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273B1 - 압연기의 스크류 업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 - Google Patents

압연기의 스크류 업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273B1
KR102218273B1 KR1020190102971A KR20190102971A KR102218273B1 KR 102218273 B1 KR102218273 B1 KR 102218273B1 KR 1020190102971 A KR1020190102971 A KR 1020190102971A KR 20190102971 A KR20190102971 A KR 20190102971A KR 102218273 B1 KR102218273 B1 KR 102218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olling mill
pulley
withdrawal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욱
주광호
김이수
정광우
전병호
이재규
김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대운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대운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02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기의 스크류 업을 쉽고 안전하게 인출 또는 설치할 수 있는 압연기의 스크류 업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장치는, 압연기에서 스크류 업을 인출하는 인출장치로서, 상기 압연기의 스탠드에 매달려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 업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 업을 들어올리는 인상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연기의 스크류 업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WITHDRAWING SCREW UP OF ROLLING MILL}
본 발명은, 압연기의 스크류 업(Screw Up)을 쉽고 안전하게 인출 또는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압연기의 스크류 업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열간압연에 사용되는 마무리 압연기는 적어도 한 쌍의 원통형 롤을 서로 회전시키면서 이들 롤 사이에 소재를 통과시켜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소재를 원하는 두께로 가공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압연기의 하부에는, 롤의 위치를 제어하여 롤 갭(Roll Gap)을 조정하는 스크류 업이 설치되게 된다. 스크류 업은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의해 유지보수하거나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기 위해 압연기로부터 인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스크류 업 인출작업은, 작업자가 협소한 압연기의 스탠드 내부에 들어가서 체인 등을 활용하여 수동으로 스크류 업을 인출하거나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져 전체 유지보수 또는 교체 공정을 지연시키는 넥(Neck) 작업으로 작용하며, 작업자의 추락, 전도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특허문헌 1) KR 1351546 B1
이에 본 발명은, 압연기의 스크류 업을 쉽고 안전하게 인출 또는 설치할 수 있는 압연기의 스크류 업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장치는, 압연기에서 스크류 업을 인출하는 인출장치로서, 상기 압연기의 스탠드에 매달려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 업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 업을 들어올리는 인상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인상수단은, 상기 본체의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 도르래; 내부에 제2 도르래를 구비하고, 하부에 상기 스크류 업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가 장착된 도르래 블록; 상기 제1 도르래와 상기 제2 도르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아 돌아 지나가는 체인부재; 및 상기 제1 도르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르래의 회전축에 토크 리미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방법은, 전술한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압연기의 스탠드 내로 운반하는 단계; 상기 스크류 업 인출장치의 본체를 상기 압연기의 스탠드에 매달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류 업 인출장치의 인상수단을 상기 압연기의 스크류 업에 연결하여, 상기 스크류 업을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업을 들어올리는 단계에서는, 정상 토크 이상의 토크가 발생할 때 상기 스크류 업 인출장치의 인상수단 중 제1 도르래와 회전축 사이의 토크 전달을 단속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운반지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승강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사용하여 스크류 업을 인출하는 인출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사용하여 스크류 업을 인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장치는, 압연기에서 스크류 업(1)을 인출하는 인출장치로서, 압연기의 스탠드(2; 도 5 내지 도 7 참조)에 매달려 설치되는 본체(10); 및 이 본체에 구비되고, 스크류 업에 연결되어 스크류 업을 들어올리는 인상수단(20)을 포함하고 있다.
본체(10)는 프레임(11)과, 이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브라켓(1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2)의 상부에는, 본체(10)를 와이어 로프(3; 도 5 내지 도 7 참조)에 의해 압연기의 스탠드(2)에 매달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고리부(13)가 장착될 수 있다.
