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932B1 - 전자 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932B1
KR102218932B1 KR1020167015601A KR20167015601A KR102218932B1 KR 102218932 B1 KR102218932 B1 KR 102218932B1 KR 1020167015601 A KR1020167015601 A KR 1020167015601A KR 20167015601 A KR20167015601 A KR 20167015601A KR 102218932 B1 KR102218932 B1 KR 102218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tting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plat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789A (ko
Inventor
다카시 츠츠미
마사아키 와타나베
히데키 다이지마
쇼타 시이노키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5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5Details particular to cont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8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with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2050/046Assembling parts of a relay by using snap mounting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스냅 피트부의 마모에 의한 진동의 조장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한다. 조작용 전자석을 내장하는 제1 프레임(11A)과, 접점 기구를 내장하는 제2 프레임(11B)과,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한쪽에 형성한 감합(嵌合) 돌기부(36)와 다른쪽에 형성한 감합 돌기부(36)에 감합되는 후크부(26)로 구성되는 스냅 피트부(37)를 구비하고, 후크부(26)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한쪽의 개방단에 돌출 형성된 가요성 돌출판부(26a)와, 이 가요성 돌출판부의 선단에 형성한 감합 돌기부(36)에 감합되는 감합부(26b)를 가지며, 가요성 돌출판부(26a)는, 감합부(26b)와 감합 돌기부(36) 사이의 마모의 진행에 맞춰 감합부(26b)를 감합 돌기부(36)의 안쪽측에 감합시키는 탄성이 부여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 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조작용 전자석을 내장하는 제1 프레임과 접점 기구를 내장하는 제2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자 접촉기로서는,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전자 접촉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자 접촉기는, 조작용 전자석의 고정 코어, 조작 코일 등이 포함된 하부 프레임이 되는 제1 프레임과, 접점 기구, 접점 지지부 및 조작용 전자석의 가동 코어 등이 포함된 상부 프레임이 되는 제2 프레임을 볼트로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전자 접촉기는, 고정 코어를 수용하는 하부 프레임이 되는 제1 프레임과, 가동 코어나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를 수용하는 상부 프레임이 되는 제2 프레임의 접합부에,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결합하는 체결 선스프링을 설치하고, 이 체결 선스프링으로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1643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9-9813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는, 하부 프레임이 되는 제1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이 되는 제2 프레임을 볼트 체결에 의해 연결하거나 또는 체결 선스프링을 사용하여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볼트 또는 체결 선스프링에 의해 강고히 고정할 수 있으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연결에 볼트 또는 체결 선스프링을 사용할 필요가 있어, 부품 개수가 증가한다고 하는 미해결의 과제가 있다.
근래, 전자 접촉기의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유리 등으로 섬유 강화한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해서 형성하게 되어,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스냅 피트 결합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인성(靭性)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고, 전자 접촉기 자신의 고정 접촉자에 대해 가동 접촉자를 접촉 및 분리시키기 위해서 조작용 전자석을 여자 상태로부터 비여자 상태로 하는 석방 상태로 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스냅 피트부의 마모가 진행되며, 스냅 피트부에 덜거덕거림이 발생하게 되어, 내구성을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미해결의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예의 미해결의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스냅 피트부의 마모에 의한 덜거덕거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일 양태는, 조작용 전자석을 내장하는 제1 프레임과, 접점 기구를 내장하는 제2 프레임과,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한쪽에 형성한 감합 돌기부와 다른쪽에 형성한 감합 돌기부에 감합되는 후크부로 구성되는 스냅 피트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후크부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한쪽의 개방단에 돌출 형성된 가요성 돌출판부와, 이 가요성 돌출판부의 선단에 형성한 감합 돌기부에 감합되는 감합부를 갖고, 가요성 돌출판부는, 감합부와 감합 돌기부 사이의 마모의 진행에 맞춰 감합부를 감합 돌기부의 안쪽측에 감합시키는 탄성이 부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용 전자석을 내장하는 제1 프레임과 접점 기구를 내장하는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스냅 피트부를 구성하는 후크부의 감합부와 감합 돌기부 사이의 마모가 진행되어도 후크부의 감합부와 감합 돌기부의 감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스냅 피트 결합하는 경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상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 상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제2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8은 스냅 피트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수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유리 섬유 등을 혼입한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 제1 프레임(11A) 및 제2 프레임(11B)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1 프레임(11A)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교류 전자석으로 구성되는 조작용 전자석(12)이 내장되어 있다. 제2 프레임(11B)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용 전자석(12)에 의해 온·오프 구동되는 접점 기구(13)가 내장되어 있다.
