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153B1 -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153B1
KR102222153B1 KR1020197026966A KR20197026966A KR102222153B1 KR 102222153 B1 KR102222153 B1 KR 102222153B1 KR 1020197026966 A KR1020197026966 A KR 1020197026966A KR 20197026966 A KR20197026966 A KR 20197026966A KR 102222153 B1 KR102222153 B1 KR 102222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delete delete
circuit
wireles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9568A (ko
Inventor
시밍 완
쟈량 장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7/07978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184230A1/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9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02J7/025
    • H04B5/00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을 제공한다.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송신 회로, 제 1 통신 제어 회로, 외부 인터페이스 및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를 포함한다. 충전 대기 설비는 배터리, 무선 수신 회로, 제 1 충전 채널, 검출 회로, 제 2 통신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제 2 통신 제어 회로는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제 1 통신 제어 회로와 무선 통신하여, 제 1 통신 제어 회로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충전 기술 분야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는 주로 유선 충전 방식을 사용하여 충전하고 있다.
휴대폰을 예로 들면, 현재, 휴대폰의 충전 방식은 여전히 주로 유선 충전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폰을 충전하려는 경우, 충전 케이블(예를 들면,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케이블)로 휴대폰과 전원 공급 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충전 케이블에 의해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을 휴대폰으로 전송하여 휴대폰 내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유선 충전 방식은 충전 케이블을 필요하기 때문에, 충전 준비 단계의 작업이 번거롭게 된다. 따라서 무선 충전 방식은 점점 사람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무선 충전 방식은 효과가 나쁘므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충전 과정을 개선하기 위하여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를 제공한다.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송신 회로, 통신 제어 회로, 외부 인터페이스 및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송신 회로는 상기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자기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상기 충전 대기 설비의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상기 충전 대기 설비 내의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과정에서 상기 충전 대기 설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처리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전력에 따라 상기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한다. 상기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전력에 따라 상기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하는 과정에서,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충전 대기 설비로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충전 대기 설비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충전 대기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충전 대기 설비는 배터리, 무선 수신 회로, 제 1 충전 채널, 검출 회로, 통신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수신 회로는 무선 충전 장치에서 보내는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전자기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로 변환시키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 1 충전 채널은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무선 충전 방법은 무선 충전 장치에 사용된다. 상기 무선 충전 방법은, 상기 충전 대기 설비의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상기 충전 대기 설비의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과정에서 상기 충전 대기 설비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종래의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대기 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대기 설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기술에 따라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충전한다. 무선 충전 기술은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전력 전송을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 준비 단계의 조작이 간단해진다.
기존의 무선 충전 기술은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어댑터 등)와 무선 충전 장치(무선 충전 받침대 등)를 연결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을 무선 방식(전자기 신호 또는 전자파 등)으로 충전 대기 설비로 전송함으로써,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한다.
서로 다른 무선 충전 원리에 따라, 무선 충전 방식은 주로 다음과 같은 세가지 유형, 즉 자기 결합(또는 전자 유도), 자기 공명 및 무선 전파로 구분된다. 현재, 주류 무선 충전 표준은 QI 표준, PMA(power matters alliance) 표준,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표준을 포함한다. QI 표준 및 PMA 표준은 모두 자기 결합 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실시한다. A4WP 표준은 자기 공명 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실시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무선 충전 방식을 소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시스템은, 전원 공급 장치(110), 무선 충전 장치(120) 및 충전 대기 설비(130)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장치(120)는,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받침대일 수 있다. 충전 대기 설비(130)는 예를 들어, 단말기일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10)와 무선 충전 장치(120)가 연결되면, 전원 공급 장치(110)의 출력 전류는 무선 충전 장치(120)에 전송된다. 무선 충전 장치(120)는 그 내부의 무선 송신 회로(121)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110)의 출력 전류를 전자기 신호(또는 전자파)로 변환시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 회로(121)는 전원 공급 장치(110)의 출력 전류를 교류 전류(AC)로 변환하고, 또한 송신 코일 또는 송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교류 전류를 전자기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충전 대기 설비(130)는 무선 수신 회로(131)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121)에서 보내는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전자기 신호를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 회로(131)는 수신 코일 또는 수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121)에서 보내는 전자기 신호를 교류 전류로 변환하고, 또한 교류 전류에 대하여 정류 및/또는 필터링 등 조작을 진행하여, 교류 전류를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종래의 무선 충전 기술에 있어서, 무선 충전을 시작하기 전에 무선 충전 장치(120)와 충전 대기 설비(130)는 먼저 무선 송신 회로(121)의 송신 전력을 협상한다. 무선 충전 장치(120)와 충전 대기 설비(130)가 협상한 송신 전력이 5W라고 가정하면,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는 일반적으로 5V와 1A이다. 무선 충전 장치(120)와 충전 대기 설비(130)가 협상한 전력이 10.8W라고 가정하면,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는 일반적으로 9V와 1.2A이다.
충전 대기 설비(130) 내의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를 획득하기 위해,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은 배터리(133)의 양단에 직접 인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먼저 충전 대기 설비(130) 내의 변환 회로(132)에 의해 변환될 필요가 있다.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의 요구를 만족하도록, 변환 회로(132)는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을 변환시키는 데 사용된다.
하나의 예시로서, 변환 회로(132)는 충전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와 같은 충전 관리 모듈일 수 있다. 배터리(133)의 충전 과정에서, 변환 회로(132)는 배터리(133)의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를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변환 회로(132)는 배터리(133)의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에 대한 관리를 실현하기 위하여 전압 피드백 기능 및/또는 전류 피드백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충전 과정은 트리클 충전 단계, 정전류 충전 단계 및 정전압 충전 단계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클 충전 단계에서, 변환 회로(132)는 전류 피드백 기능을 이용하여 트리클 충전 단계에서 배터리(133)에 들어가는 전류가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류 크기(예컨대, 제 1 충전 전류)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정전류 충전 단계에서, 변환 회로(132)는 전류 피드백 기능을 이용하여 정전류 충전 단계에서 배터리(133)에 들어가는 전류가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류 크기(예컨대, 제 2 충전 전류, 해당 제 2 충전 전류는 제 1 충전 전류보다 클 수 있음)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정전압 충전 단계에서, 변환 회로(132)는 전압 피드백 기능을 이용하여 정전압 충전 단계에서 배터리(133)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 크기가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크기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하나의 예시로서,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보다 클 경우, 변환 회로(132)는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강압 처리를 실시하여, 강압 변환 후의 충전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또 하나의 예시로서,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보다 작을 경우, 변환 회로(132)는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승압 처리를 실시하여, 승압 변환 후의 충전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또 하나의 예시로서, 무선 수신 회로(131)에서 5V의 정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면, 배터리(133)가 단일 셀(리튬 배터리 셀일 경우, 단일 셀의 충전 차단 전압은 4. 2V임)을 포함하는 경우, 변환 회로(132)(예컨대, Buck 강압 회로)는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강압 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강압 처리 후의 충전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또 하나의 예시로서, 무선 수신 회로(131)에서 5V의 정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면, 배터리(133)가 직렬로 연결된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셀(리튬 배터리 셀일 경우, 단일 셀의 충전 차단 전압은 4.2V임)을 포함하는 경우, 변환 회로(132)(예컨대, Boost 승압 회로)는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승압 처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승압 후의 충전 전압이 배터리(133)의 예상되는 충전 전압의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변환 회로(132)는 회로 전환 효율 저하로 인해 변환되지 않은 부분의 전기 에너지를 열량으로 손실하게 된다. 이 부분의 열량은 충전 대기 설비(130) 내부에 축적된다. 충전 대기 설비(130)의 설계 공간과 산열 공간은 모두 협소(예컨대,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의 물리적 크기는 점점 가볍고 얇아지고 있고, 또한 이동 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수의 전자 부품이 이동 단말기 내부에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음)하기 때문에 변환 회로(132)의 설계상의 어려움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충전 대기 설비(130) 내부에 축적된 열량도 신속하게 소산하기 어렵게 되고, 따라서 충전 대기 설비(130)의 이상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변환 회로(132)에 축적된 열량은 변환 회로(132) 부근의 전자 부품에 열적 간섭을 일으켜 전자 부품의 비정상적인 작동을 야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변환 회로(132)에 축적된 열량은 변환 회로(132) 및 그 부근의 전자 부품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변환 회로(132)에 축적된 열량으로 인해 배터리(133)에 열 간섭이 일어나 배터리(133)의 비정상적인 충전과 방전을 야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변환 회로(132)에 축적된 열량으로 인해 충전 대기 설비(130)의 온도가 상승되어 충전 과정에서 사용자의 사용 경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변환 회로(132)에 축적된 열량으로 인해 변환 회로(132) 자체의 단락을 초래하여 무선 수신 회로(131)의 출력 전압이 배터리(133) 양단에 직접 인가되어 비정상적인 충전을 일으킬 수 있으며, 배터리(133)가 장기간 과전압 충전 상태에 있는 경우, 심지어 배터리(133)의 폭발을 일으킬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위태롭게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충전 장치와 충전 대기 설비는 무선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충전 대기 설비 내의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충전 대기 설비의 피드백 정보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충전 장치와 충전 대기 설비는 무선 통신을 진행할 수 있으며, 충전 대기 설비 내의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의 현재 충전 요구(배터리의 현재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에 대한 요구를 포함함)를 만족시키도록, 충전 대기 설비의 피드백 정보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대기 설비에 있어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직접 배터리의 양단에 인가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이하, 이러한 충전 방식을 '직접 충전'이라고 함), 상술한 변환 회로가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변환함으로써 초래하는 에너지 손실, 발열 등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2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200)은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220)는 무선 송신 회로(221)와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의 제어 기능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 제어 유닛(micro control unit, MCU)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무선 송신 회로(221)는 충전 대기 설비(230)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자기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송신 회로(221)는 무선 송신 구동 회로와 송신 코일 또는 송신 안테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신 구동 회로는 고주파의 교류 전류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송신 코일 또는 송신 안테나는 고주파의 교류 전류를 전자기 신호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충전 과정에서 충전 대기 설비(230)와 무선 통신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충전 대기 설비(230) 내의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 사이의 통신 방식 및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통신 정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결합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충전 대기 설비(230)는 무선 수신 회로(231), 배터리(232), 제 1 충전 채널(233), 검출 회로(234) 및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의 제어 기능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 제어 유닛(micro control unit, MCU)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또는 MCU와 충전 대기 설비 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에 의해 공동으로 실현될 수 있다.