인상수단(20)은, 본체(10)의 브라켓(1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 도르래(21); 내부에 제2 도르래(22)를 구비하고, 하부에 스크류 업(1)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23)가 장착된 도르래 블록(24); 제1 도르래와 제2 도르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아 돌아 지나가는 체인부재(25); 및 제1 도르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르래(21)의 회전축(31)은 브라켓(12)에 의해 지지되어, 모터(26)의 모터축(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도르래와 모터 사이에 기어 박스(27)가 개재된 경우에는, 제1 도르래의 회전축은 기어 박스의 출력축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모터(26)는 본체(10)의 프레임(11)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기어 박스(27)는 본체(10)의 브라켓(12)에서 제1 도르래(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력의 확실한 전달을 위해, 제1 도르래(21)의 회전축(31)과 모터(26)의 모터축 사이 또는 제1 도르래의 회전축과 기어 박스(27)의 출력축 사이에는 스플라인 연결부(32)가 채용될 수 있다.
체인부재(25)의 일단은 체인 박스(35)에 고정되고, 이 체인부재는 제1 도르래(21)와 제2 도르래(22)를 거쳐 통과하며, 체인부재의 타단은 본체(10)의 프레임(11)에 고정되어 있다. 도르래 블록(24)은 제2 도르래에 의해 그리고 제2 도르래와 함께 체인부재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체인 박스(35)는 본체(10)의 프레임(11)에 설치된 박스 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부에 도르래 블록(24)의 제2 도르래(22) 및 연결고리(23)의 이동에 따라 체인부재를 담아둘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체인 박스(35)의 출구에 인접하여 본체(10)의 브라켓(12)에는 체인부재(25)의 진행시 그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체인 가이드(3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체인 가이드는 원주방향으로 오목홈이 형성된 롤러부재 또는 기둥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장치는, 모터(26)의 전원을 온-오프하고 도르래 블록(24)에 있는 연결고리(23)의 수직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원격 조정기(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장치는, 압연기의 스크류 업(1)이 연결된 상태에서 인상수단(20)이 작동할 때, 체인부재(25)의 절단, 모터(26)의 소손 등과 같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제1 도르래(21)의 회전축(31)에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 33)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 토크의 범위 내에서 구동이 이루어지면, 제1 도르래(21)의 회전축(31)에 고정된 토크 리미터(33)의 내부에 구비된 마찰판과 제1 도르래에 고정된 반대쪽 마찰판이 서로 밀착되어 모터(26)의 구동력을 제1 도르래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토크의 범위 내에서는 제1 도르래의 원활한 정역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정상 토크 이상의 토크가 발생하면 토크 리미터(33)의 마찰판들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제1 도르래(21)는 회전하지 않으나 그 회전축(31)은 모터(26)에 의해 공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스크류 업 인출장치의 인상수단(20)이 작동할 때 정상 토크 이상의 토크가 발생하더라도, 제1 도르래(21)의 회전축(31)에 설치된 토크 리미터(33)에서 토크 전달에 대한 단속이 이루어져 사고를 예방하고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장치는, 본체(10)의 브라켓(12)에 장착된 고리부(13)에 로드셀(미도시)이 설치되고, 이 로드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스크류 업 인출장치에 가해지는 부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운반지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승강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장치는, 전술한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압연기의 스탠드(2; 도 5 내지 도 7 참조) 내로 운반하는 운반지그(40)와, 이 운반지그 상에 놓이고서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승강시키는 승강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반지그(40)는, 지그본체(41), 이 지그본체에 구비된 복수의 바퀴(42), 및 지그본체 상에 마련된 안내레일(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반지그(40)의 이동을 위해 압연기의 스탠드(2)에는 롤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하는 레일(4)이 구비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운반지그(40)는 그 안내레일(43) 상에 위치한 승강대(50)와 이 승강대 위에 놓인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싣고서, 복수의 바퀴(42)에 의해 스탠드(2)에 있는 레일(4; 도 5 내지 도 7 참조)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대와 스크류 업 인출장치는 운반지그 상에 놓인 채 안정적으로 압연기의 스탠드의 안팎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승강대(50)는, 복수의 바퀴(52)를 구비한 대차(51); 이 대차의 상부에 설치된 X링크부(53); 이 X링크부의 상부에 수평하게 위치한 상판(54); 및 대차에 설치되고, X링크부에 연결되어 X링크부를 상하로 신축시키는 구동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대(50)의 대차(51)에 구비된 복수의 바퀴(52)는 운반지그(40)의 안내레일(43)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X링크부(53)는 복수의 링크부재(56)가 X자 형태로 힌지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X링크부는 상하 2단으로 구성된 것이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수는 임의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X링크부(53)를 구성하는 최하단 링크부재(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단은 대차(51)에 설치된 링크 가이드(57)를 따라 미끄럼이동할 수 있다.
