈 공간(713)을 고려하여,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712)만을 문자객체 이미지(721)로 잘라내거나,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712)과 상기 제1 빈 공간(713)을 함께 잘라낸 영역을 문자객체 이미지(722)로 잘라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7f에서와 같이, 단말은, 단어와 단어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2 빈 공간을 고려하여, 단어가 존재하는 영역(714)만을 문자객체 이미지(731)로 잘라내거나, 단어가 존재하는 영역(714)과 상기 제2 빈 공간(715)을 함께 잘라낸 영역을 문자객체 이미지(732)로 잘라낼 수 있다. 또한, 문자객체 이미지는 일정 개수의 문자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이미지이거나, 단어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이미지이거나, 1개의 라인에 포함된 일정 크기의 이미지일 수도 있다.
나아가, 단말이, 이렇게 획득한 문자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들의 배열에 대한 정보가 요구된다. 따라서, S1004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면서,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에 대한 정보도 함께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7d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은 라인의 순서를 X값으로, 라인 내에서 문자객체 이미지의 순서를 Y값으로 설정하여,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 정보를 2차원 좌표(X,Y)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단어 'or'를 포함하는 문자객체 이미지(704)에 대한 배열정보를 좌표값 (0,3)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2차원 좌표의 값을 이용하여 각 라인의 시작 또는 끝에 위치한 문자객체와 인접한 라인의 시작 또는 끝에 위치한 문자객체간의 순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이 복수의 페이지 이미지들로부터 문자객체 이미지들을 잘라내는 경우, 단말은 페이지 이미지들의 순서에 대한 정보를 배열정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2차원 좌표(X,Y) 도메인을 확장하여, 문자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페이지의 순서를 Z좌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배열정보가 3차원 좌표(X,Y,Z) 값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2차원 좌표를 사용하여 페이지 이미지 내에서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정보를 표현하거나, 3차원 좌표를 사용하여 복수의 페이지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정보를 표현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페이지 이미지 내에서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 순서에 따른 값이, 각 문자객체 이미지에 순차적으로 지정되어,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정보는 1차원 값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추가로, 복수의 페이지 이미지들에 포함된 문자객체 이미지들에 대해서는, 복수의 페이지를 각각 식별하기 위해, 페이지 이미지의 배열 순서에 따른 값이 각각 지정됨에 따라,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정보는 페이지 이미지의 배열 순서에 따른 값과, 페이지 내에서의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 순서에 따른 값을 구비한 2차원 값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시되는 S1004단계는 페이지 이미지(703)에 존재하는 문자를 텍스트 형식으로 인식하는 것과는 구별되는 동작으로, 페이지 이미지(703)에서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을 하나의 개별 객체(즉, 문자객체)로서 검출하고 검출된 개별 객체를 페이지 이미지로서 잘라내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예시되는 S1004단계는, 문자를 이미지 형식에서 직접 텍스트 형식으로 인식하는 동작을 처리하는데 요구되는 연산 동작을 위한, 고 성능의 하드웨어나, 처리 시간 지연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문자 인식의 오류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은, S1004단계를 통해 잘라낸 문자객체 이미지를 이후에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문자객체 이미지의 저장에 필요한 정보를 콘텐츠 저장 UI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 이미지(70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페이지 이미지(703)는 복수의 문자객체 이미지(7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컨텐츠 단위로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는데, 상기 페이지 이미지(703) 및 문자객체 이미지(711)는, 새로 생성되는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으나,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콘텐츠에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S1004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에 결합하여 저장할 것인지 또는 신규 콘텐츠를 생성하여 저장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도 11e 참조), 즉 추가하기 버튼(1111)과 새로 만들기 버튼(1112)을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 저장 UI(1110)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추가하기 버튼(1111)이 선택됨에 대응하여, 이미 저장된 콘텐츠에 결합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진행하기 위해, 이미저장된 콘텐츠들의 리스트(1121)를 제공하고, 이미 저장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콘텐츠 선택 UI(1120)(도 11f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새로 만들기 버튼(1112)이 선택됨에 대응하여, 새로 저장할 콘텐츠의 파일명을 입력받을 수 있는 컨텐츠 파일명 입력 UI(도 11g 참조)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컨텐츠 파일명 입력 UI를 통해 컨텐츠 파일명이 입력된 후, 단말은 컨텐츠의 