무선 수신 회로(231)는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전자기 신호를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로 변환시키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무선 수신 회로(231)는 수신 코일 또는 수신 안테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수신 코일 및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정류 회로 및/또는 필터링 회로 등과 같은 정형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안테나 또는 수신 코일은 전자기 신호를 교류 전류로 변환시키는 데 사용된다. 정형 회로는 교류 전류를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로 변환시키는 데 사용된다. 설명하여야만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형 회로의 구체적인 형식 및 정형 회로에 의해 정형한 다음에 얻어진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형식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정형 회로는 정류 회로 및 필터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은 필터링된 다음에 얻어진 안정적인 전압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정형 회로는 정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은 정류된 다음에 얻어진 맥동 파형의 전압일 수 있다. 맥동 파형의 전압은 충전 대기 설비(230)의 배터리(232)의 양단에 직접 인가되어 배터리(232)를 충전할 수 있다.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는 간헐적으로 배터리(232)를 충전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의 주기는 무선 충전 시스템(200)에 입력되는 교류 전류, 예를 들면, 교류 전력망의 주파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의 주기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전력망 주파수의 정수배 또는 역 수배이다. 또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는 간헐적으로 배터리(232)를 충전하는 경우,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에 대응하는 전류 파형은 전력망에 동기화된 하나의 펄스 또는 하나의 펄스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존의 일정한 직류 전류(DC)와 비교하면,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맥동 전압 또는 맥동 전류는 리튬 배터리의 리튬 석출을 감소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분극 효과를 줄이고, 충전 속도를 높이며, 배터리의 발열을 감소함으로써, 충전 대기 설비가 충전될 때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에 유리하다.
제 1 충전 채널(233)은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또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에 따라 배터리(232)를 충전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충전 채널(233)은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에 따라 배터리(232)를 직접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충전 채널(233)은 도선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충전 대기 설비(230)가 복수개의 충전 채널을 포함하는 경우, 제 1 충전 채널(233)에 스위치 등 부품을 설치할 수 있으며(도 6에 도시된 스위치(238)를 참조), 서로 다른 충전 채널 간의 전환을 실현하는 데 사용된다.
검출 회로(234)는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회로(234)는 전압 검출 회로 및 전류 검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검출 회로는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을 샘플링하여 샘플링된 전압 값을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에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압 검출 회로는 직렬 분압 방식으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을 샘플링할 수 있다.
전류 검출 회로는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를 샘플링하여 샘플링된 전류 값을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에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류 검출 회로는 전류 감지 저항 및 전류 검출기에 의해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를 샘플링할 수 있다.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232)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검출 회로(23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무선 통신하여,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232)의 충전 요구(배터리(232)의 현재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에 대한 요구를 포함한다)를 만족하도록, 검출 회로(23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무선 통신하여,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트리클 충전 단계, 정전압 충전 단계, 정전류 충전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 있는 배터리(232)의 충전 요구를 만족하도록, 검출 회로(23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무선 통신하여,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배터리(232)의 충전 과정에 대하여 정전압 및/또는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도록, 검출 회로(23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무선 통신하여,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배터리의 충전 과정은 트리클 충전 단계, 정전류 충전 단계 및 정전압 충전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검출 회로(23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무선 통신하여,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가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은, 배터리(232)의 트리클 충전 단계에 있어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가 트리클 충전 단계에 대응하는 충전 전류와 일치하도록(또는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가 트리클 충전 단계에 있어서의 배터리(232)의 충전 전류에 대한 요구를 만족하도록),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검출 회로(23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무선 통신하여,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트리클 충전 단계에 대응하는 충전 전류가 1A인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배터리(232)가 트리클 충전 단계에 있을 때, 검출 회로(234)에 의해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가 1A보다 큰 경우,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가 다시 1A로 돌아가도록,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통신할 수 있다.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검출 회로(23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무선 통신하여,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가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은, 배터리(232)의 정전압 충전 단계에 있어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이 정전압 충전 단계에 대응하는 충전 전압과 일치하도록(또는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이 정전압 충전 단계에 있어서의 배터리(232)의 충전 전압에 대한 요구를 만족하도록),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검출 회로(23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무선 통신하여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정전압 충전 단계에 대응하는 충전 전압이 5V인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배터리(232)가 정전압 충전 단계에 있을 때, 검출 회로(234)에 의해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이 5V보다 낮을 경우,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이 다시 5V로 돌아가도록,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이 변동하는 이유는 다양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 회로(221)와 무선 수신 회로(231) 사이의 전자기 신호의 전송이 저해되어, 에너지 변환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이 5V보다 낮게 된다.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검출 회로(23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무선 통신하여,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가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은, 배터리(232)의 정전류 충전 단계에 있어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가 정전류 충전 단계에 대응하는 충전 전류와 일치하도록(또는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가 정전류 충전 단계에 있어서의 배터리(232)의 충전 전류에 대한 요구를 만족하도록),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검출 회로(23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무선 통신하여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정전류 충전 단계에 대응하는 충전 전류가 2A인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배터리(232)가 정전류 충전 단계에 있을 때, 검출 회로(234)에 의해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가 2A보다 낮을 경우,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가 다시 2A로 돌아도록,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가 변동하는 이유는 다양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무선 송신 회로(221)와 무선 수신 회로(231) 사이의 전자기 신호의 전송이 저해되어, 에너지 변환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가 2A보다 낮게 된다.
설명해야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정전류 충전 단계 또는 정전류 단계는 충전 전류가 완전히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요구하지 않고, 예를 들면, 충전 전류의 피크 값 또는 평균값이 한동안 일정하게 유지됨을 가리킨다. 사실, 정전류 충전 단계에서 일반적으로 다단식 정전류 충전 방식으로 충전한다.
다단식 정전류 충전(multi-stage constant current charging)은 N(N은 2 이상의 정수)개의 정전류 단계를 가질 수 있다. 다단식 정전류 충전은 소정의 충전 전류로 제 1 단계의 충전을 시작한다. 다단식 정전류 충전의 N개의 정전류 단계는 제 1 단계로부터 제(N-1) 단계까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정전류 단계 중 이전 정전류 단계에서 다음 정전류 단계로 이동한 후, 맥동 파형의 전류 피크 값 또는 평균 값은 작아질 수 있다. 배터리 전압이 충전 종단 전압 문턱값(threshold value)에 도달하면 정전류 단계 중의 이전 정전류 단계는 다음 정전류 단계로 이동된다. 인접한 2개의 정전류 단계 사이의 전류 전환 과정은 점차적인 변화일 수 있고, 또는 단계식 점프 변화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충전 대기 설비는 단말기일 수 있다. 이 "단말기"는 유선 선로를 통해 접속되는 장치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발신할 수 있도록 설정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선로는, 예를 들어, 공중교환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연결 케이블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 라인 또는 네트워크 연결 라인일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디지털 비디오 방송 핸드 헬드(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DVB-H)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TV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진폭 변조 주파수 변조(amplitude modulation-frequency modulation, AM-FM) 방송 송신기 및/또는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일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말기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단말기" 및/또는 "이동 단말기"로 지칭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예시로는 위성 또는 셀룰러 전화; 셀룰러 무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단말기; 무선 전화(radio telephone), 무선 호출기(pager),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Internet/Intranet access),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노트북(notebook), 캘린더(calendar) 및/또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개인 디지털 보조(Persona Digital Assistant, PDA); 및 일반 노트북 및/또는 휴대용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기능을 갖춘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충전 대기 설비 또는 단말기는 파워 뱅크(power bank)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파워 뱅크는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충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다른 전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 사이의 통신 방식 및 통신 순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또는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와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 사이의 무선 통신은 단방향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배터리(232)의 무선 충전 과정에서 충전 대기 설비(230)가 통신의 발기자이고, 무선 충전 장치(220)가 통신의 수신자라고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정전류 충전 단계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230)는 검출 회로(234)에 의해 배터리(232)의 충전 전류(즉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배터리(232)의 충전 전류가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충전 대기 설비(230)는 무선 충전 장치(220)에 조정 정보를 송신하여, 무선 충전 장치(220)에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또는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와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 사이의 무선 통신은 양방향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양방향 무선 통신은 일반적으로 수신자가 발기자에 의해 발기된 통신 청구를 수신한 후에 발기자에게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요구한다. 양방향 통신 메커니즘은 통신 과정을 보다 안전하게 할 수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무선 충전 장치(220)(무선 충전 장치(220)의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충전 대기 설비(230)(충전 대기 설비(230)의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 사이의 주종 관계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 중의 임의의 한쪽은 마스터 장치로서 양방향 통신 대화를 발기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다른 한쪽은 슬레이브 장치로서 마스터 장치에 의해 발기된 통신에 대하여 제 1 응답 또는 제 1 회답을 할 수 있다.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서, 통신 과정에서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 사이의 링크 상태를 비교하여,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장치(220)가 충전 대기 설비(230)에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링크는 업 링크이고, 충전 대기 설비(230)가 무선 충전 장치(220)에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링크는 다운 링크라고 가정할 경우, 만약 업 링크의 링크 상태가 좋으면, 무선 충전 장치(220)를 통신의 마스터 장치로 설치할 수 있고, 만약 다운 링크의 링크 상태가 좋으면, 충전 대기 설비(230)를 통신의 마스터 장치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 즉,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 중의 임의의 한쪽은 마스터 장치로서 통신 대화를 발기하고, 이에 대응하여 다른 한쪽은 슬레이브 장치로서 마스터 장치에 의해 발기된 통신 대화에 대하여 제 1 응답 또는 제 1 회답을 하고, 이와 동시에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의 제 1 응답 또는 제 1 회답에 대하여 제 2 응답을 할 수 있으며, 즉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 사이에서 통신 협상 과정을 한번 완성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통신 대화에 대한 슬레이브 장치의 제 1 응답 또는 제 1 회답에 따라 제 2 응답을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통신 대화에 대한 슬레이브 장치의 제 1 응답 또는 제 1 회답을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수신한 슬레이브 장치의 제 1 응답 또는 제 1 회답에 따라 제 2 응답을 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통신 대화에 대한 슬레이브 장치의 제 1 응답 또는 제 1 회답에 따라 제 2 응답을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통신 대화에 대한 슬레이브 장치의 제 1 응답 또는 제 1 회답을 받지 못했더라도 여전히 슬레이브 장치의 제 1 응답 또는 제 1 회답에 대하여 제 2 응답을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230)가 마스터 장치로서 통신 대화를 발기하고, 무선 충전 장치(220)가 슬레이브 장치로서 마스터 장치에 의해 발기된 통신 대화에 대하여 제 1 응답 또는 제 1 회답을 할 경우, 충전 대기 설비(230)는 무선 충전 장치(220)의 제 1 응답 또는 제 1 회답에 대하여 제 2 응답을 할 필요가 없고, 즉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 사이에서 통신 협상 과정을 한번 완성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장치(220)의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충전 대기 설비(230)의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 사이의 무선 통신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또는 후방 산란(backscatter) 변조(또는 전력 부하 변조) 방식에 따라 서로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과정에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의해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검출 회로(23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와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 사이의 통신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로서,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검출 회로(23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송신할 수 있다. 배터리의 상태 정보는 충전 대기 설비(230) 내의 배터리(232)의 현재 전력 및/또는 현재의 전압을 포함한다.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먼저 배터리(232)의 상태 정보에 따라 배터리(232)의 현재 충전 단계를 확인한 다음에, 배터리(232)의 현재 충전 단계와 배합되는 목표 충전 전압 및/또는 목표 충전 전류를 확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에서 전송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상술한 목표 충전 전압 및/또는 목표 충전 전류와 비교하여,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232)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232)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232)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할 때까지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다른 예시로서,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조정 정보를 송신하여,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높이도록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낮추도록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지시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220)는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여러 등급으로 설치할 수있다.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232)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할 때까지,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조정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한등급 조정한다.
