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515B1 - 파이프마개 - Google Patents

파이프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515B1
KR102219515B1 KR1020190068622A KR20190068622A KR102219515B1 KR 102219515 B1 KR102219515 B1 KR 102219515B1 KR 1020190068622 A KR1020190068622 A KR 1020190068622A KR 20190068622 A KR20190068622 A KR 20190068622A KR 102219515 B1 KR102219515 B1 KR 10221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topper
plug
cutout
pip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735A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신안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안주철 filed Critical (주)신안주철
Priority to KR1020190068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515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마개에 관한 것으로, 본 파이프마개는 절개부를 포함한 파이프 마개는 파이프가 열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마개의 마개손잡이부에 의해 파이프에 딱 맞게 결합된 파이프에서 파이프마개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에 형성된 절개부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중앙이 비어있는 손잡이부에 의해 파이프마개 내부에 집중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파이프마개의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이프마개 {Pipe cap}
본 발명은 파이프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 내경의 변화와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파이프마개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매설공사 시, 파이프 중앙의 관에 흘러가는 물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내부를 파이프마개가 깨끗한 상태여야 한다. 그러므로 파이프를 제조하고 난 후 파이프를 야적하거나 운반하는 경우에는 파이프의 끝단을 막아줌으로서 파이프마개를 사용하여 파이프의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파이프 마개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되는 파이프마개는 파이프 내부의 변형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아서 파이프의 열수축 및 열팽창이 발생하면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세히 말하자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파이프마개는 크기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열수축 및 열팽창에 의해 파이프 내부가 파이프마개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 이상으로 변형이 발생하면, 파이프마개를 억지로 끼워 맞춰서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파이프마개가 부서지거나 금이 가는 등 다시 파이프마개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 등이 발생한다. 또한, 심한 경우에는 파이프마개를 파이프에 아예 끼우지 못하고, 따라서 파이프마개가 아닌 다른 물체로 파이프의 입구를 막아서 사용했다. 그러나 이경우에도 파이프 입구를 완전하지 못하게 막음으로써, 파이프 내부가 오염되고, 그로 인해 파이프 관에 흘러가는 물질의 오염까지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렇듯 종래의 파이프마개는 열에 의해 발생하는 파이프의 수축 및 팽창을 수용할 수 없어서 파이프를 완전하게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등록의장공보 제 30-0329838호 ("관마개", 2003.07.2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에 의하여 수축되거나 팽창된 파이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파이프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이프마개는 파이프간 연결을 위해 파이프의 끝단에 형성된 파이프연결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파이프연결부에 끼워지는 파이프마개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내부에 끼워지는 마개몸통부; 상기 마개몸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끝단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마개걸림부; 및 상기 마개걸림부 및 상기 마개몸통부의 일부에 걸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몸통부는, 상기 파이프마개의 내측 중앙을 형성하는 마개밑면부; 상기 마개밑면부의 외측에 상기 마개밑면부의 둘레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형성되는 마개내측부; 상기 마개내측부의 상측끝단에 상기 마개내측부의 둘레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형성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슬릿을 포함하는 마개슬릿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개부의 내측 끝단이, 상기 슬릿의 끝단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마개내측부는,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개내측부의 외측면에 판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수직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밑면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격벽으로 형성되는 마개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손잡이부는, 상기 절개부와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마개는, 상기 마개몸통부에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의 내측과 상기 파이프의 외측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압력조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홀은, 상기 마개밑면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마개밑면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개부를 포함한 파이프마개는 파이프가 열에 의한 수축 및 팽창을 하더라도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이프에 억지로 끼워맞춘 파이프마개도 손잡이에 의해 손쉽게 뺄 수 있다.