더불어, X링크부(53)를 구성하는 최상단 링크부재(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은 상판(54)에 마련된 링크 가이드(57)를 따라 미끄럼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X링크부(53)의 링크부재(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에 연결된 구동부(55)가 밀거나 당김으로써, X링크부는 상하로 신축이 가능하게 된다.
구동부(55)로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유체압 실린더나 전기식 액츄에이터, 또는 볼너트가 선형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된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등이 채택될 수 있다.
추가로, 대차(51)에는 구동부(55)의 구동을 제어하여 X링크부(53)를 신장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상판(54)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승강대(50)의 상판(54) 위에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올려놓고서 대차(51)를 복수의 바퀴(52)에 의해 운반지그(40)의 안내레일(43)을 따라 주행시켜 승강대를 운반지그 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제어부에 의해 구동부(55)를 구동시키고 이로 인해 X링크부(53)를 신축시킴으로써 상판(54)을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압연기의 스탠드(2)의 상단에 구비된 와이어 로프(3; 도 5 내지 도 7 참조)에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편리하고 용이하게 연결하여 매달아 둘 수 있다. 물론, 그 연결의 해제도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사용하여 스크류 업을 인출하는 인출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사용하여 스크류 업을 인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방법은, 전술한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압연기의 스탠드(2) 내로 운반하는 단계; 스크류 업 인출장치의 본체(10)를 압연기의 스탠드에 매달아 설치하는 단계; 및 스크류 업 인출장치의 인상수단(20)을 압연기의 스크류 업(1)에 연결하여, 스크류 업을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기의 하부에서 스크류 업(1)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압연기의 롤을 스탠드(2)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해야 한다. 이때, 압연기의 스탠드의 상단에 와이어 로프(3)를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류 업 인출장치가 승강대(50)의 상판(54) 위에 놓인다. 또,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지지하고 있는 승강대는 운반지그(40) 상에 놓이게 된다.
이들 운반지그(40)와 승강대(50) 및 스크류 업 인출장치는, 복수의 바퀴(42)에 의해 운반지그가 스탠드(2)에 있는 레일(4)을 따라 주행하게 됨으로써 압연기의 스탠드 내로 이동 및 운반될 수 있다.
이어서, 승강대(50)를 운반지그(40) 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후, 작업자가 승강대(50)의 상판(54)에 탑승한다. 제어부의 제어하에 구동부(55)가 구동되어 X링크부(53)가 신장됨으로써, 작업자와 스크류 업 인출장치가 놓여 있는 상판(54)은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될 수 있다.
작업자는 압연기의 스탠드의 상단에 설치된 와이어 로프(3)에다 스크류 업 인출장치의 본체(10)의 브라켓(12)에 장착된 고리부(13)를 연결한다.
승강대(50)의 제어부에 의해 다시 구동부(55)가 구동되어 X링크부(53)가 수축됨으로써, 상판(54)이 원래의 위치로 하강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업 인출장치는 와이어 로프(3)에 의해 압연기의 스탠드(2)에 매달려 있게 되고, 작업자는 승강대(50)에서 하차할 수 있다.
운반지그(40)와 승강대(50)는, 복수의 바퀴(42)에 의해 운반지그(40)가 스탠드(2)에 있는 레일(4)을 따라 주행하게 됨으로써 압연기의 스탠드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원격 조정기(28)를 사용하여 스크류 업 인출장치의 인상수단(20)을 구동하는 모터(26)에 전원을 인가하고 그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제1 도르래(21)를 회전시키고 체인부재(25)를 아래로 풀어내어 도르래 블록(24)의 연결고리(23)를 하강시킨다.