상술한 통신 내용 외에,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다른 많은 통신 정보를 교류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안전 보호, 이상 검출 또는 고장 처리에 사용되는 정보를 교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232)의 온도 정보, 과전압 보호 또는 과전류 보호를 지시하는 정보, 전력 전송 효율 정보(무선 송신 회로(221)와 무선 수신 회로(231) 사이의 전력 전송 효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232)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 및/또는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충전 회로가 보호 상태에 들어가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즉 충전 회로를 제어하여 무선 충전을 중지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에서 송신된 과전압 보호 또는 과전류 보호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한 다음에,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감소하거나 또는 무선 송신 회로(221)가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에서 송신된 전력 전송 효율 정보를 수신한 다음에, 만약 전력 전송 효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낮으면, 무선 송신 회로(221)가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이 사건을 통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전력 전송 효율이 너무 낮다는 것을 표시하거나 또는 지시 램프에 의해 전력 전송 효율이 너무 낮다는 것을 지시하여 사용자가 무선 충전 환경을 조정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정보를 교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32)의 온도 정보,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의 피크 값 또는 평균값을 나타내는 정보, 전력 전송 효율 정보(무선 송신 회로(221)와 무선 수신 회로(231) 사이의 전력 전송 효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 등이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전력 전송 효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또한 전력 전송 효율 정보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의 조정 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전력 전송 효율 정보가 무선 송신 회로(221)와 무선 수신 회로(231) 사이의 전력 전송 효율이 낮다고 지시하면,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의 조정 폭을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이 신속하게 목표 전력에 도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맥동 파형 전압 및/또는 맥동 파형 전류인 경우,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의 피크 값 또는 평균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의 피크 값 또는 평균값이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의 피크 값 또는 평균값이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에 배터리(232)의 온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배터리(232)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낮춰,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배터리(232)의 온도를 저감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20)는 충전 인터페이스(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신 회로(221)는 또한 충전 인터페이스(223)에 의해 전원 공급 장치(210)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또한 전원 공급 장치(210)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에 따라 전자기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 공급 장치(210)의 유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210)는 어댑터, 파워 뱅크(power bank),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 인터페이스(223)의 유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인터페이스(223)는 USB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USB 2.0 인터페이스, 마이크로 USB 인터페이스, 또는 USB TYPE-C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인터페이스(223)는 lightning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유형의 충전용 병렬 포트 및/또는 직렬 포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전원 공급 장치(210) 사이의 통신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로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충전 인터페이스 이외의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210)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210)와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방식으로 전원 공급 장치(21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전원 공급 장치(210)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진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충전 인터페이스(223)에 의해 전원 공급 장치(21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추가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무선 통신 모듈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무선 충전 장치(220)를 간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인터페이스(223)는 USB 인터페이스이며,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USB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라인(D+ 라인 및/또는 D- 라인 등)에 의해 전원 공급 장치(210)와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충전 인터페이스(223)는 전력 공급(power delivery, PD) 통신 협의를 지지하는 USB 인터페이스(USB TYPE-C 인터페이스 등)일 수 있다.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PD 통신 협의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210)와 통신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210)는 일정한 출력 전력을 갖는 일반 전원 공급 장치일 수 있고,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출력 전력을 조정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출력 전력을 조정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 내부에 전압 피드백 루프 및 전류 피드백 루프를 설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실제 수요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할 수 있다(아래, 전원 공급 장치(210)에 대하여, 출력 전력을 조정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원 공급 장치(210)는 또한 통신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210)의 출력 전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또한 전원 공급 장치(210)와 통신하는 데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20)는 충전 과정에서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끊입없이 조정하여,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232)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의 조정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210)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하여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전원 공급 장치(210)와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송신 회로(221)가 전원 공급 장치(210)의 최대 출력 전력에서 획득하는 전력양을 조정함으로써,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결합하여,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의 조정 방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하나의 실시예로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전원 공급 장치(210)와 통신하여 전원 공급 장치(210)의 최대 출력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무선 송신 회로(221)가 전원 공급 장치(210)의 최대 출력 전력에 따라 충전 대기 설비(230)에 대하여 무선 충전하는 과정에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송신 회로(221)가 전원 공급 장치(210)의 최대 출력 전력에서 획득하는 전력양을 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출력 전력을 조정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210)와 통신하여, 전원 공급 장치(210)의 최대 출력 전력을 결정한다. 최대 출력 전력을 결정한 다음에, 전원 공급 장치(210)는 최대 출력 전력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220)에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충전 과정에 있어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실제 수요에 따라 최대 출력 전력에서 일정량의 전력을 획득하여 무선 충전에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제어 권리를 가진다.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충전 대기 설비(230)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다음에 즉시로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으며, 조정 속도가 빠르고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가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의 내부, 무선 송신 회로(221)의 내부, 또는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무선 송신 회로(221) 사이에 전력 조정 회로를 설치할 수 있다. 송신 코일 또는 송신 안테나가 수신하는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 전력 조정 회로는 송신 코일 또는 송신 안테나에 연결될 수 있다. 전력 조정 회로는, 예를 들어,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컨트롤러 및 스위치 유닛을 포함할 수있다.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PWM 컨트롤러에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조정함으로써, 및/또는 스위치 유닛의 스위치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대안으로 전원 공급 장치(210)는 출력 전력이 고정되고 또한 높은 출력 전력(예를 들면, 40W)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일 수도 있다. 그러면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전원 공급 장치(210)와 그의 최대 출력 전력을 협상할 필요가 없고, 직접 무선 송신 회로(221)가 전원 공급 장치(210)가 제공하는 고정 출력 전력에서 획득하는 전력양을 조정하면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210)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하여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전원 공급 장치(21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송신 회로(221)를 제어하여 그 작동을 시작하거나, 또는 무선 충전 과정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무선 송신 회로(221)를 제어하여 그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송신 회로(221)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송신 회로(221)에 연결되지 않아도 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210)는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제어 권리를 가진다. 전원 공급 장치(210)는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이러한 조정 방법의 장점은, 전원 공급 장치(210)는 무선 충전 장치(220)가 필요하는 양의 전력을 공급하며, 전력 낭비가 없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220)는 전원 공급 장치(210)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주동적으로 확정할 수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220)는 전원 공급 장치(210)와 충전 대기 설비(230) 사이의 통신 브리지로서, 주로 양자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과정에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충전 대기 설비(230)와 통신하여 전원 공급 장치(210)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고, 전원 공급 장치(210)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전원 공급 장치(210)와 통신하여, 전원 공급 장치(210)에 그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하도록 지시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과정에서 무선 충전 장치(220) 내부의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충전 대기 설비(230)와 통신하여 조정 정보를 취득하고, 조정 정보는 전원 공급 장치(210)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전원 공급 장치(210)와 통신하여 조정 정보를 전원 공급 장치(210)로 전송함으로써, 전원 공급 장치(210)가 조정 정보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210)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하도록 한다.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 사이의 통신 방식과 마찬가지로, 무선 충전 장치(220)(또는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전원 공급 장치(210) 사이의 통신은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류는 일정한 직류 전류(DC), 맥동 직류 전류 또는 교류 전류(AC)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무선 충전 장치(220)는 전원 공급 장치(210)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 장치(210)로부터 전력을 얻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충전 장치(220)는 어댑터와 유사한 기능을 그 내부에 통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 전류(도시에 공급되는 가정용 전기)를 직접 상술한 전자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어댑터의 기능을 무선 충전 장치(220)의 무선 송신 회로(221)에 통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 회로, 일차 필터링 회로 및/또는 변압기 등을 무선 송신 회로(221)에 통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무선 송신 회로(221)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 전류(예를 들면, 220V의 교류 전류, 또는 도시에 공급되는 가정용 전기라고도 함)를 수신하고, 이 교류 전류에 따라 전자기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220) 내부에 어댑터와 유사한 기능을 통합하여, 무선 충전 장치(220)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얻을 필요가 없으며, 무선 충전 장치(220)의 집적화 정도를 높이고, 무선 충전에 필요한 구성 부품의 수양를 감소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220)는 제 1 무선 충전 모드와 제 2 무선 충전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220)가 제 1 무선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기 설비(230)를 충전하는 충전 속도는 무선 충전 장치(220)가 제 2 무선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기 설비(230)를 충전하는 충전 속도보다 빠르다. 다시 말하면, 제 2 무선 충전 모드에서 동작하는 무선 충전 장치(220)와 비교하면, 제 1 무선 충전 모드에서 동작하는 무선 충전 장치(220)로 충전 대기 설비(230)의 동일한 용량의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하는 데에 필요하는 시간은 더 짧다.