종류(예컨대, 신문, 책, 성경책 등)를 입력받을 수 있는 컨텐츠 종류 입력 UI(1130)(도 11h 참조)를 더 제공하고, 컨텐츠의 종류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생성된 컨텐츠는, 문자객체 이미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미리 정해진 소정의 파일 포맷(예컨대, 문자객체 파일 포맷)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구비된 컨텐츠 생성 단계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구비된 컨텐츠 생성 단계에서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페이지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문자객체 이미지를 잘라낼 수 있는 페이지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전술한 페이지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써, 미리 메모리(단말 내부 메모리 또는 통신을 통해 접근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페이지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미리 메모리(단말 내부 메모리 또는 통신을 통해 접근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소스 이미지를 조합(예컨대, 스티칭 처리)하여 페이지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메모리(단말 내부 메모리 또는 통신을 통해 접근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페이지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컨텐츠의 재생 동작>
도 12는 도 8의 컨텐츠의 재생 단계(S805)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g는 도 8의 컨텐츠의 재생 단계(S805)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우선, S1201단계에서, 재생할 컨텐츠를 확인한다. 예컨대, 단말은 미리 저장된 컨텐츠의 리스트(1311)를 제공하고, 상기 컨텐츠 리스트(1311)로부터 재생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컨텐츠 선택 UI(1310)(도 13a 참조)를 표시부에 제공한다. 그리고, 단말은, 컨텐츠 선택 UI(1310)를 통해 재생할 컨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선택 및 입력 받음으로써, 재생할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S1202단계에서, 단말은,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 설정값을 확인한다.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 설정값은 표시부의 출력 환경(예컨대, 디스플레이 해상도 등), 전술한 S806 단계(독서 확대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설정 단계)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시각을 고려한 모드(예컨대, 실버 모드, 장애인 모드 등) 정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율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S1203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문자객체를, 상기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 설정값에 맞게, 문자객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줄(Line)의 수, 문자객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배율(크기) 등을 조절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한다. 예컨대, 도 13b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은 표시부에 한 줄의 문자객체 이미지(1321)가 보여질 수 있도록,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할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읽어들일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종속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의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표시부 상에 현재 디스플레이 할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읽어 들일 수 있다. 나아가, 단말은 현재 디스플레이 할 문자객체 이미지와 인접한 문자객체 이미지, 즉, 현재 디스플레이 할 문자객체 이미지의 이전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 할 문자객체 이미지의 이후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미리 읽어 들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이 현재 디스플레이 할 문자객체 이미지와 인접한 문자객체 이미지를 미리 읽어 들임으로써,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보다 빠르게 반응하여 문자객체 이미지를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술한 문자객체 이미지는 문자 단위, 또는 단어 단위로 잘라낸 이미지일 수 있고, 또한, 잘라낸 문자객체 이미지가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만이 포함되거나, 또는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과 소정의 공간(예컨대, 제1 빈 공간(713), 또는 제2 빈 공간(715))이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이 문자객체 이미지의 구분 기준을 고려하여 표시부 상에 문자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필요가 있으므로, 단말은 문자객체 이미지의 구분 기준에 대응하여,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잘라낸 문자객체 이미지가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만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도 7g와 같이, 글자단위로 이루어진 문자객체 이미지(721) 사이에 소정의 공간(예컨대, 제1 빈 공간(713))이 존재하도록 문자객체 이미지(721)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잘라낸 문자객체 이미지가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과 제1 빈 공간(7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단말은, 도 7h와 같이, 문자객체 이미지(722)가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잘라낸 문자객체 이미지가, 단어가 존재하는 영역만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은 도 7i와 같이, 단어단위로 이루어진 문자객체 이미지(731) 사이에 전술한 소정의 공간(예컨대, 제2 빈 공간(715))이 존재하도록 문자객체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잘라낸 문자객체 이미지가 단어가 존재하는 영역과 제2 빈 공간(7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단말은 도 7j와 같이, 단어단위로 이루어진 문자객체 이미지(732)가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속적으로 배열된 문자객체 이미지는 소정의 단위로 구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소정의 단위는, 페이지 이미지 상에서의 라인 단위, 들여쓰기 또는 내어쓰기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문단 단위, 또는 미리 정해진 길이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k는 상기 소정의 단위가 미리 정해진 길이 단위인 경우를 예시한다. 