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045Y1 -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 Google Patents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045Y1
KR200298045Y1 KR2020020026018U KR20020026018U KR200298045Y1 KR 200298045 Y1 KR200298045 Y1 KR 200298045Y1 KR 2020020026018 U KR2020020026018 U KR 2020020026018U KR 20020026018 U KR20020026018 U KR 20020026018U KR 200298045 Y1 KR200298045 Y1 KR 200298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joint pipe
insert
sealing plat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형
Original Assignee
박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형 filed Critical 박근형
Priority to KR2020020026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045Y1/ko

Links

Landscapes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철관 또는 기타 금속재질의 관을 제조, 적재, 운반시 관의 내부로 이물질(흙먼지, 수분등)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관의 개방구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형 제작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원통형의 삽입체와, 조인트관의 개방구 입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폐판과, 상기 삽입체의 외둘레면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판을 포함하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의 하단부와 상기 밀폐판의 상면간을 서로 절취 가능한 절취부로 일체 형성하고, 상기 삽입체의 외표면에 손잡이단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삽입체와 밀폐판의 일정 부위에는 다수개의 수분 배출용 홀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Socket for covering joint tube}
본 고안은 주철관 또는 기타 금속재질의 관을 제조, 적재, 운반시 관의 내부로 이물질(흙먼지, 수분등)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관의 개방구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형 제작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시가스 매설공사, 상하수도 공사, 기타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공사에는 주철관 또는 기타 금속재의 조인트관(이하, 조인트관이라 칭함)이 이용되고 있고, 사용 용도에 따라 시멘트 몰탈을 표면에 라이닝(lining)시킨 제품을 이용하기도 한다.
상기 조인트관의 제조공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용융시킨 재료를 원심주조와 인출를 거치게 하는 공정과, 열처리 및 가공 그리고 각종 품질시험을 실시하는 공정과, 필요에 따라 실시되는 시멘트 몰탈 라이닝 공정 및 몰탈을 건조시키는 공정과, 탈사대기 및 탈사공정등을 거치게 되고, 마지막으로 도장 공정을 거쳐 조인트관 제품의 제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공정으로 제조된 조인트관은 각 제조공정 사이에 다음 공정의 대기 상태로서, 임의의 장소에 쌓아 적재시키고 있는 바, 이때 조인트관의 개방구를 통하여 이물질(생산라인에서 발생하는 주철 찌꺼기, 먼지, 몰탈 찌꺼기 등등)이 침투하여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관의 제품이 출고된 후, 매설 공사현장에 적재시켜 놓은 경우에도 공사현장에 존재하는 흙, 자갈, 수분등이 조인트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조인트관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매설공사시 관 내부의 청소를 일일이 실시하여야 하는 작업상 불편한 점이 따르게 되고, 조인트관의 내부 부식을 촉진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관의 개방구에 끼워서 사용하는 관 내부의 밀폐수단으로서,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첨부한 도 5a,5b를 참조로 종래의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200)은 요형 단면을 갖는 구조로서, 조인트관(210)의 개방구(220)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삽입체(230)와, 조인트관(210)의 개방구(220) 입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폐판(240)이 서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특히 상기 삽입체(230)의 외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날개판(250)이 등간격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200)의 주된 특징은 삽입체(230)의 외둘레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판(250)이 좌우로 플렉시블하게 유동 가능한 점에 그 특징이 있는 바, 날개판(250)의 하단부가 상기 밀폐판(240)의 상면과 일정한 간극(t)를 유지하며 서로 접촉되지 않게 성형됨에 따라, 밀폐판(240)의 좌우 유동이 가능하게되는 것이다.