제 2 무선 충전 모드는 일반 무선 충전 모드라고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QI 표준, PMA 표준 또는 A4WP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종래의 무선 충전 모드일 수 있다. 제 1 무선 충전 모드는 급속 무선 충전 모드일 수 있다. 일반 무선 충전 모드는 무선 충전 장치(220)의 송신 전력이 작은(보통 15W보다 작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송신 전력은 5W 또는 10W이다) 무선 충전 모드를 가르킬 수 있다. 일반 무선 충전 모드에서 대용량의 배터리(예를 들어, 3000mA의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하는 데에 보통 몇시간이 걸린다. 급속 무선 충전 모드에서 무선 충전 장치(220)의 송신 전력은 상대적으로 크다(보통 15W 이상이다). 일반 무선 충전 모드와 비교하면, 급속 무선 충전 모드에서 무선 충전 장치(220)가 동일한 용량의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충전 속도는 더 빠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양방향 통신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를 채용하는 무선 충전 장치(220)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양방향 통신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를 채용하는 무선 충전 장치(220)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은,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양방향 통신하여,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 사이의 무선 충전 모드를 협상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와 핸드셰이크 통신(handshake communication)을 할 수 있으며, 핸드셰이크 통신이 성공하면, 무선 충전 장치(220)를 제어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로 충전 대기 설비(230)를 충전하고, 핸드셰이크 통신이 실패하면, 무선 충전 장치(220)를 제어하여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충전 대기 설비(230)를 충전한다.
핸드셰이크 통신은 통신 양방이 서로의 신분을 식별하는 것을 가르킬 수 있다. 핸드셰이크 통신의 성공은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가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가르킨다. 핸드셰이크 통신의 실패는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 중의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를 조정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가르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220)는 맹목적으로 제 1 무선 충전 모드로 충전 대기 설비(230)에 대하여 급속 무선 충전하지 않고, 충전 대기 설비(230)와 양방향 통신하여, 무선 충전 장치(220)가 제 1 무선 충전 모드로 충전 대기 설비(230)에 대하여 급속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협상하며, 이렇게 하면 충전 과정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양방향 통신하여,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 사이의 무선 충전 모드를 협상하는 것은,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에 제 1 명령어(제 1 명령어는 충전 대기 설비(230)가 제 1 무선 충전 모드를 선택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데 사용됨)를 송신하고,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에서 송신된 제 1 명령어 응답 명령어(응답 명령어는 충전 대기 설비(230)가 제 1 무선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데 동의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를 수신하며, 충전 대기 설비(230)가 제 1 무선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데에 동의하는 경우,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충전 장치(220)를 제어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로 충전 대기 설비(230)를 충전 하는 것을 포함한다.
통신 협상 방식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드를 확정할 뿐만아니라,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다른 요인에 따라 무선 충전 모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배터리(232)의 온도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220)를 제어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 또는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배터리(232)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값(예를 들면, 5℃ 또는 10℃)보다 낮은 경우,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충전 장치(220)를 제어하여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일반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다. 온도가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충전 장치(220)를 제어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로 급속 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가 고온 임계값(예를 들면, 50℃)보다 높은 경우,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무선 충전 장치(220)를 제어하여 충전을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방식은 배터리(232)의 충전 단계 중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충전 단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방식은 주로 배터리(232)의 정전류 충전 단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230)는 변환 회로를 보류할 수 있으며, 배터리가 트리클 충전 단계 및 정전압 충전 단계에 있을 경우,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232)가 트리클 충전 단계 및 정전압 충전 단계에 있을 경우, 트리클 충전 단계 및 정전압 충전 단계의 충전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충전 대기 설비(230) 내의 변환 회로는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변환할 수 있다. 정전류 충전 단계와 비교하면, 배터리(232)가 트리클 충전 단계 및 정전압 충전 단계에서 수신된 충전 전력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충전 대기 설비(230) 내부의 변환 회로의 변환 효율 손실 및 열 축적은 허용 가능하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대기 설비(230)는 또한 제 2 충전 채널(2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충전 채널(236)에 변환 회로(237)를 설치할 수 있다. 변환 회로(237)는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를 변환시키며, 또한 변환된 출력 전류에 따라 배터리(232)를 충전하는 데 사용된다.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제 1 충전 채널(233)과 제 2 충전 채널(236) 사이의 전환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충전 채널(233)에 스위치(238)를 설치할 수 있다.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스위치(238)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제 1 충전 채널(233)과 제 2 충전 채널(236) 사이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배터리(232)가 트리클 충전 단계 및/또는 정전압 충전 단계에 있을 경우,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제 2 충전 채널(236)을 통해 배터리(232)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의 정전압 정전류 과정은 변환 회로(237)(예를 들어, 충전 IC)로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232)가 정전류 충전 단계에 있을 경우,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제 1 충전 채널(233)을 통해 배터리(232)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의 정전류 제어는 무선 충전 장치가 송신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변환 회로(237)를 보류하면 종래의 무선 충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충전 채널(233) 또는 제 2 충전 채널(236)을 선택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배터리(232)의 현재 충전 단계에 따라 선택하는 데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하기 바란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또한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와 핸드셰이크 통신을 하는 데 사용되며, 핸드셰이크 통신이 성공하면, 제 1 충전 채널(233)이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핸드셰이크 통신이 실패하면, 제 2 충전 채널(236)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핸드셰이크 통신은 통신 양방이 서로의 신분을 식별하는 것을 가르킬 수 있다. 핸드셰이크 통신의 성공은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가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가르킨다. 핸드셰이크 통신의 실패는 무선 충전 장치(220)와 충전 대기 설비(230) 중의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를 조정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가르킨다. 핸드셰이크 통신이 실패하면, 제 2 충전 채널(236)을 통해 종래의 무선 충전 방식(QI 표준을 기반으로 한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배터리(232)의 온도에 따라 제 1 충전 채널(233)과 제 2 충전 채널(236) 사이의 전환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값(예를 들면, 5℃ 또는 10℃)보다 낮은 경우,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제 2 충전 채널(236)을 통해 일반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온도가 제 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제 1 충전 채널(233)을 통해 급속 무선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가 고온 임계값(예를 들면, 50℃)보다 높은 경우,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무선 충전을 정지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는 맥동 직류 전류(DC)일 수 있으며, 따라서 배터리(232)의 리튬 석출을 줄이고, 배터리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류가 맥동 직류 전류인 경우,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검출 회로(234)에 의해 맥동 직류 전류의 피크 값 또는 평균값을 검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맥동 직류 전류의 피크 값 또는 평균값에 따라 다음의 통신 또는 제어를 실행한다.
검출 회로(234)에 의해 맥동 직류 전류의 피크 값을 검출하는 것을 예로 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회로(234)는 샘플 홀드 회로(2341)를 포함할 수 있다. 샘플 홀드 회로(2341)가 샘플 상태에 있을 때, 샘플 홀드 회로(2341)는 맥동 직류 전류에 대하여 샘플링 하는 데 사용되며, 샘플 홀드 회로(2341)가 홀드 상태에 있을 때, 샘플 홀드 회로(2341)는 맥동 직류 전류의 전류 피크 값을 홀드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샘플 홀드 회로(2341)가 홀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며, 샘플 홀드 회로(2341)가 홀드 상태에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 샘플 홀드 회로(2341)가 홀드한 맥동 직류 전류의 전류 피크 값을 채집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샘플 홀드 회로(2341)는 캐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샘플 홀드 회로(2341)는 샘플 홀드 회로(2341)의 캐패시터에 따라 맥동 직류 전류의 전류 피크 값을 홀드할 수 있다. 검출 회로(234)는 방전 회로(23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 제어 회로(235)는 방전 회로(2342)에 의해 샘플 홀드 회로(2341)의 캐패시터 양단의 전하를 방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샘플 홀드 회로(2341)가 홀드 상태에서 샘플 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220)는 외부 인터페이스(224) 및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224)는 데이터 처리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240)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224)와 상술한 충전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무선 충전 장치(220)는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224)가 데이터 처리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240)에 연결되는 과정에서 전자 장치(240)의 출력 전력에 따라 충전 대기 설비(230)에 대하여 무선 충전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220)의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전자 장치(240)의 출력 전력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221)를 통해 충전 대기 설비(230)에 대하여 무선 충전할 수 있다. 제 1 통신 제어 회로(222)는, 예를 들면, MCU를 포함할 수 있다. MCU는 무선 충전 장치(220)의 무선 충전 과정, 무선 데이터 전송 과정 및 통신 과정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225)는 무선 충전 장치(220)가 전자 장치(240)의 출력 전력에 따라 충전 대기 설비(230)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무선 링크를 통해 전자 장치(240)에 저장된 데이터(예를 들어, 데이터 내용 또는 데이터 파일일 수 있음)를 충전 대기 설비(230)로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충전 대기 설비(230)에 저장된 데이터(예를 들어, 데이터 내용 또는 데이터 파일일 수 있음)를 전자 장치(240)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220)는 전자 장치의 출력 전력에 따라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할뿐만 아니라, 무선 충전 과정에서 전자 장치와 충전 대기 설비 사이의 무선 데이터 전송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라인을 추가로 준비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간단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225)와 충전 대기 설비(23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로서,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225)와 충전 대기 설비(230) 사이의 무선 데이터 전송은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225)는 블루투스 송신기일 수 있고, 충전 대기 설비(230)는 블루투스 수신기(도 8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225)와 충전 대기 설비(230) 사이의 무선 데이터 전송은 Wi-Fi(wireless fidelity) 기술에 따라 달성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225)는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무선 주파수 회로, 송신 안테나 등 회로나 부품에 의해 구성된 무선 신호 송신 회로일 수 있고, 충전 대기 설비(230)는 수신 안테나, 무선 주파수 회로,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등 회로나 부품에 의해 구성된 무선 신호 수신 회로(도 8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장치(220)가 전자 장치(240)의 출력 전력에 따라 충전 대기 설비(230)에 대하여 무선 충전하는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로서, 무선 충전 장치(220)는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232)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 대기 설비(230)에 대하여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무선 충전 장치(220)가 전자 장치(240)에 연결되는 과정에서, 무선 충전 장치(220)는 종래의 송신 전력 조정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전에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을 협상하고, 또한 무선 충전과정에서 무선 송신 회로(221)의 송신 전력이 변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무선 충전 장치(220)가 전용 전원 공급 장치(어댑터)에 연결되는 과정에서, 무선 수신 회로(231)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232)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는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 대기 설비(230)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40)는 호스트 장치이고, 무선 충전 장치(220)는 무선 충전 받침대이다. 호스트 장치가 무선 충전 받침대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충전 받침대에 연결되면, 무선 충전 장치(220)는 호스트 장치가 제공할 수있는 전력 및 호스트 장치가 지원하는 데이터 교류 유형(예를 들어, USB 2.0 규격의 데이터, USB 3.0 규격의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등)을 식별한다. 그리고 무선 충전 장치(220)는 호스트 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출력 전력에 따라, 종래의 무선 충전 표준(예를 들어, QI 표준 또는 A4WP 표준 등이다)을 기반으로 충전 대기 설비(230)에 복수개의 전력 등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저전력 등급(5W) 및 중간 전력 등급(10W 및/또는 15W)이다. 물론, 호스트 장치가 더 높은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무선 충전 표준(예를 들어, QI 표준 또는 A4WP 표준 등)를 확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충전 대기 설비(230)에 더 높은 전력 등급을 제공한다.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225)는 USB 협의 규격의 데이터,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 DP) 협의 규격의 데이터, 모바일 고화질 링크(mobile high-definition link, MHL) 협의 규격의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225)는 복수의 협의 규격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225)는 USB 협의 규격의 데이터와 MHL 협의 규격의 데이터 전송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장치(240)의 종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240)는 호스트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240)는 컴퓨터 또는 스마트 TV일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무선 충전 장치가 무선 충전 받침대이고, 전원 공급 장치는 어댑터이며, 충전 대기 설비가 휴대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의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된 구체적인 수치 또는 특정 상황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도 9의 예에 따라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수정 또는 변경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다.