도 7k를 참조하면, 단말은 상기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는 미리 정해진 길이(740) 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하나의 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첫번째 미리 정해진 길이(740-1) 내에 완전히 포함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들(741 ~ 744)을 제1단위(761)로 구성하고, 첫번째 미리 정해진 길이(740-1) 내에 완전히 포함되지 않고 일부 영역만 포함되는 문자객체 이미지(745)는 제1단위(761)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단말(501)은 첫번째 미리 정해진 길이(740-1) 내에 포함되지 않았던 문자객체 이미지(745)부터 다시 두번째 미리 정해진 길이(740-2) 내에 완전히 포함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들(745 ~ 749)을 제2단위(762)로 구성하고, 두번째 미리 정해진 길이(740-2) 내에 완전히 포함되지 않고 일부 영역만 포함되는 문자객체 이미지(750) 역시 제2단위(762)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단말은 두번째 미리 정해진 길이(740-2) 내에 포함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들(750 ~ 752)을 제3단위(763)로 구성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미리 정해진 길이 단위로 문자객체 이미지를 구분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길이 단위로 문자객체 이미지를 구분함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길이 내에 완전히 포함되지 않고 일부 영역만 포함되는 문자객체 이미지(745, 750)가 해당 단위에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일부 영역만 포함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들(745, 750)도 해당 단위에 포함되도록 구성하거나, 문자객체 이미지가 완전히 포함되는지 여부에 상관 없이 무조건적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 단위로 문자객체 이미지를 잘라내어 구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S1203단계에서,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c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표시부의 터치에 의한 드래그(drag) 제스처가 입력되면, 단말)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객체 이미지(N번째 이미지)(1351)가 상기 드래그 제스처의 진행방향(1341)과 진행거리(1342)에 대응하여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N번째 이미지)(1351)의 앞에 배열된 문자객체 이미지(N-1번째 이미지), 또는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N번째 이미지)(1351)의 뒤에 배열된 문자객체 이미지(N+1번째 이미지)(1352) 역시, 상기 드래그 제스처의 진행방향(1341)과 진행거리(1342)에 대응하여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3d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드래그 제스처와 유사하게, 표시부의 터치에 의한 플릭(flick) 제스처(또는 스와이프(swipe) 제스처)가 입력되면, 단말은 상기 플릭(flick) 제스처(또는 스와이프(swipe) 제스처)의 진행방향(1343)에 대응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객체 이미지(N번째 이미지)(1352)를,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N번째 이미지)(1351)의 앞에 배열된 문자객체 이미지(N-1번째 이미지)(1351), 또는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N번째 이미지)(1352)의 뒤에 배열된 문자객체 이미지(N+1번째 이미지)(1353)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단말은 사용자 입력 대응하여, 문자객체 이미지를 소정의 단위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3e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사용자 입력(예컨대, 드레그 제스쳐, 플릭(flick) 제스처, 또는 스와이프(swipe) 제스처 등)이 발생되면, 단말은 문자객체 이미지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디스플레이 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문자객체 이미지(1351)가 포함된 단위(761)의 뒤에 배열되는 단위(762)의 문자객체 이미지(1355)를 표시부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13f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면,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문자객체 이미지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있는 문자객체 이미지(1355)가 포함된 단위(762)의 앞쪽의 단위(761)에 배열되는 문자객체 이미지(1351)를 표시부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단위가 미리 정해진 길이 단위인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소정의 단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페이지 이미지 상에서의 라인 단위, 들여쓰기, 내어쓰기, 마침표, 여백 등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문단 단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단위를 반영하여, 상기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문자객체 