연결고리(23)를 해당 스크류 업(1)에 연결한 다음, 작업자는 원격 조정기(28)를 사용하여 다시금 모터(26)에 전원을 인가하고 역방향으로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제1 도르래(2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체인부재(25)를 위로 당겨 올려 도르래 블록(24)의 연결고리(23)를 상승시킨다.
제1 도르래(21)의 회전으로 인해 체인부재(25)와 도르래 블록(24)의 제2 도르래(22) 및 연결고리(23)가 상승함에 따라, 스크류 업(1)은 압연기의 스탠드(2)의 하부로부터 쉽게 인출될 수 있다.
스크류 업(1)이 인출되는 도중에, 작업자는 스크류 업 인출장치의 본체(10)에 설치된 로드셀과 이 로드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스크류 업 인출장치에 가해지는 부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스크류 업 인출장치의 인상수단(20)이 작동할 때 정상 토크 이상의 토크가 발생하더라도, 인상수단에, 즉 제1 도르래(21)의 회전축(31)에 설치된 토크 리미터(33)에서 제1 도르래와 회전축 사이의 토크 전달을 단속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장치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압연기의 하부에서 인출이 완료된 스크류 업에 대해서는 충분한 점검을 통해 유지보수작업이 실시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새로운 것으로 교환될 수 있다.
점검 후 스크류 업의 재설치 또는 교환은 전술한 공정의 역순으로 이행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스크류 업을 압연기로부터 인출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인출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스크류 업 2: 스탠드
3: 와이어 로프 4: 레일
10: 본체 11: 프레임
12: 브라켓 13: 고리부
20: 인상수단 21: 제1 도르래
22: 제2 도르래 23: 연결고리
24: 도르래 블록 25: 체인부재
26: 모터 27: 기어 박스
28: 원격 조정기 31: 회전축
33: 스플라인 연결부 33: 토크 리미터
35: 체인 박스 36: 체인 가이드
40: 운반지그 41: 지그본체
42, 52: 바퀴 43: 안내레일
50: 승강대 51: 대차
53: X링크부 54: 상판
55: 구동부 57: 링크 가이드

Claims (15)

  1. 압연기에서 스크류 업을 인출하는 인출장치로서,
    상기 압연기의 스탠드에 매달려 설치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 업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 업을 들어올리는 인상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인상수단은,
    상기 본체의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 도르래;
    내부에 제2 도르래를 구비하고, 하부에 상기 스크류 업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가 장착된 도르래 블록;
    상기 제1 도르래와 상기 제2 도르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아 돌아 지나가는 체인부재; 및
    상기 제1 도르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르래의 회전축에 토크 리미터가 설치된 스크류 업 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를 와이어 로프에 의해 상기 압연기의 스탠드에 매달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고리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업 인출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박스의 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의 브라켓에는 상기 체인부재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체인 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업 인출장치.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고리부에 설치된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업 인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상기 압연기의 스탠드 내로 운반하는 운반지그; 및
    상기 운반지그 상에 놓이고서 상기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승강시키는 승강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업 인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지그는,
    지그본체,
    상기 지그본체에 구비된 복수의 바퀴, 및
    상기 지그본체 상에 마련된 안내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업 인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는,
    복수의 바퀴를 구비한 대차;
    상기 대차의 상부에 설치된 X링크부;
    상기 X링크부의 상부에 수평하게 위치한 상판; 및
    상기 대차에 설치되고, 상기 X링크부에 연결되어 상기 X링크부를 상하로 신축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바퀴는 상기 운반지그의 안내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업 인출장치.