단계 1: 휴대폰과 무선 충전 받침대는 무선 통신을 한다.
구체적으로, 휴대폰과 무선 충전 받침대 사이의 양방향 통신의 통신 협의는 제조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휴대폰과 무선 충전 받침대는 블루투스, Wi-Fi, 후방 산란 변조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단계 2: 무선 충전 받침대와 어댑터는 유선 양방향 통신을 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받침대와 어댑터 사이의 양방향 통신의 통신 협의는 제조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 받침대와 어댑터는 USB 케이블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예를 들어, USB 케이블의 D+ 데이터 라인 및 D- 데이터 라인을 통해 통신한다).
단계 3: 무선 충전 받침대는 어댑터에 연결되고, 또한 어댑터와 핸드셰이크 통신(handshake communication)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받침대는 어댑터에 연결된 다음에 어댑터의 유형 및 어댑터가 제공할 수 있는 전력 등급을 확정하기 위하여 어댑터와 핸드셰이크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단계 4: 무선 충전 받침대는 휴대폰에 연결되고, 또한 휴대폰과 핸드셰이크 통신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충전 받침대는 휴대폰에 연결된 다음에 휴대폰의 유형을 확정하고, 또한 휴대폰이 지원하는 전력 등급을 확정하기 위하여 휴대폰과 핸드셰이크 통신을 실시할 수 있다.
단계 5: 무선 충전 받침대와 휴대폰 및 어댑터 사이의 핸드셰이크 통신이 성공하면 무선 충전이 시작된다.
휴대폰 내부의 무선 수신 회로는 배터리에 대하여 직접 충전을 할 수 있다.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에 따라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또는 출력 전류를 실시간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휴대폰 내부의 통신 제어 회로는 무선 충전 과정에서 무선 충전 받침대와 통신을 유지할 수 있고, 무선 충전 받침대에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실시간으로 조정하도록 지시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 내부의 통신 제어 회로는 배터리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또한 배터리의 현재 상태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에 조정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조정 정보는 어댑터의 출력 전압 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무선 충전 장치는 조정 정보를 수신한 다음에 어댑터와 양방향 통신을 실시할 수 있으며, 어댑터에 그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하도록 지시한다.
휴대폰 및 어댑터 중의 어느 한쪽과 무선 충전 받침대의 핸드셰이크 통신이 실패하면, 무선 충전 받침대는 종래의 무선 충전 방식을 채용하여 충전 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받침대는 QI 표준에 따라 5W 전력(5W는 QI 표준의 저전력 등급에 해당됨)을 이용하여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의 장치에 관련된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원의 방법에 관련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방법에 관련된 실시예는 장치에 관련된 실시예와 서로 대응되기 때문에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 부분은 상술한 장치에 관련된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방법은 무선 충전 시스템(예를 들어, 상술한 무선 충전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시스템은 무선 충전 장치와 충전 대기 설비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송신 회로, 외부 인터페이스 및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를 포함한다. 무선 송신 회로는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자기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처리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 장치의 출력 전력에 따라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한다.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는 무선 충전 장치가 전자 장치의 출력 전력에 따라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하는 과정에서, 무선 링크를 통해 전자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충전 대기 설비로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충전 대기 설비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충전 대기 설비는 배터리, 무선 수신 회로, 제 1 충전 채널,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 회로는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전자기 신호를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로 변환시키는 데 사용된다. 제 1 충전 채널은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또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된다. 검출 회로는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방법은 다음 내용을 포함한다. 1010: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충전 대기 설비는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충전 장치가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무선 송신 회로는 또한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에 따라 전자기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는 전원 공급 장치와 통신하여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을 협상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는 전원 공급 장치와 통신하여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을 협상하는 것은, 무선 충전 장치는 전원 공급 장치와 통신하여 전원 공급 장치의 최대 출력 전력을 협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무선 송신 회로가 전원 공급 장치의 최대 출력 전력에 따라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송신 회로가 전원 공급 장치의 최대 출력 전력에서 획득하는 전력양을 조정함으로써,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무선 충전 장치는 전원 공급 장치와 통신하여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는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충전 장치가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은, 충전 대기 설비는 무선 충전 장치에 조정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정 정보는 무선 충전 장치에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는 트리클 충전 단계, 정전압 충전 단계 및 정전류 충전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는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충전 장치가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은, 배터리의 정전압 충전 단계에 있어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이 정전압 충전 단계에 대응하는 충전 전압과 일치하도록, 충전 대기 설비는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무선 충전 장치가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는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충전 장치가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은, 배터리의 정전류 충전 단계에 있어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류가 정전류 충전 단계에 대응하는 충전 전류와 일치하도록, 충전 대기 설비는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무선 충전 장치가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대기 설비는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가 배터리 상태 정보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한다. 배터리 상태 정보는 충전 대기 설비 내의 배터리의 현재 전력 및/또는 현재 전압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와 충전 대기 설비 사이에서 전송되는 통신 정보는, 배터리의 온도 정보,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의 피크값 또는 평균값을 지시하는 정보, 과전압 보호 또는 과전류 보호를 지시하는 정보, 무선 송신 회로와 무선 수신 회로 사이의 전력 전송 효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전송 효율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정보는 전력 전송 효율 정보를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는 전력 전송 효율 정보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의 조정 폭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는 또한 제 2 충전 채널을 포함한다. 제 2 충전 채널에 변환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변환 회로는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류를 변환시키며, 또한 변환된 출력 전류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대기 설비는 제 1 충전 채널과 제 2 충전 채널 사이의 전환을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대기 설비는 무선 충전 장치와 핸드셰이크 통신을 하며, 핸드셰이크 통신이 성공하면, 제 1 충전 채널이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핸드셰이크 통신이 실패하면, 제 2 충전 채널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대기 설비는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제 1 충전 채널과 제 2 충전 채널 사이의 전환을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는 제 1 무선 충전 모드와 제 2 무선 충전 모드를 지원하며, 무선 충전 장치가 제 1 무선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충전 속도는 무선 충전 장치가 제 2 무선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충전 속도보다 빠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대기 설비와 통신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 또는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무선 충전하는 것을 협상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대기 설비와 통신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 또는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무선 충전하는 것을 협상하는 것은,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대기 설비와 핸드셰이크 통신하여, 핸드셰이크 통신이 성공하면, 무선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로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고, 핸드셰이크 통신이 실패하면, 무선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는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 또는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배터리를 충전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방법은 무선 충전 장치(예를 들어, 상술한 무선 충전 장치(2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송신 회로, 외부 인터페이스 및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를 포함한다. 무선 송신 회로는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자기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외부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처리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 장치의 출력 전력에 따라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한다.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는 무선 충전 장치가 전자 장치의 출력 전력에 따라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하는 과정에서, 무선 링크를 통해 전자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충전 대기 설비로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충전 대기 설비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방법은 다음 내용을 포함한다. 1110: 충전 대기 설비의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충전 대기 설비 내의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무선 충전 과정에서 충전 대기 설비와 무선 통신하여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무선 송신 회로는 또한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에 따라 전자기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와 통신하여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을 협상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 장치와 통신하여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을 협상하는 것은, 전원 공급 장치와 통신하여 전원 공급 장치의 최대 출력 전력을 협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무선 송신 회로가 전원 공급 장치의 최대 출력 전력에 따라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무선 송신 회로가 최대 출력 전력에서 획득하는 전력양을 조정함으로써,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전원 공급 장치와 통신하여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과정에서 충전 대기 설비와 무선 통신하여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은, 충전 대기 설비가 보내는 조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정보는 무선 충전 장치에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는 트리클 충전 단계, 정전압 충전 단계 및 정전류 충전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의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무선 충전 과정에서 충전 대기 설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은, 배터리의 정전압 충전 단계에 있어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이 정전압 충전 단계에 대응하는 충전 전압과 일치하도록, 충전 대기 설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의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무선 충전 과정에서 충전 대기 설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은, 배터리의 정전류 충전 단계에 있어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류가 정전류 충전 단계에 대응하는 충전 전류와 일치하도록, 충전 대기 설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대기 설비가 보낸 배터리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배터리 상태 정보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배터리 상태 정보는 배터리의 현재 전력 및/또는 현재 전압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와 충전 대기 설비 사이에서 전송되는 통신 정보는, 배터리의 온도 정보,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의 피크값 또는 평균값을 지시하는 정보, 과전압 보호 또는 과전류 보호를 지시하는 정보, 무선 송신 회로와 무선 수신 회로 사이의 전력 전송 효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전송 효율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정보는 전력 전송 효율 정보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송 효율 정보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의 조정 폭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는 제 1 무선 충전 모드와 제 2 무선 충전 모드를 지원하며, 무선 충전 장치가 제 1 무선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충전 속도는 무선 충전 장치가 제 2 무선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충전 속도보다 빠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대기 설비와 통신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 또는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무선 충전하는 것을 협상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와 통신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 또는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무선 충전하는 것을 협상하는 것은, 충전 대기 설비와 핸드셰이크 통신하여, 핸드셰이크 통신이 성공하면, 무선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로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고, 핸드셰이크 통신이 실패하며, 무선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 또는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방법은 충전 대기 설비(예를 들어, 상술한 충전 대기 설비(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충전 대기 설비는 배터리, 무선 수신 회로, 제 1 충전 채널,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 회로는 무선 충전 장치에서 송시된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전자기 신호를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로 변환시키는 데 사용된다. 제 1 충전 채널은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또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된다. 