제1 프레임(11A)은, 조작용 전자석(12)을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각통(角筒) 형상부(21)를 갖는다. 이 바닥이 있는 각통 형상부(21)는, 정면에서 보아,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의 광폭부(21a)와, 이 광폭부(21a)의 한쪽의 대향 측벽, 예컨대 상하 측벽에 광폭부(21a)와 연통(連通)되도록 광폭부(21a)의 상하 방향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선대칭으로 형성된 협폭부(21b 및 21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폭부(21a)를 사이에 두는 협폭부(21b) 및 협폭부(21c) 사이의 바닥면에 E자 형상의 고정 코어(22)가 돌출부(22a∼22c)를 전방으로 향하게 하고 또한 연결부(22d)를 바닥면에 접촉시켜 장착되어 있다.
이 고정 코어(22)의 중앙 돌출부(22b)에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자 코일(23a)을 감아 장착한 스풀(23)이 장착되어 있다. 이 스풀(23)에는, 제1 프레임(11A)의 한쪽의 협폭부(21b)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자대(24)에 고정된 코일 단자(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1A)의 광폭부(21a)의 다른쪽의 대향 측벽, 예컨대 좌우 측벽의 전단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폭부(21b 및 21c)측의 양단부에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는, 예컨대 4개의 후크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후크부(26)는, 도 8의 (a)에 확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폭부(21a)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요성을 갖는 비교적 폭이 넓은 가요성 돌출판부(26a)와, 이 가요성 돌출판부(26a)의 선단 내측에 형성된 감합부(26b)로 구성되어 있다.
감합부(26b)는, 가요성 돌출판부(26a)의 전단으로부터 후방, 즉 가요성 돌출판부(26a) 베이스부측으로 향함에 따라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26c)과, 이 경사면(26c)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약간 연장되는 평탄면(26d)과, 이 평탄면(26d)의 후방단으로부터 가요성 돌출판부(26a)로 향하는 가요성 돌출판부(26a)와 직각이며, 감합부(26b)의 두께의 절반 정도까지 연장되는 감합면(26e)과, 이 감합면(26e)의 외측에 연접(連接)하는 R 모따기로 구성되는 원호면(26f)으로 단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후크부(26)는,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할 때에, 제1 프레임(11A)의 개방단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가요성 돌출판부(26a)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사출 성형 후의 잔류 응력에 의해 가요성 돌출판부(26a)가 내측으로 쓰러져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후크부(26)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감합 돌기부(36)에 감합시키기 위해서는, 가요성 돌출판부(26a)를 외측으로 휘게 하여 감합 돌기부(36)에 감합시킨다. 이 때문에, 가요성 돌출판부(26a)에 대해, 감합부(26b)를 감합 돌기부(36)의 안쪽측으로 압박하는 탄성이 부여된다.
또한, 제1 프레임(11A)의 바닥이 있는 각통 형상부(21)의 바닥부 4모퉁이에는 부착 구멍을 갖는 부착판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프레임(11B)은,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A)과 연결하는 연결부측의 형상이 제1 프레임(11A)의 바닥이 있는 각통 형상부(21)와 동일 형상을 갖는 각통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각통부(30)는, 바닥이 있는 각통 형상부(21)와 마찬가지로 광폭부(31a)와 이 광폭부(31a)와 연통되는 협폭부(31b 및 31c)를 갖는다.