이미지를 라인 단위, 문단 단위 등으로 이동 또는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도 13c 내지도 13f에서, 단말이 문자객체 이미지를 사용자 입력(예컨대, 드레그 제스쳐, 플릭 제스처, 스와이프 제스처 등)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직관적으로 문자객체 이미지를 이동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문자객체 이미지가 드레그 제스쳐 입력에 대응하여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써, 도 13d와 같이, 표시부 상에, 문자객체 이미지의 이동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설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설정된 영역 상에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문자객체 이미지가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의 좌측에 위치한 제1영역(1361)의 터치가 입력되면 문자객체 이미지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표시부의 우측에 위치한 제2영역(1362)의 터치가 입력되면 문자객체 이미지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표시부의 상부에 위치한 제3영역(1363)의 터치가 입력되면 문자객체 이미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문자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단위의 뒷쪽의 단위에 배열된 문자객체 이미지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고, 표시부의 하부에 위치한 제4영역(1364)의 터치가 입력되면 문자객체 이미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문자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단위의 앞쪽의 단위에 배열된 문자객체 이미지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이와 다른 실시예로써, 단말에 구비된 볼륨키 버튼의 입력에 대응하여, 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문자객체 이미지가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도 13h 참조). 이 경우, 단말에 구비된 볼륨키 버튼(1371,1372)의 입력이 지속되는 시간을 반영하여, 문자객체 이미지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미리 정해진 제1시간이상 단말에 구비된 볼륨키 버튼(1371,1372)의 입력이 지속되면, 우선적으로, 볼륨키 버튼(1371,1372)의 위치에 따라 문자객체 이미지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문자객체 이미지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미리정해진 제2시간이상 단말에 구비된 볼륨키 버튼(1371,1372)의 입력이 지속되면, 볼륨키 버튼(1371,1372)의 위치에 따라 문자객체 이미지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문자객체 이미지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S1203 단계에서,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줄(Line)의 수, 문자객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배율(크기) 등을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은, 핀치 제스체가 입력되면, 상기 핀치 제스처의 상대 거리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줄(Line)의 수와, 문자객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배율(크기) 등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실시예로써, 단말의 모션을 기반으로 입력되는 틸팅(tilting) 제스처, 회전 제스처, 또는 이동 제스처 등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단말은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객체 이미지를 이동, 변경,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문자객체 이미지들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인접한 문자객체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단순한 입력만으로도, 페이지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객체 이미지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표시부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문자객체 이미지(N번째 이미지)가 첫번째 라인의 우측 끝에 위치한 문자객체 이미지(일례로, 'question:')를 포함함을 예시하면, 특정 사용자 입력(예컨대, 드래그 제스처, 플릭 제스처, 스윕 제스처 등)이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발생함에 따라, 단말은 전술한 N번째 이미지를 N+1번째 이미지로 이동 또는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N+1번째 이미지는 두번째 라인의 좌측 처음에 위치한 문자객체(일례로, 'Whether')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될 수 있다. 결국, 단말은 동일한 사용자 입력만을 수신하더라도, 페이지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객체 이미지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S1203단계를 통해 사용자는, 단말을 이동하는 등의 동작 없이, 단말을 고정한 상태에서, 문자객체 이미지의 이동을 위한 간단한 입력만으로,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독서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S1203 단계는 컨텐츠 재생의 종료를 지시하는 입력이나,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를 지시하는 입력이 발생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종료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종료 키가 입력되거나, 단말의 운영 정책을 기반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의 운영 정책은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대기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거나,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상황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지속되어 문자 입력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등의 정책일 수 있다.