검출 회로는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도 12에 도시된 방법은 다음 내용을 포함한다. 1210: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은, 무선 충전 장치에 조정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조정 정보는 무선 충전 장치에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를 조정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는 트리클 충전 단계, 정전압 충전 단계 및 정전류 충전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은, 배터리의 정전압 충전 단계에 있어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이 정전압 충전 단계에 대응하는 충전 전압과 일치하도록,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가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은, 배터리의 정전류 충전 단계에 있어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류가 정전류 충전 단계에 대응하는 충전 전류와 일치하도록,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무선 충전 장치가 배터리 상태 정보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한다. 배터리 상태 정보는 충전 대기 설비 내의 배터리의 현재 전력 및/또는 현재 전압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와 무선 충전 장치 사이에서 전송되는 통신 정보는, 배터리의 온도 정보,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의 피크값 또는 평균값을 지시하는 정보, 과전압 보호 또는 과전류 보호를 지시하는 정보, 무선 송신 회로와 무선 수신 회로 사이의 전력 전송 효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전송 효율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대기 설비는 또한 제 2 충전 채널을 포함한다. 제 2 충전 채널에 변환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변환 회로는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류를 변환시키며, 또한 변환된 출력 전류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된다. 도 12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충전 채널과 제 2 충전 채널 사이의 전환을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와 핸드셰이크 통신을 하며, 핸드셰이크 통신이 성공하면, 제 1 충전 채널이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핸드셰이크 통신이 실패하면, 제 2 충전 채널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제 1 충전 채널과 제 2 충전 채널 사이의 전환을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충전 장치는 제 1 무선 충전 모드와 제 2 무선 충전 모드를 지원하며, 무선 충전 장치가 제 1 무선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충전 속도는 무선 충전 장치가 제 2 무선 충전 모드에서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충전 속도보다 빠르다. 도 12에 도시된 방법은 또한 다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와 통신하여 제 1 무선 충전 모드 또는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무선 충전하는 것을 협상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또는 다른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로딩하여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프로세스 또는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실행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 방식으로 한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서 다른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는,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 통합을 포함하는 서버, 데이터 센터 등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면, 소프트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본 영역의 일반 기술자라면 본문에서 공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과 알고리즘 절차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다르다. 전문 기술자라면,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분할일 뿐,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들 들어, 여러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일부 기능은 무시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분리된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 표시되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여러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구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은 단지 본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일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교체를 쉽게 도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114)

  1. 무선 송신 회로, 통신 제어 회로, 외부 인터페이스 및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로서,
    상기 무선 송신 회로는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진행하도록 전자기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상기 충전 대기 설비의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충전 대기 설비 내의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과정에서 상기 충전 대기 설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처리 및 전송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전력에 따라 상기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전송 회로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의 출력 전력에 따라 상기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하는 과정에서,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충전 대기 설비로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충전 대기 설비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신 회로는 또한 상기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에 따라 상기 전자기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을 협상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제어 회로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력을 협상하는 것은,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최대 출력 전력을 협상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 회로가 상기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무선 송신 회로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최대 출력 전력에 따라 상기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상기 무선 송신 회로가 상기 최대 출력 전력에서 획득하는 전력양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회로가 상기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회로가 상기 무선 충전 과정에서 상기 충전 대기 설비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상기 충전 대기 설비가 보내는 조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정보는 상기 통신 제어 회로에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충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충전 대기 설비가 보낸 배터리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는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 및 현재 전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회로와 상기 충전 대기 설비 사이에서 전송되는 통신 정보는, 상기 배터리의 온도 정보,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피크값 또는 평균값을 지시하는 정보, 과전압 보호 또는 과전류 보호를 지시하는 정보, 상기 무선 송신 회로와 상기 무선 수신 회로 사이의 전력 전송 효율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전송 효율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정보는 상기 전력 전송 효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전력 전송 효율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의 조정 폭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충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제 1 무선 충전 모드와 제 2 무선 충전 모드를 지원하며,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제 1 무선 충전 모드에서 상기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충전 속도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제 2 무선 충전 모드에서 상기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충전 속도보다 빠른,
    무선 충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상기 충전 대기 설비와 통신하여 상기 제 1 무선 충전 모드 또는 상기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무선 충전하는 것을 협상하는,
    무선 충전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무선 충전 모드 또는 상기 제 2 무선 충전 모드로 상기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장치.
  10. 배터리, 무선 수신 회로, 제 1 충전 채널, 검출 회로, 통신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충전 대기 설비로서,
    상기 무선 수신 회로는 무선 충전 장치에서 보내는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전자기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로 변환시키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충전 채널은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검출 회로는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데 사용되며,
    그 중에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무선 송신 회로는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에 따라 상기 전자기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최대 출력 전력을 협상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무선 송신 회로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최대 출력 전력에 따라 상기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 송신 회로가 상기 최대 출력 전력에서 획득하는 전력양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충전 대기 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회로가 상기 검출 회로에 의해 검출된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 통신 제어 회로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조정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정보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충전 대기 설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또한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에 따라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는 상기 충전 대기 설비 내의 배터리의 현재 전력 및 현재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을 포함하는,
    충전 대기 설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대기 설비는 또한 제 2 충전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충전 채널에 변환 회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변환 회로는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류를 변환시키며, 또한 변환된 출력 전류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제 1 충전 채널과 상기 제 2 충전 채널 사이의 전환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충전 대기 설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무선 충전 장치와 핸드셰이크 통신을 하며, 상기 핸드셰이크 통신이 성공하면, 상기 제 1 충전 채널이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핸드셰이크 통신이 실패하면, 상기 제 2 충전 채널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충전 대기 설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배터리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 1 충전 채널과 상기 제 2 충전 채널 사이의 전환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충전 대기 설비.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류는 맥동 직류 전류이며,
    상기 검출 회로는 샘플 홀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샘플 홀드 회로가 샘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샘플 홀드 회로는 상기 맥동 직류 전류에 대하여 샘플링 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샘플 홀드 회로가 홀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샘플 홀드 회로는 상기 맥동 직류 전류의 전류 피크 값을 홀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통신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샘플 홀드 회로가 홀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샘플 홀드 회로가 상기 홀드 상태에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 상기 샘플 홀드 회로가 홀드한 상기 맥동 직류 전류의 전류 피크 값을 채집하는 데 사용되는,
    충전 대기 설비.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제 1 무선 충전 모드와 제 2 무선 충전 모드를 지원하며,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제 1 무선 충전 모드에서 상기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충전 속도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가 상기 제 2 무선 충전 모드에서 상기 충전 대기 설비를 충전하는 충전 속도보다 더 빠른,
    충전 대기 설비.
  18. 무선 충전 장치에 사용되는 무선 충전 방법으로서,
    무선 송신 회로는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에 따라 전자기 신호를 생성하며,
    충전 대기 설비의 무선 수신 회로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충전 대기 설비의 배터리의 현재 충전 단계와 일치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 과정에서 상기 충전 대기 설비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하며,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최대 출력 전력을 협상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상기 무선 송신 회로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최대 출력 전력에 따라 상기 충전 대기 설비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선 송신 회로가 상기 최대 출력 전력에서 획득하는 전력양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무선 송신 회로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112. 삭제
  113. 삭제
  114. 삭제
KR1020197026966A 2017-04-07 2017-05-25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KR102222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7/079784 2017-04-07
PCT/CN2017/079784 WO2018184230A1 (zh) 2017-04-07 2017-04-07 无线充电系统、装置、方法及待充电设备
CNPCT/CN2017/079786 2017-04-07
CN2017079786 2017-04-07
PCT/CN2017/085990 WO2018184285A1 (zh) 2017-04-07 2017-05-25 无线充电系统、装置、方法及待充电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568A KR20190109568A (ko) 2019-09-25
KR102222153B1 true KR102222153B1 (ko) 2021-03-03

Family

ID=6371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966A KR102222153B1 (ko) 2017-04-07 2017-05-25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94250B2 (ko)
EP (1) EP3493361B1 (ko)
JP (1) JP7059290B2 (ko)
KR (1) KR102222153B1 (ko)
CN (2) CN109417308B (ko)
TW (1) TWI675526B (ko)
WO (1) WO20181842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447A1 (ko) * 2021-04-13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3361B1 (en) 2017-04-07 2023-04-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system, method, and device to be charged
EP3591854B1 (en) * 2017-04-07 2022-07-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ending end device
EP3462564A4 (en) * 2017-04-07 2019-05-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LOADING SYSTEM,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TO BE LOADED
JP7197608B2 (ja) * 2018-05-25 2022-12-27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無線充電受信装置及び移動端末
US11217994B2 (en) * 2018-08-21 2022-01-04 Burrana Ip And Assets, Llc Power controller for aircraft receptacles
WO2020124549A1 (zh) 2018-12-21 2020-06-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方法、待充电设备、电源设备及存储介质
CN112186823B (zh) * 2019-07-05 2022-09-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充电方法、电路及系统
CN112332506A (zh) * 2019-07-18 2021-02-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无线发射装置的无线充电方法和无线发射装置
CN112242725B (zh) * 2019-07-19 2022-06-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方法及系统
CN112311024A (zh) * 2019-07-25 2021-0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待充电设备、无线充电方法及系统