이렇게 날개판(250)을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성형한 이유는 첨부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판(250)을 일방향으로 모두 휘어지게 하여 내경의 크기가 서로 다른 조인트관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은 날개판의 하단부와 밀폐판의 상면간에 일정한 간극(t)이 필히 형성되어야 하는 바(날개판의 좌우 유동을 위함), 이는 사출 금형 제작시 상형 및 하형만으로 간극(t)을 갖는 제품의 제조가 불가능하여, 상기 간극(t)에 해당되는 별도의 탈거 가능한 금형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금형 제조비의 상승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즉, 상형과 하형으로만 제작을 할 경우, 상기 일정 간극(t)에 해당하는 금형부분에 소켓 제품이 걸리게 되어 탈형 자체가 불가능하게 하여, 간극(t)에 해당하는 별도의 분리 가능한 추가 금형을 더 설치하여야 했다.
또한, 종래의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은 조인트관의 개방구에 끼워져 조인트관 내부를 완전 밀폐시키는 구조로서, 관 내부의 수분이 전혀 배출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는 단점이 있다.
즉, 조인트관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더라도, 밀폐하고 있는 소켓에 의하여 외부로 전혀 배출될 수 없었고, 이렇게 배출되지 않은 수분은 내부에 계속 잔존하여 관의 부식을 촉진시키게 된다.
또한, 종래의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을 조인트관의 개방구로부터 탈거하고자 할 경우, 손톱등을 틈새(서로 밀착되어 있는 소켓의 밀폐판과 조인트관의 입구 외주면 사이)로 끼운 후 젖히거나, 별도의 공구를 틈새로 끼워 젖히는 불편한 점이 있고, 이러한 탈거 동작은 상해를 유발할 수 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날개판이 좌우로 유동 가능한 분리 구조이면서도 그 금형 제작이 수월하고 저렴하게 이루어지고, 관 내부의 수분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수분 배출홀을 가지며, 조인트관의 개방구에 체결후 손잡이단에 의하여 탈거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의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통형의 삽입체와, 조인트관의 개방구 입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폐판과, 상기 삽입체의 외둘레면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판을 포함하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의 하단부와 상기 밀폐판의 상면간을 서로 절취 가능한 절취부로일체 형성하고, 상기 삽입체의 외표면에 손잡이단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삽입체에 다수개의 수분 배출용 홀을 관통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날개판의 하단부와 상기 밀폐판의 상면간의 절취 부는 절취 가능하게 얇은 두께를 이루며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날개판의 하단부와 상기 밀폐판의 상면간의 절취부는 절취가 가능하게 다수의 점 접촉을 이루며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현예로서, 본 고안은 원통형의 삽입체와, 조인트관의 개방구 입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폐판과, 상기 삽입체의 외둘레면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판을 포함하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상기 밀폐판의 상면 위치에 날개판의 단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수분배출용 홀을 형성하여, 상기 날개판의 하단부와 밀폐판의 상면간이 서로 이격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삽입체의 외표면에 손잡이단을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다수개의 수분 배출용 홀을 관통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을 제공한다.
도 1a,1b,1c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2b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a,2b에 나타낸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을 조인트관의 개방구에 삽입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a,2b에 나타낸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을 조인트관의 개방구에 삽입/체결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5b는 기존의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기존의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삽입체 20 : 밀폐판
30 : 날개판 60a,60b: 수분 배출용 홀
70 : 손잡이단 80 : 절취부
100 :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a,1b,1c는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100)은 조인트관(210)의 개방구(220)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삽입체(10)와, 조인트관(210)의 개방구(220) 입구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폐판(20)과, 상기 삽입체(10)의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조인트관(210)의 내경면에 밀착되어지는 날개판(30)으로 구성되고, 특히 이날개판(30)의 하단과 이에 대응되는 밀폐판(20)의 상면은 서로 일체로 성형되어진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날개판(30)의 하단과 밀폐판(20)의 상면을 서로 일체로 성형하되, 일체가 되는 부분을 절취부(80)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절취부(80)는 서로 절취 분리되도록 일체가 되는 부분을 얇게 성형하거나, 다수의 점접촉으로 이루어진 절취선을 갖도록 성형한다.