또한, 파이프에 형성된 절개부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중앙이 비어있는 손잡이부에 의해 파이프마개가 파이프에 끼워지며 발생할 수 있는 집중응력을 해소하여 파이프마개의 변형없이 파이프마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파이프마개와 파이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파이프마개와 파이프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이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이프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이프마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파이프마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파이프마개 단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마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파이프마개와 파이프 사시도를 도시한다. 파이프(P)는 파이프연결부(30), 파이프다리부(20), 파이프몸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파이프연결부(30)는 파이프(P)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파이프연결부(30)는 파이프(P)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된다. 또한, 파이프다리부(20)는 파이프몸체부(10)와 파이프연결부(30)의 연결을 위해 파이프연결부(30)와 파이프몸체부(10)의 사이에 형성된다. 파이프몸체부(10)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내경과 외경이 일정한 파이프를 지칭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파이프(P)를 야적하거나 운반하는 경우에는 파이프(P)의 열수축 및 열팽창이 발생하여서, 파이프마개(1000)를 파이프(P)에 꼭 맞게 제작하더라도 파이프마개(1000)가 파이프(P)에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파이프마개(1000)는 파이프 간 연결을 위해 파이프(P)의 끝단에 형성된 파이프연결부(30)에 끼워져 파이프연결부(30)를 보호 및 밀폐하고, 파이프(P)내부의 오염을 방지한다. 더불어 파이프(P)의 특성상 파이프(P)를 주조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할 때에도 금속의 종류나 파이프(P)의 두께에 따라서 파이프(P)의 수축량이 변하여 파이프(P)의 내경이 변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파이프(P)의 내경이 달라져도 그에 상관없이 사용하기 위한 파이프마개(1000)의 개선된 구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파이프마개(1000)의 설명에 앞서, 파이프마개(1000)가 결합되는 파이프(P)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a)는 파이프마개와 파이프 결합 전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b)는 파이프마개와 파이프의 결합 후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파이프 단면도를 도시한다. 파이프(P)는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파이프(P)의 단면을 도시했으며, 파이프마개(1000)는 파이프(P)의 단면에 맞도록 구성되어 있다. 파이프(P)는 파이프몸체부(10), 파이프다리부(20), 파이프연결부(30)로 구성되어 있다. 파이프연결부(30)는 입구걸림부(31), 외측평탄부(32), 외측경사부(33), 중앙평탄부(34), 내측경사부(35), 내측평탄부(36), 입구외면부(37)로 구성되어 있다.
파이프마개(1000)의 입구걸림부(31)에 마개걸림부(200)가 걸려 파이프마개(1000)는 파이프(P)의 입구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마개외측부(310)는 외측평탄부(32)에, 마개벽면부(320)는 외측경사부(33)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마개외측부(310)와 마개벽면부(320)는 외측평탄부(32)와 외측경사부(33)의 길이, 높이, 경사도 등이 달라진다면 그에 맞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개내측부(340)의 깊이는 파이프(P)의 중앙평탄부(34)와 비슷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마개내측부(340)의 깊이는 더 깊게 형성될 수도 있다. 마개내측부(340)의 수직지지부(342)의 끝단은 중앙평탄부(34)에 접촉되어 파이프(P)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파이프마개(1000)가 도 2에 도시된 파이프가 아닌 다른 파이프에서 사용된다면, 그에 맞도록 파이프마개(1000)의 변형이 가능하다. 즉, 파이프마개(1000)는 절개부(100)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이러한 본 발명의 파이프마개(10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파이프마개(1000)는 절개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서 파이프(P)의 내경이 달라질 때 파이프마개(1000)에 형성된 절개부(100)가 수축되어 파이프(P)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따라서 내경이 달라진 파이프(P)에도 파이프마개(1000)는 손상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도 5는 파이프마개 사시도를 도시한다. 파이프마개(1000)는 절개부(100), 마개걸림부(200), 마개몸통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파이프마개(1000)는 마개걸림부(200)와 마개몸통부(3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지만 이는 종래와 크게 다르지 않은 부분이므로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절개부(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서술하도록 한다.