나아가, S1203단계는 페이지 이미지 내에서의 문자객체 위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는 미니 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컨텐츠 내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영역(또는 문자객체)으로 이동할 수 있는 북마크 기능,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지점부터 컨텐츠의 재생을 진행하는 이어보기 기능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S404단계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단말에 디스플레하는 과정에서, 미니 맵 기능, 북마크 기능, 이어보기 기능 등을 동작시키는 환경을 제공하는 UI가 함께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UI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술한 미니 맵 기능, 북마크 기능, 이어보기 기능 등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S1201단계에서, 컨텐츠 선택 UI(1310)를 통해 재생할 컨텐츠를 확인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전술한 컨텐츠 생성 단계가 완료됨에 따라, 별도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없이, 바로 상기 생성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S1201 단계에서, 별도로 컨텐츠 선택 UI(1310)를 제공하지 않고, 상기 컨텐츠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재생할 컨텐츠로서 확인할 수도 있다.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 동작>
도 14는 도 8의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 단계(S806)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 단계(S806)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우선,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 동작은, 환경설정값을 입력받을 수 있는 환경설정 UI(1510)(도 15a 참조)를 표시부로 제공하는 단계(S1401)와, 환경설정 UI(1510)를 통해 설정값을 입력받는 단계(S140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환경설정 UI(1510)는 사용자의 시력 상태를 고려하여 미리 기본적인 환경(예컨대, 표시부에 표시될 문자객체 이미지의 줄 수, 글자의 크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표시 배율)이 셋팅된 모드들(1501, 1502)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기본적인 환경을 반영하여 문자객체 샘플을 표시하는 배율 조절 UI(1520)(예컨대, 도 15b)를 표시부에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배율 조절 UI는 상기 미리 셋팅된 환경(예컨대, 표시부에 표시될 문자객체 이미지의 줄 수, 글자의 크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표시 배율)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버튼(1521)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버튼에 대한 대안으로써, 단말은, 핀치 제스처의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핀치 제스처의 줌 인/줌 아웃 제스처 입력에 대응하여, 문자객체 이미지의 줄 수, 글자의 크기, 문자객체 배율 등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말은, 상기 환경설정 UI 및 배율 조절 UI를 통해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 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설정값을 저장하게 된다.
단말은,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 값 입력이 완료되면,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 단계를 종료하게 된다. 즉, 단말은, 미리 구성된 환경설정 값이 모두 입력되거나, 단말에 구비된 홈 버튼(1504)의 입력을 통해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부 상에 표시하지 않고 대기 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뒤로가기 버튼(1505)을 통해 독서확대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메인 메뉴 UI(도 9의 901 참조)로 전환됨에 따라, 환경설정 값의 입력을 완료할 수 있다.
<문자객체 파일 포맷>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처리 방법에 따라 생성 및 저장되는 문자객체 파일 포맷의 일 예시도 이다.
문자객체 파일 포맷은 전술한 S1004단계에서 생성 및 저장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콘텐츠 식별자(1601), 문자객체 식별자(1602), 문자객체 배열 정보(1603), 및 문자객체 이미지 데이터(1604)를 포함한다.
콘텐츠 식별자(1601)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되는 값으로써, 콘텐츠를 저장하면서 입력된 파일명을 포함할 수 있다.
문자객체 식별자(1602)는 페이지 이미지에서 잘라내진 문자객체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써, 각 문자객체 이미지에 할당된 식별자를 포함한다.
문자객체 배열 정보(1603)는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가 배열되는 순서 또는 상기 문자객체들 사이의 배열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문자객체 배열 정보(1603)는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페이지 내에서의 순서를 지시하는 1차원 좌표값(이하, 제1좌표값이라 함), 또는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라인의 순서와 각 라인에서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가 위치한 순서를 포함하는 2차원 좌표값(이하, 제2좌표값이라 함)으로 표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컨텐츠는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 질 수 있으므로, 문자객체 배열 정보(1603)는 상기 제1좌표값과 상기 페이지의 순서를 지시하는 좌표값을 포함하는 2차원 좌표값(이하, 제3좌표값이라 함), 또는 상기 제2좌표값과 상기 페이지의 순서를 지시하는 좌표값을 포함하는 차원 좌표값(이하, 제4좌표값이라 함)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문자객체 이미지 데이터(1604)는 상기문자객체 이미지의 실제 이미지 데이터 값을 포함한다.