이는, 금형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소켓을 제조할 때, 금형으로부터 본 고안의 소켓(100) 제품의 탈형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즉, 기존의 소켓(200) 제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날개판(250)의 하단과 밀폐판(240)의 상면간이 일정한 간극(t)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금형 제작시 상형과 하형만으로는 제품의 탈형이 불가하고, 그에 따라 일정한 간극(t)에 해당하는 별도의 분리 가능한 금형을 추가로 사용하여야 하는 비용상 그리고 작업상 문제점이 있었는 바, 본 고안의 소켓(100)은 날개판(30)의 하단과 밀폐판(20)의 상면간이 기존의 일정한 간극(t)없이 서로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별도의 추가 금형없이 상형과 하형만으로도 금형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물론 제품의 탈형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금형 제작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금형 제작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본 고안의 삽입체(10)에는 몇 개의 수분 배출용 홀(60a)이 형성되도록 성형되어, 관 내부로 유입되어진 수분을 용이하게 증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체(10)의 외표면에는 삽입체(10)의 직경을 가로 지르면서 손잡이단(70)이 일체로 성형되는 바, 조인트관(210)의 개방구(220)에 본 고안의 소켓(100)을 체결한 후, 탈거시에는 상기 손잡이단(70)을 잡고 당기면 되므로 소켓을 쉽게 탈거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단(70)은 삽입체(10)의 골격을 유지시하는 역할을 동시에 갖는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100)은 첨부한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관(210)의 개방구(220)에 탈거 가능하게 체결시켜 사용하게 되는 바, 먼저 삽입체(10)를 개방구(220)로 밀어 넣으면서 날개판(30)이 개방구(220)의 내경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밀폐판(20)을 개방구(220)의 입구 외주면에 밀착시킴에 따라, 조인트관(210)의 개방구(220)에 대한 소켓(100)의 마감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날개판(30)은 밀폐판(20)으로부터 절취 분리되어 플렉시블하게 좌우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서, 조인트관(210)의 개방구(200)에 날개판(10)을 일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삽입 체결시킬 수 있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조인트관이라도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 2a,2b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소켓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그 구조가 동일하고, 단지 날개판(30)의 하단과 대응되는 밀폐판(20)의 위치에 수분 배출용 홀(60b)이 형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날개판(30)의 단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수분 배출용 홀(60b)이 대응되는 위치의 밀폐판(20)에 관통되어 성형되어, 관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더욱 용이하게 증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렇게 밀폐판(20)에 날개판(30)의 갯수와 같은 수분 배출용 홀(60b)이 형성되도록 하는 금형 제작도 일실시예와 같이, 상형과 하형만으로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탈형 또한 수월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밀폐판(20)에 수분 배출용 홀(60b)을 형성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날개판(30)의 하단과 밀폐판의 상면간은 분리된 상태가 되고, 결국 날개판(30)은 플렉시블하게 좌우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100)도 같은 방법으로 조인트관(210)의 개방구(220)에 체결시키는 바, 첨부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체(10)를 조인트관(210)의 개방구(220)에 밀어 넣으면서 날개판(30)이 개방구(220)의 내경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밀폐판(20)을 개방구(220)의 입구 외주면에 밀착시킴에 따라, 조인트관(210)의 개방구(220)에 대한 소켓(100)의 마감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날개판(30)은 수분 배출용 홀(60b)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성형 제작시부터 분리 제작되어 플렉시블하게 좌우로 유동이 가능한 상태인 바, 상기 조인트관(210)의 개방구(200)에 날개판(10)을 일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삽입 체결시킬 수 있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조인트관이라도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에 의하면 기존의 제품과 달리 금형 제작이 매우 수월하고, 별도의 금형 추가가 없어 금형 제작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분 배출홀을 통하여 관 내부의 수분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관의 부식 촉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관의 개방구에 체결후 탈거시에는 손잡이단에 의하여 탈거가 쉽게 이루어진다.