또한, 각통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폭부(31b 및 31c)가 연통되어 있지 않은 대향 측면판부(30a 및 30b)가 연결부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 대향 측면판부(30a 및 30b)의 연장단부의 중앙부 사이에 연결판부(30c)가 가교되어 있다. 이 연결판부(30c)의 하측에는, 대향 측면판부(30a 및 30b) 사이를 평행하게 구획하는 복수, 예컨대 3장의 격벽(31)이 형성되어 주회로 전원측 단자부(32a) 및 보조 단자부(33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판부(30c)의 상측에는, 대향 측면판부(30a 및 30b) 사이를 평행하게 구획하는 복수, 예컨대 3장의 격벽(34)이 형성되어 주회로 부하측 단자부(32b) 및 보조 단자부(33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향 측면판부(30a 및 30b)에는, 제1 프레임(11A)의 후크부(26)에 대향하는 4부위에, 하단측으로부터 측면을 개방하는 오목부(35)가 각각 형성되고, 이들 오목부(35)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하단측에 제1 프레임(11A)에 형성된 후크부(26)의 감합부(26b)가 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감합 돌기부(3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오목부(3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합 돌기부(36)에 후크부(26)의 감합부(26b)가 걸린 상태에서, 전단측에 공구 삽입용 공간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구 삽입용 공간부(35a)에 마이너스(일자형)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후크부(26)의 감합부(26b)와 감합 돌기부(36)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각 감합 돌기부(36)는, 도 8의 (a)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35)의 후단면과 동일면이 되는 후단면(36a)과, 이 후단면(36a)의 외측단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외측으로 두께가 증가하여 형성된 경사면(36b)과, 이 경사면(36b)의 외방측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평탄면(36c)과, 이 평탄면(36c)의 전단으로부터 오목부(35)의 바닥면측으로 연장되는 감합면(36d)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11A)에 형성한 후크부(26)와 제2 프레임(11B)에 형성한 감합 돌기부(36)로 스냅 피트부(37)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판부(30c)의 배면측에 소호실(消弧室; 38)이 형성되고, 이 소호실(38) 내에 가동 접촉자(39a)를 유지하는 접점 지지부(39)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 접점 지지부(39)의 배면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코어(22)에 대향하는 가동 코어(40)가 연결 스프링(40a)을 통해 연결되고, 이 가동 코어(40)와 제1 프레임(11A)의 스풀(23)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복귀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판부(30c)의 상면, 정면 및 하면을 덮도록 소호 커버(4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11A)과 제2 프레임(11B)이,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A)의 후크부(26)를 제2 프레임(11B)의 감합 돌기부(36)에 감합시킨 상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다.
여기서, 제1 프레임(11A)과 제2 프레임(11B)의 연결은, 제1 프레임(11A)으로부터 돌출되는 코일 단자(25)가 제2 프레임(11B)의 주회로 전원측 단자부(32a) 및 보조 단자부(33a)와 대향하는 상태로 하여, 제1 프레임(11A)에 형성한 후크부(26)와 제2 프레임(11B)에 형성한 감합 돌기부(36)를 대향시킨다.
여기서, 후크부(26)는, 제2 프레임(11B)의 감합 돌기부(36)에 감합되어 있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돌출판부(26a)가 사출 성형시의 잔류 응력에 의해 내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고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감합부(26b)의 경사면(26c)이 제2 프레임(11B)의 감합 돌기부(36)의 후단면(36a)과 경사면(36b)의 능선에 대향하고 있다.
여기서, 후크부(26)와 감합 돌기부(36)를 감합시켜 제1 프레임(11A) 및 제2 프레임(11B)을 연결한 경우에, 후크부(26)의 감합부(26b)와 감합 돌기부(36)의 간섭이 없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후크부(26)의 가요성 돌출판부(26a)가 제1 프레임(11A) 및 제2 프레임(11B)의 측면과 동일면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26)의 감합면(26e)에 연접하는 원호면(26f)보다 감합 돌기부(36)의 평탄면(36c)과 감합면(36d)의 능선이 전방측의 감합부(26b) 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후크부(26)와 감합 돌기부(36)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제2 프레임(11B)을 제1 프레임(11A)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후크부(26)의 경사면(26c)이 감합 돌기부(36)의 후단면(36a)과 경사면(36b)의 능선에 접촉한다. 제2 프레임(11B)을 제1 프레임(11A)측으로 더 이동시킴으로써, 후크부(26)의 경사면(26c)과 평탄면(26d)의 능선이 감합 돌기부(36)의 경사면(36b)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후크부(26)의 가요성 돌출판부(26a)가 외측으로 휘어진다.
그 후, 후크부(26)의 평탄면(26d)이 감합 돌기부(36)의 평탄면(36c)에 결합되고 나서 후크부(26)의 감합면(26e)이 감합 돌기부(36)의 감합면(36d)에 걸린다. 이때, 감합 돌기부(36)의 감합면(36d)에 마모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26)의 감합면(26e)과 원호면(26f)의 경계 위치가 감합 돌기부(36)의 평탄면(36c)과 감합면(36d)의 능선에 접촉하여 가요성 돌출판부(26a)가, 예컨대 외측으로 휘어진 상태로 제1 프레임(11A) 및 제2 프레임(11B)이 연결된다.