나아가, 문자객체 파일 포맷은 환경설정 데이터(16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경설정 데이터는 전술한 S1004단계에서 입력되는 컨텐츠의 종류를 지시하는 식별자, 및 전술한 S1303단계에서 저장되는 환경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문자객체 파일 포맷 내에 환경설정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컨텐츠 재생을 진행하는 과정(즉, S1202단계)에서, 문자객체 파일 포맷에 포함된 환경설정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빠르게 컨텐츠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문자객체 이미지는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페이지 이미지과 함께 연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문자객체 파일 포맷 내에는 페이지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즉, 페이지 이미지을 식별하기 위한 페이지 식별자(1606), 페이지 이미지의 배열 순서 또는 페이지 이미지들 사이의 배열 관계를 표현하는 페이지 배열정보(1607), 및 상기 페이지 이미지의 실제 이미지 데이터(1608)를 포함한다.
또한, 컨텐츠의 재생 단계(S805)에서, 미니 맵을 통해 페이지 이미지 내에서의 문자객체 위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도록, 문자객체 파일 포맷은 각각의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가 페이지 이미지 내에서의 위치를 지시하는 문자객체 위치정보(16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컨텐츠 생성 단계(S804) 및 컨텐츠 재생 단계(S80)를 참조하면, 문자객체 이미지는 문자의 배열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로 문자객체 이미지를 잘라내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컨텐츠 생성 시 문자객체 파일 포맷에 문자객체 이미지의 종류를 함께 저장하고, 컨텐츠 재생 시 문자객체 이미지의 종류를 고려하여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을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문자객체 이미지를 문자 단위로 잘라내거나(7e 참조), 단어 단위로 잘라내거나(7f 참조), 라인 단위로 잘라내거나, 또는 일정한 길이 단위로 잘라낼 수 있다. 그리고, 문자 단위로 잘라진 문자객체 이미지는 문자와 문자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1 빈 공간(713)을 고려하여,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712)만을 문자객체 이미지로 잘라내거나(721),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712)과 상기 제1 빈 공간(713)을 함께 잘라낸 영역을 문자객체 이미지로 잘라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단어 단위로 잘라진 문자객체 이미지는 단어가 존재하는 영역(714)만을 문자객체 이미지로 잘라내거나(731), 단어가 존재하는 영역(714)과 상기 제2 빈 공간(715)을 함께 잘라낸 영역을 문자객체 이미지로 잘라낼 수 있다(732).
이를 고려하여, 문자객체 이미지의 종류를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712)만을 잘라낸 제1문자객체 타입, 문자가 존재하는 영역(712)과 상기 제1 빈 공간(713)을 함께 잘라낸 제2문자객체 타입, 단어가 존재하는 영역(714)만을 잘라낸 제3문자객체 타입, 단어가 존재하는 영역(714)과 상기 제2 빈 공간(715)을 함께 잘라낸 제4문자객체 타입, 라인 단위로 잘라낸 제5문자 객체 타입(미 도시), 또는 일정한 길이 단위로 잘라진 제6문자객체 타입(미 도시)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생성 단계(S804)에서, 문자객체 파일 포맷 내에 문자객체 이미지의 종류(즉, 제1 내지 제4문자객체)를 지시하는 문자객체 종류 식별자(1610)를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재생 단계(S805)에서, 단말은 문자객체 종류 식별자(1610)를,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의 재생 단계(S805)에서 북마크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문자객체 파일 포맷 내에 북마크와 관련된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즉, 문자객체 파일 포맷 내에 북마크를 식별하는 북마크 식별자(1611)와, 상기 북마크가 설정된 문자객체 이미지를 지시하는 북마크 데이터(161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재생 단계(S805)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지점부터 컨텐츠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어보기 기능을 구성할 수 있는데,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문자객체 파일 포맷 내에 이어보기와 관련된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즉, 문자객체 파일 포맷 내에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었던 지점을 식별하는 이어보기 식별자(1613)와,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지점에 대응하는 문자객체 이미지를 지시하는 이어보기 데이터(1614)가 포함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독서확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도서등을 이미지화하여 제공하되, 노인이나, 저시력 장애인들에게 빠르고 안정적으로 독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다 간단한 사용자 입력만으로, 도서에 존재하는 문자를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독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서 등을 이미지화하여 제공하되,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 장치를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단순한 입력만으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독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자 확대 표시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문자 확대 표시 방법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프로그램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제공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에 상기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제공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이 특정 장소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에 상기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27)

  1. 단말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페이지 이미지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페이지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응하는 영역을 잘라내어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동일한 사용자 입력이 반복적으로 수신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이미지는 제1라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및 제2라인 라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제1라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제1라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객체 이미지를 모두 디스플레이 한 후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라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미리 정해진 환경 설정값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이미지를 입력받는 과정은,