CN112332501B (zh) * 2019-07-30 2022-1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方法和待充电设备
CN110649720A (zh) * 2019-09-18 2020-01-03 乐牙工业设计(深圳)有限公司 一种可自动居中效率最大化的无线充电设备
CN111277013B (zh) * 2020-01-21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充电控制方法及设备
KR20220017051A (ko) * 2020-08-03 2022-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진단 및 리프로그래밍 시스템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N112286849A (zh) * 2020-10-29 2021-01-29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无线充电基座数据切换方法及系统、存储介质及终端设备
TWI808742B (zh) * 2022-04-29 2023-07-11 新唐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操作系統及電源供給方法
CN116937751B (zh) * 2023-09-13 2023-12-22 深圳市金致卓科技有限公司 一种兼容多种协议的充电器的电路及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311B1 (ko) * 2005-07-30 2008-0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KR101270675B1 (ko) 2012-08-28 2013-06-03 한국과학기술원 급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4668A (en) 1970-01-02 1972-09-26 Bunker Ramo Track and hold system
US4641089A (en) 1983-04-27 1987-02-03 Hal A. Huggins Ammeter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current readings
US5187615A (en) 1988-03-30 1993-02-16 Hitachi, Ltd. Data separator and signal processing circuit
US5057793A (en) 1989-11-13 1991-10-15 Cowley Nicholas P Frequency synthesizer PLL having digital and analog phase detectors
EP0840456A3 (en) 1990-10-22 1999-08-25 NEC Corporation PLL frequency synthesizer capable of changing an output frequency at a high speed
JP3620118B2 (ja) 1995-10-24 2005-0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定電流・定電圧充電装置
JP3439013B2 (ja) 1996-02-29 2003-08-25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のパルス充電方法
JP2000333377A (ja) 1999-05-21 2000-11-3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エンタ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および充電システム
CN2464002Y (zh) 2000-12-16 2001-12-05 蒋冠珞 自生反向脉冲的快速充电机
US7203048B2 (en) 2002-10-24 2007-04-10 02Micro International Limited DC to DC controller with inrush current protection
CN100367594C (zh) 2003-05-08 2008-02-06 美国凹凸微系有限公司 带有浪涌电流保护的直流/直流控制器
US20120181973A1 (en) 2003-08-29 2012-07-19 Robert Lyden Solar array resembling natural foliage including means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electric power
KR100542578B1 (ko) * 2004-09-23 200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사설 간이 네트워크의 전송 전력 최적화 장치 및 방법
US20060103355A1 (en) 2004-11-16 2006-05-18 Joseph Patino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charging a battery
ES2384902T3 (es) 2005-08-01 2012-07-13 Agie Charmilles Sa Procedimiento y generador para mecanizado por electroerosión
JP4991194B2 (ja) 2005-09-12 2012-08-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20070139012A1 (en) 2005-11-01 2007-06-21 Aerovironment, Inc. Motive power dual battery pack
JP4890837B2 (ja) 2005-11-07 2012-03-07 ローム株式会社 電源装置
US7962222B2 (en) 2005-12-07 2011-06-14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Battery protection and zero-volt battery recovery system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RU2427109C2 (ru) 2005-12-20 2011-08-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током, подводимым к электронным приборам
US7880445B2 (en) 2006-02-16 2011-02-01 Summit Micro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of charging a battery using a switching regulator
JP5020530B2 (ja) 2006-04-14 2012-09-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充電方法ならびに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充電器
WO2008030398A2 (en) 2006-09-05 2008-03-13 Summit Microelectronics,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in a battery operated system
JP4311687B2 (ja) 2006-10-06 2009-08-12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電源回路およびバッテリ装置
KR100896104B1 (ko) 2007-04-25 2009-05-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하변조 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배터리 충전 세트
GB2451470B (en) 2007-07-31 2011-11-23 Wolfson Microelectronics Plc DC-TO-DC converter
US8461817B2 (en) 2007-09-11 2013-06-11 Powercas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power to a load device
WO2009069844A1 (en) 2007-11-30 2009-06-04 Chun-Kil Jung Multiple non-contact charging system of wireless power transmi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76161B1 (ko) 2008-02-20 2010-08-16 정춘길 무접점충전시스템 및 그의 충전제어방법
US8234509B2 (en) 2008-09-26 2012-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power supply device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8527688B2 (en) 2008-09-26 2013-09-03 Palm, Inc. Extending device functionality amongst inductively linked devices
CN101547085A (zh) * 2009-04-29 2009-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物理层端口主从配置方法及装置、通信系统
JP2011034306A (ja) 2009-07-31 2011-02-17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給電制御方法
US8120412B2 (en) 2009-08-07 2012-02-2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Voltage boosting system with slew rate control and method thereof
US8928284B2 (en) 2009-09-10 2015-01-06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JP5550097B2 (ja) * 2009-12-02 2014-07-1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接点充電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097262B1 (ko) * 2009-12-28 2011-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이의 충전방법
WO2011084942A2 (en) * 2010-01-05 2011-07-1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Integrated wireless power system
US9561730B2 (en) 2010-04-08 2017-02-0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n electric vehicles
US8890470B2 (en) 2010-06-11 2014-11-18 Mojo Mobility, Inc. System for wireless power transfer that supports interoperability, and multi-pole magnets for use therewith
JP2012016125A (ja) 2010-06-30 2012-01-1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の金属異物検出装置
US20120104997A1 (en) * 2010-11-01 2012-05-0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2013717B (zh) 2010-12-03 2013-01-16 清华大学 植入式医疗仪器用具有对位自动提示功能的无线充电方法
US20130285605A1 (en) 2011-01-18 2013-10-31 Mojo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9178369B2 (en) 2011-01-18 2015-11-03 Mojo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sitioning freedom, and support of different voltages, protocols, and power levels in a wireless power system
US9496732B2 (en) 2011-01-18 2016-11-15 Mojo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US10141770B2 (en) 2011-01-18 2018-11-27 Mojo Mobility, Inc. Powering and/or charging with a plurality of protocols
US9356659B2 (en) 2011-01-18 2016-05-31 Mojo Mobility, Inc. Charger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JP5713714B2 (ja) 2011-02-10 2015-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制御方法
US9444247B2 (en) 2011-05-17 2016-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protecting power receiver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JP2012239814A (ja) 2011-05-24 2012-12-10 Fujifilm Corp 放射線撮影装置
JP2012249410A (ja) 2011-05-27 2012-12-13 Sharp Corp 電気自動車充電用の充電器及び充電装置
JP5767873B2 (ja) 2011-06-28 2015-08-26 株式会社東芝 蓄電装置および蓄電システム
JP5505375B2 (ja) 2011-06-29 2014-05-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セルバランス制御装置及びセルバランス制御方法
US9379571B2 (en) 2011-07-11 2016-06-28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harging system having energy coupling arrangement for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therebetween
US20130026981A1 (en) 2011-07-28 2013-01-31 Broadcom Corporation Dual mode wireless power
JP5893285B2 (ja) * 2011-08-04 2016-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580342B1 (ko) 2011-08-29 2015-12-24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18773B1 (ko) * 2011-10-24 2018-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진 방식 무선 충전 시스템용 수신 전력 변환 장치
KR101338732B1 (ko) 2011-11-10 2013-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무선전력 수신 방법,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수신 방법
JP2013115859A (ja) * 2011-11-25 2013-06-10 Hitachi Maxell Ltd 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JP6045141B2 (ja) 2011-12-05 2016-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CN102522799A (zh) 2011-12-30 2012-06-27 成都林海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终端电源
MX338023B (es) 2012-01-23 2016-03-31 Univ Utah State Sistema inalambrico de transferencia de energia.
US9362774B2 (en) 2012-01-27 2016-06-07 Medtronic, Inc. Battery charging top-off
US9722451B2 (en) 2012-01-27 2017-08-01 Sony Corporation Electronic unit and power feeding system
KR101882800B1 (ko) 2012-02-28 201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3183496A (ja) 2012-02-29 2013-09-12 Equos Research Co Ltd 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3191913A (ja) 2012-03-12 2013-09-26 Renesas Electronics Corp ワイヤレス充電回路、ワイヤレス充電システム及び半導体装置
JP5872373B2 (ja) 2012-04-25 2016-03-01 三洋電機株式会社 無接点給電方法
KR101438884B1 (ko) 2012-05-07 2014-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그의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101920236B1 (ko) 2012-06-19 2018-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2735906B (zh) 2012-07-05 2014-11-05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电感电流检测电路以及应用其的led驱动电路
US9973021B2 (en) 2012-07-06 2018-05-15 Energous Corporation Receiver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102158288B1 (ko) 2012-07-09 2020-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40091623A1 (en) 2012-09-28 2014-04-03 Keith Shippy Power share controller
CN202998182U (zh) 2012-10-17 2013-06-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可与手机通信的多功能保护套
KR102052590B1 (ko) 2012-11-22 2019-1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N103036282A (zh) 2012-12-06 2013-04-10 捷普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电压自适应无线充电装置及方法
CN103001297B (zh) 2012-12-31 2014-12-10 中南大学 一种串联电容器组谐振式电压均衡充电方法及其系统
US20140191568A1 (en) 2013-01-04 2014-07-10 Mojo Mobil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or charging multiple receivers wirelessly with a power transmitter
WO2014115193A1 (ja) 2013-01-24 2014-07-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蓄電池装置
CN103078381B (zh) 2013-01-27 2015-06-17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电动汽车无线充电装置及其输出控制方法
EP3402063A1 (de) 2013-02-08 2018-11-14 Markus Rehm Drahtlose resonanzgekoppelte elektrische energieübertragung
JP6188351B2 (ja) 2013-03-01 2017-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給電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318915B2 (en) * 2013-03-20 2016-04-19 Halo2Cloud Llc Portable power charger with wireless and direct charging connectivity
MY162393A (en) 2013-03-29 2017-06-15 Nissan Motor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TWI482391B (zh) 2013-04-02 2015-04-21 Wistron Corp 用於一電子裝置之充電電路及其相關充電方法
KR101787796B1 (ko) 2013-05-03 2017-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WO2014179818A1 (en) * 2013-05-03 2014-11-06 CommSense LLC Antenna environment sensing device
US9178441B2 (en) 2013-05-17 2015-11-03 Analog Devices, Inc. Power converter control to avoid imbalance and transformer saturation
CN103269108B (zh) 2013-06-04 2015-04-29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电量均衡电路
US9155900B2 (en) * 2013-06-20 2015-10-13 Cochlear Limited Medical device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s
US10008874B2 (en) * 2013-07-19 2018-06-26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power transfer
TWI552483B (zh) 2013-07-22 2016-10-01 光寶電子(廣州)有限公司 電池模組、電池模組供電管理方法及其裝置
CN104578209A (zh) 2013-10-22 2015-04-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终端及用户终端、无线充电方法
US20150236538A1 (en) 2013-11-15 2015-08-20 uNu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Case with Fast Charging Battery Pack
CN105247755A (zh) * 2013-12-26 2016-01-13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多路径充电器及其充电方法
EP3095199B1 (en) 2014-01-08 2020-12-23 MediaTek Singapore Pte Ltd. Wireless power receiver with programmable power path
US20150214748A1 (en) * 2014-01-24 2015-07-30 Mediatek Inc. Wireless power supply scheme capable of dynamically adjusting output power of wireless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voltage/current/power inform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be charged
CN106329688B (zh) 2014-01-28 2019-09-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电源适配器
TW201533561A (zh) * 2014-02-25 2015-09-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可攜式電腦及無線鍵盤與平板電腦
MX349021B (es) * 2014-02-25 2017-07-07 Nissan Motor Sistema de suministro de energia inalambrico y dispositivo de transmision de energia.