그러나, 도 8의 (c)의 후크부(26)와 감합 돌기부(36)의 감합 상태에서, 전자 접촉기(10)를 작동시키면, 조작용 전자석(12)의 여자 코일(23a)이 비통전 상태로서 조작용 전자석(12)이 비여자 상태인 경우에는, 가동 코어(40)가 도시하지 않은 복귀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압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접점 지지부(39)에 지지되어 있는 가동 접촉자(39a)가 고정 접촉자로부터 이격된 석방 상태에 있다.
이 석방 상태로부터, 조작용 전자석(12)의 여자 코일(23a)에 교류 전력을 통전하여 조작용 전자석(12)을 여자 상태로 하면, 가동 코어(40)가 복귀 스프링에 대항하여 고정 코어(22)에 흡인된다. 이 때문에, 가동 코어(40)에 연결 스프링(40a)을 통해 연결된 접점 지지부(39)의 가동 접촉자(39a)가 고정 접촉자에 접촉하여, 주회로 전원측 단자부(32a) 및 보조 단자부(33a)와 주회로 부하측 단자부(32b) 및 보조 단자부(33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통전 상태가 된다.
이 통전 상태로부터 조작용 전자석(12)의 여자 코일(23a)에 대한 교류 전력의 통전을 차단함으로써, 고정 코어(22)에 의한 흡인력이 소실되어 가동 코어(40)가 복귀 스프링에 의해 전방의 석방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가동 코어(40)가 복귀 스프링에 의해 석방 위치로 복귀할 때에 진동이 발생하고, 이 진동이 제1 프레임(11A) 및 제2 프레임(11B)에 전달됨으로써, 양자의 접합부인 후크부(26)의 감합면(26e) 및 원호면(26f)과 감합 돌기부(36)의 감합면(36d)의 접촉부에 마모가 발생한다.
이 통전 상태와 석방 상태를 반복함으로써, 후크부(26)의 감합면(26e) 및 원호면(26f)과 감합 돌기부(36)의 감합면(36d) 사이의 마모가 진행된다.
이 마모는, 감합 돌기부(36)의 평탄면(36c)과 감합면(36d)의 능선부에서 현저하게 발생하게 되고, 이 능선부가 마모에 의해 서서히 반경이 커지는 원호면이 되어 간다. 이 경우, 후크부(26)의 가요성 돌출판부(26a)는 원래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어 휘어짐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마모의 진행에 따라, 가요성 돌출판부(26a)의 탄성력에 의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26)의 가요성 돌출판부(26a)가 내측으로 휘어져, 가요성 돌출판부(26a)의 외측 표면이 제1 프레임(11A) 및 제2 프레임(11B)의 측면과 동일면의 상태가 된다.
또한, 후크부(26) 및 감합 돌기부(36) 사이의 마모가 진행되면,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26)의 가요성 돌출판부(26a)가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가 되면, 감합부(26b)의 경사면(26c)과 평탄면(26d)의 능선부가 오목부(35)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상태가 되어, 이 이상의 가요성 돌출판부(26a)의 경사가 규제된다.