    상기 페이지 이미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포함된 영역을 잘라내어 페이지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이미지를 입력받는 과정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입력받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이미지를 입력받는 과정은,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입력받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페이지 이미지를 입력받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소스 이미지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소스 이미지를 조합하여 페이지 이미지를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소스 이미지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소스 이미지는,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문자객체 이미지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둘러싸는 여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문자객체 이미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자영역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둘러싸는 여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문자의 배열 순서를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 중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문자객체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리에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을 고려하여, 띄어쓰기 영역을 포함한 단어 단위, 띄어쓰기 영역을 포함하지 않은 단어 단위, 띄어쓰기 영역을 포함한 글자 단위, 띄어쓰기 영역을 포함하지 않은 글자 단위, 미리 정해진 길이 단위, 및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줄 단위, 중 선택된 하나의 단위로 상기 페이지 이미지를 잘라내어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단위를 고려하여,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 순서를 지시하는 문자객체 배열정보 및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파일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파일은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설정되는 환경설정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있어서, 상기 콘텐츠 파일은,
    상기 페이지 이미지의 배열 순서를 지시하는 페이지 배열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확대 표시 방법.
  19. 단말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
    입력 인터페이스부,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 및
    적어도 문자 확대 표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문자 확대 표시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페이지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페이지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응하는 영역을 잘라내어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명령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확대 표시 프로그램은,
    동일한 사용자 입력이 반복적으로 수신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이미지는 제1라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및 제2라인 라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명령어는,
    상기 제1라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제1라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객체 이미지를 모두 디스플레이 한 후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2라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 확대 프로그램은,
    미리 정해진 환경 설정값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 확대 프로그램은,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가장자리가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둘러싸는 여백을 포함하도록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 확대 프로그램은,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자영역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둘러싸는 여백을 포함하도록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독서 확대 프로그램은,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의 배열 순서를 지시하는 문자객체 배열정보 및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파일을 구성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독서 확대 프로그램은,
    상기 문자객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설정되는 환경설정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콘텐츠 파일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문자를 포함하는 페이지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페이지 이미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응하는 영역을 잘라내어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자객체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제공하는 명령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KR20120151256A 2012-12-21 2012-12-21 문자 확대 표시 방법,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KR20140081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1256A KR20140081470A (ko) 2012-12-21 2012-12-21 문자 확대 표시 방법,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US14/100,399 US20140176600A1 (en) 2012-12-21 2013-12-09 Text-enlargement display method
PCT/KR2013/011975 WO2014098528A1 (en) 2012-12-21 2013-12-20 Text-enlargement display method
AU2013273785A AU2013273785A1 (en) 2012-12-21 2013-12-20 Text-enlargement display method
EP20130198988 EP2747057A1 (en) 2012-12-21 2013-12-20 Text-enlargement display method
CN201310717734.7A CN103885704A (zh) 2012-12-21 2013-12-23 文本放大显示方法
JP2013264996A JP2014123378A (ja) 2012-12-21 2013-12-24 文字拡大表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1256A KR20140081470A (ko) 2012-12-21 2012-12-21 문자 확대 표시 방법,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470A true KR20140081470A (ko) 2014-07-01

Family

ID=5002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1256A KR20140081470A (ko) 2012-12-21 2012-12-21 문자 확대 표시 방법,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176600A1 (ko)