CN103944243B (zh) 2014-02-27 2016-05-11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电动汽车用带有精确对中功能的感应式非接触充电装置
KR102181156B1 (ko) 2014-03-07 2020-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위한 커버 부재와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6165244A (zh) 2014-05-30 2016-11-23 株式会社Ihi 非接触供电系统、受电装置及送电装置
JP6201896B2 (ja) 2014-05-30 2017-09-27 株式会社Ihi 送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9991753B2 (en) 2014-06-11 2018-06-05 Enovate Medical Llc Variable wireless transfer
US10574079B1 (en) 2014-06-20 2020-02-25 Qnovo Inc. Wireless charging techniques and circuitry for a battery
JP2016015862A (ja) 2014-07-03 2016-01-28 株式会社Ihi 受電装置
WO2016002839A1 (ja) 2014-07-03 2016-01-07 株式会社Ihi 受電装置、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送電装置
US10148096B2 (en) * 2014-07-07 2018-12-04 Mediatek Singapore Pte. Ltd. Wireless or wired power delivery using a controllable power adapter
CN104037918A (zh) 2014-07-08 2014-09-10 江苏天行健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磁共振式车载移动终端无线充电系统及方法
US10355527B2 (en) * 2014-07-16 2019-07-1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Wireless charging receiver with variable resonant frequency
JP6446194B2 (ja) 2014-07-17 2018-12-26 ローム株式会社 ワイヤレス受電装置、そのレシーバ回路およびワイヤレス受電装置の制御方法
US9680531B2 (en) * 2014-08-01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nadequate wireless coupling and improving in-band signaling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CN105471001A (zh) 2014-08-19 2016-04-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使用多电芯电池的移动终端及其充放电电路
KR20160028537A (ko) * 2014-09-03 2016-03-14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휴대용 충전기
US9973017B2 (en) 2014-09-19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ger circuit including a plurality of charging paths
JP2016063726A (ja) 2014-09-22 2016-04-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受電機器及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2016063725A (ja) 2014-09-22 2016-04-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受電機器及び非接触電力伝送装置
CN105529802B (zh) * 2014-09-29 2019-01-04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一种充电系统
CN104283293B (zh) * 2014-09-29 2016-06-29 深圳市泰金田科技有限公司 谐振-移频实现汽车无线充电的方法及系统
JP2016092986A (ja) 2014-11-05 2016-05-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非接触電力伝送装置及び受電機器
CN104467130A (zh) * 2014-11-10 2015-03-25 深圳市兴吉胜电子有限公司 无线充电器
CN106415973B (zh) 2014-11-11 2020-08-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电源适配器和终端
JP6013442B2 (ja) 2014-12-24 2016-10-25 株式会社ダイヘン 非接触給電システム、送電装置、および、異物検出方法
CN104617632B (zh) * 2015-02-16 2017-01-04 荆涛 可适配不同电子设备的充电装置及其充电方法、电子设备
JP2016152722A (ja) * 2015-02-18 2016-08-2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KR102381085B1 (ko) 2015-02-27 2022-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압 컨버터, 그것을 갖는 충전 집적회로 및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102335018B1 (ko) 2015-03-05 2021-12-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충전 전압 제어 장치
EP3068017B1 (en) 2015-03-10 2021-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KR102154779B1 (ko) 2015-03-10 202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방법 및 장치
CN104752046B (zh) 2015-04-21 2017-03-01 浙江东尼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器用接收线圈
CN106208172B (zh) 2015-04-30 2020-06-16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移动客户端设备无线充电、通信及认证技术
JP6651711B2 (ja) 2015-05-13 2020-0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電子機器及び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JP6701623B2 (ja) 2015-05-13 2020-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電子機器及び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KR101910303B1 (ko) 2015-06-01 2018-10-19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충전 회로와 모바일 단말기
US20160380467A1 (en) 2015-06-26 2016-12-29 Lei Shao Managing the output power of a wireless charger
WO2017018800A1 (en) 2015-07-27 2017-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in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CN105148402B (zh) 2015-08-03 2018-03-20 北京品驰医疗设备有限公司 具有保护和限制功能的充电式植入医疗装置
CN105098900B (zh) 2015-08-05 2018-05-2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可直充电源适配器及充电方法
KR102184527B1 (ko) 2015-08-19 2020-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KR101764974B1 (ko) 2015-08-24 2017-08-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전전력전송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JP6278012B2 (ja) 2015-08-28 2018-0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送電装置
CN108141060B (zh) 2015-09-17 2021-10-08 株式会社Ihi 送电装置以及非接触供电系统
JP2017060328A (ja) 2015-09-17 2017-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受電装置及び電力伝送システム
KR20170043393A (ko) 2015-10-13 2017-04-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장치 그리고 무선전력수신장치
CN105226779B (zh) * 2015-10-19 2017-06-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05978049A (zh) 2015-10-26 2016-09-28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电池倍压充电电路和移动终端
US9871386B2 (en) 2015-10-30 2018-01-16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power receiving unit with switching predic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ES2829256T3 (es) * 2016-02-05 2021-05-3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carga y adaptador
JP6645241B2 (ja) 2016-02-16 2020-02-14 株式会社Ihi 送電装置
CN205355893U (zh) 2016-02-25 2016-06-29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与充电器
KR102629141B1 (ko) 2016-04-25 2024-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826066B (zh) 2016-05-16 2019-02-22 上海墨百意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无线充电系统的线圈及电感调节方法
CN105896670A (zh) 2016-05-25 2016-08-2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充电装置及移动终端
CN106026237A (zh) 2016-06-06 2016-10-12 薛寿贞 无线充电器及无线充电系统
KR102602243B1 (ko) * 2016-07-29 2023-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01674B2 (en) 2016-08-05 2021-08-24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Battery charging architectures
US10286799B2 (en) 2016-08-23 2019-05-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ands-free conductive battery charger for an electric vehicle
CN106300539B (zh) 2016-09-12 2018-12-18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系统及方法
CN106169798A (zh) 2016-09-28 2016-1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高压充电系统、高压充电电池及终端设备
CN106169799A (zh) * 2016-09-29 2016-11-30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无线充电设备及利用该无线充电设备进行充电的方法
WO2018068243A1 (zh) 2016-10-12 2018-04-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WO2018072209A1 (zh) * 2016-10-21 2018-04-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充电方法及电子设备
CN106505751B (zh) * 2016-11-29 2020-03-2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基于WiFi通信的无线充电方法及装置
CN106451705B (zh) 2016-12-20 2019-02-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无线充电系统、设备、方法和装置
US10483802B2 (en) 2017-03-14 2019-11-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eak voltage detection in a differentially driven wireless resonant transmitter
EP3582361B1 (en) 2017-04-07 2022-08-0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device to be charged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462564A4 (en) 2017-04-07 2019-05-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LOADING SYSTEM,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TO BE LOADED
EP3591854B1 (en) 2017-04-07 2022-07-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ending end device
EP3493361B1 (en) 2017-04-07 2023-04-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system, method, and device to be charged
US9941795B1 (en) 2017-04-19 2018-04-10 Dialog Semiconductor (Uk) Limited Circuits and method for extracting average load current in DC-DC switching converters
US11101695B2 (en) 2017-04-28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620679B2 (en) 2017-09-01 2020-04-14 Dell Products L.P. Prioritizing supplying electrical power by a power storage adapter to connected devices
KR102584438B1 (ko) 2017-11-13 2023-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의 경로를 조정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40749B1 (ko) 2018-03-23 2023-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속성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력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EP3745554A4 (en) 2018-04-25 2021-02-1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TERMINAL DEVICE AND CHARGE CONTROL METHOD
EP3719956B1 (en) 2018-05-15 2022-11-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evice to be charged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ystem
WO2019218161A1 (zh) 2018-05-15 2019-11-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待充电设备和充电控制方法
AU2018424953B2 (en) 2018-05-25 2021-07-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receiv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JP7197608B2 (ja) 2018-05-25 2022-12-27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無線充電受信装置及び移動端末
EP3796520A4 (en) 2018-06-08 2021-05-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ERMINAL USING IT
EP3786988A4 (en) 2018-06-11 2021-09-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HARGING COIL, WIRELESS CHARGING KIT AND ELECTRONIC DEVICE
TWI665842B (zh) 2018-06-13 2019-07-11 金碳洁股份有限公司 無線充電的電源管理系統及其方法
CN111684680A (zh) 2018-06-22 2020-09-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装置、移动终端和充电控制方法
US20200036218A1 (en) 2018-07-25 2020-01-3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Circuitry with a Multi-Path Architecture
KR102624380B1 (ko) 2018-09-18 2024-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과 관련된 송신 효율을 확인하기 위한 전력량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806279B1 (en) 2019-02-28 2023-04-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apparatus
KR20210031270A (ko) 2019-09-11 2021-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칭 충전 및 직접 충전 방식에 기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관리 칩 및 그 동작방법
US11532951B2 (en) 2019-10-17 202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esonant charging circu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311B1 (ko) * 2005-07-30 2008-0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KR101270675B1 (ko) 2012-08-28 2013-06-03 한국과학기술원 급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0447A1 (ko) * 2021-04-13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568A (ko) 2019-09-25
EP3493361B1 (en) 2023-04-26
WO2018184285A1 (zh) 2018-10-11
US11394250B2 (en) 2022-07-19
EP3493361A4 (en) 2019-10-30
US20190190321A1 (en) 2019-06-20
JP7059290B2 (ja) 2022-04-25
EP3493361A1 (en) 2019-06-05
CN109417308B (zh) 2023-06-20
TWI675526B (zh) 2019-10-21
JP2020506653A (ja) 2020-02-27
CN109417308A (zh) 2019-03-01
TW201838289A (zh) 2018-10-16
CN109787325B (zh) 2023-06-27
CN109787325A (zh)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153B1 (ko)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KR102268987B1 (ko) 무선 충전 장치,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KR102264015B1 (ko)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방법 및 충전 대기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