이와 같이, 후크부(26)와 감합 돌기부(36) 사이의 마모가 진행되어도, 이 마모에 따라 후크부(26)의 가요성 돌출판부(26a)의 휘어짐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가요성 돌출판부(26a)가 경사져서, 후크부(26)의 감합부(26b)가 감합 돌기부(36)의 안쪽측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문에, 후크부(26)의 감합면(26e) 및 원호면(26f)과 감합 돌기부(36)의 평탄면(36c) 및 감합면(36d)의 능선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프레임(11A) 및 제2 프레임(11B)의 연결에 스냅 피트 결합을 적용한 경우에도,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제1 프레임(11A) 및 제2 프레임(11B) 사이의 연결 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자 접촉기(10)를 석방 상태로 했을 때에 제1 프레임(11A) 및 제2 프레임(11B) 사이에 생기는 진동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자 접촉기(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술한 종래예와 같이, 제1 프레임(11A) 및 제2 프레임(11B)을 연결하는 체결 선스프링이나 볼트를 설치하지 않고, 스냅 피트부에 의해 제1 프레임(11A) 및 제2 프레임(11B)을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어, 부품 개수를 감소시켜 전자 접촉기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후크부(26)의 가요성 돌출판부(26a)를 내측으로 경사시키는 경우에,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한 후의 잔류 응력에 의한 쓰러짐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요성 돌출판부(26a)를 경사시키기 위해서 특별한 설계를 행할 필요가 없으며, 가요성 돌출판부(26a)의 잔류 응력에 의한 경사를 억제하는 형상을 설계할 필요도 없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마모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가요성 돌출판부(26a)의 휘어짐 상태가,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휘어져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모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돌출판부(26a)의 외측 표면이 제1 프레임(11A) 및 제2 프레임(11B)의 측면과 동일면의 상태가 되도록 해도 좋고, 혹은 가요성 돌출판부(26a)가 제1 프레임(11A) 및 제2 프레임(11B)의 측면의 약간 내측이 되도록 해도 좋다. 요컨대, 가요성 돌출판부(26a)가 외측으로 휘어진 상태로 되어 있으면 된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용 전자석(12)으로서 교류 전자석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극 직류 전자석이나 유극 직류 전자석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플런저를 접점 지지부(39)에 연결 스프링을 통해 연결하도록 하면 된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프레임(11A)에 후크부(26)를 형성하고, 제2 프레임(11B)에 감합 돌기부(36)를 형성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프레임(11A)에 감합 돌기부(36)를 형성하고, 제2 프레임(11B)에 후크부(26)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후크부(26) 및 감합 돌기부(36)의 배치 세트수는, 4세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세트, 5세트 이상의 임의의 세트수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용 전자석(12)으로서 교류 전자석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극 직류 전자석이나 유극 직류 전자석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플런저를 접점 지지부(39)에 연결 스프링을 통해 연결하도록 하면 된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프레임(11A)에 후크부(26)를 형성하고, 제2 프레임(11B)에 감합 돌기부(36)를 형성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프레임(11A)에 감합 돌기부(36)를 형성하고, 제2 프레임(11B)에 후크부(26)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후크부(26) 및 감합 돌기부(36)의 배치 세트수는, 4세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세트, 5세트 이상의 임의의 세트수로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10: 전자 접촉기 11A: 제1 프레임
11B: 제2 프레임 12: 조작용 전자석
13: 접점 기구 21: 바닥이 있는 각통 형상부
22: 고정 코어 23: 스풀
25: 코일 단자 26: 후크부
26a: 가요성 돌출판부 26b: 감합부
26c: 경사면 26d: 평탄면
26e: 감합면 26f: 원호면
30: 각통부 32a: 주회로 전원측 단자부
32b: 주회로 부하측 단자부 33a, 33b: 보조 접점부
35: 오목부 36: 감합 돌기부
36a: 후단면 36b: 경사면
36c: 평탄면 36d: 감합면
37: 스냅 피트부 39: 접점 지지부
40: 가동 코어

Claims (4)

  1. 조작용 전자석을 내장하는 제1 프레임과, 접점 기구를 내장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한쪽에 형성한 감합(嵌合) 돌기부와 다른쪽에 형성한, 상기 감합 돌기부에 감합되는 후크부로 구성되는 스냅 피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어느 한쪽의 개방단에 돌출 형성된 가요성 돌출판부와, 이 가요성 돌출판부의 선단에 형성한, 상기 감합 돌기부에 감합되는 감합부를 가지며,
    상기 가요성 돌출판부는, 상기 감합부와 상기 감합 돌기부 사이의 마모의 진행에 맞춰 상기 감합부를 상기 감합 돌기부의 안쪽측에 감합시키는 탄성이 부여되고,
    상기 후크부의 감합부는, 상기 가요성 돌출판부의 선단으로부터 베이스부측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돌출되는 경사면과, 이 경사면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가요성 돌출판부와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부측으로 연장되는 평탄면과, 이 평탄면의 상기 베이스부측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가요성 돌출판부까지 연장되는 감합면과, 상기 감합면의 외측에 연접하는 원호면에 의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합 돌기부는, 상기 후크부와의 감합시에, 상기 후크부의 감합부에 있어서의 경사면과 평탄면의 경계와 결합되어 상기 가요성 돌출판부를 외측으로 휘게 하는 경사면과, 이 경사면의 외측 단부에 연접(連接)하는 평탄면과, 이 평탄면의 상기 경사면과는 반대측의 단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감합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크부의 상기 감합면과 상기 원호면의 경계 위치가, 상기 감합 돌기부의 상기 평탄면과 상기 감합면의 능선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연결되며,