마개걸림부(200)는 마개몸통부(30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파이프연결부(30)의 끝단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마개몸통부(300)는 파이프연결부(3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파이프연결부(30)의 내부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마개몸통부(300)는 마개외측부(310), 마개벽면부(320), 마개슬릿부(330), 마개내측부(340), 마개밑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개슬릿부(330)는 마개내측부(340)의 상측끝단에 마개내측부(340)의 둘레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형성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슬릿(331)을 포함하고, 마개내측부(340)는 마개밑면부(350)의 외측에 마개밑면부(350)의 둘레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형성된다. 마개내측부(340)는 외측에 둘레돌기부(341)와 수직지지부(34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수직지지부(342)는 파이프연결부(3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마개내측부(340)의 외측면에 판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마개밑면부(350)는 파이프마개(1000)의 내측중앙을 형성한다. 마개외측부(310)와 마개벽면부(320)는 파이프마개(1000)가 끼워지는 파이프연결부(30)의 내측 형상에 맞도록 형성된다. 마개걸림부(200)와 마개몸통부(300)는 파이프의 내경에 맞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파이프의 내부의 형상이 달라지면 이에 맞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은 파이프마개 평면도를 도시한다. 마개밑면부(350)는 마개손잡이부(351)와 압력조절홀(3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개손잡이부(351)는 마개밑면부(350)의 상면에 형성되고, 격벽으로 형성된다. 마개손잡이부(351)는 직선상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다. 또한, 압력조절홀(352)은 마개밑면부(350)에 파이프(P)의 내측과 상기 파이프(P)의 외측을 연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파이프(P)의 내측과 외측의 연통이 가능하다면 압력조절홀(352)은 파이프마개(1000)의 상기 마개밑면부(350)이외의 구성에 형성가능이 가능하다. 또한, 압력조절홀(352)은 마개밑면부(350)의 상면에 형성되며, 마개밑면부(350)를 기준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기둥형상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압력조절홀(352)은 파이프(P)의 내측과 파이프(P)의 외측만 연통한다면 압력조절홀(352)은 형상이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에나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파이프마개 측면도를 도시한다. 마개내측부(340)는 둘레돌기부(341)와 수직지지부(3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둘레돌기부(341)는 마개내측부(340)의 외경방향으로 복수개의 선을 이루는 돌기들로 형성된다. 상기 돌기들은 마개내측부(34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형성된다. 수직지지부(342)는 마개벽면부(320)의 끝단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파이프연결부(30)의 내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수직지지부(342)가 평판형상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은 파이프연결부(30)의 내측이 수축했을 때 수직지지부(342)가 휘어지며, 파이프마개(1000)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수직지지부(342)는 마개슬릿부(330)의 슬릿(331)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파이프마개(1000)의 슬릿(331)없이 수직지지부(342)가 형성되어 있게 되면, 수직지지부(342)가 휘어지며 파이프마개(1000), 특히 마개슬릿부(330)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마개슬릿부(330)의 슬릿(331)과 수직지지부(342)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파이프마개 단면도를 도시한다. 파이프마개(1000)는 마개손잡이부(3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개손잡이부(351)는 중앙이 끊어진 격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파이프연결부(30)의 내경이 작아서 파이프마개(1000)가 변형될 때, 마개손잡이부(351)에 집중응력이 발생하여 마개손잡이부(35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마개손잡이부(351)의 집중응력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이 끊어진 격벽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개손잡이부(351)는 여러 부분이 끊어진 격벽이나, 중앙이 아닌 다른 곳이 끊어진 격벽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하지만, 파이프마개(1000)를 상기 파이프연결부(30)에 끼우기 위하여 마개손잡이부(351)를 손으로 잡아야 하므로, 마개손잡이부(351)는 중앙이 끊어진 격벽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경이 작은 파이프(P)에 파이프마개(1000)를 끼우면, 절개부(100)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고, 그로 인하여 마개손잡이부(351)의 중앙에 집중응력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마개손잡이부(351)는 절개부(100)와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된 파이프마개(1000)는 종래와 비슷한 부분으로서 간단히 설명되었다.
이하에서 절개부(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절개부(100)는 마개걸림부(200) 및 마개몸통부(300)의 일부 즉, 마개외측부(310)와 마개벽면부(320)에 걸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절개부(100)가 구비됨으로서, 파이프(P)의 내경이 평균보다 작더라도 파이프마개(1000)를 사용할 수 있다. 절개부(100)의 내측 끝단은 슬릿(331)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절개부(100)의 수축을 더 용이하기 위함이다. 즉, 절개부(100)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절개부(100)의 내측 끝단과 슬릿(331)이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절개부(100)가 슬릿(331)과 반드시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절개부(100)의 내측끝단은 상기 마개슬릿부(330)의 슬릿(331)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절개부(100)는 모든 방향에 균형을 이루어 수축이 가능하도록 절개부(100)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절개부(100)는 꼭 방사상으로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P : 파이프
10 : 파이프몸체부 20 : 파이프다리부
30 : 파이프연결부
31 : 입구걸림부 32 : 외측평탄부
33 : 외측경사부 34 : 중앙평탄부
35 : 내측경사부 36 : 내측평탄부
37 : 입구외면부
1000 : 파이프마개
100 : 절개부
200 : 마개걸림부
300 : 마개몸통부
310 : 마개외측부 320 : 마개벽면부
330 : 마개슬릿부 331 : 슬릿
340 : 마개내측부
341 : 둘레돌기부 342 : 수직지지부
350 : 마개밑면부
351 : 마개손잡이부 352 : 압력조절홀

Claims (7)

  1. 파이프간 연결을 위해 파이프의 끝단에 형성된 파이프연결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파이프연결부에 끼워지는 파이프마개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내부에 끼워지는 마개몸통부;
    상기 마개몸통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끝단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마개걸림부; 및
    상기 마개걸림부 및 상기 마개몸통부의 일부에 걸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몸통부는,
    상기 파이프마개의 내측 중앙을 형성하는 마개밑면부;
    상기 마개밑면부의 외측에 상기 마개밑면부의 둘레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형성되는 마개내측부;
    상기 마개내측부의 상측끝단에 상기 마개내측부의 둘레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형성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슬릿을 포함하는 마개슬릿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개부의 내측 끝단이, 상기 슬릿의 끝단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내측부는,
    상기 파이프연결부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개내측부의 외측면에 판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수직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마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밑면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격벽으로 형성되는 마개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마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손잡이부는, 상기 절개부와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마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마개는,
    상기 마개몸통부에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의 내측과 상기 파이프의 외측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압력조절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마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홀은,
    상기 마개밑면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마개밑면부를 기준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마개.