EP (1) EP2747057A1 (ko)
JP (1) JP2014123378A (ko)
KR (1) KR20140081470A (ko)
CN (1) CN103885704A (ko)
AU (1) AU2013273785A1 (ko)
WO (1) WO20140985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273A (ko) * 2015-11-06 201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8170B2 (en) * 2014-02-12 2019-02-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826452B2 (en) * 2014-04-14 2017-11-21 Mediatek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ccess domain selection (ADS) during an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IRAT) procedure
KR20150124600A (ko) * 2014-04-29 2015-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227403A (zh) * 2016-07-14 2016-12-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字体大小的调整方法及装置
KR102655584B1 (ko) * 2017-01-02 2024-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N108415650A (zh) * 2017-02-10 2018-08-1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进行智能阅读的方法与设备
CN107659729A (zh) * 2017-09-29 2018-02-0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文件预览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428716A (zh) * 2018-02-12 2018-08-21 谢学军 增强现实显示系统
CN109344817A (zh) * 2018-09-14 2019-02-15 江苏科技大学 一种智能语音文字识别放大镜及其识别放大方法
US11172101B1 (en) * 2018-09-20 2021-11-09 Apple Inc. Multifunction accessory case
KR20200100918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4898409B (zh) * 2022-07-14 2022-09-30 深圳市海清视讯科技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和设备
CN116048363B (zh) * 2023-04-03 2023-08-25 数孪模型科技(北京)有限责任公司 基于人工智能的软件界面的显示方法、系统、设备和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Q439299A0 (en) * 1999-12-01 1999-12-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terface system
JP2003132048A (ja) * 2001-10-19 2003-05-09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及び文字表示方法
US20040205568A1 (en) * 2002-03-01 2004-10-14 Breuel Thomas M. Method and system for document image layout deconstruction and redisplay system
US20040202352A1 (en) * 2003-04-10 2004-10-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readability with flowed bitmaps
KR100737743B1 (ko) * 2005-10-11 2007-07-10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모바일 기기에서 문서를 표시하는 방법
KR100664311B1 (ko) * 2005-11-18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인덱스 생성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자동인덱스 생성방법
US20080162603A1 (en) * 2006-12-28 2008-07-03 Google Inc. Document archiving system
US8717412B2 (en) * 2007-07-18 2014-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noramic image production
US20100125807A1 (en) * 2008-11-18 2010-05-20 Jack Edward Easterday Electronic Scrolling Text Display
US8373724B2 (en) * 2009-01-28 2013-02-12 Google Inc. Selective display of OCR'ed text and corresponding images from publications on a client device
US8473412B2 (en) * 2010-07-29 2013-06-25 Bank Of America Corporation Remote capture of multiple deposit items
CN102129477B (zh) * 2011-04-23 2013-01-09 山东大学 一种多模态联合的图像重排序方法
US8855413B2 (en) * 2011-05-13 2014-10-07 Abbyy Development Llc Image reflow at word boundaries
US9007428B2 (en) * 2011-06-01 2015-04-14 Apple Inc. Motion-based image stitch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273A (ko) * 2015-11-06 201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8528A1 (en) 2014-06-26
CN103885704A (zh) 2014-06-25
JP2014123378A (ja) 2014-07-03
AU2013273785A1 (en) 2014-07-10
EP2747057A1 (en) 2014-06-25
US20140176600A1 (en)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6858B2 (ja) 携帯端末に対する動作関連入力によって複数個のオブジェクトの表示を制御する方法及び携帯端末
KR20140081470A (ko) 문자 확대 표시 방법,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KR102022444B1 (ko)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서 유효한 영상들을 합성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EP2808781B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mirroring screen data
EP2775479B1 (en) Mobile apparatus providing preview by detecting rubbing gest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2885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582168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thumbnail image of panoramic photo
KR102028952B1 (ko) 휴대 단말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합성하는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US20140317555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shortcut icon window
KR20140143555A (ko) 휴대 장치의 잠금 화면 상에서 빠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장치
EP3584691B1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ing representative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72509B1 (ko) 그룹 리코딩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EP27530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CN110069181B (zh) 跨文件夹的文件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319345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artially obfuscating an object displayed thereon
KR102155133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CN115639937A (zh) 界面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25655A (ko)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