    상기 후크부가 상기 감합 돌기부에 감합되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감합 돌기부에 감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를 형성한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중 한쪽은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고, 사출 성형 후의 잔류 응력에 의한 상기 후크부의 내측으로의 쓰러짐을 이용하여 상기 후크부에 탄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3. 삭제
  4. 삭제
KR1020167015601A 2014-05-20 2015-04-07 전자 접촉기 KR102218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04751 2014-05-20
JP2014104751 2014-05-20
PCT/JP2015/001949 WO2015177961A1 (ja) 2014-05-20 2015-04-07 電磁接触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789A KR20170005789A (ko) 2017-01-16
KR102218932B1 true KR102218932B1 (ko) 2021-02-23

Family

ID=5455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601A KR102218932B1 (ko) 2014-05-20 2015-04-07 전자 접촉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87054B2 (ko)
JP (1) JP6172388B2 (ko)
KR (1) KR102218932B1 (ko)
CN (1) CN105849846B (ko)
WO (1) WO2015177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4809B (zh) * 2014-05-20 2018-04-27 富士电机机器制御株式会社 电磁接触器
RU181339U1 (ru) * 2017-12-29 2018-07-1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мпания ПЛАСТМЕТАЛЛ" Устройство дугогасительное высоковольтн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CN108133868B (zh) * 2017-12-29 2024-04-30 武汉长海电气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直流接触器触头系统
CN209045441U (zh) 2018-09-27 2019-06-28 伊顿电气有限公司 接触器
CN117292979A (zh) * 2019-12-02 2023-12-26 富士电机机器制御株式会社 电气装置
JP7314807B2 (ja) * 2020-01-21 2023-07-26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2023141766A (ja) 2022-03-24 2023-10-05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気機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46156Y (zh) * 2007-11-13 2008-11-05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基座与底座相互卡接的接触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21772A1 (fr) * 1982-02-12 1983-08-19 Telemecanique Electrique Appareil inverseur a commande electromagnetique et verrouillage mecanique
US5848719A (en) * 1997-05-02 1998-12-15 Motorola, Inc. Battery cover latch
JP2006216437A (ja) 2005-02-04 2006-08-17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電磁接触器
EP1719796A1 (en) * 2005-05-03 2006-11-08 DSM IP Assets B.V. A polyester moulding composition for use in electrical devices
JP2009009813A (ja) 2007-06-28 2009-01-15 Fuji Electric Assets Management Co Ltd 電磁接触器
JP5018845B2 (ja) * 2009-08-20 2012-09-05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5024340B2 (ja) 2009-08-20 2012-09-12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TWI438610B (zh) * 2011-06-21 2014-05-21 Wistron Corp 可攜式電子裝置及其殼體
DE102015210862B4 (de) * 2014-06-27 2022-08-18 Xiamen Hongfa Electrical Safety & Controls Co. Ltd. Schaltgerät
CN104064405B (zh) * 2014-06-27 2017-05-17 厦门宏发开关设备有限公司 一种接触器的卡扣式联接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46156Y (zh) * 2007-11-13 2008-11-05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基座与底座相互卡接的接触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93366A1 (en) 2016-10-06
JP6172388B2 (ja) 2017-08-02
JPWO2015177961A1 (ja) 2017-04-20
KR20170005789A (ko) 2017-01-16
CN105849846A (zh) 2016-08-10
WO2015177961A1 (ja) 2015-11-26
US9887054B2 (en) 2018-02-06
CN105849846B (zh)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932B1 (ko) 전자 접촉기
JP6692242B2 (ja) 振動モータ
KR102204849B1 (ko) 전자 접촉기
KR101598421B1 (ko) 전자접촉기
JP6403048B2 (ja) 接点装置
US9721741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CN115083838A (zh) 电磁继电器
KR102344132B1 (ko) 전자 접촉기
KR102208900B1 (ko) 전기 기기의 레일 부착 장치
US10396645B2 (en) Vibration motor
JP4835427B2 (ja) リレー
US20160126042A1 (en) Crossbar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US10396644B2 (en) Vibration motor
CN108701568B (zh) 用于窄继电器的托架、托架组件和继电器
CN215644322U (zh) 触点装置
WO2024009559A1 (ja) 有極直流電磁石装置、電磁接触器
JP2018081828A (ja) 電磁リレー
CN117612901A (zh) 电磁接触器
JPH05174682A (ja) 電磁接触器の取付姿勢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