KR1020190068622A 2019-06-11 2019-06-11 파이프마개 KR102219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22A KR102219515B1 (ko) 2019-06-11 2019-06-11 파이프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622A KR102219515B1 (ko) 2019-06-11 2019-06-11 파이프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735A KR20200141735A (ko) 2020-12-21
KR102219515B1 true KR102219515B1 (ko) 2021-02-24

Family

ID=7409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622A KR102219515B1 (ko) 2019-06-11 2019-06-11 파이프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5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046Y1 (ko) * 2002-08-30 2002-12-12 박근형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KR200298045Y1 (ko) 2002-08-30 2002-12-12 박근형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JP2004156633A (ja) 2002-11-01 2004-06-03 Maezawa Kasei Ind Co Ltd 配管用仮止め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7964U (ko) * 1994-03-30 1995-10-18 관단 보호캡
KR0115321Y1 (ko) * 1994-07-07 1998-04-17 박홍수 파이프 보호캡
KR101435018B1 (ko) * 2012-12-26 2014-08-28 갑을오토텍(주) 열교환기용 단부 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046Y1 (ko) * 2002-08-30 2002-12-12 박근형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KR200298045Y1 (ko) 2002-08-30 2002-12-12 박근형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JP2004156633A (ja) 2002-11-01 2004-06-03 Maezawa Kasei Ind Co Ltd 配管用仮止め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735A (ko)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4046B2 (en) Protective caps for use with medical fluid fittings, and related methods
JP5129952B2 (ja) 開いたねじプロテクター及び契合可能な閉鎖用キャップを有するねじプロテクター組立体
ITMI20010003A1 (it) Dispositivo di collegamento a innesto
JP7290899B2 (ja) パイプ連結用カップリングアッシーおよびこの製造方法
KR102219515B1 (ko) 파이프마개
JP2011234520A (ja) ケーブル保護管接続用ブロック体及びケーブル保護管の接続構造
EP0547319B1 (en) Mortar grouting type connector for reinforcing bars
NO157569B (no) Roermuffe med en ved innersiden av roermuffeveggen anordnet tetningsring.
KR102645428B1 (ko) 암형 커넥터
JP2009293685A (ja) ボールハウジング、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ボールハウジングからのボールスタッドの取外し方法
EP3712484A1 (en) Pipe cap
RU2712655C1 (ru) Шпунтовое пробочно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JP6096385B2 (ja) クイックカップリング
USD1021016S1 (en) Fluid coupling
USD967778S1 (en) Line management device
JP7126461B2 (ja) 合成樹脂製配管用防虫キャップ
JP2017133676A (ja) ユニオンナット付き管継手と継手に用いる栓体
US6367724B1 (en) Bi-directionally compressible dye tube
JP5358099B2 (ja) 管継手移動防止具
JPS6233184Y2 (ko)
KR100965922B1 (ko) 유체 라인 장치용 커플링
WO2018037703A1 (ja) エンドキャップ
JP2020104911A (ja) 瓶口用キャップ
JP5436157B2 (ja) 管継手
WO2020121871A1 (ja) 管継手及び管継手用芯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