Claims (4)

  1. 원통형의 삽입체와, 조인트관의 개방구 입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폐판과, 상기 삽입체의 외둘레면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판을 포함하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30)의 하단부와 상기 밀폐판(20)의 상면간을 서로 절취 가능한 절취부(80)로 일체 형성하고, 상기 삽입체(10)의 외표면에 손잡이단(70)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삽입체(10)에 다수개의 수분 배출용 홀(60a)을 관통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30)의 하단부와 상기 밀폐판(20)의 상면간의 절취부(80)는 서로 절취 가능하게 얇은 두께를 이루며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30)의 하단부와 상기 밀폐판(20)의 상면간의 절취부(80)는 서로 절취가 가능하게 다수의 점 접촉을 이루며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4. 원통형의 삽입체와, 조인트관의 개방구 입구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폐판과, 상기 삽입체의 외둘레면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판을 포함하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3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상기 밀폐판(20)의 상면 위치에 날개판(30)의 단면적과 동일한 크기의 수분 배출용 홀(60b)을 형성하여, 상기 날개판(30)의 하단부와 밀폐판(20)의 상면간이 서로 이격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삽입체(10)의 외표면에 손잡이단(70)을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다수개의 수분 배출용 홀을 관통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KR2020020026018U 2002-08-30 2002-08-30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KR200298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018U KR200298045Y1 (ko) 2002-08-30 2002-08-30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018U KR200298045Y1 (ko) 2002-08-30 2002-08-30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045Y1 true KR200298045Y1 (ko) 2002-12-12

Family

ID=7307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018U KR200298045Y1 (ko) 2002-08-30 2002-08-30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0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598B1 (ko) * 2008-10-17 2009-05-26 주식회사 퍼팩트 플랜지 소켓 일체형 맨홀 관접속장치
KR20170002167U (ko) * 2015-12-10 2017-06-20 탁준 배관용 마개
KR20200141735A (ko) * 2019-06-11 2020-12-21 (주)신안주철 파이프마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598B1 (ko) * 2008-10-17 2009-05-26 주식회사 퍼팩트 플랜지 소켓 일체형 맨홀 관접속장치
KR20170002167U (ko) * 2015-12-10 2017-06-20 탁준 배관용 마개
KR200484774Y1 (ko) * 2015-12-10 2017-11-20 탁준 배관용 마개
KR20200141735A (ko) * 2019-06-11 2020-12-21 (주)신안주철 파이프마개
KR102219515B1 (ko) 2019-06-11 2021-02-24 (주)신안주철 파이프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900B2 (en) Rough-in adapter
US20150292662A1 (en) Rough-In Adapter Cover and Assembly
KR200298045Y1 (ko)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US4186906A (en) Concrete mold fastening device and tool for said device
US6637464B1 (en) Hydrostatic test cap
US4832375A (en) Drainage element
KR200298046Y1 (ko) 조인트관 마개용 소켓
US5431815A (en) Drainage and coupling adapter for a fluid conduit
EP3757315A1 (de) Schalungseinlage
US4587994A (en) Sewer drain securing device for use with recreational vehicles
US4339406A (en) Process of forming a nozzle
KR200298047Y1 (ko) 조인트관 이물 침투방지용 덮개
JP2002129615A (ja) 排水管継手および排水管掃除装置
US957487A (en) Drain-pipe fitting.
JPS585346B2 (ja) 逆打ち工法における打継部の処理方法
KR20100009320U (ko) 배관 연결용 관통 슬리브
NZ267495A (en) Waste water drainage system in buildings: a fixed outer part and an inner replaceable part
KR20160146247A (ko)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EP2811081A2 (en) Insert of a floor gully and method for installing an insert of a floor gully
US4554772A (en) Boot guard for sewer manhole construction
JP4795924B2 (ja) セパレータ用プラグ装置
KR19990022237U (ko) 노출콘크리트용콘
JPH0735576U (ja) 排水トラップ
KR200165365Y1 (ko) 배수트랩
US535139A (en) Water-closet bo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