  10. 청구항 1에 따른 스크류 업 인출장치를 압연기의 스탠드 내로 운반하는 단계;
    상기 스크류 업 인출장치의 본체를 상기 압연기의 스탠드에 매달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류 업 인출장치의 인상수단을 상기 압연기의 스크류 업에 연결하여, 상기 스크류 업을 들어올리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업을 들어올리는 단계에서는, 정상 토크 이상의 토크가 발생할 때 상기 스크류 업 인출장치의 인상수단 중 제1 도르래와 회전축 사이의 토크 전달을 단속하는 스크류 업 인출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압연기의 롤을 상기 스탠드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업 인출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류 업 인출장치가 승강대의 상판 위에 놓이고, 상기 승강대는 운반지그 상에 놓인 후, 상기 운반지그의 복수의 바퀴가 상기 스탠드에 있는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업 인출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달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류 업 인출장치가 놓여 있는 상기 승강대의 상판이 상승하는 단계,
    상기 압연기의 스탠드의 상단에 설치된 와이어 로프에다 상기 스크류 업 인출장치의 본체에 있는 고리부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승강대의 상판이 하강하고, 상기 운반지그와 상기 승강대는 상기 스탠드 밖으로 빠져나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업 인출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업을 들어올리는 단계에서는, 상기 스크류 업 인출장치에 가해지는 부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업 인출방법.
  15. 삭제
KR1020190102971A 2019-08-22 2019-08-22 압연기의 스크류 업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 KR102218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971A KR102218273B1 (ko) 2019-08-22 2019-08-22 압연기의 스크류 업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971A KR102218273B1 (ko) 2019-08-22 2019-08-22 압연기의 스크류 업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273B1 true KR102218273B1 (ko) 2021-02-22

Family

ID=7468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971A KR102218273B1 (ko) 2019-08-22 2019-08-22 압연기의 스크류 업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2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936Y1 (ko) * 1998-12-16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롤쵸크 베어링 분해장치
KR20050018702A (ko) * 2003-08-08 2005-02-24 포철산기주식회사 냉연 압연기용 롤 체인지 시스템
KR20130125263A (ko) *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의 스크류 다운 인출 장치 및 방법
JP2014024674A (ja) * 2012-07-30 2014-02-06 Kito Corp チェーンブロック
KR20180021304A (ko) * 2016-08-18 2018-03-02 주식회사 포스코 슬리브 교환에 사용되는 지그 및 이를 사용하는 슬리브 교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936Y1 (ko) * 1998-12-16 2002-11-18 주식회사 포스코 롤쵸크 베어링 분해장치
KR20050018702A (ko) * 2003-08-08 2005-02-24 포철산기주식회사 냉연 압연기용 롤 체인지 시스템
KR20130125263A (ko) *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의 스크류 다운 인출 장치 및 방법
JP2014024674A (ja) * 2012-07-30 2014-02-06 Kito Corp チェーンブロック
KR20180021304A (ko) * 2016-08-18 2018-03-02 주식회사 포스코 슬리브 교환에 사용되는 지그 및 이를 사용하는 슬리브 교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4488A (en) Modified x-frame lifting apparatus
JP5538471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工法
JPH09165106A (ja) 自動倉庫用貨物入出庫装置
KR100963790B1 (ko) 스트립 이송 테이블 장치
KR101647788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텐션 유지 관리 시스템
CN108217213A (zh) 石墨烯eps切割板块自动码垛机
KR102218273B1 (ko) 압연기의 스크류 업 인출장치 및 인출방법
KR101746981B1 (ko)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연설비
KR101568524B1 (ko) 감속기용 구동커플링 커버 지지장치
CN106698244A (zh) 一种带有滑轨式升降装置
KR20170075089A (ko) 플레이트 이동 장치
CN105414197B (zh) 一种具有支承辊换辊机构的轧机
KR101689896B1 (ko) 승강이송로봇용 부품교체장치
KR101016263B1 (ko) 철골 구조의 볼트 체결을 위한 더블시저타입 이동 메니퓰레이터 로봇
KR101493072B1 (ko) 압연롤 로딩시스템
CN215711291U (zh) 一种建筑工程用建材提升机
JP3323786B2 (ja) ローラレベラのロールユニット交換装置
JP5538470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工法
KR101929753B1 (ko) 비계에 설치되는 조립용 케이블 레스 상하이송장치
US4886145A (en) Underground vehicle lift
JP6673612B2 (ja) コンペンシーブ下クリアランスの調整方法および装置
KR101933174B1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CN220182574U (zh) 一种设备清理用临时支架
KR102373142B1 (ko) 페이퍼 롤 자동 교체장치
KR960005998B1 (ko) 철도차량의 윤축 분리이송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